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813A -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813A
KR20210079813A KR1020190171971A KR20190171971A KR20210079813A KR 20210079813 A KR20210079813 A KR 20210079813A KR 1020190171971 A KR1020190171971 A KR 1020190171971A KR 20190171971 A KR20190171971 A KR 20190171971A KR 20210079813 A KR20210079813 A KR 2021007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broadcasting
public
broadcast
cont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언
Original Assignee
(주)텔레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필드 filed Critical (주)텔레필드
Priority to KR102019017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813A/ko
Publication of KR2021007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9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능한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음이나 경관 훼손 없이 독거 노인 등 소규모 마을 단위 지역에서의 공공방송에 대한 전파 및 수신 효율을 높이고, 방송 수신이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수신 대상자의 관리 정보를 생성해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공공방송콘텐츠 제공자의 방송촬영장치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고, 제작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를 지정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송출하는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 내 재실 여부와 활동 상태에 따라 공공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와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 사이에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련된 관계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에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전달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 이력과 재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를 포함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F PUBLIC BROADCAST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마을 단위의 공공정보 등의 방송이나 전파는 음성 기반의 물리적 방송 전달 장비를 이용하여 증폭된 음성을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방송 방법은 수신 대상자가 무작위이며, 해당 방송정보를 듣지 못한 경우 공공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수 킬로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공공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증폭된 음성은 내용을 실제로 주변 소음이나 환경에 따라 명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으며, 음성의 전달 거리가 수 킬로미터 이상을 넘을 경우 방송되는 음성의 내용은 거의 들리지 않는다.
이러한 해결하기 위한 음성증폭장치를 일정 지점마다 설치하기도 하지만 그로 인한 비용이 필연적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고, 각 지점마다의 증폭된 음성이 전파됨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의 원치 않은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음성증폭장치의 설치에 따른 경관을 헤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6955호(공개일자: 2019년10월10일) 등록특허공보 제10-1991377호(등록일자: 2019년06월14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음이나 경관 훼손 없이 독거 노인 등 소규모 마을 단위 지역에서의 공공방송에 대한 전파 및 수신 효율을 높이고, 방송 수신이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수신 대상자의 관리 정보를 생성해 관리가 가능한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공방송콘텐츠 제공자의 방송촬영장치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고, 제작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를 지정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송출하는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 내 재실 여부와 활동 상태에 따라 공공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와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 사이에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련된 관계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에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전달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 이력과 재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는, 상기 방송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디지털 콘텐츠를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로 제작하는 방송 콘텐츠 편집 제작부;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상기 관계자 정보를 제공 받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지정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 지정부; 및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시점을 지정하여 실시간 방송 또는 예약 방송을 설정하는 방송시점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에 대한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감지센서; 상기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 내 활동 상태를 감지하는 활동감지센서; 및 상기 재실감지센서 및 상기 활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생활공간 내 설치된 방송 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재실 여부와 활동 상태에 따라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의 수신, 방송 수신 표시, 방송 수신 알림 및 방송 재생과, 상기 방송시점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방송시점에 따른 방송 재생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부; 및 상기 재실감지센서와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각각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고,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방송 재생 대기 상태에서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한 후 방송 수신만 표시하고,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재생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의 표시는, 음성, 빛, 화면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재실감지센서와 상기 활동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의 수신, 재생 및 재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방송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련된 관계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의 호출에 따라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에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전달하는 방송 콘텐츠 전송부; 및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전달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 이력과 재생 결과를 상기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관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생성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는,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반복성 업무와 일회성 업무로 구분하여 지정 받고, 상기 반복성 업무로 지정된 공공방송콘텐츠 관련 업무에 대한 일정 알림을 설정 받아 등록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 