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18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187A
KR20210084187A KR1020200018863A KR20200018863A KR20210084187A KR 20210084187 A KR20210084187 A KR 20210084187A KR 1020200018863 A KR1020200018863 A KR 1020200018863A KR 20200018863 A KR20200018863 A KR 20200018863A KR 20210084187 A KR20210084187 A KR 2021008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ousing
display device
rolls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성
나범균
성기범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86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32997A1/en
Priority to US17/133,250 priority patent/US11521521B2/en
Publication of KR2021008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롤, 제1 및 제2 롤에 감기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및 인입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된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투명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보관되어 있는 하우징이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고 하우징을 통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소형화되고 있는 반면에, 많은 수요자들은 대형 화면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펼쳐서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롤에 감아서 하우징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보관된 하우징을 화면으로써 활용하지 못하고, 하나의 롤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디자인 자유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보관되어 있는 하우징이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고 하우징을 통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롤, 상기 제1 및 제2 롤에 감기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및 인입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투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롤에 화상이 출력되는 면이 바깥을 향하도록 감길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배선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암 및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암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지지하는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의 배선은 상기 링크 부재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롤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배선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상기 투명 영역으로 출력되는 화상이 일정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조도 및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투명 영역으로 기설정된 화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및 상면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하우징이 개방되어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투명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 투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상기 벽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화상에 대응되는 색상이 상기 제2 투명 영역으로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3 및 제4 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롤에 감기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3 및 제4 롤에 감기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이 각각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투명 영역 및 제2 투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투명 영역이 확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 투명 영역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가 인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양한 위치에 구동 회로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측면', '좌측', '우측',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투명 영역(111)이 확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 디스플레이(200), 제1 롤(310) 및 제2 롤(320)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200)를 감아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이미지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플레이어, 스마트 폰(smart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안경,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 TV 박스(예를 들면, 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soncoles),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00)의 재질,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디스플레이(200)를 수용하고, 디스플레이(200)가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면(120)에 개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00)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100)의 개구부(121)를 통하여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전면(110)의 일 영역이 개방되어 형성된 투명 영역(111)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된 디스플레이(200)의 일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투명 영역(11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영역(111)은 하우징(100)의 전면(110)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111a)이 하우징(100)의 상면(120) 일부까지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또는 표시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일 단(201) 및 타 단(202)이 각각 상부 프레임(210)과 제1 롤(310)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롤(310, 320)에 화상이 출력되는 면이 바깥을 향하도록 감길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0)은 디스플레이(200)의 일 단(201)과 결합하고, 후술할 링크 부재(도9, 800)에 의해 지지되어, 디스플레이(200)가 안정적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투명 영역(111)을 통하여 노출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0)는 전 영역에 걸쳐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끝나는 지점부터 제1 롤(310)에 연결된 타 단(202)까지 화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영역은 직물 및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영역(111)의 일 단(111a)이 하우징(100)의 상면(120) 일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의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 230)으로 구획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큰 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비율의 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310, 320)은 하우징(100) 내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어 디스플레이(200)를 감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롤(310, 320)의 각 회전축(311, 312)은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20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 내부에 2개의 롤(30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롤(30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롤(310, 320)의 회전축(311, 321)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200)가 제1 롤(310)에 감겨 하우징(100) 내부로 인입되고, 제1 및 제2 롤(310, 320)의 회전축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롤(310)에 감겨있던 디스플레이(200)가 풀려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310, 320)이 하우징(100)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투명 영역(1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형성되므로, 하우징(100)의 전면을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복수의 롤러(310, 320)를 내부에 수용하므로, 하나의 롤러가 수용되는 경우보다 그 크기 및 디자인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2 투명 영역(131)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디스플레이(200)가 