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058A -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058A
KR20210081058A KR1020190173247A KR20190173247A KR20210081058A KR 20210081058 A KR20210081058 A KR 20210081058A KR 1020190173247 A KR1020190173247 A KR 1020190173247A KR 20190173247 A KR20190173247 A KR 20190173247A KR 20210081058 A KR20210081058 A KR 2021008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language learning
video
korean language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후
이혜연
조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너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너울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너울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7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058A/ko
Publication of KR2021008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058A/ko
Priority to KR1020220132350A priority patent/KR20220158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110); 상기 동영상의 자막을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 및 상기 동영상 자막을 한국어 형태소 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동영상부(100); 및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 및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시점과 종점을 갖는 소정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상기 동영상에서 잘라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SYSTEM OF MAKING CONTENTS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본 발명은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류붐을 일으키고 있는 우리나라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하나의 강의를 만들 수 있도록,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 등을 갖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디오 클립을 자동으로 복수 개 추출하여 제공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강의용의 동영상을 찾는 시간이나 노력 등의 수고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시각적으로 표시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에서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큰 시간과 노력없이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류(韓流)는 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을 말한다. 1996년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되고, 2년 뒤에는 가요가 알려지면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대중문화가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되ㅇ었다. 한류라는 용어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알려지면서 대만, 중국, 한국 등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열풍이 일기 시작하자 2000년 2월 중국 언론에서 이러한 현상을 표현하기 위해 '한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널리 알려졌다.
이후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은 중국뿐 아니라 타이완·홍콩·베트남·타이·인도네시아·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에는 드라마·가요·영화 등 대중문화만이 아니라 김치·고추장·라면·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의 이상적인 선호현상까지 나타났는데, 포괄적인 의미에서는 이러한 모든 현상을 가리켜 한류라고 한다.
심지어 대중문화의 수용 차원을 넘어 한국의 가수·영화배우·탤런트, 나아가 한국인과 한국 자체에 애정을 느껴 한국어를 익히거나 한국 제품을 사려는 젊은이들까지 생겨났는데, 중국에서는 이들을 가리켜 '합한족(哈韓族)'이라는 신조어로 부른다.
이와 같은 한류의 성장과 발맞춰서, 외국인들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같이 커가고 있다. 한국어 사용인구가 7,200만이 넘는 세계에서 열세 번째의 언어로서 남북한은 말할 것도 없고, 중국, 미국, 일본, 중앙아시아, 중남미, 캐나다, 호주, 유럽, 동남아 등 세계 곳곳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는 아직도 한류의 성장이나 한국어에 대한 관심만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아직도 오래되고 진부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7908호(2018년 10월 4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EDUCATIONAL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FOREIGN APPLICANTS})에서는, "본 발명은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LMS 사이트를 형성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한국어 교육수준정보가 저장되는 전자기록단말기(10); 상기 전자기록단말기(1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카테고리별로 학습관리메뉴를 형성하여 웹사이트를 유무선 네트워크에 게시하는 학습메뉴생성부(21); 상기 한국어 교육수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한국어 구사능력의 문제점을 수준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제1 분류데이터와, 상기 문제점을 과목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제2 분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공개기출문제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1 분류데이터와 상기 제2 분류데이터를 상기 공개기출문제와 비교분석을 하는 기출분석부(22); 상기 기출분석부(22)에서 상기 비교분석을 한 결과를 기반으로 중복어휘의 빈도수를 측정하여 빈도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빈도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중복어휘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제3 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어휘분석부(23); 및 상기 어휘분석부(23)에서 생성한 상기 제3 분류데이터를 기반으로 토픽 분류를 실행하고, 토픽이 분류된 결과를 신문기사, 일반상식, 일상생활, 해외토픽으로 분류하여 제4 분류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4 분류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성이 있는 영상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전자기록단말기(10)로 전송하는 토픽분석부(24);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록단말기(10)와 데이터의 송신 또는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콘텐츠서버(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너무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만 비디오 클립을 검색하고, 선택하고, 편집할 수 있었으며, 많은 수고를 들인 강의나 코스를 손쉽게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는 최근 아이돌의 동영상이나 히트 드라마 등으로 최신화할 수 있는 방법도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7908호(2018년 10월 4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EDUCATIONAL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FOREIGN APPLICANT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류붐을 일으키고 있는 우리나라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하나의 강의를 만들 수 있도록,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 등을 갖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디오 클립을 자동으로 복수 개 추출하여 제공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강의용의 동영상을 찾는 시간이나 노력 등의 수고를 절약할 수 있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시각적으로 표시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에서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큰 시간과 노력없이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 내의 너무 오래되거나 진부하여 학생의 학습 의욕이 감퇴되는 비디오 클립을 다양한 최근 K-드라마, K-pop 등으로 최신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최신화가 필요한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최신 비디오 클립을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으로서,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110); 상기 동영상의 