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989A -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 Google Patents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989A
KR20210081989A KR1020190174466A KR20190174466A KR20210081989A KR 20210081989 A KR20210081989 A KR 20210081989A KR 1020190174466 A KR1020190174466 A KR 1020190174466A KR 20190174466 A KR20190174466 A KR 20190174466A KR 20210081989 A KR20210081989 A KR 2021008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ression
gene
cells
promoter
anima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성호
함영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피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피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피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17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989A/en
Publication of KR2021008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67General methods for enhancing the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12N2510/02Cells for pro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1/00Cells for large scale production

Landscapes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which includes a promoter for regulating expression of a target gene, a promoter for regulating expression of a selectable mark gene and a factor for increasing gene expression, and specifically, provides the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increasing efficiency of recombinant cell selection and stabilizing expression of a target gene for a long period of tim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combinant animal cell transformed with the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having high expression efficiency.

Description

동물세포 발현벡터{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본 발명은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및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를 포함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a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 selection mark gene, and a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

목적 단백질을 대량으로 발현, 수득하여 의약, 산업 등의 용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미생물, 식물, 효모, 곤충세포, 동물세포 등의 다양한 발현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Various expression systems such as microorganisms, plants, yeast, insect cells, and animal cells are used to express and obtain a target protein in large quantities and use it for pharmaceutical, industrial, and the like purposes.

그 중에서 동물세포 발현시스템은 동물 단백질을 발현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미생물 발현시스템에 비해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효율이 낮아 생산단가가 높고, 동물세포를 조작 과정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산업용 동물세포주로는 CHO(Chinese Hamster Ovary), BHK(Baby Hamster Kidney), 골수종(myeloma) 등이 있으며, 해당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이들 동물세포주에 형질도입하여 목적하는 외래 단백질을 발현시킨다.Among them, although the animal cell expression system is the most suitable system for expressing animal proteins, the production cost is high due to the low expression efficiency of the recombinant protein compared to the microbial expression system, and the manipulation process of animal cells is complicated. Currently used industrial animal cell lines include CHO (Chinese Hamster Ovary), BHK (Baby Hamster Kidney), myeloma, and the like. make it manifest

동물세포는 당쇄화를 비롯한 다양한 단백질 변형 기작이 유지되고, 배양배지로 단백질을 분비하는 경우 단백질의 수득과 정제 과정이 보다 용이하다. 대부분의 동물세포가 배양 과정에서 혈청 단백질 등의 복합적 첨가물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데 반하여, CHO 세포는 혈청 및 단백질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 가능하므로, 재조합 단백질 발현에 가장 적합한 숙주로 활용된다. 또한 CHO 세포는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그 특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성장 속도가 빠르고 대량 배양을 위한 현탁 배양(suspension culture)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In animal cells, various protein modification mechanisms including glycosylation are maintained, and when the protein is secreted into the culture medium, the protein is more easily obtained and purified. Whereas most animal cells necessarily require complex additives such as serum proteins in the culturing process, CHO cells can be cultured in a medium free of serum and protein, and thus are used as the most suitable host for recombinant protein express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HO cells are well known as many studies have preceded them, and they have the advantage of fast growth rate and suspension culture for mass culture.

