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371A -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371A
KR20210079371A KR1020217016910A KR20217016910A KR20210079371A KR 20210079371 A KR20210079371 A KR 20210079371A KR 1020217016910 A KR1020217016910 A KR 1020217016910A KR 20217016910 A KR20217016910 A KR 20217016910A KR 20210079371 A KR20210079371 A KR 2021007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quinolone
conjunctiva
eye
intraconjunctival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712B1 (ko
Inventor
김기현
김성한
김명준
이승훈
장훈철
르비엣호안
박수현
이중빈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7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56Spatial resolved fluorescence measurements; Imaging
    • G01N21/6458Fluorescence microsco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61B3/135Slit-lamp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b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04Screening or testing of compounds for diagnosis of disorders, assessment of conditions, e.g. renal clearance, gastric emptying, testing for diabetes, allergy, rheuma, pancreas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47Fluorescence; Phosphorescence by visual observ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9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the pathological state of an org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39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with indicators, stains, dyes, tags, labels, ma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6Ophthalmology
    • G01N2800/162Conjunctival disorders, e.g. conjunctiv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오로퀴놀론계 항생제 중 하나인 목시플록사신을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에 염색하고, 염색된 술잔 세포를 근자외선 영역 또는 가시광선 영역으로 단광자 여기하여 형광 촬영함으로써 생체 조직의 형태학적 정보를 안구 결막의 손상이나 파괴 없이 얻을 수 있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안구 결막에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염색하는 결막 염색단계와,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에 염색된 상기 안구 결막에 광원부가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단계와,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빛에 의하여 형광 여기 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통하여 촬영유닛이 상기 안구 결막을 촬영하는 결막 촬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막 염색단계에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상기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goblet cell)를 염색하고,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상기 광원부는 단광자를 출력하며, 상기 결막 촬영단계에서 상기 안구 결막을 촬영하는 상기 촬영유닛은 고배율 형광 현미경(macroscope) 또는 세극등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본 발명은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오로퀴놀론계 항생제 중 하나인 목시플록사신을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에 염색하고, 염색된 술잔 세포를 근자외선 영역 또는 가시광선 영역으로 단광자 여기하여 형광 촬영함으로써 생체 조직의 형태학적 정보를 안구 결막의 손상이나 파괴 없이 얻을 수 있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 조직 내 세포를 고해상도 촬영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y)은 생물학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임상에서는 안과, 피부과 검사에 활용되고 있다.
임상에서는 주로 빛의 반사를 활용하는 비침습적 광학현미경을 사용하며 여기에는 공초점 반사현미경 (confocal reflectance microscopy) 등이 있다. 하지만 반사 현미경은 세포 대비도가 높지 않아, 대비도 향상이 필요임상에서는 주로 빛의 반사를 활용하는 비침습적 광학현미경을 사용하며 여기에는 공초점 반사현미경 (confocal reflectance microscopy) 등이 있다.
하지만, 반사 현미경은 세포 대비도가 높지 않아, 대비도 향상이 필요한 경우 형광 물질(fluorescent probe)로 생체 조직을 염색한 후 여기(excitation)된 형광(fluorescence)을 이용하여 생체 조직을 촬영하는 형광 현미경이 사용된다.한 경우 형광 물질(fluorescent probe)로 생체 조직을 염색한 후 여기(excitation)된 형광(fluorescence)을 이용하여 생체 조직을 촬영하는 형광 현미경이 사용된다.
여기서 형광 물질은 특정 관심 영역에서 강한 형광 신호를 발현함으로써 고 대비도 및 고속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한다.
형광 물질의 활용에 있어서, 동물 대상으로는 많은 종류의 형광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인체 대상으로는 인도시아닌 그린(indocyanine green)과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등이 혈관 염색 형광 물질로써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혈관 염색만으로는 병변 또는 암을 진단하거나, 세포의 형태학적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인체 내 세포 염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인체 대상 세포 염색을 위한 형광 염색 약물이 연구되고 있으나, 현재는 세포에 대한 독성 문제 등으로 인하여 인체에 적용될 수 있는 마땅한 형광 물질이 없는 실정이었다.
