KR20210085172A -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172A
KR20210085172A KR1020190177938A KR20190177938A KR20210085172A KR 20210085172 A KR20210085172 A KR 20210085172A KR 1020190177938 A KR1020190177938 A KR 1020190177938A KR 20190177938 A KR20190177938 A KR 20190177938A KR 20210085172 A KR20210085172 A KR 20210085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virtual reality
force
gradient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승용
김경록
노세곤
임복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172A/ko
Priority to EP20208081.8A priority patent/EP3846007A1/en
Priority to US17/132,018 priority patent/US20210200302A1/en
Priority to CN202011604966.8A priority patent/CN113126751A/zh
Publication of KR2021008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7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for active exercising, the apparatus being also usable for pass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2Walk-in-place systems for allowing a user to walk in a virtual environment while constraining him to a given posi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착용형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보행 환경에 대응되는 포스(force) 출력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출력한다.

Description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WEAR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근력을 강화 시키기 위한 운동 보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보행 보조 훈련 또는 운동 보조 훈련은 가상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보행 환경에 대응되는 포스(force)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가상 현실 상의 보행 경로에 대한 경사도(gradient) 및 상기 보행 환경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포스 피드백의 크기와 방향과 관련된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과 관련된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환경이 경사도가 있는 보행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경사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음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보조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게인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에 해당하는 경우, 음의 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가 음수에 해당하는 경우, 양의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환경이 수중 보행 환경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수중 보행 환경에 설정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은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하는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을 늦추는 딜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보행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는 상기 착용형 장치와 가상 현실 장치를 연결하는 통신기; 포스(force) 피드백을 출력하는 구동기; 및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기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보행 환경에 대응되는 포스(force) 출력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가상 현실 상의 보행 경로에 대한 경사도(gradient) 및 상기 보행 환경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포스 피드백의 크기와 방향과 관련된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과 관련된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 환경이 경사도가 있는 보행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경사도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음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보조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게인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에 해당하는 경우, 음의 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가 음수에 해당하는 경우, 양의 게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 환경이 수중 보행 환경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수중 보행 환경에 설정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은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하는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을 늦추는 딜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보행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와 가상 현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시스템(100)은 착용형 장치(110) 및 가상 현실 장치(120)를 포함한다.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페어링된다. 일례로,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무선 통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페어링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착용형 장치(12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가상 현실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착용형 장치(110) 및 가상 현실 장치(120)를 착용한 채로 보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현실에서 보행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사용자의 힙관절 또는 허벅지에 착용되는 힙 타입,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는 발목 타입, 또는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되는 무릎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힙 타입의 착용형 장치(110)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착용형 장치(110)의 구동기들(210-1 및 210-2)은 사용자의 힙관절 부근에 위치할 수 있고, 착용형 장치(110)의 컨트롤러(310)는 허리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기들(210-1 및 210-2) 및 컨트롤러(310)의 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형 장치(110)는 사용자의 왼쪽 힙관절 각도 q_l과 오른쪽 힙관절 각도 q_r을 측정 또는 센싱한다. 일례로, 착용형 장치(110)는 왼쪽 엔코더를 통해 사용자의 왼쪽 힙관절 각도 q_l을 측정 또는 센싱할 수 있고, 오른쪽 엔코더를 통해 사용자의 오른쪽 힙관절 각도 q_r을 측정 또는 센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왼쪽 다리는 기준선(320)보다 앞서므로 왼쪽 힙관절 각도 q_l은 음수(negative number)일 수 있고, 오른쪽 다리는 기준선(320)보다 뒤에 있으므로 오른쪽 고관절 각도 q_r은 양수(positive number)일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오른쪽 다리가 기준선(320)보다 앞설 때 오른쪽 힙관절 각도 q_r이 음수일 수 있고 왼쪽 다리가 기준선(320)보다 뒤에 있을 때 왼쪽 고관절 각도 q_l이 양수일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왼쪽 힙관절 각도 q_l, 오른쪽 힙관절 각도 q_r, 게인 κ, 및 딜레이 △t를 기초로 포스(force) 출력 정보 τ(t)를 결정하고, 결정된 포스(force) 출력 정보 τ(t)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출력한다. 일례로, 착용형 장치(110)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포스 출력 정보 τ(t)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게인 κ는 포스 피드백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게인 κ의 크기가 클수록 강한 포스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다. 게인 κ가 음수이면 저항력의 포스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고 게인 κ가 양수이면 보조력의 포스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다. 딜레이 △t는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과 관련된 파라미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연동하여 포스 출력 정보 τ(t)를 결정함으로써 가상 현실 내의 상황에 적합한 포스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출력 또는 제공한다. 일례로, 후술하겠지만,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오르막길을 걷는 상황에 있으면, 착용형 장치(110)는 해당 상황에 부합되는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해당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수중 보행 상황에 있으면 착용형 장치(110)는 수중 보행 상황에 부합되는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여 포스 피드백을 해당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와 가상 현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페어링을 형성한다(410). 일례로,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무선 통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가상 현실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411).