및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리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를 통해 등록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관련 업무에 대한 시행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시행되지 않은 공공방송콘텐츠를 해당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에게 다시 제공하거나 상기 관계자에게 알리는 공공방송콘텐츠 재방송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이나 경관 훼손 없이 독거 노인 등 소규모 마을 단위 지역에서의 공공방송에 대한 전파 및 수신 효율을 높이고, 방송 수신이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수신 대상자의 관리 정보를 생성해 관리가 가능한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그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그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 및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는, 공공방송콘텐츠 제공자의 방송촬영장치(1)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고, 제작된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를 지정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는 방송 콘텐츠 편집 제작부(110), 방송콘텐츠수신자 지정부(120), 방송시점 설정부(130),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140) 및 공공방송콘텐츠 재방송 관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 편집 제작부(110)는, 방송촬영장치(1)를 통해 촬영된 디지털 콘텐츠를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공공방송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송촬영장치(1)는 웹 캠 등이 설치된 PC이나 스마트폰이나 테블렛 PC와 같은 휴대통신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공방송콘텐츠는 독거 노인 등을 케어와 관리/관찰이 필요한 대상으로 한 공공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영상,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하고, 편집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방송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방송콘텐츠수신자 지정부(120)는,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로부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계자 정보를 제공 받고,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할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는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자를 관리하는 보호인 또는 해당 대상자의 보호자 등 관계자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방송콘텐츠수신자 지정부(120)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계자 정보를 기반으로 공공방송콘텐츠를 받을 대상자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거나, 여러 사람단위의 그룹으로 일괄적으로 지정하거나, 또는 개별 지정과 일괄 지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방송시점 설정부(130)는,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시점을 지정하여 실시간 방송 또는 예약 방송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작된 공공방송콘텐츠를 언제(년/월/일/시/분) 방송할 것인지를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해당 방송시점에 예약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약 설정된 방송시점에 특정 공공방송콘텐츠가 지정된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에게 전달되어 방송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140)는,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반복성 업무와 일회성 업무로 구분하여 지정 받고, 반복성 업무로 지정된 공공방송콘텐츠 관련 업무에 대한 일정 알림을 설정 받아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140)는 매년/매월/매주/매일(특정 시간대)에 반복적으로 정해진 방송과 일회적으로 실시하는 방송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구분 방법으로는 제작된 방송콘텐츠파일의 설정 값을 반복성 항목에 체크하거나 일회성 항목에 체크하는 방식으로 해당 방송콘텐츠에 대한 반복성과 일회성을 구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반복성 방송콘텐츠는 상술한 방송시점과 연계하여 언제 방송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일정 알림 항목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재방송 관리부(150)는, 후술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로부터 수신된 관리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140)를 통해 등록된 공공방송콘텐츠 관련 업무에 대한 시행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시행되지 않은 공공방송콘텐츠를 해당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에게 다시 제공하거나 등록된 관계자의 휴대통신단말 등으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비스 정보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방송 이력(어떠한 방송을 했는지에 대한 이력)과 재생 결과에 따른 통계 정보와 이를 분석한 분석 정보, 및 공공방송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방송콘텐츠의 트렌드 분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공방송콘텐츠 재방송 관리부(150)는 일정 알림 기능에 등록된 방송과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수신자에게 전송된 콘텐츠가 방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방송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 또는 관계자에게 해당 공공방송콘텐츠가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로부터 다시 전송되도록 하여 재방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고,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고,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생활공간 내 재실 여부와 활동 상태에 따라 공공방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는 재실감지센서(210), 활동감지센서(220) 및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실감지센서(210)는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생활공간 내(예를 들어, 현관, 방, 거실, 화장실 등)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에 대한 재실 여부에 따른 상이한 신호를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활동감지센서(220)는 생활공간 내(예를 들어, TV, 냉장고, 선풍기, 오디오, 취사기기 등 생활가전 및/또는 소파, 방문, 창문, 서랍장, 옷장, 형광등 스위치 등의 가구나 집안 시설)에 설치되어 해당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재실 상태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활동 상태(TV를 켜고 끄는 동작, 냉장고를 열고 닫는 동작, 선풍기를 켜고 끄는 동작, 오디오를 켜고 끄는 동작, 취사기기의 사용 여부, 소파의 압력 센싱 값 측정 여부, 방문/창문/서랍장/옷장 열고 닫는 동작, 형광등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등)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230)는, 재실감지센서(210) 및 활동감지센서(22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생활공간 내 설치된 게이트웨이(미도시) 자체 또는 해당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방송출력장치(2)(TV, 오디오,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와 연결되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재실 여부와 활동 상태에 따라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로부터 공공방송콘텐츠의 수신, 방송 수신 표시, 방송 수신 알림 및 방송 재생과, 방송시점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방송시점에 따른 방송 재생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230)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부(231),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232) 및 방송결과 전송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부(231)는, 활동감지센서(220)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는 경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여부와 관계 없이 현재 생활공간 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공공방송콘텐츠를 일단 받아서 저장하거나 방송출력장치(2)로 재생 또는 출력을 대기할 수 있다.