세포에 염색될 수 있는 약물 중 독성이 없는 목시플록사신은 현재 임상에서 세균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되는 향균제인데, 내재적 형광(intrinsic fluorescence)을 지니고 있으며 조직 침투성이 뛰어나 생체 조직 염색 및 형광 촬영에 유리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목시플록사신의 경우 여기 효율(excitation efficiency)이 280nm의 중자외선 영역에서 최고치로 발현되고, 자외선은 인체에 유해하게 작용되므로 목시플록사신이 인체의 생체(in-vivo) 촬영에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근적외선 여기 파장을 이용한 목시플록사신의 이광자 여기(two-photon excitation) 형광 촬영이 시연되었으며, 이를 통해 목시플록사신이 생체 내 조직과 세포를 염색하고, 이들의 형태를 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안구의 결막(conjunctiva)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흰 부분(공막)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이다. 결막은 각막과 함께 눈의 가장 바깥쪽 표면에 있어 눈을 보호한다. 결막은 상피세포와 술잔 세포로 구성된 표면 세포층 그리고 아래의 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결막의 술잔 세포는 눈물 구성성분인 점액을 분비하고, 기질은 혈관과 림프조직이 풍부하며 면역 관련 세포가 분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눈물 구성성분 중 하나인 점액을 만드는 술잔 세포의 점액분비 이상이 있는 경우, 안구건조증이 안구건조에 따른 염증이 일어날 수 있다. 술잔 세포의 점액 분비 이상은 결막의 술잔 세포의 밀도 변화와 형태 변화로부터 야기되고, 임상적으로 술잔 세포가 감소하는 질환은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하여, 술잔 세포의 이미징 기술은 안구 질환 진단과 질환의 중증도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고 치료를 할 경우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 경과를 임상관찰하는데 유용한 정보이다.
이러한 검사방법 중, 현재 결막 내 술잔 세포 밀도 검사를 위해서 압흔세포진단법 (impression cytology)이 주로 사용된다. 압흔세포진단법은 여과지를 각막 윤부에 압박접촉시켜 결막의 최상위세포층을 추출하고, 이를 염색해서 검사하는 방법인데 상대적으로 쉽고 간단하지만 약간의 손상을 유발하므로 검사를 여러번 시행하는 경우에는 추천되지 않는다.
최근 압흔세포진단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초점 반사 현미경 (confocal reflectance microscopy)으로 비침습적으로 결막을 세포영상 촬영을 하여 술잔 세포 밀도를 계산하는 검사법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공초점 반사 현미경 영상에서는 술잔 세포가 상대적으로 반사도가 높으며 크고 동그란 형태로 나타나서 주변의 상피세포와 구별된다. 그러나 공초점 반사 현미경은 현미경 대물렌즈를 안구에 가까이 위치시켜야 검사가 가능하므로, 검사방법에 어려움이 따르고, 대비도가 높지 않으며, 장비가 고가여서 많이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로오로퀴놀론계 항생제 중 하나인 목시플록사신을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에 염색하고, 염색된 술잔 세포를 근자외선 영역 또는 가시광선 영역으로 단광자 여기하여 형광 촬영함으로써 생체 조직의 형태학적 정보를 안구 결막의 손상이나 파괴 없이 얻을 수 있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구 결막에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염색하는 결막 염색단계와,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에 염색된 상기 안구 결막에 광원부가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단계와,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빛에 의하여 형광 여기 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통하여 촬영유닛이 상기 안구 결막을 촬영하는 결막 촬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막 염색단계에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상기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goblet cell)를 염색하고,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상기 광원부는 단광자를 출력하며,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연속파 파장의 범위는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이고, 상기 결막 촬영단계에서 상기 안구 결막을 촬영하는 상기 촬영유닛은 고배율 형광 현미경(macroscope) 또는 세극등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막 염색단계에서 상기 안구 결막을 염색하는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목시플록사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연속파 파장의 범위는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은 300nm 내지 476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통해 촬영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통해 안구의 병변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술잔 세포의 단위 면적당 개수 변화, 형태 변화 또는 면적 변화를 기준으로 안구의 병변을 진단하는 안구 병변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구 병변은 화학 화상(chemical burns), 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반흔성유천포창(Ocular Cicatricial Pemphigoid), 스티븐스존슨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및 상윤부각결막염(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통해 촬영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통해 안구병변 치료제의 효능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구 결막에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하는 치료제 투입단계와,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하지 않은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와 상기 치료제 투입단계를 통해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의 단위 면적당 개수 변화, 형태 변화 또는 면적 변화를 기준으로 치료제의 효능을 검출하는 치료제 효능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로 염색된 안구결막의 생체조직을 촬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체조직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에 의하여 형광 여기된 상기 생체조직을 촬영하는 