일반적으로 동물세포에서 목적유전자를 발현하고자 할 때 목적유전자와 선별마크(marker) 유전자를 지닌 벡터를 동시에 형질도입(transfection)시킨다. 형질전환된 세포는 선택배지에서 배양하여 선별한다. 하지만 이들의 발현 빈도는 대부분의 경우 매우 낮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미생물 시스템과 달리 동물세포에서는 이들 목적유전자가 숙주 세포내 염색체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목적유전자가 숙주세포의 염색체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형질전환체(stable transfectants)를 선별하더라도 그 발현량은 예측하기 어렵다. 이는 각 세포마다 유전자의 삽입 위치가 다르고, 삽입위치에 따라 발현양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물세포내 삽입된 목적유전자의 수와 유전자 발현량은 명확한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다.(Grindleyet al., 1987,Trends Genet. 3, 16-22 ; Kucherlapatiet al., 1984,Crit. Rev. Biochem. 16, 349-381 ; Palmiteret al., 1986,Annu. Rev. Genet. 20, 465-499) 대부분의 경우 동물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은 삽입된 주변의 핵산염기에 의하여 억제되어, 안정하게 삽입된 목적유전자(stably integrated transgenes)라 할지라도 종종 매우 낮은 수준으로 발현된다.(Eissenberget al., 1991,Trends Genet. 7, 335-340; Palmiteretal., 1986,Annu. Rev. Genet. 20, 465-499)In general, when a target gene is to be expressed in an animal cell, a vector having the target gene and a selection mark gene is simultaneously transfected (transfected). Transformed cells are selected by culturing in a selective medium. However, their expression frequency is very low in most cases. One of the reasons is that, unlike microbial systems, in animal cells, these target genes must be inserted into the chromosomes of the host cell. Also, even if stable transfectants are selected in which the target gene is stably inserted into the chromosome of the host cell, the expression level is difficult to predict. This is because the insertion site of the gene is different for each cell, and the expression patter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ertion site. Therefore, there is no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arget genes inserted into animal cells and the gene expression level (Grindley et al., 1987, Trends Genet. 3, 16-22; Kucherlapati et al., 1984, Crit. Rev. Biochem. 16, 349-381; Palmiter et al., 1986, Annu. Rev. Genet. 20, 465-499) In most cases, gene expression in animal cells is suppressed by the nucleotides surrounding the inserted nucleotides, and the purpose of stably inserted Even stably integrated transgenes are often expressed at very low levels (Eissenberg et al., 1991, Trends Genet. 7, 335-340; Palmiter et al., 1986, Annu. Rev. Genet. 20, 465-499).

이러한 유전자 위치 특이적 효과로부터 목적유전자의 발현을 보호하기 위한 핵산인자의 이용 가능성이 여러 시스템에서 보고되어 왔다. 상기한 핵산인자로는 인슐레이터(insulator) 인자 및 핵 격자 구조체 결합 염기 (Nuclear Matrix Attachment Region : 이하 "MAR" 라 함), 지지체 접촉부위 (Scaffold Attachment Region : 이하 "SAR" 라함), 또는 염색질 절연체 (Chromatin Insulator: 이하 “인슐레이터” 라 함)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들의 작용기작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트랜스진(transgene) 구조체에 포함되어 있을 때 삽입 위치와는 무관하게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여 그 발현량이 유전자의 카피 수에 따라 결정되는 양상이 나타난다.(McKnight, R.A.et al., 1992,Proc. Natl. Acad. USA.89, 6943 - 6947)The possibility of using a nucleic acid factor to protect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from these gene location-specific effects has been reported in several systems. The above-mentioned nucleic acid factors include an insulator factor and a nuclear lattice structure binding base (Nuclear Matrix Attachment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R"), a scaffold attachment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R"), or a chromatin insu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R"), or a chromatin insulator ( Chromatin Insu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sulator”), etc. may be utilized. Although their mechanism of action has not been elucidated, when they are included in a transgene construct, they induce gene expression irrespective of the insertion site, and thus the expression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py number of the gene. (McKnight, RAet) al., 1992, Proc. Natl. Acad. USA.89, 6943 - 6947)

또한, 목적유전자가 숙주세포의 염색체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형질전환체라 할지라도, 숙주세포 염색체에 삽입되는 목적유전자로부터의 재조합 단백질 발현 효율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목적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에 의해 결정되어지고, 일반적으로는 바이러스 프로모터인 CMV나 SV40, 또는 EF1-alpha유전자의 프로모터 등이 사용된다.Also, even in a transformant in which the target gene is stably inserted into the chromosome of the host cell, the efficiency of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protein from the target gene inserted into the chromosome of the host cell may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 particular, the most direct influence is determined by the promoter that regulates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and in general, viral promoters such as CMV or SV40, or the promoter of the EF1-alpha gene are used.

또한, 숙주세포 염색체에 무작위적으로 삽입되는 목적유전자의 경우 삽입 위치에 따라 단백질 발현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숙주세포 염색체의 불활성화된 위치에 삽입되는 경우 발현이 저해를 받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목적유전자 및 선별마크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가 안정하게 삽입된 재조합 세포 중 숙주세포 염색체의 활성화된 위치에 발현벡터가 삽입되어져 목적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지 않는 세포군만을 선별적으로 구별해 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면, 선별 과정 이후 얻어지게 되는 안정화 세포군의 목적유전자 발현 효율을 높일 수가 있게 되며, 그러한 안정화 세포군을 사용해 선별되어지는 세포주의 발현 효율도 대폭 높여줄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arget gene randomly inserted into the host cell chromosome, the protein expression efficiency may be affected depending on the insertion site, and when inserted into an inactivated location of the host cell chromosome, expression may be inhibited. Therefore, among recombinant cells into which the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the target gene and the selection mark gene has been stably inserted, the expression vector is inserted into the activated position of the host cell chromosome to selectively distinguish only the cell group that does not inhibit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If the target gene expression efficiency of the stabilizing cell group obtained after the selection process can be increased, the expression efficiency of the cell line selected using the stabilizing cell group can be greatly increased.

