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157A -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157A
KR20210085157A KR1020190177903A KR20190177903A KR20210085157A KR 20210085157 A KR20210085157 A KR 20210085157A KR 1020190177903 A KR1020190177903 A KR 1020190177903A KR 20190177903 A KR20190177903 A KR 20190177903A KR 20210085157 A KR20210085157 A KR 20210085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mming
safety education
section
virtual reality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144B1 (ko
Inventor
배종희
Original Assignee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filed Critical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7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1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57A/ko
Priority to KR1020220117294A priority patent/KR102534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0Swimming instruction apparatus for use without wa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종래의 체험 환경 및 방식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체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는 수단;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및 HMD와 연동되어 HMD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는 1인칭 시점의 360°VR 영상으로 제작되고,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한 적어도 2개의 테마를 포함하고, 제1 테마는 수영장으로 이동하는 버스에서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제1 섹션, 수영장 로비에서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제2 섹션, 수영장 탈의실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제3 섹션, 수영장 샤워실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제4 섹션을 포함하는 4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고, 제2 테마는 수영관련 안전교육으로 이루어진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SWIMMING SAFETY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종래의 체험 환경 및 방식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체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여가생활의 발달로 인해 수중스포츠(바다, 강, 수영장 등)를 즐기는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수중 레크레이션 시설을 활용한 레포츠의 참여 인구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참여 인구만큼 수중 스포츠와 관련된 사상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수영의 경우 수중에서 즐길 수 있는 기본종목으로써 물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하는 종목이다.
하지만 매년 수중 스포츠 활동 관련 안전사고가 수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수중 스포츠 활동 안전사고는 안전 불감증, 관리자의 부주의, 참여자의 자만심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안전 인식을 높이기 위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매년 수중 스포츠 안전을 위해 각종 교육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이들 안전 교육의 대부분은 안전 매뉴얼과 같은 지면 자료, 또는 웹사이트트 등에 링크되는 비디오 매체를 통해 진행되고 있어 실제 체험을 통한 교육은 부족하다.
또한 실제 수영장에서 안전교육을 체험하기 위해서는 수영 교육과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를 해야만 하며, 안전 교육 역시 수영장에 직접 방문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실제 체험을 통해 교육받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사용자가 직접 수영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직접 수영장을 방문하여 수영 안전 교육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영자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장소 별로 체험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물놀이에 국한되지 않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별로 체험 스토리를 진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는 수단;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및 HMD와 연동되어 HMD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는 1인칭 시점의 360°VR 영상으로 제작되고,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한 적어도 2개의 테마를 포함하고, 제1 테마는 수영장으로 이동하는 버스에서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제1 섹션, 수영장 로비에서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제2 섹션, 수영장 탈의실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제3 섹션, 수영장 샤워실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제4 섹션을 포함하는 4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고, 제2 테마는 수영관련 안전교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서 포함한다.
전술한 양태에서, 제1 섹션 내지 제4 섹션 각각은 복수의 미션으로 이루어지고, 섹션에서의 미션이 모두 완료될 때 다음의 섹션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되고, 섹션에 포함된 미션은 자막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미션은 컨트롤러를 이용한 사용자의 클릭 또는 HMD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완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제2 테마는, 준비운동 교육; 물 적응 교육; 기초 호흡법 교육; 킥보드 누워뜨기 교육; 구명조끼 착용교육; 구명조끼 입수법 및 생존수영 교육; 페트병 및 주변도구 생존 뜨기 교육; 맨몸 뜨기 교육; 원형뜨기 지상훈련 교육; 원현뜨기 수중훈련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HMD는 3840*2160(75Hz)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며, 101°의 시야각을 가지며, 효과음을 재생하기 위한 사운드칩,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공간상에서의 X, Y, Z축에서 얀(Yaw), 피치(pitch), 롤(roll)의 회전축이 결합된 6DOF(degrees of freedom)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수영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직접 수영장을 방문하여 수영 안전 교육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장소 별로 체험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물놀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테마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에서 