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110A -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 Google Patents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110A
KR20210081110A KR1020190173328A KR20190173328A KR20210081110A KR 20210081110 A KR20210081110 A KR 20210081110A KR 1020190173328 A KR1020190173328 A KR 1020190173328A KR 20190173328 A KR20190173328 A KR 20190173328A KR 20210081110 A KR20210081110 A KR 2021008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el
incineration
incinerat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8698B1 (en
Inventor
이무용
Original Assignee
태성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98B1/en
Publication of KR2021008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04Feeding or distributing systems us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23K5/16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4/0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 F23G2204/1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using auxiliary fuel
    • F23G2204/103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using auxiliary fuel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300/00Pretreatment and supply of liquid fuel
    • F23K2300/20Supply line arrangements
    • F23K2300/201Pump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apparatus for combustion used in an incinerator. A composition of the fuel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uxiliary tank connected to a combustion line to receive a fuel from a fuel tank; a combustion housing which injects the fuel filled in an auxiliary tank into an incineration body and burns the fuel; and a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cineration body to measure a combustion temperature in the incineration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fuel supply apparatus for the combustion used in the incinerator, capable of suppressing generation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Description

소각장치에 이용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used in an incinerator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본 발명은 소각장치에 이용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각물의 원활한 공급과 더불어 소각물의 완전연료를 위한 공기 공급을 수월하게 하고 연소로 발생되는 분진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소각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소각장치에 이용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used in an inci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by facilitating the supply of air for the complete fuel of the incinerated product as well as the smooth supply of the incinerated product and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dust generated by combustion during incineration. It relates to 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used in an incinerator capable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that may be generated.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 쓰레기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들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폐기물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고, 괘적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으며, 폐기물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폐기물에 대한 처리과정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In general, as environmental pollution by various household wastes generated at home and industrial wastes generated at industrial sites intensifies, efforts to prevent secondary pollution by wastes and create a safe environment are continuously being sought. In view of the increasing trend of waste, the importance of waste treatment is growing.

이에 따른 폐기물의 주요 처리 방법으로는 대형소각 시설을 만들어서 수집 운반된 쓰레기를 포집하여 연료를 사용하여 소각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a main method of waste treatment, it is common to create a large incineration facility to collect collected and transported waste and incinerate it using fuel.

그러나 이러한 대형소각 시설은 막대한 초기 설치비용과 운영관리 비용이 소용되며 수집 운반의 문제와 소각재 처리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se large incineration facilities require huge initial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costs, and problems such as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and incineration ash processing occur.

또한 일반 생활 폐기물 중 음식물 찌꺼기, 야채, 동물 뼈 등과 농어촌의 특수 폐기물 예를 들어 어패류, 동물 사체 등의 처리물의 비중이 큰 경우 처리물은 소각로 하부에 적체되기 쉽고 하중에 의해 원활한 산소공급이 어렵게 되므로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처리량에 제한을 받게 된다.In addition, if the proportion of processed materials such as food scraps, vegetables, animal bones, and special wastes such as fish and shellfish and animal carcasses in general household waste is large, the processed materials are easy to accumulate in the lower part of the incinerator and it is difficult to supply oxygen smoothly due to the load. It takes a long time to process and the throughput is limi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이동설치가 가능한 산업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연구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일환으로 등록특허 제10-1483751호 및 공개특허 제10-2016-0018281호가 개시되어 있다.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an industrial waste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moved and installed is attracting attention, and as a part of this, Registration Patent No. 10-1483751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8281 are disclosed.

그러나 종래 기술들의 경우 공급되는 공기 흐름이 소각로 내부에서 원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소각로 내부로 투입되는 소각재들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upplied air flow was not made smoothly inside the incinerator,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cineration ashes input into the incinerator could not be smoothly suppli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소각물의 원활한 공급과 더불어 소각물의 완전연료를 위한 공기 공급을 수월하게 하고 연소로 발생되는 분진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소각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소각장치에 이용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facilitate the supply of air for the complete fuel of the incinerated product as well as the smooth supply of the incinerated product, and minimize the generation of dust generated by combus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used in an incinerator capable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소각장치에 이용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장치는, 연소라인과 연결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에 충진된 연료를 소각몸체 내부로 분사하여 연소시키게 하는 연소하우징; 및 상기 소각몸체에 부착되어 소각몸체 내의 연소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In the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used in the inci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supply device comprises: an auxiliary tank connected to a combustion line to receive fuel from the fuel tank; a combustion housing that injects the fuel filled in the auxiliary tank into the incineration body and burns it; and a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cineration body to measure a combustion temperature in the incineration body.

그리고 상기 소각몸체에는 다수개의 보조연소라인에 의해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다수개의 보조하우징이 구비된다.And the incineratio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housings for receiving and injecting fuel from the fuel tank through a plurality of auxiliary combustion lines.

또한 상기 보조탱크와 연료탱크 사이에는 연료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와 펌프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valve and a pump for controlling fuel supply are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tank and the fuel tank.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에는 연료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유량게이지가 구비되고, 연료의 과충진시 연료탱크 측으로 리턴되게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flow gauge for checking the fuel level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tank, and a bypass line is provided to return to the fuel tank side when the fuel is overfilled.

또한 상기 연소하우징은 히터 가열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된다.In addition, the fuel injected by the heater heating in the combustion housing is ignited.

그리고 상기 연소하우징과 보조하우징은 소각몸체의 외주면 상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And the combustion housing and the auxiliary housing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cineration body.

또한 상기 보조하우징은 연소하우징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housing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ombustion housing.

그리고 상기 보조하우징의 동작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소각몸체 내부 온도에 의해 이루어진다.And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housing is made b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ion body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에 따르면, 소각물의 원활한 공급과 더불어 소각물의 완전연료를 위한 공기 공급을 수월하게 하고 연소로 발생되는 분진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소각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that may occur during incineration by facilitating the supply of air for the complete fuel of the incinerated product as well as the smooth supply of the incinerated product and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dust generated by combustion.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각몸체 내의 온도에 따라 연료 분사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연료 소비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fuel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fuel inje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 the incineration body, and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efficient combustion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각몸체 내에서 연료 분사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에어와 연료의 혼합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소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ix air and fuel by varying the fuel injection position in the incineration bod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물 소각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각물 이송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소각물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은 도 11에 도시된 연료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에어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교반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inci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nlarged views of th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cinerator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
5 to 7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cinerator transport device shown i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inci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to 14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uel supply device shown in FIG. 11 .
15 is a view showing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6 to 18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supply device shown in FIG. 15 .
19 is a view show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to 22 are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tirring device shown in FIG.
23 to 25 are enlarged views showing the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소각물 소각을 위한 방법은, 1) 소각물을 파쇄장치에 투입하는 단계; 2) 파쇄장치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소각물을 파쇄한 후 이송하는 단계; 및 3) 이송된 소각물을 소각장치에 투입하여 소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inci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putting the incinerated material into a crusher; 2) crushing the incinerated material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a crushing device and then transporting; and 3) incineration by putting the transferred incinerated material into an incinerator.

