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480A -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480A
KR20210079480A KR1020190171110A KR20190171110A KR20210079480A KR 20210079480 A KR20210079480 A KR 20210079480A KR 1020190171110 A KR1020190171110 A KR 1020190171110A KR 20190171110 A KR20190171110 A KR 20190171110A KR 20210079480 A KR20210079480 A KR 20210079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information
emotional state
convers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832B1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9017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8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00362
    • G06K9/46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10L15/1815Semantic context, e.g. disambiguation of the recognition hypotheses based on word mea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F(F≥2)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E(E≥2)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지정된 N(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애완동물 표정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1(1≤N1≤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P(P≥2)개의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R(R≥2)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와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고,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을 분석하여 지정된 P개의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대한 f(1≤f≤F)개의 특징점을 인식하면서 상기 인식된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i(i≥1)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e(1≤e≤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1(1≤n1≤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고,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지정된 n(1≤n≤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고,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지정된 q(1≤q≤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하며,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 with Pet using Augmented Reality by Pet's Emotional Sate}
본 발명은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대화 문자열이 인식된 경우 상기 대화 문자열에 대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증강하여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종래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정된 장소에 있는 애완동물을 원격으로 관찰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0208356호(2000년12월15일)).
한편 종래의 애완동물 관찰 장치는 단순히 애완동물을 촬영한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만 제공하고 있어, 애완동물을 촬영한 영상 이외에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각종 실시간 정보를 자동 자동 파악하거나 애완동물과 실시간 상호 작용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인식하도록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와 각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와 각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된 인식 대상 별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P(P≥2)개의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R(R≥2)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와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할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감정을 판별하기 위한 지정된 인식 대상의 인식 정보를 인식하고, 지정된 인식 대상 별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하나 이상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고, 상기 인식 대상의 인식 정보와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패턴 정보와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나 이상의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함으로써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과 대화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은,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F(F≥2)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E(E≥2)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지정된 N(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애완동물 표정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1(1≤N1≤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P(P≥2)개의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R(R≥2)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와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제2 단계와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유지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을 분석하여 지정된 P개의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대한 f(1≤f≤F)개의 특징점을 인식하면서 상기 인식된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i(i≥1)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제6 단계와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e(1≤e≤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1(1≤n1≤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지정된 n(1≤n≤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9 단계와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10 단계와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지정된 q(1≤q≤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에 대응하는 각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는,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 각 특징점 간 각도 관계,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 관계 중 하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표정을 인식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표정을 인식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는, 애완동물의 상태를 질의하는 대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을 유도하는 대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애완동물의 반응을 유발하는 대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의 대화 의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지정된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으로서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지정된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각기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을 동기화시켜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상기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는, 지정된 재생 시간 단위 별로 주기적으로 선별되는 비디오 데이터, 지정된 재생 프레임 수 별로 주기적으로 선별되는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시도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한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입력된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 패턴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C(C≥2)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동물 소리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2(1≤N2≤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일정 일정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j(j≥1)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c(1≤c≤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2(1≤n2≤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산출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추가 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동물 소리 패턴을 구성하는 동물 소리 특징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상기 동물 소리 특징은, 주파수 대역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주기성 특징, 소리 강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조합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를 인식한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를 인식한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S(S≥2)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값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3(1≤N3≤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k(k≥1)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s(1≤s≤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3(1≤n3≤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산출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추가 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하여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웨어러블(Wearable) 센서모듈, 지정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레이더(Radar) 센서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대상은, 애완동물의 심장박동, 애완동물의 체온, 애완동물 주변 습도, 애완동물의 무호흡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센싱 값 패턴을 구성하는 센싱 값 특징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값 특징은, 센싱 값의 변화 규칙 특징, 센싱 값의 변화량 특징, 센싱 값 변화율 특징, 센싱 값 변화의 주기성 특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n개의 감정 항목 정보와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의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감정 상태 기준의 응답으로서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감정 상태 기준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가장 부합한 것으로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동일 부위에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되도록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애완동물 안면 주변의 동일 영역에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되도록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가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하도록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계는, 상기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에 대응하는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상기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는, 애완동물의 머리카락 부위, 애완동물의 이마 부위, 애완동물의 관자놀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눈썹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과 양 눈썹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광대 부위, 애완동물의 양 볼 부위, 애완동물의 콧등 부위, 애완동물의 코 부위, 애완동물의 인중 부위, 애완동물의 입 부위, 애완동물의 입술 부위, 애완동물의 