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902A - 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902A
KR20210079902A KR1020190172138A KR20190172138A KR20210079902A KR 20210079902 A KR20210079902 A KR 20210079902A KR 1020190172138 A KR1020190172138 A KR 1020190172138A KR 20190172138 A KR20190172138 A KR 20190172138A KR 20210079902 A KR20210079902 A KR 20210079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crane device
contact
bumper
brak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6859B1 (en
Inventor
정도희
권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7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859B1/en
Publication of KR2021007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2Brakes with direct 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device and a traveling method thereof. The crane device comprises: a path portion forming a traveling path; a body portion including a traveling wheel installed to travel along a path portion, a vehicle body supported on the traveling wheel, and a bumper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along the path portion; and a brake portion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to provide braking force to the traveling wheel by using the contact between an obstacle and the bumper, thereby capable of preventing braking failure or the vehicle body from being pushed by a reaction force.

Description

크레인 장치 및 그 주행 방법{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 및 그 주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이 실패하거나 제동 시의 반력에 의하여 차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 및 그 주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ne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braking failure or a vehicle body being pushed out by a reaction force during braking.

제철소에서는 천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철, 용선, 용강 및 주편 등 각종 중량물을 운반한다. 천장 크레인은 통상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정해진 경로를 이탈할 경우 대부분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 이에, 천장 크레인이 정해진 경로를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정해진 경로의 외곽에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천장 크레인의 차체에는 범퍼가 설치된다.In steelworks, overhead cranes are used to transport various heavy objects such as scrap iron, molten iron, molten steel, and cast iron. Since overhead cranes are usually operated at high positions, most of them lead to major accidents if they deviate from a set route.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overhead crane from deviating from the predetermined route, a stopper is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route, and a bumper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of the overhead crane.

전원의 갑작스런 차단 혹은 작업자의 운전 미숙 등에 의해 천장 크레인이 정해진 경로의 외곽으로 접근하더라도 천장 크레인의 차체가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기 전에 범퍼가 스토퍼에 먼저 접촉하면서 범퍼 내의 유압에 의해 천장 크레인의 차체가 감속되며 강제로 정지된다.Even if the overhead crane approaches the outskirts of the specified route due to sudden power cut off or inexperienced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bumper contacts the stopper before the vehicle body of the overhead crane deviates from the specified route, and the body of the overhead crane is decelera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bumper. and forcibly stopped.

하지만 천장 크레인이 정해진 경로의 외곽으로 빠르게 접근하여 범퍼가 스토퍼를 강하게 충격할 경우, 스토퍼가 파손되며 천장 크레인의 차체가 스토퍼를 밀고 지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충격 시의 강한 반력에 의해 천장 크레인의 차체가 접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며 운반 중인 중량물이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overhead crane rapidly approaches the outside of the set route and the bumper strongly impacts the stopper, the stopper is damaged and the vehicle body of the overhead crane pushes the stopper. 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ehicle body of the overhead crane is pus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pproach direction by the strong reaction force at the time of impact and the heavy object being transported is dropp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The technology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KRUS 10-2014-012162410-2014-0121624 AA KRUS 10-183222210-1832222 B1B1

본 발명은 제동이 실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 및 그 주행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n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braking from failing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동 시에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차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 및 그 주행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n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vehicle body from being pushed by a reaction force generated during braking,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 상기 경로부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행 휠, 상기 주행 휠에 지지된 차체, 및 상기 경로부를 따라 상기 차체로부터 돌출된 범퍼를 구비하는 본체부;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한다.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th portion for forming a traveling path; a body portion including a traveling wheel installed to travel along the path portion, a vehicle body supported by the traveling wheel, and a bumper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along the path portion; and a brake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rovide a braking force to the traveling wheel by using the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상기 브레이크부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며 자기력이 해소되면,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rake un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wheel using magnetic force, and when power is cut off by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and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the brake unit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using a restoring force. .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ke unit may include a sensor installed to detect a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주행 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독립된 동력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을 향하여 이동 가능한 구동기; 상기 주행 휠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슈;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ke part may include: a driver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extending toward the driving wheel, and movable toward the driving wheel using power sources independent from the main body part; and a brake shoe mounted on one end of the actuato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상기 구동기는, 상기 주행 휠을 향해 전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행 휠을 마주보는 일 단부에 상기 브레이크 슈가 장착되는 작동부재;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주행 휠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1 동력원; 및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주행 휠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2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tuator may include: an operation member configured to be rotatably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driving wheel and to which the brake shoe is mounted at one end facing the driving wheel; a first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to separate the brake shoe from the travel wheel; and a second power source that operates the operation member to bring the brake shoe into contact with the traveling wheel.

상기 제1 동력원은 자성체 및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력원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및 전자석과 상기 탄성체는 동력의 인가 방향이 서로 반대 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ource may include a magnetic body and an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power source may include an elastic body, and the magnetic body, the electromagnet, and the elastic body may have opposite directions of applying power.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타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된 릴레이를 통하여 전원 공급원과 연결될 수 있다.The magnetic body is mounted on the other end positioned higher than one end of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electromagnet is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ic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hrough a relay connected to the sensor. can be connected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석의 인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크고,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상기 탄성체와 상기 전자석이 같은 쪽에 위치할 경우, 상기 탄성체의 길이가 상기 전자석의 길이보다 길다.The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body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ic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operation member, the attractive force of the electromagnet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and the elastic body and the electromagnet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body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lectromagnet.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대한 높이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이 배치되는 승강바;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차체에 대한 높이가 고정되는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단에 상기 브레이크 슈가 장착되고, 상기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일 지점이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는 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mber may include: a base plat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having a height fixed to the vehicle body; a lifting bar disposed to penetrate the base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being disposed at an upper end;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fixed in height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at a height lower than the base plate; A rotating bar located below the base plate, the brake shoe is mounted on one e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bar, and a point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rotating shaft. can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승강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바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바의 하강 시 상기 주행 휠의 지지축에 접촉 가능한 길이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ke unit may include a length adjuster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lifting bar to be movable along the lifting bar, and contactable to a support shaft of the traveling wheel when the lifting bar is lowered.

상기 주행 휠의 회전을 강제로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와 상기 주행 휠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로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ke unit and the driving wheel to forcibly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은, 주행 경로를 따라 크레인 장치의 차체를 주행시키는 과정; 장애물과 상기 차체로부터 돌출된 범퍼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차체의 하부에 마련된 주행 휠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A crane apparatus trave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traveling a vehicle body of a crane apparatus along a traveling path; detecting a contact between an obstacle and a bumper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and providing a braking force to a driving wheel provided under the vehicle body to emergency stop the vehicle body.

상기 장애물은 상기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차체로부터 독립된 동력원들을 사용하여 제동력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obstacle may include a stopp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driving path, and the emergency stopping of the vehicle body may include generating a braking force using power sources independent from the vehicle body.

