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162A - 염색 물빠짐 완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색 물빠짐 완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162A
KR20210080162A KR1020200094452A KR20200094452A KR20210080162A KR 20210080162 A KR20210080162 A KR 20210080162A KR 1020200094452 A KR1020200094452 A KR 1020200094452A KR 20200094452 A KR20200094452 A KR 20200094452A KR 20210080162 A KR20210080162 A KR 2021008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trimethylsiloxysilicate
hair cosmetic
cross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훈
손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1008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4Preparations used to protect coloured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내부에서 염료를 고정하는 염료 고정 기술과 모발 표면을 코팅하여 내부의 염료의 추가 유출을 막는 모발 표면 코팅 기술을 동시에 구현하여, 이를 통해 세정 단계에서 염색 물빠짐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염색모의 색 빠짐을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염색 물빠짐 완화 조성물{Dye dripping relief composition}
본 발명은 염색 물빠짐 완화를 위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0 내지 40대 여성의 약 87%가 최근 1년간 염색 경험을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모발 형태나 색상이 젊은이들에게 개성을 강조해 주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모발 염색이나 코팅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모발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고, 두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는 세발용 기능을 갖는다. 또한, 모발 화장료는 상기 세발 기능 외에도 모발 색상을 변경 및 공급하며, 빗질의 용이성, 모발에 부드러움, 매끄러움 또는 윤기 부여,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또는 모발 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염색 또는 코팅한 모발을 일반 모발 화장료(샴푸)로 반복적으로 세발하는 경우에는 샴푸 시 모발속에 침투한 염모제가 빠져 나와 모발의 색상이 염색 또는 코팅한 직후의 선명하고 윤기있는 상태로 지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모발 색상의 변화 요인은 주 3-4회의 세발에 의하여 모발에 결합된 염모제가 떨어져 나오기 때문이며 또한 햇빛이나 파마에 의하여 모발이 탈색되기 때문이다.
즉, 염색모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정 등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물빠짐 현상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물빠짐 현상을 억제하고, 염색한 모발의 색상을 선명하고 오래 지속시키 위하여, 샴푸의 pH를 산성으로 낮추는 방법, 계면활성제의 세정력을 낮게 조정하는 방법, 자외선에 의한 탈색을 완화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컬러 케어용 혹은 염색 물빠짐 완화용 세정 제품으로 모발의 등전점을 이용하여 pH가 비교적 낮은 약산성 샴푸를 사용하여, 손상된 큐티클을 닫아주는 원리로 색상을 유지하고, 물빠짐 완화를 소구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부족한 수준이다.
따라서, 염색 물빠짐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507612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염색 물빠짐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모발 내부의 염료 고정 기술 및 모발 표면 코팅 기술을 통하여 염색 물빠짐 완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염색 물빠짐을 억제하여 염색모의 색 빠짐을 완화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성이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단계에서 염색 물빠짐을 억제하여 염색모의 색 빠짐을 완화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양이온성 폴리실록산; 및 실리콘 레진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색모의 색 빠짐 완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내부에서 염료를 고정하는 염료 고정 기술과 모발 표면을 코팅하여 내부의 염료의 추가 유출을 막는 모발 표면 코팅 기술을 동시에 구현하여, 이를 통해 세정 단계에서 염색 물빠짐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염색모의 색 빠짐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염색 물빠짐 억제 및 염색모의 색빠짐 완화 매커니즘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견본 D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 내부 염료 고정 효과 및 모발 표면 균일 코팅 효과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타 조성물과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양이온성 폴리실록산; 및 실리콘 레진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단계에서 염색 물빠짐을 억제하여 이를 통해 염색모의 색 빠짐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염색 물빠짐 억제 및/또는 염색모의 색 빠짐 완화 매커니즘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① 모발 내부의 염료 고정 기술 및 ② 모발 표면 코팅 기술을 통해 염색모의 염색 물빠짐을 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모발 내부에서 염료간 혹은 염료와 모발 내부 단백질간의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모발 내부에서 염료를 고정할 수 있으며(① 모발 내부의 염료 고정 기술), 또한, 표면에 flexible resin barrier를 코팅하여 세정으로 인한 모발 밖으로의 염료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② 모발 표면 코팅 기술).