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232)는, 재실감지센서(210)와 활동감지센서(220)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각각 감지되는 경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여 방송출력장치(2)를 통해 바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해당 생활공간 내 재실상태이면서 활동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한 후 바로 방송출력장치(2)를 통해 재생하거나 재생하도록 별도의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신호는 방송 수신 표시로서 음성, 빛, 화면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할 콘텐츠가 수신되어 확인을 요청하는 멘트를 출력하거나, 램프의 점등 또는 대기 화면에 별도의 안내 멘트가 출력되어 표시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232)는, 재실감지센서(210)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고, 활동감지센서(220)를 통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방송 재생 대기 상태에서 활동감지센서(220)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면 공공방송콘텐츠를 바로 재생할 수 있다. 즉,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해당 생활공간에 있지만,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함에 따라 활동감지센서(220)를 통해 감지되지 않아 방송 재생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특정한 활동이 감지되면, 그때 수신한 공공방송콘텐츠를 바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232)는, 재실감지센서(210)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한 후 방송 수신만 표시할 수 있다. 즉, 외출 등으로 인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해당 생활공간 내에 없는 경우 공공방송콘텐츠만 수신해 놓고, 이후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해당 생활공간으로 돌아오면 수신된 방송콘텐츠가 있음을 표시하거나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232)는, 재실감지센서(210)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재실감지센서(210)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는 경우 수신된 공공방송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외출 등으로 인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해당 생활공간 내에 없는 경우 공공방송콘텐츠만 수신해 놓고, 이후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해당 생활공간으로 돌아오면 수신된 방송콘텐츠를 즉시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송결과 전송부(233)는, 재실감지센서(210)와 활동감지센서(22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또는 감지 데이터)와, 공공방송콘텐츠의 수신, 재생 및 재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는,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와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 사이에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어,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로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계자(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련된 자) 정보를 제공하고,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를 통해 지정된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 또는 관계자의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를 대상으로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에서 받은 공공방송콘텐츠를 예약된 특정 시점 또는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로 전달된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 이력과 재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310), 방송 콘텐츠 전송부(320) 및 서비스 정보 생성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310)는,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로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계자 정보가 저장되고,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의 호출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계자에 대한 이름, 나이, 주소, 연락처, 방송신호를 수신한 IP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대상자의 특이 사항과 같은 개별적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 전송부(320)는,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에서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로 공공방송콘텐츠를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생성 제공부(330)는,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200)로 전달된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 이력과 재생 결과를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2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관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어떠한 방송을 언제 수신하고 재생하여 확인하였는지, 또 어떠한 방송은 확인하지 않았는지, 또 어떠한 특정 방송만 확인하고, 어떠한 방송은 확인하지 않는지 등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 별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공공방송콘텐츠의 양질의 개선 사항을 제시하거나,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 별 재실이나 활동 상태 점검, 그에 따른 관리/관찰에 대한 서비스 알림 등의 관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30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 제공자와 수신자의 통신단말과 기기 간을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이나 경관 훼손 없이 독거 노인 등 소규모 마을 단위 지역에서의 공공방송(재해, 재난, 행정기관과 마을의 공지사항 등)에 대한 전파 및 수신 효율을 높이고, 방송 수신이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수신 대상자의 관리 정보를 생성해 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공공방송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100: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
110: 방송 콘텐츠 편집 제작부
120: 방송콘텐츠수신자 지정부
130: 방송시점 설정부
140: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
150: 공공방송콘텐츠 재방송 관리부
200: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
210: 재실감지센서
220: 활동감지센서
230: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
231: 공공방송콘텐츠 수신부
232: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
233: 방송결과 전송부
300: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
3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320: 방송 콘텐츠 전송부
330: 서비스 정보 생성 제공부
1: 방송촬영장치
2. 방송출력장치
10: 공공방송콘텐츠 제공 장치
20: 공공방송콘텐츠 수신 장치

Claims (7)