상기 차체를 주행시키는 과정은, 전원을 입력받아 자기력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자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슈와 상기 주행 휠을 이격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driving the vehicle body may include: generating magnetic force by receiving power; and separating the brake shoe from the driving wheel by using the magnetic force.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을 감지하면, 그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과정;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를 복귀시켜, 상기 주행 휠과 상기 브레이크 슈를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stopping of the vehicle body may include, when a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is sensed, blocking the input of the power using the detection signal; and returning the brake shoe by using a restoring force to bring the driving wheel into contact with the brake shoe.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주행 휠의 외주면 및 상기 브레이크 슈의 제동면을 상호 로킹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emergency stopping the vehicle body may include a process of mutually lock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and a braking surface of the brake sho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범퍼와 주행 경로상의 장애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즉시 크레인 장치의 차체에 구비된 주행 휠에 브레이크부를 밀착시켜 강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차체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동 작동은 차체의 운전 계통으로부터 독립된 브레이크부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차체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정상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on detecting contact between the bumper and an obstacle on the traveling path, the brake un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raveling wheel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of the crane device to provide strong braking force, and the vehicle body can be stopped in an emergency. Since the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brake unit independent from the driving system of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may operate normally even when the power of the vehicle body is cut off.

따라서, 범퍼가 스토퍼를 강하게 충격하는 경우, 차체가 제동에 실패하여 스토퍼를 밀고 지나가거나, 충격 시 발생하는 강한 반력에 의해 차체가 스토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범퍼와 스토퍼가 접촉한 즉시 차체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차체를 강제로 정차시킬 수 있다. 이에, 차체의 제동 실패나 지연에 따른 선로 이탈 및 운반 중인 중량물 탈락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umper strongly impacts the stopp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body from pushing the stopper due to failure of braking, or from pushing the vehicle body away from the stopper by a strong reaction force generated during impact. That is, as soon as the bumper and the stopper come into contact, the vehicle body is prevented from moving any more, so that the vehicle body can be forcibly stopp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breakage of the track due to braking failure or delay of the vehicle body and dropping of a heavy object while being trans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brak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brak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brak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brak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ran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 및 그 주행 방법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레일상을 주행하는 다양한 주행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철소의 천장 크레인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A crane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driving equipment traveling on rail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overhead crane of the steel mi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100)와, 경로부(100)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행 휠(240), 주행 휠(240)에 지지된 차체(210) 및 경로부(100)를 따라 차체(210)로부터 돌출되는 범퍼(260)를 구비하는 본체부(200)와, 장애물과 범퍼(260)와의 접촉을 이용하여 주행 휠(240)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체부(20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부(300)를 포함한다.1 and 2 ,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h unit 100 forming a traveling path, and a traveling wheel 240 installed to travel along the path unit 100, The body 210 supported on the driving wheel 240 and the body portion 200 including the bumper 260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210 along the path portion 100, and the obstacle and the bumper 2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brake unit 300 installed in the body unit 200 to provide braking force to the driving wheel 240 by using the brake unit.

또한, 상술한 크레인 장치는 중량물(10)을 운반할 수 있도록 승강부(400) 및 적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rane device may include a lifting unit 400 and a loading unit 500 to transport the heavy object (10).

장애물은 본체부(200)가 경로부(100)를 따라 주행할 때, 본체부(200)와 접촉 혹은 충돌할 수 있는 각종 구조물 및 이동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물로는 예컨대 후술하는 스토퍼(120)가 있을 수 있다.The obstacle may mean various structures and moving objects that may come into contact with or collide with the main body 200 when the main body 200 travels along the path 100 . Such an obstacle may include, for example, a stopper 12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크레인 장치가 복수개의 본체부(200)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본체부(200)가 같은 경로부(1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본체부(200)가 서로에 대하여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애물로서 스토퍼(120)를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rane device has a plurality of body parts 200 and these plurality of body parts 200 use the same path part 100 , the plurality of body parts 200 become obstacl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can Hereinafter, the stopper 120 is exemplified as an obstacle.

도 2를 참조하면, 경로부(100)는, 주행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차체가 안착되는 레일(110), 및 레일(110)의 외측에서 범퍼(26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ath part 100 extends along the driving path and includes a rail 110 on which a vehicle body is seated, and at least one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umper 260 from the outside of the rail 110 . may include a stopper 120 of

레일(110)은 지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물론 레일(110)은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레일(110)은 복수개 예컨대 두 개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레일(110)은 상호 이격되고, 주행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주행 경로는 본체부(200)의 주행 경로를 의미한다. 레일(110)상에 주행 휠(240)이 안착될 수 있다.The rail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Of course, the rail 110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A plurality of rails 110 may form a pair, for example, two. The pair of rail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driving path. In this case, the traveling path means a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200 . The driving wheel 240 may be seated on the rail 110 .

스토퍼(120)는 주행 경로의 외곽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경로의 외곽은 본체부(200)가 주행하는 방향으로의 레일(110)의 양측 가장자리 및 그 주변일 수 있다. 스토퍼(120)는 레일(110)의 상측으로 소정높이 돌출되고, 범퍼(260)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20)는 본체부(200)가 주행 경로로부터 이탈하기 전 범퍼(260)와 접촉할 수 있고, 본체부(200)가 주행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opper 12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driving path. Here, the outside of the traveling path may be both edges of the rail 1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200 travels and its periphery. The stopper 120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of the rail 110 , and may have a contact surface to which the bumper 260 may come into contact. The stopper 120 may contact the bumper 260 before the main body 200 departs from the travel path, and may prevent the main body 200 from deviating from the travel path.

본체부(200)는 차체(210), 지지체(220), 주행체(230), 주행 휠(240) 및 지지축(250)과 범퍼(2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210)는 상부에 승강부(400)가 지지될 수 있고, 하부에 복수개의 지지체(22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체(2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주행체(2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주행체(230)의 하부에 복수개의 지지축(250)이 설치되고, 지지축(250)에 주행 휠(240)이 지지될 수 있다.The body part 200 may include a vehicle body 210 , a support body 220 , a vehicle body 230 , a driving wheel 240 , a support shaft 250 , and a bumper 260 . The vehicle body 210 may have the lifting unit 400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210 . A plurality of traveling bodies 230 may be installed under the support 22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250 may be installed under the vehicle body 230 , and the driving wheel 240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250 .

차체(210)는 크레인 장치의 몸체 역할을 한다. 차체(210)는 소정 면적과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체(220)는 한 쌍의 레일(110)이 상호 이격된 방향인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레일(110)이 연장된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고, 차체(21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체(220)는 차체(21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스펜션을 구비할 수 있다.The vehicle body 210 serves as a body of the crane device. The vehicle body 210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frame. The supporter 220 may extend in a width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rail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rails 110 extend, and the vehicle body 210 )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e support 220 may include a suspension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210 .

주행체(230)는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지지체(22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주행체(230)는 예컨대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지지축(250)과 주행 휠(2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은 하방으로 개방되며, 주행 휠(240)은 수용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도 1 및 도 4 참조). 주행체(230)는 지지축(25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 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traveling body 2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and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220 . The traveling body 23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block shape, and an accommodation space may be provid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support shaft 250 and the traveling wheel 240 . The receiving space is opened downward, and the traveling wheel 24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receiving space (see FIGS. 1 and 4 ). The traveling body 23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not shown) to rotate the support shaft 250 .

지지축(250)은 복수개 구비되고, 폭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주행체(230)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축(250)은 구동 모터와 연결될 수 있고,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주행 휠(240)은 주행체(230)의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축(25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레일(11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주행 휠(240)은 지지축(250)에 의해 회전하며 차체(210)를 주행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250 may be provided, each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and respective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230 in the width direction. Also, the support shaft 250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and may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The traveling wheel 240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veling body 230 ,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250 , and may be seated on the rail 110 . In addition, the driving wheel 240 may be rotated by the support shaft 250 to drive the vehicle body 210 .