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양이온성 폴리실록산; 및 실리콘 레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① 모발 내부의 염료 고정 기술을 위한 염료 고정 성분으로서, 모발 내부에서 염료간 혹은 염료와 모발 내부 단백질간의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카르보디이미드 반응이 일어나면, 염료간에 또는 염료와 모발 단백질간에 공유결합이 형성되어 모발의 세정 후에도 분자간 격자 혼합(perturbation)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내부 치밀도가 증대된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발 내부의 염료를 고정하여 염색 물빠짐을 억제하며 염색모의 색빠짐을 완화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분자 내 하나 이상의 N=C=N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1,1'-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호모폴리머,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펜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pen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HCl(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HCl);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N,N'-diisopropylcarbodiimide);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N-ethyl-N'(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hydrochloride; N-사이클로헥실; N'-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N-cyclohexyl,N'-isopropylcarbodiimide); N-터트-부틸,N'-메틸카르보디이미드(N-tert-butyl,N'-methylcarbodiimide); N-터트-부틸,N'-에틸카르보디이미드(N-tert-butyl,N'-ethylcarbodiimide); N,N'-디사이클로펜틸카르보디이미드(N,N'-dicyclopentylcarbodiimide); 비스[[4-(2,2-디메틸-1,3-디옥소릴)]메틸]카르보디이미드(bis[[4-(2,2-dimethyl-1,3-dioxolyl)]methyl]carbodiimide); N-에틸,N-페닐카르보디이미드(N-ethyl,N-phenylcarbodimide); 및 N-페닐,N-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N-phenyl,N-isopropylcarbodii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000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우수한 염료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관 안정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양이온성 폴리실록산; 및 실리콘 레진은 ② 모발 표면 코팅 기술을 위한 모발 표면 코팅 성분으로서, 표면에 flexible resin barrier를 코팅하여 세정으로 인한 모발 밖으로의 염료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이온성 폴리실록산은 아미노작용기를 포함하는 실록세인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양이온성 폴리실록산은 아모디메치콘, 트리메칠실록시아모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아모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코폴리머, 비스(C13-15알콕시)하이드록시부타마이도아미도메치콘,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디페닐아모디메치콘 및 피지-아모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실록산은 일반적으로 헤어컨디셔닝제로서 사용되며, 모발에 대해 우수한 코팅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머리에 도포된 후 물로 세척하게 되면, 물에 의해 음전하로 치환된 모발과 수계에서 양전화로 치환된 양이온성 폴리실록산은 이온 친화도(ionic affinity)에 의해 부착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소수성 친화도(hydrophobic affinity)의 영향을 받아 부착되며, 이를 통해 코팅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성 폴리실록산으로 아모디메치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모디메티콘(Amodimethicone)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OH 또는 CH3이고, X는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또는 아이소부틸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리콘 레진은 피막형성제로서 작용하며, 코팅 효과뿐만 아니라 이의 지속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모발과 염료간의 반발력으로 인해 염료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해결하여, 염료 지속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레진은 전술한 양이온성 폴리실록산과 상용성이 우수하다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 레진으로, 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메티콘코폴리머, 피이지-10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비스-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세틸다이메틸실록시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아크릴레이트/트라이메틸실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다이페닐실록시페닐/프로필트라이메티콘,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실록시실리케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실록시실리케이트, 다이라우로일트라이메틸올프로판실록시실리케이트, 4-(2-베타-글루코피라노실록시)프로폭시-2-하이드록시벤조페논, 라우르다이모늄하이드록시프로필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실록시실리케이트, 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실록실아이피디아이/피이지-23코폴리머, 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실록실아이피디아이/피이지-14코폴리머, 비스-트라이메톡시실릴에틸테트라메틸다이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아이소프로필티타늄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트라이에톡시실리에틸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폴리다이메틸실록시피피지-13부틸에터실세스퀴옥세인, 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비스-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코폴리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스테아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부틸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톡시프로필포스페이트, 세틸다이글리세릴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다이메틸실록시/트라이메틸실록시실세스퀴옥세인, 