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842A -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842A
KR20210084842A KR1020190177289A KR20190177289A KR20210084842A KR 20210084842 A KR20210084842 A KR 20210084842A KR 1020190177289 A KR1020190177289 A KR 1020190177289A KR 20190177289 A KR20190177289 A KR 20190177289A KR 20210084842 A KR20210084842 A KR 20210084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6544B9 (en
KR102356544B1 (en
Inventor
길민식
길규철
Original Assignee
(주)투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비시스템 filed Critical (주)투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7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544B1/en
Publication of KR2021008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544B1/en
Publication of KR10235654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544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pelling harmful wild animals to increase probability of detecting an intrusion targ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a main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main intrusion sensor unit capable of monitoring a main monitoring area; and a sub intrusion sensor unit interlocked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capable of monitoring the main monitoring area and a sub monitoring area smaller than the main monitoring area. When a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main monitoring area or the sub monitoring area, at least one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for repelling the harmful wild animal. When a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sub-monitoring area, the sub-monitoring device notifies the main monitoring device of an intrusion signal with respect to invasion of the harmful wild animal.

Description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Harmful Wildlife Removal System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정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가 협동하여 유해 야생동물 퇴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exterminating harmful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exterminating harmful wild animals by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sub-monitoring device and at least one main monitoring device.

상위 포식자의 부재로 인하여, 농작물에 유해한 조류와 야생동물들이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먹이를 구하기 위해 농가로 침입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Due to the absence of upper predators, the number of birds and wild animals harmful to crop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scale of damage to crops is increasing by invading farms for food.

종래의 방법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재, 공포탄, 확성기 등을 이용하여 유해조류나 야생동물을 퇴치하고 있으나, 반복합습으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harmful birds or wild animals are repelled by using a reflective member that reflects light, blank bullets, loudspeakers, and the lik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iveness decreases over time due to repeated learning.

또한, 농지 전체를 두르는 망이나, 목책을 설치하는 것은 비용과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installing a net or barrier that surrounds the entire farmland is costly and difficult to manage.

한국실용공개 제20-1998-0059649호('98.10.26)Korean Utility Publication No. 20-1998-0059649 ('98.10.26)

따라서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와 서브 디바이스는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감시 영역을 가지며, 디바이스를 다수 배치하여 넓은 범위의 감시 범위를 가지지만, 메인 디바이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서브 디바이스가 다수 배치되어,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와 서브 디바이스, 서브 디바이스와 인접한 서브 디바이스들이 서로 협동하여 퇴치 동작을 수행함으로 퇴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 및 학습하여, 필요시 서버에 의하여 퇴치장치들이 작동하여, 악조건속에서도 유해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하고자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evice and the sub device have at least a partially overlapping monitoring area, and have a wide monitoring range by disposing a plurality of devices, but the main device A number of relatively inexpensive sub-devices are arrange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farmer. In addition, the repelling effect can be enhanced by the main device, the sub device, and the sub device and adjacent sub devices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o perform the repelling action, and by analyzing and learning the data through the server, the repelling devices are operated by the server when necessary, It aims to effectively exterminate harmful wild animals even in adverse condi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감시영역을 감시 가능한 메인 침입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메인 감시영역과 상기 메인 감시 영역보다 크기가 작은 서브 감시영역을 감시 가능한 서브 침입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인 감시 영역 또는 상기 서브 감시 영역에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우, 이를 퇴치하기 위한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감시 영역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여부에 관한 침입 신호를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알리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제1 감시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감시영역 내에 편심되어 위치하고, 상기 메인 감시 영역과 상기 서브 감시영역의 일부는 상호 중첩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서브 감시영역의 일부는, 인접된 다른 하나의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서브 감시영역의 일부와 중첩되며, 상기 서브 감시 영역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고, 상기 서브 감시 영역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사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 감시 영역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제1 서브 감시 영역,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2 서브 감시 영역 및 제3 서브 감시영역을 각각 감시하는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 및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퇴치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감시영역들 중, 제1 서브 감시 영역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을 감시하는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의 상기 침입 신호를 알리고,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메인 통신부 및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퇴치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이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에 침입한 경우,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여부를 전달받고,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2 서브 감시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영역을 감시하는 상기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의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서브 퇴치 장치부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메인 퇴치 장치부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메인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피커부의 출력은 상기 서브 스피커부의 출력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스피커부의 최대 출력으로 상기 음향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스피커부의 출력이 시간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기 메인 스피커부 중,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을 향하는 어느 하나의 메인 스피커부에서 상기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repelling harmful wild animals, comprising: a main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capable of monitoring a main monitoring area; and a sub monitoring device interlocking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including a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capable of monitoring the main monitoring area and a sub monitoring area smaller in size than the main monitoring area; including,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 At least one of the monitoring devices performs an extermination operation to eradicate harmful wild animals when a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main monitoring area or the sub monitoring area, and when the harmful wild animals invade the sub monitoring area, the sub monitoring The device notifies the main monitoring device of an intrusion signal regarding whether the harmful wild animals have invaded,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is located eccentrically within the main monitoring area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monitoring area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The main monitoring area and a part of the sub monitoring area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sub monitoring area of one of the sub monitoring devices is adjacent to a part of the sub monitoring area of the other sub monitoring device. overlapping, the sub-monitoring area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that the sub-monitoring device faces, the sub-monitoring device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monitoring area is formed between the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It is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between the devices, wherein the sub-monitoring area continuously increas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b-monitor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includes a first sub-monitoring area and the first A first sub-monitoring device, a second sub-monitoring device, and a third monitoring the second sub-monitoring area and the third sub-monitoring are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ub-monitoring area therebetween and overlapping a part of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respectively. a sub-monitoring device, wherein one sub-monitoring device performs the sub-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extermination operation for exterminating the harmful wild animals Further comprising a sub-extermination apparatus unit for performing the sub-monitoring, when the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among the sub-monitoring areas,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is the main monitoring Notifying a device of the intrusion signal of the harmful wild animal, performing the extermination operation,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 monitoring device, and performing the extermination operation for exterminating the harmful wild animal and a main extermination device unit, wherein when the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the main monitoring device receives from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whether the harmful wild animal has invaded, and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second sub-monitoring area and the third sub-monitoring area adjacent to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and performing the extermination operation for exterminating wild animals;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transmit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harmful wild animal, and when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receive the intrusion signal, they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The sub repelling device unit of the device includes a sub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sound, the main repelling unit unit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speaker units for outputting a sound, and the output of the main speaker unit is the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sub-speaker,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outputs the sound with the maximum output of the sub-speaker, and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are configured to output the sub-speaker The sound is output to increase continuously according to this time,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outputs the sound from any one of the main speaker units facing the first sub monitor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main speaker units. .