상기 2) 단계에서는 소각물을 에어 분사를 통해 소각장치로 강제 투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3) 단계에서는 소각물의 투입량에 따라 연료 분사를 조절하며 소각될 수 있게 하고, 소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입되는 연료와는 별도로 소각장치 내부에 에어를 분사하여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In step 2), the incinerated material can be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incinerator through air injection, and in step 3), the fuel injected to be incinerated by controlling the fuel injection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of the incinerated material, and fuel injected to increase the incineration efficiency Separately, air is injected into the incinerator to ensure complete combustion.

분사되는 에어는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게 하고 본사노즐 간에 서로 다른 분사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게 한다.The jetted air allows the jet nozzles to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vortex is generated inside, and the air is jetted in different jet directions between the main nozzles.

또한 3) 단계에서는 소각장치 내에서 소각물이 교반되게 하여 소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교반과정에 교반장치를 통해 소각물에 에어를 직접 분사하여 소각을 촉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step 3), the incine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incinerated material to be stirred in the incinerator,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mote incineration by directly spraying air to the incinerated material through the stirring device during the stirring process.

그리고 3) 단계에서는 소각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미세분진을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고 있다.And in step 3), the fine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incineration can be recovered and tre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물 소각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inci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소각물 소각을 위한 시스템으로써, 파쇄장치(10), 이송장치(20), 소각장치(30), 연료공급장치(40), 송풍장치(50), 교반장치(60), 배기장치(70) 및 제어장치(80)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system for incineration of incinerat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ushing device 10, a transfer device 20, an incineration device 30, a fuel supply device 40, a blower device 50, a stirring device 60 , an exhaust device 70 and a control device 80 .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2 and 3 are enlarged views of th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 파쇄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몸체(120), 구동수단(130), 커터(140)로 구성되어 있다.The crushing device 10 is composed of a base 110 , a body 120 , a driving means 130 , and a cutter 140 as shown in FIGS. 2 and 3 .

상기 베이스(110)는 다수개의 방지패드(111)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하며, 파쇄장치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base 110 includes a frame (not shown) supported by a plurality of prevention pads 111 and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crushing device on the ground.

상기 몸체(12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121a)을 갖도록 다수개의 플레이트(121)들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것으로 공간(121a) 측으로 소각물을 투입하도록 공간 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호퍼(122)가 배치되어 있다.The body 120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tes 121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constant space 121a therein, and a hopper 122 inclined toward the space side to put incinerated material into the space 121a is disposed. have.

또한 상기 공간(121a) 측에는 호퍼(122)로부터 소각물을 중심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대(123)가 다수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rods 123 inclined in the form of incineration from the hopper 122 to the center direction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pace 121a.

여기서 가이드대(123)는 후술하는 스페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 측에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Here, the guide tables 12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interspace formed by a spac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구동수단(130)은 베이스(110) 위에 배치되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감속기(132)와, 상기 감속기(132)와 커플링(134)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3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driving means 130 includes a motor 131 disposed on the base 110, a reducer 132 connected to the motor 131 to reduc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and a coupling ( It is composed of a driving shaft 133 that is connected by 134 and rotates.

상기 커터(140)는 복수로 상기 구동축(133) 상에 스페이스(141)와 교반되며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e cutters 140 are agitated with the space 141 on the driving shaft 133 and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커터(14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날(140a)이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utter 140 has a plurality of blades 140a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즉, 본 발명의 파쇄장치(10)는 복수의 구동축(133) 상에 스페이스(141)와 커터(140)가 교바번되며 배치된 상태로 커터(140) 사이에 배치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대(123)가 몸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소각물을 커터로 하여금 파쇄하여 몸체 하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2개의 구동축은 종동기어(135)에 맞물려 커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소각물을 파쇄하게 하고 있다.That is, the crush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guide bars 123 such that the space 141 and the cutter 140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133 and disposed between the cutters 140. ) is disposed inside the body 110 so that the cutter crushes the incinerated material input through the hopper and discharges it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 two drive shafts are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135 so that the cutter faces each other It rotates and crushes the incinerated material.

파쇄되는 소각물의 크기는 커터(140)의 날(미도시) 크기와 폭에 따라 결정되므로 소각물의 종류에 따라 커터를 선택적으로 교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Since the size of the incinerated material to be crush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and width of the blade (not shown) of the cutter 140,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replace and install the cutter according to the type of incinerated material.

커터의 교체는 몸체(110) 측면을 이루는 판체를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구동축에 설치된 커터와 스페이스를 순차적으로 분리한 후 다시 다른 종류의 커터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플레이트(121)들 중 측면의 부분의 경우 볼트 결합에 의해 분해가 가능한 구조이다.The replacement of the cutter is possible to separate the plate forming the side of the body 110 from the body, sequentially separate the cutter and the space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and then install another type of cutter again, and the side of the plates 121 In the case of the part,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disassembled by boltin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각물 이송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cinerator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소각물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5 to 7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cinerator transport device shown in FIG.

상기 이송장치(2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 이송부(220), 구동부(230) 및 분사부(240)로 구성되어 있다.The transfer device 20 includes a body 210 , a transfer unit 220 , a driving unit 230 , and an injection unit 240 as shown in FIGS. 4 to 7 .

상기 몸체(210)는 상기 파쇄장치(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파쇄장치에서 파쇄된 소각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211)와, 투입호퍼로 투입된 소각물이 이송되어 배출되는 배출호퍼(212)와, 배출호퍼 측으로 소각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공간을 갖는 이동통로(213)와, 상기 투입호퍼(211) 측으로부터 배출호퍼(212) 측까지 연장되도록 이통통로(213) 양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판(215)과, 상기 가이드판(215)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부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217) 및 제2가이드레일(218)과, 몸체(210) 하측을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대(219)로 구성되어 있다.The body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device 10 to receive an input hopper 211 into which the incinerated material crushed by the crushing device is put, and a discharge hopper 212 through which the incinerated material put into the input hopper is transported and discharged. And, a moving passage 213 having a space for transporting incinerated material to the discharge hopper, and a guide plat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passage 213 so as to extend from the input hopper 211 side to the discharge hopper 212 side ( 215), a first guide rail 217 and a second guide rail 218 disposed below the guide plate 215 to guide the transfer unit, and a support 219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body 210 on the ground. is composed of

상기 가이드판(2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15a)이 이송부 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제1가이드레일(217)은 지지판(217a)에 의해 몸체 측면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가이드레일(218)은 몸체 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귀하는 이송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guide plate 215 has an inclined surface 215a inclined toward the transfer unit, and the first guide rail 217 is fixed to the side of the body by a support plate 217a. , the second guide rail 218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support and guide the lower side of the returning conveyance part.

