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201A -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201A
KR20210081201A KR1020190173519A KR20190173519A KR20210081201A KR 20210081201 A KR20210081201 A KR 20210081201A KR 1020190173519 A KR1020190173519 A KR 1020190173519A KR 20190173519 A KR20190173519 A KR 20190173519A KR 20210081201 A KR20210081201 A KR 2021008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mart farm
cloud computing
humidity
comput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큐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큐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큐랩
Priority to KR102019017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201A/ko
Publication of KR2021008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사용하는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 등의 동작 전압과 출력전압 등에 차이가 있어, 사용하는 센서마다 다른 제어프로그램 또는 다른 설정값을 사용한다. 또한, 재배 작물이 달라지면 상기 설정값도 다른 설정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Description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Smartfarm Control Method through Hierarchical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 공간적으로 분산된 기저 유닛들과 데이터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중앙 서버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저 유닛은 제어기 및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 모듈은 공기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저 유닛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 모듈들의 각각과 연관된 미처리 센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중앙 서버는 기저 유닛들로부터의 미처리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미처리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이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환경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환경 제어설비로부터 수신하여 유선 방식으로 전송하고, 환경 제어설정 변경 값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제어 명령을 환경제어설비로 전송하며, 시스템 구동용 소프트웨어의 교정 또는 재설치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 인스톨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스마트컨트롤러로부터 환경 데이터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환경 제어설비의 제어설정 값 변경을 위한 키 입력 값을 전송하여 환경 제어설비의 제어설정 값을 제어하고, 수신한 환경 데이터 및 환경 제어 설비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로부터 스마트컨트롤러의 구동용 소프트웨어의 교정 또는 재설치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및 통신 가능한 컴퓨터로서 스마트 컨트롤러의 작동 상태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환경 제어설비의 환경 데이터 및 상태 정보, 그리고 스마트 컨트롤러 시스템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컨트롤러의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교정하거나 재설치가 필요한 경우 교정 또는 재설치를 위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이 있다.
본 발명은 무질서하게 설치되어 사후관리 또는 고장 수리가 되지 않는 온실 또는 스마트팜의 환경제어를 위한 온도, 습도, 풍량, 조도 등의 센서를 계속적으로 최소한의 추가비용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더 나아가서 상기 온실 또는 스마트팜의 광조절, 환기창 조절, 환풍기 조절, 보일러 조절 및 순환팬 등의 동작을 기존의 중앙 제어기가 수리불능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를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기를 사용하여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실과 스마트팜과 같이 외부 기후에 영향을 받는 시설은 태풍, 폭설, 폭우 등과 같은 이상 기후변동이 있는 경우,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없거나, 이를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 최소한의 반드시 필요한 조치를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조치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센서 값을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센서 값을 온도, 습도, 풍량, 조도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디지털 센서 값을 그대로 클라우스 컴퓨팅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는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부여된 코드를 색인으로 하여,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구축된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의 메이커, 모델명 등을 기준으로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교정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디지털 센서 값을 온도, 습도, 풍량, 조도를 표시하는 실제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실제 환경변수 값은 온도센서의 경우 ℃, 습도의 경우 상대습도 %, 조도의 경우 Lux, 풍량의 경우 m/s로 변환된 값이다.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제어를 위한 설정 값은 온도센서의 경우 ℃, 습도의 경우 상대습도 %, 조도의 경우 Lux, 풍량의 경우 m/s의 단위를 사용한다.
