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262A -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method thereof and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method thereof and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262A
KR20210081262A KR1020200177197A KR20200177197A KR20210081262A KR 20210081262 A KR20210081262 A KR 20210081262A KR 1020200177197 A KR1020200177197 A KR 1020200177197A KR 20200177197 A KR20200177197 A KR 20200177197A KR 20210081262 A KR20210081262 A KR 20210081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re
lidar scanning
loc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238B1 (en
Inventor
정경진
조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론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론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론네트워크
Publication of KR2021008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2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a method thereof and a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termination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first processing part for adjusting and reducing the object size of the 3D data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 second processing part for adjusting and reducing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nd a transmitting for transmitting the adjusted dat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fer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an application.

Description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method thereof and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method thereof and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 smart fire alarm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최근 재난은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어 더욱더 고도화된 기술 지원에 의한 문제 해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선제적이고 지능화된 문제 해결을 위해 ICT와 같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이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구축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재난 안전 및 생활 안전 서비스 제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disaster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ex, and the need to solve problems through more advanced technical support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t is urgently required to provide disaster safety and life safety services that citizens can experienc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mart cities and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ICT to solve preemptive and intelligent problems.

한편, GPS 수신이 어려운 실내 또는 지하공간에서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사전에 라이다 센서로 건물을 스캐닝한 3D 데이터를 구축하여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라이다 센서를 드론에 장착하여 건물을 촬영함으로써, 사람이 직접 라이다 센서를 들고 다니면서 촬영할 필요 없고, 다양한 각도에서 또한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대한 촬영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case a disaster occurs indoors or underground where GPS reception is difficult, a method of constructing 3D data scanned with a lidar sensor in advance and utilizing it is being attempted. By attaching a lidar sensor to a drone to photograph a building, it is not necessary for a person to take a picture while carrying the lidar sensor, and it is possible to shoot from various angles and in place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by humans.