입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입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턱 부위, 애완동물의 목 부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부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가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하도록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과 카메라 촬영 방향 간 3차원 좌표계 상의 각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계는, 상기 각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의 중첩 표시 방향이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 별 방향에 대응하도록 좌표 변환하여 중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대화 문자열이 인식된 경우 상기 대화 문자열에 대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증강하여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처리함으로써,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애완동물의 영상 화면을 보고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애완동물의 소리를 듣는 것 이외에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면서 상기 애완동물과 상호 작용하거나 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를 증강하여 애완동물과 대화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 저장/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거점의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한 획득 데이터를 전송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를 증강하여 애완동물과 대화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대화 문자열이 인식된 경우 상기 대화 문자열에 대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증강하여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정된 거점에 구비되어 피사체를 찰영하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카메라장치(195)와,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기능, 상기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대화 문자열을 인식하는 기능,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에 대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기능,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상기 생성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독립된 서버 형태, 둘 이상의 서버 조합 형태, 기 구비된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나 상기 운영서버(100)의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지정된 거점에 구비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이나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동물병원이나 펫카페 또는 가정집 등의 애완동물이 기거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이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거점 내의 지정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검지하여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 및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자동초점 기능이나 줌 기능 등을 포함하는 지정된 기능 동작을 구현하는 액츄에이터부(Actu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은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는 야간에도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이상의 필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 신호를 제어모듈로 제공하기 위한 PCB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 신호의 품질 향상을 위해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가공하는 이미지 신호처리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패킷 기반의 통신망에 연결하는 모듈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UTP 케이블 등의 유선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은 무선랜 이외에 이동통신망이나 별도의 지정된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모듈을 더(또는 대체)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생성된 영상 신호를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생성되어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영상 신호를 촬영한 시점의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획득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이외에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거점 내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더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공기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 형태의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및 이를 제어모듈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입력부가 별도의 모듈 형태로 구현되는 겨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카메라모듈을 통해 생성되어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의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하여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획득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데이터 포맷에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획득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각각의 데이터 포맷에 포함하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를 통해 시점을 동기화 가능한 각각의 데이터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저장영역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추출/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전기적 신호 형태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이를 제어모듈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저장영역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예컨대, 카메라장치(195)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가 지정된 거리 내외로 이격된 애완동물에게 지정된 소리 크기로 전달되도록 설정된 신호 강도)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지정된 센서를 통해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하거나 연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하여 획득된 센싱 신호를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센싱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하는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은 애완동물의 심장박동, 애완동물의 체온, 애완동물 주변 습도, 애완동물의 무호흡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애완동물의 신체 중 지정된 부위에 착용하여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웨어러블(Wearable)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근거리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등)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센서모듈과 연계하여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값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센싱 신호를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모듈은 지정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레이더(Radar)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레이더 센서모듈을 통해 싱된 센싱 값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확인하고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이더 센서모듈은 상기 센싱 신호를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레이더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한 센싱 값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센싱 값을 센싱한 시점의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상기 센서모듈을 구비하거나 연계시켜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획득 데이터에 상기 센싱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데이터는 지정된 데이터 포맷에 포함된 형태로 상기 획득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를 통해 시점을 동기화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 내로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또는 애완동물의 안면)에 대응하거나 애완동물이 누워 있는 패드에 대응하는 객체를 인식하는 과정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객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면서 상기 객체가 인식하는 과정을 전 각도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의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객체가 인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인식된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을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촬영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을 추적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거나 상기 객체를 인식하는 과정은 상기 서버를 통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램프를 통해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을 천정이나 벽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부의 램프를 온/오프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프로젝터부의 램프를 온/오프 처리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의 램프를 온/오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부를 통해 복수의 필름 중 어느 한 필름으로 선택하여 투영할 형상이나 영상을 선택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부의 필름을 선택하거나 및/또는 램프를 온/오프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프로젝터부의 필름을 선택하거나 및/또는 램프를 온/오프 처리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의 필름을 선택하거나 및/또는 램프를 온/오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부를 통해 전자적 형상이나 전자적 영상을 투영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자적 형상이나 전자적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프로젝터부를 통해 투영할 형상이나 영상으로 처리하거나 및/또는 램프를 온/오프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저장된 전자적 형상이나 전자적 영상을 및/또는 램프를 온/오프 처리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수신된 전자적 형상이나 전자적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부를 통해 투영할 형상이나 영상으로 처리하거나 및/또는 램프를 온/오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은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각종 무선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은 운영서버(100)에 지정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앱(Application)이 설치 실행된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을 주체 또는 객체로 하여 구현되는 기능의 설명은 상기 앱을 통해 구현되는 기능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와 통신하고 지정된 앱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과 통신 가능한 서버의 총칭으로서,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대화 문자열을 인식하는 기능,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에 대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기능,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상기 생성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 외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인식하도록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와 각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와 각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된 인식 대상 