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085A -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085A
KR20210081085A KR1020190173291A KR20190173291A KR20210081085A KR 20210081085 A KR20210081085 A KR 20210081085A KR 1020190173291 A KR1020190173291 A KR 1020190173291A KR 20190173291 A KR20190173291 A KR 20190173291A KR 20210081085 A KR20210081085 A KR 2021008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plug
valv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17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085A/ko
Publication of KR2021008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2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the annular discs being incorporated within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5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 F16F9/3487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with spacers or spac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소프트 감쇠력이 디그레시브 특성을 가지면서도 하드 감쇠력이 저하되지 않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감쇠력의 가변을 위한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쇼크 업소버로부터 유입된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제1 의 힘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제1 힘과 다른 제2 힘에 따라 개폐되는 제2 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VALVE ASSEMBLY VARYING DAMPING FORCE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쇼크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쇼크 업소버는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에 장착되고, 이동 수단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 또는 완충하여 이동수단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종래의 쇼크 업소버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을 포함하고, 실린더와 피스톤은 각각 차체 또는 바퀴에 연결된다.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이 낮게 설정된 경우, 주행시 노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차체의 자세 변화가 크게 되어 조종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종래의 쇼크의 업소버의 감쇠력을 높게 설정된 경우, 차체의 자세 변화가 억제되어 조종 안정성이 향상되나, 승차감이 낮아질 수 있다.
종래의 쇼크 업소버는 노면 및 주행 상태 등에 따라 승차감이나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감쇠력을 가변시키는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피스톤 속도에 따른 감쇠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위하여 높은 감쇠력인 하드 감쇠력(11, 12)과 승차감의 향상을 위하여 낮은 감쇠력인 소프트 감쇠력(21, 22)으로 감쇠력을 조정한다. 특히, 소프트 감쇠력(21, 22)은 0 내지 a1 의 피스톤 속도인 제1 단계, a1 내지 b1 의 피스톤 속도인 제2 단계 및 b1 내지 c1 의 피스톤 속도인 제3 단계로 구분된다. 제1 단계에서는 밸브의 슬릿(slit)의 특성으로 인한 저속 감쇠력이 생성되고, 제2 단계에서는 밸브의 스프링의 특성으로 인한 중속 감쇠력이 생성되고, 제3 단계에서는 밸브의 홀의 특성으로 인한 고속 감쇠력을 생성한다.
제3 단계의 고속 감쇠력은 제1 단계의 저속 감쇠력과 제2 단계의 중속 감속력보다 크므로,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제3 단계의 고속 감쇠력을 낮추기 위한 디그레시브(degressive) 특성의 구현이 필요한 실정이다. 여기서, 디그레시브 특성은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이 급격하게 증가되지 않고 완만하게 증가되는 특성을 말하며, 도 1에 도시된 소프트 감쇠력(21)이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 디스크(disc) 형태의 판스프링이 적용될 경우, 디스크 형태의 스프링의 탄성 계수의 상수가 커서 디그레시브 특성을 구현하기에 곤란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그레시브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지는 압축 스프링이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 적용될 경우, 소프트 감쇠력(21, 22)은 디그레시브 특성이 구현되는 소프트 감쇠력(21a, 22a)으로 낮아진다. 그러나, 하드 감쇠력(11, 12)도 디그레시브 특성이 구현되는 하드 감쇠력(11a, 12a)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8992호(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프트 감쇠력이 디그레시브 특성을 가지면서도 하드 감쇠력이 저하되지 않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감쇠력의 가변을 위한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쇼크 업소버로부터 유입된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제1 의 힘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제1 힘과 다른 제2 힘에 따라 개폐되는 제2 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은 상기 제1 압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는, 제1 통로가 형성되는 제1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1 플러그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탄성력을 가지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는 상기 제1 힘에 따라 상기 제1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는, 제2 통로가 형성되는 제2 밸브 하우징;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플러그; 및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2 플러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력보다 큰 제2 탄성력을 가지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러그는 상기 제2 힘에 따라 상기 제2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러그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일면과 접촉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일면과 함께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 공간을 가지는 리테이너 몸체; 및 상기 리테이너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일면과 접촉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드 감쇠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소프트 감쇠력이 디그레시브 특성을 가지므로,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의 승차감이 개선된다.
