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053A -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053A
KR20210079053A KR1020190171133A KR20190171133A KR20210079053A KR 20210079053 A KR20210079053 A KR 20210079053A KR 1020190171133 A KR1020190171133 A KR 1020190171133A KR 20190171133 A KR20190171133 A KR 20190171133A KR 20210079053 A KR20210079053 A KR 20210079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nterface
block chai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566B1 (ko
Inventor
이태영
김동준
심규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5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05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based on arbitration
    • G06F13/1642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based on arbitration with request queu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사채용의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들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큐 기능을 탑재하여 대량의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가 들어오더라도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의 저장시, 비동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누락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APPARATUS FOR INTERFACING COMMUNICATION BETWEEN LEGACY SYSTEM FOR RECRUITING AND PLATFORM OF BLOCK_CHAIN}
본 발명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거시(LEGACY) 인사채용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상의 보안 문제 등으로 인해 블록체인 기술이 급부상하고 있다.
상기 블록체인 기술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로 분할하고,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상기 블록들을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 대상 데이터를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도록 구현된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한편, 사내의 인사채용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채용 관련 데이터의 경우 그 중요도가 매우 높아서 위/변조를 방지할 필요가 있음에도,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내의 인사채용 시스템에 연계할 방법이 없다.
한국 공개 특허번호 10-2019-0096220호(2019.08.1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사채용의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들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큐 기능을 탑재하여 대량의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가 들어오더라도 효율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의 저장시, 비동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누락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는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에서, 인사채용을 위한 처리 단계별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면 그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들을 분류하되, 상기 요청시 입력된 인터페이스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요청들을 분류하는 제어부; 상기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인터페이스 요청시 입력된 데이터 형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요청된 인터페이스에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호출하기 위한 래퍼(wrapper)를 매핑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서비스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호출하는 함수 호출부; 상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에 대응된 동작을 처리하는 동작 처리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 및 상기 블록체인 접근 기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시 저장부는 선입 선출 방식의 큐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요청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요청시 입력된 전체 데이터수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응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수를 비교하여 전체 데이터수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 검증부; 상기 데이터 검증부에서 검증된 인터페이스 요청에 대하여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매핑시키는 매핑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가 매핑된 인터페이스 요청 정보를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처리부는 상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된 트랜잭션 풀에 상기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처리부는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데이터를 호출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이 요청된 데이터 목록과, 상기 호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결정하고, 누락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재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사채용의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들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큐 기능을 탑재하여 대량의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가 들어오더라도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의 저장시, 비동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인사채용 관련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누락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인사채용을 위한 처리 단계별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100)는 인사채용 시스템(레거시)(10)과 블록체인(20) 사이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사채용 시스템(레거시)(10)의 데이터 저장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2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인사채용 시스템(레거시)(10)의 데이터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20)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인사채용 시스템(레거시)(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100)는 제어부(110), 서비스부(120), DB 관리부(130), 데이터베이스부(DB) (140), 큐(Queue)(150), 함수 호출부(160) 및 동작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10)에서, 인사채용을 위한 처리 단계별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면 그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들을 분류하되, 상기 요청시 입력된 인터페이스의 위치 정보(예컨대, URL)에 의거하여 상기 요청들을 분류한다. 이 때, 인사채용을 위한 처리 단계별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인사채용을 위한 처리 단계별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별 인터페이스는 채용 공고 저장/채용 공고 조회/지원서 정보 저장/지원서 정보 조회/지원서 평가 저장/지원서 평가 조회/필기 결과 저장/필기 결과 조회/면접 결과 저장/면접 결과 조회 각각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해당 인터페이스들을 호출하기 위한 URL, 파라미터 및 출력 정보들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10)에서 도 3에 예시된 인터페이스들 중 특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URL 정보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요청을 전달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요청시 입력된 URL에 의거하여 상기 요청들을 분류할 수 있다.
서비스부(120)는 상기 인터페이스 요청시 입력된 데이터 형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검증 결과 오류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요청된 인터페이스에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함수를 호출하기 위한 래퍼(wrapper)를 매핑한 후 그 결과를 큐(15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부(120)는 상기 요청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요청시 입력된 전체 데이터수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응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수를 비교하여 전체 데이터수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 검증부; 상기 데이터 검증부에서 검증된 인터페이스 요청에 대하여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매핑시키는 매핑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가 매핑된 인터페이스 요청 정보를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사 채용시 100명을 채용했다면, 블록체인에도 100명의 채용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한다. 즉, 블록체인에 저장된 한명도 누락되면 안된다. 따라서, 데이터 검증부에서는 상기 전체 데이터수(즉, 채용자 수)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수를 비교하여 데이터 검증을 수행하고, 그 검증 결과에 따라 매핑부 및 데이터 송신부가 동작하는 것이다.