인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투명 영역(111)은 하우징(100)의 전면(110)에 형성되는 제1 투명 영역(111)뿐만 아니라, 후면(130)에 형성되는 제2 투명 영역(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명 영역(131)은 상술한 제1 투명 영역(111)과 마찬가지로 하우징(100)의 일 영역이 개방되어 형성되거나 유리 등과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후면(130)에 제2 투명 영역(131)이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후면(130)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40)이 제2 투명 영역(131)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에 추가적인 디스플레이(200)를 구비하지 않아도 하우징(100)의 후면(130)을 스크린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0)가 인출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우징(100) 내부에 인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1 및 제2 투명 영역(111, 131)을 통하여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 240)이 각각 노출됨에 따라, 하우징(100) 자체에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R)으로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 230)과 다른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R)에 위치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을 듣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에 위치한 사용자는 무선 이어폰, 리모컨 내 비치된 스피커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하여 제3 디스플레이 영역(240)에서 출력되는 화상에 대응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디스플레이(200)가 인출되는 경우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디스플레이(200)가 인출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자 칠판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투명 영역으로 수업 또는 회의 내용을 출력하다가, 디스플레이(200)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디스플레이(200)가 확장되어 더 넓은 면적을 전자 칠판으로써 사용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구동 회로(400), 프로세서(500), 센서(600) 및 메모리(7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 회로(400)는 프로세서(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배선(도 9, 4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0)는 집적 회로, 시스템 온 칩 또는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되어,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구동 회로(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6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R)에 위치하는 벽, 주변 조도 및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음성, 체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프로세서(5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센서(6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하여, 메모리(70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500)는 디스플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투명 영역(111)으로 출력되는 화상이 일정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600)가 인입 신호 또는 인출 신호를 감지하거나, 롤(300)의 회전 방향 또는 속도를 감지하면, 프로세서(500)는 투명 영역(111)으로 출력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2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여, 투명 영역(111)으로 출력되는 화상이 계속 같은 위치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인입 또는 인출되더라도 시선을 유지한 채로 투명 영역(111)을 통하여 출력되는 일정한 화상을 계속 시청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투명 영역(111)을 통하여 날씨, 시간, 뉴스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600)가 사용자의 얼굴, 홍채 또는 지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프로세서(500)는 센서(600)가 감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모리(7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투명 영역(111)을 통해 사용자에 따른 맞춤형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케줄, 추천 뉴스, 음악 또는 영상 등)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6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조도 및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프로세서(500)는 센서(60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투명 영역(111)으로 기 설정된 화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1 또는 제2 투명 영역(111, 131) 중 한 영역으로 사용자를 향하도록 화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센서(600)가 감지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조도가 낮은 경우, 프로세서(5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1 또는 제2 투명 영역(111, 131) 중 한 영역으로 사용자를 향하도록 조명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00)는 뛰어난 장식성과 미려한 심미감을 갖는 무드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센서(6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R)에 위치하는 벽을 감지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센서(600)가 벽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200)의 전방(F)으로 출력되는 화상에 대응되는 색상이 제2 투명 영역(131)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0)는 전방(F)으로 출력되는 일 픽셀의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상술한 일 픽셀과 근접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일 픽셀이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40)이 후방으로 출력한 색상은 벽에 반사되어, 전방(F)에 위치한 사용자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200)를 구비하지 않고도, 전방(F)으로 출력되는 화상의 입체감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화면이 커 보이는 효과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다양한 위치에 구동 회로(40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배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 회로(400)가 제1 롤 및 제2 롤(310, 3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격 배치된 롤(300) 사이의 공간에 구동 회로(400)를 배치하여 활용함에 따라, 보다 컴팩트한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구동 회로(400)는 디스플레이(200)의 타 단(202)과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되어, 디스플레이(200)로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가 최대로 인출될 때, 디스플레이(200)의 타 단(202)이 제1 롤(310)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 지에 따라, 구동 회로(400)와 디스플레이(200)를 연결하는 배선의 길이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회로(400)가 하우징(100) 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구동 회로(4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00) 내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 내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구동 회로(400)는 디스플레이(200)의 일 단(201)과 배선(41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회로(4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됨에 따라, 배선(410)이 롤(300)의 회전과 관계 없이 배치되어 구동 회로(400)와 디스플레이(200)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200)는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 회로(40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00)의 상부 프레임(210)은 링크 부재(8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링크 부재(800)는 제1 암(810), 제2 암(820) 및 힌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810)은 일 단(미도시)이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 암(820)은 일 단(821)이 힌지(830)를 통하여 제1 암(8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 단(822)이 디스플레이(200)의 일 단(20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300)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200)가 인출되는 경우, 제1 암(810)은 하우징(100)과 연결된 일 단을 중심으로 제1 방향(도 9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암(820)은 제1 암(810)과 연결된 일 단(821)을 중심으로 제2 방향(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 