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249A - 사이드링크의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의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249A
KR20210082249A KR1020217016598A KR20217016598A KR20210082249A KR 20210082249 A KR20210082249 A KR 20210082249A KR 1020217016598 A KR1020217016598 A KR 1020217016598A KR 20217016598 A KR20217016598 A KR 20217016598A KR 20210082249 A KR20210082249 A KR 20210082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link
terminal
access control
control parameter
establishmen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 정
쯔차오 지
샤오둥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2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의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
본 발명은 통신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종의 사이드링크의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청구의 교차 인용>
본 청구는 2018년 11월 1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번호 No. 201811297562.1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청구에 포함되었다.
미래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은 릴리즈-12에서부터 사이드링크(Sidelink)를 지원하여 단말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간에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LTE 사이드링크의 설계는 특정된 공공안전 서비스(화재현장 또는 지진 등 재해 현장에서의 비상 통신) 또는 차량사물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 등에 적용된다. 차량사물통신에는 기본안전류 통신, 고급(무인) 운전, 편대, 센서 확장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서비스가 포함된다. LTE 사이드링크는 브로드캐스트 통신만 지원하기에 주로 기본안전류 통신에 사용되며, 시간지연 및 신뢰성 방면에서 엄격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QoS)이 요구되는 고급 V2X 서비스는 엔알(New Radio, NR) 사이드링크를 통해 지원하게 된다.
5세대 이동통신(5-th Generation, 5G) NR 시스템은 LTE가 지원하지 못하는 6GHz 이상의 주파수 구간에 적용 가능하고, 더욱 큰 대역폭을 지원하지만 현재 릴리즈의 NR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인터페이스만 지원할 뿐, 아직 단말과 단말 간에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는 지원하지 못한다.
NR 사이드링크는 유니캐스트(unicast), 그룹캐스트(groupcas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등 여러 가지 전송 타입(transmission type)을 지원하게 되며,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 모드에서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도 지원하게 된다.
이외에, NR 사이드링크는 또 여러 가지 자원 할당 모드도 지원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스케줄링 모드(mode 1이라고도 지칭함),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 또는 단말이 다른 단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mode 2라고도 지칭함) 등이 있다.
NR V2X 고밀도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는 것을 고려하여 mode 1 및 mode 2의 단말에 대하여 접근 제어를 수행하여 혼잡을 피해야 한다. 특히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 서비스에 대하여, 송신측 단말이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수신측 단말과 P2P 연결을 확립하고 유지함에 있어서 대량의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을 점유해야 되기에 혼잡이 더욱 쉽게 발생한다. 기존의 연구 중에는 mode 1 또는 mode 2 하의 단말에 대하여 접근 제어를 수행하여 혼잡을 피하는 솔루션이 아직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 중 단말의 사이드링크 접근 혼잡을 해결하는 솔루션이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1 단말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2 단말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하거나 네트워크측 장치가 미리 구성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의 연결 동작을 확정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단말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 모듈;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네트워크측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제1 파라미터 송신 모듈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2 단말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파라미터 송신 모듈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하거나 네트워크측 장치가 미리 구성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수신 모듈;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의 연결 동작을 확정하는 처리 모듈; 이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네트워크측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3 파라미터 송신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네트워크측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며,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창조적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런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흐름도 4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흐름도 5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설명도 1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조 설명도 1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설명도 2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설명도 3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조 설명도 2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설명도 4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이하에 개시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가 창조성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취득한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이하에 개시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가 창조성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취득한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는 예, 예증 또는 설명으로서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를 들면”으로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명확하게 말하자면, “예시적”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는 관련 개념을 구체적인 방식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아래는 첨부된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 또는 진화된 미래 장기 진화(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후속 진화 통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네트워크측 장치 10과 단말(단말은 사용자측 단말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음)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을 UE11로 기재하고, UE11은 네트워크측 장치 10과 연결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각 장치 간의 연결은 무선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도 1에서는 각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지적해야 할 것은,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복수 개의 UE가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 장치는 복수 개의 UE와 통신(시그널링 전송 또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10은 기지국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기지국은 통상의 기지국이 될 수 있고,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ase station, eNB)이 될 수도 있으며, 5G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측 장치(예를 들면, 차세대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 gNB)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TRP)) 또는 셀(Cell) 등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울트라-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차량탑재 단말기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이 될 수 있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하여 한정을 아니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1 단말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201;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202; 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모드는 네트워크 스케줄링 모드인 상황에서, 단계 201에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 중의 최소한 하나를 통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1: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지시한다;
방식 2: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확정한다;
방식 3: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확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4: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한다;
방식 5: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방식 6: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접근 제어 파라미트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시간에 근거하여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하고, 제1 금지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며, 제1 금지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거나 정지될 때,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제1 단말이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면,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으며, 그중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메시지에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요청(SR),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BSR), 사이드링크 단말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 및 단말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진일보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와 연관 관계를 가지는 타겟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타겟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그중,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에는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예를 이어받아,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202에는,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확정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정지하거나 타임아웃이 될 때,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정보를 네트워크측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가 포함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전송할 데이터의 QoS 요구에는,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접근 제어 파라미터 1과 유니캐스트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이 서로 연관되며,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이 유니캐스트일 경우,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접근 제어 파라미터 1이 된다.