촬영유닛과,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된 빛 또는 상기 빛에 의해 여기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의 형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렌즈부와, 상기 촬영유닛의 초점을 제어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와 결합되어, 상기 생체조직에 맺히는 초점위치를 변경시키는 초점제어부와, 상기 촬영유닛에서 촬영한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초점제어부에 의하여 변경되는 초점위치마다 상기 촬영유닛은 복수회 상기 생체조직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복수개의 상기 촬영이미지 중 초점이 맞는 영역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생체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광원부는 단광자를 출력하며,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연속파 파장의 범위는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이고, 상기 촬영유닛은 고배율 형광 현미경(macroscope) 또는 세극등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구 결막을 염색하는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목시플록사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은 300nm 내지 476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안구 결막을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 중 하나인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하고, 목시플록사신을 가시광선 영역의 빛으로 조사함으로써 안구 결막의 파괴 없이 신속하게 직접 촬영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의 형광 영상화에 있어서, 공초점 형광 현미경과 같은 삼차원 해상도를 가지는 고비용, 고성능 현미경뿐만 아니라,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고배율 형광 현미경 또는 세극등 현미경에서와 같은 촬영장치에서도 안구 결막 표면에 분포한 술잔 세포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검출 장비의 제한이 완화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의 구성 변화를 통해 안구의 병변을 진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안구건조병을 포함한 결막 술잔 세포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제 성능 검사에 있어서 인비보 동물 모델에서의 효과 검증에 활용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광자 여기 현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서 목시플록사신의 근자외선 및 가시광선 영역의 단광자 여기 스펙트럼과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서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되지 않는 쥐의 안구 결막을 반사 공초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4 (b)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안구 결막을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 따라 쥐의 결막을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구결막(bulbar)을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일반 고배율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5의 (d)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원개결막(fornix conjunctiva)을 고배율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5의 (e)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검결막(orbital 또는 palpebral conjunctiva)을 고배율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 따라 쥐의 결막을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6의 (a)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구결막(bulbar)을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6의 (b)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원개결막(fornix conjunctiva)을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의 (c)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결막 중 구결막(bulbar)과 원개결막(fornix conjunctiva)을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이어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의 초점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변경되는 초점영역 및 생체조직 이미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의 초점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변경되는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서 이미지 정량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은 결막 염색단계(S100), 광 조사단계(S200) 및 결막 촬영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단광자 여기 현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 광자(excitation photon)를 이용하여 형광물질 분자 내 전자 에너지 준위를 바닥 상태(ground state)에서부터 들뜬 상태(excite state)까지 상승시킨다.
이후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다시 하강할 때 형광 광자(fluorescence photon)가 방출되며, 이때, 하나의 여기 광자가 흡수되고, 하나의 형광 광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단광자 여기 형광이라고 하며, 이러한 단광자 여기 현광에 의하여 단광자 여기 효율은 이광자 여기 효율보다 높아 후술하는 광원부에서 조사하는 빛의 세기를 낮추어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즉, 생물체의 분자, 세포, 조직의 활동 모습은, 생물체의 분자, 세포, 조직을 형광 물질로 처리하면 광학 형광 현미경을 통해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다. 이는 형광 물질 내의 전자가 여기 광자에 의해 들뜬 상태로 되었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독특한 색채의 형광 광자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광 물질이 생체 조직에 주입되고, 형광 물질이 생체 조직의 세포에 흡수되어 고농도로 유지되는 경우, 형광 물질의 형광을 이용하여 생체 조직의 고 대비(contrast) 촬영이 가능하다.