칼로스 등은 인체 아포리포프로테인(apolipoprotein) B 유전자의 MAR 인자를 최소 프로모터 트랜스진 구조체(minimal promoter transgene construct)에 조합하고, 동물세포에서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여 그 전사체의 발현을 약 200배 증가시킨 바 있다.(Kaloset al., 1995,Mol. Cell. Biol. 15, 198-207) 이와 유사하게 척추동물세포에서 닭 라이조자임(chicken lysozyme) A 유전자의 MAR 인자와 사람의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β) 유전자의 SAR 인자 등도 숙주세포 염색체 내의 삽입 위치에 무관하게 목적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다.(Eissenberget al., 1991,Trends Genet. 7, 335-340 ; Klehret al., 1991,Biochemistry30, 1264-1270) 그러나, 이러한 MAR/SAR 또는 인슐레이터 인자와 함께 선별마크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조절하는 프로모터를 함께 적용하여 CHO 세포주에서 실질적으로 단백질 생산을 증가시키려는 시도나 산업적 채산성이 검증된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Carlos et al. combined the MAR factor of the human apolipoprotein B gene into a minimal promoter transgene construct and inducing gene expression in animal cells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the transcript by about 200 times. (Kaloset al., 1995, Mol. Cell. Biol. 15, 198-207) Similarly, in vertebrate cells, the MAR factor of the chicken lysozyme A gene and human interferon β SAR factors of genes have also been reported to have the property of increasing target gene expression regardless of the insertion position in the host cell chromosome. (Eissenberg et al., 1991, Trends Genet. 7, 335-340; Klehr et al., 1991, Biochemistry30 , 1264-1270) However, there are still no attempts to substantially increase protein production in CHO cell lines by applying a promoter that controls the expression level of the selection mark gene together with these MAR/SAR or insulator factors or cases where industrial profitability has been verified. has not been reported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는 MAR,SAR, 또는 인슐레이터 등의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를,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최소화하는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재조합 세포 선별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목적유전자의 발현을 장기간 동안 안정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Under this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ors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combinant cell selection by using a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 such as MAR, SAR, or insulator, in parallel with a method for minimizing the expression of a selectable mark gene, while at the same time stabiliz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for a long tim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2-70063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70063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2-701289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701289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조합 세포 선별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목적유전자의 발현을 장기간 동안 안정화할 수 있는 동물세포 발현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combinant cell selection and stabiliz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발현 효율을 갖는 동물세포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동물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mbinant animal cell transformed with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having high expression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로서 MAR 인자, SAR 인자 및 인슐레이터 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를 포함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moter f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promoters regulating select mark gene expression; Provided is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one or mor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R factors, SAR factors and insulator factors as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SV40 프로모터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may be derived from the SV40 promo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선별마크 유전자의 발현을 최소화시킬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can minimize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MAR 인자는 beta-globin MAR 또는 chicken lysozyme MAR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 factor may be beta-globin MAR or chicken lysozyme M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SAR 인자는 CSP-B SAR 또는 interferon beta SAR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R factor may be CSP-B SAR or interferon beta S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 인자는 닭 라이소자임 인슐레이터(chicken lysozyme insulator)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or factor may be a chicken lysozyme insulator (chicken lysozyme insul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상기 전사종결인자의 3' 말단, 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과 상기 전사종결인자의 3' 말단 양측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 is the 5'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the 3' end of the transcription termination factor, or the 5'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and on both sides of the 3' end of the transcription termination factor, it may be loc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AR, SAR 또는 인슐레이터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또는 3' 말단에 2 카피(copies)또는 그 이상의 카피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AR 인자 및 SAR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또는 3' 말단에 각각 1 카피(copy)씩 위치씩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copies or more copies of the MAR, SAR or insulator factor may be located at the 5' end or 3'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In addition, the MAR factor and the SAR factor may be positioned by one copy each at the 5' end or 3' end of the promoter that regulates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CMV, SV40 프로모터 또는 EF1-alpha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f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may be a CMV, SV40 promoter or EF1-alph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puromycin 유전자, neomycin 유전자, blasticidin 유전자, hygromycin 유전자, zeocin 유전자, glutamine synthetase 유전자 또는 DFHFR 유전자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may be a puromycin gene, a neomycin gene, a blasticidin gene, a hygromycin gene, a zeocin gene, a glutamine synthetase gene, or a DFHFR gene.