따라서, 센서의 종류가 바뀌어도 상기 클라우드컴퓨팅 서버에 구축된 상기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의 교정된 실제 환경 변수 값을 받아 설정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를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가 변경된 경우 변경 사항을 상기 클라우드컴퓨팅 서버의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기만 하면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내장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 없다. 또한,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연동된 구동장치의 동작을 위한 설정 값도 재배시기, 작물의 종류, 외기 온도와 습도, 기후의 변화양상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설정 값을 바꾸어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 연동 구동장치의 구동을 위한 센싱 값과 설정 값과의 비교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서는 센서 값의 전송과 그 결과로써 구해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 연동 구동장치의 구동 동작을 상기 클라우드컴퓨팅 서버에서 전송받아 구동하는 역할만을 할 수도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현재 온실 또는 스마트팜에 설치된 센서의 제조사와 모델을 모르고 센서의 종류만 알 수 있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구비된 교정센서단자에 제조사와 모델명을 알고 있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제조사와 모델을 모르고 센서의 종류만 알고 있는 센서를 설치한 후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제조사와 모델을 모르는 상기 센서의 교정데이터를 동시에 구비한 상기 교정센서단자에 제조사와 모델명을 알고 있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계산하여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의 상기 교정 데이터베이스에 제조사와 모델을 모르고 센서의 종류만 알고 있는 센서의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교정센서단자는 1개 이상, 센서의 종류별로 구비할 수 있다. 1개의 교정센서단자가 구비된 경우도 디지털로 변환된 전압 값만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전달되기 때문에 교정단계에서 서버에 센서의 종류를 알려줌으로써, 설정만 변경하면 모든 종류의 환경 센서를 교정하고 상기 클라우드컴퓨팅 서버에 교정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는 상기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절,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온오프 제어를 위한 신호는 릴레이 접점을 온 오프하는 것으로, 속도조절을 위한 신호는 PWM(Pulse With Modulation)신호를 최소 2채널 이상 제공하며, 직렬통신제어를 위해 RS232C, 485, CAN 통신 등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렬통신제어부는 다른 스파트팜센서제어기 또는 주변장치제어기 또는 기존의 온실제어기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연결되는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절,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 등의 제어명령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제조사별, 모델별로 제어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인덱싱번호와 상기 스파트팜세서제어기에 설치된 제조사와 모델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새로운 출력장치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내장프로그램 수정 없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인덱싱번호로 구동되는 출력장치를 생성해줌으로써 프로그램의 수정없이 새로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환경 센서의 측정 전류 또는 전압값을 실제 환경값인 온도, 습도 등으로 변환하는 것을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통신에 의하여 연결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하고, 환경제어를 위한 제어용 설정 값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설정하고, 출력제어기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제어명령을 받아 처리할 수 있어, 센서 및 출력장치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표준 없이 개발되고, 설치되는 온실 및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센서 고장과 제어기의 고장에 따른 수리비용을 줄이고, 값싼 저가의 제어기 사용으로 인한 농가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태풍, 폭설, 폭우와 같은 상황에서 측창의 개폐, 보일러의 온오프, 전원의 차단과 같은 원격지원을 기본 제공함으로써 갑작스러운 기상변화 등에 따른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예로 폭우지역에 측창이 열린 경우 이를 닫아 피해를 줄일 수 있고, 폭설지역에서는 보일러를 가동하여 온실에 쌓이는 눈을 녹여 온실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기온 저하로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환기팬을 켜거나, 보일러를 켜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병해의 발생도 병해가 발생하는 환경을 회피하도록 온실과 스마트판 내부환경을 조절함으로써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컴퓨팅 서버는 상기 스마트팜 제어장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하여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온실 또는 스마트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스마트팜을 설계하는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스마트팜에 사용할 센서 또는 제어기를 시장점유율, 농가만족도, 제품성능 가격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센서 및 제어기의 장비별 특성에 따라 통신규격과 제어방법 및 센서의 오프셋, 기울기 특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의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일련번호를 색인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 특성테이블을 만든다. 이 특성테이블를 이용하여 스마트팜 제어장치별로 관리되는 장비별데이터변환룰(센서값을 실제환경변수 값으로 변환하는 규칙 또는 교정방법)을 관리하고, 상기 장비별데이터변환룰은 센서의 교체, 제어기의 교체 또는 계절별, 기후변화별, 재난대비 상태 및 온실위치 등에 따라 장비별데이터변환룰을 최적화하여 달리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무질서하게 설치되고 사용되어 설치자와 연락되지 않거나, 수리가 되지 않는 경우에 최소한의 하드웨어 교체를 통하여 기존의 온실 또는 스마트팜 시스템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재난 상황 또는 이에 준하는 상황에서 온실 또는 스마트팜 사용자의 제어가 어렵거나, 제어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클라우드컴퓨팅에서 수행하여 농작물과 시설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센서의 교정데이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구축되는 환경센서 및 제어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환경센서 데이터 베이스 이용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가 외부의 기후예보와 설정정보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연동하는 구성도이다.