버스안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에서 로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에서 탈의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에서 샤워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서브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준비운동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물적응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기초 호흡법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킥보드 누워뜨기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구명조끼 착용교육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구명조끼 입수법 및 생존수영 이동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페트병 및 주변도구 생존 뜨기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맨몸 뜨기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원형뜨기 지상훈련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의 테마2의 원현뜨기 수중훈련 관련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1)은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는 수단(10); 상기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20); 및 HMD(Head Mounted Display)(20)와 연동되어 HMD(2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고, HMD(20) 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스트림의 형태로 HMD(20)에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수영안전 컨텐츠는 1인칭 시점의 360°VR 영상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발생되는 특정 이벤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벤트들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간접체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HMD(20)는 VR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영안전 컨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높은 해상도와 넓은 시야각을 필요로 하고, 자체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을 탑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채용된 HMD(20)는 3840*2160(75Hz)의 해상도를 가지며, 101°의 시야각을 가지며, 내장 사운드칩이 제공되어 있고,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를 구비한 HMD(20)가 이용되었으며, 따라서 보다 현장감 있고, 특정 이벤트 발생시 보다 생생한 효과음과 함께, 공간상에서의 X, Y, Z축에서 얀(Yaw), 피치(pitch), 롤(roll)의 회전축이 결합된 6DOF(degrees of freedom)가 가능해져 더욱 몰입감 있는 현장 학습 표현이 가능하다.
컨트롤러(30)는 HMD(20) 내에서 수영안전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수영안전 컨텐츠가 실행 중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컨트롤러(30)는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특정 명령 지점에서 표시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우스에서의 클릭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HMD(20)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음 메뉴로의 진행이나 명령의 실행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눈을 트래킹하고 눈의 동작을 통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HMD가 이용되는 경우 컨트롤러는 생략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1인칭 360°화면으로 제작된 수영안전교육 컨텐츠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안전교육 컨텐츠의 간단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안전교육 컨텐츠(10)는 HMD를 착용하고 해당하는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를 실행시킴으로써 단계 S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수영안전교육 컨텐츠(10)는 크게 테마1과 테마2로 구별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계 S10에서 테마 선택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테마중 하나를 선택하여 특정 테마를 직접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테마는 미리결정된 순서대로 차례대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테마는 장소에 따른 섹션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 테마1의 경우 장소1(버스), 장소2(로비), 장소3(탈의실), 장소4(샤워장)의 4개의 섹션으로 구분되어 수영장 자체에서의 안전교육 뿐만아니라 수영장 이외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주의사항에 대해 사용자엑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섹션들은 각각의 장소에서 벌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들에 대해 사용자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미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미션을 클리어함으로써 다음의 미션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소(섹션)에서의 발생되는 모든 미션을 해결해야만 다음의 장소(섹션)으로 컨텐츠를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실제 오프라인 교육 도중 다른 생각을 하거나 한눈을 파는 등과 같이 불성실하게 교육을 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테마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테마1은 수영장이 아닌 장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해 사용자에게 교육을 하도록 제공된다. 테마1은 4개의 섹션인 버스, 로비, 탈의실, 샤워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같다.
* 테마1의 섹션1(버스)
테마1의 섹션1은 버스 내에서 사용자가 주의해야할 것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도움을 준다. 도 4는 버스에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서는 "스포츠센터에 도착하였습니다. 여러분 개인 소지품을 챙겨서 내려주시길 바랍니다."라는 나레이션이 화면과 함께 재생되고 나레이션 종료 후 [이동] 버튼이 비활성화 상태로 자동 생성된다.
이어진 도 4의 (b)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이동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소지품을 챙겨주세요(주위를 둘러보세요)"라는 자막이 팝업되고 일정시간(3초간) 유지된다. 이때 팝업 효과음도 함께 재생될 수 있다.
도 4의 (b)의 화면에 이어 사용자가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도 4의 (c)와 같이 가방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가방을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하면 "가방을 획득하였습니다"라는 자막이 일정시간 유지된다. 이때 팝업 효과음도 함께 재생될 수 있다.
가방 획득 이벤트가 종료되고 이어진 도 4의 (d)의 화면에서 비활성화 상태였던 이동 버튼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이동번튼을 클릭한다.