다이페닐메틸실록시페닐메치콘/페닐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 노보넨/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코폴리머,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올크로스폴리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풀루란, 폴리글리세릴-3/라우릴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비스-다이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트라이메틸롤프로판실록시실리케이트, 다이메티콘/비닐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다이메틸실록시피이지/피피지-24/19부틸에터실세스퀴옥세인,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트라이에톡시실릴에틸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헥실다이메티콘, 트라이에톡시실릴에틸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실릴트라이메틸실록시살리실레이트, 트라이메틸실릴트라이메틸실록시락테이트, 트라이메틸실릴트라이메틸실록시글라이콜레이트, 트라이메틸실록시페닐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실록시아모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트라이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알루미늄칼슘마그네슘포타슘소듐징크실리케이트, 실버보로실리케이트, 징크보로실리케이트, 세틸다이메틸실록시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칼슘소듐포스포실리케이트, 트로메타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소듐플루오로실리케이트, 소듐실버알루미늄실리케이트,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다이메티콘일실리케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실록시실리케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실록시실리케이트, 칼슘마그네슘실리케이트, 암모늄플루오로실리케이트, 다이라우로일트라이메틸올프로판실록시실리케이트, 알루미늄아이런실리케이트, 마그네슘플루오로실리케이트, 라우르다이모늄하이드록시프로필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실록시실리케이트, 소듐플루오로실리케이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포타슘플루오로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스테아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페닐실세스퀴옥세인실리케이트, 에틸폴리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소듐마그네슘플루오로실리케이트, 다이메티콘올/메틸실레인올/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올크로스폴리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트라이메틸롤프로판실록시실리케이트, 다이메티콘/비닐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칼슘알루미늄보로실리케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 암모늄은아연알루미늄실리케이트, 알루미늄칼슘소듐실리케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알루미나마그네슘메타실리케이트, 소듐포타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소듐메타실리케이트,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메틸실란올/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마그네슘포타슘플루오로실리케이트, 마그네슘트라이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글리세릴다이메틸실록세인, 징크카복시데실트라이실록세인, 피이지/피피지-5/3트라이실록세인, 실록세인트라이올파이테이트, 비스-피이지-18다이실록세인,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트라이실록세인, 테트라부톡시프로필트라이실록세인, 아이소페닐트라이메톡시신나메이트트라이실록세인, 페네틸다이실록세인, 퍼플루오로옥틸에틸트라이실록세인, 피이지-8트라이실록세인, 트라이페닐다이메틸비닐다이실록세인, 테트라페닐다이메틸다이실록세인, 미리스틸트라이실록세인, 테트라메틸헥사페닐테트라실록세인, 카복시데실트라이실록세인, 사이클로헵타실록세인, 다이실록세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폴리다이에틸실록세인, 폴리글리세릴-3다이실록세인다이메티콘,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트라이실록세인,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세인, 에틸트라이실록세인, 실록세인트라이올알지네이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및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실리콘 레진으로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디메치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실리카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타피오카전분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벤즈이미다졸다이아몬드아미도에틸우레아카바모일프로필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폴리프로필실세스퀴녹세인,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세틸다이메틸실록시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스테아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트라이플로오로프로필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올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디메치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의 경우 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는 다른 실리콘 레진 성분으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아모디메티콘 및 실리콘 레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00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코팅 효과가 우수하다.