범퍼(260)는 지지체(220)로부터 본체부(200)의 주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차체(2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범퍼(260)는 본체부(200)의 주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범퍼(260)는 본체부(200)가 스토퍼(120)와 가까워지도록 주행할 때 본체부(200)보다 먼저 스토퍼(120)와 먼저 접촉하여 완충 작용을 수행하며, 본체부(200)를 감속시킬 수 있다. 본체부(200)의 주행 방향은 한 쌍의 레일(110)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The bumper 260 may protrude from the support 220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0 , and may protrude outward than the vehicle body 200 . In addition, the bumper 260 may be formed to be stretchab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0 . Accordingly, the bumper 260 performs a cushioning action by first contacting the stopper 120 before the main body 200 when the main body 200 is driven so as to be close to the stopper 120 , and the main body 200 is closed. can be slowed dow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0 may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10 .

범퍼(260)는, 본체부(200)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체(2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유압이 제공되는 유압실린더(261), 유압실린더(261)에 장착되며, 스토퍼(1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일부가 유압실린더(26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드(262), 및 로드(262)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로드(262)를 스토퍼(120)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2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mper 260 extend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0, protrudes outward from the vehicle body 210, and is mounted on a hydraulic cylinder 261 and a hydraulic cylinder 261 provided with hydraulic pressure therein, and a stopper The rod 262, a part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26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12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262,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rod 262 toward the stopper 120 side. A spring 263 may be included.

로드(262)는 차체(210)와 스토퍼(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차체(210)가 스토퍼(120)와 가까워질 때 스토퍼(120)와 가장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로드(262)는 스토퍼(120)와 접촉하면 유압실린더(261) 쪽으로 후퇴하며 유압 및 탄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The rod 26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vehicle body 210 and the stopper 120 , and may first contact the stopper 120 when the vehicle body 210 approaches the stopper 120 . When the rod 26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120 , it retreats toward the hydraulic cylinder 261 , and may be supported by hydraulic pressure and elasticity, and may cushion the impact caused by the contact.

이때, 차체(210)가 스토퍼(120)를 향하여 빠르게 접근하여 범퍼(260)가 스토퍼(120)를 강하게 충격할 수 있다. 이때, 차체(210)가 정지하지 못하면, 차체(210)가 스토퍼(120)를 밀고 지나가거나, 충격 시의 강한 반력에 의해 차체(210)가 스토퍼(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body 210 may rapidly approach the stopper 120 and the bumper 260 may strongly impact the stopper 120 . At this time, if the vehicle body 210 does not stop, the vehicle body 210 may push the stopper 120 , or the vehicle body 210 may be pushed away from the stopper 120 by a strong reaction force during impact.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300)는 평상시에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주행 휠(24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범퍼(260)와 장애물의 접촉에 의해 자기력 생성용의 전원이 차단되며 자기력이 해소되면, 복원력을 이용하여 주행 휠(24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범퍼(260)가 스토퍼(120)를 충격하는 즉시 주행 휠(240)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차체(2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복원력은 탄성 복원력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복원력은 다양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brake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wheel 240 using magnetic force, and is a power for generating magnetic force by contacting the bumper 260 with an obstacle. When this is blocked and the magnetic force is resolved,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240 using a restoring force. Accordingly, as soon as the bumper 260 impacts the stopper 120 , a braking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driving wheel 240 , and the vehicle body 210 may be stopped. In this case, the restoring force may be an elastic restoring force, but in addition to this, the restoring force may be various.

한편, 상술한 반력은 범퍼(260)가 스토퍼(120)에 가하는 충격에 대한 반작용 힘(반발력)을 의미한다. 예컨대 범퍼(260)가 스토퍼(120)를 충격하면, 스토퍼(120)가 동일한 크기의 반력을 범퍼(260)에 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forementioned reaction force means a reaction force (repuls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impact applied to the stopper 120 by the bumper 260 . For example, when the bumper 260 impacts the stopper 120 , the stopper 120 may apply a reaction force of the same magnitude to the bumper 26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분해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brak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brak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brak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브레이크부(300)는 브레이크 슈(310), 구동기, 및 센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는 작동부재(320), 제1 동력원(330), 및 제2 동력원(34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슈(310) 및 작동부재(320)는 주행 휠(240)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2 to 5 , the brake unit 300 may include a brake shoe 310 , a driver, and a sensor 360 . In this case, the actuator may include an operation member 320 , a first power source 330 , and a second power source 340 . The brake shoe 310 and the operation member 32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driving wheel 240 .

도 2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슈(310)는 주행체(2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주행 휠(240)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동기 구체적으로 작동부재(320)의 일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브레이크 슈(310)는 구동기의 작동에 의하여 주행 휠(24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c) 이격되거나 주행 휠(240)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브레이크 슈(310)는 주행 휠(240)의 외주면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제동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동면은 곡면 형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brake shoe 3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body 230 , and may be mounted on one end of the actuator, specifically, the operating member 320 so as to contact the driving wheel 240 . The brake shoe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2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 o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240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he brake shoe 310 may have a braking surface that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driving wheel 240 . The braking surface may have a curved shape.

도 2를 참조하면, 구동기(320, 330, 340)는 차체(210)와 연결될 수 있고, 주행 휠(240)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본체부(200)로부터 독립된 동력원들(330, 340)을 이용하여 주행 휠(240)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rivers 320 , 330 , and 34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210 , may extend toward the driving wheel 240 , and may be independent power sources 330 and 340 from the main body 200 . It may be formed to be movable toward the driving wheel 240 using the .

한편, 본체부(200)로부터 독립된 동력원들(330, 340)의 의미는 본체부(200)의 주행을 위한 운전 계통 예컨대 주행체(230)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작업자의 운전 미숙 및 주행체(230)의 고장 등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스토퍼(120)와 범퍼(260)가 접촉하는 것 만으로 구동기가 즉시 주행 휠(240)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power sources 330 and 340 independent from the main body 200 means that they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ystem for the driving of the main body 200 , for example, the driving body 230 . This means that the driver can immediately stop the driving wheel 240 just by contacting the stopper 120 and the bumper 260 without being affected at all by the operator's inexperienced driving and the failure of the driving body 230 . .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동기는 작동부재(320), 제1 동력원(330) 및 제2 동력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재(320)는 주행 휠(240)을 향하여 전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주행 휠(240)을 마주보는 일 단부에 브레이크 슈(310)가 장착될 수 있다.3 and 5 , the actuator may include an operation member 320 , a first power source 330 , and a second power source 340 . The operation member 320 is formed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driving wheel 240 , and a brake shoe 310 may be mounted at one end facing the driving wheel 240 .

