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03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039A
KR20210084039A KR1020190176932A KR20190176932A KR20210084039A KR 20210084039 A KR20210084039 A KR 20210084039A KR 1020190176932 A KR1020190176932 A KR 1020190176932A KR 20190176932 A KR20190176932 A KR 20190176932A KR 20210084039 A KR20210084039 A KR 2021008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device
functional
antenna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이준석
하도혁
이정엽
허진수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4039A/ko
Priority to PCT/KR2020/017290 priority patent/WO2021132916A1/en
Priority to EP20905614.2A priority patent/EP4049437A4/en
Priority to CN202080090735.1A priority patent/CN114902640A/zh
Priority to US17/108,157 priority patent/US11677138B2/en
Publication of KR2021008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039A/ko
Priority to US18/208,349 priority patent/US120095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4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horn or slot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45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provided with means for varying the pola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내장된 초고주파 대역의 빔을 방사하는 안테나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영역에 대응하는 개방된 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 상의 윈도우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 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Cover device for optimal beam implementation of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단일 대역 또는 다중 대역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전파 환경에 민감하여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구현 시 커버의 소재부터 두께까지 다양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현재 초고주파 대역용 커버(Cover)는 동일 외형을 가지더라도 커버 적용 소재의 유전율과 유전 손실에 민감하므로,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커버의 소재 및 두께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즉, 현재 초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는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구현 시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커버의 소재 또는 두께가 달라질 수 있는 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소재 또는 두께를 가지는 커버 금형을 각각 제작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공통의 금형으로 제작한 커버 프레임에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 별로 유연하게 최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다층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강도 (strength),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단일 안테나 또는 복수 안테나 빔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내장된 초고주파 대역의 빔을 방사하는 안테나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영역에 대응하는 개방된 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 상의 윈도우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내장된 초고주파 대역의 빔을 방사하는 안테나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영역에 대응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 상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의 빔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다층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강도 (strength),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구조물을 포함함으로써,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를 가질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주파수 대역 별로 최적의 소재 또는 두께를 가지도록 별도의 금형으로 커버 장치를 구현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커버 프레임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동일 외형을 가지는 기지국 구현 시 주파수 대역 별로 최적의 소재 또는 두께를 가지는 안테나 커버 장치의 금형 신규 제작 없이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의 빔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고주파 대역용 기지국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안테나 커버 장치의 소재 또는 두께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면 조립형 커버 프레임의 조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층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돌출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판넬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를 포함하는 판넬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일부 윈도우 영역(제1 윈도우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전면 윈도우 영역(제2 윈도우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측면 윈도우 영역(제3 윈도우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일부 영역(제1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전면 영역(제2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측면 영역(제3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안테나 이득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초고주파 대역용 기지국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00)는 기지국 내부에 초고주파 대역의 빔을 방사하는 안테나 장치(110) 및 안테나 장치(1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안테나 커버 장치의 소재 또는 두께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전파 환경에 민감하여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구현 시 커버의 소재부터 두께까지 다양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기지국 구현 시 초고주파 대역용 커버(Cover) 장치는 동일 외형을 가지더라도 커버 적용 소재의 유전율과 유전 손실에 민감하므로, 안테나의 대역에 따라 커버 장치의 소재 또는 두께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즉, 현재 초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는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구현 시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커버 장치의 소재 또는 두께가 달라질 수 있는 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소재 또는 두께를 가지는 커버 금형을 각각 제작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안테나 커버 장치의 최적의 두께 및 소재의 특성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커버 장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빔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소재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d)를 가지는 커버 장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빔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소재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이 28 GHz 인 경우, 커버 장치(200)의 최적의 소재의 특성은 빔의 주파수 대역이 39 GHz 인 경우의 커버 장치(200)의 소재의 특성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소재의 특성은 강도,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최적의 커버 장치의 소재의 특성은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도출된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지, 상기 소재의 특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소재의 특성을 가지는 커버 장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빔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이 28 GHz 인 경우, 커버 장치(200)의 최적의 두께(d1)는 3.5mm 일 수 있고, 빔의 주파수 대역이 39 GHz 인 경우, 동일한 소재의 특성을 가지는 커버 장치(200)의 최적의 두께(d2)는 2.5mm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최적의 커버 장치의 두께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도출된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지, 상기 두께의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주파수 대역 별로 최적의 소재에 대응되는 최적의 두께를 가지는 커버 장치의 금형을 각각 제작하여 주파수 대역 별 초고주파 대역용 커버 장치를 생산할 수 밖에 없었다.