별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F(F≥2)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E(E≥2)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지정된 N(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애완동물 표정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1(1≤N1≤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지정된 운영단말로부터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를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애완동물 표정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과 매칭하는 매칭 관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행 또는 열의 타이틀로 포함하며 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각 행열에 대응하는 셀(Cell)의 정보로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의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은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哀)', '즐거움(樂)', '사랑(愛)', '미움(惡)', '욕심(欲)' 등의 기본 감정 중에서 무리 생활하거나 보호자와 함께 생활하는 중에 느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감정(예컨대,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등)에 대응하는 감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감정 외에 애완동물이 느낄 수 있다고 상정되는 다양한 감정(예컨대, '짜증', '외로움', '답답함', '불쾌', '두려움' 등)에 대한 감정 항목을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기본 감정 중 적어도 하나를 애완동물의 상황에 맞게 구체화한 감정(예컨대, '욕심' 중 수면욕에 해당하는 '졸림'이나 식욕에 해당하는 '배고픔' 등)에 대응하는 감정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에 대응하는 각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는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 각 특징점 간 각도 관계,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 관계 중 하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 정보는 지정된 기준 특징점 간 거리 수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 특징점 간 거리 수치, 각 특징점 간 각도 수치, 각 특징점 간 거리 수치와 각도 수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에 대응하는 각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의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는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 각 특징점 간 각도 관계,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 관계 중 하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의 범위 정보는 지정된 기준 특징점 간 거리 수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 특징점 간 거리 수치 범위, 각 특징점 간 각도 수치 범위, 각 특징점 간 거리 수치 범위와 각도 수치 범위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수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표정을 인식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이 작을수록 작은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비율을 클수록 큰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표정을 인식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이 기 설정된 최소 비율 구간인 경우 '0'이나 지정된 최소값의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비율 구간인 경우 지정된 최대값의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지정된 운영단말을 통해 상기 운영D/B에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가 등록 저장된 후, 하기 정보 인식부(155)를 통해 지정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가 인식된 후에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보호자에 대응하는 객체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보호자가 애완동물에게 발화하는 음성 중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예컨대, '우리 xx 배고프구나', '우리 xx 똥 ?奐립?', '우리 xx 졸리구나' 등)을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가 인식된 후에 보호자의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인식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패턴화함과 동시에 상기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기반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패턴화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상기 식별된 음성 인식 기반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의 조합을 학습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의 빅데이터 기반 정확도와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확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 외에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근거로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를 인식하여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되거나 연계되고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여 획득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대신(또는 대체)하여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 및/또는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 상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기본 감정상태 판별 정보로 이용하고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 및/또는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부 감정상태 판별 정보로 이용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 및/또는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도 기본 감정상태 판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확장/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 패턴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C(C≥2)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동물 소리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2(1≤N2≤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지정된 운영단말로부터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 패턴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동물 소리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과 매칭하는 매칭 관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를 행 또는 열의 타이틀로 포함하며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각 행열에 대응하는 셀의 정보로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의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동물 소리 패턴을 구성하는 동물 소리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물 소리 특징은 주파수 대역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주기성 특징, 소리 강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조합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동물 소리 패턴을 구성하는 동물 소리 특징의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물 소리 특징은 주파수 대역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주기성 특징, 소리 강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조합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물 소리 특징의 범위 정보는 각 특징 별 주파수 대역의 허용 범위 및/또는 각 특징 별 소리 강도의 허용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를 인식한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이 작을수록 작은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비율을 클수록 큰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를 인식한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이 기 설정된 최소 비율 구간인 경우 '0'이나 지정된 최소값의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비율 구간인 경우 지정된 최대값의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지정된 운영단말을 통해 상기 운영D/B에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가 등록 저장된 후, 하기 정보 인식부(155)를 통해 지정된 동물 소리 인식 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동물 소리 인식 정보가 인식된 후에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보호자에 대응하는 객체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보호자가 애완동물에게 발화하는 음성 중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예컨대, '우리 xx 배고프구나', '우리 xx 똥 ?奐립?', '우리 xx 졸리구나' 등)을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동물 소리 인식 정보가 인식된 후에 보호자의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인식된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패턴화함과 동시에 상기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기반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패턴화한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상기 식별된 음성 인식 기반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의 조합을 학습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의 빅데이터 기반 정확도와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확장/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S(S≥2)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값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3(1≤N3≤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모듈은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하여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웨어러블(Wearable) 센서모듈, 지정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레이더(Radar) 센서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센싱 대상은 애완동물의 심장박동, 애완동물의 체온, 애완동물 주변 습도, 애완동물의 무호흡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지정된 운영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를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값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행 또는 열의 타이틀로 포함하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각 행열에 대응하는 셀의 정보로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의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센싱 값 패턴을 구성하는 센싱 값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값 특징은 센싱 값의 변화 규칙 특징, 센싱 값의 변화량 특징, 센싱 값 변화율 특징, 센싱 값 변화의 주기성 특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센싱 값 패턴을 구성하는 센싱 값 특징의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값 특징은 센싱 값의 변화 규칙 특징, 센싱 값의 변화량 특징, 센싱 값 변화율 특징, 센싱 값 변화의 주기성 특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싱 값 특징의 범위 정보는 각 특징 별 변화 규칙의 허용 범위, 각 특징 별 센싱 값 변화량의 허용 범위, 각 특징 별 센싱 값 변화율의 허용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이 작을수록 작은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비율을 클수록 큰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이 기 설정된 최소 비율 구간인 경우 '0'이나 지정된 최소값의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비율 구간인 경우 지정된 최대값의 수치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지정된 운영단말을 통해 상기 운영D/B에 상기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가 등록 저장된 후, 하기 정보 인식부(155)를 통해 지정된 센싱 값 인식 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센싱 값 인식 정보가 인식된 후에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보호자에 대응하는 객체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보호자가 애완동물에게 발화하는 음성 중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예컨대, '우리 xx 배고프구나', '우리 xx 똥 ?