또한,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무선 송수신 가능하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모듈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설치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상기 메인 감시 영역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는, (1)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시점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2)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지도 화면 중 기설정된 위치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며,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영역 또는 상기 서브 감시 영역에 대한 상기 침입 신호들과, 상기 침입 신호들이 축적된 침입 정보, 상기 침입 신호들에 대응한 상기 퇴치 동작들에 대한 정보가 축적된 퇴치 정보와, 상기 침입 정보 및 상기 퇴치 정보와 연동되며 해당 시점의 온도, 습도, 조도, 기상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침입 정보, 상기 퇴치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패턴 및 퇴치 패턴을 학습하는 학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학습된 상기 침입 패턴을 기초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 확률이 높은 취약 시간 또는 취약 환경에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받지 않더라도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가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어느 하나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무력화된 경우, 인접하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는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메인 퇴치 장치부;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의 상기 침입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메인 퇴치 장치부를 제어하는 메인 마이컴;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공급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무선 송수신하는 메인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는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서브 퇴치 장치부;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의 상기 침입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서브 퇴치 장치부를 제어하는 서브 마이컴;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전력을 공급하는 서브 전원공급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무선 송수신하는 서브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는, PIR 센서, IR 센서, 도플러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퇴치 장치부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사용하는 메인 발광부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메인 스피커부 및 사람이 듣지 못하는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메인 전원공급부는, 외부의 전력, 또는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부의 전력을 사용하며,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주변의 온도, 습도, 조도, CO2, 음향,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좌표를 얻을 수 있는 위치 감지 모듈;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 상기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 상기 위치 감지 모듈 및 상기 메인 마이컴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는, PIR 센서, IR 센서, 도플러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퇴치 장치부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사용하는 서브 발광부와 복수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서브 전원공급부는, 충전 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며,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주변의 온도, 습도, 조도, CO2, 음향,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 상기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 및 상기 서브 마이컴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브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태양광 및 상기 메인 발광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메인 난반사부를 포함하고, 메인 난반사부는 바람에 의하여 자유회전 또는 메인 모터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메인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메인 마이컴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태양광 및 상기 서브 발광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서브 난반사부를 포함하고, 서브 난반사부는 바람에 의하여 자유회전 또는 서브 모터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서브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서브 마이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ly,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 locatio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location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mobile device, the When the sub-monitoring device transmits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in a preset position of the main monitoring area, the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are interlocked wherein the mobile device transmits the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includes: (1) the install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in the main monitor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2) the sub-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time of transfer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device is a map screen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nd a server that outputs and is one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input by the user to a preset location among the map screen,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main monitoring device includes: The intrusion signals for the main monitoring area or the sub-monitoring area, intrus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ntrusion signals are accumulated, extermination information in which information on the extermination a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trusion signals is accumulated, the intrusion information and It is linked with the extermin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weather information at the time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is, based on the intrusion information, the extermination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harmful wild and a learning module for learning an invasion pattern and a repelling pattern of an animal, wherein the server, based on the learned intrusion pattern, a vulnerable time or vulnerability with a high probability of access of the harmful wild animal In the environment, even if the intrus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main monitoring device,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are controlled to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and the server, the oper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sub monitoring devices The state is monitored,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is incapacitated, th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adjacent main monitoring device or the sub monitoring device,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intrusion of harmful wild animals; Main extermination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wild animals; a main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main repelling device unit; a main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a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ub-monitoring device, wherein the sub-monitoring device includes: the sub-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intrusion of harmful wild animals; Sub-extermination device unit for repelling harmful wild animals; a sub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sub-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sub-extermination device unit; a sub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b monitoring device; a sub-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a sub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ain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comprises at least one sensor of a PIR sensor, an IR sensor, a Doppler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the main repulsion device unit outputs a main light emitting unit and a sound using one or more light sources a plurality of main speaker units and an ultrasonic speaker unit for outputting ultrasonic waves that humans cannot hear, and the main power supply unit uses external power or the power of a solar panel unit that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sunlight, The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module capable of detect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sound, and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obtaining coordinates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 main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the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the location detection module and the main microcomputer; and the sub-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of a PIR sensor, an IR sensor, and a Doppler, wherein the sub-extinguishing device unit includes a sub light emitting unit using one or more light sources and a sub speaker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sounds Including a unit, the sub power supply unit uses a rechargeable or replaceable battery, and the sub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detects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sound, and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sub monitoring device, , a sub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the sub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sub microcomput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main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that reflects sunlight and the light of the main light emitting unit, the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rotates freely by wind or rotates at a constant speed by the main motor unit, the mai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unit is controlled by the main microcomputer,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sub diffuse reflection unit that reflects sunlight and light from the sub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ub diffuse reflection unit rotates freely by wind or by the sub motor unit. It rotates at a constant spe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ub motor unit may be adjusted by the sub microcompu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감시 디바이스는 메인감시 디바이스의 감시영역에 편심되어 위치되어 감시영역을 가지며, 메인 감시 디바이스기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도 감지가능 하여 침입 대상을 감지 확률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monitoring device is eccentrically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has a monitoring area,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an area that the main monitoring device cannot detect,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an intrusion target. .

또한, 메임 감시 디바이스가 침입을 감지한 서브 디바이스 방향으로 퇴치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해당 서브 디바이스의 인접한 서브 디바이스도 퇴치 장치를 작동하여, 유해 야생동물 퇴치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m monitoring device may operate the repelling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sub device in which the intrusion is detected, and the sub device adjacent to the sub device may also operate the repelling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rate of extermination of harmful wild animals.

그리고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 및 학습하여, 디바이스의 고장 또는 기상약화로 침입자 감지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면, 서버에 의하여 퇴치장치가 작동되어, 악조건에서도 퇴치효과를 높일 수 있다.And, by analyzing and learning the data through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iculty in detecting an intruder due to a device failure or a weak weather, the repelling device is operated by the server, thereby increasing the repelling effect even in adverse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의 감시영역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감시 디바이스가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서브감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감시 디바이스와 서브감시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exterminating harmful wild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cope of a monitoring area of a system for exterminating harmful wild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monitoring device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bile device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a sub-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exterminating wild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interworking between a main monitoring device and a sub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s will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each embodiment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tential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or abbreviated.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의 구성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이 형성하는 감시영역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rmful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mbodiment of a monitoring area formed by the harmful wild animal exterminating system 1 of FIG. 1 .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메인 감시 다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으로 유해 야생동물을 감시하고 퇴치동작을 수행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rmful wild animals are monitored and extermina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using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상기 유해 야생동물은 포유류, 조류, 어류, 파충류, 양서류, 곤충, 거미류, 무척추동물을 포함한다.The harmful wild animals include mammals, birds, fish, reptiles, amphibians, insects, arachnids, and invertebrates.