이동 버튼이 클릭되면 도 4의 (e)와 같이 화면이 전환되고 하차문 앞에 내리기 버튼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생성된다.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내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도 4의 (f)에서와 같이 "주위를 살피고 내려주세요(오른쪽 왼쪽으로 고개를 돌려주세요)"라는 자막 또는 나레이션이 표출되고 일정시간 유지된다. 이때 팝업 효과음도 함께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좌우로 고개를 돌리고 나면 도 4의 (g)에서와 같이 내리기 버튼이 활성화되고 사용자는 내리기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섹션1(버스)에서의 모든 미션이 완료되었으므로 화면은 다음 섹션2의 시작화면으로 전환된다.
* 테마1의 섹션2(로비)
테마1의 섹션2는 수영장 로비 내에서 사용자가 주의해야할 것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도움을 준다. 도 5는 로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의 화면에서는 "안녕하세요 스포츠 센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나레이션이 화면과 함께 재생된다.
이어진 도 5의 (b)의 화면에서 "바닥을 한번 클릭해주세요"라는 자막이 팝업되고 일정 시간 유지된다. 자막이 팝업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가 바닥을 클릭하면바닥에 그래픽 효과가 발생된다.
이어진 도 5의 (c)의 화면에서 "즐겁게 수영과 운동을 즐기기전에 간단히 지키셔야 할 약속이 있습니다. 로비는 바닥이 미끄러워서 뛰어다니면 다른 사람과 부딪힐 우려가 있습니다."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되고 미끄럼 주의와 관련한 그래픽 효과가 계속 유지된다.
이어진 도 5의 (d)의 화면에서 "또 선생님께 알리지 않고 그룹을 이탈하면 선생님이 걱정하니 선생님에게 꼭 말하고 이동하시길 바랍니다."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된다.
이어진 도 5의 (e)의 화면에서 "그럼 탈의실로 이동해볼까요?"라는 나레이션이 재생되고 탈의실 버튼이 활성화 상태로 생성된다. 사용자가 탈의실 버튼을 컨트롤러를 통해 클릭하면 탈의실 화면으로 전환된다.
* 테마1의 섹션3(탈의실)
테마1의 섹션3는 수영장 탈의실 내에서 사용자가 주의해야할 것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도움을 준다. 도 6은 탈의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의 화면에서는 먼저 "스포츠센터 탈의실입니다. 탈의실에서도 조심해야할 행동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안전을 위해서 꼭 지켜주셔야 해요"라는 나레이션이 화면과 함께 재생된다.
이어진 도 6의 (b)의 화면에서 "바닥을 한번 클릭해주세요"라는 자막이 팝업되고 일정 시간 유지된다. 자막이 팝업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가 바닥을 클릭하면 바닥에 그래픽 효과가 발생된다.
이어진 도 6의 (c) 화면에서 그래픽 효과가 생성된 상태에서"1번째 탈의실 바닥은 물로 젖어있는 경우가 많아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된다.
이어진 도 6의 (d)의 화면에서는 "물폼 보관함을 클릭해주세요"라는 자막 팝업되고 일정시간 유지된다. 이때 팝업 효과음도 함께 재생된다. 팝업 등장과 함께 물품보관함에도 그래픽 효과가 발생된다.
사용자가 물품보관함을 클릭하면 이어진 도 6의 (e)의 화면에서는 "2번째 개인 물품보관함 문에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라는 나레이션과 그래픽이 재생된다.
그래픽 재생이 종료되면 이어진 도 6의 (f) 화면에서와 같이 화장실 그래픽이 재생되고 "3번째 화장실은 수영장들어가기전에 미리 다녀오시길 바라며, 샤워장으로 입장하는 문에 손가락 혹은 발가락이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시길 바랍니다."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된다.
이어진 도 6의 (g) 화면에서는 "그럼 샤워장으로 이동해볼까요?"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되고, [샤워장] 버튼이 생성된다. 도 6의 (f)에서와 같이 샤워장 버튼이 활성화된다. 사용자가 샤워장 버튼을 클릭하면 테마1의 섹션3이 종료되고 다음의 섹션4로 이동된다.