착용형 장치(110)는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한다(412). 일례로, 착용형 장치(110)는 왼쪽 힙관절 각도 q_l과 오른쪽 힙관절 각도 q_r 중 적어도 하나가 센싱되기 시작하면, 사용자가 보행을 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하는 경우, 보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보행 정보를 가상 현실 장치(120)로 전송한다(413). 보행 정보는, 예를 들어, 보행 속도 정보 및 자세(pos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착용형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보행 정보를 가상 현실에 반영한다(414).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현실 상에서 보행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에서 특징적인 보행 환경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415). 일례로, 가상 현실 장치(120)는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특징적인 보행 환경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징적인 보행 환경은 미리 결정되어 있다. 특징적인 보행 환경은, 예를 들어, 경사도가 있는 보행 환경(예를 들어, 오르막길, 내리막길, 또는 계단) 및/또는 수중 보행 환경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징적인 보행 환경의 예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후술한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에서 특징적인 보행 환경에 있으면, 착용형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착용형 장치(110)로 전송한다(416). 가상 현실 장치(120)는 착용형 장치(110)가 특징적인 보행 환경에 부합되는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게 제어 정보를 착용형 장치(110)로 전송한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상의 보행 경로의 경사도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게인 κ 및 딜레이 △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고(417),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출력한다(418). 일례로,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가상 현실 상의 보행 경로의 경사도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게인 κ를 결정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positive number)에 해당하는 경우, 음의 게인 -κ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음의 게인 -κ를 이용하여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포스 피드백은 사용자의 보행에 저항을 주는 저항력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실제 현실에서 오르막길을 보행하면 다리가 힘들다는 느낌을 받는다. 착용형 장치(11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오르막길을 보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제 현실에서 오르막길을 보행할 때 받는 느낌을 가상 현실에서 받을 수 있게 저항력의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가상 현실에서 오르막길을 보행하면 사용자의 보행은 착용형 장치(110)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실제 현실에서 오르막길을 보행할 때 받는 느낌을 가상 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포스 피드백을 제공받는 사용자의 보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보행 정보를 가상 현실 장치(120)로 전송한다(419). 보행 정보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보행 속도 정보 및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착용형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보행 정보를 가상 현실에 반영한다(420). 이에 따라, 사용자의 보행이 느려 지는 것 및/또는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가상 현실에 표현 또는 반영될 수 있다.
도 5에 가상 현실 상의 오르막길의 일례가 도시된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도 5에 도시된 오르막길을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행하면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오르막길을 보행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가상 현실에서 오르막길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실제 현실에서 오르막길을 보행할 때 다리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경험하는데, 이러한 경험을 가상 현실에서 할 수 있게 착용형 장치(110)는 저항력의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도 5에 도시된 오르막길에 진입하면, 오르막길의 경사도를 착용형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경사도는 positive number에 해당한다. 착용형 장치(110)는 오르막길의 경사도를 기초로 음의 게인 -κ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경사도 g_1를 수신한 경우, 아래 표 1을 참조하여 경사도 g_1에 맵핑된 κ g_1 을 찾을 수 있다.
경사도 게인
g_n(최대) κ g_n
... ...
g_1 κ g_1
0 κ 0
-g_1 κ -g_1
... ...
-g_8 κ -g_8
... ...