이때, 생체 조직에 염색되는 형광 물질이 인체에 독성을 가지지 않고, 인체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형광 여기가 가능하면 형광 물질을 생체 조직에 염색하여 생체 조직의 형태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생체 조직의 염색을 위하여 사용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에는 목시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페플록사신, 디플록사신, 노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오플록사신 및 엔로플록사신 등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자가 형광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발현 가능한 목시플록사신을 사용하여 생체 조직의 염색을 진행하였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서 목시플록사신의 근자외선 및 가시광선 영역의 단광자 여기 스펙트럼과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근자외선 영역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목시플록사신의 여기 스펙트럼과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서 사용하는 목시플록사신은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Vigamox 점안액 0.5%(Alcon, 미국)을 사용하였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시플록사신은 근자외선 영역의 340nm 부근에서 여기 효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후 파장 증가에 따라 여기 효율이 점차 감소하였다.
하지만, 근자외선 범위 밖의 가시광선 영역인 405nm 내지 478nm 파장에서도 여기가 가능하며, 405nm에서는 340nm에 비해 약 27%의 형광 세기를 가졌으며, 이는 700nm 여기 광 기반의 이광자 형광 세기보다 훨씬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서 사용하는 연속파 광원은 300nm 내지 476nm의 파장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근자외선 내지 중자외선 파장을 사용함으로써 형광 신호가 증가되므로 더 빠른 속도로 촬영할 수 있게 되며, 가시광선에 해당하는 파장을 사용함으로써 생체 조직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술한 단광자 파장 중 근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은 생체 내 조직의 세포 손상의 위험이 따를 수 있지만, 단광자 여기 효율이 높은 특징을 이용하여 광원부에서 조사하는 빛의 세기를 낮추어 촬영함으로써 생체 조직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막 염색단계(S100)는 실험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인 안구 결막의 세포에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염색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 중 하나인 목시플록사신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결막 염색단계(S100)에서는 목시플록사신이 상기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goblet cell)를 염색한다.
상기 광 조사단계(S200)에서는 목시플록사신에 염색된 상기 안구 결막에 광원부가 빛을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부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 형광발현을 위한 여기광인 단광자를 출력하되, 상술한 근자외선과 가시광선 범위의 연속파 빛을 출력하며, 후술하는 실험 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근자외선과 가시광선 범위의 연속파 빛을 출력함으로써 형광 여기를 수행한다.
상기 결막 촬영단계(S300)는 상기 광 조사단계(S200)에서 빛에 의하여 형광 여기 된 상기 목시플록사신을 통하여 후술하는 촬영유닛이 상기 술잔 세포를 촬영하며, 후술하겠지만, 이때, 상기 촬영유닛은 초점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일반 고배율 형광 현미경(macroscope) 또는 세극등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을 포함한다. 물론,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는 현미경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막 촬영단계는(S300) 세포 촬영단계(S310), 초점위치 변경단계(S320), 실시간 영상처리단계(S330) 및 이미지 정량화 단계(S340)를 포함한다.
상기 세포 촬영단계(S310)에서는 상기 촬영 유닛이 안구 결막에 염색되어 형광 여기된 술잔 세포를 촬영한다.
이후, 상기 초점위치 변경단계(S320)에서 후술하는 초점제어부가 대물렌즈를 축방향으로 이송시켜 초점위치를 변경시킨다.
상기 세포 촬영단계(S310)와 상기 초점위치 변경단계(S320)는 촬영하는 영역의 크기 및 초점위치에 따라 복수번 수행된다.
상기 실시간 영상처리단계(S330)에서는 촬영한 술잔 세포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영상처리한다.
상기 이미지 정량화 단계(S340)에서는 술잔세포의 실시간으로 영상처리된 술잔 세포의 이미지를 정량화 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지는 이미지로부터 영상 대비도 조정(contrast enhance)을 수행하고, 임계값을 기준으로 술잔 세포 이미지를 이진 이미지(binary image)로 만들어 술잔 세포의 정량적 정보를 얻도록 한다.