奐립?', '우리 xx 졸리구나' 등)을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센싱 값 인식 정보가 인식된 후에 보호자의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105)는 상기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를 패턴화함과 동시에 상기 애완동물 감정 인지와 관련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기반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를 패턴화한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상기 식별된 음성 인식 기반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의 조합을 학습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의 빅데이터 기반 정확도와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P(P≥2)개의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R(R≥2)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는 가상객체 관리부(110)와,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와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매칭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객체 관리부(110)는 애완동물의 부모나 친인척 또는 보호자 등이 애완동물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대화 의도를 지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P개의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한다. 예를들어, 상기 P개의 대화 의도는 애완동물의 상태를 질의하는 대화(예컨대, '우리 xx 졸려?', '배고프니?' 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을 유도하는 대화(예컨대, '까꿍~' 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애완동물의 반응을 유발하는 대화(예컨대, '엄마야~', '엄마 어디 있어?' 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의 대화 의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지정된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으로서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지정된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는 애완동물의 머리카락 부위, 애완동물의 이마 부위, 애완동물의 관자놀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눈썹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과 양 눈썹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광대 부위, 애완동물의 양 볼 부위, 애완동물의 콧등 부위, 애완동물의 코 부위, 애완동물의 인중 부위, 애완동물의 입 부위, 애완동물의 입술 부위, 애완동물의 입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입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턱 부위, 애완동물의 목 부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매칭부(115)는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와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와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생성되는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와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들어, 상기 정보 매칭부(115)는 운영D/B 상에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조건문의 형태로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을 대상과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매핑하는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구매하거나 공급받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단말을 통해 가입신청정보를 입력하거나 종이 형태의 가입신청서(예컨대, 카메라장치(195)를 이용한 서비스와 IPTV(190)를 결합하는 신청서, 카메라장치(195)를 이용한 서비스와 사용자 무선단말(185)을 결합하는 신청서 등)를 작성한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120)는 사용자 단말이나 지정된 등록단말을 통해 상기 가입신청정보나 가입신청서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공급된 카메라장치(195)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195)정보를 등록받아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등록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나 지정된 등록단말을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IPTV(190)로 제공하기 위한 ID/PW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사용자정보 및/또는 카메라장치(195)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D/PW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웹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유선단말이나 무선단말(185)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본인이 사용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85)에 지정된 앱을 설치하고 최초(또는 가입 전) 구동 시, 상기 정보 등록부(1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공급된 카메라장치(195)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195)정보를 등록받아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등록부(120)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정보 및/또는 카메라장치(195)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 제공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등록부(1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IPTV(190)로 제공하기 위한 ID/PW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사용자정보 및/또는 카메라장치(195)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D/PW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웹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유선단말이나 무선단말(185)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은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을 다른 무선단말(185)의 고유정보(예컨대, 휴대폰번호 등)를 입력/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120)는 상기 다른 무선단말(185)의 고유정보를 관리D/B에 저장하고, 상기 다른 무선단말(185)의 고유정보를 통해 상기 다른 무선단말(185)에 지정된 앱이 설치되도록 유도하거나 및/또는 상기 다른 무선단말(185)에 설치 실행된 앱을 확인하고, 상기 다른 무선단말(185)의 앱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다른 무선단말(185)의 앱으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등록되어 있는 카메라장치(195)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 이외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을 통해 지정된 다른 무선단말(185)의 앱을 통해서도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와의 통신 연결을 관리하는 통신 관리부(125)와,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30)와, 상기 수신된 획득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135)를 포함한다.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와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교환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하며, 상기 통신 관리부(125)는 상기 지정된 정보의 교환을 근거로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95)와 통신을 연결한다.
상기 카메라장치(195)와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통신 관리부(125)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된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일회용주소정보를 동적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95)로 제공하며, 이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은 상기 일회용주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일회용주소정보를 상기 획득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 주소로 설정한 후, 상기 획득된 획득 데이터를 상기 일회용주소에 대응하는 목적지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회용주소정보는 주소도메인정보는 동일하되 도메인 이후의 파라미터값이 중복되지 않게 동적 생성된 파라미터값으로 이루어진 주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관리부(125)는 주기적으로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대한 신규 일회용주소정보를 동적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9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은 상기 신규 일회용주소정보를 수신하고, 이전 일회용주소에 대응하는 목적지 주소로 상기 획득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인터럽트함과 동시에 이전 일회용주소로 획득 데이터를 전송한 이전 전송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규 일회용주소정보를 상기 획득 데이터를 이어서 전송할 신규 목적지 주소로 설정한 후, 상기 이전 전송 정보를 근거로 이전 일회용주소로 전송하던 획득 데이터를 상기 신규 일회용주소에 대응하는 신규 목적지 주소로 이어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의 과정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일회용주소로 획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관리부(125)의 일회용주소정보 생성 내지 적용 과정은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130)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35)는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상기 수신된 획득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여 일정 기간 동안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130)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35)는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상기 수신된 획득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연계 저장하여 일정 기간 동안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형태의 획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부(130)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상기 동영상 데이터 형태의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35)는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상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의 데이터 형태로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부(130)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제각기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35)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각기 수신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저장부(135)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을 동기화시켜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외에, 지정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센싱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130)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35)는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상기 수신된 획득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센싱 데이터를 연계 저장하여 일정 기간 동안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저장부(135)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과 상기 센싱 데이터의 시간 값(또는 타임스탬프)을 기준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과 상기 센싱 데이터의 시간을 동기화시켜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유지하는 데이터 제공부(14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하는 대화 인식부(145)와,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을 분석하여 지정된 P개의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대화 의도 판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제공부(140)는 상기 관리D/B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요청이나 상기 관리D/B에 저장된 