예를 들면, 커버 장치의 소재가 동일한 소재일 때, 3.5mm 의 두께를 가지는 28 GHz 용 레이돔 금형, 2.5mm 의 두께를 가지는 39 GHz 용 레이돔 금형 등을 각각 제작할 필요성이 있었다.
한편,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장치(200)의 중심부의 두께(210)와 측면부의 두께(220)는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300)은 개방된 윈도우 영역(3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영역(310)은 기지국 장치 내의 안테나의 방사 영역과 대응되는 것으로,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의 위치 및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영역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단 일부, 하단 일부, 전면부,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6 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300)에 위치한 개방된 윈도우 영역(3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320)을 위치하도록 하여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의 특성을 가지는 커버 장치(330)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 구조물(320)은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이 28 GHz 또는 39 GHz 인 경우에도 도 21a 내지 도 2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빔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하나의 커버 프레임에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의 특성을 가지는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게 하여, 동일 외형을 가지는 기지국 구현 시 주파수 대역별 커버 장치의 일원화 또는 공용화가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윈도우 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커버 프레임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에 포함된 윈도우 영역은 기지국 장치 내의 안테나의 방사 영역과 대응되는 것으로,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의 위치 및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상단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400a)은 상단에 윈도우 영역(410a)이 개방되어 있다. 기지국 장치의 하단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하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400b)은 하단에 윈도우 영역(410b)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의 전면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400c)은 전면에 윈도우 영역(410c)이 개방되어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전면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전면 조립형의 커버 프레임(500a)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측면부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커버 프레임(500b)의 측면에 개방된 윈도우 영역(510b)이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면 조립형 커버 프레임의 조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조립형의 커버 프레임(600)은 어셈블리 컨셉(Assembly concept)으로 그 자체로 커버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조립형의 커버 프레임(600)은 판넬(610), 제1 결합부(620, 630) 및 제2 결합부(6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넬(610)은 기능 구조물과 같은 구조로써 주기적 패턴을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는 도 7 내지 8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620, 630)은 상기 판넬의 측면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부(640)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된 상기 판넬과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다층형태로 구현한 적층형 구조일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구조물(7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710, 730, 740, 750, 760, 770, 7810, 790)은 열가소성 소재, 열경화성 소재, 또는 무기(Inorganic)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은 단일 소재 또는 복합성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700)의 각 층인 기능층은 필름(Film) 형태, 폼(Foam) 형태, 두께가 있는 형태, 코팅(Coating) 기법, 인쇄 기법, 에칭 기법 등의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 구조물(7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인쇄, 증착, 또는 에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술방식을 이용하여 다층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적층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710, 730, 740, 750, 760, 770, 7810, 790)은 각 층별로 다양한 강도,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각 층별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강도,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320)은 다양한 강도,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의 특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다층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강도 (strength),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기능 구조물은 본 발명의 커버 프레임 내에 윈도우 영역에 접합, 접착, 체결, 융착, 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층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안테나 성능 최적화를 위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에 포함된 기능층은 도 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 엣지(round edge)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circle)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 또는 도 8(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일 수 있다. 상술한 주기 구조는 일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에 포함된 기능층은 다양한 소재 가공 기술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성형(extrusion),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 압출 블로우 성형(extrusion blow molding), 중공 성형(blow molding), 발포 성형(forming expansion molding), 압출 적층(extrusion laminating), 적층 성형(laminating molding), 주형(casting), 진공 성형(vacuum forming), 프레스(press), 회전 성형(rotational molding), 압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9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910,920,930,940,950,960)을 다층형태로 구현한 적층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910,920,930,940,950,960)의 각 층은 안테나 성능 최적화를 위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에 포함된 기능층은 라운드 엣지(round edge)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 구형(circle)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 수직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 또는 수평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패턴은 본 명세서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층형태의 기능 구조물(900)의 적층 패턴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 (910,920,930,940,950,960)은 비주기적 적층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돌출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구조물은 상단(1000) 및 하단(1010)이 서로 상이한 외부 돌출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돌출형 구조를 가진 기능 구조물도 내부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1020,1021,1023,1025,1027,1029)을 다층형태로 구현한 적층형 구조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판넬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구조물(1100)은 판넬(1110)와 판넬의 개방된 측면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재(1121, 1123)으로 구성된 조립형 판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형 판넬 구조를 가진 