그러나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는 몇 차례 가공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전송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관리자 및 소방관계자에게 건물 내의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lidar scanning 3D data has to go through several processing steps,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mit as well as increases the data capac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for a smart fire alarm system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in a building to users, managers, and firefighters using this.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객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정점 및 면의 수를 감소시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켜 애플리케이션으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an object or reduce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to reduce the capacity of lidar scanning 3D data to efficiently transmit it to an applic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을 통해 정확한 발화 위치를 전파하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피경로 및 비상장비 위치, 진입경로 등을 공유하여 보다 신속한 인명구조가 가능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fire alarm system that allows more rapid lifesaving by propagating the exact ignition location through mobile and sharing the evacuation route, emergency equipment location, and entry route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and We want to provide that method.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1처리부;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3D 데이터의 정점 및 면의 수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2처리부; 및 상기 조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first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decrease the object size of the 3D data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second processing unit that adjusts to reduce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3D data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there is provided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djusted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처리부는 상기 3D 데이터의 스케일을 조정하고 스케일 조정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may adjust the scale of the 3D data and extract the scaled 3D format fi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3D 데이터의 정점과 면을 추출하고 정점과 면의 수를 조정하여 용량감소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processing unit extracts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and adjusts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to extract the reduced capacity 3D format fi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객체의 크기를 감소함에 따라 객체 품질이 변화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preset value so that object quality does not change as the size of the object is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건물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반 및 CCTV를 통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현장모니터링부; 화재가 확인되면 해당 건물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소방서 서버 및 소방서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화재상황을 알리는 화재경보 처리부; 화재가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별 대피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대피경로 안내부; 해당 건물 내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미대피자 현황을 산출하는 미대피자 확인부; 해당 건물의 입구로부터 상기 화재 위치 또는 상기 미대피자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하는 진입경로 안내부; 및 해당 건물에 대하여 사전에 구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sit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location through the fire detection panel and CCTV installed in the building; a fire alarm processing unit that notifies a fire situation to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building, a fire station server, and a fire station terminal when a fire is identified; an evacuation route guide unit for calculating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gu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an evacuated evacuation confirmation unit that obtain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building and calculates the evacuated evacuation status; an access route guide unit for calculating a route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the unevacuated evacuation and guiding the terminal to the fire station; And a smart fire alarm system comprising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for processing information guid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built in advance for the building.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대피자 확인부는 해당 건물내 미리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vacuated evacuation confirmation unit may confir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a display unit installed in advance in the bui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1처리 단계;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3D 데이터의 정점 및 면의 수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2처리 단계; 및 상기 조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first processing step of adjusting the object size of the 3D data to be reduced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second processing step of adjusting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to be reduced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there is provided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djusted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처리 단계는 상기 3D 데이터의 스케일을 조정하고 스케일 조정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step may include adjusting the scale of the 3D data and extracting the scaled 3D format fi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처리 단계는 상기 3D 데이터의 정점과 면을 추출하고 정점과 면의 수를 조정하여 용량감소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processing step extracts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and adjusts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to extract a 3D format file with reduced capacit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객체의 크기를 감소함에 따라 객체 품질이 변화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preset value so that object quality does not change as the size of the object is re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반 및 CCTV를 통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화재가 확인되면 해당 건물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소방서 서버 및 소방서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화재상황을 알리는 단계; 화재가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별 대피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대피경로 안내단계; 해당 건물 내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미대피자 현황을 산출하여 확인하는 단계; 해당 건물의 입구로부터 상기 화재 위치 또는 상기 미대피자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하는 진입경로 안내단계; 및 상술한 바와 같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건물에 대하여 사전에 구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ing the location through the fire detection panel and CCTV installed in the building; When a fire is confirmed, the step of notifying the fire situation to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building, a fire station server, and a fire station terminal;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step of calculating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guiding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building, calculating and confirming the evacuation status; an entrance route guidance step of calculating a route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the unevacuated evacuation and guiding the terminal to the fire station; and using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processing information guid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built in advance for the building A smart fire alarm method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해당 건물내 미리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hecking may include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a display unit installed in advance in the buil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은 객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정점 및 면의 수를 감소시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켜 애플리케이션으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an object or reduce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to reduce the capacity of LIDAR scanning 3D data to efficiently transmit it to an application.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모바일을 통해 정확한 발화 위치를 전파하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피경로 및 비상장비 위치, 진입경로 등을 공유하여 보다 신속한 인명구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fire alarm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agate the exact ignition location through mobile and share the evacuation route, emergency equipment location, and entry route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make it faster There is a possible lifesav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및 소방서 서버 또는 소방서 단말의 연동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례로서, (a)화재발생 구역 정보, (b)대피경로 정보 및 (c)비상장비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객체 크기 조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로서, (a)감소전 및 (b)감소후의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정점 및 면의 수 조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로서, (a)감소전 및 (b)감소후의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스케일 조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정점 및 면 수의 조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working of a smart fire alarm system and a user terminal and a fire station server or a fire st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user application provided by a smart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ire area information, (b)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nd (c) emergency equipment location information; is the screen
4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anager application provided by a smart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the object size-adjusted lidar scanning 3D data in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fore and (b) an exampl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after reduction to be.
6 is an example of lidar scanning 3D data with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adjusted in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fore and (b) after reduction in lidar scanning 3D; This is an example of data.
7 is a flowchart of a smart fire alar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scale adjustment procedure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of a procedure for adjusting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3D data for lidar scan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scop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as to more fully and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of those specified.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and/or regio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parts, regions, layers and/or reg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 These terms do not imply a specific order, upper and lower, or superiority,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Accordingly, a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r”, “at least one”, etc.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and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both A and B.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variations of the illustrated shape may be expected, for example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shown in this specificatio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a change in shape caused b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및 소방서 서버 또는 소방서 단말의 연동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working of a smart fire alarm system and a user terminal and a fire station server or a fire st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건물(2)에 재난이 발생할 경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에 의해 신속하게 경보 및 재난정보를 3D 그래픽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모바일을 통해 재난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 3D 건축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난경로 및 안전시설 위치정보, 조난자 구조정보 등을 건물관리자 및 소방서에 전달하여 신속한 인명구조 및 재난방재를 가능케 함으로써, 인명피해 및 시설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특정 건물(2)에 설치된 시스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지역별로 설치된 시스템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is a system for quickly delivering alarms and disaster information in 3D graphics by a mobile application user when a disaster occurs in a building 2, and provides a disaster situation through mobile. In order to minimize human casualties and facility destruction by disseminating it quickly, and enabling rapid lifesaving and disaster prevention by delivering information on evacuation routes, safety facility location, and rescue information to the building manager and fire department based on 3D building model data. it is a system Her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be a system installed in a specific building 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ystem installed in a specific region.

사용자 단말(10)은 건물(2) 내에 사용하는 상주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10)은 건물(2)의 관리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건물(2)의 상주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에 사전에 등록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은 현재 건물(2) 내에 진입된 미등록 사용자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은 임시로 또는 일시적으로 건물(2)에 출입한 방문객이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mobile device carried by a resident user used in the building 2 .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manager of the building 2 . Her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as a resident user or manager of the building 2 . Optionally,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n unregistered user who has entered the current building 2 . That is,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mobile device carried by a visitor who temporarily or temporarily enters the building 2 .

소방서 서버(20)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으로부터 화재경보를 수신하고 화재 알람과 함께 화재진압을 계획하고 수행하도록 통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소방서 서버(20)는 해당 건물(2) 또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의 관할 지역의 인근 소방서에 설치되거나, 통합 관제소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The fire station server 2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 fire alarm from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and controls to plan and perform fire suppression together with the fire alarm. The fire station server 20 may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2 or a nearby fire station in the jurisdiction of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or may be installed in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소방서 단말(30)은 소방서 서버(20)를 통하여 화재진압을 통제받는 소방관계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때, 소방서 단말(30)은 현장 직접 출동하는 소방관계자에게 건물(2)의 화재정보 또는 진입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may be a mobile device carried by a firefighter who is controlled by fire suppression through the fire station server 20 . In this case,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may be a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ire information or entry information of the building 2 to firefighters who are directly dispatched to the scene.