ID/PW정보를 이용한 송신 데이터 요청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 제공의 종료/중지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기 전(또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종료/중지하기 전)까지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대화 인식부(145)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중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제1 문자열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이나 IPTV(19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대화 인식부(1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화 인식부(145)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시도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문자열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중인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사운드 출력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중인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195)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대화 처리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문자열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이나 IPTV(19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음성 인식을 시도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한 후, 상기 음성 인식한 문자열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대화 인식부(1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한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화 인식부(145)는 상기 수신된 문자열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문자열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이나 IPTV(190)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문자열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대화 인식부(145)는 상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부터 상기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화 인식부(145)는 상기 수신된 문자열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인식부(145)를 통해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 중인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화 의도 판별부(150)는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을 자연어 처리하고 형태소 또는 구문 별로 분석하여 기 지정된 P개의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의 대화 의도에 대응하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지정된 거점의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된 획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애완동물의 감정을 판별하기 위한 지정된 인식 대상의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부(155)와, 지정된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하나 이상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는 정보 판별부(160)와, 상기 인식 정보와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패턴 정보와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는 감정 상태 산출부(165)와, 상기 산출된 하나 이상의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인식부(155)는 상기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대한 f(1≤f≤F)개의 특징점을 인식하면서 상기 인식된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i(i≥1)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는 지정된 재생 시간 단위 별로 주기적으로 선별되는 비디오 데이터, 지정된 재생 프레임 수 별로 주기적으로 선별되는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인식부(155)는 상기 관리D/B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상기 관리D/B에 저장된 ID/PW정보를 통해 식별/인증된 IPTV(190)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정보 인식부(155)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 중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대한 f개의 특징점을 인식하면서 상기 인식된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인식부(155)를 통해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정보 판별부(160)는 상기 운영D/B에 저장된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e(1≤e≤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 판별부(160)는 상기 확인된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1(1≤n1≤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한다.
상기 정보 판별부(160)를 통해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이 판별되면, 상기 감정 상태 산출부(165)는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에 표시 가능한 지정된 n(1≤n≤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에 대한 수치정보(또는 등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D/B에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인식부(155)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일정 일정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j(j≥1)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인식부(155)를 통해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정보 판별부(160)는 상기 운영D/B에 저장된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c(1≤c≤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 판별부(160)는 상기 확인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2(1≤n2≤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한다.
상기 정보 판별부(160)를 통해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이 판별되면, 상기 감정 상태 산출부(165)는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산출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추가)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에 대한 수치정보(또는 등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근거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기 산출된 경우,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상기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의 합집합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합집합의 부분집합 관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 시,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n1개의 감정 항목과 n2개의 감정 항목 중 중복되는 감정 항목에 대하여 각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에 대한 지정된 통계 연산(예컨대, 평균 값 산출 연산)이나 해당 감정 항목과 표정 또는 동물 소리 사이의 상관 관계에 따라 지정된 인식 대상에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통계 연산을 통해 상기 중복되는 감정 항목의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D/B에 상기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인식부(155)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k(k≥1)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인식부(155)를 통해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정보 판별부(160)는 상기 운영D/B에 저장된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s(1≤s≤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가 화긴되면, 상기 정보 판별부(160)는 상기 확인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3(1≤n3≤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한다.
상기 정보 판별부(160)를 통해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이 판별되면, 상기 감정 상태 산출부(165)는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산출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추가)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에 대한 수치정보(또는 등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근거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기 산출된 경우,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상기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의 합집합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합집합의 부분집합 관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 시,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n1개의 감정 항목과 n3개의 감정 항목 중 중복되는 감정 항목에 대하여 각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에 대한 지정된 통계 연산(예컨대, 평균 값 산출 연산)이나 해당 감정 항목과 표정 또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따라 지정된 인식 대상에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통계 연산을 통해 상기 중복되는 감정 항목의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근거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상기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기 산출된 경우,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상기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및 상기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의 합집합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합집합의 부분집합 관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및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등을 조합하여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 시, 상기 정보 생성부(170)는 상기 n1개의 감정 항목과 n2개의 감정 항목 및 n3개의 감정 항목 중 중복되는 감정 항목에 대하여 각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에 대한 지정된 통계 연산(예컨대, 평균 값 산출 연산)이나 해당 감정 항목과 표정 또는 동물 소리 또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따라 지정된 인식 대상에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통계 연산을 통해 상기 중복되는 감정 항목의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는 가상객체 확인부(175)와,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지정된 q(1≤q≤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하는 대화 응답 증강부(180)와, 애완동물 입장에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생성부(170)를 통해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에 대한 수치정보(또는 등급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가상객체 확인부(175)는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감정 상태 기준의 응답으로서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감정 상태 기준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는 애완동물의 머리카락 부위, 애완동물의 이마 부위, 애완동물의 관자놀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눈썹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과 양 눈썹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광대 부위, 애완동물의 양 볼 부위, 애완동물의 콧등 부위, 애완동물의 코 부위, 애완동물의 인중 부위, 애완동물의 입 부위, 애완동물의 입술 부위, 애완동물의 입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입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턱 부위, 애완동물의 목 부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객체 확인부(175)를 통해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대화 응답 증강부(180)는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할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 또는 선별한다.