기능 구조물도 내부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1120,1121,1123,1125,1127,1129)을 다층형태로 구현한 적층형 구조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를 포함하는 판넬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구조물(1200)은 측면부를 포함하는 판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 구조를 가진 기능 구조물도 내부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1210,1211,1213,1215,1217,1219)을 다층형태로 구현한 적층형 구조일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일부 윈도우 영역(제1 윈도우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은 윈도우 구현 영역에 따라 상단에 윈도우 영역이 개방된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300a) 또는 하단에 윈도우 영역이 개방된 하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300b)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a에서 도시된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윈도우 영역에 도 13b에 도시된 다양한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커버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은 본 발명의 커버 프레임 내에 윈도우 영역에 접합, 접착, 체결, 융착, 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a에서 도시된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300a)의 윈도우 영역에 도 13b에 도시된 외부 돌출형 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301a)를 위치하면, 외부가 돌출된 상단 안테나용 커버 장치(1310a)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a에서 도시된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300a)의 윈도우 영역에 도 13b에 도시된 적층형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303a) 또는 조립형 판넬 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305a)를 위치하면, 외부가 돌출되지 않은 상단 안테나용 커버 장치(1320a)가 완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3a에서 도시된 하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300b)의 윈도우 영역에 도 13b에 도시된 외부 돌출형 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301b)를 위치하면, 외부가 돌출된 하단 안테나용 커버 장치(1310b)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a에서 도시된 하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300b)의 윈도우 영역에 도 13b에 도시된 적층형 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303b) 또는 조립형 판넬 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305b)를 위치하면, 외부가 돌출되지 않은 하단 안테나용 커버 장치(1320b)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전면 윈도우 영역(제2 윈도우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은 윈도우 구현 영역에 따라 전면에 윈도우 영역이 개방된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400a) 또는 전면 안테나용 조립형의 커버 프레임(1400b)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a에서 도시된 전면 안테나용 조립형의 커버 프레임(1400b)은 어셈블리 컨셉(Assembly concept)으로 그 자체로 전면 안테나용 커버 장치(1430)가 될 수 있다.
도 14a에서 도시된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400a)의 개방된 윈도우 영역에 도 14b에 도시된 다양한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커버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기능 구조물은 본 발명의 커버 프레임 내에 윈도우 영역에 접합, 접착, 체결, 융착, 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a에서 도시된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400a)의 윈도우 영역에 도 14b에 도시된 외부 돌출형 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401)를 위치하면, 외부가 돌출된 전면 안테나용 커버 장치(1410)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a에서 도시된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400a)의 윈도우 영역에 도 14b에 도시된 적층형 구조를 가지는 기능 구조물(1403)을 위치하면, 외부가 돌출되지 않은 전면 안테나용 커버 장치(1420)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측면 윈도우 영역(제3 윈도우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측면부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측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500)의 측면에 개방된 윈도우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5에서 도시된 측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100)의 윈도우 영역에 도 15에 도시된 측면부 포함 판넬 구조를 가지는 커버 기능 구조물(1510)을 측면 슬라이드로 결합하면, 측면 안테나용 커버 장치(1520)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1600)은 소정의 두께(d0)를 가질 수 있다.
도 16 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1600)은 기지국 장치의 상단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에 사용되는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600)일 수 있다.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정의 두께(d0)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16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1610)을 추가하도록 하여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의 특성을 가지는 커버 장치(1620)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두께(d0)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커버의 두께일 수 있는데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1600)의 두께(d0)는 5G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가장 얇은 두께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 내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소정의 두께 d0를 가지는 다양한 구조의 커버 프레임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의 두께가 d0 인 영역은 기지국 장치 내의 안테나의 방사 영역과 대응되는 것으로,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의 위치 및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상단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700a)은 상단 영역(1710a)의 두께가 d0 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의 전면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700b)은 전면 영역(1710b)의 두께가 d0 일 수 있고, 기지국 장치의 측면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에는 측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700c)은 측면 영역(1710c)의 두께가 d0 일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일부 영역(제1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상단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800a)은 상단 영역의 두께가 d0 일 수 있고, 기지국 장치의 하단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하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800b)은 하단 영역의 두께가 d0 일 수 있다.
한편, 두께(d0)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커버의 두께일 수 있는데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예를 들면, 두께(d0)는 5G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가장 얇은 두께일 수 있다.
도 18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1801a, 1801b)은 상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800a)의 상단 영역 또는 하단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800b)의 하단 영역에 추가되어, 안테나의 방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단 영역 또는 하단 영역이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를 가지는 상단 안테나용 커버 장치(1810a) 또는 하단 안테나용 커버 장치(1810b)를 완성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전면 영역(제2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전면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900)은 전면 영역의 두께가 d0 일 수 있다.