자동제어 또는 반자동제어 또는 스파트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이들 구성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절,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반자동제어인 경우 온실 또는 스마트팜 관리자가 제어하고, 자동제어인 경우 자체적인 제어기를 이용하여 온실 또는 스마트팜 내부에 설치된 온도, 습도, 풍량, 조도 등 어느 하나 이상 설치하고, 설치된 센서의 값과 설정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자체적인 제어기를 통하여 제어하고 있다.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등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 값을 읽어 상기 제어기에 저장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절,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은 전문가에게는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사용하는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 등의 동작 전압과 출력전압 등에 차이가 있어, 사용하는 센서마다 다른 제어프로그램 또는 다른 설정 값을 사용한다. 또한, 재배 작물이 달라지면 상기 설정 값도 다른 설정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설정 값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어기에 부착된 설정버튼 등을 이용하여 수정 가능하지만, 상기 센서의 종류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수정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기존에 설치된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센서 값을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센서값을 온도, 습도, 풍량, 조도로 변환하지 않고, 센서 측정 값을 그대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는 농장 또는 온실 또는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부여된 코드를 색인으로 하여,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구축된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의 메이커, 모델명 등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센서 교정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디지털 센서 값을 온도, 습도, 풍량, 조도를 표시하는 실제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실제 환경변수 값은 온도센서의 경우 ℃, 습도의 경우 상대습도 %, 조도의 경우 Lux, 풍량의 경우 m/s로 변환된 값이다.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제어를 위한 설정 값은 온도센서의 경우 ℃, 습도의 경우 상대습도 %, 조도의 경우 Lux, 풍량의 경우 m/s의 단위를 사용한다.
따라서, 센서의 종류가 바뀌어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교정된 실제 환경 변수 값을 받아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어기를 동작할 수 있어,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프로그램을 교체할 필요가 없이, 센서가 변경된 경우 변경 사항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의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하기만 하면된다. 또한,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동작을 위한 설정 값도 재배시기, 작물의 종류, 외기의 온도습도, 기후의 변화양상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설정 값을 바꾸어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를 위한 설정값과의 비교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할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설정값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현재 온실 또는 스마트팜에 설치된 센서의 제조사와 모델을 모르고 센서의 종류만 알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구비된 교정센서단자에 제조사와 모델명을 알고 있어 교정데이터가 있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를 설치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운전하여 상기 제조사와 모델을 모르고 센서의 종류만 알고있는 센서의 교정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교정센서단자는 1개 이상 센서의 종류별로 구비할 수 있다. 1개의 교정센서단자가 구비된 경우도 디지털로 변환된 전압 값만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전달되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센서를 교정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서 상기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절,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는 온오프 제어를 위한 신호는 릴레이 접점을 온 오프하는 것으로, 속도조절을 위한 신호는 PWM(Pulse With Modulation)신호를 최소 2채널 이상 제공하며, 직렬통신제어를 위해 RS232C, 485, CAN 통신 등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연결되는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절,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 등의 제어명령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제조사별, 모델별로 제어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인덱싱번호를 이용하여 제조사와 모델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연동함으로써 새로운 출력 장치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내장프로그램 수정 없이도 구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환경 센서의 교정을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하고, 환경제어 설정 값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설정하고, 출력제어기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제어명령을 받아 처리할 수 있어, 센서 및 출력장치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적절한 표준 없이 개발되고, 설치되는 온실 및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센서 고장과 제어기의 고장에 따른 수리비용을 줄이고, 값싼 저가의 제어기 사용으로 인한 농가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태풍, 폭설, 폭우와 같은 상황에서 측창의 개폐, 보일러의 온오프, 전원의 차단과 같은 원격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예로 폭우지역에 측창이 열린 경우 이를 닫아 피해를 줄일 수 있고, 폭설지역에서는 보일러를 가동하여 온실에 쌓이는 눈을 녹여 온실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상기 스마트팜 제어장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하여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온실 또는 스마트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스마트팜을 설계하는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스마트팜에 사용할 센서 또는 제어기를 시장점유율, 농가만족도, 제품성능 가격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센서 및 제어기의 장비별 특성에 따라 통신규격과 제어방법 및 센서의 오프셋, 기울기 특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의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일련번호를 색인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 특성테이블을 만든다. 이 특성테이블를 이용하여 스마트팜 제어장치별로 관리되는 장비별데이터변활룰을 관리하고, 상기 장비별데이터변환룰은 센서의 교체, 제어기의 교체 또는 계절별, 기후변화별, 재난대비 상태 및 온실위치 등에 따라 장비별데이터변환룰을 최적화하여 달리 운영할 수 있다.