부재(800)는 디스플레이(200)가 인출되는 동안 상승하는 상부 프레임(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디스플레이(200)가 최대로 인출되는 경우, 하우징(100)과 상부 프레임(210) 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부재(800)는 디스플레이(200) 후면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부 프레임(210)의 양 가장자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하우징(100) 내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400)의 배선(410)은 링크 부재(800)를 따라서 디스플레이(200)의 일 단(20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410)을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배선(410)이 링크 부재(800)를 따라 부착되어 배치됨에 따라, 구동 회로(400)와 디스플레이(200)의 일 단(201)이 보다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00a, 200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롤(310, 320, 330, 340)과 제1 및 제2 롤(310, 320)에 감기는 제1 디스플레이(200a) 및 제3 및 제4 롤(330, 340)에 감기는 제2 디스플레이(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 및/또는 구조와 중복되는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00a, 200b)는 각각 제1 및 제2 개구부(121a, 121b)를 통하여 하우징(100)에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00a, 200b)의 일 영역이 각각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투명 영역(111) 및 제2 투명 영역(1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2 디스플레이(200b)를 추가로 구비함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00a, 200b)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a, 220b)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0a, 230b)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 다양한 크기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R)에 위치한 사용자도 넓은 크기의 제2 디스플레이(200b)를 시청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삼각 기둥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내지 제6 롤(미도시)과 제1 및 제2 롤에 감기는 제1 디스플레이(200a), 제3 및 제4 롤에 감기는 제2 디스플레이(200b), 제5 및 제6 롤에 감기는 제3 디스플레이(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200a, 200b, 200c)는 각각 제1 내지 제3 개구부(미도시)를 통하여 하우징(100)에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200a, 200b, 200c)의 일 영역이 각각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투명 영역(111, 131, 15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3 디스플레이(200c)를 추가로 구비함에 따라,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200a, 200b, 200c)의 인출된 영역과 투명 영역을 통하여 노출된 영역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 다양한 크기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배치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200a, 200b, 200c)가 화상을 출력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를 둘러싸고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사각지대 없이 디스플레이(200)가 출력하는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하우징(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200) 및 롤(300)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하우징(100)의 형상은 사각, 오각, 육각 기둥 등으로 확장되어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디스플레이 장치 100:하우징
200:디스플레이 300:롤
400:구동 회로 500:프로세서
600:센서 700:메모리
800:링크 부재

Claims (13)

  1.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롤;
    상기 제1 및 제2 롤에 감기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및 인입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롤에 화상이 출력되는 면이 바깥을 향하도록 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배선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단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암 및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암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지지하는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의 배선은 상기 링크 부재를 따라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롤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배선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단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상기 투명 영역으로 출력되는 화상이 일정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조도 및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투명 영역으로 기설정된 화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및 상면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하우징이 개방되어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투명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상기 벽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화상에 대응되는 색상이 상기 제2 투명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3 및 제4 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롤에 감기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3 및 제4 롤에 감기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이 각각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투명 영역 및 제2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18863A 2019-12-27 2020-02-17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4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8662 WO2021132997A1 (en) 2019-12-27 2020-12-18 Display apparatus
US17/133,250 US11521521B2 (en) 2019-12-27 2020-12-2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54250P 2019-12-27 2019-12-27
US62/954,250 2019-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187A true KR20210084187A (ko) 2021-07-07

Family

ID=7686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863A KR20210084187A (ko) 2019-12-27 2020-02-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41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1521B2 (en) Display apparatus
US1197741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having expandable display area
KR102470945B1 (ko) 이동 단말기
KR102118381B1 (ko) 이동 단말기
CN203721163U (zh) 柔性显示装置
CN107528945B (zh) 一种移动终端
US20130234951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34236A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동작 방법
TW201610649A (zh) 具可延展螢幕之通訊裝置
KR20170089664A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50270A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993569B1 (e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bended display unit and cover for executing application
US201903424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over
US20200220965A1 (en) Mobile device cover for use with a host mobile device
US20170060346A1 (en) Display apparatus and input method of display apparatus
US11576270B2 (en) Display apparatus
KR102158297B1 (ko) 스위블 회전 및 틸트 각도 조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스마트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2100841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3427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over
TW200907882A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102606120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JP201621832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26679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30885B (zh) 显示装置及显示方法
KR200432427Y1 (ko)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광고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