또한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연동되며, 서버(5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연결되어 유&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In addition,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re interlocked with the mobile device 300 , and the server 500 is connected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in a wired & wireless network 400 . ) to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보다 상세히,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하나 이상의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며,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는 메인 감시영역(610)을 감시 가능한 메인 침입 감지 센서부(107)를 포함하여,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 시 침입 신호를 발생하고,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는 서브 감시영역(620)을 감시 가능한 서브 침입 감지 센서부(207)를 포함하여,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 시 상기 침입 신호를 발생한다.In more detail, the harmful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1 includes at least one main monitoring device 100 or at least on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at least one sub 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includes a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107 capable of monitoring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generating an intrusion signal when detecting the harmful animal,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capable of monitoring the sub monitoring area 620 A sub-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207 is included to generate the intrusion signal when detecting the harmful animal.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유,무선통신 가능하고 위치 감지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IT기기들을 포함하고, 서버(500)는 유&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는 학습 모듈을 포함하고,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300 includes not only smart phones and smart pads, but also IT device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displays such as laptops and computers and equipped with a location detection module, and the server 500 is a wired & wireless network 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400 , and includes a learning module for learning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and can control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의 감시영역(600)을 형성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monitoring area 600 of the harmful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서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의 감시 영역(6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area 600 of the harmful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1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은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메인 감시영역(610)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서브 감시영역(620)은 일부 메인 감시영역(610)과 상호 중첩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 ,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arrang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and the sub monitoring area 620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Some of the main monitoring areas 610 do not overlap each other.

또한, 서브 감시영역(620)은 서브 디바이스(200)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은 메인 디바이스(100)의 반대 방향을 바라본다. In addition, the sub-monitoring area 6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b-device 200 looks,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device 100 .

즉, 서브 감시영역(620)은 메인 디바이스(100)를 기준으로 메인 디바이스(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sub monitoring area 620 is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device 100 with respect to the main device 100 .

보다 상세히, 서브 감시영역(620)은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과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사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형성되며, 서브 감시영역(620)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를 기준으로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sub monitoring area 620 is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between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and the sub monitoring area 620 is based on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It includes a shape that continuously increas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

따라서, 서브 감시영역(620)과 메인 감시영역(610)을 합친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의 감시영역(600)은 메인 감시영역(610)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넓은 영역을 경제적인 비용으로 감시하고,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들어오는 외각은 중첩되게 감시함으로 감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monitoring area 600 of the harmful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in which the sub monitoring area 620 and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are combine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 That 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nitoring accuracy by monitoring a large area at an economical cost, and monitoring the outer shell where the harmful wild animals come in overlappingly.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A)는 제1 서브 감시영역을 형성하며, 인접한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C)는 제2 서브 감시영역, 제3 서브 감시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서브 감시영역과 상기 제2 서브 감시영역, 제3 서브 감시영역은 서로 이어져 형성되며, 일부는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200A forms a first sub-monitoring area, and the adjacent second sub-monitoring device 200B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200C are the second sub-monitoring area, the second sub-monitoring area. 3 Create a sub-monitoring area.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the second sub-monitoring area, and the third sub-monitoring area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ome may be formed to overlap.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A)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우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A)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신호를 알리고,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200A,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200A notifies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of the intrusion signal of the harmful wild animal, and performs the extermination operation.

또한 상기 침입 신호를 받은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은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 및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C)에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한다.In addition,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receiving the intrusion signal performs the extermination operation, and transmits the intrusion signal to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200B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200C.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 및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C)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 및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C)의 서브 스피커부(205)은 시간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출력이 커지도록 제어되며,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인 스피커부(105) 중, 제1 서브 감시 영역(200A)을 향하는 어느 하나의 메인 스피커부(105)에서 서브 스피커부(205)의 최대 출력보다 큰 출력으로 음향이 출력된다.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200B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200C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when receiving the intrusion signal from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sub-speaker unit 205 of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200B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200C is controlled to increase the output continuously over time,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speakers Among the units 105 , sound is output at an output greater than the maximum output of the sub speaker unit 205 from any one of the main speaker units 105 facing the first sub monitoring area 200A.

따라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로에 정밀하게 상기 퇴치 동작이 이루어지며,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보다 강력한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상기 퇴치 동작의 지원과, 인접한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상기 연속적으로 출력이 커지는 음향으로 상기 유해 야생동물에게 가상의 동물 또는 사람이 다가가는 것처럼 인식하게 하고, 입체적인 퇴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학습효과를 떨어뜨려, 퇴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extermination operation is precisely performed in the path where the harmful wild animals have invaded,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which is more powerful than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supports the extermination operation, and the adjacent sub monitoring device 200 With the continuously increasing sound, the harmful wild animal may be recognized as if a virtual animal or a human is approaching, and the learning effect of the harmful wild animal may be reduced due to the three-dimensional extermination action, thereby improving the extermination r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및 도 4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using the mobile device (300).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및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와 연동되며, 위치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를 설치 시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에 해당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First, referring to FIG. 3 , the mobile device 300 is interlocked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and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module, so that the main monitoring device 200 is installed when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installed. I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to the device 100.

따라서,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가 GPS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can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even if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does not include a GPS.

또한, 일 실시예로써,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 설치 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위치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와 동일하므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Also, as an embodiment, since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when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is installed,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그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 및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설치 후,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모듈(310)에 지도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지도 화면 중 기설정된 위치에 사용자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입력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00)은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에 공유한다.Then, referring to FIG. 4 , after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re installed, the mobile device 300 outputs a map screen to the display module 310, and a preset position among the map screens When the user inputs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the mobile device 300 shares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메인 감시영역(610) 내의 장소로 사용자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을 설치한 위치이다.The preset location is a location within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a location where the user installs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이로써 복잡한 과정없이 간단히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상기 설치 위치를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에 공유할 수 있으며,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를 이동시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통하여 간단하게 변경된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도,분,초 좌표, 십진수 좌표로 표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can be simply shared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without a complicated process,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changed simply through the mobile device 300 when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moved. can be changed.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in degrees, minutes, seconds coordinates, decimal coordinat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서버(500)는 컴퓨터 서버 혹은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침입 신호, 침입 정보, 퇴치 정보 및 환경 정보를 받고,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 AI알고리즘 분석 등으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패턴 및 퇴치 패턴을 학습하는 학습 모듈을 포함한다.The server 500 includes a computer server or a cloud server, receives the intrusion signal, intrusion information, extermination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erforms intrusion patterns of harmful wild animals through big data analysis, AI algorithm analysis, etc.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and a learning module for learning the repelling pattern.