본 발명의 제1 가상객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가상객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가장 부합한 것으로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가상객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동일 부위에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되도록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가상객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애완동물 안면 주변의 동일 영역에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되도록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응답 증강부(180)는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내지 제4 가상객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하는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가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하도록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화 응답 증강부(18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을 인식하며, 이 경우 상기 대화 응답 증강부(180)는 상기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에 대응하는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상기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가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하도록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화 응답 증강부(18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과 카메라 촬영 방향 간 3차원 좌표계 상의 각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대화 응답 증강부(180)는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의 중첩 표시 방향이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 별 방향에 대응하도록 좌표 변환하여 중첩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제공부(140)는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외에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 저장/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지정된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지정된 인식 대상(예컨대, 애완동물 표정,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 지정된 센서모듈을 통해 아깅의 지정된 센싱 대사을 센싱한 센싱 값 등) 별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저장하고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대화 의도와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하거나,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을 대상과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매핑하는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인식하도록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와 각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지정된 인식 대상의 패턴 정보와 각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된 인식 대상 별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하여 관리한다(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애완동물 표정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등록 저장한다.
본 발명의 확장/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 패턴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동물 소리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확장/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195)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값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애완동물의 부모나 친인척 또는 보호자 등이 애완동물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대화 의도를 지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지정된 P개의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R(R≥2)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205),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와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와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생성되는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와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한다(210).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을 대상과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매핑하기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공급된 카메라장치(195)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195)정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ID/PW정보 등을 지정된 절차에 따라 매핑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2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카메라장치(195)정보, 고유식별정보 및 ID/PW정보 등을 지정된 절차에 따라 수신하고(220), 상기 사용자정보, 카메라장치(195)정보, 고유식별정보 및 ID/PW정보 등을 지정된 관리Dd/B에 연계 저장한다(22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정보와 카메라장치(195)정보 및 ID/PW정보 등은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구매하거나 공급받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단말이나 상기 사용자의 가입신청서를 접수한 지정된 등록단말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거점의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한 획득 데이터를 전송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95)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지정된 저자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이 확인되면(300), 지정된 절차에 따라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와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교환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하며(3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195)와 지정된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95)의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310), 상기 카메라장치(195)와 통신 연결하고(3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95)로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이 연결된다(31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된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일회용주소정보를 동적 생성하고(320), 상기 카메라장치(195)로 상기 생성된 일회용주소정보를 제공하며(325),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일회용주소정보를 수신하고(330), 상기 수신된 일회용주소정보를 상기 획득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 주소로 설정할 수 있으며(335), 상기의 일회용주소정보 생성 내지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예컨대, 30초 단위)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지정된 거점 내의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340a),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지정된 목적지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345).
또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지정된 거점 내의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340a),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 후(340b),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지정된 목적지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345).
또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지정된 거점 내의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340a),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후(340c),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지정된 목적지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345).
또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지정된 거점 내의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340a),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340b),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후(340c),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지정된 목적지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34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195)로부터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수신하고(350), 상기 수신된 획득 데이터(또는 획득 데이터에 포함된 각각의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한다(35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통해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본 도면4는 편의 상 송신 데터를 출력 중인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획득되는 경우에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운영서버(100)로 지정된 거점의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400), 이 경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부터 지정된 거점의 애완동물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 요청을 확인한다(405). 만약 상기 송신 데이터 요청을 확인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지정된 거점의 카메라장치(195)를 통해 획득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득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이를 유지하며(4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41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이나 IPTV(19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420).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42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430).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시도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435), 상기 확인된 문자열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한다(440).
만약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이 인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을 분석하여 지정된 P개의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한다(445).
도면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중/후의 일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증강하여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면서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중/후의 일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대한 f개의 특징점을 인식하면서 상기 인식된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인식한다(500).
만약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근거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D/B에 저장된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505),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한다(510).
만약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이 판별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한다(515).
만약 상기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에 표시 가능한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520).
만약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D/B에 저장된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고(52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할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지정된 q(1≤q≤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 처리하며(530),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는 도면2의 과정을 통해 관리D/B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상기 관리D/B에 저장된 ID/PW정보를 통해 식별/인증된 IPTV(190)로 제공한다(53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540).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추가)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증강하여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면서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중/후의 일 시점, 또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애완동물 표정 인식 기반의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산출 과정과 연동하여,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일정 일정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인식한다(600).
만약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근거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D/B에 저장된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605), 상기 확인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한다(610).
만약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이 판별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한다(615).
만약 상기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산출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에 표시 가능한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620).
한편 상기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상기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에 표시 가능한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620).