여기서 회귀는 투입호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무한회전하는 이송부에서 제1가이드레일의 상측은 출발 지점이라고 할 수 있고, 하측은 도착 기준할 수 있어 표현된 것으로 소각물이 이송되는 출발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Here, the regression is expressed as the starting point a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arrival standard at the lower side of the transfer unit that rotates infinitely when the input hopper is used as the standard, and is defined as the starting standard for transporting incinerated materials.

즉, 상기 제1가이드레일(215)은 이송부의 출발지에서 하단을 지지 안내하고, 제2가이드레일은 회귀하는 이송부의 하단을 지지 안내하여 전체적으로 이송부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레일(217)은 이송부의 가이드롤러가 안착되어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것이고, 제2가이드레일(218)은 회전 복귀하는 이송부의 하측을 지지하여 이송체인이 몸체 내에서 처짐에 의해 끌림, 마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 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몸체 바닥에 떨어진 소각물을 회전 복귀하는 이송판이 회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first guide rail 215 supports and guides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unit at the starting point, and the second guide rail supports and guides the lower end of the returning transfer unit so that the transfer unit can be stably transferred as a whole. The guide rail 217 allows the guide roller of the conveying part to be seated and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218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conveying part that returns to rotation so that the conveying chain sags in the body. It is a configuration that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dragging and friction damage, and to keep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e body so that the conveying plate that rotates and returns the incinerated material that has fallen to the bottom of the body can be recovered.

상기 이송부(220)는 다수개의 이송체인(221)이 서로 반복 연결된 구조이며, 상기 이송체인(221) 각각에는 브라켓(222)과 가이드롤러(22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222) 각각에는 수평편(224a)과 수직편(224b)에 의해 "ㄴ"자 형태의 이송판(224)이 배치되어 있다.The transfer unit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fer chains 221 are repeat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racket 222 and a guide roller 223 are disposed on each of the transfer chains 221 , and each of the brackets 222 has a structure. A transfer plate 224 in a “L” shape is disposed by the horizontal piece 224a and the vertical piece 224b.

여기서 상기 수평편(224a)에는 이웃한 수평편과의 사이 틈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장편(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평편과 수직편 사이에 소각물이 싸이도록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form an extension piece (not shown)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horizontal piece and the adjacent horizontal piece on the horizontal piece 224a,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piece and the vertical piece to wrap the incinerated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ke

또한 상기 이송체인(221)은 결속핀(221a)에 의해 가이드롤러(223)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구동부와 연계 동작하는 복수의 동작스프로켓(225)이 몸체(210) 양측에 배치되어 동작스프로켓에 의해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fer chain 221 , the guide roller 223 is rotatably disposed by the binding pin 221a,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sprockets 225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unit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210 to operate the sprocket is arranged to rotate by

상기 구동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미도시)에 배치된 모터(231)와, 상기 모터(23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232)과, 모터(231)의 축에 연결되고 구동체인을 동작시키는 구동스프로켓(233)과, 상기 구동체인과 연결되되 구동축(234a)에 결속되어 구동체인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종동스프로켓(234)과, 구동축(234a) 상에 베어링 연결되어 구동축(234a)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송체인 및 구동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지지수단(235)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driving unit 230 includes a motor 231 disposed on a frame (not shown), a driving chain 232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the motor 231 , and a shaft of the motor 231 . A driving sprocket 233 connected to and operating the driving chain, and a driven sprocket 234 connected to the driving chain but bound to the driving shaft 234a and rotating by the driving chain to rotate the driving shaft, and the driving shaft ( It is connected to the bearing on 234a) and consists of a support means 235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ransport chain and the driving chai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hafts 234a.

상기 지지수단(235)은 베어링하우징(235b)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가이드대(235a)이며, 상기 가이드대(235a)는 L/M가이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ans 235 is a guide bar 235a for moving the bearing housing 235b in one dire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n L/M guide for the guide bar 235a.

상기 분사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라인(241)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길이 방향으로 분사구(243)가 등간격 개구된 에어노즐(242) 측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를 배출호퍼(212) 측으로 분사하게 하는 구성으로 배출호퍼(21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injection unit 240 supplies air to the side of the air nozzle 242 in which the injection ports 243 are open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line 241 is discharged to discharge the air. They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hopper 212 in a configuration to be sprayed to the hopper 212 side.

즉, 상기 이송장치(20)는 파쇄장치(10)로부터 파쇄된 소각물을 전달받아 소각장치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쇄된 소각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다수개의 이송판(224)이 이송체인(221)에 결속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투입호퍼 측으로부터 배출호퍼 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 소각장치 측으로의 소각물 투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배출호퍼 측에 소각장치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배치함으로써 소각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각장치 측으로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소각장치 내부에 투입된 소각물이 다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각장치의 고온 열기가 이송장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conveying device 20 is a device for receiving the crushed incinerated material from the crushing device 10 and transferring it to the incinerator side,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plates 224 is a conveying chain ( 221) so that it can be transferred from the input hopper side to the discharge hopper sid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In this process, air is sprayed toward the discharge hopper in the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to facilitate the input of incinerated material to the incinerator sid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put of incinerators by arranging the injection unit to prevent the incinera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cinerator from being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air injected to the incinerator side, and the high-temperature heat of the incinerator moves to the transfer device sid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 of an air curtain to prevent

또한 이송부의 이송판에 의해 형성된 저장공간(미도시)에 일정량의 소각물을 균일하게 저장 이송할 수 있어 균일한 소각물 공급이 가능하고, 제1,2가이드레일을 통해 이송체인의 처짐을 방지하며 안내할 수 있어 이송판으로부터 이탈되는 소각물의 회수와 끌림에 의한 마찰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store and transport a certain amount of incinerated material in the storage space (not shown) formed by the transfer plate of the transfer unit,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uniformly incinerated material, and to prevent sagging of the conveying chai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riction damage caused by the recovery and dragging of the incinerated material that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plate.