또 예를 들면, 접근 제어 파라미터 2와 제1 QoS 파라미터가 서로 연관될 때, 제1 QoS 파라미터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트 스트림의 우선급이 제1 우선급이고, 전송할 데이터의 QoS 요구 중 우선급 요구가 제1 우선급인 상황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QoS 요구와 매칭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접근 제어 파라미터 2가 된다.
상기 예를 이어받아, 확정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정보를 네트워크측 장치로 송신한다.
진일보로, 상기 제1 단말은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은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제1 단말은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황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201의 전에, 상기 방법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자원 할당 모드;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연결 수;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자원 할당 모드에는 네트워크 스케줄링 모드 및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 스케줄링 모드에는 단말 자율 선택 모드 및 다른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며,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최대 연결 수에는 유니캐스트 최대 연결 수, 그룹캐스트 최대 연결 수 및 유니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와 그룹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를 합친 최대 연결 수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QoS 파라미터에는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제1 단말이 네트워크측 장치에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보고한 후,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근거로 제1 단말을 위해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제1 단말을 위해 구성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며, 제1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모드가 단말 스케줄링 모드이고, 또 다른 단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상황에서, 단계 201에는,
제2 단말이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source ID;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destination ID;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group ID; 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주변의 단말로 송신하며, 해당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1: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한다;
방식 2: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한다;
방식 3: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4: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한다;
방식 5: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한다;
방식 6: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한다.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는 상황에서, 제2 금지 시간을 근거로 제2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제2 금지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며, 제2 금지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거나 정지될 때,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단계 202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근거로 제1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2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상황에서, 상기 제2 금지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거나 정지될 때,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근거로 제1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직접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및/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며, 제1 단말은 접근 제어 파라미터 중에 휴대된 destination ID 또는 group ID를 근거로 해당 제1 단말이 대응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응용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며,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301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 중의 최소한 하나를 통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1: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지시한다;
방식 2: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확정한다;
방식 3: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확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4: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한다;
방식 5: 제1 지시 정보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방식 6: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시간을 근거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지적해야 할 것은, 제1 단말이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면,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으며, 그중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메시지에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요청(SR),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BSR), 사이드링크 단말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 및 단말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진일보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와 타겟 정보는 연관 관계를 가지며, 상기 타겟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그중,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에는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단말이 보고한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자원 할당 모드;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전송 유형;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연결 수;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자원 할당 모드에는 네트워크 스케줄링 모드 및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 스케줄링 모드에는 단말 자율 선택 모드 및 다른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며,
상기 최대 연결 수에는 유니캐스트 최대 연결 수, 그룹캐스트 최대 연결 수 및 유니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와 그룹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를 합친 최대 연결 수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QoS 파라미터에는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단계 301에는,
상기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단말이 네트워크측 장치에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보고한 후,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1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근거로 제1 단말을 위해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제1 단말을 위해 구성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며, 제1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2 단말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401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주변의 단말로 송신하며, 해당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1: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한다;
방식 2: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한다;
방식 3: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승리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통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함에 있어서,
방식 4: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한다;
방식 5: 제1 지시 정보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고, 진일보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한다;
방식 6: 직접 난수를 생성하여 제1 금지 인자와 크기를 비교(난수>=제1 금지 인자 또는 난수<=제1 금지 인자)하여 실패하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한다.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는 상황에서, 제2 금지 시간을 근거로 제2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제2 금지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며, 제2 금지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거나 정지될 때,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및/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며, 제1 단말은 접근 제어 파라미터 중에 휴대된 destination ID 또는 group ID를 근거로 해당 제1 단말이 대응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응용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며,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하거나 네트워크측 장치가 미리 구성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501;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의 연결 동작을 확정하는 단계 502; 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가 포함되며,
그중,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에는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된다.