여기서, 사용자 단말(10) 및 소방서 단말(30)은 휴대가 가능하며 컴퓨팅(computing)이 가능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 및 소방서 단말(3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으로부터 대피경로 정보 또는 진입경로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 및 소방서 단말(30)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휴대폰(mobilepho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may b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computing. Here,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or an entry route from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by a dedicated application. In one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are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 net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It may be a mobile phone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모바일을 통해 정확한 발화 위치를 전파하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피경로, 비상장비 위치, 및 진입경로 등을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과 공유하여 보다 신속한 인명구조가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agates an accurate ignition loc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and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an emergency equipment location, and an entry route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the user terminal. (10) or by sharing with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more rapid lifesaving is possible.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화재감지반(110), CCTV(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e detection panel 110 , a CCTV 120 , a communication unit 130 , a control unit 140 , and a database 150 . can do.

화재감지반(110)은 해당 건물(2) 내에 설치된 것으로 화염, 발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감지반(110)은 화재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반(110)은 건물(2) 내의 각 층별, 각 사무실 별로 구비된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경종 등에 의해 화재 경보를 알릴 수 있다. 이때, 화재감지반(110)은 제어부(140)로 화재 감지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is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and can detect flames, ignition, and the like. Here,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may include a fire detection sensor.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may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a detection sensor provided for each floor and each office in the building 2 and, when a fire is detected, may notify a fire alarm by an alarm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may transmit whether a fire is detected to the control unit 140 .

CCTV(120)는 해당 건물(2) 내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여기서, CCTV(120)는 화재감지반(110)과 연동하여 구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화재감지반(11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CCTV(120)는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부(140)로 현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CTV 120 may be a camera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with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 Here, the CCTV 120 may be install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 For example, when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detects a fire, the CCTV 120 may transmit fiel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40 to monitor the corresponding location.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10), 소방서 서버(20) 및 소방서 단말(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3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와이파이(WiFi)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 , the fire station server 20 , and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5th generation communication (5G),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long term evolution (LTE),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e (BL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Fi.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40)는 화재감지반(110), CCTV(120), 통신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제어하여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현장모니터링부(141), 화재경보 처리부(142), 대피경로 안내부(143), 미대피자 확인부(144), 진입경로 안내부(145) 및 3D 데이터 처리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by controlling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 the CCTV 120 , the communication unit 130 , and the database 150 . Here,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site monitoring unit 141 , a fire alarm processing unit 142 , an evacuation route guide 143 , an unevacuated evacuation check unit 144 , an entry route guide 145 , and a 3D data processing unit 146 . ) may be included.

현장모니터링부(141)는 건물(2) 내에 설치된 CCTV(120)를 통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현장모니터링부(141)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한 발화위치 신고를 통신부(130)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화재감지반(110)으로부터 화재경보를 수신하면, 해당 발화 위치에 대응하는 CCTV(120)를 통하여 실제 현장을 모니터링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on-site monitoring unit 141 may monitor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rough the CCTV 120 installed in the building 2 . At this time, when the on-site monitoring unit 141 receives a fire location report by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or receives a fire alarm from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the CCTV 120 corresponding to the fire location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fire exists by monitoring the actual site.

화재경보 처리부(142)는 현장모니터링부(141)에 의해 화재가 확인되면, 해당 건물(2)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 소방서 서버(20) 및 소방서 단말(30) 중 적어도 하나로 화재상황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건물(2)에 상주 인원 등과 같이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건물(2) 내에 임시 또는 일시적으로 입장한 방문객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소방서 서버(20)는 미리 연계된 소방서의 서버일 수 있다. 소방서 단말(30)은 해당 소방서 서버(20)에 소속된 소방관계자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때, 화재경보 처리부(142)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화재경보를 알람할 수 있다.When a fire is confirmed by the on-site monitoring unit 141, the fire alarm processing unit 142 reports a fire situation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10, the fire station server 20, and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located in the building 2 can inform Her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mobile device of a user registered in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such as a person resident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 Also,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mobile device of a visitor who temporarily or temporarily enters the building 2 . In addition, the fire station server 20 may be a server of a fire station linked in advance.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may be a mobile device of a firefighter belonging to the fire station server 20 . In this case, the fire alarm processing unit 142 may alarm the fire alarm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대피경로 안내부(143)는 화재가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별 대피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으로 대피경로의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대피경로 안내부(143)는 화재가 확인된 위치와 비상구를 기반으로 각 위치별 대피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대피경로 안내부(143)는 건물(2) 내에서 대피경로의 안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로부터 비상구 또는 건물(2) 출구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대피경로 안내부(143)는 대피경로 또는 사용자 단말(10)의 주변의 비상장비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10)로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비상장비는 소화기, 완강기, 소화전 또는 비상구일 수 있다.The evacuation route guide unit 143 may guide the user terminal 10 by calculating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e is confirmed.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 may request guidance of an evacuation route to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 Here, the evacuation route guide unit 143 may calculate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e is confirmed and the emergency exit. As an example, the evacuation route guide unit 143 calculates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requesting guidance of the evacuation route within the building 2 to the emergency exit or the exit of the building 2 to the user terminal 10 can be guided by In this case, the evacuation route guide unit 143 may guide the evacuation route or the location of emergency equipment around the user terminal 10 to the user terminal 10 . As an example, the emergency equipment may be a fire extinguisher, a fire extinguisher, a fire hydrant, or an emergency ex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례로서, (a)화재발생 구역 정보, (b)대피경로 정보 및 (c)비상장비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3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user application provided by a smart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ire area information, (b)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nd (c) emergency equipment location information; is the screen