  1. 공공방송콘텐츠 제공자의 방송촬영장치를 통해 공공방송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고, 제작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를 지정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송출하는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 내 재실 여부와 활동 상태에 따라 공공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와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 사이에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련된 관계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에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전달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 이력과 재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는,
    상기 방송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디지털 콘텐츠를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로 제작하는 방송 콘텐츠 편집 제작부;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상기 관계자 정보를 제공 받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할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지정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 지정부; 및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시점을 지정하여 실시간 방송 또는 예약 방송을 설정하는 방송시점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에 대한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감지센서;
    상기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상기 생활공간 내 활동 상태를 감지하는 활동감지센서; 및
    상기 재실감지센서 및 상기 활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생활공간 내 설치된 방송 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재실 여부와 활동 상태에 따라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의 수신, 방송 수신 표시, 방송 수신 알림 및 방송 재생과, 상기 방송시점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방송시점에 따른 방송 재생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수신부; 및
    상기 재실감지센서와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각각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고,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방송 재생 대기 상태에서 상기 활동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수신한 후 방송 수신만 표시하고,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재실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가 감지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재생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의 표시는,
    음성, 빛, 화면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재실감지센서와 상기 활동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의 수신, 재생 및 재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방송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와 관련된 관계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의 호출에 따라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에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를 전달하는 방송 콘텐츠 전송부; 및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제어부로 전달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 이력과 재생 결과를 상기 방송 콘텐츠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의 관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생성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프로그램부는,
    상기 공공방송콘텐츠에 대한 반복성 업무와 일회성 업무로 구분하여 지정 받고, 상기 반복성 업무로 지정된 공공방송콘텐츠 관련 업무에 대한 일정 알림을 설정 받아 등록하는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 및
    상기 공공방송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리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일정 관리부를 통해 등록된 상기 공공방송콘텐츠 관련 업무에 대한 시행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시행되지 않은 공공방송콘텐츠를 해당 공공방송콘텐츠 수신자에게 다시 제공하거나 상기 관계자에게 알리는 공공방송콘텐츠 재방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71971A 2019-12-20 2019-12-20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79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71A KR20210079813A (ko) 2019-12-20 2019-12-20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71A KR20210079813A (ko) 2019-12-20 2019-12-20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813A true KR20210079813A (ko) 2021-06-30

Family

ID=7660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971A KR20210079813A (ko) 2019-12-20 2019-12-20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81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377B1 (ko) 2017-11-28 2019-09-30 세기미래기술(주) 동체활동 및 화재감지, 생체신호수신 기능이 구비된 댁내 무선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6955A (ko) 2019-04-30 2019-10-15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마을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377B1 (ko) 2017-11-28 2019-09-30 세기미래기술(주) 동체활동 및 화재감지, 생체신호수신 기능이 구비된 댁내 무선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6955A (ko) 2019-04-30 2019-10-15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마을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486B2 (en) Portable multi-purpose audience measurement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11683861B2 (en) Edge-based communication and internet communication for media distribution, data analysis, media download/upload, and other services
US20170301202A1 (en) Smart door device
US10789857B2 (en) Notific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CN105765986A (zh) 用于分析感官信息以估计观众反应的方法和系统
WO2008029385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images from a monitored area
CN105474653B (zh) 未配对设备
CN109039872B (zh) 实时语音信息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406175B (zh) 开门提醒方法及装置
EP2278543A2 (en) Portable multi-purpose audience measurement system
KR101897202B1 (ko) 청각장애인용 영화 관람 시스템
CN111163207A (zh) 语音提醒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79813A (ko) 공공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419254B1 (en) Information method and method for broadcasting to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user, information manager and broadcaster
US11863831B2 (en) Remote control devices to interface with audience measurement meters
CN111127846A (zh) 敲门提醒方法、敲门提醒装置及电子设备
JP7063333B2 (ja) 被監視者監視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支援システム
WO2023164730A1 (en) Remote engagement system
JP2022131092A (ja) 無線放送システム、及び無線放送方法
US20040187138A1 (en) Device and installation for the centralised management of messaging data
CN110024349A (zh) 能在广播期间管理呼叫的具有内容接收器的通信系统以及相关的管理方法
KR20190043308A (ko) 맞춤형 마을 공지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