만약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D/B에 저장된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고(62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할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지정된 q(1≤q≤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 처리하며(630),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는 도면2의 과정을 통해 관리D/B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상기 관리D/B에 저장된 ID/PW정보를 통해 식별/인증된 IPTV(190)로 제공한다(63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40).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를 (추가)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될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증강하여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하면서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중/후의 일 시점, 또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애완동물 표정 인식 기반의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산출 과정과 연동하거나, 또는 상기 도면6에 도시된 동물 소리 인식 기반의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산출 과정과 연동하여,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를 인식한다(700).
만약 상기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D/B에 저장된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705), 상기 확인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한다(710).
만약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이 판별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한다(715).
만약 상기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산출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에 표시 가능한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720).
한편 상기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상기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에 표시 가능한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720).
또는 상기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되고 상기 도면6의 과정을 통해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이 산출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과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 및 상기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조합하여 비디오 데이터 상에 표시 가능한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720).
만약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D/B에 저장된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고(72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로 제공할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지정된 q(1≤q≤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 처리하며(730),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는 도면2의 과정을 통해 관리D/B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상기 관리D/B에 저장된 ID/PW정보를 통해 식별/인증된 IPTV(190)로 제공한다(73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85)의 앱이나 IPTV(190)는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740).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관리부
110 : 가상객체 관리부 115 : 정보 매칭부
120 : 정보 등록부 125 : 통신 관리부
130 : 데이터 수신부 135 : 데이터 저장부
140 : 데이터 제공부 145 : 대화 인식부
150 : 대화 의도 판별부 155 : 정보 인식부
160 : 정보 판별부 165 : 감정 상태 산출부
170 : 정보 생성부\ 175 : 가상객체 확인부
180 : 대화 응답 증강부 185 : 무선단말
190 : IPTV 195 : 카메라장치

Claims (37)

  1.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F(F≥2)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E(E≥2)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지정된 N(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애완동물 표정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1(1≤N1≤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P(P≥2)개의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R(R≥2)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고, 지정된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와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가상객체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제2 단계;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유지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고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대화한 대화 문자열을 인식하는 제4 단계;
    상기 인식된 대화 문자열을 분석하여 지정된 P개의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는 제5 단계;
    상기 사용자 대화 의도를 판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일 시점에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애완동물의 안면 영역에 대한 f(1≤f≤F)개의 특징점을 인식하면서 상기 인식된 f개의 특징점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에 대응하는 i(i≥1)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제6 단계;
    상기 표정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e(1≤e≤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1(1≤n1≤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는 제7 단계;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와 n1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i개의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는 제8 단계;
    상기 산출된 n1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이용하여 지정된 n(1≤n≤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9 단계;
    상기 가상객체 매칭 정보와 상기 생성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매칭되는 r(1≤r≤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10 단계;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지정된 q(1≤q≤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나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을 통해 애완동물 입장에서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근거로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응답하도록 증강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로 제공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개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애완동물 표정 패턴에 대응하는 각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는,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 각 특징점 간 각도 관계, 각 특징점 간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 관계 중 하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표정을 인식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정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표정을 인식한 애완동물 표정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애완동물 표정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대화 의도는,
    애완동물의 상태를 질의하는 대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을 유도하는 대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애완동물의 반응을 유발하는 대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화 의도 중 적어도 하나의 대화 의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지정된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으로서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지정된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입장의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각기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을 동기화시켜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는,
    지정된 재생 시간 단위 별로 주기적으로 선별되는 비디오 데이터,
    지정된 재생 프레임 수 별로 주기적으로 선별되는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시도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한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나 IPTV를 통해 입력된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 패턴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C(C≥2)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동물 소리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2(1≤N2≤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일정 일정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에 대한 j(j≥1)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동물 소리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c(1≤c≤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2(1≤n2≤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와 n2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j개의 동물 소리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산출된 n2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추가 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C개의 동물 소리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각각의 동물 소리 패턴을 구성하는 동물 소리 특징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소리 특징은,