예를 들면,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세 세트의 QoS 파라미터(QoS 파라미터 1, QoS 파라미터 2, QoS 파라미터 3)와 연관될 경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제1 혼잡 등급 범위는 QoS 파라미터 1과 연관되고, 제2 혼잡 등급 범위는 QoS 파라미터 2와 연관되며, 제3 혼잡 등급 범위는 QoS 파라미터 3과 연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법에는,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에 대하여 측정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에 근거하여 상기 혼잡 등급이 소속되는 혼잡 등급 범위와 연관되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가 포함된다.
향후 전송할 데이터의 QoS 요구를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이 소속되는 혼잡 등급 범위와 연관되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비교하며, 또는 향후 전송할 데이터의 QoS 요구를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유일한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비교한다.
일 실시예로서, 단계 502에는,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존재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추가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수정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의 릴리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단계; 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사이드링크 자원 풀 1과 유니캐스트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이 서로 연관되며,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이 유니캐스트일 경우,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은 사이드링크 자원 풀 1이 된다.
또 예를 들면, 사이드링크 자원 풀 2와 제1 QoS 파라미터가 서로 연관될 때, 제1 QoS 파라미터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트 스트림의 우선급이 제1 우선급이고, 전송할 데이터의 QoS 요구 중 우선급 요구가 제1 우선급인 상황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QoS 요구와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은 사이드링크 자원 풀 2가 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가 연관되는 상황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자원 풀에 대하여 측정하는 것을 통해 현재 혼잡 정도와 연관되는 유일한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를 확정함으로써 향후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매칭 과정에서, 단말은 그 확정된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비교 매칭을 수행해야 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이 아직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연결을 확립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고,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가 지시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에 전송할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연결을 이미 확립한 상황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고,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추가 동작 및/또는 수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하며,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릴리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에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자원 할당 모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연결 수; 상기 단말의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자원 할당 모드에는 네트워크 스케줄링 모드 및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 스케줄링 모드에는 단말 자율 선택 모드 및 다른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며,
상기 최대 연결 수에는 유니캐스트 최대 연결 수, 그룹캐스트 최대 연결 수 및 유니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와 그룹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를 합친 최대 연결 수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QoS 파라미터에는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단말을 위해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것을 통해, 단말은 해당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베어러 동작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응용되는 일종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601이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가 포함되며, 그중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에는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된다.
예를 들면,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세 세트의 QoS 파라미터(QoS 파라미터 1, QoS 파라미터 2, QoS 파라미터 3)와 연관될 경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제1 혼잡 등급 범위는 QoS 파라미터 1과 연관되고, 제2 혼잡 등급 범위는 QoS 파라미터 2와 연관되며, 제3 혼잡 등급 범위는 QoS 파라미터 3과 연관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단말이 보고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에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자원 할당 모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연결 수; 상기 단말의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자원 할당 모드에는 네트워크 스케줄링 모드 및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 스케줄링 모드에는 단말 자율 선택 모드 및 다른 단말 스케줄링 모드가 포함되며,
상기 최대 연결 수에는 유니캐스트 최대 연결 수, 그룹캐스트 최대 연결 수 및 유니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와 그룹캐스트의 최대 연결 수를 합친 최대 연결 수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의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QoS 파라미터에는 우선급, 시간지연, 신뢰성, 통신 거리, 부하 크기, 송신 속도 및 데이터 속도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단계 601에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단말이 네트워크측 장치에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보고한 후,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근거로 단말을 위해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 파라미터를 단말로 송신하며, 단말은 수신된 해당 구성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베어러 동작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 700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단말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 모듈 701;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702; 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획득 모듈 701에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1 파라미터 획득 서브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와 연관 관계를 가지는 타겟 정보를 확정하는 정보 확정 모듈이 더 포함되며, 상기 타겟 정보에는,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702에는,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수요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제1 파라미터 확정 서브모듈;
확정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정지하거나 타임아웃이 될 때,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메시지를 네트워크측 장치로 송신하는 제1 통신 서브모듈; 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상기 단말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이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1 전환 모듈이 더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획득 모듈 701에는,
제2 단말이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파라미터 획득 서브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702에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근거로 제1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2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상황에서, 상기 제2 금지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거나 정지될 때,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제2 통신 서브모듈이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며,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단말은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일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전부 실시예는 해당 단말에 모두 적용되며, 또한 동등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 중의 각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의 다양한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그중,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네트워크측 장치 800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제1 파라미터 송신 모듈 801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와 타겟 정보는 연관 관계를 가지며, 상기 타겟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며,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측 장치일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전부 실시예는 해당 네트워크측 장치에 모두 적용되며, 또한 동등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 중의 각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의 다양한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그중,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 900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2 단말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파라미터 송신 모듈 