자막을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 및 상기 동영상 자막을 자연어 처리하고, 한국어 형태소 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동영상부(100); 및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 및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시점과 종점을 갖는 소정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상기 동영상에서 잘라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비디오 클립 저장부(310); 상기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저장하는 강의 저장부(320);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의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저장하는 코스 저장부(330);를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국어 형태소 코드는, 보통명사, 서술형명사, 비서술형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를 포함하는 체언(N), 동사, 형용사, 보조용언를 포함하는 용언(P), 감탄사를 포함하는 독립언(I), 접두사 및 접미사를 포함하는 접사(X), 선어말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종결어미를 포함하는 어미(E), 관형사 및 부사를 포함하는 수식언(M), 격조사 및 보조사를 포함하는 관계언(J), 쉼표, 마침표, 여는따옴표 및 묶음표, 닫는따옴표 및 묶음표, 이음표, 줄임표, 단위기호, 기타기호를 포함하는 기호(S), 및 외국어(F)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비디오 클립의 시점 및 상기 종점의 경우,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를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하고,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상기 복수 개의 종점 후보 가운데 각각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디오 클립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는, 상기 동영상 자막이 소정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상기 동영상 자막이 없는 구간의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 페이드 인(fade-in) 지점, 페이드 아웃(fade-out) 지점, 인물이 등장하는 지점, 인물이 퇴장하는 지점, 장소가 변경되는 지점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에서의 상기 입력어는,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문장 구조, 키워드, 시간, 장소, 상황, 이벤트, 인물, 인물의 감정을 포함하는 입력어이고,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용이하게 하나의 강의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의는 문장구조 학습용 강의로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동영상 자막의 한국어 형태소 코드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문장구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강의는 단어 학습용 강의로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단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거나, 또는 사전부에서 확인되는 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및 옛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강의는 특정한 상황 학습용 강의 또는 이벤트 학습용 강의로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황 또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을 최신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최신화가 필요한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최신 비디오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에서의 상기 동영상의 자막은, 상기 동영상의 대본 파일을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STT(Speech-To-Text)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텍스트 변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 저장부(310), 강의 저장부(320), 및 코스 저장부(330)에 대해서, 학생의 수요, 검색, 구매 및 평점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비디오 클립, 상기 강의 및 상기 코스의 가격 책정을 연동하여 변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은,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110); 상기 동영상의 자막을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 및 상기 동영상 자막을 한국어 형태소 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동영상부(100)에 대해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어를 입력받는 단계(S100); 및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를 통해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시점과 종점을 갖는 소정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상기 동영상에서 잘라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에서의 상기 입력어는,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문장 구조, 키워드, 시간, 장소, 상황, 이벤트, 인물, 인물의 감정을 포함하는 입력어이고,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용이하게 하나의 강의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국어 형태소 코드는, 보통명사, 서술형명사, 비서술형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를 포함하는 체언(N), 동사, 형용사, 보조용언를 포함하는 용언(P), 감탄사를 포함하는 독립언(I), 접두사 및 접미사를 포함하는 접사(X), 선어말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종결어미를 포함하는 어미(E), 관형사 및 부사를 포함하는 수식언(M), 격조사 및 보조사를 포함하는 관계언(J), 쉼표, 마침표, 여는따옴표 및 묶음표, 닫는따옴표 및 묶음표, 이음표, 줄임표, 단위기호, 기타기호를 포함하는 기호(S), 및 외국어(F)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일한 문장 구조는, 상기 동일한 한국어 형태소 코드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디오 클립의 시점 및 상기 종점의 경우,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를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하고,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상기 복수 개의 종점 후보 가운데 각각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비디오 클립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는, 상기 동영상 자막이 소정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상기 동영상 자막이 없는 구간의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 페이드 인(fade-in) 지점, 페이드 아웃(fade-out) 지점, 인물이 등장하는 지점, 인물이 퇴장하는 지점, 장소가 변경되는 지점을 포함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비디오 클립 저장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저장하는 강의 저장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의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저장하는 코스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가 문장구조 학습용 강의인 경우,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동영상 자막의 한국어 형태소 코드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문장구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강의가 단어 학습용 강의인 경우,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단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거나, 또는 사전부에서 확인되는 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및 옛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강의가 특정한 상황 학습용 강의 또는 이벤트 학습용 강의인 경우,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황 또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에서의 상기 동영상의 자막은, 상기 동영상의 대본 파일을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STT(Speech-To-Text)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텍스트 변환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에 의하면,
첫째, 한류붐을 일으키고 있는 우리나라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하나의 강의를 만들 수 있도록,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 등을 갖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디오 클립을 자동으로 복수 개 추출하여 제공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강의용의 동영상을 찾는 시간이나 노력 등의 수고를 절약할 수 있다.