또한,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3 단계로 감쇠력 특성을 제어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5 단계로 감쇠력 특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속 감쇠력 뿐만 아니라 중속 감쇠력도 디그레시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피스톤 속도에 따른 감쇠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디그레시브 특성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하드 감쇠력과 소프트 감쇠력이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제1 압력에 따른 작동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제2 압력에 따른 작동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피스톤 속도에 따른 감쇠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100)는 솔레노이드부(110), 제1 밸브(120) 및 제2 밸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10)는 감쇠력의 가변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10)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10)는 공지 기술에 해당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밸브(120)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120)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10)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에 따라 하드 감쇠력 또는 소프트 감쇠력 중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120)는 상기 쇼크 업소버(미도시)로부터 유입된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제1 힘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120)는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 제1 플러그(121) 및 제1 스프링(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에는 제1 통로(1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124)는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의 내부와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의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121)는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121)는 상기 작동 유체의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122)은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과 상기 제1 플러그(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탄성력을 가진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121)는 상기 제1 스프링(12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통로(124)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121)는 상기 제1 스프링(122)에 의한 제1 탄성력보다 큰 상기 제1 힘에 의해 상기 제1 통로(124)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힘은 상기 작동 유체가 상기 제1 밸브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130)는 상기 제1 밸브(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130)는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제2 힘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2 힘은 상기 제1 힘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힘은 상기 제1 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130)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 제2 플러그(131) 및 제2 스프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에는 제2 통로(13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통로(135)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내부와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러그(131)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러그(131)는 상기 작동 유체의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132)은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과 상기 제2 플러그(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은 제2 탄성력을 가진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력은 상기 제1 탄성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플러그(131)는 상기 제2 스프링(13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통로(135)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러그(131)는 상기 제2 스프링(132)에 의한 제2 탄성력보다 큰 상기 제2 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135)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 힘은 상기 작동 유체가 상기 제2 밸브(1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플러그(131)의 일면(131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러그(131)의 상기 일면(131a)은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130)는 리테이너(134) 및 스냅링(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34)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34)는 상기 제2 플러그(131)의 상기 일면(131a)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리테이너 몸체(134a) 및 돌기(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몸체(134a)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테이너(134)의 적어도 일 부분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몸체(134a)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 몸체(134a)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몸체(134a)는 상기 제2 플러그(131)의 상기 일면(131a)과 함께 가압 공간(131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 공간(131b)은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가압 공간(131b)에 유입된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제2 플러그(13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돌기(134b)는 상기 리테이너 몸체(134a)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134b)는 상기 제2 플러그(131)의 상기 일면(131a)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34)는 상기 제2 플러그(131)가 상기 제2 스프링(132)에 의한 제2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냅링(133)은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냅링(133)은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냅링(133)은 C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O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냅링(133)은 상기 리테이너(134)가 상기 제2 플러그(131)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제1 압력에 따른 작동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제2 압력에 따른 작동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쇼크 업소버로부터 상기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로 유입된다.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이 적을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작동 유체가 상기 제1 플러그(121)에 가해지는 상기 제1 힘은 상기 제1 스프링(122)의 제1 탄성력보다 크다.
상기 제1 스프링(122)은 상기 제1 힘에 의해 제1 방향(①)으로 압축된다. 상기 제1 스프링(122)의 압축에 의해, 상기 제1 플러그(121)는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플러그(121)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통로(124)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상기 작동 유체가 상기 제1 통로(124)를 통해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1 경로(M)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 하우징(120a)의 외부에는 리저버(reservoi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이 적을 경우,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제1 경로(M)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이 많을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작동 유체가 상기 제2 플러그(131)에 가해지는 상기 제2 힘은 상기 제2 스프링(132)의 제2 탄성력보다 크다.