도 3을 참조하면, 현장모니터링부(141)가 화재발생 구역을 확인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건물(2) 화재발생 구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의 화재위치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on-site monitoring unit 141 confirms the fire area, the user terminal 10 may display the fire area of the building 2 so that the loc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a). ).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fir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to the user terminal 10 .

아울러, 대피경로 안내부(143)가 특정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위치로부터 비상구 또는 건물(2) 출구까지의 대피경로를 산출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위치로부터의 대피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의 대피경로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vacuation route guide unit 143 calculates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corresponding location to the emergency exit or the building 2 exi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pecific user terminal 10, the user terminal 10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to confirm the evacuation route from (b).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evacuation route in the building 2 to the user terminal 10 .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주변의 비상장비의 위치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c). 여기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에서 비상장비 위치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 ma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nearby emergency equipment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c). Her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location of emergency equipment in the building 2 to the user terminal 1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례이다. 4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anager application provided by a smart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현장모니터링부(141)가 화재발생 구역을 확인하면, 관리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건물(2) 화재발생 구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에서 화재발생 위치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현장모니터링부(141)는 화재 위치의 CCTV(120) 영상을 관리지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4, when the on-site monitoring unit 141 confirms the fire area, the user terminal 10 possessed by the manager displays the fire area of the building 2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At this tim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location of the fire in the building 2 to the user terminal 10 . At the same time, the on-site monitoring unit 141 may transmit the CCTV 120 image of the fire loc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of the management sit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미대피자 확인부(144)는 해당 건물(2) 내의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획득하여 미대피자 현황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건물(2) 내와 같은 실내에서는 GPS에 의한 위치 확인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미대피자 확인부(144)는 해당 건물(2) 내에 미리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미대피자 확인부(144)는 해당 건물(2)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별 현황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0), 소방서 서버(20) 또는 소방서 단말(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의 미대피자 위치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evacuated evacuation check unit 144 may obtai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to calculate the unaided evacuation status. Here, since it is not easy to check the location by GPS in an indoor such as in the building 2 , the evacuated evacuation check unit 144 check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by the display unit installed in advance in the building 2 . can Therefore, the evacuated evacuation confirmation unit 144 calcul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 existing in the building 2 by location, and selects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10, the fire station server 2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can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location of the evacuated evacuation unit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to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여기서, 표시부는 위치정보가 담긴 QR마크 혹은 비콘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이 표시부를 인식시키면, 해당 위치를 확인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장소나 위치에 대한 QR마크나 비콘을 미리 인식시켜 사용자 단말(10)에 저장해 둠으로써 상황발생시 대피경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be a QR mark or a beacon device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the user terminal 10 recognizes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rresponding location to create an evacuation route and store it in the user terminal 10 . Therefore, by pre-recognizing a QR mark or beacon for a place or locatio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nd storing it in the user terminal 10, the evacuation route can be quickly confirmed when a situation occurs.

진입경로 안내부(145)는 해당 건물(2)의 입구로부터 화재 위치 또는 미대피자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소방서 단말(3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소방서 단말(30)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으로 특징 입구로부터의 진입경로의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진입경로 안내부(145)는 화재 위치, 또는 고립된 미대피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진입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대피경로 안내부(143)는 건물(2)의 특정 입구로부터 화재 위치 또는 미대피자의 위치까지의 진입경로를 산출하여 해당 소방서 단말(30)로 안내할 수 있다.The entry route guide unit 145 may guide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by calculating a route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2 to the location of a fire or an unevacuated location. In this case,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may reques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to guide the entrance route from the feature entrance. Here, the access route guide unit 145 may calculate the access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the isolated unevacuated evacuation. As an example, the evacuation route guide unit 143 may calculate an access route from a specific entrance of the building 2 to a fire location or a location of an unevacuated evacuation station to guide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해당 건물에 대하여 사전에 구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안내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즉,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2) 내의 정보를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is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ased on the previously constructed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corresponding building, the user terminal ( 10) or information guided to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may be processed. That is,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is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so as to graphically display the information in the building 2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It can process the transmitted lidar scanning 3D data.