901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가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며,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단말은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일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전부 실시예는 해당 단말에 모두 적용되며, 또한 동등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 중의 각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의 다양한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그중,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 1000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단말 1000에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하거나 네트워크측 장치가 미리 구성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수신 모듈 1001;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의 연결 동작을 확정하는 처리 모듈 1002; 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에 대하여 측정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을 확정하는 측정 모듈;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에 근거하여 상기 혼잡 등급이 소속되는 혼잡 등급 범위와 연관되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확정 모듈; 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아직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연결을 확립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처리 모듈에는,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존재 여부를 확정하는 제1 연관 확정 서브모듈;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추가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수정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의 릴리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제1 처리 서브모듈; 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근거로 단말을 위해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 파라미터를 단말로 송신하며, 단말은 수신된 해당 구성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베어러 동작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단말은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일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전부 실시예는 해당 단말에 모두 적용되며, 또한 동등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 중의 각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의 다양한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그중,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네트워크측 장치 1100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3 파라미터 송신 모듈 1101이 포함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근거로 단말을 위해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 파라미터를 단말로 송신하며, 단말은 수신된 해당 구성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베어러 동작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측 장치일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전부 실시예는 해당 네트워크측 장치에 모두 적용되며, 또한 동등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종의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 중의 각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실시예의 다양한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그중,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일종의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설명도로서, 해당 단말 12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 1201, 네트워크 모듈 1202, 오디오 출력 장치 1203, 입력 장치 1204, 센서 1205, 디스플레이 장치 1206, 사용자 입력 장치1207, 인터페이스 장치 1208, 메모리 1209, 프로세서 1210 및 전원 12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분야에 숙련된 자는 도 12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구조가 단말 장치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 장치는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중, 무선 주파수 장치 1201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프로세서 1210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 1201은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한다.
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 1201은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하거나 네트워크측 장치가 미리 구성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에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품질 QoS 파라미터; 가 포함된다. 프로세서 1210은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의 연결 동작을 확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며, 단말은 수신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연결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이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근거로 단말을 위해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 파라미터를 단말로 송신하며, 단말은 해당 구성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베어러 동작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단말의 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 120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 1210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 1201에는 안테나, 최소한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 120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 1202를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1203은 무선 주파수 장치 1201 또는 네트워크 모듈 1202에서 수신하거나 메모리 12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 1203은 단말 12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자면,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1203에는 스피커, 버저, 전화 수신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입력 장치 12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 12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2041과 마이크로폰 1204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 12041은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영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 12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 12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 12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 1201 또는 네트워크 모듈 12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2042는 소리를 수신하고 그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 12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1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12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12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 1200이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 12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이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사이의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 12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자이로미터,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12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20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12061이 포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 12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 12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 1207에는 터치 패널 12071 및 기타 입력 장치 12072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패널 12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지칭하며, 그 위 또는 근처에서 진행되는 터치 조작(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 12071 위 또는 터치 패널 12071 근처에서 진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 12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 장치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작동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이 신호를 터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 장치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점 좌표로 변환하고, 점 좌표를 프로세서 1210에 전송하며 프로세서 1210에서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 12071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 1207은 터치 패널 120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 12072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장치 120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 볼륨 조절 버튼 또는 전원 켜기/끄기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패널 12071는 디스플레이 패널 120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 12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작동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 12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확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 