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관 안정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아모디메티콘 및 실리콘 레진을 함께 사용하여 모발 표면에 대한 코팅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아모디메티콘 및 실리콘 레진의 함량 비율은 1:0.1 내지 1:50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계, 알킬 설포네이트계, 알킬 카르복실레이트계,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계, 알킬 이세티오네이트계, 알킬 타우레이트계, 알킬 설포숙시네이트계,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계, 음이온성 아미노산 유도체, 음이온성 폴리펩티드 유도체,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 지방산 비누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 암모늄미레스설페이트,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C12-C14파레스-2 설포석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셀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 예를 들어, 1 내지 20 중량부, 3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시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시드)의 블록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시드)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옥시 알킬렌화 알코올, 폴리(에틸렌 옥시드)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소르비탄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소르비탄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알킬 및 폴리알킬 글리코시드 또는 폴리글리코시드, 수크로오스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글리세롤이 폴리 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글리세롤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제미니 계면 활성제, 알킬 알코올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C8-C20)알킬베타인, N-(C8-C20)알킬아미도베타인 및 이의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술타인 및 이의 유도체, (C8-C20)알킬 폴리아미노카르복실레이트, (C8-C20)알킬 암포아세테이트, 소듐 라우로암모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어 0.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에 부여되는 컨디셔닝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양이온성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양이온성 구아검, 양이온성 합성 폴리머(예컨대 폴리쿼터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머 총 중량에 대하여 질소 함량이 1.5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총 중량에 대하여 질소 함량이 1.5 중량% 내지 3.5 중량%, 1.8 중량% 내지 3.2 중량%, 2.0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폴리머에 포함된 질소의 함량이 1.5 중량%인 경우, 컨디셔닝 효과를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색 빠짐 현상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는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와 트라이메틸아민을 포함하는 4차 암모늄염(quaternized ammonium salt)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는 글루코오스 링 내 α와 ß 위치에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 EO)로 치환한 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는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셀룰로오스 폴리머는 일 예로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중에서 전체 질소 함량이 1.5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1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어 1 내지 5의 정수,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어 1 내지 5의 정수, 1 내지 3의 정수이며, y는 0 내지 1이고, n이 1일때, y는 0.3 내지 0.7, 예를 들어 0.4 내지 0.6, 0.45 내지 0.55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α와 β는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하이드록시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α와 β 중 어느 하나는 에틸렌옥사이드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는 분자량이 30만 내지 290만, 예를 들어 60만 내지 250만, 70 내지 150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는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를 클로로하이드록시프로필 트라이메틸아민으로 4차화 반응시켜 얻은 4차 암모늄 염을 제조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화 나트륨과 요소를 용매인 물에 대하여 7 내지 9:10 내지 12:75 내지 85(수산화나트륨:요소:물)의 중량비로 함유시킨 후,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를 1 내지 3 중량%의 농도로 녹여 제조하고, 이후 4차 암모늄계 화합물을 추가 함유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산화나트륨과 요소를 용매인 물에 대하여 7.5: 11: 81.5(수산화나트륨: 요소: 물)의 중량비로 함유시킨 후,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를 2 중량%의 농도로 녹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의 용매는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의 용해도 및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주어 반응 과정 내에서의 개질 균일성 증진에 도움을 준다[Bi Xiong, Dissolution of cellulose in aqueous NaOH/urea solution: role of urea, Cellulose(2014) 21: 1183-1192]. 이후 4차 암모늄계 화합물을 적절한 농도(셀룰로오스의 글루코스 단량체 대비 1 몰 또는 그 이상의 몰 수)로 추가 함유시켜 상온 또는 가온 조건에 따라 반응을 진행하면서 개질 시켜, 본 발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폴리머의 글루코오스 링 내에서 개질 가능한 수산화 그룹을 가지는 위치는 C2, C3 및/또는 C6 세 군데일 수 있다. 이 중 C6의 일차 알코올의 경우, 최소화된 입체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개질 반응에 대해 우수한 위치 선택성을 가진다. 이에 비해 C2, C3 간의 개질 반응 선호도 차이에 대해서는 용매 시스템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itsuru Abe, Regioselectivity in Acetylation of Cellulose in Ionic Liquids, Materials Science inc. Nanomaterials & Polymers(2016) 1: 2474-2478].