둘째,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시각적으로 표시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에서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편집하는데 들이는 시간과 노력 등의 수고를 크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 내의 너무 오래되거나 진부하여 학생의 학습 의욕이 감퇴되는 비디오 클립을 다양한 최근 K-드라마, K-pop 등으로 최신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최신화가 필요한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최신 비디오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한국어 형태소 및 한국어 형태소 코드에 최적화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에서의 동영상의 자막은, 동영상의 대본 파일을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STT(Speech-To-Text)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텍스트 변환하여 만들어져서, 동영상 자막을 자동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같은 문장 구조를 갖는 문장들을 같이 학습함으로써, 한국어 문장구조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곱째, 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옛말 등 단어 공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단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거나, 또는 사전부에서 확인되는 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및 옛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할 수 있다.
여덟째, 특정한 상황이나 이벤트에서 자주 나오는 문장이나 표현을 학습함으로써, 대응력이나 순발력을 향상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홉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 저장부, 강의 저장부, 및 코스 저장부에 대해서, 학생들의 수요, 검색, 구매 등을 기초로 하여, 비디오 클립, 강의 및 코스의 가격 책정을 연동하여 변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학생의 평점 기반으로 가격을 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째, 학생의 비디오 클립 저장부의 비디오 클립, 강의 저장부의 강의, 및 코스 저장부의 코스의 수업 진척도, 진행 상황, 퀴즈 성적, 성취도 평가 점수에 따라서, 이에 연동하여 최적의 강의 콘텐츠, 즉 비디오 클립, 강의, 코스를 제안하거나 또는 추천하여, 학습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한국어 형태소 및 한국어 형태소 코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시각적으로 표시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에서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결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동영상부(100), 인터페이스부(200) 및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동영상부(100)는 동영상 저장부(110),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 및 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동영상 저장부(110)는 한류에 따른 k-드라마, k-pop,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동영상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는 상술한 다양한 동영상의 자막을 저장한다. 여기서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에서의 동영상의 자막은, 동영상의 대본 파일을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STT(Speech-To-Text)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텍스트 변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130)는 상술한 동영상 자막을 자연어 처리(예를 들어, 오픈 소스 기반의 KoNLP 등으로 자연어 처리)하고 한국어 형태소 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한국어 형태소 및 그 형태소별 한국어 형태소 코드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00)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 및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를 포함한다.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의 입력어는, 문장 구조, 키워드, 시간, 장소, 상황, 이벤트, 인물, 인물의 감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문장 구조는 예를 들어 "~함으로써"나 "하고 나서~"와 같은 문장 구조를 말한다. 또는 말할 때 아랫사람에게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과거에 직접 경험하여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지금 상대방에게 옮겨 전달함으로 나타내는 어미인, "~더라"에 인용의 "고"를 함께 쓰인 말인, "~더라고"를 학습할 때, 같은 문장 구조를 갖는 "~더라고"가 들어간 비디오 클립만을 모아서 학습하면 학습 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의 예로서는 다양한 주제어(사랑, 죽음, 여행 등), 시간의 예로서는 아침, 점심, 저녁, 봄, 여름, 가을, 겨울, 여름방학, 겨울방학 등일 수 있다. 장소는 거실, 욕실, 침실, 학교, 도서관, 교회, 절, 박물관, 전시관, 수영장, 체육관, 워터파크 등일 수 있으며, 상황은 동료가 승진하거나 결혼하는 등의 상대방을 축하하는 상황, 상대방에게 회명하거나 변명하는 상황, 상대방을 비난하는 상황 등일 수 있다.