1210은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12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2에서 터치 패널 12071과 디스플레이 패널 12061은 두 개의 독립 부품으로 단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 12071과 디스플레이 패널 12061을 통합하여 단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 장치 1208은 외부 장치와 단말 12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자면,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 1208은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력 등)을 수신하여 단말 120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요소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단말 12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12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 1209에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중,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최소 한 개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 전화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209는 고속 임의 접근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10은 단말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단말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메모리 12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 12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121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 1210에 통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한다.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12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 120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12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 12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 12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12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임의의 기타 파생 용어는 제한없이 포함한다는 의미로서 프로세스, 방법, 물품, 장비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목록은 해당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목록에 명시되지 않은 다른 구송 요소도 포함되고, 더 나아가 이런 프로세스, 방법, 물품, 장비에 내제된 구성 요소도 포함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한 개 ......를 포함한다"로 한정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동일한 다른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구현 방식에 관한 설명에 따르면, 이 분야에 숙련된 자는 상기 구현에 필요한 공통 하드웨어 플랫폼과 함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대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전자가 선호되는 구현 방식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 또는 이것이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마그네틱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 장치(예: 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네트워크 장비 등)에 몇몇 지령을 포함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부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행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본 발명의 계시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주지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양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기술 범위 내에서 이러한 방식을 기초로 변형 또는 대체를 쉽게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6)

  1. 제1 단말에 응용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으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방법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와 연관 관계를 가지는 타겟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정보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확정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정지하거나 타임아웃이 될 때,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정보를 네트워크측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은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2 단말이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근거로 상기 제1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2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상황에서, 상기 제2 금지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거나 정지될 때,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8. 네트워크측 장치에 응용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으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타겟 정보와 연관 관계를 가지며, 상기 타겟 정보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1. 제2 단말에 응용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으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3. 단말에 응용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하거나 네트워크측이 미리 구성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의 연결 동작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의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의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에 대하여 측정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에 근거하여 상기 혼잡 등급이 소속되는 혼잡 등급 범위와 연관되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연결 동작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존재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추가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수정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의 릴리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7. 네트워크측 장치에 응용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으로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
  19. 단말로서, 상기 단말은 제1 단말이고,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 모듈;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획득 모듈은,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1 파라미터 획득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와 연관 관계를 가지는 타겟 정보를 확정하는 정보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정보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수요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제1 파라미터 확정 서브모듈;
    확정된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정지하거나 타임아웃이 될 때,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에 필요한 상향링크 메시지를 네트워크측 장치로 송신하는 제1 통신 서브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1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금지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이 자율 선택 또는 다른 단말이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1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획득 모듈은,
    제2 단말이 송신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파라미터 획득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근거로 제1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상황에서, 제2 금지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상황에서, 상기 제2 금지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거나 정지될 때,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제2 통신 서브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28. 네트워크측 장치로서,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제1 파라미터 송신 모듈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1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에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자원 할당 모드의 사용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1 금지 인자;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타겟 정보와 연관 관계를 가지며, 상기 타겟 정보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31.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32.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33. 단말로서, 상기 단말은 제2 단말이고,
    제1 단말의 사이드링크 연결 행위를 지시하는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파라미터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금지 시간;
    상기 제1 단말을 보조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확립 요청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제2 금지 인자;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2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