글루코스 링 내 α와 β 위치에 EO 부가의 경우 에폭사이드를 이용한 기상중합을 진행, 챔버 내 반응물을 분사 한 뒤 가온, 가압 반응을 진행하여 EO 부가를 진행할 수 있다. 알킬화(Alkylation)의 경우 할로하이드린, 알데하이드 또는 에폭사이드 말단 기능기를 갖는 반응물을 이용하여 원하는 알킬 그룹이 부가될 수 있도록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에 윤기 또는 보습을 부여하기 위한 유상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성분은 모발에 흡착되어 모발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모발 내부의 수분 함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모든 유상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유상성분은 오일 또는 왁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및 왁스는 당업계에서 화장품의 성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로는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라이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 성분을 하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리콘계 오일로는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 또는 오일에 분산되어 있는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페닐메티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라이실록산, 다이메티콘, 카프릴다이메티콘, 카프릴릴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세테아릴메티콘, 헥사데실메티콘, 헥실메티콘, 라우릴메티콘, 미리스틸메티콘, 페닐메티콘, 스테아릴메티콘, 스테아릴다이메티콘,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메티콘, 세틸다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라이메티콘 또는 페닐트라이메티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 성분들은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오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로는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 PEG-10/15 크로스폴리머 또는 PEG-12 다이메티콘/PPG-20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류 오일로는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아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 릴아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프로필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이소노나노에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카프레이트, 네 오펜틸글리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애씨드에스터,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세스퀴아이 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라이에틸헥사노인을 사용할 수 있다.
트라이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는 C8-C12 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2-C18 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40 아이소알킬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18 트라이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라이아세틸하이드로스테아레이트, 소이빈글리세라이드, 트라이베헤닌, 트라이카프린, 트라이에틸헥사노인, 트라이헵타노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린, 트라이팔미틴 또는 트라이스테아린을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스쿠알렌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로는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 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르간 오일, 메도우폼 오일, 해바라기 오일, 피마자유, 동백 오일, 옥수수 오일, 잇꽃 오일, 대두 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다미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팜 오일, 팜핵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왁스, 식물성 왁스 또는 실리콘 왁스 등의 모든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비즈 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합성 왁스, 폴리글리세릴-3비즈 왁스, 서양장미꽃 왁스, 쌀겨 왁스, 올리브오일불검화물, C30-C45 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상성분은 천연 오일 및/또는 천연 왁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지방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비타민,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점증제, 향료, 방부제, pH 조절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또는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과 같은 두피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헤어 컨디셔너, 헤어 로션, 헤어 에센스, 헤어 젤, 헤어 팩, 헤어 패취 또는 헤어 분무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색모의 색 빠짐 완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고, 세정함으로써 이미 염색된 모발에 흡수되어 있는 염료의 탈착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색모의 색상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중량%)을 가지는 염색 물빠짐 완화를 위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NO. 원료명 함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폴리쿼터늄-10 0.5 0.5 0.5 0.5
2 함수구연산 0.35 0.35 0.35 0.35
3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3.0 5.0 3.0 3.0
4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 1.0 1.0
5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 6.0 6.0 6.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8.0
6 에틸렌글라이콜다이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7 다이메티콘 0.3 0.3 0.3 0.3
8 폴리쿼터늄-7 0.25 0.25 0.25 0.25
9 글리세린 0.5 0.5 0.5 0.5
10 모발 내부 결합 효능성분(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0.2 0.00004 2.0 -
11 모발 외부 코팅 효능성분
(아모디메치콘 화합물)
0.0875 0.0525 - 0.875
모발 외부 코팅 효능성분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화합물)
0.0025 0.0015 - 0.025
1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온에서 성분 1 내지 4를 투입하고, 30 분 동안 교반 용해하였다.