이벤트의 예로서는 입학식, 졸업식, 결혼식, 금혼식, 퇴임식, 장례식, 생일파티, 칠순잔치, 송년회, 신년회, 시무식, 종무식, 야유회, 운동회 등일 수 있으며, 인물은 드라마, 영화, 예능, 뮤직비디오에서의 인물의 교체, 인물의 등장이나 퇴장 등일 수 있으며, 인물의 감정의 예로서는 인간의 희노애락 등일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시점과 종점을 갖는 소정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상기 동영상에서 잘라서 (즉, 편집해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는, 상술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만든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비디오 클립 저장부(310), 이와 같은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저장하는 강의 저장부(320), 및 복수 개의 강의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저장하는 코스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코스는 예를 들어, 1학기 코스, 10주 완성 코스(총 30강), BTS 영상으로 배우는 한국어 코스(총 12강), TOPIK 중급 코스(총 50강) 등일 수 있다.
또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에서의 상기 입력어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문장 구조, 키워드, 시간, 장소, 상황, 이벤트, 인물, 인물의 감정을 포함하는 입력어일 수 있는데, 여기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용이하게 하나의 강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한국어 언어학습 콘첸츠 제작자가 입력한 입력어를 자막에서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자막에서 어법과 품사 등을 자막과 같이 병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강의가 문장구조를 학습하는 강의인 경우, 상술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영상 자막의 한국어 형태소 코드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문장구조, 예를 들어 "~하기 때문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여,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제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강의가 단어를 학습하는 강의인 경우, 상술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단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거나, 또는 사전부(미도시)에서 확인되는 동의어 또는 유의어(예로서 화난다, 열받는다, 환장하겠다, 가슴에서 천불이 난다, 뚜껑이 열린다 등), 반의어, 및 옛말(식사나 밥의 옛말로서 수라, 진지 등 사극에서나 나올 법한 옛날말이나 고대어 등)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단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에서의 빈도 분석을 바탕으로, 단어 강의 제작을 위한 빈출 단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시간별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 내의 단어에서 전혀 존재하지 않던 단어가 나오는 경우, 예를 드러 신조어의 경우, 신조어 단어 리스트를 제공하여, 신조어 단어 공부 강의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신조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한국어 교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강의가 특정한 상황을 학습하는 강의 또는 특정 이벤트에서 나올 법한 문장이나 단어를 공부하는 강의인 경우, 상술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황 또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여, 학생들의 특정 상황이나 특정 이벤트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할 수 있다.
(한국어 형태소 및 한국어 형태소 코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한국어 형태소 및 한국어 형태소 코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 형태소 및 한국어 형태소 코드로서는, 보통명사, 서술형명사, 비서술형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를 포함하는 체언(N), 동사, 형용사, 보조용언를 포함하는 용언(P), 감탄사를 포함하는 독립언(I), 접두사 및 접미사를 포함하는 접사(X), 선어말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종결어미를 포함하는 어미(E), 관형사 및 부사를 포함하는 수식언(M), 격조사 및 보조사를 포함하는 관계언(J), 쉼표, 마침표, 여는따옴표 및 묶음표, 닫는따옴표 및 묶음표, 이음표, 줄임표, 단위기호, 기타기호를 포함하는 기호(S), 및 외국어(F)를 들 수 있다.
