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241A -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241A
KR20210079241A KR1020210073673A KR20210073673A KR20210079241A KR 20210079241 A KR20210079241 A KR 20210079241A KR 1020210073673 A KR1020210073673 A KR 1020210073673A KR 20210073673 A KR20210073673 A KR 20210073673A KR 20210079241 A KR20210079241 A KR 2021007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lens
stereoscopic
lens
focus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아
Original Assignee
최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아 filed Critical 최경아
Priority to KR102021007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241A/ko
Publication of KR2021007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는 제1 초점(f1)을 갖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의 일측에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가 구비된 3D 입체렌즈부; 상기 디바이스 내의 내측에 한쌍의 필름을 거치하기 위한 필름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Stereoscopic image display using 3D lens}
본 발명은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영상은 두 개의 입체 영상을 사람의 좌, 우 눈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안경을 착용하면 사람은 안경을 통하여 영상에 대한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 안경이 입체 영상용 안경이다.
한편, 실제 사람의 좌, 우, 눈은 서로 다른 영상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 다른 영상을 뇌에서 자동으로 분석함으로써, 눈을 통하여 3차원적인 공간에 대한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344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는 제1 초점(f1)을 갖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의 일측에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가 구비된 3D 입체렌즈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필름을 거치하기 위한 필름 거치부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입체렌즈부는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제3 3D 입체렌즈가 위치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상기 제2 3D 입체렌즈는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된 초점(f2)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1/f=-(N-1)(1/R1-1/R2+((N-1)t/N*R1*R2)))
여기서, f는 초점, N는 굴절률, R1은 제1 3D입체렌즈의 설계치수, R2는 제2 3D 입체렌즈의 설계치수이고, t는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3D 입체렌즈는 하기의 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된 제3 초점(f3)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2]
1/f=(N-1)(1/R1-1/R2)
여기서, N은 3D입체렌즈의 굴절률, R1은 제1 3D입체렌즈의 설계치수, R2는 제2 3D 입체렌즈의 설계치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f1)과 상기 초점(f2)의 차는 0.00001이고, 상기 초점(f1)과 상기 초점(f3)의 차는 0.3733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의 굴절률은 1.4896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3D 입체렌즈의 설계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3D 입체렌즈의 설계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100)는 디바이스(110), 3D 입체렌즈부(120) 및 필름 거치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110)는 다면체 구조일 수 있고, 내부는 밀폐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10)는 후술하는 3D 입체렌즈부(120)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로 구성되며,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 내로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3D 입체렌즈부(120)가 구비되고, 제2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필름 거치부(130)가 구비된다.
또한, 제2 디바이스는 타측에 한쌍의 오목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를 수평방향으로 이격시켜 3D 입체렌즈, 오목렌즈 각각의 필름과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3D 입체렌즈부(120)는 필름 거치부(130)에 거치된 필름 또는 반투명 이미지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110)의 타측에 구비된다.
상기 3D 입체렌즈부(120)는 제1 3D 입체렌즈(121), 제2 3D 입체렌즈(122)을 포함한다.
상기 3D 입체렌즈부(120)에 마련된 한쌍의 3D 입체렌즈(121, 122)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재원으로 제작된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3D 입체렌즈부는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제3 3D 입체렌즈가 위치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상기 제2 3D 입체렌즈는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된 초점(f2)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1/f=-(N-1)(1/R1-1/R2+((N-1)t/N*R1*R2)))
여기서, f는 초점, N는 굴절률, R1은 제1 3D입체렌즈의 설계치수, R2는 제2 3D 입체렌즈의 설계치수이고, t는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3D 입체렌즈는 하기의 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된 제3 초점(f3)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2]
1/f=(N-1)(1/R1-1/R2)
여기서, N은 3D입체렌즈의 굴절률, R1은 제1 3D입체렌즈의 설계치수, R2는 제2 3D 입체렌즈의 설계치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f1)과 상기 초점(f2)의 차는 0.00001이고, 상기 초점(f1)과 상기 초점(f3)의 차는 0.3733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의 굴절률은 1.4896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원에서 제시하는 볼록렌즈는 다음과 같은 진행과정으로 제작된다.
먼저, R1은 33.4. R2는 49.6으로 금형을 제작한다. 이때, 설계이론과 실물과의 편차, 가공방법에 따른 왜곡현상, 구면렌즈의 구면수차 등 고려할 요소를 반복적인 반복실험으로 근접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를 이용하면, 평면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110: 디바이스
120: 3D 입체렌즈부
130: 필름 거치부