또한, 본 발명은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로서 MAR 인자, SAR 인자 및 인슐레이터 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를 포함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로부터 형질전환된 재조합 동물세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moter f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promoters regulating select mark gene expression; Provided is a recombinant animal cell transformed from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one or mor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R factors, SAR factors and insulator factors as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동물세포는 CHO 세포, Hela 세포, BHK 세포, NIH/3T3 세포, COS-1 세포, COS-7 세포, CHO-K1 세포, DG44 세포, NS0 세포 또는 HEK293 세포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binant animal cells are CHO cells, Hela cells, BHK cells, NIH/3T3 cells, COS-1 cells, COS-7 cells, CHO-K1 cells, DG44 cells, NS0 cells or HEK293 cells. It may be a cell.

본 발명의 동물세포 발현벡터는 기존의 발현벡터 대비 목적유전자의 재조합 단백질 발현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숙주세포의 염색체에 도입되는 목적유전자로부터의 재조합 단백질 발현의 안정성이 높고, 결과적으로 재조합 단백질 생산을 위해 제조되는 안정화 세포 풀(stable cell pool) 또는 안정화 세포주의 성능을 대폭적으로 개선하는데 그 유용성이 있다.The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protein of the target gene compared to the existing expression vector, the stability of the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protein from the gene of interest introduced into the chromosome of the host cell is high, and as a result, the production of the recombinant protein is increased. It has its usefulness in significantl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table cell pool or a stable cell line prepared for this purpo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세포 발현벡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로 CMV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로 SV40 프로모터가 사용되고, MAR 인자가 1 카피 포함된 발현벡터에 대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세포 발현벡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SAR 인자와 MAR 인자가 각각 1 카피씩 포함된 발현벡터에 대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세포 발현벡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목적유전자의 발현을 위해 CMV enhancer Early Promoter를 사용하고, 선별마크 유전자의 발현을 위해 SV40 프로모터의 변종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된 목적단백질을 정제 및 분석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주 선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AR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은 경우의 생산성 수치를 비교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AR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은 경우의 Specific productivity rate를 비교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효율의 세포주를 선별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안정한 세포 풀의 생산성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최적화 세포주의 배양실험을 위한 조건과 그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MV promoter is used as a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the SV40 promoter is used as a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 selection mark gene, and the MAR factor is This is a picture of an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1 copy.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of an expression vector including one copy of each of the SAR factor and the MAR factor.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MV enhancer Early Promoter for expression of a target gene, and using a variant of the SV40 promoter for expression of a selectable mark gene; It is a picture that shows that
4 is a graph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target g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purification and analysis of a target protein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including information on cell line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comparing productivity values with and without MAR fa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comparing the specific productivity rate in the case of including and not including the MAR f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selecting a high-efficiency cel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productivity experiment of a stable cell pool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conditions for a culture experiment of an optimized cell lin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sults thereof.