여기서 상기 이송판은 몸체 내부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교체가 용이하고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우레탄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use a urethane material so that the transfer plate is easily replaced even if worn by friction with the inside of the body and prevents noise caused by friction.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inci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상기 소각장치(3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 소각몸체(320), 연소라인(330), 송풍라인(340), 점검도어(350) 및 배기라인(36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incineration device 30 includes a base 310, an incineration body 320, a combustion line 330, a blowing line 340, an inspection door 350, and an exhaust line 360, as shown in FIGS. 8 to 10. ) is composed of

상기 베이스(310)는 복수의 "ㄷ"자 잔넬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구조로 지면에 소각몸체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The base 310 has a structur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shaped channels to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incineration body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소각몸체(320)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연소공간(321)을 가지며, 상기 연소공간(321)측으로 소각물을 투입하는 소각물 투입호퍼(325)가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연소공간은 내벽(322)과 외벽(324)으로 구분되며, 내벽(322)은 불연소재로 이루어진 상태로 불연소재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블록(323)이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The incineration body 320 has a combustion space 321 of a certain size therein, an incineration material input hopper 325 for inputting incineration material to the combustion space 321 sid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ombustion space is an inner wall It is divided into a 322 and an outer wall 324, and the inner wall 322 is made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and fixing blocks 32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non-combustible material can be firmly fixed.

또한 상기 내벽(322)은 알루미나세멘트, 물, 알루미나분말, 알루미나골재, 원적외선분말을 혼합하여 성형된 세라믹배합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eramic compound formed by mixing alumina cement, water, alumina powder, alumina aggregate, and far-infrared powder for the inner wall 322 .

상기 원적외선분말은 토르말린, 황토, 견운모, 자수정, 생광석, 죽탄, 의왕석, 귀양석, 흑요석, 맥반석, 광명석, 용암, 귀선석 중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시킬 수 있다.The far-infrared powder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ourmaline, ocher, sericite, amethyst, raw ore, bamboo charcoal, uiwangseok, guiyangseok, obsidian, elvan, gwangmyeongseok, lava, and gwiseonseok.

즉, 상기 내벽을 세라믹배합재로 사용함으로써 내화벽으로 만들어져 고온의 소각 열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That is, by using the inner wall as a ceramic compound, it is made into a fire wall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due to high-temperature incineration heat.

상기 연소라인(330)은 상기 소각몸체(320) 하측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노즐을 배치하고 연료탱크(331)로부터 노즐 측으로 연소용 연료를 공급하게 하여 투입된 소각물을 연소시킬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The combustion line 330 arranges a plurality of nozzl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incineration body 320 and supplies fuel for combustion from the fuel tank 331 to the nozzle side to burn the incinerated material. .

상기 연소라인(330)은 히터의 열을 이용해 분사되는 연료에 점화시키는 구조로 소각몸체 하측에서 연료를 분사하여 점화된다.The combustion line 330 is ignited by injecting fuel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cineration body in a structure to ignite the injected fuel using the heat of the heater.

또한 상기 연소라인의 다수개의 노즐 중 하나 만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노즐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화염 온도가 필요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추가적으로 복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in the combustion line may be used, or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used simultaneously. This is to use a method of injecting fuel using a plurality of additional nozzles when the flam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required temperature.

상기 송풍라인(340)은 송풍펜(341)을 통해 소각몸체(3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연료를 통해 소각시 소각물의 소각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연료와 공기 공급을 통해 소각물의 완전 연소가 가능해질 수 있게 하고 있다.The blowing line 340 supplies air into the incineration body 320 through the blowing pen 341 to facilitate the incineration of the incinerated material during incineration through fuel. Complete combustion is possible.

상기 송풍라인은 소각몸체 하측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로 연장된 구조로 상부 방향으로 공기 노즐이 등간격 배치되어 있고, 공기 노즐의 공기 분사 방향은 이웃한 공기 노즐의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사되게 하여 높이 방향 측으로 각 공기 노즐로 인해 에어커튼이 형성되게 하고 방향이 다른 분사 방향에 의해 내부에서 와류 발생으로 인해 연소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있다.The blower line has a structure extending at a constant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incineration body, and air nozzl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air jetting direction of the air nozzles is spray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air nozzles. The air curtain is formed by each air nozzl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ue to the generation of vortices inside by the different injection directions.

상기 점검도어(350)는 상기 소각몸체(320) 일측을 개방하여 형성된 것으로 내부 소각 상태를 확인하거나 소각물을 연소시킨 후 남은 재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한다.The inspection door 350 is formed by opening one side of the incineration body 320 and is used as a means for checking the internal incineration state 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sh after burning the incinerated material.

이를 위한 구성으로 점검도어(350)는 힌지축(351)에 의해 소각몸체 측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며, 손잡이(353)의 회전에 따라 잠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잠김고리(355)와 걸림쇠(354)를 포함한다.As a configuration for this, the inspection door 350 is rotatable from the incinerator body side by the hinge shaft 351, and includes a locking ring 355 and a locking member 354 to be locked or un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353. do.

상기 배기라인(360)은 소각몸체(320) 상부에 배치되어 연소공간에서 연소된 소각물의 연기를 배출하는 구성이다.The exhaust line 360 is disposed on the incineration body 320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smoke of the incinerated product burned in the combustion space.

즉 상기 배기라인(360)은 연소연기를 배기하는 과정에 포함된 미세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That is, the exhaust line 360 has a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discharge of fine dust included in the process of exhausting combustion smoke to the outside.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2 내지 도 14은 도 11에 도시된 연료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to 14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uel supply device shown in FIG. 11 .

상기 연료공급장치(40)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331)와 연결되어 연소 연료를 통해 소각몸체 내에서 연소시키는 연소하우징(410)과, 상기 연소하우징(410) 상부에 배치되어 연소하우징 측으로 연료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보조탱크(420)와, 소각몸체의 소각 정도에 따라 사용되는 보조연소하우징(430) 및 온도센서(440)로 구성되어 있다.The fuel supply device 40 is connected to a fuel tank 331 as shown in FIGS. 11 to 14 and a combustion housing 410 for burning in the incineration body through combustion fuel, and the combustion housing 410 upper part It consists of an auxiliary tank 420 disposed in the combustion housing to uniformly supply fuel to the combustion housing, and an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430 and a temperature sensor 440 u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ineration of the incineration body.

상기 연소하우징(410) 측에는 연소라인(330)을 통해 공급되며 연소라인(330)에는 연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333)와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332)가 구성되어 있다.The combustion housing 410 side is supplied through the combustion line 330, the combustion line 330 is configured with a valve 333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fuel and a pump 332 for supplying fuel.

즉,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밸브(333)가 개폐되는 과정에 펌프(332)가 동작하여 보조탱크(420) 측으로 연료를 보충 공급하는 것으로 보조탱크(420) 내에는 별도의 수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수위센서의 신호에 따라 밸브(333)의 개폐 및 펌프의 동작 신호를 제어부 측에서 발생시키게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333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pump 332 operates to replenish fuel to the auxiliary tank 420 side. In the auxiliary tank 420, a separate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so as to generate an opening/closing signal of the valve 333 and an operation signal of the pump from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마찬가지로 보조연소하우징(430) 측에는 보조연소라인(431)에 배치된 밸브(434)와 펌프(433)에 의해 연료를 제어하고 있으며, 보조연소하우징(430)의 동작은 설치된 온도센서의 감지에 의해 동작하거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하여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Similarly, on the side of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430, the fuel is controlled by the valve 434 and the pump 433 disposed in the auxiliary combustion line 431, and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430 is performed by the detection of the installed temperature sensor.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or to operate by manually manipulating it according to the user's need.