* 테마1의 섹션4(샤워실)
테마1의 섹션4는 수영장 샤워실 내에서 사용자가 주의해야할 것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도움을 준다. 도 7은 샤워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표 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의 화면에서는 먼저 "스포츠센터 샤워실입니다. 샤워실에서도 조심해야할 행동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안전을 위해서 꼭 지켜주셔야 해요"라는 나레이션이 화면과 함께 재생된다.
이어진 도 7의 (b)의 화면에서 "소리로 떠들거나 뛰어다니면 다른 사람에게 민폐가 되는 행동이니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되고 그래픽 효과가 함께 재생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이어진 도 7의 (c) 화면에서 그래픽 효과가 종료된 생성된 상태에서 "샤워기를 클릭해주세요"라는 자막이 팝업되고 일정 시간 유지된다. 이 때 팝업 효과음도 함께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샤워기를 클릭하면 도 7의 (d)에서와 같이 샤워기에 그래픽 효과가 발생되고, "샤워하기전 수영가방 위치, 물 온도를 체크 후 씻고나서 수영복과 수영모를 착용하셔야 합니다."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된다.
모든 미션이 완료되면 화면은 도 7의 (e)와 같이 로비화면으로 전환되고,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인사 드리며, 다치지 말고 재미있게 놀다 가시길 바랍니다. 이제 다른 테마도 한번 체험 해볼까요?"라는 나레이션이 방송되고난 후, [테마선택], [다시체험], [종료하기] 버튼이 생성된다.
사용자는 생성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해당하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테마 선택하면에서 테마2를 선택하면 수영교육에 대한 컨텐츠가 재생된다. 사용자가 테마2를 선택하면 도 8과 같은 테마2의 메뉴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테마2는 [준비운동], [물 적응], [기초 호흡법], [킥보드 누워뜨기], [구명조끼 착용교육], [구명조끼 입수법 및 생존수영 이동], [페트병 및 주변도구 생존 뜨기], [맨몸 뜨기(잎새뜨기)], [원형뜨기 지상훈련], [원현뜨기 수중훈련] 의 10가지 미션으로 이루어진다.
* 테마2 - 준비운동
사용자가 도 8의 테마2의 메뉴에서 준비운동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준비운동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9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준비운동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9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물적응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 적응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0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물적응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0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기초 호흡법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초 호흡법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1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기초 호흡법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1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킥보드 누워뜨기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킥보드 누워뜨기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2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킥보드 누워뜨기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2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구명조끼 착용 교육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명조끼 착용교육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3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구명조끼 착용 교육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3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구명조끼 입수법 및 생존수영 이동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명조끼 입수법 및 생존수영 이동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4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구명조끼 입수법 및 생존수영 이동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4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페트병 및 주변도구 생존 뜨기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트병 및 주변도구 생존 뜨기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5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페트병 및 주변도구 생존 뜨기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5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맨몸뜨기(잎새뜨기)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맨몸뜨기(잎새뜨기)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6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맨몸뜨기(잎새뜨기)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6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원형뜨기 지상훈련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뜨기 지상훈련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7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원형뜨기 지상훈련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7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선택화면 메뉴에서 원형뜨기 수중훈련 버튼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뜨기 수중훈련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8의 (a)의 화면에서와 같이 1인칭 시점의 원형뜨기 수중훈련 영상이 시작되고, 영상이 종료되면 도 18의 (b)에서와 같이 도 8의 선택화면 이동 버튼이 생성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수영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직접 수영장을 방문하여 수영 안전 교육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장소 별로 체험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물놀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10: 수영안전 교육 컨텐츠
20: HMD
30: 컨트롤로

Claims (4)

  1.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는 수단;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및 HMD와 연동되어 HMD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수영 안전교육 컨텐츠는 1인칭 시점의 360°VR 영상으로 제작되고,
    수영안전교육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한 적어도 2개의 테마를 포함하고,