-g_n κ -g_n
위 표 1에서, κ g_1 내지 κ g_n 은 음수이다. 이 때, κ g_1 에서 κ g_n 로 갈수록 절대값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르막길의 경사도가 커질수록 음의 게인의 절대값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또한, 위 표 1에서, κ 0 내지 κ -g_n 는 양수이다. 이 때, κ 0 에서 κ -g_n 로 갈수록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리막길의 경사도가 커질수록 양의 게인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경사도에 맵핑되는 게인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가상 현실 장치(120)는 위 표 1을 저장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오르막길의 경사도가 g_1인 경우, 가상 현실 장치(120)는 착용형 장치(110)로 g_1에 맵핑된 κ g_1 을 전송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음의 게인 κ g_1 , 딜레이 △t, 및 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딜레이 △t는, 예를 들어, 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형 장치(110)는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저항력의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현실에서 오르막길을 오를 때와 유사하게 가상 현실에서 다리에 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도 6에 가상 현실 상의 계단의 일례가 도시된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도 6에 도시된 계단을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행하면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계단을 내려가는 것과 같은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가상 현실에서 계단을 내려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도 6에 도시된 계단에 진입하면, 계단의 경사도를 착용형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경사도는 negative number에 해당한다. 착용형 장치(110)는 계단의 경사도를 기초로 양의 게인 κ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경사도 -g_8를 수신한 경우, 위 표 1을 참조하여 경사도 -g_8에 맵핑된 κ -g_8 을 찾을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κ -g_8 을 수신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게인 κ -g_8 , 딜레이 △t, 및 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딜레이 △t는, 예를 들어, 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형 장치(110)는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보조력의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제 현실에서 계단을 내려갈 때 중력에 의해 약간의 힘을 보조 받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가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조력의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현실에서 계단을 내려가는 것과 유사하게 가상 현실에서 보조력을 받을 수 있다.
도 7에 가상 현실 상의 수중 보행 환경의 일례가 도시된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도 7에 수중 보행 환경을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행하면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수중 보행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물 속을 걷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도 7에 도시된 수중 보행 환경에 진입하면, 음의 게인 -κ water 및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을 늦추는 딜레이 △twater를 착용형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음의 게인 -κ water , 딜레이 △twater, 및 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중 보행 환경에 부합되는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저항력의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제 현실에서 물 속을 걸을 때 물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이와 유사하게,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가 수중 보행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저항력의 포스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현실에서의 수중 보행과 유사하게 가상 현실에서 수중 보행할 때 저항력을 받을 수 있다.
도 8에 가상 현실 상의 버스 내부 환경이 도시된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도 8에 도시된 버스 내부 환경을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가상 현실에서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가상 현실 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버스를 타면, 사용자가 가상 현실 상에서 버스를 탔다고 착용형 장치(110)에 알릴 수 있다. 착용형 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에서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상황에 부합되게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110)는 통신기(910), 컨트롤러(310), 및 구동기들(210-1 내지 210-2)을 포함한다. 구현에 따라, 착용형 장치(110)는 하나의 구동기를 포함하거나 셋 이상의 구동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기(910)는 착용형 장치(110)와 가상 현실 장치(120)를 연결한다. 일례로, 통신기(910)는 무선 통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착용형 장치(110)를 가상 현실 장치(120)와 연결할 수 있다.
구동기들(210-1 내지 210-2)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포스 피드백을 출력한다.
컨트롤러(3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착용형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통신기(910)를 통해 수신한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상의 보행 경로에 대한 경사도 및 보행 환경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310)는 보행 환경이 경사도가 있는 보행 환경(예를 들어, 도 5를 통해 설명한 오르막길 또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계단)에 해당하는 경우,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경사도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컨트롤러(310)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에서 도 7을 통해 설명한 수중 보행 환경에 진입하면,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수중 보행 환경에 대해 설정된 음의 게인 -κ water 및 딜레이 △twater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보행 환경에 대응되는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한다. 일례로, 컨트롤러(3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인 경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수신된 경사도가 음수인 경우, 포스 피드백이 보조력이 되도록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구동기들(210-1 내지 210-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착용형 장치(110)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10)는 IMU 센서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착용형 장치(110)는 IMU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roll 방향으로의 운동에 관한 각도 및 pitch 방향으로의 운동에 관한 각도 중 하나 이상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 결과를 기초로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로부터 착용형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1010).
착용형 장치(110)는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보행 환경에 대응되는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한다(1020).