또한 보조연소하우징(430)은 투입되는 소각물의 소각량에 따라 추가적으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송장치 측에 소각물의 이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설치된 센서 감지를 통해 이송량이 많을 경우 보조연소하우징을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적을 경우 연소하우징만을 동작하게 제오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것으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430 may be addition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incineration amount of the input incinerated material. That is, a sensor that can measure the amount of movement of incinerated material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transfer device side,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operate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when the transfer amount is large through the installed sensor detection, and when it is small, only the combustion housing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ignal.

보조연소라인은 소각몸체(320) 측에 다수개가 등간격 배치되어 있으며, 바 람직하게는 연소하우징 보다 상부에 위치시킨다.A plurality of auxiliary combustion lin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incineration body 320, and are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housing.

즉, 평상시에는 연소하우징(410)만을 통해 연소시키지만, 소각장치 내의 소각물이 많거나 연소가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보조연소하우징을 통해 연료를 주입하여 소각몸체 전체에서 균일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it is usually combusted through only the combustion housing 410, but when there is a lot of incinerated material in the incinerator or combustion is not performed smoothly, fuel is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to achieve uniform combustion throughout the incineration body. will do In this case,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but it is also possible to manually operate it by the user.

상기 보조탱크(420)에는 연소라인(330)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를 투명 소재의 연결관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조탱크에 연료가 어느 정도 충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유량게이지(425)가 배치되어 있고, 하측 연소하우징(410) 측에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421) 및 밸브(422)와는 별도로 바이패스라인(423)을 배치하여 연료가 보조탱크로 과충진되었을 때 연료탱크(331) 측으로 연료가 리턴될 수 있게 하고 있다.The auxiliary tank 420 has a combustion line 330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flow gauge 425 for the user to check how much fuel is filled in the auxiliary tank by form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a transparent material connection pipe. The fuel tank 331 when the fuel is overfilled into the auxiliary tank by disposing the bypass line 423 separately from the supply line 421 and the valve 422 for supplying fuel to the lower combustion housing 410 side. ) to allow fuel to be returned to the side.

또한 상기 연소하우징(410)은 소각몸체(320)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소켓(411)이 배치되고, 공급라인(421)과 연결되어 연소공간(413) 측에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412)과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 가열되어 점화되게 하는 히터(414)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housing 410 has a socket 411 disposed so as to be connected through the incineration body 320,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421, and a nozzle 412 for injecting fuel to the combustion space 413 side and It is composed of a heater 414 that causes the fuel injected from the nozzle to be heated and ignited.

상기 보조연소하우징(430)은 상기 연소하우징(410)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소하우징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보조연소하우징을 통해 연소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430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housing 410 . This is because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housing.

상기 온도센서(440)는 소각몸체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소각장치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하거나 측정된 온도를 근거로 필요 온도 이하일 경우 보조연소하우징을 동작시켜 추가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The temperature sensor 440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ion body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ion device, or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required temperature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is operated to enable additional combustion. .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에어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6 to 18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supply device shown in FIG. 15 .

상기 송풍장치(50)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라인(340)과 연결되어 송풍펜(34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소각몸체 내에 공급하는 에어분사부(510)와, 상기 에어분사부(510) 상단을 차단하는 덮개(5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어분사부(510)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511)이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The blower 50 is connected to the blowing line 340 as shown in FIGS. 15 to 18 and an air jetting unit 510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by the blowing pen 341 into the incineration body, and the It consists of a cover 520 for blocking the upper end of the air injection unit 510,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5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air injection unit 510.

상기 분사노즐(511)은 에어분사부(52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 개구된 구멍(511a)으로, 상기 분사노즐은 에어분사부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The injection nozzles 511 are holes 511a open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jection unit 520 , and the injection nozzl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도 1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들 간의 사이 간격이 전체 길이에 대해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분사노즐 간의 사이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갈수록 분사노즐의 구멍(511a)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고 높이 방향으로 갈수록 분사노즐의 구멍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할 수도 있으며,(예를 들어 하단의 구멍 직경이 1이면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1.2, 1,5, 2, 2,5... 등과 같이 증가하는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분사부 상단(B 부분)과 하단(B 부분)에 배치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B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분사노즐(A 부분)의 직경을 달리함과 동시에 B 부분의 구멍 형성 각도와 A 부분 갯수의 구멍 형성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예들 들어, A 부분의 형성 각도를 10도로 할 때에 B 부분의 형성 각도를 20도로 하여 A 부분과 B 부분의 구멍 갯수를 달리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7A and 17B , the interval between the injection nozzles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the entire length,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injection nozzles may be arranged to become gradually narrow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ize of the hole (511a) of the injection nozzle may be formed differently as it goes, and the size of the hole of the injection nozzle may be gradually increased in the height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hole diameter at the bottom is 1, it is 1.2, 1, 5, 2, 2, 5..., etc.) As shown in Fig. 18, the injection nozzles and the injection nozzles disposed at the upper end (part B) and the lower end (part B) of the air injection unit ( 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nozzle (part A) disposed between the part B)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hole formation angle of part B and the hole formation angle of the number of parts A different from each other (eg, the formation angle of part A) When the angle is 10 degrees, the angle of formation of part B is set to 20 degrees so that the number of holes in part A and part B is different).

즉, 본 발명의 분사노즐과 같은 구조로 소각장치에 설치할 경우 하단의 에어분사량과 상부로 갈수록 에어 분량을 다르게 하여 소각장치 내에서의 에어 분사량에 따른 에어커튼 효과를 가질 수 있어 내부에서 에어가 장시간 와류되며 소각물을 소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각장치의 내부 크기가 다르게 설계될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여 다양한 분사노즐 구조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installed in an incinerator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injection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jection amount at the bottom and the air amount toward the upper part are different to have an air curtain effect according to the air injection amount in the incinerator, so that the air inside the incinerator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incinerate the incinerated material by vortexing, and even if the internal size of the incineration device is designed differently,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pray nozzle structures in response thereto.

이러한 배치를 통해 소각몸체 내부에서 에어커튼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소각물의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고, 내부에서 공기의 정체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완전 연소가 가능해진다.Through this arrangement, an air curtain is formed inside the incineration body, thereby promoting the combustion of the incinerated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gnation of air in the interior for a long time, so that complete combustion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은 에어분사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구멍의 개구 각도(θ°)를 갖게 형성되되 상기 개구 각도는 각각의 분사노즐 간에 서로 엇각이 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angle (θ°) of the hole when view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ir injection unit, and the opening angle may be dispos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between the respective injection nozzles.