먼저,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촬영 시간 및 면적에 대비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를 감소함에 따라 객체 품질이 변화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First,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ma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30 exceeds a reference value in relation to the photographing time and area. Her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preset value so that the object quality does not change as the siz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lidar scanning 3D data is reduced.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촬영 시간 및 면적에 대비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면,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감소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3D 데이터의 스케일을 조정하고 스케일 조정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3D 포맷 파일은 색상, 반사 및 투명도, UV좌표, 표면 법선, 좌표 등 다양한 속성과 데이터를 포함하며, OBJ, GLTF, GLB, DAE, STL와 같은 다양한 확장자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relation to the shooting time and area,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adjusts the object size of the 3D data to decrease. can In this case,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may adjust the scale of the 3D data and extract the scaled 3D format file. Here, the 3D format file includes various properties and data such as color, reflection and transparency, UV coordinates, surface normals, and coordinates, and may have various extensions such as OBJ, GLTF, GLB, DAE, and ST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객체 크기 조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로서, (a)감소전 및 (b)감소후의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이다. 5 is an example of the object size-adjusted lidar scanning 3D data in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an exampl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before reduction and (b) after reduction to be.

도 5를 참조하면, (a)와 같은 원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는 STL 파일일 수 있다. (b)와 같은 스케일이 조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는 원본에 비하여 수치를 0.5로 지정함으로써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이때, 크기가 감소된 파일을 STL 파일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b)의 이미지는 (a)의 이미지에 대하여 크기가 절반으로 감소하였지만 객체의 품질은 전혀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original lidar scanning 3D data as shown in (a) may be an STL file. The scaled lidar scanning 3D data as shown in (b) can be reduced in size by half by specifying a value of 0.5 compared to the original. In this case, the reduced size file may be extracted as an STL file.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of (b) is reduced in size by half compared to the image of (a), but the quality of the object does not change at all.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촬영 시간 및 면적에 대비하여 기준값 이하이면,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3D 데이터의 정점 및 면의 수를 감소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3D 데이터의 정점과 면을 추출하고 정점과 면의 수를 조정하여 용량감소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If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n relation to the shooting time and area,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reduces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can be adjusted to In this case,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may extract the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and adjust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to extract the 3D format file with reduced capacit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정점 및 면의 수 조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로서, (a)감소전 및 (b)감소후의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예이다. 6 is an example of lidar scanning 3D data with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adjusted in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fore and (b) after reduction in lidar scanning 3D; This is an example of data.

도 6을 참조하면, (a)와 같은 원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는 STL 파일일 수 있다. 일례로, (a)는 76,689개의 정점과 153,412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b)와 같은 조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는 원본에 비하여 정점 및 면의 목표 수(퍼센트 0.1, 즉, 현재의 10%)에 따라 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b)는 7,662개의 정점과 15,336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점과 면의 수가 감소하였기 때문에 객체의 품질이 저하되었지만 용량이 10%로 감소한 것에 비해 품질이 크게 감소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용량 감소된 파일을 STL 파일로 추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original lidar scanning 3D data as shown in (a) may be an STL file. As an example, (a) may include 76,689 vertices and 153,412 faces. The adjusted lidar scanning 3D data as shown in (b) may be reduced in capacity according to the target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percent 0.1, that is, 10% of the current) compared to the original. (b) may contain 7,662 vertices and 15,336 face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 quality of the object deteriorated because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decreased, the quality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10% reduction in capacity. Here, the reduced-capacity file can be extracted as an STL file.

이때,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스케일 조정되거나 용량감소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통신부(13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may transmit the scaled or reduced capacity lidar scanning 3D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

한편,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시화하기 위해 웹뷰(webview)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가시화를 위한 HTML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D 데이터 처리부(146)는 HTML 파일을 안드로이드 웹뷰를 통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Meanwhile,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may apply a webview to visualize the lidar scanning 3D data in a dedicated application. Here,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may generate the lidar scanning 3D data as an HTML file for visualization. Also, the 3D data processing unit 146 may visualize the HTML file through the Android web view.

데이터베이스(150)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152) 및 관계기관 정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152)는 해당 건물에 대하여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구축된 3D 데이터일 수 있다. 아울러,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152)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해 화재 대응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3D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화재 대응관련 정보는 대피경로 정보, 진입경로 정보, 미대피자 현황, 화재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계기관 정부(154)는 소방서 서버(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include lidar scanning 3D data 152 and government agencies 154 . The lidar scanning 3D data 152 may be 3D data previously built using a lidar sensor for a corresponding building. In additi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152 may be 3D data including fire response rel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Here, the fire respons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entry route information, unevacuated evacuation status, fir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related agency government 154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fire station server 20 .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웹뷰 방식으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시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apacity of lidar scanning 3D data and efficiently transmit it to a mobile application. Therefore,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may visualize the lidar scanning 3D data in a web view method in a dedicated application.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 fire alarm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of a smart fire alar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200)은 화재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단계(S210 및 S220), 화재 알림 단계(S230), 화재위치 산출 및 대피경로 안내 단계(S240 및 S250), 및 미대피자 위치확인 및 진입경로 안내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fire alarm method 200 includes steps for detecting and judging a fire (S210 and S220), a fire notification step (S230), calculating a fire location and guiding an evacuation route (S240 and S250), and checking the location of an unevacuated and an entry route It may include a guide step (S27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건물(2) 내의 화재를 감지한다(단계 S210).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에 의한 발화위치 신고를 수신하거나 건물(2)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반(110)으로부터 화재경보를 수신함으로써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firs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detects a fire in the building 2 (step S210). At this tim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detect a fire by receiving a fire location report by the user terminal 10 or by receiving a fire alarm from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installed in the building 2 .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건물(2)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반(110) 및 CCTV(120)를 통하여 해당 발화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를 판단한다(단계 S220).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화재 감지에 따른 해당 위치의 CCTV(120)를 확인할 수 있다. 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onitors the fire location through the fire detection panel 110 and the CCTV 120 installed in the building 2 to determine a fire (step S220). At this tim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check the CCTV 120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fire detection.