본 발명은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 및 전사종결인자를 포함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a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 selection mark gene, a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 and a transcription termination factor.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it is stat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at a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but further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could mean that you can.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연결된", "설치된" 또는 "설치되며"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when it is stat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installed" or "installed" of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stalled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It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and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may exist, and th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component or means may be omitted.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말단”, " ~ 상에"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milarly,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that is, “at the end of”, “on”, etc.,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말단",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end", "first", "second", etc., if used, are this for one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component is used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meaning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ly used by such ter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말단"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left", "right", and "end", if used, indicate a relative position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bsolute positions are specified for their positions, these posi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ferring to absolute position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ally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r in order to sufficiently clear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the proportion or scale may not be exac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은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로서 MAR 인자, SAR 인자 및 인슐레이터(Insulator) 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를 포함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moter f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promoters regulating select mark gene expression; It provides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one or mor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R factors, SAR factors and insulator factors as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SV40 프로모터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may be derived from the SV40 promo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선별마크 유전자의 발현을 최소화시킬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can minimize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MAR 인자는 beta-globin MAR 또는 chicken lysozyme MAR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 factor may be beta-globin MAR or chicken lysozyme M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SAR 인자는 CSP-B SAR 또는 interferon beta SAR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R factor may be CSP-B SAR or interferon beta S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 인자는 닭 라이소자임 인슐레이터(chicken lysozyme insulator)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or factor may be a chicken lysozyme insulator (chicken lysozyme insul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3' 말단, 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과 3' 말단 양측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 is the 5' end, the 3'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or both the 5' end and the 3'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In, it can be loc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AR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또는 3' 말단에 2 카피(copies)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AR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또는 3' 말단에 2 카피(copies)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AR 인자, SAR 인자 또는 인슐레이터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또는 3' 말단에 각각 1 카피(copy)씩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copies of the MAR factor may be located at the 5' end or 3'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In addition, two copies of the SAR factor may be located at the 5' end or 3' end of the promoter that regulates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In addition, the MAR factor, the SAR factor, or the insulator factor may be located one copy each at the 5' end or 3' end of the promoter that regulates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CMV, SV40 프로모터 또는 EF1-alpha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f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may be a CMV, SV40 promoter or EF1-alph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puromycin 유전자, neomycin 유전자, blasticidin 유전자, hygromycin 유전자, zeocin 유전자, glutamine synthetase 유전자 또는 DFHFR 유전자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may be a puromycin gene, a neomycin gene, a blasticidin gene, a hygromycin gene, a zeocin gene, a glutamine synthetase gene, or a DFHFR gene.

또한, 본 발명은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로서 MAR 인자, SAR 인자 및 인슐레이터 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를 포함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로부터 형질전환된 재조합 동물세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moter f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promoters regulating select mark gene expression; Provided is a recombinant animal cell transformed from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one or mor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R factors, SAR factors and insulator factors as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동물세포는 CHO 세포, Hela 세포, BHK 세포, NIH/3T3 세포, COS-1 세포, COS-7 세포, CHO-K1 세포, DG44 세포, NS0 세포 또는 HEK293 세포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binant animal cells are CHO cells, Hela cells, BHK cells, NIH/3T3 cells, COS-1 cells, COS-7 cells, CHO-K1 cells, DG44 cells, NS0 cells or HEK293 cells. It may be a cell.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발현벡터 제조방법Expression vector preparation method

도 1, 2 또는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현벡터는 목적유전자(목적유전자)의 발현을 위해 CMV enhancer Early Promoter를 활용하였으며, 선별마크 유전자의 발현을 위해서는 SV40 프로모터의 변종으로서 선별마크 유전자의 발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식을 도입하였다. 1, 2 or 3, the expression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d the CMV enhancer Early Promoter for expression of a target gene (target gene), and a selection mark gene as a variant of the SV40 promoter for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A method was introduced to minimize the expression of

또한, 목적유전자 발현의 항상성을 높이기 위해 MAR 인자를 목적유전자의 5‘ 방향에 삽입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omeostasis of target gene expression, the MAR factor was inserted in the 5' direction of the target gene.

목적유전자의 발현Expression of target gen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MC-A 벡터 20μg 또는 40μg 를 부유세포로 배양한 CHO-k1 세포에 일시적으로 형질도입한 후 7일동안 세포의 성장곡선과 목적유전자의 발현량(ug/ml)을 ELISA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목적유전자가 잘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4, after transient transduction of 20 μg or 40 μg of CMC-A vector into CHO-k1 cells cultured as floating cells, the cell growth curve and expression level (ug/ml) of the target gene were measured for 7 day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ELISA metho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arget gene was well expressed.

Protein A column 정제 분석 실험Protein A column purification assay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발현을 통해 생산된 목적단백질을 protein-A column으로 정제한 후 SDS-PAGE를 통해 발현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5 , it was confirmed that the target protein produced through transient expression was purified by protein-A column and then expressed through SDS-PAGE.