즉, 에어분사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분사노즐의 개구 각도가 시계 방향일 경우 그 이웃한 분사노즐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고, 다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분사노즐의 이웃한 분사노즐은 시계 방향으로 개구 각도를 갖게 하는 방식으로 에어분사부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분사노즐 각각이 서로 다른 분사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분사 방향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함으로써 소각몸체 내부에서 공기가 와류되며 정체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소각물의 연소시간을 연장하여 소각물의 완전 연소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injection unit is clockwise, the neighboring injection nozzles are open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neighboring injection nozzles of the injection nozzles open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e clockwise. In a manner to have an opening angle,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is arranged at different injection angles. As shown through this, by crossing each other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air, the air vortexes inside the incineration body and the stagnant time can be lengthened, thereby extending the combustion time of the incinerator to complete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can be realized.

또한 연료의 주입을 분사노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연료와 공기를 혼합으로 소각물의 연소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injection of fuel between the injection nozzle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mote combustion of the incinerated material by mixing fuel and air.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교반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0 to 22 are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tirring device shown in FIG.

상기 교반장치(60)는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소각몸체 내에 배치되고 일부는 외부에 배치되어 수평 동작에 의해 소각몸체 내에 투입되는 소각물을 교반하여 연소효율성을 높이는 구성으로, 베이스(310) 위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610), 구동수단(620), 가이드수단(630), 동작봉(740) 및 센서(65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9 to 22, the stirring device 60 is partly disposed within the incineration body and partly disposed outside to agitate the incinerated material input into the incineration body by horizontal operation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 is composed of a support frame 610 , a driving means 620 , a guide means 630 , an operation rod 740 and a sensor 650 disposed on the base 310 .

상기 지지프레임(610)은 복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되는 구조이고, 상기 구동수단(620)은 모터(6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622)에 연결된 구동스프로켓(623)과, 상기 구동스프로켓(623)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종동스프로켓(625)에 전달하는 체인(624)으로 구성되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 수행한다.The support frame 610 has a structure suppor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to each other, and the driving means 620 includes a driving sprocket 623 connected to a driving shaft 622 rotated by a motor 621 and the driving sprocket It is connected to the 623 and consists of a chain 624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n sprocket 625 to repeatedly perform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상기 가이드수단(630)은 상기 체인(624)에 연결되는 지지대(631)와, 상기 지지대(631)에 고정되는 가이드블록(632)과, 상기 가이드블록(632)이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633)와, 상기 가이드바(633)를 지지프레임 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대(634)로 구성되어 있다.The guide means 630 includes a support 631 connected to the chain 624 , a guide block 632 fixed to the support 631 , and a guide in which the guide block 632 is gu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bar 633 and a fixing bar 634 for fixing the guide bar 633 to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상기 동작봉(64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단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주입라인(641)이 배치되어 내부의 에어통로(642)에 에어를 공급하고 공급된 에어를 노즐공(643)을 통해 소각몸체 내부로 분사하게 하고 있으며, 단부에 판체 형태의 교반대(644)를 배치하여 동작봉의 동작에 따라 소각물을 교반하게 하고 있다.The operation rod 640 has a certain length, and an air injection line 641 for supplying air is disposed at the end to supply air to the air passage 642 inside, and the supplied air is passed through the nozzle hole 643 . It is sprayed into the incineration body, and a plate-shaped agitator 644 is arranged at the end to agitate the incinerated materi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rod.

즉, 상기 교반장치(60)는 모터의 동작에 따라 체인(624)과 연결된 가이드수단을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며 동작봉이 소각몸체 내에서 전, 후진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가이드수단의 진행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센서(650)가 가이드블록 사이에서 전진과 후퇴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소각몸체 내의 소각물을 교반하며, 교반 과정에 소각물 측으로 동작봉에서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소각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stirring device 60 advances or retreats the guide means connected to the chain 62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enables the operation ro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incinerator body. It is possible by allowing the sensors 650 arranged respectively to detec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etween the guide blocks, and through this, the incineration body is stirred, and the incineration is further promoted by supplying air from the operation rod to the incinerator side during the stirring process. it becomes possible to do

또한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동작봉이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두개의 동작봉이 서로 엇갈리게 동작하도록 두개의 구동수단이 각각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동작봉 단부에 배치된 교반대는 하나를 설치하였지만 교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핀 형태의 교반대를 동작봉 둘레를 따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operation rods ar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one driving means,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two operation rods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operation rods operate alternately with each other, and the stirring rod disposed at the end of the operation rod is one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irring efficiency,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pin-shaped stirring ba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ration rod.

도 23 내지 도 2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23 to 25 are enlarged views showing the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 배기장치(70)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몸체 상부와 연결되는 배기후드(710), 분사노즐(720) 및 저수대(73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3 to 25 , the exhaust device 70 includes an exhaust hood 71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cineration body, an injection nozzle 720 , and a reservoir 730 .

상기 배기후드(710)는 소각몸체 상부와 연결되는 플랜지(711)와 소각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각연기를 배출하는 배기통로(712)로 구성되어 있다.The exhaust hood 710 is composed of a flange 71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neration body and an exhaust passage 712 for discharging incineration smoke discharged from the incineration body.

상기 분사노즐(72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여 배출연기에 포함된 미세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으로 분사노즐의 위치를 이통통로 상부, 측면 등에 배치하거나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jection nozzle 72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haust smok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pray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it so that it can be sprayed in all directions.

상기 저수대(730)는 이동통로(712) 내에 배치되어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물 회수하여 드레인라인(73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물에 포함된 미세분진을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reservoir 730 is disposed in the moving passage 712 to recover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line 731, so that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recovered and treated. will be.

도 24 및 도 25에서와 같이 배기장치의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배출되는 연소연기를 효율적으로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연기를 대부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24 and 25 ,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llect the exhausted combustion smoke by variously configuring the structure of the exhaust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most of the combustion smok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제어장치(80)는 각각의 구성요소들(10,20,30,40,50,60,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제어를 위한 폐회로가 구성되어 있다.The control device 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10, 20, 30, 40, 50, 60, and 70, and a closed circuit for control is configured there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어부(80)를 통해 동작 전원을 인가하면 각 구성요소들(10,20,30,40,50,60,70)이 동작을 시작한다.First, when operating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control unit 80 , each of the components 10 , 20 , 30 , 40 , 50 , 60 and 70 starts to operate.