작동부재(320)는, 차체(210)와 연결되고, 차체(210)에 대한 높이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22), 베이스 플레이트(3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 제1 동력원(330) 및 제2 동력원(340)이 배치되는 승강바(323), 차체(210)와 연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22)보다 낮은 높이에서 차체(210)에 대한 높이가 고정되는 회전축(324), 및 베이스 플레이트(322)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단에 브레이크 슈(310)가 장착되고,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이 승강바(323)에 연결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 지점이 회전축(324)에 지지되는 회전바(3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가 고정된다는 것은 높이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높이의 기준은 차체(210)이다. 즉, 차체(210)의 높이가 일정하면 베이스 플레이트(322) 및 회전축(324)의 높이가 일정하다. 또한, 차체(210)의 높이가 변하면 변하는 높이만큼 베이스 플레이트(322) 및 회전축(324)의 높이가 동일하게 변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mber 32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210 and is dispos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base plate 322 and the base plate 322 hav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210 fixed, and the first A rotating shaft 324 connected to the lifting bar 323 on which the power source 33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40 are disposed and the vehicle body 210 and having a height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210 fix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base plate 322 . ), and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322, the brake shoe 310 is mounted on one e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bar 323, and a point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the rotation shaft 324 ) may include a rotating bar 321 supported on. Here, the fixed height means that the height does not change and is constant. In this case, the reference of the height is the vehicle body 210 . 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210 is constant, the heights of the base plate 322 and the rotation shaft 324 are constant. 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210 is changed, the heights of the base plate 322 and the rotation shaft 324 may be equally changed by the changed height.

회전바(321)는 승강바(323)의 승강에 의하여 회전축(32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바(321)는 일단과 타단의 사이의 일 지점이 회전축(324)에 지지되고, 회전바(321)의 타단이 승강바(323)에 의하여 상승하면 회전바(321)의 일단이 브레이크 슈(310)와 함께 하강할 수 있고, 회전바(321)의 타단이 승강바(323)에 의하여 하강하면 회전바(321)의 일단이 브레이크 슈(310)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회전바(321)는 일단이 상승하면 타단이 하강하고, 일단이 하강하면 타단이 상승할 수 있다. 즉, 회전바(321)의 일단과 타단은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회전에 의하여, 브레이크 슈(310)가 주행 휠(240)의 외주면에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다.The rotating bar 321 may rotate about the rotating shaft 324 by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bar 323 . That is, one point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21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324 , and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21 is raised by the lifting bar 323 , one end of the rotating bar 321 is It may descend together with the brake shoe 310 , and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21 is lowered by the lifting bar 323 , one end of the rotating bar 321 may rise together with the brake shoe 310 . As such, when one end of the rotary bar 321 rises, the other end descends, and when one end descends, the other end may rise. That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21 may rotate around a point. By this rotation, the brake shoe 310 may contact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240 .

이러한 회전바(321)는 본체부(200)가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바(321)는 주행체(2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바(321)의 일단은 회전축(324)보다 높이가 낮고, 회전바(321)의 타단은 회전축(324)보다 높이가 높을 수 있다.The rotating bar 321 may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200 travels. The rotating bar 321 may be located above the traveling body 230 . In this case, one end of the rotating bar 321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rotating shaft 324 ,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21 may have a higher height than the rotating shaft 324 .

회전바(321)는 회전축(32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레와 같은 움직임을 보인다. 예컨대 회전바(321)의 일단이 작용점의 역할을 하고, 회전축(324)이 받침점의 역할을 하며, 회전바(321)의 타단이 힘점의 역할을 한다.The rotating bar 321 shows movement like a lever while rotating about the rotating shaft 324 . For example, one end of the rotary bar 321 serves as an action point, the rotary shaft 324 serves as a fulcrum,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ar 321 serves as a force point.

회전바(321)는 복수개 예컨대 두 개 구비될 수 있고, 본체부(200)가 주행하는 방향으로의 승강바(323)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나의 작동부재(320)가 복수개 예컨대 두 개의 브레이크 슈(310)를 복수개 예컨대 두 개의 주행 휠(240)에 각각 밀착시킬 수 있다. 물론, 회전바(321)는 하나 구비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rotating bars 321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bar 32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200 travels. With this structure,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brake shoes 3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driving wheels 240 by one operation member 320 . Of course, one rotation bar 321 may be provided.

베이스 플레이트(322)는 지지체(2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2)는 작동 부재(32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승강바(323)가 승강하는 것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2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가 개구될 수 있다. 이 중심부 개구에 승강바(323)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plate 322 may be installed under the support 220 . The base plate 322 serves to support the entire load of the operation member 320 , and serves to support the lifting of the lifting bar 323 . The base plate 322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central portion may be opened. The lifting bar 323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entral opening.

승강바(323)는 주행 휠(240)과 본체부(200)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승강바(323)는 베이스 플레이트(32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부에 마련된 동력원들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고, 회전바(321)의 타단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부(323)와 회전바(321)의 타단부는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승강부(323)가 회전바(321)의 타단부를 승강시킴으로써 회전바(321)가 회전할 수 있다.The lifting bar 323 may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wheel 240 and the main body 200 travel, and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ing bar 323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base plate 322 , and can be lifted up and down by power sources provided thereon,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ar 321 can be lifted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lifting unit 323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21 may be connected to enable mutual rotation. For example, they can be hinged. The rotating bar 321 can be rotated by the lifting part 323 raising and lowering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21 .

회전축(324)은 주행체(2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회전바(321)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회전축(324)이 회전바(321)의 회전을 지지해줌으로써 승강바(323)의 승강 시 회전축(324)이 회전하면서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에 접촉 및 이격시킬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324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230 , and may be mount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rotating bar 321 . As such, the rotating shaft 324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321, so that when the lifting bar 323 is lifted, the rotating shaft 324 rotates while the brake shoe 310 contacts and separates the driving wheel 240. .

제1 동력원(330)은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작동부재(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동력원(330)은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승강바(323)를 하강시킬 수 있고, 이 하강에 의해 회전바(321)의 일단이 상승하며 브레이크 슈(310)가 주행 휠(2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ource 330 may operate the operation member 320 to separate the brake shoe 310 from the driving wheel 240 . Specifically, the first power source 330 may lower the lifting bar 323 to separate the brake shoe 310 from the driving wheel 240 , and by this lowering, one end of the rotating bar 321 rises and the brake The shoe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wheel 240 .

제1 동력원(330)은 자성체(332) 및 전자석(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원(330)이 작동부재(320)의 승강바(323)에 동력을 인가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동력원(330)이 승강바(323)를 움직이는 방향은 제2 동력원(340)이 작동부재(320)의 승강부(323)에 동력을 인가하는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power source 330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332 and an electromagnet 331 .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wer source 330 applies power to the lifting bar 323 of the operation member 320 ,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wer source 330 moves the lifting bar 323 is the second power source 340 is the operation member. The direction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lifting unit 323 of the 320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자성체(332)는 예컨대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자성체(332)는 작동부재(320)의 일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타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성체(332)는 승강바(323)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magnetic body 332 may have a disk shape, for example. The magnetic body 332 may be mounted on the other end positioned higher than one end of the operation member 320 . Specifically, the magnetic body 332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bar 323 .

전자석(331)은 작동부재(320)의 승강바(323)의 전후진 방향으로 자성체(332)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석(331)은 자성체(332)와 베이스 플레이트(322) 사이에서 승강바(323)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332)는 지지체(220)의 내부에서 지지체(220)와 베이스 플레이트(322)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전자석(331)도 그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331)은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그 중심이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전자석(331)의 중심의 개구에 승강바(323)와 제2 동력원(340)이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omagnet 331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ic body 33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323 of the operation member 320 . Specifically, the electromagnet 331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lifting bar 323 between the magnetic body 332 and the base plate 322 . At this time, the magnetic body 332 may be supported by any one of the support 220 and the base plate 322 inside the support 220 . That is, the height of the electromagnet 331 may also be fixed. The electromagnet 33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enter thereof may be opened up and down. The lifting bar 323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40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center of the electromagnet 331 .