2. 성분 5를 투입하고, 70℃까지 가온을 시작하였다.
3. 약 50℃ 이상의 온도가 되면, 성분 6을 투입하였다.
4. 약 70℃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5. 냉각을 시작하고, 성분 7 내지 9를 투입하였다.
6. 45℃ 이하의 온도가 되면, 성분 10 내지 11을 투입하였다.
7. 물 보정 후, 20분 동안 교반하여,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안정성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안정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A~E 견본을 제조 후 50℃ 항온기에 보관한 후,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안정성은 점도(LVT Spindle No.3, 12rpm/1min, 25℃), pH(원액 측정, Direct, 25℃), 성상 변화를 종합하여 하기와 같이 3 단계로 분류하였다.
○: 상분리 없이 안정함
△: 상분리가 일부 보이기 시작
Χ: 상분리가 일어남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A-E에서 모발 내부 결합 효능성분은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을 나타내며, 모발 외부 코팅 효능성분은 아모디메치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혼합물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을 2%(중량%) 이상 함유할 경우 2 주 이상에서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며, 아모디메치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혼합물에서도 역시 2 주 이상에서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도 2는 견본 D의 4주 때의 사진으로, 층의 분리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모발 내부 결합 효능성분 및 모발 외부 코팅 효능성분을 함께 사용하고, 본 발명에 따른 함량으로 사용할 경우 4 주 이상에서도 안정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물빠짐 완화 효과 비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인모 트레스를 사용하여, 트레스 무게에 적정량의 샴푸를 도포하고, 통상의 샴푸와 가장 유사한 세정단계를 거친 후 건조하는 단계를 진행하였다.
상기 단계를 1일 세정으로 설정하여 총 7회 반복 수행시를 1주 사용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에 따라 2주~4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Relative ΔE value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상기 Relative ΔE value는 모발 물빠짐 처리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ΔE값을 측정하며, 일반 샴푸 사용시의 ΔE값의 변화량을 기준으로 처리군 샴푸의 변화량을 상대적으로 계산한 값이다.
도 3은 일반 샴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염색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3(a)는 일반 샴푸(제조사: 로레알)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모발 내부 염료 고정 기술을 이용(즉,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을 2.0% 로 혼합)한 샴푸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주 사용시 비교예 1의 조성물은 비교군인 일반 샴푸 대비 27.5%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는 일반 샴푸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모발 표면 균일 코팅 기술을 이용(즉, 아모디메치콘 및 트라이에틸실록시살리케이트의 혼합물을 각 0.875% 및 0.025% 로 혼합)한 샴푸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주 사용 시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일반 샴푸 대비 19.0%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c)는 일반 샴푸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모발 내부 염료 고정 기술 및 모발 표면 균일 코팅 기술을 함께 이용한 샴푸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0.2% 및 아모디메치콘 및 트라이에틸실록시살리케이트의 혼합물을 각각 0.0875% 및 0.0025%를 혼합한 샴푸를 사용하였다.
상기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주 사용 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일반 샴푸 대비 26.8%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또는 아모디메치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혼합물) 대비 적은량의 유효성분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우수한 염색 물빠짐 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 내부 염료 고정 효과 및 모발 표면 균일 코팅 효과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보다 우수한 염색 물빠짐 완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과, 일반 샴푸 및 타 모발 표면 코팅 샴푸 조성물과의 염색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0.2% 및 아모디메치콘 및 트라이에틸실록시살리케이트의 혼합물을 각각 0.0875% 및 0.0025%를 포함하며, 타 모발 표면 코팅 샴푸 조성물은 생체친화 모발표면 흡착 성분의 조합을 총 3.0% active(Succinate 2.4% 및 Glutamate 0.6%)로 포함한다.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주 사용 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샴푸 조성물은 일반 샴푸 대비 18.5%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타 모발 표면 코팅 샴푸(Succinate 2.4% + Glutamate 0.6%) 대비 18.2%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모발 표면 흡착 만으로는 물빠짐 완화가 어려우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모발 내부 염료 고정 및 모발 표면 균일 코팅을 함께 수행할 경우 보다 우수한 물빠짐 완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과 기존 컬러케어 샴푸(제조사: 엘지생활건강)의 염색 물빠짐 완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0.00004% 및 아모디메치콘 및 트라이에틸실록시살리케이트의 혼합물을 각각 0.0525% 및 0.0015% 를 포함한다.