동작의 시작과 동시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31)가 동작하면 연결된 구동축(133)이 회전하며 종동기어(135)와 맞물린 구동축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커터를 회전시킨다. 이때 커터는 구동축의 축 방향을 따라 날(미도시)이 스크류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When the drive motor 131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S. 1 and 2 at the same time as the start of the operation, the connected drive shaft 133 rotates, and the driven gear 135 and the meshed drive shaft rotat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Rotate the cutter. At this time, the cutter is arranged such that a blade (not shown) has a screw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이와 동시에 호퍼(122)를 통해 소각물을 투입하면,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파쇄되어 하부로 낙하게 되고, 낙하된 소각물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이송장치(20)의 투입호퍼(211)로 낙하하여 몸체(210) 내의 이송부(220) 측에 떨어지게 되고, 이송부(220) 내의 이송판(224) 측에 일정량 싸이며 이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incinerated material is put through the hopper 122, it is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by the rotating cutter and falls to the lower part, and the fallen incinerated material is input by the transfer device 20 shown in FIGS. 1 and 4 . It falls to the hopper 211 and falls on the transfer unit 220 side in the body 210 , and moves while being wrapped around a certain amount on the transfer plate 224 side in the transfer unit 220 .

이송판에 싸인 상태로 이송된 소각물은 배출호퍼(212)에 도달하여 이송부의 회귀에 의해 배출호퍼 측에 자유낙하하며 떨어져 소각장치 측으로 투입하게 된다.The incinerated material conveyed in a state wrapped in the conveying plate reaches the discharge hopper 212 and freely falls to the discharge hopper side by the return of the conveying part, and falls and is put into the incinerator side.

이때 배출호퍼(212) 측에 배치된 분사부(240)에서 배출호퍼 측에서 소각장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고 있어 낙하하는 소각물이 자연스럽게 소각장치 측으로 투입될 수 있어 투입과정에 소각장치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로의 화염이 배출호퍼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에어커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air is sprayed from the discharge hopper side to the incinerator side from the injection unit 240 disposed on the discharge hopper 212 side, so that the falling incinerated material can be naturally put into the incinerator side, so that it is lost to the outside of the incinerator during the input process. Not only can it be prevented, but it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an air curtain to prevent the flame of the incinerator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discharge hopper.

소각장치(30) 내부의 연소공간(321)으로 투입된 소각물은 연소라인(330)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를 통해 가열 연소되고, 송풍펜(341)에 의해 공급되는 연소공기에 의해 완전 연소하게 된다.The incinerated material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321 inside the incinerator 30 is heated and burned through the fuel supplied through the combustion line 330 , and is completely burned by the combustion air supplied by the blower pen 341 . .

또한 연소과정에 필요에 따라 보조연소하우징(430)을 통해 보조 연료를 공급하게 되는데, 보조연소하우징은 연소하우징(410)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연소하우징의 연소를 보조연소하우징을 통해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연소하우징의 동작은 소각몸체에 부착된 온도센서를 통해 동작하게 된다.In addition, auxiliary fuel is supplied through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430 as needed in the combustion process.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is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housing 410 to promot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housing through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d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is opera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cineration body.

또한 공급되는 공기는 에어분사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노즐(511)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분사하게 되는데, 분사 방향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분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lied air is injec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by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511 formed in the air injection unit, and the injection direction is alternately injec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 will do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의 간격은 높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높이 방향으로 갈수록 분사노즐의 직경이 점차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injection nozzles gradually becomes narrow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nozzles gradually increases in the height direction.

이는 하측의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량 보다 상측의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량을 많게 하여 연소과정의 화염이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에 에어커튼을 형성시켜 불완전연소된 소각물을 한번 더 소각하기 위함이다.This prevents the flame of the combustion process from rising to the top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injected from the upper injection nozzle than the amount of air injected from the lower injection nozzle, and forming an air curtain on the upper side to form an incinerated product that is incompletely burned. to incinerate once more.

분사노즐의 배치와 구조적인 형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arrangement and structural form of the injection nozzle are as shown in FIGS. 17 and 18 .

소각장치를 통해 소각되는 과정에 도 19에 도시된 교반장치(60)를 동작시켜 소각장치 내의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the process of being incinerated through the incinerator, the stirring device 60 shown in FIG. 19 is operated to agitate the incinerated material in the incinerator to further increase the incineration efficiency.

이를 위해 교반장치는 구동수단(720)을 통해 동작봉(740)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동작봉(740)을 통해 공기를 소각물에 직접 분사하고 동작봉의 동작을 센서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동작봉이 전진, 후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효율적인 교반을 할 수 있어 소각물의 완전연소를 가능케 하고 있다.To this end, the stirring device operates the operation rod 740 through the driving means 720, and at the same time sprays air directly to the incin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rod 7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rod through a sensor to advance the operation ro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incinerated material by repeatedly performing retreating and efficient agitation.

소각물의 소각시 발생할 수 있는 미세분진은 배기장치(70) 측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통해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분사되는 물 내에는 별도의 화학처리를 통해 미세분진의 포집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Fine dust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incinerated material can be collected and processed through water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installed on the exhaust device 70 side, and the collection of fine dust through a separate chemical treatment in the sprayed water It is possible to promote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소각물을 완전연소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 구조를 소규모 소각장에 설치할 수 있어 소각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시 발생하는 악취, 미세분진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소각장 설치가 가능하다.In this way,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incinerated material, and the entire structure can be installed in a small incinerator, so that not only can the cost for installing the incinerator be significantly reduced, but also the odor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fine dust, etc. It is possible to install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cinerator because i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this is only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That i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such alterations or alterations ar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within.