전자석(331)은 전원 공급원(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성체(332)를 당길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원은 독립된 전원 공급원이거나, 주행체(23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원일 수 있다.The electromagnet 331 may receive power from a power supply source (not shown) to pull the magnetic body 332 .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may be an independent power supply or a power supply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230 .

전자석(331)은 후술하는 센서(360)에 구비된 릴레이를 통하여 전원 공급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전자석(331)은 센서(36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원의 차단 여부가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석(331)은 센서(3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릴레이가 작동함으로써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전자석(331)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석(331)이 자성체(332)를 당기는 힘이 해소될 수 있다.The electromagnet 331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source through a relay provided in a sensor 360 to be described later. The electromagnet 331 may determine whether to cut off the pow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360 . In detail, the electromagnet 331 may be powered off by the operation of a relay by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360 .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331 is cut off, the force of the electromagnet 331 pulling the magnetic body 332 may be resolved.

제2 동력원(340)은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에 접촉시키도록 작동부재(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동력원(340)는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에 접촉시키도록 승강바(323)를 상승시키고, 이러한 상승에 의해 회전바(321)의 일단이 하강하며 브레이크 슈(310)가 주행 휠(240)에 밀착될 수 있다.The second power source 340 may operate the operation member 320 to bring the brake shoe 310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240 . Specifically, the second power source 340 raises the lifting bar 323 to bring the brake shoe 310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240 , and one end of the rotating bar 321 is lowered by this rise, and the brake shoe 3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240 .

제2 동력원(340)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체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체의 동력 인가 방향 즉, 탄성체가 승강바(323)를 이동시키는 방향은 자성체(332) 및 전자석(331)이 승강바(323)를 이동시키는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second power source 34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Specifically, the elastic body may include an elastic spring.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s applied by the elastic body,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body moves the lifting bar 323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body 332 and the electromagnet 331 move the lifting bar 323 .

상술한 탄성체(340)는 작동부재(320)의 승강바(323)의 전후진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자성체(332)와 접촉되고, 전자석(3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성체(33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체(340)는 작동부재(320)의 전후진 방향으로 자성체(332)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자성체(33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후진 방향은 주행 휠(240)에 대한 전후진 방향으로서, 상하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lastic body 340 is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body 332 to enable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323 of the operation member 320,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agnetic body 33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omagnet 331. can provide Specifically, the elastic body 3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ic body 332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2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gnetic body 332 . In this case,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is a forward/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iving wheel 240 , and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자성체(332)에 대하여 전자석(331)과 탄성체(340)가 다른 쪽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체(340)의 상단은 지지체(22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하단은 자성체(332)와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magnet 331 and the elastic body 340 are positioned on different sides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body 332 ,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body 34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pport 220 ,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body 332 . can

반면, 자성체(332)에 대하여 전자석(331)과 탄성체(340)가 같은 쪽에 위치하면, 탄성체(340)는 베이스 플레이트(322)의 상면에 안착되고, 그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322)에 지지될 수 있고, 상단이 자성체(33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40)는 전자석(331)의 개구 내부에서 승강바(323)의 상단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40)의 상하 길이가 전자석(331)의 상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340)의 상하 길이는 압축되지 않았을 때의 상하 길이 즉, 초기 상하 길이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magnet 331 and the elastic body 340 are position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body 332 , the elastic body 3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22 ,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base plate 322 . and the upp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magnetic body 332 .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34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bar 323 inside the opening of the electromagnet 331 . 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elastic body 340 may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electromagnet 331 . Here, the vertical length of the elastic body 340 refers to the vertical length when not compressed, that is, the initial vertical length.

이러한 탄성체(340)가 자성체(332)에 제공하는 탄성력의 크기는 전자석(331)이 자성체(332)에 제공하는 자기력인 인력의 크기보다 작다. 이에, 전자석(331)으로 전원이 공급될 때에는 자성체(332)가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강하며, 승강바(323)를 하강시킬 수 있다.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340 to the magnetic body 332 is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attractive force provided by the electromagnet 331 to the magnetic body 332 . According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331 , the magnetic body 332 overcomes the elastic force and descends, and the lifting bar 323 can be lowered.

센서(360)는 장애물과 범퍼(260)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360)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고, 범퍼(260)에 구비된 로드(26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센서(360)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센서(360)는 로드(262)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동력원(33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릴레이를 내장할 수 있다.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가 로드(262)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면, 릴레이가 이 감지 신호를 수용하여 작동할 수 있고, 릴레이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던 전자석(331)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릴레이가 전자석(331)과 전원 공급원 간의 전원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The sensor 360 may be installed to detect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260 . For example, the sensor 360 may include a limit switch, and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rod 262 provided in the bumper 260 . Of course, the type of the sensor 360 may be various. The sensor 360 may have a built-in relay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ource 330 when the movement of the rod 262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limit switch detects the movement of the load 262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he relay can operate by accepting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omagnet 331 that wa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relay is cut off. can That is, the relay may block the power circuit between the electromagnet 331 and the power sourc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레이크부(300)는, 승강바(323)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바(323)의 하단에 장착되고, 승강바(323)의 하강 시 주행 휠(240)의 지지축(250)에 접촉 가능한 길이 조절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 the brake unit 30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bar 323 to be movable along the lifting bar 323 , and the driving wheel 240 when the lifting bar 323 is lowered. It may include a length adjuster 350 contactable to the support shaft 250 of the.

길이 조절기(350)는 승강바(323)의 하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길이 조절기(350)는 본체부(200)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 중심부가 한 쌍의 레일(110)이 이격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길이 조절기(350)의 이 돌출된 부분이 승강바(323)의 하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길이 조절기(350)는 지지축(250)의 상측에 배치되며, 승강바(323)에 결합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승강바(323)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승강바(323)와 길이 조절기(350)가 함께 하강하는데, 길이 조절기(350)가 지지축(250)에 접촉되면 하강이 제한되므로, 승강바(323)는 길이 조절기(350)가 하강 가능한 높이만큼만 하강할 수 있다.The length adjuster 350 may be screw-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bar 323 . The length adjuster 350 may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200 travels, and its center may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rails 110 are spaced apart. This protruding portion of the length adjuster 350 may be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bar 323 . The length adjuster 35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shaft 250 , and by adjusting the height coupled to the lifting bar 323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bar 323 . That is, the elevating bar 323 and the length adjuster 350 descend together, but when the length adjuster 3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haft 250 , the lowering is limited, so the elevating bar 323 is the length adjuster 350 descends. You can only descend as high as possible.