즉, 상기 학습 모듈은 (1)침입 정보와 환경 정보, (2)퇴치 정보와 환경 정보, (3)침입 정보와 퇴치정보, (4)침입 정보, 퇴치정보 및 환경 정보가 결합된 접근 확률이 높은 취약 시간 또는 취약 환경 정보를 학습한다.That is, the learning module has a combination of (1) intrusion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2) eradication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3) intrusion information and eradication information, (4) intrusion information, eradication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Learn high vulnerability time or vulnerable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 침입 정보는 상기 메인 감시 영역 또는 상기 서브 감시 영역에 대한 상기 침입 신호들이 축적된 정보이고, 상기 퇴치 정보는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위치와 시간,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한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침입 신호들에 대응한 상기 퇴치 동작들에 대한 정보이다.The intrus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the intrusion signals for the main monitoring area or the sub monitoring area are accumulated, and the ex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intrusion location and time of the harmful wild animal, and the time of performing the extermination operation It is information about the repelling actions in response to the signals.

상기 빅데이터 분석은 하둡(Hadoop), 텍스트 마이닝, 군집 분석,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상기 AI알고리즘(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은 기계학습, 딥러닝을 이용할 수 있다.또한, 서버(5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침입 정보를 전달받지 않더라도, 학습된 상기 취약 시간과 상기 취약 환경에 기반하여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가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온도 범위가 섭씨 18 ~ 20도이며 맑은 기상인 환경에, 오후 11시 경 야생 동물이 자주 출몰되는 것으로 학습되면, 학습된 상기 취약 환경 및 상기 취약 시간에 해당되는 때에는, 상기 침입 신호의 전달 여부와 무관하게, 서버(5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및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가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퇴치 동작은 상기 퇴치 패턴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big data analysis includes technologies such as Hadoop, text mining, cluster analysis, and the like, and the AI algorithm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may us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In addition, the server 500, Even if the intrus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re controlled to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based on the learned vulnerable time and the vulnerable environment.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range is 18 to 20 degrees Celsius and it is learned that wild animals frequently appear around 11 pm in a clear weather environment, when it corresponds to the learned vulnerable environment and the vulnerable time, the intrusion signal is transmitt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erver 500 may control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to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and the extermination operation may be operated based on the extermination pattern.

또한, 서버(5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및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어느 하나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및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이나 전력부족, 등으로 무력화된 경우, 인접하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또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500 monitor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faulty or power When it is incapacitated due to a shortage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through the adjacent main monitoring device 100 or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또한, 무력화된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또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전송하여,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disabled main monitoring device 100 or sub monitoring device 200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300, it may be display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먼저 도 5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는 메인 마이컴(101)과, 메인 저장부(102)와, 메인 통신부(103)와, 메인 퇴치 장치부(113)와,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106)와,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107)와, 메인 전원 공급부(108)와, 메인 난반사부(109)와, 메인 위치 감지 유닛(110)과, 메인 태양광 패널(112)를 포함한다.5,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is a main microcomputer 101, a main storage unit 102, a main communication unit 103, a main combat device unit 113, and a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106 ), and a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107 , a main power supply unit 108 , a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109 , a main position detection unit 110 , and a main solar panel 112 .

메인 마이컴(101)은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107)의 상기 침입 신호를 판단하거나 서버(500)의 제어에 의하여 메인 퇴치 장치부(113)를 제어한다.The main microcomputer 101 determine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107 or controls the main repelling device unit 113 by the control of the server 500 .

메인 저장부(102)는 상기 침입 신호, 메인 퇴치 장치부(113)의 작동 시간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억장치를 포함한다.The main storage unit 102 is hardware for storing the intrusion signal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main repulsion device unit 113, and is a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rive)  and other storage devices are included.

메인 통신부(103)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서브 통신부(203), 모바일 디바이스(300) 및 서버(500)와 유&무선 네트워크(4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며, 유&무선 네크워크(400)로는 Wireless Fidelity(WIFI), Bluetooth, Low-Power Wide-Area Network(LPWAN), Local Area Network(LAN), 등을 포함한다.The main communication unit 103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using the sub communication unit 203,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 server 500 and the wired & wireless network 400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wired & wireless network ( 400) include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Low-Power   Wide-Area Network (LPWAN), Local Area Network (LAN), and the like.

메인 퇴치 장치부(113)는 메인 발광부(104), 메인 스피커부(105), 메인 초음파 스피커부(111)을 포함한다.The main repelling device unit 113 includes a main light emitting unit 104 , a main speaker unit 105 , and a main ultrasonic speaker unit 111 .

메인 발광부(104)는 LED, 스트로브광, 레이저 광을 포함한다.The main light emitting unit 104 includes an LED, a strobe light, and a laser light.

메인 스피커부(105)는 출력이 서브 스피커부(205)보다 높은 다수의 스피커로 맹수, 맹금류의 울음소리나, 차량의 기계음, 금속음 등의 여러 음향을 출력 가능하다.The main speaker unit 105 is a plurality of speakers whose output is higher than that of the sub speaker unit 205 , and can output various sounds, such as the cries of wild beasts and birds of prey, the mechanical sounds of vehicles, and metal sounds.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106)는 온도, 습도, 조도, CO2, 음향 및 기상 정보 등의 정보를 감지한다.The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106 detects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sound and weather information.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107)는 PIR 센서, IR 센서, 도플러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 시, 상기 침입 신호를 발생한다.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107 includes a PIR sensor, an IR sensor, a Dopple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and generates the intrusion signal when detecting the harmful wild animal.

메인 전원 공급부(108)는 외부의 전력인 상용 교류전류 또는 태양광 패널(112)을 이용한 발전모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퇴치 동작을 실시할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며, 태양광 패널의 전력을 사용함으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력 소비를 한다.The main power supply unit 108 may be a power generation module using a commercial AC current or a solar panel 112 as external power. Therefore, sufficient power is secured to perform the combating operation, and efficient and economical power consumption is achieved by using the power of the solar panel.

메인 난반사부(109)는 태양광 또는 메인 발광부(104)에서 출력되는 광을 난반사 시키고, 메인 난반사부(109)는 바람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메인 모터부(미도시)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메인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메인 마이컴(10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불규칙 적인 회전과, 광의 난반사를 통해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학습효과를 떨어뜨려, 퇴치율을 높일 수 있다.The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109 diffusely reflects sunlight or light output from the main light emitting unit 104, and the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109 may be rotated naturally by wind, or by a main motor unit (not shown). It rotates at a constant spe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ain motor unit may be adjusted by the main microcomputer 10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arning effect of the harmful wild animals through irregular rotation and diffuse reflection of light, thereby increasing the eradication rate.