다음으로, 화재가 확인되면,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 소방서 서버(20) 및 소방서 단말(30) 중 적어도 하나로 화재상황을 알린다(단계 S230).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화재경보를 알람할 수 있다.Next, when a fire is confirmed,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notifies the fire situation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10, the fire station server 20, and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located in the building 2 (step S230). ).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alert the fire alarm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화재위치를 산출한다(단계 S240). 여기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CCTV(120)로부터 확인된 화재위치를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상에서 표시하도록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의 화재위치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calculates the fire location (step S240). Her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calculate the fire location identified from the CCTV 120 to be display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fir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to the user terminal 10 .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화재가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별 대피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안내한다(단계 S250).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으로 대피경로의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화재가 확인된 위치와 비상구를 기반으로 각 위치별 대피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100)은 건물(2) 내에서 대피경로의 안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로부터 비상구 또는 건물(2) 출구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대피경로 또는 사용자 단말(10)의 주변의 비상장비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10)로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비상장비는 소화기, 완강기, 소화전 또는 비상구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의 대피경로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calculates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e is confirmed and guides it to the user terminal 10 (step S25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 may request guidance of an evacuation route to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 Her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calculate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e is confirmed and the emergency exit. As an exampl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calculates the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requesting guidance of the evacuation route within the building 2 to the emergency exit or the building 2 exit, and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 can be guided by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guide the evacuation route or the location of emergency equipment around the user terminal 10 to the user terminal 10 . As an example, the emergency equipment may be a fire extinguisher, a fire extinguisher, a fire hydrant, or an emergency exit.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evacuation route in the building 2 to the user terminal 10 .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의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획득하여 미대피자 현황을 산출하여 확인한다(단계 S260). 여기서, 건물(2) 내와 같은 실내에서는 GPS에 의한 위치 확인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에 미리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별 현황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0), 소방서 서버(20) 또는 소방서 단말(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 내의 미대피자 위치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obtain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calculates and confirms the evacuation status (step S260). Here, since it is not easy to check the location by GPS indoors, such as in the building 2 ,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check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by the display unit installed in advance in the building 2 . can Therefor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calculates the status of each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existing in the building 2 , and uses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10 , the fire station server 20 ,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can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location of the evacuated evacuation unit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2 to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여기서, 표시부는 위치정보가 담긴 QR마크 혹은 비콘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이 표시부를 인식시키면, 해당 위치를 확인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장소나 위치에 대한 QR마크나 비콘을 미리 인식시켜 사용자 단말(10)에 저장해 둠으로써 상황발생시 대피경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be a QR mark or a beacon device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the user terminal 10 recognizes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rresponding location to create an evacuation route and store it in the user terminal 10 . Therefore, by pre-recognizing a QR mark or beacon for a place or locatio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nd storing it in the user terminal 10, the evacuation route can be quickly confirmed when a situation occurs.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의 입구로부터 화재 위치 또는 미대피자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소방서 단말(30) 안내한다(단계 S270). 이때, 소방서 단말(30)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으로 특징 입구로부터의 진입경로의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화재 위치, 또는 고립된 미대피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진입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건물(2)의 특정 입구로부터 화재 위치 또는 미대피자의 위치까지의 진입경로를 산출하여 해당 소방서 단말(30)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해당 건물(2)에 대한 진입경로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calculates a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2 to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the evacuated evacuation station and guides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step S270). In this case,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may reques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to guide the entrance route from the feature entrance. Her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calculate the entry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the isolated evacuated evacuation. For exampl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calculate an access path from a specific entrance of the building 2 to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an evacuated evacuation station, and guide it to the corresponding fire station terminal 30 . Her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for the access route to the building 2 to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of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300)은 해당 건물(2)에 대하여 사전에 구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안내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선택하고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310 및 S320),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조정하는 단계(S330 및 S340) 및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단계 S3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300 processes and transmits information guid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built in advance for the building 2 . For this purpose, the steps of selecting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and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S310 and S320), adjusting the lidar scanning 3D data (S330 and S340), and transmitting the lidar scanning 3D data (step S350) ) may be includ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310). 여기서,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는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200)의 화재 알림(단계 S230), 대피경로 안내(단계 S250), 미대피자 위치 확인(단계 S260) 및 진입경로 안내(단계 S270)를 위해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firs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selects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step S310). Here,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is for fire notification (step S230), evacuation route guidance (step S250), unevacuated evacuation location confirmation (step S260) and entry route guidance (step S270) of the smart fire alarm method 200. It may be any one of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촬영 시간 및 면적에 대비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20). 여기서, 기준값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를 감소함에 따라 객체 품질이 변화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in relation to the shooting time and area (step S320). Her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preset value so that the object quality does not change as the siz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lidar scanning 3D data is reduced.