이에, 길이 조절기(35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면, 승강바(323)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바(323)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바(32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310)의 마모 정도에 따라 회전바(321)의 회전 각도를 늘려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ength adjuster 350 is adjusted,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bar 323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levation height of the elevation bar 323 in this way,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bar 321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bar 321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wear of the brake shoe 31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부(300)의 작동도이다.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brake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차체(210)가 스토퍼(120)에 가까워지는 방향 예컨대 전방으로 주행하여, 범퍼(260)가 스토퍼(120)와 접촉되면, 반력이 차체(210)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때, 브레이크부(300)의 센서(360)가 범퍼(260)와 스토퍼(120)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범퍼(26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이용하여 센서(360)를 작동시킨다. 이때, 이러한 접촉을 감지한 즉시 센서(360)에 구비된 릴레이가 전자석(331)으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석(331)의 자기력이 해소됨으로써 자성체(332)를 전자석(331) 쪽으로 당기는 힘 예컨대 인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처럼 자상체(332)를 구속하던 인력이 사라지면, 그동안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340)가 탄성 복원되면서 자성체(332)를 상방으로 밀어낸다. 즉,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자성체(332)를 상방으로 밀어낸다. 이에, 작동부재(320)의 승강바가 상승하며 회전바의 타단을 상승시키고, 회전바의 타단과 대향하는 일단을 하강시켜,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에 밀착시킨다. 즉, 브레이크 슈(310)의 위치를 복원시킨다. 이에, 제동력이 발생하여, 자체(210)가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고 즉시 정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vehicle body 210 travel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topper 120 , for example, forward, and the bumper 2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120 , the reaction force pushes the vehicle body 210 backward. , at this time, the sensor 360 of the brake unit 300 may detect the contact between the bumper 260 and the stopper 120 . That is, the sensor 360 is operated us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bumper 260 . In this case, the relay provided in the sensor 360 may cut off the power directed to the electromagnet 331 immediately upon detecting such contact. Accordingly, as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331 is resolved, a force pulling the magnetic material 332 toward the electromagnet 331, for example, an attractive force may be released. As such, when the attractive force constraining the magnetic body 332 disappears, the elastic body 340 that has been compressed in the meantime is elastically restored to push the magnetic body 332 upward. That is, the magnetic body 332 is pushed upward by us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cordingly, the lifting bar of the operation member 320 rises to raise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and lowering one end opposite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thereby bringing the brake shoe 3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raveling wheel 240 . That is, the position of the brake shoe 310 is restored. Accordingly, a braking force is generated, and the 210 itself can be stopped immediately without being pushed backward.

승강부(400)는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 드럼을 이용하여 적재부(5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예컨대 와이어 로프, 와이어 드럼, 디스크, 구동 축, 구동 모터 및 기어 박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400)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400 may be formed to elevate the loading unit 500 using a wire rope and a wire drum. The lifting unit 400 may include, for example, a wire rope, a wire drum, a disk, a drive shaft, a drive motor and a gear box.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unit 400 may be various.

적재부(500)는 본체부(200)의 하부에서 와이어 로프에 지지되어 승강할 수 있고, 각종 중량물(10)을 체결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후크, 로프 풀리 및 트롤리 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재부(500)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The loading unit 500 may be supported by a wire rop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and may be elevated, and may include a hook, a rope pulley and a trolley bar so as to be elevated by fastening various weights 10 .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500 may be various.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7 (a) to (c)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cran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브레이크 슈(310)가 주행 휠(240)에 밀착될 때, 주행 휠(240)이 미끄러지는 경우, 차체(210)를 제동할 수가 없을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주행 휠(240)의 회전을 강제로 구속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부(300)의 브레이크 슈(310)와 주행 휠(24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로킹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rake shoe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240 and the driving wheel 240 slides, it may not be possible to brake the vehicle body 210 .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ct surface of the brake shoe 310 and the driving wheel 240 of the brake unit 300 so as to constrain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240 forcibly.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600 formed in the.

도 7의 (a)를 참조하면, 로킹부(600)는 주행 휠(240)의 외주면을 따라 나열되는 로킹 홈(610), 로킹 홈(610)을 마주볼 수 있도록 브레이크 슈(310)의 제동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620), 슬라이드 홈(620)에 삽입되며, 슬라이드 홈(620)의 내부에서 제동면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블록(630), 슬라이드 블록(630)으로부터 돌출되고, 로킹 홈(610)에 삽입될 수 있는 로킹 돌기(6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돌기(640)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7 , the locking part 600 includes the locking grooves 610 and locking grooves 610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240 to face the brake shoe 310 . A slide groove 620 that is concavely formed in the hibernation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620, and a slide block 630 and a slide block 630 that are slidable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raking surface inside the slide groove 620. It protrudes from and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64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10 . An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640 may be rounded.

슬라이드 블록(630)의 연장 길이(L)는 슬라이드 홈(620)의 내부 길이(L0)보다 작고, 이러한 유격에 의해 브레이크 슈(310)가 주행 휠(240)에 접촉하였을 때, 로킹 돌기(640)가 로킹 홈(610)에 삽입될 때까지 슬라이드 블록(6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extended length L of the slide block 630 is smaller than the inner length L0 of the slide groove 620, and when the brake shoe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240 due to this play, the locking protrusion 640 ) the position of the slide block 630 may be adjusted until i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10 .

도 7의 (b) 및 (c)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슈(310)가 주행 휠(24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 로킹 돌기(640)가 로킹 홈(610)에 삽입될 수 있고, 주행 휠(240)이 미끄러짐(Δθ)에 의해 회전하면, 슬라이드 블록(630)이 슬라이드 홈(620)의 일측벽에 밀착될 수 있고, 이 이후부터 로킹 돌기(640)가 로킹 홈(610)의 결합력에 의해 주행 휠(240)이 미끄러짐을 멈추고 강제로 정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b) and (c) of FIG. 7 , when the brake shoe 310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240 , the locking protrusion 640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10 , and the driving wheel When the 240 rotates by the sliding Δθ, the slide block 6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wall of the slide groove 620, and from then on, the locking protrusion 640 is applied to the binding force of the locking groove 610. By this, the driving wheel 240 may stop sliding and be forcibly stopped.

따라서, 주행 휠(240)의 미끄러짐이 신속히 정지됨에 의해, 차체(210)가 보다 신속하게 정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sliding of the driving wheel 240 is quickly stopped, the vehicle body 210 can be stopped more quickly.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을 설명한다.1 to 7, a crane device trave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은, 주행 경로를 따라 크레인 장치의 차체(210)를 주행시키는 과정, 장애물와 차체(210)로부터 돌출된 범퍼(26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과정, 및 차체(210)의 하부에 마련된 주행 휠(240)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차체(210)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crane devic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driving the vehicle body 210 of the crane device along a traveling path, a process of detecting contact between an obstacle and the bumper 260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210, and the vehicle body and providing a braking force to the driving wheel 240 provided under the 210 to emergency stop the vehicle body 210 .

우선, 주행 경로를 따라 크레인 장치의 차체(210)를 주행시킨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크레인 장치는 승강부(400)와 적재부(500)를 이용하여 중량물(10) 예컨대 래들을 운반할 수 있다. 이 과정 동안, 제1 동력원(330)으로 전원을 입력받아서 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고, 자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슈(310)와 주행 휠(240)을 이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제1 동력원(330)의 전자석(331)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자석(331)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전자석(331)에 자성체(332)를 접촉시키고, 자성체(332)와 연결된 작동부재(320)의 일부를 하강 및 회전킨다. 이에, 작동부재(320)에 지지된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First, the vehicle body 210 of the crane device is driven along the traveling path.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1 , the crane device may transport a heavy object 10 , such as a ladle, using the lifting unit 400 and the loading unit 500 . During this process, a magnetic force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source 330 , and the brake shoe 310 and the driving wheel 240 may be spaced apart by using the magnetic forc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331 of the first power source 330 . In addition, the magnetic body 33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magnet 331 by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331 , and a part of the operation member 320 connected to the magnetic body 332 is lowered and rotated. Accordingly, the brake shoe 310 supported by the operation member 320 may be spaced upwardly from the driving wheel 240 .