    주파수 대역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의 주기성 특징, 소리 강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조합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배치 관계 특징, 주파수 대역 특징과 소리 강도 특징의 주기성 특징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를 인식한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소리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애완동물의 동물 소리를 인식한 동물 소리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동물 소리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 중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S(S≥2)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지정된 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중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값 패턴을 근거로 구별 가능한 N3(1≤N3≤N)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사이의 매칭 관계정보 및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를 수치화한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운영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에 구비되거나 연계된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연계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애완동물의 감정 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k(k≥1)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센싱 기반 감정상태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 매칭된 s(1≤s≤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매칭 관계를 지닌 n3(1≤n3≤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와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을 근거로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와 n3개의 애완동물 감정 항목 간 상관도 수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k개의 센싱 값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를 수치화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산출된 n3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값을 추가 이용하여 지정된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하여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웨어러블(Wearable) 센서모듈,
    지정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지정된 센싱 대상을 센싱하는 레이더(Radar) 센서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4.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대상은,
    애완동물의 심장박동, 애완동물의 체온, 애완동물 주변 습도, 애완동물의 무호흡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센싱 값 패턴 정보는,
    애완동물의 감정표현과 연관된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센싱 값 패턴을 구성하는 센싱 값 특징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값 특징은,
    센싱 값의 변화 규칙 특징, 센싱 값의 변화량 특징, 센싱 값 변화율 특징, 센싱 값 변화의 주기성 특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간 매칭 비율에 비례하는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기반 상관도 수치 관계정보는,
    지정된 센싱 대상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인식 정보와 기 등록된 센싱 값 패턴 정보 사이의 각 매칭 비율 구간 별 상관도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 정보는,
    n개의 감정 항목 정보와 각 감정 항목 별 애완동물 감정 상태의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감정 상태 기준의 응답으로서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대한 애완동물 감정 상태 기준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되는 가상객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상기 판별된 사용자 대화 의도에 가장 부합한 것으로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동일 부위에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되도록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는,
    상기 r개의 가상객체 데이터 중 애완동물 안면 주변의 동일 영역에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되도록 선별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가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중첩 표시하도록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계는, 상기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에 대응하는 애완동물 안면 주변 영역에 상기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는,
    애완동물의 머리카락 부위, 애완동물의 이마 부위, 애완동물의 관자놀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눈썹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과 양 눈썹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사이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안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양 광대 부위, 애완동물의 양 볼 부위, 애완동물의 콧등 부위, 애완동물의 코 부위, 애완동물의 인중 부위, 애완동물의 입 부위, 애완동물의 입술 부위, 애완동물의 입 바깥쪽 부위, 애완동물의 입 아래쪽 부위, 애완동물의 턱 부위, 애완동물의 목 부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부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3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개의 가상객체 데이터가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에 중첩 표시하도록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애완동물 안면의 지향 방향과 카메라 촬영 방향 간 3차원 좌표계 상의 각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계는, 상기 각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가상객체 데이터의 중첩 표시 방향이 상기 애완동물 안면 영역 내의 지정 부위 별 방향에 대응하도록 좌표 변환하여 중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KR1020190171110A 2019-12-19 2019-12-19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KR10259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10A KR102596832B1 (ko) 2019-12-19 2019-12-19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10A KR102596832B1 (ko) 2019-12-19 2019-12-19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480A true KR20210079480A (ko) 2021-06-30
KR102596832B1 KR102596832B1 (ko) 2023-11-03

Family

ID=7660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110A KR102596832B1 (ko) 2019-12-19 2019-12-19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541A (ko) * 2021-12-08 2023-06-15 김진호 인공지능을 이용한 동물 음성 분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677A (ko) * 2010-03-11 2011-09-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표정 인식을 이용한 이상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원격감시장치
KR20170062089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3d아바타의 표정 구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52781A (ko) * 2017-11-09 2019-05-17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동물 울음소리 번역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울음소리 번역 서버 및 이를 갖는 동물 울음소리 번역 시스템
KR20190055528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아이앤나 동물소리 인식 사운드장치
KR20190127488A (ko) * 2018-05-04 2019-11-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모바일 웹 기반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677A (ko) * 2010-03-11 2011-09-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표정 인식을 이용한 이상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원격감시장치
KR20170062089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3d아바타의 표정 구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52781A (ko) * 2017-11-09 2019-05-17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동물 울음소리 번역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울음소리 번역 서버 및 이를 갖는 동물 울음소리 번역 시스템
KR20190055528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아이앤나 동물소리 인식 사운드장치
KR20190127488A (ko) * 2018-05-04 2019-11-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모바일 웹 기반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541A (ko) * 2021-12-08 2023-06-15 김진호 인공지능을 이용한 동물 음성 분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832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0393A1 (en)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3196803A (zh) 助听器系统和方法
WO2014171144A1 (ja) 家電機器の制御方法、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
US11929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attenuating a voice
KR20200090355A (ko) 실시간 번역 기반 멀티 채널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210079484A (ko) 인공지능 기반 애완동물 주변 영역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 방법
Kim et al. Beginning of a new standard: Internet of Media Things
KR20200117142A (ko) 애완동물 인터랙션 장치
KR20210080637A (ko) 인공지능 기반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표시 방법
KR20150114310A (ko) 동물움직임을 이용한 동물 통역 시스템
KR102611458B1 (ko) 아기 주변 영역을 이용한 아기의 감정 상태 증강 방법
KR20210079480A (ko)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CN110178159A (zh) 具有集成式投影仪的音频/视频可穿戴式计算机系统
KR102549453B1 (ko) 아기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아기와 대화 제공 방법
WO2016206645A1 (zh) 为机器装置加载控制数据的方法及装置
KR102549441B1 (ko) 아기의 감정 상태 표시 방법
JP2002261966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および撮影装置
KR20210080638A (ko) 인공지능 기반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을 이용한 애완동물와 대화 제공 방법
KR20210072202A (ko) 영유아 감정 상태 출력 방법
US20230042310A1 (en) Wearable apparatus and methods for approving transcription and/or summary
KR20210079478A (ko) 애완동물의 안면 감정 상태 증강 방법
KR20210072205A (ko) 아기의 감정 상태를 이용한 대화 처리 방법
KR102549449B1 (ko) 아기의 안면 감정 상태 증강 방법
KR20210079483A (ko) 인공지능 기반 애완동물의 안면 감정 상태 증강 방법
KR20210079479A (ko) 애완동물 주변 영역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