    제1 테마는 수영장으로 이동하는 버스에서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제1 섹션, 수영장 로비에서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제2 섹션, 수영장 탈의실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제3 섹션, 수영장 샤워실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제4 섹션을 포함하는 4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고,
    제2 테마는 수영관련 안전교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섹션 내지 제4 섹션 각각은 복수의 미션으로 이루어지고, 섹션에서의 미션이 모두 완료될 때 다음의 섹션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되고,
    섹션에 포함된 미션은 자막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미션은 컨트롤러를 이용한 사용자의 클릭 또는 HMD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완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마는, 준비운동 교육; 물 적응 교육; 기초 호흡법 교육; 킥보드 누워뜨기 교육; 구명조끼 착용교육; 구명조끼 입수법 및 생존수영 교육; 페트병 및 주변도구 생존 뜨기 교육; 맨몸 뜨기 교육; 원형뜨기 지상훈련 교육; 원현뜨기 수중훈련 교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HMD는 3840*2160(75Hz)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며, 101°의 시야각을 가지며, 효과음을 재생하기 위한 사운드칩,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공간상에서의 X, Y, Z축에서 얀(Yaw), 피치(pitch), 롤(roll)의 회전축이 결합된 6DOF(degrees of freedom)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KR1020190177903A 2019-12-30 2019-12-30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KR10251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03A KR102513144B1 (ko) 2019-12-30 2019-12-30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KR1020220117294A KR102534268B1 (ko) 2019-12-30 2022-09-16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03A KR102513144B1 (ko) 2019-12-30 2019-12-30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294A Division KR102534268B1 (ko) 2019-12-30 2022-09-16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57A true KR20210085157A (ko) 2021-07-08
KR102513144B1 KR102513144B1 (ko) 2023-03-23

Family

ID=768934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903A KR102513144B1 (ko) 2019-12-30 2019-12-30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KR1020220117294A KR102534268B1 (ko) 2019-12-30 2022-09-16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294A KR102534268B1 (ko) 2019-12-30 2022-09-16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3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59B1 (ko) * 2022-11-28 2023-08-24 (주)나라소프트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308A (ko) * 2017-02-15 2018-08-23 이순구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
KR20190070616A (ko) * 2017-12-13 2019-06-21 전자부품연구원 입수식 해양콘텐츠 가상체험시스템 및 방법
WO2019190027A1 (ko) * 2018-03-28 2019-10-03 강원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유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308A (ko) * 2017-02-15 2018-08-23 이순구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
KR20190070616A (ko) * 2017-12-13 2019-06-21 전자부품연구원 입수식 해양콘텐츠 가상체험시스템 및 방법
WO2019190027A1 (ko) * 2018-03-28 2019-10-03 강원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유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59B1 (ko) * 2022-11-28 2023-08-24 (주)나라소프트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144B1 (ko) 2023-03-23
KR20220129529A (ko) 2022-09-23
KR102534268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1351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DE69630037T2 (de) Vorrichtung und methode zum umgeben eines benutzers mit virtueller realität
US201503026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entertainment experience
WO201804313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6880694A (zh) 用于与三维环境进行交互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20160048027A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tied to incidental acceleration
KR102534268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영 안전교육 시스템
Raffe et al. Player-computer interaction features for designing digital play experiences across six degrees of water contact
Stein Virtual Reality Design: How Upcoming Head-Mounted Displays Change Design Paradigms of Virtual Reality Worlds'
Martin A phenomenological account of the playing-body in avatar-based action games
EP36212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46150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Petersen Matjeka et al. Restraints as a mechanic for bodily play
Heffernan Virtual reality fails its way to success
JP201917107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Raffaele Virtual Reality Immersive user interface for first person view games
Sypniewski et al. Towards dynamic perspective exchange in physical games
Weetch Expressive spaces in digital 3D cinema
Shaughnessy et al. Autism in the wild: Bridging the gap between experiment and experience
Probst et al. Rapture of the deep
US20020199191A1 (en) System for presenting interactive content
Gatti Inhabited stories: An enactive media archaeology of virtual reality storytelling
KR102091337B1 (ko) 행글라이더 운동 장치
Maxwell Theater for beginners
JP7495770B2 (ja) 落下感を体験可能な仮想体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