이후, 센서(360)를 이용하여 장애물과 범퍼(260)와의 접촉을 감지한다. 장애물은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120)일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컨대 작업자의 운전 미숙이나, 본체부(200)의 결함 등의 이유로, 본체부(200)가 주행하며 스토퍼(120)와 점점 가까워지면 본체부(200)의 차체(120)보다 돌출된 범퍼(260)가 스토퍼(120)에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센서(360)가 감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260 is sensed using the sensor 360 . The obstacle may be a stopper 120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vel path. Referring to FIGS. 2 and 6 , for example, due to inexperienced driving of the operator or a defect in the main body 200 , when the main body 200 travels and gets closer to the stopper 120 , the body of the main body 200 is The bumper 260 protruding from the 120 may first contact the stopper 120 . The sensor 360 may detect this.

한편, 상술한 장애물은 경로부(100)상을 주행하는 다른 본체부(200)일 수 있다. 즉, 경로부(100)에 여러 대의 본체부(200)가 마련되고, 각각 작업을 위해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의 운전 미숙이나, 본체부(200)의 결함 등의 이유로, 본체부(200)가 다른 본체부(미도시)에 근접할 경우, 본체부(200)의 범퍼(260)가 다른 본체부의 범퍼(미도시)와 접촉할 수 있고, 이러한 접촉을 범퍼(260)에 장착된 센서(360)가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obstacle may be another body unit 200 traveling on the path unit 100 . That is, a plurality of body parts 200 are provided in the path part 100 , and they can each run for work. At this time, when the main body 200 is close to another main body (not shown) for reasons such as inexperienced operation of the operator or a defect in the main body 200 , the bumper 260 of the main body 200 is different from the main body.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gative bumper (not shown), and the sensor 360 mounted on the bumper 260 may detect this contact.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과 범퍼(260)의 접촉을 감지하면, 주행 휠(204)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차체(210)를 긴급 정지시킨다. 이때, 차체(210)로부터 독립된 동력원들을 사용하여 제동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이를테면 작업자의 운전 미숙이나 본체부(200)의 결함과 상관없이 장애물과 범퍼(260)의 접촉 즉시 제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 , when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260 is sensed, braking force is provided to the driving wheel 204 to emergency stop the vehicle body 210 . At this time, since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using power sources independent from the vehicle body 210 , for example, the braking force can be generated immediately upon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260 , regardless of the inexperienced driving of the operator or the defect of the main body 200 .

이때, 구체적으로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은, 센서(360)가 스토퍼(120)와 범퍼(260)의 접촉을 감지하면, 그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석(331)으로의 전원 입력을 차단하는 과정, 및 복원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슈(310)를 복귀시켜, 주행 휠(240)과 브레이크 슈(310)를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emergency stopping the vehicle body is a process of blocking power input to the electromagnet 331 using the detection signal when the sensor 360 detects contact between the stopper 120 and the bumper 260 . , and returning the brake shoe 310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to bring the driving wheel 240 into contact with the brake shoe 310 .

즉, 센서(360)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가 스토퍼(120)와 범퍼(260)의 접촉에 의한 로드(262)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면, 센서부(360)에 구비된 릴레이가 감지 신호를 수용하여 작동되고, 릴레이를 통하여 전원 공급원(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던 전자석(331)이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imit switch provided in the sensor 36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od 262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120 and the bumper 260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the relay provided in the sensor unit 360 is The electromagnet 331 that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and has been supplied with power from a power supply source (not shown) through a relay may be powered off.

이에, 전자석(331)이 자성체(332)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이 해제되고, 탄성체(340)가 탄성 복원되어 자성체(332)를 밀어 올리며 작동부재(320)의 승강바(323)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바(321)가 회전하여 브레이크 슈(310)를 하강시키고, 이에, 브레이크 슈(310)를 주행 휠(240)에 밀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orce of the electromagnet 331 pulling the magnetic body 332 downward is released, the elastic body 340 is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magnetic body 332 is pushed up and the lifting bar 323 of the operating member 320 can be raised. have. As a result, the rotating bar 321 rotates to lower the brake shoe 310 , and thus the brake shoe 3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240 .

이과정에서,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것처럼, 로킹 부(600)를 이용하여, 주행 휠(240)의 외주면 및 브레이크 슈(310)의 제동면을 상호 로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주행 휠(240)이 브레이크 슈(310)의 제동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차체(210)를 즉시 정시시킬 수 있다.In this process, as shown in (b) and (c) of FIG. 7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240 and the braking surface of the brake shoe 310 can be mutually locked by using the locking part 600 .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veling wheel 240 from sliding along the braking surface of the brake shoe 310 and bring the vehicle body 210 to a standstill.

상술한 바에 따르면, 범퍼(260)와 스토퍼(120)의 접촉을 감지하는 즉시 크레인 장치의 차체(210)에 구비된 주행 휠(240)에 브레이크 슈(310)를 밀착시켜 강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동 작동은 차체(210)의 운전 계통으로부터 독립된 브레이크부(300)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차체(21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정상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bar, as soon as the contact between the bumper 260 and the stopper 120 is sensed, the brake shoe 3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raveling wheel 24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10 of the crane device to provide strong braking force. have. Since this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brake unit 300 independent from the driving system of the vehicle body 210 , the vehicle may operate normally even in a state in which power to the vehicle body 210 is cut off.

따라서, 범퍼(260)가 스토퍼(120)를 강하게 충격하는 경우, 차체(210)가 제동에 실패하여 스토퍼(120)를 밀고 지나가거나, 충격 시 발생하는 강한 반력에 의해 차체(210)가 스토퍼(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범퍼(260)와 스토퍼(120)가 접촉한 즉시 차체(210)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차체(210)를 강제로 정차시킬 수 있다. 이에, 차체(210)의 제동 실패나 지연에 따른 선로 이탈 및 운반 중인 중량물 탈락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umper 260 strongly impacts the stopper 120, the vehicle body 210 fails to brake and pushes the stopper 120, or the vehicle body 210 causes the stopper (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away from the That is, as soon as the bumper 260 and the stopper 1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vehicle body 210 is prevented from moving any more, so that the vehicle body 210 can forcibly stop.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a failure in braking of the vehicle body 210 or a departure from a track due to a delay and dropping of a heavy object being transported in advance.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by combining or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modifications thereof may also be considered a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mbodi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understand

100: 경로부 200: 본체부
210: 차체 240: 주행 휠
260: 범퍼 300: 브레이크부
310: 브레이크 슈 320: 작동부재
330: 제1 동력원 340: 제2 동력원
360: 센서 600: 로킹부
100: path part 200: body part
210: body 240: driving wheel
260: bumper 300: brake unit
310: brake shoe 320: operating member
330: first power source 340: second power source
360: sensor 600: locking part