상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주 사용 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샴푸 조성물은 기존 컬러케어 샴푸 대비 13.0%의 물빠짐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양이온성 폴리실록산; 및 실리콘 레진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염색모의 색빠짐 완화용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at00007

  4.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실록산은 아모디메치콘, 트리메칠실록시아모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아모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코폴리머, 비스(C13-15알콕시)하이드록시부타마이도아미도메치콘,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디페닐아모디메치콘 및 피지-아모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콘 레진은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디메치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실리카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타피오카전분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벤즈이미다졸다이아몬드아미도에틸우레아카바모일프로필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폴리프로필실세스퀴녹세인,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세틸다이메틸실록시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스테아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트라이플로오로프로필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올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실록산 및 실리콘 레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00001 내지 10 중량부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샴푸, 헤어 컨디셔너, 헤어 로션, 헤어 에센스, 헤어 젤, 헤어 팩, 헤어 패취 또는 헤어 분무제의 제형을 갖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색모의 색 빠짐 완화 방법.
KR1020200094452A 2019-12-20 2020-07-29 염색 물빠짐 완화 조성물 KR20210080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1762 2019-12-20
KR1020190171762 2019-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62A true KR20210080162A (ko) 2021-06-30

Family

ID=7660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52A KR20210080162A (ko) 2019-12-20 2020-07-29 염색 물빠짐 완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1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12B1 (ko) 1997-12-27 2006-04-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칼라지속성샴푸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12B1 (ko) 1997-12-27 2006-04-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칼라지속성샴푸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6424B2 (ja) 家庭ケア、ヘルスケア、およびパーソナルケア応用のための置換ヒドロカルビル官能性シロキサン
JP5122444B2 (ja) サッカリド−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BR112021007957A2 (pt) mistura líquida e transparente de filtros uv
EP3327064B1 (en) Cured silicone particles and cosmetic incorporating same therein
US20050025736A1 (en) Hair and skin altering and protecting compositions
US20160271023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i-modal emulsion
KR101689070B1 (ko) 유화된 mq 수지: 조성물 및 방법
WO2007102972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plasticized siloxane gum dispersions
US10959937B2 (en) Oil-in-water type organopolysiloxane emul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osmetic raw material, and cosmetic product
JP2009523166A (ja) 安定な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水/油/水型複合エマルション、並びにそれらを含む毛髪処理組成物
CN102946850A (zh) 皮肤改善皮肤化妆品
EA018430B1 (ru) Трехфазная эмульсия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ы ее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нанесения
JP3515873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03306515A (ja) カチオン性共重合体
US10806691B2 (en) Organopolysiloxane, acid-neutralized salt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CN111432885A (zh) 包含有机硅材料的化妆品组合物
EP3636246A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preparation
CN114746070A (zh) 具有多种光防护uv滤光剂的防晒霜组合物
FR2771003A1 (fr) Melanges de silicones volatils non cycliques et compositions cosmetiques a base desdits melanges
KR20210080162A (ko) 염색 물빠짐 완화 조성물
EP2968092B1 (en) Alkoxylated fatty alcohol alkyl ethers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JPH1171262A (ja) 化粧料
JP7336357B2 (ja) 乳酸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220097702A (ko) 화장료 조성물
EP2229133A1 (de) Pulverförmige zusammensetzungen zur form- und glanzgebung keratinischer fas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