한편, 두께(d0)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커버의 두께일 수 있는데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d0)는 5G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가장 얇은 두께일 수 있다.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1910)은 전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1900)의 전면 영역에 추가되어, 안테나의 방사 영역에 대응되는 전면 영역이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를 가지는 전면 안테나용 커버 장치(1920)을 완성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 내의 측면 영역(제3 영역)에 기능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의 측면에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 경우 측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2000)은 측면 영역의 두께가 d0 일 수 있다.
한편, 두께(d0)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화된 커버의 두께일 수 있는데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d0)는 5G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가장 얇은 두께일 수 있다.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2010)은 측면 안테나용 커버 프레임(2000)의 측면 영역에 추가되어, 안테나의 방사 영역에 대응되는 측면 영역이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소재를 가지는 측면 안테나용 커버 장치(2020)를 완성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안테나 이득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그래프의 X축은 180도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빔 각도를 의미하고, Y축은 기지국 송신 전력 대비 단말의 수신 전력을 나타내는 안테나 이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의 그래프에는 틸트 빔의 다양한 인덱스에 따른 결과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1a는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이 28 GHz 인 경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측정된 안테나의 이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b는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이 39 GHz 인 경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측정된 안테나의 이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빔의 주파수 대역이 28 GHz 인 경우에는 도 2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우측의 안테나 이득이 균일함을 알 수 있고, 빔의 주파수 대역이 39 GHz 인 경우에는 도 2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좌측의 안테나 이득이 균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는 기지국 장치에 내장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빔의 주파수 대역이 28 GHz 또는 39 GHz 인 경우에도 도 21a 내지 도 2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빔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하나의 커버 프레임에 다양한 소재의 특성을 가진 기능 구조물을 위치하게 하여, 동일 외형을 가지는 기지국 구현 시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커버 장치의 일원화 또는 공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단일 또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커버 장치의 일원화 또는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다중 대역 일체형 안테나 구현 시 다중 대역 빔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테나 성능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300: 커버 프레임 310: 기능 구조물 330: 커버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내장된 초고주파 대역의 빔을 방사하는 안테나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영역에 대응하는 개방된 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 상의 윈도우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영역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단 일부, 하단 일부, 전면부,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다층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강도 (strength),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각 층별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강도,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열가소성 소재, 열경화성 소재, 또는 무기(Inorganic)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인쇄, 증착, 또는 에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패턴을 가지는 기능층은 라운드 엣지(round edge) 주기 구조, 구형(circle) 주기 구조, 수직 주기 구조 또는 수평 주기 구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압출 성형(extrusion),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 압출 블로우 성형(extrusion blow molding), 중공 성형(blow molding), 발포 성형(forming expansion molding), 압출 적층(extrusion laminating), 적층 성형(laminating molding), 주형(casting), 진공 성형(vacuum forming), 프레스(press), 회전 성형(rotational molding), 압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 기술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구조물은 상기 커버 프레임 내에 상기 윈도우 영역에 접합, 접착, 체결, 융착, 또는 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위치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1. 전자 장치에 내장된 초고주파 대역의 빔을 방사하는 안테나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영역에 대응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 상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의 기능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단 일부, 하단 일부, 전면부,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다층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강도 (strength),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각 층별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강도, 유전율, 투자율,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열가소성 소재, 열경화성 소재, 또는 무기(Inorganic)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인쇄, 증착, 또는 에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패턴을 가지는 기능층은 라운드 엣지(round edge) 주기 구조, 구형(circle) 주기 구조, 수직 주기 구조 또는 수평 주기 구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기 구조를 가지는 평판 보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은 압출 성형(extrusion),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 압출 블로우 성형(extrusion blow molding), 중공 성형(blow molding), 발포 성형(forming expansion molding), 압출 적층(extrusion laminating), 적층 성형(laminating molding), 주형(casting), 진공 성형(vacuum forming), 프레스(press), 회전 성형(rotational molding), 압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 기술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구조물은 상기 커버 프레임 내에 상기 윈도우 영역에 접합, 접착, 체결, 융착, 또는 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위치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