착용형 장치(110)는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출력한다(1030).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0을 통해 기술된 사항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장치(120)와 연동하여 가상 현실 게임의 조이스틱 또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착용형 장치(110)는 가상 현실 게임에서 바디 조이스틱 또는 HMI로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가상 현실의 상황에 부합되는 포스 피드백이 착용형 장치(11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착용형 장치(110)는 출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110)에 의해 획득된 보행 정보는 가상 현실에 반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착용형 장치(110)는 입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110)와 가상 현실 장치(120)는 가상 현실 컨텐츠(예를 들어, 가상 현실 게임)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예를 들어, 재활 운동, 교정 운동, 근력 운동 등)을 하게 끔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보행 환경에 대응되는 포스(force)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포스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가상 현실 상의 보행 경로에 대한 경사도(gradient) 및 상기 보행 환경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포스 피드백의 크기와 방향과 관련된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과 관련된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환경이 경사도가 있는 보행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경사도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음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보조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게인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에 해당하는 경우, 음의 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가 음수에 해당하는 경우, 양의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환경이 수중 보행 환경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수중 보행 환경에 설정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은,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하는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을 늦추는 딜레이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보행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11. 착용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장치와 가상 현실 장치를 연결하는 통신기;
    포스(force) 피드백을 출력하는 구동기; 및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기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상의 사용자의 보행 환경에 대응되는 포스(force) 출력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포스 출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가상 현실 상의 보행 경로에 대한 경사도(gradient) 및 상기 보행 환경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포스 피드백의 크기와 방향과 관련된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과 관련된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 환경이 경사도가 있는 보행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경사도를 수신하는,
    착용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음수인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이 보조력이 되도록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착용형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를 기초로 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게인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는,
    착용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경사도가 양수에 해당하는 경우, 음의 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경사가 음수에 해당하는 경우, 양의 게인을 결정하는,
    착용형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 환경이 수중 보행 환경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수중 보행 환경에 설정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착용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포스 출력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은,
    상기 포스 피드백이 저항력이 되도록 하는 게인 및 상기 포스 피드백의 출력 타이밍을 늦추는 딜레이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보행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착용형 장치.
KR1020190177938A 2019-12-30 2019-12-30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85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38A KR20210085172A (ko) 2019-12-30 2019-12-30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EP20208081.8A EP3846007A1 (en) 2019-12-30 2020-11-17 Wearable device with force feedba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7/132,018 US20210200302A1 (en) 2019-12-30 2020-12-23 Weara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2011604966.8A CN113126751A (zh) 2019-12-30 2020-12-30 可穿戴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38A KR20210085172A (ko) 2019-12-30 2019-12-30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72A true KR20210085172A (ko) 2021-07-08

Family

ID=7345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938A KR20210085172A (ko) 2019-12-30 2019-12-30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00302A1 (ko)
EP (1) EP3846007A1 (ko)
KR (1) KR20210085172A (ko)
CN (1) CN1131267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7007B (zh) * 2022-04-02 2023-06-06 中国科学技术大学先进技术研究院 用于康复的穿戴式水下外骨骼机器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7187B2 (en) * 2017-06-15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king assistance method and apparatuses
CN108619655B (zh) * 2018-05-25 2021-03-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控制vr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6007A1 (en) 2021-07-07
US20210200302A1 (en) 2021-07-01
CN113126751A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310B1 (ko) 보조력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384155B1 (ko) 보행 보조 방법 및 장치
KR102608432B1 (ko)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2429612B1 (ko)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WO2018180144A1 (ja) 歩行支援システム、歩行支援方法、および歩行支援プログラム
KR102094852B1 (ko) 토크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3079684A (ja) トルク付与システム
JP2015512287A (ja) 下肢装具用の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80096241A (ko) 보행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16015B1 (ko) 운동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6924B1 (ko)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9020490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 natural, anti-motion-sickness interaction towards synchronized Visual Vestibular Proprioception interaction including navigation (movement control) as well as target selection in immersive environments such as VR/AR/simulation/game, and modular multi-use sensing/processing system to satisfy different usage scenarios with different form of combination
KR102578261B1 (ko)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20180033652A (ko) 보행 보조 장치 및 보행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53505A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8122600A2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 natural, anti-motion-sickness interaction towards synchronized visual vestibular proprioception interaction including navigation (movement control) as well as target selection in immersive environments such as vr/ar/simulation/game, and modular multi-use sensing/processing system to satisfy different usage scenarios with different form of combination
KR20210085172A (ko)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364594B1 (ko) 사용자의 움직임과 모션 플랫폼 사이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한 실감형 스노보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6759A (ko) 센서 장치 및 센서 장치를 이용하는 보행 보조 장치
KR101837717B1 (ko)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저항장치의 움직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22002B1 (ko) 보조력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0430853B (zh) 步行支援系统、步行支援方法及程序
US202401232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exercise progra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205833B1 (ko) 토크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230263689A1 (en) Wear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