세포주 선별cell line selection

CHO-k1세포와 CHO-k1의 형질변형 세포인 V23세포에서 MAR 인자를 포함하지 않은 벡터와 MAR 인자를 포함한 벡터로 형질도입한 후 antibiotic selection을 최대 19일까지 진행해 안정한 세포 풀(stable cell pool)을 제작하였다 (도 6 참조).CHO-k1 cells and CHO-k1 transformed cells, V23 cells, were transduced with a vector containing no MAR factor and a vector containing MAR factor, followed by antibiotic selection for up to 19 days to create a stable cell pool. was manufactured (see FIG. 6).

MAR 인자 도입여부에 따른 생산성 확인Productivity check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MAR factor

CHO-k1세포 또는 CHO-KS1세포에 pCMC-A벡터를 형질도입해 안정한 세포 풀을 제작한 후 CDM4CHO(CDM4) 또는 Hycell CHO(Hycell) 배양 배지를 사용해 생산성(specific productivity rate, pico gram per cell per day)을 확인하였으며, 발현벡터에 MAR 인자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A)와 MAR인자를 포함한 경우(MA)를 비교하였을 때, MAR 인자를 포함한 경우(A)의 생산성이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참조).CHO-k1 cells or CHO-KS1 cells were transduced with pCMC-A vector to construct a stable cell pool, and then CDM4CHO (CDM4) or Hycell CHO (Hycell) culture medium was used to produce a stable cell pool (specific productivity rate, picogram per cell per). day), and when comparing the case where the expression vector did not contain the MAR factor (A) and the case where the MAR factor was included (MA),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vity was more excellent in the case where the MAR factor was included (A). (See Fig. 7).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Specific Productivity Rate 분석법을 이용해 생선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안정하게 형질도입된 CHO-k1 세포 pool을 MAR 인자가 포함되지 않은 조건(A)과 MAR 인자가 포함된 조건에서 비교하였으며, MAR 인자가 포함된 조건에서 9.027 pg/cell/day의 생산성을 기록해 MAR 인자가 발현벡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83.4% 생산성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productivity was confirmed using the Specific Productivity Rate analysis method. Specifically, the stably transduced CHO-k1 cell pool was compared in the condition without the MAR factor (A) and the condition including the MAR factor, and the productivity of 9.027 pg/cell/day in the condition including the MAR factor was compa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83.4% productivity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MAR factor was not included in the expression vector was confirmed.

고효율 세포주의 선별 및 생산성 확인Selection of high-efficiency cell lines and confirmation of productivity

고효율 세포주를 선별하고 이에 대한 생산성을 확인하고자, MAR 인자를 포함한 벡터를 형질도입한 후 puromycin으로 selection과정을 거쳐 제작된 안정한 세포 풀을 Clonepix-2(Molecular Devices) 세포주 선별기기를 사용하여 고효율성 세포주를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고효율성 세포주는 최대 19.84 pg/cell/day의 생산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참조).In order to select high-efficiency cell lines and check their productivity, a stable cell pool prepared through a selection process with puromycin after transducing a vector containing the MAR factor was used to select high-efficiency cell lines using the Clonepix-2 (Molecular Devices) cell line selection device. was sele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fficiency cell line selected in this way exhibited a productivity of up to 19.84 pg/cell/day (see FIG. 9 ).

최적 세포주의 선별 및 생산성 확인Selection of optimal cell lines and confirmation of productivity

최적화된 세포주를 선별하고자, CHO-k1또는 CHO-ke1세포를 사용해 puromycin(Puro-r) 또는 glutamine synthetase(GS)를 selection marker로 사용해 안정한 세포 풀을 제작한 후 생산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CHO-ke1세포에서 4.37 pg/cell/day의 specific productivity rate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order to select an optimized cell line, a stable cell pool was prepared using puromycin (Puro-r) or glutamine synthetase (GS) as a selection marker using CHO-k1 or CHO-ke1 cells, and then a productivity 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it was confirmed that CHO-ke1 cells exhibited a specific productivity rate of 4.37 pg/cell/day.