상술한 이미지 정량화 단계를 통해 획득하는 상기 정략적 정보는 술잔 세포의 밀도, 술잔 세포 군집(cluster)의 크기 분포, 술잔 세포의 형태, 술잔 세포의 균일성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이용한 실험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예1: 목시플록사신 염색 여부에 따른 쥐의 안구 결막 촬영>
도 4의 (a)는 쥐의 안구 결막에 목시플록사신을 투여하기 전에 반사 공초점 현미경(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e)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4 (b)는 쥐의 안구 결막에 목시플록사신을 투여한 후 공초점 형광 현미경(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의 (a)와 도 4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쥐의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는 자가 형광이 약하기 때문에 대비도가 좋지 못해 목시플록사신의 투여 전에는 세포의 촬영에 어려움이 따랐지만, 목시플록사신 투여 후에는 목시플록사신이 술잔 세포에 염색되며, 목시플록사신의 단광자 여기 형광으로 인하여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가 고대비도로 촬영됨을 알 수 있다.
즉, 목시플록사신이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 내에서 고농도를 유지하면서 자가 형광보다 강한 세기의 형광을 발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대비의 형태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실험 예2: 고배율 형광 현미경을 사용한 쥐의 안구 결막 촬영>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 따라 살아있는 상태의 쥐의 결막을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여기서,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구결막(bulbar)을 고배율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결막에서 술잔 세포의 분포와 군집의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d)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원개결막(fornix conjunctiva)을 고배율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개결막에서 술잔 세포의 분포가 빽빽하고 군집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e)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검결막(orbital 또는 palpebral conjunctiva)을 상기 촬영유닛에 포함되는 고배율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결막에서 술잔 세포의 분포가 빽빽하고 군집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의 (a) 내지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아있는 상태의 쥐의 결막을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함으로써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 형광 영상화에는 공초점 현미광과 같은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는 고성능 현미경뿐만 아니라,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일반 고배율 형광 현미경에서 촬영이 가능하다.
즉,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지만, 고가이며, 사용이 복잡하고, 좁은 촬영영역을 가지는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삼차원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형광 현미경에 상기 초점제어부를 결합시킴으로써 곡면의 생체조직도 초점을 맞춰 촬영할 수 있다.
<실험 예3: 고배율 형광 현미경을 사용한 쥐의 안구 결막 촬영>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 따라 쥐의 결막을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하여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에서 상기 촬영장치는 공초점 형광 현미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a)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구결막(bulbar)을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결막에서 술잔 세포의 분포와 군집의 크기가 작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원개결막(fornix conjunctiva)을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개결막에서 술잔 세포의 분포가 빽빽하고 군집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는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된 쥐의 결막 중 구결막(bulbar)과 원개결막(fornix conjunctiva)을 공초점 형광 현미경으로 이어서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cornea)와 연곽(limbus)에서는 술잔 세포(goblet cell)가 없지만, 구결막부터 점차 술잔 세포가 나타나 원개결막으로 이동이 진행될수록 술잔 세포의 분포가 빽빽하고, 군집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아있는 상태의 쥐의 결막을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함으로써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구 병변 진단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 병변 진단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통해 촬영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통해 안구의 병변을 진단한다.
상기 안구 병변은 단위 면적당 술잔 세포의 개수 또는 술잔 세포의 면적을 기준으로 진단하며, 상기 안구 병변은 화학 화상(chemical burns), 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반흔성유천포창(Ocular Cicatricial Pemphigoid), 스티븐스존슨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및 상윤부각결막염(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을 포함하고, 상기 안구 병변의 진단을 다음 표 1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구결막 술잔 세포 수가 60% 손상되고, 검결막 술잔 세포 수가 40%로 손상되며, 구결막과 검결막의 술잔 세포 손상 차이가 20%가 될 때 화학 화상으로 진단된다.또는, 구결막 술잔 세포 수가 70-80% 손상되고, 검결막 술잔 세포 수가 60-80%로 손상되며, 구결막과 검결막의 술잔 세포 손상 차이가 0-10%가 될 때 각결막염으로 진단된다.
또는, 구결막 술잔 세포 수가 95% 손상되고, 검결막 술잔 세포 수가 90-95%로 손상되며, 구결막과 검결막의 술잔 세포 손상 차이가 0-5%가 될 때 반흔성유천포창으로 진단된다.