단계 S320의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촬영 시간 및 면적에 대비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면,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조정한다(단계 S33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20, if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department terminal 3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relation to the shooting time and area,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provides the 3D data Adjust the object size of (step S330).

단계 S320의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촬영 시간 및 면적에 대비하여 기준값 이하이면,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3D 데이터의 정점 및 면의 수를 조정한다(단계 S34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20, if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3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n relation to the shooting time and area,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is Adjust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step S340).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조정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전송한다(단계 S350).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객체의 스케일이 조정되거나 용량 감소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transmits the adjusted data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30 (step S350).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transmit the lidar scanning 3D data of which the scale of the object is adjusted or the capacity is reduc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스케일 조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of a scale adjustment procedure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스케일 조정 절차(330)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선택 단계S331),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스케일 조정 단계(S332) 및 스케일 조정된 데이터 파일 추출 단계(S3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ale adjustment procedure 330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includes a lidar scanning 3D data selection step S331 , a scale adjustment step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 S332 ), and a scaled data file extraction step ( S333 ) can do.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331). 이때,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 또는 소방서 단말(30)로 안내할 정보에 대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 firs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selects lidar scanning 3D data (step S331). In this cas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select lidar scanning 3D data for information to be guid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30 .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3D 데이터의 스케일을 감소하도록 조정한다(단계 S332). 일례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원본에 비하여 수치를 0.5로 지정함으로써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adjusts to reduce the scale of the 3D data (step S332). For exampl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reduce the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by half by designating the value as 0.5 compared to the original.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스케일 조정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한다(단계 S333). 여기서, 3D 포맷 파일은 색상, 반사 및 투명도, UV좌표, 표면 법선, 좌표 등 다양한 속성과 데이터를 포함하며, OBJ, GLTF, GLB, DAE, STL와 같은 다양한 확장자를 가질 수 있다.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extracts the scaled 3D format file (step S333). Here, the 3D format file includes various properties and data such as color, reflection and transparency, UV coordinates, surface normals, and coordinates, and may have various extensions such as OBJ, GLTF, GLB, DAE, and STL.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정점 및 면 수의 조정 절차의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of a procedure for adjusting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3D data for lidar scan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의 정점 및 면 수의 조정 절차(340)는 정점과 면을 추출하는 단계(S341), 정점과 면의 수를 조정하는 단계(S342) 및 용량조정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S3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ment procedure 340 of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extracting the vertices and faces (S341), adjusting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S342), and extracting the adjusted file It may include step S343.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정점과 면을 추출한다(단계 S34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 firs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extracts vertices and surfaces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step S341).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정점과 면의 수를 감소하도록 조정한다(단계 S342). 일례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원본에 비하여 정점 및 면의 목표 수(퍼센트 0.1, 즉, 현재의 10%)에 따라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할 수 있다.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adjusts to reduce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step S342). As an example,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may reduce the capacity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according to the target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percent 0.1, that is, 10% of the current) compared to the original.

다음으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은 용량감소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한다(단계 S343).Next,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extracts the reduced capacity 3D format file (step S343).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또는 이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ethods may be implemented by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device as shown in FIG. 3 or the smart fire alarm system 100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performing these steps, , in this case, these programs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mbined with a carrier wave in a transmission medium or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110 : 화재감지반 120 : CCTV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141 : 현장모니터링부 142 : 화재경보 처리부
143 : 대피경로 안내부 144 : 미대피자 확인부
145 : 진입경로 안내부 146 : 3D 데이터 처리부
150 : 데이터베이스 152 :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154 : 관계기관 정보 10 : 사용자 단말
20 : 소방서 서버 30 : 소방서 단말
100: smart fire alarm system
110: fire detection panel 120: CCTV
130: communication unit 140: control unit
141: field monitoring unit 142: fire alarm processing unit
143: evacuation route guidance unit 144: unevacuated evacuation confirmation unit
145: access route guide 146: 3D data processing unit
150: database 152: lidar scanning 3D data
154: related organization information 10: user terminal
20: fire station server 30: fire station terminal