또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HO-ke1세포에서 4.37 pg/cell/day의 specific productivity rate을 보여주는 안정한 세포 풀을 FACS 고속유세포선별기인 MoFlo-XDP를 사용해 3가지 세포군으로 선별해 내었으며, Bulk sort 1의 세포군이 5.2 p/c/d의 생산상을 기록해 선별이전의 생산성(4.37 p/c/d)과 비교할 때 약 19% 정도 생산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선별은 cold capture방법으로 알려진 목적단백질에 결합력을 가진 RPE conjugated항체를 사용해 형광의 정도에 따라 분류해내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a stable cell pool showing a specific productivity rate of 4.37 pg/cell/day in CHO-ke1 cells was selected into three cell groups using MoFlo-XDP, a FACS high-speed flow cytometer, The bulk sort 1 cell group recorded a production phase of 5.2 p/c/d, confirming that the productivity was improved by about 19% compared to the productivity before selection (4.37 p/c/d). Cell selec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luorescence using an RPE-conjugated antibody with binding affinity to the target protein known as the cold capture method.

분류Classification Initial CountInitial Count Final CountFinal Count 샘플Sample ug/mlug/ml cells/mlcells/ml cellscells cells/mlcells/ml cellscells ICAICA SPRSPR Bulk sort 1Bulk sort 1 3.683.68 5070050700 152100152100 617000617000 18510001851000 21245232124523 5.205.20 Bulk sort 2Bulk sort 2 0.060.06 1070010700 3210032100 2150021500 6450064500 145097145097 1.321.32 Bulk sort 3Bulk sort 3 1.851.85 3920039200 117600117600 368000368000 11040001104000 13764811376481 4.024.02

이어서, Bulk sort 1의 세포를 약 2일간의 배양을 통해 회복시킨 후, MoFlo를 사용해 96 well plate으로 단일세포 상태로 재차 세포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13 p/c/d이상의 생산성을 보이는 4개의 단일세포주를 분리해내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n, after recovering the cells of Bulk sort 1 through culturing for about 2 days, the cells were reselected as single cells in a 96-well plate using MoFlo. As a result, 4 single cells with a productivity of 13 p/c/d or more were recovered. Cell lines were isol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SBTSB ug/mlug/ml (l) Cells(l) Cells (F) Cells(F) Cells SPR DaySPR Day SPRSPR DTDT 22 14.2814.28 1.401.40 21.4021.40 2.9172.917 13.413.4 17.817.8 1717 28.2028.20 2.742.74 35.0035.00 2.9172.917 15.315.3 19.019.0 2121 16.2316.23 2.242.24 5.695.69 1.8751.875 23.423.4 33.533.5 4646 15.6615.66 11.7011.70 171.60171.60 3.9583.958 19.919.9 30.730.7

추가적으로, 표 2에서의 46번 세포주를 사용하여 IgG 생산성을 최대화하고, glycosylation등의 추가적인 단백질 구조변경과 연계되어 발생하는 charge variant들의 main population을 최대화하며, 염기성 단백질의 popul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양조건(pH, 배양온도, 배지종류) 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해, 배지는 BD1+FD3, pH는 6.97, 배양온도는 32-34℃의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1 참조). 이에 따라, 최대 17일간 fed-batch배양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Additionally, cell line 46 in Table 2 was used to maximize IgG productivity, maximize the main population of charge variants that occur in connection with additional protein structural changes such as glycosylation, and culture conditions to minimize the population of basic proteins ( In order to achieve optimization (pH, culture temperature, type of mediu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conditions of BD1+FD3, pH 6.97, and culture temperature of 32-34° C.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fed-batch culture experiment for up to 17 days are shown in Table 3 below.