Claims (16)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
상기 경로부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행 휠, 상기 주행 휠에 지지된 차체, 및 상기 경로부를 따라 상기 차체로부터 돌출된 범퍼를 구비하는 본체부;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a path unit forming a driving path;
a body portion including a traveling wheel installed to travel along the path portion, a vehicle body supported by the traveling wheel, and a bumper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along the path portion;
Crane device comprising a; a brake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rovide a braking force to the traveling wheel by using the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며 자기력이 해소되면,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un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raveling wheel by using magnetic force, and when the power is cut off by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and the magnetic force is resolved, the crane device is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raveling wheel using a restoring forc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unit,
A crane device comprising a; a sensor installed to detect the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주행 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독립된 동력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휠을 향하여 이동 가능한 구동기;
상기 주행 휠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슈;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brake unit,
a driver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extending toward the driving wheel, and movable toward the driving wheel using power sources independent from the main body;
Crane device including; a brake shoe mounted to one end of the actuator so as to contact the traveling whee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주행 휠을 향해 전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행 휠을 마주보는 일 단부에 상기 브레이크 슈가 장착되는 작동부재;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주행 휠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1 동력원; 및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주행 휠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2 동력원;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ctuator is
an operation member formed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driving wheel and to which the brake shoe is mounted at one end facing the driving wheel;
a first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to separate the brake shoe from the travel wheel; and
Crane apparatus comprising a; a second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to bring the brake shoe into contact with the traveling whee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원은 자성체 및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력원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및 전자석과 상기 탄성체는 동력의 인가 방향이 서로 반대 되는 크레인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ower source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and an electromagnet,
The second power source includes an elastic body,
The magnetic body and the electromagnet and the elastic body are the crane device in which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power is opposite to each oth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타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된 릴레이를 통하여 전원 공급원과 연결될 수 있는 크레인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agnetic body is mounted on the other end positioned higher than one end of the operation member,
The electromagnet is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ic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crane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source through a relay connected to the sens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석의 인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크고,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상기 탄성체와 상기 전자석이 같은 쪽에 위치할 경우, 상기 탄성체의 길이가 상기 전자석의 길이보다 긴 크레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body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ic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operation member,
The attractive force of the electromagnet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When the elastic body and the electromagnet are position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body,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lectromagn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대한 높이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이 배치되는 승강바;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차체에 대한 높이가 고정되는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단에 상기 브레이크 슈가 장착되고, 상기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일 지점이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perating member is
a base plat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having a fix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 lifting bar disposed to penetrate the base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being disposed at an upper end thereof;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fixed in height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at a height lower than the base plate;
A rotating bar located below the base plate, the brake shoe is mounted on one e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bar, and a point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rotating shaft. crane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승강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바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바의 하강 시 상기 주행 휠의 지지축에 접촉 가능한 길이 조절기;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rake unit,
Crane device comprising; a length adjuster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bar to be movable along the lifting bar, and contactable to the support shaft of the traveling wheel when the lifting bar is low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 휠의 회전을 강제로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와 상기 주행 휠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ran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ke unit and the traveling wheel to forcibly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traveling wheel.
주행 경로를 따라 크레인 장치의 차체를 주행시키는 과정;
장애물과 상기 차체로부터 돌출된 범퍼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차체의 하부에 마련된 주행 휠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
The process of driving the vehicle body of the crane device along the traveling path;
detecting a contact between an obstacle and a bumper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and
Crane device driving method comprising a; providing a braking force to the driving wheel provided under the vehicle body to emergency stop the vehicle body.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은 상기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차체로부터 독립된 동력원들을 사용하여 제동력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obstacle includes a stopp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vel path,
In the process of emergency stopping the vehicle,
Crane device driv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braking force using independent power sources from the vehicle body.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체를 주행시키는 과정은,
전원을 입력받아 자기력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자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슈와 상기 주행 휠을 이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 of driving the vehicle is
a process of receiving power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Using the magnetic force,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brake shoe and the traveling wheel; Crane device driving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애물과 상기 범퍼의 접촉을 감지하면, 그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과정;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를 복귀시켜, 상기 주행 휠과 상기 브레이크 슈를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process of emergency stopping the vehicle,
when detecting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bumper, blocking the input of the power using the detection signal;
Crane device driving method comprising a; returning the brake shoe by using a restoring force, and contacting the driving wheel and the brake sho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체를 긴급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주행 휠의 외주면 및 상기 브레이크 슈의 제동면을 상호 로킹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주행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process of emergency stopping the vehicle,
The process of mutually lock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braking surface of the brake shoe; Crane device driv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190172138A 2019-12-20 2019-12-20 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26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138A KR102326859B1 (en) 2019-12-20 2019-12-20 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138A KR102326859B1 (en) 2019-12-20 2019-12-20 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902A true KR20210079902A (en) 2021-06-30
KR102326859B1 KR102326859B1 (en) 2021-11-16

Family

ID=7660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138A KR102326859B1 (en) 2019-12-20 2019-12-20 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8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911B1 (en) * 2022-05-03 2022-11-04 주식회사 세원시스템 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object
CN117142349A (en) * 2023-10-30 2023-12-01 山东天意高科技有限公司 Assembled building board lifts by crane wa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08Y1 (en) * 2000-09-04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An emergency brake for crane
KR200260416Y1 (en) * 2001-08-21 2002-01-1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Bumper stopping apparatus of over head crane having braking device
KR20140100809A (en) * 2013-02-07 2014-08-18 주식회사 포스코 Braking device
KR20140121624A (en)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포스코 Braking device of overhead crane
KR101832222B1 (en) 2016-08-29 2018-02-28 주식회사 포스코 Cra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08Y1 (en) * 2000-09-04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An emergency brake for crane
KR200260416Y1 (en) * 2001-08-21 2002-01-1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Bumper stopping apparatus of over head crane having braking device
KR20140100809A (en) * 2013-02-07 2014-08-18 주식회사 포스코 Braking device
KR20140121624A (en)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포스코 Braking device of overhead crane
KR101832222B1 (en) 2016-08-29 2018-02-28 주식회사 포스코 Cra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911B1 (en) * 2022-05-03 2022-11-04 주식회사 세원시스템 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object
CN117142349A (en) * 2023-10-30 2023-12-01 山东天意高科技有限公司 Assembled building board lifts by crane ware
CN117142349B (en) * 2023-10-30 2024-01-30 山东天意高科技有限公司 Assembled building board lifts by crane 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859B1 (en)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859B1 (en) Cran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4203791B (en) Anti-fall device in lift facility
JP2008528406A (en) Trolley and spreader assembly
WO2007008782A1 (en) Extendable conveyor with boom brake
WO2014125040A1 (en) A loading bay docking system
JP4050740B2 (en)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lifting machine
CN107108172A (en) Lift appliance
EP3606862B1 (en) Crane with anti-tipping control system
US6286696B1 (en) Hoist system anti-drift device
CN106239565A (en) Automatic boxing truss mechanical hand
KR102022235B1 (en) Elevator braking system
JP2008174340A (en) Manually running type lifter
KR101231837B1 (en) traction and brake supporting appratus of railway vehicle
CN210557485U (en) Locking mechanism for curing furnace trolley
JP2011251793A (en) Elevator apparatus with emergency stop device
KR20160040756A (en) Dumping apparatus for loading on truck
JP2008081218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US2917195A (en) Auxiliary support for cable hoist suspended apparatus
CN219408476U (en) Reliable ship loader travelling wheel braking device
KR100752317B1 (en)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hoisting drum of an overhead travelling crane
JP2019014323A (en) Electrically-driven rail truck
CN111670153B (en) Emergency braking system, conveying system and production and/or logistics installation
KR102111781B1 (en) Automatic chock device for wheel braking of large crane
CN216185142U (en) Automatic car arrester of rail vehicle
KR100939320B1 (en) Movable slab pinch machine at emerg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