또는, 구결막 술잔 세포 수가 99-100% 손상되고, 검결막 술잔 세포 수가 98-100%로 손상되며, 구결막과 검결막의 술잔 세포 손상 차이가 0-1%가 될 때 스티븐스존슨증후군으로 진단된다.
마지막으로, 구결막 술잔 세포 수가 85% 손상되고, 검결막 술잔 세포 수가 90%로 손상되며, 구결막과 검결막의 술잔 세포 손상 차이가 5%가 될 때 상윤부각결막염군으로 진단된다.
물론, 상술한 안구 병변의 진단은 술잔 세포 수의 변화뿐만 아니라, 단위면적당 술잔 세포의 면적 변화를 기준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통해 촬영된 상기 술잔 세포의 형태학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형태학 적 정보는 술잔 세포의 크기 및 분포 형태등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이를 기준으로 안구 병변의 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은 상술한 실험에서 활용된 쥐 뿐만 아니라, 이 외의 동물 생체(in-vivo) 모델에서 생체 조직을 염색하여 촬영함으로써 세포의 형태학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물의 안구 병변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이용해 촬영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기반으로, 안구병변 치료제의 효능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은 치료제 투입단계와 치료제 효능 검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치료제 투입단계에서는 상기 안구 결막에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한다.
이후,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하지 않은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와 상기 치료제 투입단계를 통해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촬영한다.
상기 치료제 효능 검출단계에서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하지 않은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와, 상기 치료제 투입단계를 통해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의 단위 면적당 개수 변화, 형태 변화 또는 면적 변화를 기준으로 치료제의 효능을 검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술잔세포 영상화 방법은 안구 병변의 진단뿐만 아니라, 관련 병변에 대한 치료제 성능 검사에 있어서 인비보 동물 모델에서의 효과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통해 안구 결막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결막을 촬영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결막을 구성하는 술잔 세포의 개수 또는 면적의 변화를 기준으로 안구의 병변을 진단뿐만 아니라, 안구 병변의 치료제의 효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는 광원부(100), 촬영유닛(200), 렌즈부, 차단필터(BF), 여기필터(EF), 빔 스플리터(BS), 대물렌즈(300), 초점제어부(400) 및 이미지 생성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100)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로 염색된 안구결막의 생체조직에 빛을 조사하며, 여기서 상기 안구 결막을 염색하는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목시플록사신이다.
또한, 상기 광원부(100)는 단광자를 출력하며, 상기 광원부(100)에서 출력되는 연속파 파장의 범위는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이며, 상기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은 300nm 내지 476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유닛(200)은 상기 광원부(100)에서 조사된 빛에 의하여 형광 여기된 상기 생체조직을 촬영하며, 여기서, 상기 촬영유닛(200)은 고배율 형광 현미경(macroscope) 또는 세극등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100)로부터 출력된 빛 또는 상기 빛에 의해 여기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의 형광의 경로를 제어하며, 상기 렌즈부는 배치된 위치 및 역할에 따라 제1 내지 제3 렌즈(L3)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대물렌즈(300)는 상기 촬영유닛(200)의 초점을 제어하며, 상기 초점제어부(400)는 상기 대물렌즈(300)와 결합되어 상기 대물렌즈(30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생체조직에 맺히는 초점위치를 변경시킨다.
즉, 상기 초점제어부(400)에 의하여 변경되는 초점위치마다 상기 촬영유닛(200)은 복수회 상기 생체조직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이미지 생성부(500)는 상기 촬영유닛(200)에서 촬영한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이미지 생성부(500)는 복수개의 상기 촬영이미지 중 초점이 맞는 영역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생체조직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생체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이전에, 상기 광원부(100)에서 조사되는 빛의 경로와, 상기 생체조직에 염색된 목시플록사신으로부터 여기된 형광의 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100)에서는 단광자의 빛을 조사하며, 상기 빛은 제3 렌즈(L3), 여기필터(EF), 빔 스플리터(BS) 및 대물렌즈(300)를 거쳐 상기 안구결막의 생체조직에 빛을 조사한다.