메인 위치 감지 유닛(110)인 GPS를 포함하여,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cluding the GPS, which is the main position detection unit 110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메인 초음파 스피커부(111)는 사람의 가청 영역인 20 Hz ~ 20,000Hz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20,000Hz 보다 높은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한다.The main ultrasonic speaker unit 111 outputs sound to a region higher than 20,000 Hz, which is out of a frequency range of 20 Hz to 20,000 Hz, which is a human audible region.

메인 태양광 패널(112)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The main solar panel 112 may convert light coming from the sun into electrical energy.

그 다음, 도 6을 참고하면,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는 서브 마이컴(201)와, 서브 저장부(202)와, 서브 통신부(203)와, 서브 퇴치 장치부(213)와,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206)와,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207)와, 서브 전원공급부(208)와, 서브 난반사부(209)를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FIG. 6 ,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ncludes a sub microcomputer 201 , a sub storage unit 202 , a sub communication unit 203 , a sub eradication device unit 213 , and a sub environment sensing It includes a sensor unit 206 , a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207 , a sub power supply unit 208 , and a sub diffuse reflection unit 209 .

서브 마이컴(201)은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207)의 상기 침입 신호를 판단하거나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제어에 의하여 서브 퇴치 장치부(213)를 제어한다The sub microcomputer 201 determine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207 or controls the sub repelling device unit 213 by the control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서브 저장부(202)는 상기 침입 신호, 서브 퇴치 장치부(213)의 작동 시간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억장치를 포함한다.The sub storage unit 202 is hardware for storing the intrusion signal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sub repelling device unit 213, and include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 hard disk drive (HDD), and a solid state drive (SSD). State Drive)  and other storage devices are included.

서브 통신부(203)는 모바일 디바이스(300) 및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메인 통신부(103)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ub communication unit 203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03 of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서브 퇴치 장치부(213)는 서브 발광부(204)와 서브 스피커부(250)를 포함한다.The sub repelling device unit 213 includes a sub light emitting unit 204 and a sub speaker unit 250 .

서브 발광부(204)는 LED, 스트로브광, 레이저 광을 포함한다.The sub light emitting unit 204 includes an LED, a strobe light, and a laser light.

서브 스피커부(205)는 출력이 메인 스피커부(105)보다 낮은 하나의 스피커로 맹수, 맹금류의 울음소리나, 차량의 기계음, 금속음 등의 여러 음향을 출력 가능하다.The sub-speaker unit 205 is a single speaker whose output is lower than that of the main speaker unit 105 , and can output various sounds, such as the cry of wild beasts and birds of prey, the mechanical sound of a vehicle, and a metallic sound.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206)는 온도, 습도, 조도, CO2, 음향 및 기상 정보 등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The sub-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206 may detect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sound and weather information.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207)는 PIR 센서, IR 센서, 도플러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한다.The sub-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207 includes a PIR sensor, an IR sensor, a Doppler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서브 전원공급부(208)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또는 교체를 위해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니켈 카드뮴 배터리, 리튬 폴리머 배터리 및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한다.The sub power supply unit 208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for replacement 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includes a nickel cadmium battery, a lithium polymer battery, and a lithium ion battery.

서브 난반사부(209)는 태양광 또는 서브 발광부(204)에서 출력되는 광을 난반사 시키고, 메인 난반사부(209)는 바람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서브 모터부(미도시)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서브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서브 마이컴(10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불규칙 적인 회전과, 광의 난반사를 통해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학습효과를 떨어뜨려, 퇴치율을 높일 수 있다.The sub diffuse reflection unit 209 diffusely reflects sunlight or light output from the sub light emitting unit 204, and the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209 may be rotated naturally by wind, or by a sub motor unit (not shown). It rotates at a constant spe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ub motor unit may be adjusted by the sub microcomputer 10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arning effect of the harmful wild animals through irregular rotation and diffuse reflection of light, thereby increasing the eradication r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 방법(S1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exterminating harmful wild animals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유해 야생동물 퇴치 방법(S100)의 순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을 설치 및 연동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xterminating harmful wild animals ( S100 ),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re installed and interlocked.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는 보호하고 하는 구역에 설치된다(S101, S102).First, referring to FIG. 7 ,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re installed in the area to be protected ( S101 , S102 ).

이때,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의 메인 감시영역(6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install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이때, 메인 감시영역(610)과 서브 감시영역(620)의 일부는 상호 중첩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A)의 서브 감시영역(620A)의 일부는, 인접된 다른 하나의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 200C)의 서브 감시영역(620B, 620C)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and the sub monitoring area 620 does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sub monitoring area 620A of any one sub monitoring device 200A is adjacent to the other sub monitoring area. A portion of the sub-monitoring areas 620B and 620C of the devices 200B and 200C may overlap.

그 다음, 서브 감시영역(620)은 서브 디바이스(200)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는 메인 디바이스(100)의 반대 방향을 바라본다. Then, the sub-monitoring area 6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device 200 looks,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device 100 .

이때, 서브 감시영역(620)은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사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형성되며, 서브 감시영역(620)은 서브감시 디바이스(200)를 기준으로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 monitoring area 620 is formed in other areas except for the area between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and the sub monitoring area 620 is a sub monitoring area based on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It may have a shape that continuously increas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nitoring device 200 .

이러한, 메인 감시영역(610)과 서브 감시영역(620)을 포함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의 감시영역(600)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하나 이상의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들의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107) 및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207)가 감시한다(S103).The monitoring area 600 of the harmful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1, including the main monitoring area 610 and the sub monitoring area 620, includes at least on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one or more sub monitoring devices ( 200) of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107 and the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207 monitors (S103).

그 다음, 메인 마이컴(101) 및 서브 마이컴(201)에 의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판단하는 단계(S104)가 수행된다.Next, the step S104 of determining the approach of the harmful wild animal by the main microcomputer 101 and the sub microcomputer 201 is performed.

그 다음, 메인 퇴치 장치부(113) 및 서브 퇴치 장치부(213)에 의하여 상기 퇴치동작을 수행한다(S105).Then, the repell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main repelling device unit 113 and the sub repelling unit 213 (S105).