Claims (12)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1처리부;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3D 데이터의 정점 및 면의 수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2처리부; 및
상기 조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first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reduce the object size of the 3D data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second processing unit that adjusts to reduce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3D data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djusted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부는 상기 3D 데이터의 스케일을 조정하고 스케일 조정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cessing unit adjusts the scale of the 3D data and extracts the scaled 3D format fil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3D 데이터의 정점과 면을 추출하고 정점과 면의 수를 조정하여 용량감소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rocessing unit extracts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and adjusts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to extract a 3D format file with reduced capa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객체의 크기를 감소함에 따라 객체 품질이 변화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값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in advance so that object quality does not change as the size of the object is reduced.
건물 내에 설치된 CCTV를 통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현장모니터링부;
화재가 확인되면 해당 건물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소방서 서버 및 소방서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화재상황을 알리는 화재경보 처리부;
화재가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별 대피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대피경로 안내부;
해당 건물 내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미대피자 현황을 산출하는 미대피자 확인부;
해당 건물의 입구로부터 화재 위치 또는 상기 미대피자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하는 진입경로 안내부; 및
해당 건물에 대하여 사전에 구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On-sit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location through CCTV installed in the building;
a fire alarm processing unit that notifies a fire situation to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a fire station server, and a fire station terminal located in the building when a fire is confirmed;
an evacuation route guide unit for calculating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gu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an evacuated evacuation check unit that obtain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building and calculates the evacuated status;
an access route guide unit for calculating a route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the unevacuated evacuation and guiding the terminal to the fire station; and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or processing information guid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built in advance for the building A smart fire alarm system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대피자 확인부는 해당 건물내 미리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mart fire alarm system for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the display unit installed in advance in the building the evacuation confirmation unit.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1처리 단계;
상기 전송할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의 객체 크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3D 데이터의 정점 및 면의 수를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제2처리 단계; 및
상기 조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first processing step of adjusting the object size of the 3D data to be reduced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a second processing step of adjusting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of 3D data to be reduced when the object size of the lidar scanning 3D data to be transmitt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djusted dat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 단계는 상기 3D 데이터의 스케일을 조정하고 스케일 조정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processing step is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djusting the scale of the 3D data and extracting the scaled 3D format fi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 단계는 상기 3D 데이터의 정점과 면을 추출하고 정점과 면의 수를 조정하여 용량감소된 3D 포맷 파일을 추출하는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processing step is a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extracting a 3D format file with reduced capacity by extracting vertices and faces of the 3D data and adjusting the number of vertices and fa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객체의 크기를 감소함에 따라 객체 품질이 변화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값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in advance so that object quality does not change as the size of the object is reduced.
건물 내에 설치된 CCTV를 통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화재가 확인되면 해당 건물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소방서 서버 및 소방서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화재상황을 알리는 단계;
화재가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별 대피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대피경로 안내단계;
해당 건물 내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미대피자 현황을 산출하여 확인하는 단계;
해당 건물의 입구로부터 화재 위치 또는 상기 미대피자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하는 진입경로 안내단계;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건물에 대하여 사전에 구축된 라이다 스캐닝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소방서 단말로 안내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
monitoring the location through CCTV installed in the building;
When a fire is confirmed, the step of notifying the fire situation to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building, a fire station server, and a fire station terminal;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step of calculating an evacuation route for each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guiding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building, calculating and confirming the evacuation status;
an entry route guide step of calculating a route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or the location of the unevacuated evacuation and guiding the terminal to the fire station; and
Using the lidar scanning 3D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based on the lidar scanning 3D data built in advance for the building, guid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fire station terminal A smart fire alarm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해당 건물내 미리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스마트 화재경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firming step is a smart fire alarm method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a display unit installed in advance in the building.
KR1020200177197A 2019-12-23 2020-12-17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method thereof and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24822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2730 2019-12-23
KR1020190172730 2019-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262A true KR20210081262A (en) 2021-07-01
KR102482238B1 KR102482238B1 (en) 2022-12-28

Family

ID=7686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97A KR102482238B1 (en) 2019-12-23 2020-12-17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method thereof and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2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596A (en) * 2012-07-25 2014-0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Indoor 3d model extraction method based on point clouds from terrestrial lida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062831A (en) * 2012-11-15 2014-05-26 (주)다인디지컬처 Method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data to product a precise wide-area scale model
KR20140102108A (en) * 2013-02-13 2014-08-21 (주)다인디지컬처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LIDAR Data for Making 3D Indoor Space Information
KR20190061974A (en) * 2017-11-28 2019-06-05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596A (en) * 2012-07-25 2014-0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Indoor 3d model extraction method based on point clouds from terrestrial lida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062831A (en) * 2012-11-15 2014-05-26 (주)다인디지컬처 Method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data to product a precise wide-area scale model
KR20140102108A (en) * 2013-02-13 2014-08-21 (주)다인디지컬처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LIDAR Data for Making 3D Indoor Space Information
KR20190061974A (en) * 2017-11-28 2019-06-05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238B1 (en)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0744B1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US9536407B2 (en) Emergency monitoring of tagged objects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US20160381537A1 (en) Method of notification of fire evacuation plan in floating crowd premises
KR102108963B1 (en) Method for actively gu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TWI442349B (en) Emergency command system and method
JP6900301B2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US11557014B2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KR20190061974A (en)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JP2013089076A (en) Support system of fire alarm facility
JP2019036304A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2017174252A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KR101758349B1 (en) A fire controlling method through emergency bell remote control
JP6675248B2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KR102482238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idar scanning 3D data and method thereof and smart system for monitoring fir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JP6322304B2 (en) Fire alarm equipment support system
TWM576321U (en) Fire protectio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TWI670693B (en) Fir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CN110956563A (en)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KR102637802B1 (en) IoT-based intelligent elevator evacuation guidance system
JP2013182278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warning display method
JP2019133403A (en) Support system
KR102458629B1 (en) Fire Escape Guidan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