상기 생체조직에 빛에 의하여 여기된 형광은 상기 대물렌즈(300), 상기 차단필터(BF) 및 제1 렌즈(L1)를 거쳐 촬영유닛(200)에 촬영되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촬영유닛(200)이 촬영한 이미지는 상기 초점제어부(400)에 의하여 상기 대물렌즈(300)의 위치, 정확하게는 상기 대물렌즈(300)의 Z축(수직방향)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대물렌즈(3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생체조직에서 초점이 맺히는 부분이 달라진다. 이는 상기 안구결막의 형상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안구결막의 높이차에 따라 초점이 맺히는 영역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물렌즈(30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촬영유닛(200)에서 촬영한 이미지마다 초점이 맺히는 영역이 변경되며, 이에 따라 상기 촬영유닛(200)은 상기 대물렌즈(300)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서로 다른 초점영역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미지(I1)를 생성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이미지 중 초점이 맞는 영역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생체조직 이미지(I2)를 생성한다.
이 외,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의 구성의 상세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안구 결막을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 중 하나인 목시플록사신으로 염색하고, 목시플록사신을 가시광선 영역의 빛으로 조사함으로써 안구 결막의 파괴 없이 신속하게 직접 촬영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안구의 병변을 진단할 수 있고, 치료제 성능 검사와 관련된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안구 결막에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염색하는 결막 염색단계;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에 염색된 상기 안구 결막에 광원부가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단계;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빛에 의하여 형광 여기 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통하여 촬영유닛이 상기 안구 결막을 촬영하는 결막 촬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막 염색단계에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상기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goblet cell)를 염색하고,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상기 광원부는 단광자를 출력하며,
    상기 광 조사단계에서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연속파 파장의 범위는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이고,
    상기 결막 촬영단계에서 상기 안구 결막을 촬영하는 상기 촬영유닛은 고배율 형광 현미경(macroscope) 또는 세극등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막 염색단계에서 상기 안구 결막을 염색하는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목시플록사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은 300nm 내지 476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통해 촬영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통해 안구의 병변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술잔 세포의 단위 면적당 개수 변화, 형태 변화 또는 면적 변화를 기준으로 안구의 병변을 진단하는 안구 병변 진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병변은 화학 화상(chemical burns), 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반흔성유천포창(Ocular Cicatricial Pemphigoid), 스티븐스존슨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및 상윤부각결막염(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병변 진단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을 통해 촬영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를 통해 안구병변 치료제의 효능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구 결막에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하는 치료제 투입단계;및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하지 않은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와 상기 치료제 투입단계를 통해 상기 안구 병변 치료제를 투입한 안구 결막의 술잔 세포의 단위 면적당 개수 변화, 형태 변화 또는 면적 변화를 기준으로 치료제의 효능을 검출하는 치료제 효능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7.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로 염색된 안구결막의 생체조직을 촬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체조직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에 의하여 형광 여기된 상기 생체조직을 촬영하는 촬영유닛;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된 빛 또는 상기 빛에 의해 여기된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의 형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렌즈부;
    상기 촬영유닛의 초점을 제어하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와 결합되어, 상기 생체조직에 맺히는 초점위치를 변경시키는 초점제어부; 및
    상기 촬영유닛에서 촬영한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초점제어부에 의하여 변경되는 초점위치마다 상기 촬영유닛은 복수회 상기 생체조직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복수개의 상기 촬영이미지 중 초점이 맞는 영역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생체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광원부는 단광자를 출력하며,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연속파 파장의 범위는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이고,
    상기 촬영유닛은 고배율 형광 현미경(macroscope) 또는 세극등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결막을 염색하는 상기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목시플록사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은 300nm 내지 476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KR1020217016910A 2019-02-28 2020-02-28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에 대한 정보제공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KR102559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89,536 US10859498B2 (en) 2019-02-28 2019-02-28 Method for visualization of conjunctival cells using fluoroquinolone antibiotic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ocular lesions using the same
US16/289,536 2019-02-28