DayDay 생산성 (g/L)Productivity (g/L) 세포생존력 (%)Cell viability (%) 10일10 days 1.571.57 98.398.3 11일11 days 2.082.08 98.498.4 12일12 days 2.512.51 98.198.1 14일14 days 3.373.37 97.497.4 15일15th 3.943.94 97.697.6 17일17 days 5.095.09 94.094.0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46번 세포주는 동 조건에서 17일간 부피당 생산성 최대 5.09 g 및 viable cell density 94.0%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배양을 2-3일간 추가적으로 지속할 경우 세포생존력은 80%이상 유지하는 가운데 최대 6 g/L의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유전자증폭을 위한 별도의 과정을 생략하는 한편, 높은 생산성을 달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잘 알려진 퓨전단백질을 목적유전자로 사용해 도달한 결과로서 본 발명을 통해 도출된 동물세포 발현벡터의 생산성이 기존 업계의 평균치를 높은 수준으로 뛰어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in Table 3, cell line 46 recorded a maximum productivity of 5.09 g per volume and 94.0% viable cell density for 17 days under the same condition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predicted that if the culture is continued for 2-3 days additionally, the productivity of up to 6 g/L can be achieved while the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at 80% or more, which is a separate process for gene amplific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using a fusion protein, which is well known to be very difficult to achieve high productivity, as a target gene, the productivity of the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deriv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exceeds the average value of the existing industry to a high level. could check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looked 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다음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MAR 인자, SAR 인자 및 인슐레이터 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 promote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promoters regulating select mark gene expression;
One or mor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R factors, SAR factors and insulator fac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SV40 프로모터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is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rived from the SV40 promo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선별마크 유전자의 발현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minimizes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AR 인자는 beta-globin MAR 또는 chicken lysozyme M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The MAR factor is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haracterized in that beta-globin MAR or chicken lysozyme M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R 인자는 CSP-B SAR 또는 interferon beta S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AR factor is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SP-B SAR or interferon beta S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 인자는 닭 라이소자임 인슐레이터(chicken lysozyme insul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nsulator factor is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cken lysozyme insulator (chicken lysozyme insu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 증가 인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3' 말단, 또는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과 3' 말단 양측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The gene expression increasing factor is located at either the 5' end, the 3' end of the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or on both the 5' and 3' ends of the promoter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Characterized,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AR 인자가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에 2 카피(copies)가 위치하거나, 상기 SAR 인자가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또는 3' 말단에 2 카피(copies)가 위치하거나, 상기 MAR 인자 및 SAR 인자가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의 5' 말단 또는 3' 말단에 각각 1 카피(copy)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8. The method of claim 7,
Two copies of the MAR factor are located at the 5' end of the promote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or 2 copies (copies) of the SAR factor at the 5' or 3'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 copies), or wherein the MAR factor and the SAR factor are located at the 5' end or 3' end of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characterized in that each 1 copy (copy) is located,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CMV, SV40 프로모터 또는 EF1-alph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gene is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MV, SV40 promoter or EF1-alph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마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는 puromycin 유전자, neomycin 유전자, blasticidin 유전자, hygromycin 유전자, zeocin 유전자, glutamine synthetase 유전자 또는 DFHFR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세포 발현벡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mote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selection mark gene is a puromycin gene, a neomycin gene, a blasticidin gene, a hygromycin gene, a zeocin gene, a glutamine synthetase gene, or a DFHFR gene, an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세포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동물세포. A recombinant animal cell transformed with the 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동물세포는 CHO 세포, Hela 세포, BHK 세포, NIH/3T3 세포, COS-1 세포, COS-7 세포, CHO-K1 세포, DG44 세포, NS0 세포 또는 HEK293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동물세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combinant animal cells are CHO cells, Hela cells, BHK cells, NIH/3T3 cells, COS-1 cells, COS-7 cells, CHO-K1 cells, DG44 cells, NS0 cells or HEK293 cells. cell.
KR1020190174466A 2019-12-24 2019-12-24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KR202100819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66A KR20210081989A (en) 2019-12-24 2019-12-24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66A KR20210081989A (en) 2019-12-24 2019-12-24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89A true KR20210081989A (en) 2021-07-02

Family

ID=7689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466A KR20210081989A (en) 2019-12-24 2019-12-24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9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925B1 (en) Novel regulatory elements
US10563223B2 (en) Intergenic elements for enhancing gene expression
EA010863B1 (en) Selection of host cells expressing protein at high levels
JP5835636B2 (en) Expression vector and antibody high productivity cell for establishment of antibody high productivity cell
CN100381573C (en) System and method of mammalian cell strain for fast constructing target gene high expression
US7968700B2 (en) Expression augmenting DNA fragments, use thereof, and methods for finding thereof
KR101608225B1 (en) Novel recombination sequences
KR20210081989A (en) Expression vector for animal cell
KR101160048B1 (en) A method for an effeicient selection of cell line producing foreign proteins
EP1144611A2 (en) Method for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in mammalian cells comprising co-expression with fetuin
EP1957660B1 (en) Materials and methods to increase peptide chain expression
US9085627B2 (en) Expression system with SAR element from IFNα2
KR100450266B1 (en) Bicistronic vector for gene-expression by animal cell, the cell line thereof, and the preparation method for antibody peptide thereof
US11781146B2 (en) Vector including a translation-impaired dihydrofolate reductase gene cassette and ubiquitously acting chromatin opening element
WO2016151599A1 (en) A bigenic mammalian expression v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