(비디오 클립 결정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시각적으로 표시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에서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결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하 비디오 클립의 시점 및 상기 종점의 경우,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를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한다. 그러면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상술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상기 복수 개의 종점 후보 가운데 각각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통상 한국어 교사)가 스스로 비디오 클립을 찾아 다닐 필요가 없게 되고, 손쉽게 한국어 교재에 맞는 비디오 클립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클립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는, 동영상 자막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초간, 5초간 없을 경우 해당 동영상 자막이 없는 구간의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 페이드 인(fade-in) 지점, 페이드 아웃(fade-out) 지점, 인물이 등장하는 지점, 인물이 퇴장하는 지점, 장소가 변경되는 지점 등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디오 클립 최신화 방법)
한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을 최신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최신화가 필요한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최신 비디오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너무 오래되거나 진부하여 학생의 학습 의욕이 감퇴되는 비디오 클립을, 손쉽게 다양한 최근 K-드라마이나, K-pop, 예능 등으로 최신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콘텐츠 가격 책정)
비디오 클립, 강의 및 코스의 가격을 고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 저장부(310), 강의 저장부(320), 및 코스 저장부(330)에 대해서, 학생들의 수요, 검색, 구매 등을 기초로 하여, 비디오 클립, 강의 및 코스의 가격 책정을 연동하여 변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학생의 평점 기반으로 가격을 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생의 학습 성과 및 콘텐츠 추천)
학생의 비디오 클립 저장부(310)의 비디오 클립, 강의 저장부(320)의 강의, 및 코스 저장부(330)의 코스의 수업 진척도, 진행 상황, 퀴즈 성적, 성취도 평가 점수에 따라서, 이에 연동하여 최적의 강의 콘텐츠, 즉 비디오 클립, 강의, 코스를 제안하거나 또는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비디오 클립, 강의, 코스를 제안하거나 또는 추천시에, 인공지능 등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하여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은,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110); 상기 동영상의 자막을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 및 상기 동영상 자막을 한국어 형태소 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동영상부(100)에 대해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어를 입력받는다(S100).
다음으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를 통해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시점과 종점을 갖는 소정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상기 동영상에서 잘라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한다(S200).
여기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에서의 상기 입력어는,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문장 구조, 키워드, 시간, 장소, 상황, 이벤트, 인물, 인물의 감정을 포함하는 입력어이고,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용이하게 하나의 강의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비디오 클립 저장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저장하는 강의 저장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의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저장하는 코스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상술한 시스템에서 설명 부분에 모두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플랫폼
100...동영상부
110...동영상 저장부
120...동영상 자막 저장부
130...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
200...인터페이스부
210...한국어 언어학습 콘덴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
220...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
300...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
310...비디오 클립 저장부
320...강의 저장부
330...코스 저장부
S100...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어를 입력받는 단계
S200...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 단계
S300...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 단계

Claims (12)

  1.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한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으로서,
    드라마, 예능 및 영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자료에 이용되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110); 상기 동영상의 자막을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 및 상기 동영상 자막을 한국어 형태소 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동영상 자막 형태소 코드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동영상부(100); 및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 및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시점과 종점을 갖는 소정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상기 동영상에서 잘라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비디오 클립 저장부(310); 상기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저장하는 강의 저장부(320);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의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저장하는 코스 저장부(330);를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를 더 포함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형태소 코드는,
    보통명사, 서술형명사, 비서술형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를 포함하는 체언(N), 동사, 형용사, 보조용언를 포함하는 용언(P), 감탄사를 포함하는 독립언(I), 접두사 및 접미사를 포함하는 접사(X), 선어말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종결어미를 포함하는 어미(E), 관형사 및 부사를 포함하는 수식언(M), 격조사 및 보조사를 포함하는 관계언(J), 쉼표, 마침표, 여는따옴표 및 묶음표, 닫는따옴표 및 묶음표, 이음표, 줄임표, 단위기호, 기타기호를 포함하는 기호(S), 및 외국어(F)로 이루어지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클립의 시점 및 상기 종점의 경우, 동영상 재생 시간 순서대로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복수 개의 종점 후보를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하고,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시점 후보와 상기 복수 개의 종점 후보 가운데 각각 하나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를 선택하여, 하나의 비디오 클립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클립의 시점 후보 및 종점 후보는, 상기 동영상 자막이 소정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상기 동영상 자막이 없는 구간의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 페이드 인(fade-in) 지점, 페이드 아웃(fade-out) 지점, 인물이 등장하는 지점, 인물이 퇴장하는 지점, 장소가 변경되는 지점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용 입력 인터페이스부(210)에서의 상기 입력어는,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문장 구조, 