상기 제2 스프링(132)은 상기 제2 힘에 의해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압축된다. 상기 제2 스프링(132)의 압축에 의해, 상기 제2 플러그(131)는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 플러그(131)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통로(135)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상기 작동 유체가 상기 제2 통로(135)를 통해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2 경로(N)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 하우징(130a)의 외부에는 상기 리저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이 클 경우,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제1 경로(M)와 함께 상기 제2 경로(N)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하드 감쇠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소프트 감쇠력이 디스레시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서 피스톤 속도에 따른 감쇠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는 하드 감쇠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소프트 감쇠력이 디스레시브 특성을 가지는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소프트 감쇠력(41, 42)은 0 내지 a2 의 피스톤 속도인 제1 단계, a2 내지 b2 의 피스톤 속도인 제2 단계, b2 내지 c2 의 피스톤 속도인 제3 단계, c2 내지 d2 의 피스톤 속도인 제4 단계 및 d2 내지 e2 의 피스톤 속도인 제5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제1 밸브(120, 도 3 참조)의 슬릿(slit)의 특성으로 인한 저속 감쇠력이 생성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스프링(122)의 특성으로 인한 제1 중속 감쇠력이 생성되고,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스프링(122)의 특성과 상기 제2 스프링(132)의 특성으로 인한 제2 중속 감쇠력이 생성되고,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제2 밸브(130, 도 3 참조)의 홀의 특성으로 인한 제1 고속 감쇠력이 생성되고, 상기 제5 단계에서는 제1 밸브(120, 도 3 참조)의 홀의 특성으로 인한 제2 고속 감쇠력이 생성된다.
종래에 따른 소트프 감쇠력은 3단계로 구분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트프 감쇠력(41, 42)은 5단계로 구분되어, 중속 감쇠력과 고속 감쇠력이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의 제2 중속 감쇠력과 제4 단계의 제1 고속 감쇠력은 피스톤 속도에 따라 디그레시브 특성을 가지게 되므로, 차량의 승차감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 감쇠력(31, 32)은 저하되지 않으므로, 차량이 소프트 감쇠력에서 하드 감쇠력으로 전환되더라고,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쇼크 업소버의 가변 밸브 조립체
110: 솔레노이드부
120: 제1 밸브
130: 제2 밸브

Claims (7)

  1.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감쇠력의 가변을 위한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쇼크 업소버로부터 유입된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제1 힘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제1 힘과 다른 제2 힘에 따라 개폐되는 제2 밸브;
    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힘은 상기 제1 힘보다 큰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제1 통로가 형성되는 제1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1 플러그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탄성력을 가지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는 상기 제1 힘에 따라 상기 제1 통로를 개폐하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제2 통로가 형성되는 제2 밸브 하우징;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플러그; 및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2 플러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력보다 큰 제2 탄성력을 가지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러그는 상기 제2 힘에 따라 상기 제2 통로를 개폐하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일면과 접촉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일면과 함께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 공간을 가지는 리테이너 몸체; 및
    상기 리테이너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일면과 접촉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KR1020190173291A 2019-12-23 2019-12-23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KR20210081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91A KR20210081085A (ko) 2019-12-23 2019-12-23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91A KR20210081085A (ko) 2019-12-23 2019-12-23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085A true KR20210081085A (ko) 2021-07-01

Family

ID=7686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291A KR20210081085A (ko) 2019-12-23 2019-12-23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0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359A (ko) * 2021-11-03 2023-05-10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쇽 업소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92B1 (ko) 2010-02-16 2011-09-30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92B1 (ko) 2010-02-16 2011-09-30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359A (ko) * 2021-11-03 2023-05-10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쇽 업소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2326B (zh) 阻尼器
US9261160B2 (en) 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
KR102010965B1 (ko) 개방 블리드를 가지는 피스톤 조립체
KR101068992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US20140353097A1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KR101441535B1 (ko) 완전 이동 밸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쇽업소바
US20160201752A1 (en) Damping force variable type shock absorber
KR102172160B1 (ko)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JP2009505024A (ja) 非対称吸込減衰弁
KR20140022583A (ko) 쇽 업소버의 밸브 조립체
CN106795934B (zh) 带有依赖频率的被动阀的减振器
CN101881314A (zh) 车辆悬架部件及用于悬架部件的自适应减振阀门
JP2017524112A (ja) 周波数依存型受動弁を備えた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20210081085A (ko)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CN110822003B (zh) 阻尼力可变减震器
US11236799B2 (en) Valve assembly for a damper
KR101337858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KR20120134783A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450307B1 (ko) 쇽업소버
KR100390751B1 (ko) 쇽업소버
KR101450308B1 (ko) 쇽업소버
KR100583875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밸브
KR101691582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어셈블리
KR20230142162A (ko) 차량용 수직 댐퍼
JP2008095823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