Claims (6)

  1. 제1 초점(f1)을 갖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의 일측에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가 구비된 3D 입체렌즈부;
    상기 디바이스 내의 내측에 한쌍의 필름을 거치하기 위한 필름 거치부가 구비된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영상물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렌즈부는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제3 3D 입체렌즈가 위치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영상물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상기 제2 3D 입체렌즈는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된 초점(f2)을 갖도록 제작된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영상물 표시장치.
    [식 1]
    1/f=-(N-1)(1/R1-1/R2+((N-1)t/N*R1*R2)))
    여기서, f는 초점, N는 굴절률, R1은 제1 3D입체렌즈, R2는 제2 3D 입체렌즈이고, t는 상수이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3D 입체렌즈는
    하기의 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된 제3 초점(f3)을 갖도록 제작된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영상물 표시장치.
    [식 2]
    1/f=(N-1)(1/R1-1/R2)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f1)과 상기 초점(f2)의 차는 0.00001이고, 상기 초점(f1)과 상기 초점(f3)의 차는 0.3733으로 제작된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영상물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D 입체렌즈 및 제2 3D 입체렌즈의 굴절률은 1.4896으로 제작된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영상물 표시장치.
KR1020210073673A 2021-06-07 2021-06-07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KR20210079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673A KR20210079241A (ko) 2021-06-07 2021-06-07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673A KR20210079241A (ko) 2021-06-07 2021-06-07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241A true KR20210079241A (ko) 2021-06-29

Family

ID=7662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73A KR20210079241A (ko) 2021-06-07 2021-06-07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2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445A (ko)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액정 렌즈를 이용한 3차원 입체 화상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445A (ko)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액정 렌즈를 이용한 3차원 입체 화상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9353A1 (en) 3d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applications
CN109445107B (zh) 可单目立体显示的增强现实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20180052309A1 (en) Method for expanding field of view of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RU2689971C2 (ru)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е визуал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11275255B2 (en) Integ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vehicular lamp using same
US20110254918A1 (en) Stereoscopic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erceived depth in stereoscopic images
US8908017B2 (en) Method for driving glasses-type stereoscopic display preventing visual fatigue and refractive index-variable shutter glasses
KR20120090507A (ko) 집적 영상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95066A (ko) 집적 영상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15228543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処理方法
TWI526717B (zh) 裸視立體顯示裝置及排列裸視立體顯示裝置之像素的方法
KR20210079241A (ko) 3d 입체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물 표시장치
EP2408217A2 (en) Method of virtual 3d image presentation and apparatus for virtual 3d image presentation
KR101746719B1 (ko) 디스플레이패널과 개별 렌즈간의 거리를 각각 달리하는 렌즈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출력 방법
KR20170073436A (ko) 홀로그램 스크린 안경
KR101093929B1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TW201636683A (zh) 擴充實境成像方法及其裝置
RU2609285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многопланов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мультифокальный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ий дисплей
JPH0341807B2 (ko)
US201601702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viewing
KR100438816B1 (ko) 개인용 입체영상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6717B1 (ko) 초점이 각각 다른 렌즈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출력 방법
KR101067965B1 (ko) 입체 영상 시스템
KR100462574B1 (ko) 2차원 및 3차원 겸용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의영상 변환 방법
KR101502407B1 (ko) 스테레오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