키워드, 시간, 장소, 상황, 이벤트, 인물, 인물의 감정을 포함하는 입력어이고,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용이하게 하나의 강의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는 문장구조 학습용 강의로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동영상 자막의 한국어 형태소 코드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문장구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는 단어 학습용 강의로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단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거나, 또는 사전부에서 확인되는 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및 옛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는 특정한 상황 학습용 강의 또는 이벤트 학습용 강의로서,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황 또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묶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을 최신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디오 클립 추출 및 제공부(220)는, 동일한 문장 구조, 동일한 키워드, 동일한 시간 및 장소, 동일한 상황 및 이벤트, 동일한 인물, 동일한 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자에게, 최신화가 필요한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최신 비디오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자막 저장부(120)에서의 상기 동영상의 자막은, 상기 동영상의 대본 파일을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STT(Speech-To-Text)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텍스트 변환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 저장부(310), 강의 저장부(320), 및 코스 저장부(330)에 대해서, 학생의 수요, 검색, 구매 및 평점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비디오 클립, 상기 강의 및 상기 코스의 가격 책정을 연동하여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20190173247A 2019-12-23 2019-12-23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20210081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47A KR20210081058A (ko) 2019-12-23 2019-12-23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20220132350A KR20220158644A (ko) 2019-12-23 2022-10-14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47A KR20210081058A (ko) 2019-12-23 2019-12-23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350A Division KR20220158644A (ko) 2019-12-23 2022-10-14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058A true KR20210081058A (ko) 2021-07-01

Family

ID=768604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247A KR20210081058A (ko) 2019-12-23 2019-12-23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20220132350A KR20220158644A (ko) 2019-12-23 2022-10-14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350A KR20220158644A (ko) 2019-12-23 2022-10-14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810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184B1 (ko) * 2021-11-23 2022-08-25 (주)붐코커뮤니케이션 콘텐츠 기반의 개인 맞춤형 한국어 교육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KR102608303B1 (ko) 2022-07-21 2023-11-29 한경훈 한국어 교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65B1 (ko) 2023-01-03 2023-05-26 주식회사 액션파워 음성 인식 결과 및 참조 데이터로부터 중요 부분을 결정하고 연계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908A (ko) 2017-03-23 2018-10-04 서미희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7908호(2018년 10월 4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EDUCATIONAL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FOREIGN APPLICA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184B1 (ko) * 2021-11-23 2022-08-25 (주)붐코커뮤니케이션 콘텐츠 기반의 개인 맞춤형 한국어 교육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KR102608303B1 (ko) 2022-07-21 2023-11-29 한경훈 한국어 교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644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dquist Corpus linguistics and the description of English
Al-Sulaiti et al. The design of a corpus of contemporary Arabic
KR20220158644A (ko)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
Braun ELISA–a pedagogically enriched corpus for language learning purposes
Garrish Accessible epub 3
Pahamzah et al. Translation techniques of subtitling: A case for Trolls movie
Zwier et al. English L2 vocabulary learning and teaching: Concepts, principles, and pedagogy
Claes Cognitive, Social, and Individual Constraints on Linguistic Variation: A Case Study of Presentational'Haber'Pluralization in Caribbean Spanish
Fruttaldo News discourse and digital currents: A corpus-based genre analysis of news tickers
KR102330494B1 (ko) 한국어 언어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비디오 클립 검색 방법
Bruti et al. The populariz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in children’s magazines: A cross-cultural corpus analysis 1
Chabata The Nambya verb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ausative
Taibi et al. Ain’t that sweet. Reflections on scene level indexing and annotation in the House Corpus Project
Widman Music and Language in the Strophic Singing of the Zhuang Minority in Southern China
Hemmings Methods in language documentation and description: A guide to the Kelabit documentation project
Asimakoulas Synchrony issues in comics. Language transfer and gender-specific characterisation in English translations of Greek Aristophanic comics
Zimmer Lexicography 2.0: Reimagining dictionaries for the digital age
Doran et al. Language in action: Sport, mode and the division of semiotic labour
Strauss et al. Beyond What Meets the Eye: Using Intralingual Glosses as Instances of Authentic Discourse in Korean L2 Pedagogy
Ohene-Djan et al. A personalisable electronic book for video-based sign language education
Salahuddin Stylistic Analysis of Influential Monologues: An Exploration of Prominent Stylistic Features in English TED Talks
RAJAGUKGUK AN ANALYSIS OF THE TRANSLATION OF FIGURATIVE LANGUAGE IN “BEFORE SUNRISE” MOVIE
Laosrirattanachai et al. Hope You Guys Enjoyed this Vlog: Lexical Bundles and Moves within English Travel Vlog Discourse
Kamluesai et al. An analysis of English loan words used in entertainment news in Thai daily newspapers
RICHA AN ANALYSIS OF DERIVATIONAL AND INFLECTIONAL MORPHEMES FOUND IN THE MOTIVATION2STUDY’S YOUTUBE VIDEO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