PCT/KR2020/002893 WO2020175956A1 (ko) 2019-02-28 2020-02-28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 진단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371A true KR20210079371A (ko) 2021-06-29
KR102559712B1 KR102559712B1 (ko) 2023-07-25

Family

ID=7223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910A KR102559712B1 (ko) 2019-02-28 2020-02-28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에 대한 정보제공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59498B2 (ko)
KR (1) KR102559712B1 (ko)
WO (1) WO202017595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965A (ko) * 2007-11-13 2010-10-04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건 눈과 관련된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149734A1 (en) * 2010-05-28 2013-06-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Multi-photon Tissue Imaging
KR20180054319A (ko) * 2016-11-15 2018-05-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광자 특성을 이용한 안과용 진단 및 치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1172A1 (en) * 2008-11-12 2010-05-13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Microscopic and macroscopic data fusion for biomedical imaging
AU2014236561B2 (en) * 2013-03-14 2018-08-16 Lumicell, Inc. Medical imag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US9625387B2 (en) * 2014-09-16 2017-04-18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pth of imaging in tissues using fluorescence microscopy under ultraviolet excitation following staining with fluorescing agents
KR101662775B1 (ko) 2014-11-26 2016-10-05 박범철 안구건조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구건조증 진단 방법
KR101781261B1 (ko) * 2015-05-20 2017-10-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965A (ko) * 2007-11-13 2010-10-04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건 눈과 관련된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149734A1 (en) * 2010-05-28 2013-06-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Multi-photon Tissue Imaging
KR20180054319A (ko) * 2016-11-15 2018-05-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광자 특성을 이용한 안과용 진단 및 치료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F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8299A1 (en) 2020-09-03
US10859498B2 (en) 2020-12-08
KR102559712B1 (ko) 2023-07-25
WO2020175956A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öhnke et al. Confocal microscopy of the cornea
US20180078129A1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imaging specimens
Krüger et al. Combined nonlinear and femtosecond confocal laser-scanning microscopy of rabbit corneas after photochemical cross-linking
Stachs et al. In vivo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WO2019146792A1 (ja) 近接撮影用装置
Lee et al. Comparison of confocal microscopy and two-photon microscopy in mouse cornea in vivo
Johnson et al. Two-photon imaging of the mouse eye
Masihzadeh et al. A multiphoton microscope platform for imaging the mouse eye
Suchand Sandeep et al. Optical sectioning and high resolution visualization of trabecular meshwork using Bessel beam assisted light sheet fluorescence microscopy
Wang et al. Corneal multiphoton microscopy and intratissue optical nanosurgery by nanojoule femtosecond near-infrared pulsed lasers
Hong et al. Noninvasive and noncontact sequential imaging of the iridocorneal angle and the cornea of the eye
KR102559712B1 (ko)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방법, 이를 이용한 안구 병변에 대한 정보제공방법과 안구병변 치료제 효능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결막 내 세포영상 검사장치
Park et al. New details of the human corneal limbus revealed with second harmonic generation imaging
KR101894150B1 (ko) 다광자 특성을 이용한 안과용 진단 및 치료장치
Wang et al. Multiphoton microscopy for monitoring intratissue femtosecond laser surgery effects
Munger et al. Assessment of ocular toxicity potential: basic theory and techniques
Guo et al. Changes in collagen structure and permeability of rat and human sclera after crosslinking
Palczewska et al. Noninvasive two-photon microscopy imaging of mouse retina and retinal pigment epithelium
RU2326582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возрастной катаракты
KR102100697B1 (ko)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를 이용한 생체 조직 촬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체 조직 촬영 장치
Zhang et al. Three-dimensional segmentation and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aqueous outflow system of intact mouse eyes based on spectral two-photon microscopy techniques
Hong et al. A simple and non-contact optical imaging probe for evaluation of corneal diseases
US20220260820A1 (en) Combined reflectance confocal and two-photon microscopy system for high-speed high-contrast cellular examination of living tissue and method for high-speed/high-contrast cellular examination of living tissue using the same
Hsueh et al. Multiphoton microscopy: a new approach, in physiological studies and pathological diagnosis for ophthalmology
Lee et al. Two-Photon Microscopy of the Mouse Peripheral Cornea Ex V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