150 온도
160 습도
170 풍량
180 조도
200 클라우드컴퓨팅서버
210 스마트팜 센서제어기
220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
230 교정센서단자

Claims (1)

  1.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센서 값을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센서 값을 온도, 습도, 풍량, 조도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디지털 센서 값을 그대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는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부여된 코드를 색인으로 하여,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구축된 환경센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의 메이커와 모델명을 기준으로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교정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디지털 센서 값을 온도, 습도, 풍량, 조도를 표시하는 실제 환경변수 값으로 변환하며, 상기 실제 환경변수 값은 온도 센서의 경우 ℃, 습도의 경우 상대습도 %, 조도의 경우 Lux, 풍량의 경우 m/s로 변환된 값이고,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바뀌어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구축된 상기 환경 센서 데이터 베이스의 교정된 실제 환경 변수 값을 받아 설정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를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온도, 습도, 풍량, 조도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바뀌어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의 환경 센서 데이터베이스에 센서의 종류를 업데이트하기만 하면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내장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연동된 구동장치의 동작을 위한 상기 설정 값도 재배시기, 작물의 종류, 외기 온도와 습도, 기후의 변화 양상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설정 값을 바꾸어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연동된 구동장치의 구동을 위한 센싱 값과 상기 설정 값과의
    비교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서는 센서 값의 전송과 그 결과로써 구해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연동된 구동장치의 구동 동작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전송받아 구동하는 역할만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에 연결되는 보일러 온오프 또는 온도조절, 조명 온오프, 광조절 차광막, 환기창 개폐, 환풍기 온오프 또는 풍량조절, 내부 순환팬 온오프 또는 회전속도조절 장치의 제어명령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제조사별, 모델별로 제어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인덱싱번호를 이용하여 제조사와 모델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와 연동함으로써 새로운 출력장치도 상기 스마트팜 센서제어기의 내장프로그램 수정 없이도 구동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태풍, 폭설, 폭우 상황에서 측창의 개폐, 보일러의 온오프, 전원 차단의 원격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원격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팜 제어방법.
KR1020190173519A 2019-12-23 2019-12-23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KR20210081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19A KR20210081201A (ko) 2019-12-23 2019-12-23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19A KR20210081201A (ko) 2019-12-23 2019-12-23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201A true KR20210081201A (ko) 2021-07-01

Family

ID=7686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519A KR20210081201A (ko) 2019-12-23 2019-12-23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2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750B1 (ko) 클라우드 컴퓨팅과 원격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팜 제어기
KR101885058B1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스마트팜 제어방법
KR101935715B1 (ko) 클라우드 컴퓨팅과 원격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팜 제어방법
US8190301B2 (en) Building optimization system and lighting switch with adaptive blind, window and air quality controls
KR101815531B1 (ko) 스마트 온실 관제 시스템
KR100941000B1 (ko)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자동관리 시스템
KR20140114089A (ko)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8672A (ko) 지능형 스마트 온실 관리 장치
CN105074345A (zh) 空气调节管理装置、空气调节系统和程序
KR102658440B1 (ko) 실시간 차양 장치 복합 제어를 통한 조명 및 냉난방 제어에 특화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WO2010140090A1 (en) Energy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36250B1 (ko)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GB2445800A (en) Control system for a climatic conditioning arrangement
CN201926913U (zh) 一种全自动气候模拟控制系统
KR20190134884A (ko) 사설 클라우드가 구축된 시설원예용 프로파일 기반 스마트 팜 시스템
KR20210081201A (ko)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팜 제어 방법
KR102364819B1 (ko) A/s가 용이한 스마트 팜 시스템
KR20210143029A (ko)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팜 제어시스템
US10754405B1 (en) Power handling thermostat
US20230157217A1 (en) Heuristic plant production systems, methods, and associated devices
CN115328241B (zh) 一种智慧小镇智能温室控制方法与系统
KR102272472B1 (ko) 복합 제어 스마트팜 시스템
KR102277855B1 (ko) 스마트 팜 시스템에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2412181B1 (ko) 환경제어기준모델을 기초로 시설원예의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7566A (ko) 식물생장 환경을 모니터링하며 led 조명을 제어하는, 농장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