이때, 퇴치 단계(S105)는, 상기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한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A)가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에 상기 침입 신호를 알려,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가 상기 퇴치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t this time, in the eradication step (S105),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200A detecting the harmful wild animal notifies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of the intrusion signal,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performs the extermination operation. including the steps of

또한,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가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A)에 인접한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와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C)에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받은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 및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C)는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transmits the intrusion signal to the second sub monitoring device 200B and the third sub monitoring device 200C adjacent to the first sub monitoring device 200A, and receiving the intrusion signal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200B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200C may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이때,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B) 및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C)의 서브 스피커부(205)는 시간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출력이 커지도록 제어되며,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인 스피커부(105) 중, 제1 서브 감시영역(200A)을 향하는 어느 하나의 메인 스피커부(105)에서 서브 스피커부(205)의 최대 출력보다 큰 출력으로 음향이 출력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b-speaker unit 205 of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200B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200C is controlled to increase the output continuously over time,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speakers Among the units 105 , sound may be output at an output greater than the maximum output of the sub speaker unit 205 from any one of the main speaker units 105 facing the first sub monitoring area 200A.

또한, 서버(5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및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어느 하나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및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 중 하나가 고장이나 전력부족, 등으로 무력화된 경우, 인접하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또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500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any one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is a failure or power shortage , , and the like, the extermin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adjacent main monitoring device 100 or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그 다음,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107) 및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207)에 의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의 감시영역(600)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한다(S106).Then, by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107 and the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20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armful wild animal has deviated from the monitoring area 600 of the harmful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1 (S106) .

그 다음, 상기 침입 정보와 상기 퇴치 정보, 상기 환경 정보를 축적하여 빅데이터 분석, AI알고리즘 분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취약 조건인 상기 취약 환경 또는 상기 취약 시간을 학습한다(S107).Next, the intrusion information, the eradication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re accumulated to learn the vulnerable environment or the vulnerable time, which is the vulnerable condition, using big data analysis, AI algorithm analysis, etc. (S107).

또한, 이렇게 학습된 정보로 어느 시점의 환경 정보가, 상기 취약조건이면, 접근 감시 단계(S103)와 무관하게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9).In addition, i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t a certain point in time with the learned information is the vulnerable condition, the extermin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approach monitoring step (S103) (S109).

즉, 온도 범위가 섭씨 18 ~ 20도이며 맑은 기상인 환경에, 오후 11시 경 야생 동물이 자주 출몰되는 것으로 학습되면, 학습된 상기 취약 환경 및 상기 취약 시간에 해당되는 때에는, 서버(500)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 및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가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range is 18 to 20 degrees Celsius and it is learned that wild animals frequently appear around 11 pm in a clear weather environment, when it corresponds to the learned vulnerable environment and the vulnerable time, the server 500 is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그 다음, 유해 야생동물 접근 감시 단계(S103)로 돌아가며, 필요시 시스템을 종료한다(S108).Then, it returns to the harmful wild animal approach monitoring step (S103), and if necessary, the system is terminated (S108).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의 연동 방법(S200)이다.Next, referring to FIG. 8 , it is an interlocking method ( S200 ) of the harmful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먼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연동한다(S201)First,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mobile device 300 are interlocked (S201)

그 다음, 서브 감시 디바이스 보호하고자 하는 구역에 설치한다(S202).Then, the sub-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area to be protected (S202).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연동한다(S203).Then, the mobile device 300 is interlocked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S203).

그 다음,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상기 설치 위치를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S204).The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S204).

이때,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상기 위치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상기 위치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may be the same.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30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지도 화면 중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사용자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입력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300 outputs a map screen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nd the user sub-monitoring device 200 at the preset location of the map screen. When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mobile device may transmit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확장되고 중첩된 감시 영역(600)을 감시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을 확실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메인 감시 디바이스(100)와 서브 감시 디바이스(200)의 상기 퇴치 동작으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학습 효과를 떨어뜨리며, 장치의 고장 또는 기상약화 시에도, 서버(50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monitoring the extended and overlapped monitoring area 600 , the harmful wild animals can be reliably detected, and the extermination oper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200 . Thus, the learning effect of the harmful wild animals is reduced, and even when the device is broken or the weather is weakened, the harmful wild animals can be effectively elimin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server 500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 :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100 : 메인 감시 디바이스 101 : 메인 마이컴
102 : 메인 저장부 103 : 메인 통신부
104 : 메인 발광부 105 : 메인 스피커부
106 : 메인 환경 감지 센서 107 : 메인 침입 감지 센서
108 : 메인 전원 공급부 109 : 메인 난반사부
110 : 위치 감지 모듈 111 : 초음파 스피커부
112 : 태양광 패널 113 : 메인 퇴치 장치부
200,200A,200B,200C : 서브 감시 디바이스 201 : 서브 마이컴
202 : 서브 저장부 203 : 서브 통신부
204 : 서브 발광부 205 : 서브 스피커부
206 : 서브 환경 감지 센서부 207 : 서브 침입 감지 센서부
208 : 서브 전원 공급부 209 : 서브 난반사부
213 : 서브 퇴치 장치부
300 : 모바일 디바이스
310 : UI 디스플레이 311 : 사용자 입력
312 : 위도 313 : 경도
400 : 유&무선 네트워크 500 : 서버
600 :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의 감시영역
610 :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감시영역 620 :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감시영역
S100 : 유해 야생동물 퇴치 방법 S101 : 메인 감시 디바이스 설치 단계
S102 : 서브 감시 디바이스 설치 단계 S103 : 접근 감시 단계
S104 : 접근 판단 단계 S105 : 퇴치 단계
S106 : 퇴치 판단 단계 S107 : 퇴치정보학습 단계
S108 : 감시종료 판단 단계 S109 : 취약 조건 판단 단계
S200 :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설치 단계
S201 :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모바일 연동 단계
S202 : 서브 감시 디바이스 설치 단계
S203 : 메인 감시 디바이스 연동 단계
S204 : 서브 감시 디바이스 설치 위치 공유 단계
1: Harmful Wildlife Removal System
100: main monitoring device 101: main microcomputer
102: main storage 103: main communication unit
104: main light emitting unit 105: main speaker unit
106: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107: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108: main power supply 109: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110: position detection module 111: ultrasonic speaker unit
112: solar panel 113: main repelling device unit
200,200A,200B,200C: sub monitoring device 201: sub microcomputer
202: sub storage unit 203: sub communication unit
204: sub light emitting unit 205: sub speaker unit
206: sub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207: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208: sub power supply 209: sub diffuse reflection unit
213: sub repelling device unit
300: mobile device
310: UI display 311: user input
312: latitude 313: longitude
400: wired & wireless network 500: server
600: Surveillance area of harmful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610: monitoring area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620: monitoring area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S100: How to get rid of harmful wild animals S101: Main monitoring device installation step
S102: sub monitoring device installation step S103: access monitoring step
S104: Approach determination step S105: Elimination step
S106: Eradication judgment step S107: Eradication information learning step
S108: Monitoring end determination step S109: Vulnerabl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S200: Harmful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installation stage
S201: Sub monitoring device and mobile interworking step
S202: Sub monitoring device installation step
S203: Main monitoring device interworking step
S204: Sub monitoring device installation location sharing step