10 : 파쇄장치
110 : 베이스
120 : 몸체
121a : 몸체의 공간
121 : 몸체의 플레이트
122 : 호퍼
123 : 가이드대
130 : 구동수단
131 : 모터
132 : 감속기
133 : 구동축
134 : 커플링
140 : 커터
140a : 다수개의 날
141 : 구동축 상 스페이스
20 : 이송장치
210 : 몸체
211 : 투입호퍼
212 : 배출호퍼
213 : 이동통로
215 : 가이드판
217 : 제1가이드레일
218 : 제2가이드레일
219 : 몸체
220 : 이송부
221 : 이송체인
222 : 브라켓
223 : 가이드롤러
224a : 수평편
224b : 수직편
230 : 구동부
231 : 모터
232 : 구동체인
233 : 구동스프로켓
234a : 구동축
235 : 지지수단
235a : 가이드대
235b : 베어링하우스
240 : 분사부
241 : 에어라인
242 : 에어노즐
30 : 소각장치
310 : 베이스
320 : 몸체
321 : 연소공간
322 : 내벽
323 : 고정블록
324 : 외벽
325 : 투입호퍼
330 : 연소라인
331 : 연료탱크
340 : 송풍라인
341 : 송풍펜
350 : 점검도어
351 : 힌지축
353 : 손잡이
354 : 걸림쇠
355 : 잠김고리
360 : 배기라인
40 : 연료공급장치
410 : 연소하우징
412 : 노즐
413 : 연소공간
414 : 히터
420 : 보조탱크
421 : 공급라인
422 : 밸브
423 : 바이패스라인
425 : 유량게이지
430 : 보조연소하우징
431 : 보조연소라인
433 : 펌프
434 : 밸브
440 : 온도센서
50 : 송풍장치
510 : 에어분사부
511 : 분사노즐
511a : 구멍
520 : 에어분사노즐
60 : 교반장치
610 : 지지프레임
620 : 구동수단
621 : 모터
622 : 구동축
623 : 구동스프로켓
624 : 체인
625 : 종동스프로켓
630 : 가이드수단
631 : 지지대
632 : 가이드블록
633 : 가이드바
634 : 고정대
640 : 동작봉
642 : 에어통로
643 : 노즐공
650 : 센서
70 : 배기장치
710 : 배기후드
711 : 플랜지
712 : 배기통로
720 : 분사노즐
730 : 저수대
731 : 드레드라인
10: crushing device
110: base
120: body
121a: body space
121: body plate
122 : Hopper
123: guide stand
130: driving means
131: motor
132: reducer
133: drive shaft
134: coupling
140: cutter
140a: multiple blades
141: space on the drive shaft
20: transfer device
210: body
211: input hopper
212: discharge hopper
213: movement path
215: guide plate
217: first guide rail
218: second guide rail
219: body
220: transfer unit
221: transport chain
222: bracket
223: guide roller
224a: horizontal piece
224b: vertical piece
230: drive unit
231: motor
232: drive chain
233: drive sprocket
234a: drive shaft
235: support means
235a: guide stand
235b: bearing house
240: injection part
241: Airline
242: air nozzle
30: incineration device
310: base
320: body
321: combustion space
322: inner wall
323: fixed block
324: outer wall
325: input hopper
330: combustion line
331: fuel tank
340: blowing line
341: blow pen
350: inspection door
351: hinge shaft
353: handle
354 : catch
355: lock ring
360: exhaust line
40: fuel supply device
410: combustion housing
412: nozzle
413: combustion space
414: heater
420: auxiliary tank
421: supply line
422: valve
423: bypass line
425: flow gauge
430: auxiliary combustion housing
431: auxiliary combustion line
433: pump
434: valve
440: temperature sensor
50: blower
510: air injection unit
511: spray nozzle
511a: hole
520: air injection nozzle
60: stirring device
610: support frame
620: driving means
621: motor
622: drive shaft
623: drive sprocket
624: chain
625: driven sprocket
630: guide means
631: support
632: guide block
633: guide bar
634: fixture
640: action rod
642: air passage
643: nozzle ball
650: sensor
70: exhaust device
710: exhaust hood
711: flange
712: exhaust passage
720: spray nozzle
730: reservoir
731: Dreadline

Claims (8)

소각장치에 이용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장치는,
연소라인과 연결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에 충진된 연료를 소각몸체 내부로 분사하여 연소시키게 하는 연소하우징; 및
상기 소각몸체에 부착되어 소각몸체 내의 연소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In the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used in an incinerator,
The fuel supply device,
an auxiliary tank connected to the combustion line to receive fuel from the fuel tank;
a combustion housing that injects the fuel filled in the auxiliary tank into the incineration body to burn it; and
and a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cineration body to measure a combustion temperature in the incineratio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몸체에는 다수개의 보조연소라인에 의해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다수개의 보조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neratio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housings for receiving and injecting fuel from the fuel tank through a plurality of auxiliary combustion l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와 연료탱크 사이에는 연료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와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a valve and a pump for controlling fuel supply are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tank and the fuel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에는 연료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유량게이지가 구비되고, 연료의 과충진시 연료탱크 측으로 리턴되게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tank is provided with a flow gauge for checking the fuel level, and a bypass line is provided to return to the fuel tank when the fuel is overfi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하우징은 히터 가열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housing is 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injected by heating the heater is ignited.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하우징과 보조하우징은 소각몸체의 외주면 상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mbustion housing and the auxiliary housing are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cineration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은 연소하우징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uxiliary housing is a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ombustion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의 동작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소각몸체 내부 온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housing is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ion body sensed by a temperature sensor.
KR1020190173328A 2019-12-23 2019-12-23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KR102328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328A KR102328698B1 (en) 2019-12-23 2019-12-23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328A KR102328698B1 (en) 2019-12-23 2019-12-23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10A true KR20210081110A (en) 2021-07-01
KR102328698B1 KR102328698B1 (en) 2021-11-18

Family

ID=7686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328A KR102328698B1 (en) 2019-12-23 2019-12-23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69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297A (en)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온누리에어테크 Inciner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emission
KR20090085947A (en) * 2008-02-05 2009-08-10 서다원 Combustion device of high efficiency for liquid fuel and boiler using there of
KR101910166B1 (en) * 2017-03-13 2018-10-19 주식회사 아이디티코리아 Movable type pyrolysis incin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297A (en)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온누리에어테크 Inciner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emission
KR20090085947A (en) * 2008-02-05 2009-08-10 서다원 Combustion device of high efficiency for liquid fuel and boiler using there of
KR101910166B1 (en) * 2017-03-13 2018-10-19 주식회사 아이디티코리아 Movable type pyrolysis inci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698B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8583B2 (en) High 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or
KR101604837B1 (en) Multi layer high 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KR101541799B1 (en) The movable incineration system for dead animals
KR100883952B1 (en) Gas generating system
KR101243986B1 (en) Drying apparatus for waste material
KR102025570B1 (en) Multi layer high 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KR102197126B1 (en) A combustion air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KR101498260B1 (en)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KR200390978Y1 (en) Incinerator
KR102328698B1 (en) A combus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use in an incinerator
KR102154450B1 (en) Incinerator
KR20210081112A (en) Exhaust apparatus used in incinerator
KR20210081111A (en) Agitator apparatus used in incinerator
KR20210081109A (en) Transfer apparatus for incineration of incineration subject
KR200226144Y1 (en) Device for drying and incinerating the sludge of incinerating furnace
KR20210078902A (en) Land drying apparatus for an ocean disposal waste
KR101097899B1 (en) Land drying apparatus for an ocean disposal waste
CN213300094U (en) Incineration system for incinerating materials
CN213089822U (en)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for incinerator
CN213089853U (en) Combustion air supply device for incineration device
KR101212112B1 (en) RPF(Reuse Plastic Fuel) GAS Boiler
KR20000054505A (en) Device for drying and incinerating the sludge of incinerating furnace
CN111237769A (en) Inci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cinerating objects
CN111237775A (en) Fuel supply device for combustion for incinerator
CN111237798A (en) Combustion air supply device for incin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