DB 관리부(DAO: Data Access Object)(130)는 데이터베이스부(DB)(140)를 관리하며, 서비스부(120)에 의해 호출되어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DB)(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 및 상기 블록체인 접근 기록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DB)(140)는 DB 관리부(1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큐(Queue)(150)는 선입선출(FIFO: First Input First Output) 구조의 데이터 저장소로서,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10)의 인터페이스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특히, 큐(Queue)(150)는 대량 데이터 저장시 발생하는 병목현상을 해소하고, 대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함수 호출부(160)는 큐(Queue)(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호출한다.
동작 처리부(170)는 상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에 대응된 동작을 처리한다. 이 때, 동작 처리부(170)는 상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에 의해 블록체인에 저장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된 트랜잭션 풀에 상기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처리부(170)에서 상기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은, 블록체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데이터를 동기방식으로 전송할 경우, 20~30초마다 생성되는 블록에서는 하나의 블록당 하나의 채용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의 성공 여부를 동작 처리부(170)에게 전달한다. 이 경우, 데이터 저장의 성공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50여명의 채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블록에 하나의 채용 데이터만을 저장하게 되므로 데이터 저장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동작 처리부(170)는 데이터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채용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저장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동작 처리부(170)는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데이터를 호출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이 요청된 데이터 목록과, 상기 호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결정하고, 누락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재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 통신이 가능하고, 특히, 신뢰성 있는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에서, 인사채용을 위한 처리 단계별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면 그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들을 분류하되, 상기 요청시 입력된 인터페이스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요청들을 분류하는 제어부;
    상기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인터페이스 요청시 입력된 데이터 형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요청된 인터페이스에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호출하기 위한 래퍼(wrapper)를 매핑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서비스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호출하는 함수 호출부;
    상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에 대응된 동작을 처리하는 동작 처리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 및 상기 블록체인 접근 기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부는
    선입 선출 방식의 큐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요청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요청시 입력된 전체 데이터수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응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수를 비교하여 전체 데이터수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 검증부;
    상기 데이터 검증부에서 검증된 인터페이스 요청에 대하여 대응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를 매핑시키는 매핑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가 매핑된 인터페이스 요청 정보를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처리부는
    상기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된 트랜잭션 풀에 상기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처리부는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데이터를 호출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이 요청된 데이터 목록과, 상기 호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결정하고, 누락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KR1020190171133A 2019-12-19 2019-12-19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KR10229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33A KR102298566B1 (ko) 2019-12-19 2019-12-19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33A KR102298566B1 (ko) 2019-12-19 2019-12-19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53A true KR20210079053A (ko) 2021-06-29
KR102298566B1 KR102298566B1 (ko) 2021-09-03

Family

ID=7662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133A KR102298566B1 (ko) 2019-12-19 2019-12-19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517A (ko) 2022-11-03 2024-05-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업무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855A (ko) 2021-12-24 2023-07-0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을 활용한 인사채용정보의 위변조 검증과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397793B1 (ko) * 2022-01-20 2022-05-13 주식회사 잡앤피플연구소 채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69A (ko) * 2017-08-16 2019-02-26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의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6197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90094188A (ko) * 2017-03-28 2019-08-12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저장 및 쿼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90096220A (ko)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 안전거래 플랫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188A (ko) * 2017-03-28 2019-08-12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저장 및 쿼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90018869A (ko) * 2017-08-16 2019-02-26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의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6197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90096220A (ko)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 안전거래 플랫폼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종태, "통합기술수용이론을 적용한 블록체인 인사채용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517A (ko) 2022-11-03 2024-05-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업무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566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566B1 (ko) 레거시 인사채용 시스템과 블록체인 플랫폼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CN101572598B (zh) 用于可靠的快速集成的方法和装置
US20050005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mapping of business objects between mobile client devices and a plurality of backend systems
CN101111832A (zh) 用于向服务器提供客户机标识信息的系统和方法
CA2977503C (en) Transmitting disbursements from a commercial financial account
KR102113409B1 (ko)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재송신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및 클라이언트 단말
US7472083B2 (en) Document exchange
CN112163026A (zh) 一种用于整合多类技术应用数据的多源异构接口管控方法
US7685089B2 (en) Method for fast decision-making in highly distributed systems
US6553406B1 (en) Process thread system receiving request packet from server thread, initiating process thread in response to request packet, synchronizing thread process between clients-servers.
US8099514B2 (en) Network file system
CN106790665A (zh) 一种c/s架构下的文件传输方法
KR102298565B1 (ko) 인사 채용 평가를 위한 프라이빗 블록체인 관리 시스템
CN110889763B (zh) 一种基于大数据的金融管理系统
CN104580478A (zh) 物联网装置离线共享的存取权限控制方法
KR101039419B1 (ko) 복수호출 전문 처리 방법
CN113329402B (zh) 物联网感知层设备在物联网平台的自注册方法和系统
US202103116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d Verifying Data Erasure
KR100824464B1 (ko) It 인프라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4604B1 (ko) 배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41814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data in edge cloud environment
CA2428213C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supporting inter-dependent data messages
US20020133624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outing informa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CN112948325A (zh) 一种电网调度信息跨系统交换方法、装置、介质及系统
JPS63318647A (ja) デ−タファイル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