Claims (2)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감시영역을 감시 가능한 메인 침입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메인 감시영역과 상기 메인 감시 영역보다 크기가 작은 서브 감시영역을 감시 가능한 서브 침입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인 감시 영역 또는 상기 서브 감시 영역에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우, 이를 퇴치하기 위한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감시 영역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여부에 관한 침입 신호를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알리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제1 감시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감시영역 내에 편심되어 위치하고,
상기 메인 감시 영역과 상기 서브 감시영역의 일부는 상호 중첩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서브 감시영역의 일부는, 인접된 다른 하나의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서브 감시영역의 일부와 중첩되며,
상기 서브 감시 영역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고,
상기 서브 감시 영역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사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 감시 영역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제1 서브 감시 영역,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2 서브 감시 영역 및 제3 서브 감시영역을 각각 감시하는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 및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퇴치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감시영역들 중, 제1 서브 감시 영역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을 감시하는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의 상기 침입 신호를 알리고,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메인 통신부 및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퇴치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이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에 침입한 경우,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여부를 전달받고,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2 서브 감시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영역을 감시하는 상기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유해 야생 동물의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서브 퇴치 장치부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메인 퇴치 장치부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메인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피커부의 출력은 상기 서브 스피커부의 출력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스피커부의 최대 출력으로 상기 음향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서브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스피커부의 출력이 시간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기 메인 스피커부 중, 상기 제1 서브 감시 영역을 향하는 어느 하나의 메인 스피커부에서 상기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In the system for exterminating harmful wild animals,
a main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capable of monitoring the main monitoring area; and
A sub monitor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including a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capable of monitoring the main monitoring area and a sub monitoring area smaller in size than the main monitoring area;
At least one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performs an extermination operation to eradicate harmful wild animals when invading the main monitoring area or the sub monitoring area,
When the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sub-monitoring area, the sub-monitoring device notifies the main monitoring device of an intrusion signal regarding whether the harmful wild animal has invaded,
The sub monitoring device is located eccentrically in the main monitoring area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monitoring area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Some of the main monitoring area and the sub monitoring area do not overlap each other,
A part of the sub-monitoring area of one of the sub-monitoring devices overlaps a part of the sub-monitoring area of the other adjacent sub-monitoring device,
The sub-monitoring area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b-monitoring device is looking,
The sub monitoring device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The sub-monitoring area is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between the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The sub-monitoring area is continuously enlarg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b-monitor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sub-monitoring device,
The sub-monitoring device monitors a first sub-monitoring area, a second sub-monitoring area and a third sub-monitoring are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therebetween and overlapping a part of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a first sub-monitoring device, a second sub-monitoring device and a third sub-monitoring device;
The one sub-monito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ub-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a sub-extinguishing device unit for performing the extermination operation to exterminate the harmful wild animals,
When the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among the sub-monitoring areas,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monitoring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transmit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harmful wild animal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Inform, perform the repelling action,
The main monito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 monitoring device and a main extermination device unit for performing the extermination operation to exterminate the harmful wild animals,
When the harmful wild animal invades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the main monitoring device receives a notification of whether the harmful wild animal has invaded from the first sub-monitoring device, and performs the extermination operation to exterminate the harmful wild animal do,
The main monitoring device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second sub-monitoring area and the third sub-monitoring area adjacent to the first sub-monitoring area of the harmful wild animal. transmits an intrusion signal;
When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receive the intrusion signal, they perform the extermination operation,
The sub-extinguishing device of the sub-monitoring device includes a sub-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The main fighting device unit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speaker units for outputting sound,
The output of the main speaker unit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ub speaker unit,
The first sub monitoring device outputs the sound with the maximum output of the sub speaker unit,
The second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third sub-monitoring device output the sound so that the output of the sub-speaker unit continuously increases with time,
a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outputs the sound from any one of the main speaker units facing the first sub monitor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main speaker uni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무선 송수신 가능하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모듈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설치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상기 메인 감시 영역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는, (1)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시점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2)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지도 화면 중 기설정된 위치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며,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감시 영역 또는 상기 서브 감시 영역에 대한 상기 침입 신호들과, 상기 침입 신호들이 축적된 침입 정보, 상기 침입 신호들에 대응한 상기 퇴치 동작들에 대한 정보가 축적된 퇴치 정보와, 상기 침입 정보 및 상기 퇴치 정보와 연동되며 해당 시점의 온도, 습도, 조도, 기상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침입 정보, 상기 퇴치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 패턴 및 퇴치 패턴을 학습하는 학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학습된 상기 침입 패턴을 기초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 확률이 높은 취약 시간 또는 취약 환경에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침입 신호를 전달받지 않더라도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가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어느 하나의 메인 감시 디바이스 및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무력화된 경우, 인접하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퇴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는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메인 퇴치 장치부;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의 상기 침입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메인 퇴치 장치부를 제어하는 메인 마이컴;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공급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와 무선 송수신하는 메인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는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서브 퇴치 장치부;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의 상기 침입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서브 퇴치 장치부를 제어하는 서브 마이컴;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의 전력을 공급하는 서브 전원공급부;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와 무선 송수신하는 서브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는,
PIR 센서, IR 센서, 도플러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퇴치 장치부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사용하는 메인 발광부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메인 스피커부 및 사람이 듣지 못하는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메인 전원공급부는,
외부의 전력, 또는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부의 전력을 사용하며,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는,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 주변의 온도, 습도, 조도, CO2, 음향,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의 좌표를 얻을 수 있는 위치 감지 모듈;
상기 메인 침입 감지센서부, 상기 메인 환경 감지센서부, 상기 위치 감지 모듈 및 상기 메인 마이컴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는,
PIR 센서, IR 센서, 도플러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퇴치 장치부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사용하는 서브 발광부와 복수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서브 전원공급부는,
충전 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며,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는,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 주변의 온도, 습도, 조도, CO2, 음향,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서브 침입 감지센서부, 상기 서브 환경 감지센서부 및 상기 서브 마이컴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브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감시 디바이스는,
태양광 및 상기 메인 발광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메인 난반사부를 포함하고, 메인 난반사부는 바람에 의하여 자유회전 또는 메인 모터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메인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메인 마이컴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서브 감시 디바이스는,
태양광 및 상기 서브 발광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서브 난반사부를 포함하고,
서브 난반사부는 바람에 의하여 자유회전 또는 서브 모터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서브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서브 마이컴에 의해 조절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monitoring device ar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ly, and a mobile device including a locatio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location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mobile device transmits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 monitoring device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When the sub-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at a preset position in the main monitor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sub-monitoring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are interlocked, the mobile device provides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convey the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includes (1)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2) a state in which the sub-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outputs a map screen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that the user inputs to a preset location among the map screens One of the information
A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in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main monitoring device, the intrusion signals for the main monitoring area or the sub monitoring area, intrus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ntrusion signals are accumulated, and information on the extermination a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trusion signals are accumulated information, and the intrusion information and the extermin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weather information at the time to the server,
The server, based on the intrusion information, the extermination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a learning module for learning the intrusion pattern and the extermination pattern of harmful wild animals,
The server, based on the learned intrusion pattern,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even if the intrus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main monitoring device in a vulnerable time or a vulnerable environment with a high probability of access of the harmful wild animal control to perform the repelling action,
The server monitor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sub monitoring devices,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the sub monitoring device is disabled, the adjacent main monitoring device or the sub monitoring device performing the extermination operation through a monitoring device,
The main monitoring device,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intrusion of harmful wild animals;
Main extermination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wild animals;
a main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main repelling device unit;
a main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monitoring device;
a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nd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ub monitoring device,
The sub-monitoring device,
The sub-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intrusion of harmful wild animals;
Sub-extermination device unit for repelling harmful wild animals;
a sub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sub-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sub-extermination device unit;
a sub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b monitoring device;
a sub-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sub-monitoring device;
a sub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ain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IR sensor, an IR sensor, a Doppler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The main repelling device unit,
It includes a main light emitting unit using one or more light sources, a plurality of main speaker units for outputting sound, and an ultrasonic speaker unit for outputting ultrasonic waves that humans cannot hear,
The main power supply is
It uses external power or the power of the solar panel that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sunlight.
The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Detects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sound, and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main monitoring device,
a position detection module capable of obtaining the coordinates of the main monitoring device;
a main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main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the main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the location detection module and the main microcomputer; includes
The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a PIR sensor, an IR sensor, and a Doppler sensor;
The sub repelling device unit,
It includes a sub light emitting unit using one or more light sources and a sub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sounds,
The sub power supply is
Uses rechargeable or replaceable batteries;
The sub-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Sensing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sound, and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sub-monitoring device,
a sub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sub intrusion detection sensor unit, the sub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sub microcomputer;
further comprising,
The main monitoring device,
It includes a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that reflects sunlight and light of the main light emitting unit, the main diffuse reflection unit rotates freely by wind or rotates at a constant speed by the main motor unit,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ain motor unit is adjusted by the main microcomputer becomes,
The sub-monitoring device,
It includes a sub diffuse reflector that reflects sunlight and the light of the sub light emitting unit,
The sub-diffuse reflection unit rotates freely by the wind or at a constant speed by the sub-motor uni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ub-motor unit is controlled by the sub microcomputer.
KR1020190177289A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KR102356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89A KR102356544B1 (en)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89A KR102356544B1 (en)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42A true KR20210084842A (en) 2021-07-08
KR102356544B1 KR102356544B1 (en) 2022-01-28
KR102356544B9 KR102356544B9 (en) 2023-05-11