    상기 접근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정보; 중 최소한 하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5.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6.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37. 네트워크측 장치가 송신하거나 네트워크측이 미리 구성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수신 모듈;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사이드링크 연결 동작을 확정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8. 제37항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에 대하여 측정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을 확정하는 측정 모듈;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혼잡 등급에 근거하여 상기 혼잡 등급이 소속되는 혼잡 등급 범위와 연관되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확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구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매칭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존재 여부를 확정하는 제1 연관 확정 서브모듈;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및/또는 QoS 요구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에 필요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확립 요청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추가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베어러의 수정 동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베어러 또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의 릴리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함을 확정하는 제1 처리 서브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1.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2.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43. 네트워크측 장치로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제3 파라미터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최소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및 각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과 연관되는 정보는,
    사이드링크 전송 유형; 최소한 한 세트의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한 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이 최소한 두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상황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풀의 한 개 혼잡 등급 범위는 한 세트의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며, 서로 다른 혼잡 등급 범위는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45.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7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6.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7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이드링크 연결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KR1020217016598A 2018-11-01 2019-10-31 사이드링크의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 KR20210082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297562.1 2018-11-01
CN201811297562.1A CN111132224B (zh) 2018-11-01 2018-11-01 sidelink的连接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CT/CN2019/114671 WO2020088586A1 (zh) 2018-11-01 2019-10-31 副链路的连接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249A true KR20210082249A (ko) 2021-07-02

Family

ID=7046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598A KR20210082249A (ko) 2018-11-01 2019-10-31 사이드링크의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50802A1 (ko)
EP (1) EP3876591A4 (ko)
KR (1) KR20210082249A (ko)
CN (1) CN111132224B (ko)
WO (1) WO2020088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0377B2 (en) * 2018-11-30 2024-02-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sidelink resource, and storage medium
CA3095199A1 (en) * 2019-10-03 2021-04-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delink bearer mode selection
CN113709763A (zh) * 2020-05-20 2021-11-2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接入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3746876B (zh) * 2020-05-27 2023-09-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代理的建立方法、装置及终端
US11653333B2 (en) * 2020-06-26 2023-05-16 Lg Electronics In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for pool of resources
CN114650562A (zh) * 2020-12-21 2022-06-21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优化移动网络堵塞的方法及其用户设备
US11438878B1 (en) * 2021-03-24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Sub-resource pool for transmission of new radio sidelink over unlicensed band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0619B1 (en) * 2014-02-27 2022-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sidelink data link signal by a user equipment and corresponding user equipment
EP3179811B1 (en) * 2014-08-07 2020-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06797676B (zh) * 2014-09-24 2021-02-19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WO2016089065A1 (en) * 2014-12-01 2016-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rohibit timer for prose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26563B2 (en) * 2015-04-09 2017-11-21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direct discovery resource pool allocation for out-of-coverage wireless terminal
US10616864B2 (en) * 2015-08-07 2020-04-07 Sharp Kabushiki Kaisha Allocating resources for wireless sidelink direct communications
US10383147B2 (en) * 2015-12-28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collision avoidance i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CN107040972B (zh) * 2016-02-04 2022-06-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径选择方法及装置
EP3206452B1 (en) * 2016-02-10 2019-10-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iority-optimized sidelink data transfer in the case of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in lte prose communication
WO2017171447A2 (ko) * 2016-03-30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gnss 타이밍을 사용하는 ue의 사이드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GB2552319B (en) * 2016-07-18 2020-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arrangement
CN106793090B (zh) * 2016-07-29 2018-10-16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D2d直接通信资源的选择方法及系统
CN106792890B (zh) * 2016-07-29 2019-07-02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D2d直接发现资源的选择方法及系统
CN108024230B (zh) * 2016-11-04 2022-06-1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v2x通信中的资源选择方法和设备
CN108112087B (zh) * 2016-11-23 2020-07-14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v2x网络资源信息指示方法及基站
US11013044B2 (en) * 2017-01-13 2021-05-18 Lg Electronics Inc. Proximit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CN110830955B (zh) * 2018-08-14 2024-01-05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的控制方法、基站的控制方法以及用户设备
CN110972116B (zh) * 2018-09-28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介质、程序产品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6591A1 (en) 2021-09-08
CN111132224A (zh) 2020-05-08
WO2020088586A1 (zh) 2020-05-07
CN111132224B (zh) 2021-12-14
US20210250802A1 (en) 2021-08-12
EP3876591A4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7240A1 (en) Relay reselec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KR20210082249A (ko) 사이드링크의 연결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장치
KR20210078557A (ko) 리소스 지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4084531A1 (en) Path selec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KR102628455B1 (ko) 전송 처리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KR20210064317A (ko) 사이드링크의 링크 실패 검사 방법 및 단말기
US20210329502A1 (en) Resource Reserving Method and Device
KR102398275B1 (ko) 액세스 제어 방법, 메시지 브로드캐스트 방법 및 관련 기기
WO2020057335A1 (zh) 传输方法及相关设备
WO2020088585A1 (zh) 副链路连接建立、资源分配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102414016B1 (ko) Rrc 접속 재구축의 베어러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10134791A (ko) 정보 송신 방법 및 단말
JP2022554365A (ja) 中継接続確立方法及び機器
US20210250960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220044977A (ko) 랜덤 액세스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CN111278114B (zh) 功率控制方法、终端设备及网络侧设备
KR102596801B1 (ko) Pc5 링크 확립 방법, 장비 및 시스템
CN111615085B (zh) 资源获取方法、第一终端和第二终端
WO2020164515A1 (zh) 信号传输方法、设备及系统
KR20210134793A (ko) 기준값의 결정 방법 및 단말
CN111182654A (zh) 副链路rrc连接触发方法和终端
AU2020342206B2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RU277761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 устройства
KR20220045191A (ko) 리소스 청구 방법, 리소스 할당 방법, 장치, 기기 및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