KR1020190176932A 2019-12-27 2019-12-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 KR20210084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32A KR20210084039A (ko) 2019-12-27 2019-12-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
PCT/KR2020/017290 WO2021132916A1 (en) 2019-12-27 2020-11-30 Cover device for optimal beam implementation of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905614.2A EP4049437A4 (en) 2019-12-27 2020-11-30 COVER DEVICE FOR IMPLEMENTING AN OPTIMAL ANTENNA BEA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080090735.1A CN114902640A (zh) 2019-12-27 2020-11-30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天线的最佳波束实现的罩器件
US17/108,157 US11677138B2 (en) 2019-12-27 2020-12-01 Cover device for optimal beam implementation of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208,349 US12009579B2 (en) 2019-12-27 2023-06-12 Cover device for optimal beam implementation of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32A KR20210084039A (ko) 2019-12-27 2019-12-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39A true KR20210084039A (ko) 2021-07-07

Family

ID=7654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932A KR20210084039A (ko) 2019-12-27 2019-12-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77138B2 (ko)
EP (1) EP4049437A4 (ko)
KR (1) KR20210084039A (ko)
CN (1) CN114902640A (ko)
WO (1) WO20211329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000A (en) * 1992-04-03 1994-07-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oherent optical monolithic phased-array antenna steering system
JPH07221527A (ja) 1994-01-28 1995-08-18 Alpine Electron Inc アンテナ装置
JP3589137B2 (ja) * 2000-01-31 2004-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周波通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676568Y (zh) * 2003-12-24 2005-02-02 同济大学 用贴片电感器电容器构成的微波人工带隙材料
CN101978490B (zh) * 2008-03-31 2012-10-1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元器件组件及该电子元器件组件的制造方法
KR101041852B1 (ko) 2010-09-09 2011-06-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안테나 시스템의 레이돔 및 그 제조 방법
CN102723597B (zh) * 2012-05-30 2015-02-04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超材料天线罩及天线系统
US9300036B2 (en) 2013-06-07 2016-03-29 Apple Inc. Radio-frequency transparent window
US20160254589A1 (en) 2013-07-17 2016-09-01 AQ Corpo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and smartphone having same antenna
KR101339020B1 (ko) * 2013-07-17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WO2015061766A1 (en) * 2013-10-25 2015-04-30 Livescribe Inc. Antenna assembly for an electronic pen
US9712203B2 (en) * 2015-05-29 2017-07-18 Tech 21 Licensing Limited Radio frequency properties of a case for a communications device
KR101887891B1 (ko) * 2016-02-17 2018-08-13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백커버 일체형 안테나모듈
US10224620B2 (en) * 2017-05-19 2019-03-05 Kymeta Corporation Antenna having radio frequency liquid crystal (RFLC) mixtures with high RF tuning, broad thermal operating ranges, and low viscosity
JP7159049B2 (ja) * 2016-09-08 2022-10-24 Nok株式会社 ミリ波レーダー用カバー
KR102612537B1 (ko) * 2016-12-30 2023-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용 빔 형성 보조부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KR20180081317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증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또는 기지국
KR102307730B1 (ko) * 2017-04-10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하우징에 포함된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72868B2 (en) * 2017-10-25 2020-12-22 Sj Semiconductor (Jiangyin) Corporation Fan-out antenna packaging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491506B1 (ko) * 2017-11-28 202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9298341U (zh) * 2019-03-18 2019-08-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3062A1 (en) 2021-07-01
US20230361451A1 (en) 2023-11-09
EP4049437A1 (en) 2022-08-31
US11677138B2 (en) 2023-06-13
EP4049437A4 (en) 2022-12-28
WO2021132916A1 (en) 2021-07-01
CN114902640A (zh)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2537B1 (ko) 안테나용 빔 형성 보조부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US11296430B2 (en) Antenna module including plurality of radiators, and base station including the antenna module
US11322818B2 (en) Antenna assembly comprising lens and film layer
US11223134B2 (en) Antenna module including dielectric materi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module
US11322854B2 (en) Antenna module comprising reflect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120543A (ko)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및 상기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EP3713016A1 (en) Antenna module comprising dielectric and base station comprising same
KR202100840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최적 빔 구현을 위한 커버 장치
US12009579B2 (en) Cover device for optimal beam implementation of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05839B2 (en) Beamforming antenna assembly including patterned mirror and vehicle side mirr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200101814A (ko)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및 상기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030388A1 (en) Cover apparatus for optimal beam implementation for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86594B1 (ko) 렌즈 및 필름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조립체
KR102511692B1 (ko) 필터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US20230102990A1 (en) Antenna module comprising feeding unit pattern and base station comprising same
US20230040927A1 (en) Antenna device including radome and base station including antenna device
KR102287491B1 (ko) 전파의 흡수와 전송이 가능한 메타평면을 포함하는 안테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