Family

ID=7689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289A KR102356544B1 (en)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5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7036A (en) * 2021-07-12 2021-10-22 杭州华橙软件技术有限公司 Human shape detection method, human shape detec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30032992A (en) 2021-08-31 2023-03-07 (주)제이지파워넷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s using Smartpho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49U (en) 1998-07-25 1998-10-26 배정식 Magpie Fighter
KR20020022229A (en) * 2000-09-19 2002-03-27 이정인 An apparatus to drive away birds by using sensors and method thereof
KR101049184B1 (en) * 2008-09-19 2011-07-14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Wild Animal Repellent
KR101251867B1 (en) * 2012-07-20 2013-04-10 이상욱 Adaptive apparatus extirpating the nocturnal animal for protecting farm products, and control terminal for adaptive apparatus extirpating the nocturnal animal
KR200481239Y1 (en) * 2016-07-14 2016-09-05 김성구 Apparatus for prevention of harmful birds and beasts
KR20170070404A (en)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에코란트 Defeating apparatus
KR20190081581A (en)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respass of harmful wild anim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49U (en) 1998-07-25 1998-10-26 배정식 Magpie Fighter
KR20020022229A (en) * 2000-09-19 2002-03-27 이정인 An apparatus to drive away birds by using sensors and method thereof
KR101049184B1 (en) * 2008-09-19 2011-07-14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Wild Animal Repellent
KR101251867B1 (en) * 2012-07-20 2013-04-10 이상욱 Adaptive apparatus extirpating the nocturnal animal for protecting farm products, and control terminal for adaptive apparatus extirpating the nocturnal animal
KR20170070404A (en)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에코란트 Defeating apparatus
KR200481239Y1 (en) * 2016-07-14 2016-09-05 김성구 Apparatus for prevention of harmful birds and beasts
KR20190081581A (en)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respass of harmful wild anim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7036A (en) * 2021-07-12 2021-10-22 杭州华橙软件技术有限公司 Human shape detection method, human shape detec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537036B (en) * 2021-07-12 2024-02-02 杭州华橙软件技术有限公司 Human shape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30032992A (en) 2021-08-31 2023-03-07 (주)제이지파워넷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s using Smart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544B9 (en) 2023-05-11
KR102356544B1 (en)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134B1 (en) Wild animals extermination system
US20180040209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unmanned alert system
US10139897B2 (en) Power-optimized image capture and push
KR101378071B1 (en) Farms and artificial fish bank anti-thief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930129B2 (en) Self-propelled monitoring device
KR101762511B1 (en) The system of exterminating harmful animals and the method of using them
KR102356544B1 (en) System for repelling wild animal
US20190246623A1 (en) Pest deterrent system
US20080272920A1 (en) Animal tracking and containment system
JP6890257B2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US20220355147A1 (en) Smart fire-extinguishing device and smart fire-extinguishing system including same
US20100013933A1 (en) Adaptive surveillance network and method
KR101717045B1 (en) Animal extirpator
KR101015982B1 (en) System for invisible electronic f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139091A1 (en) System for detecting target animals in a protected area
JP2011250745A (en) Method and system for threatening harmful animal
ES2862415T3 (en) Thermal motion detector and thermal camera
JP3187091U (en) Pest repelling device
KR101002966B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Birth and Bree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Network Clustering Device
JP2015035979A (en) Wild animal driving system
WO201806846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eventing wearable device for pet from being damaged
JP6769821B2 (en) Work site monitoring device
AU2020103515A4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of endangered animals
JP4070747B2 (en) Birds and animals approach warning system
JP3223721U (en) Destroyer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