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898A -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898A
KR20210078898A KR1020190170835A KR20190170835A KR20210078898A KR 20210078898 A KR20210078898 A KR 20210078898A KR 1020190170835 A KR1020190170835 A KR 1020190170835A KR 20190170835 A KR20190170835 A KR 20190170835A KR 20210078898 A KR20210078898 A KR 20210078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y threshold
test
user
vibration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세곤
문정인
프라밧 파톡
안주은
노창현
심영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898A/ko
Priority to PCT/KR2020/009162 priority patent/WO2021125480A1/en
Priority to US16/992,382 priority patent/US11825907B2/en
Publication of KR2021007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23Evaluating sense of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은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신발형 장치에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G SENSORY THRESHOLD FOR SHOETYPE DEVICE, SHOETYP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아래의 실시예들은 신발형 장치 및 그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일상에서 필수적으로 신발을 착용한다. 신발은 사용자의 발을 편하고 안전하게 보호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신발의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특수한 기능을 가지는 신발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 걸을 때 자동으로 사용자의 발바닥에 전기 자극을 주는 신발이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패턴을 감지하는 신발이 있다. 이와 같이, 신발은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한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은,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발형 장치에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은, 상기 제1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다시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최소 세기와 최대 세기의 범위 내에서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상기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기가 증가된 테스트 진동을 상기 진동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상기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신발형 장치에 포함된 진동자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각 역치 정보는,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 및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신발형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신발형 장치에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는,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자; 단말 장치로부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 및 상기 감각 역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자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와 단말 장치의 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와 단말 장치가 연동하여 감각 역치 테스트가 수행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신발형 장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 소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신발형 장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물리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 노이즈를 유발하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는 신발형 장치(또는 인솔)에 내장되고, 신발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감각 역치 이하의 자극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감각 역치는 세포가 활성화되기 위한 자극의 최소 크기를 나타낸다. 진동자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감지할 수 있는 촉각의 임계치 이하의 세기를 가지는 진동 노이즈를 생성함으로써, 확률 공명(stochastic resonance)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확률 공명 현상은 예를 들어 고정된 감각 역치를 갖는 측정 장치나 감각 기관에 대하여 감각 역치 이하의 백색 노이즈를 인가하면 관찰 대상 신호에 대한 측정 민감도가 향상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진동 노이즈는 확률 공명 현상을 통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전달되는 촉각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발바닥의 감각을 더욱 민감하게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신발형 장치는 발의 감각이 둔화되어 감각을 정상적으로 느낄 수 없는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신발형 장치에 의해 유발되는 확률 공명 현상에 의해 사용자 자세의 균형성이 높아지고, 보행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와 단말 장치의 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인솔 바디(insole body)가 부분 절개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1)는 밑창(sole, 10), 제어 장치(20) 및 갑피(upper, 90)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10)은 아웃솔(outsole, 11), 미드솔(midsole, 12) 및 인솔(insole, 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신발형 장치(1)는 신발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나 실시예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발형 장치(1)는 양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운동 보조 로봇에 적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아웃솔(11)은 신발형 장치(1)의 바닥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웃솔(11)은 사용자가 신발형 장치(1)를 착용했을 때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아웃솔(11)과 미드솔(12)이 서로 구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아웃솔(11)과 미드솔(1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미드솔(12)은 신발형 장치(1)의 하측 외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인솔(13)은 갑피(90)의 내부에 장착되고, 미드솔(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솔(13)은 사용자가 신발형 장치(1)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표면을 포함하며, 미드솔(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솔(13)은 인솔 바디(131), 지지 레이어(132), 전자 소자, 연결 라인(134) 및 커넥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솔 바디(131)는 미드솔(1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 레이어(132)는 인솔 바디(131)의 내측에 구비되고, 전자 소자 및 연결 라인(134)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라인(134)은 전자 소자 및 제어 장치(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커넥터(135)는 각 전자 소자를 제어 장치(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소자는 지지 레이어(13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소자 및 지지 레이어(132) 전체가 인솔 바디(13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전자 소자의 일 부분이 인솔 바디(131)의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소자는 하나 이상의 진동자(133a, 133b)와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143a, 143b)를 포함한다. 진동자(133a, 133b)는 예를 들어 피에조 모터(piezo motor) 또는 편심 모터(eccentric vibration Mo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133a, 133b)는 설정된 최대 진동 세기 이하의 진동 세기를 가지는 물리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진동 세기의 변화는 노이즈와 같이 불규칙하게 변할 수 있다. 압력 센서(143a, 143b)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로, 사용자가 신발형 장치(1)를 착용하였을 때 발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족저압을 센싱할 수 있다. 압력 센서(143a, 143b)는 예를 들어 피에조(piezo) 압력 센서 또는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압력 센서일 수 있고,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43a, 143b)는 진동자(133a, 113b)가 배치된 위치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소자는 다른 센서,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관성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성 센서는 신발형 장치(1)나 신발형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소자는 제어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력 센서(133c, 133d) 및 다른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는 제어 장치(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케이스(21), 접속부(22), 배터리(23) 및 콘트롤러(2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는 미드솔(12)에 형성된 수용 홈(1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속부(22)는 연결 라인(134)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고, 케이스(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23)는 신발형 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3)는 전자 소자 및 콘트롤러(2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2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신발형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 콘트롤러(24)는 전자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는 압력 센서(143a, 143b)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진동자(133a, 133b)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진동자(133a, 133b)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의 진동수 및/또는 최대 진동 세기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통신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통신하거나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으로 단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신 안테나와 무선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안테나들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무선으로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위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신발형 장치(1)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신발형 장치(1)의 전원 온/오프 제어, 타이머 설정, 진동 세기 조정 등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또는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고, 해당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신발형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랩탑, 노트북, 넷북 또는 태블릿,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웨어러블 장치, 또는 신발형 장치(1)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1)의 진동자(133a, 133b)에 의한 발바닥 진동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률 공명 현상을 유발하여 신발형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의 감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마다 감각 역치가 다를 수 있고, 동일 사용자라도 왼발 및 오른발 간의 감각 역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발이더라도 전족부(forefoot)와 후족부(rearfoot)의 감각 역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신발형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확률 공명 현상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신발형 장치(1)를 착용할 사용자의 감각 역치를 측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타인의 도움 없이도 자신의 발바닥 감각 역치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왼발 및 오른발 뿐만 아니라 각 발의 다양한 부위에 대한 감각 역치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와 단말 장치가 연동하여 감각 역치 테스트가 수행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되는 신발형 장치는 지지 레이어(132)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전방 진동자(133a), 지지 레이어(132)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후방 진동자(133b), 전방 진동자(133a)의 하부에 배치된 전방 압력 센서(143a) 및 후방 진동자(133b)의 하부에 배치된 후방 압력 센서(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진동자(133a)는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진동을 생성할 수 있고, 후방 진동자(133b)는 사용자의 왼발 후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위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되는 신발형 장치는 지지 레이어(432)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전방 진동자(433a), 지지 레이어(432)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후방 진동자(433b), 전방 진동자(433a)의 하부에 배치된 전방 압력 센서(443a) 및 후방 진동자(433b)의 하부에 배치된 후방 압력 센서(4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진동자(433a)는 사용자의 오른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진동을 생성할 수 있고, 후방 진동자(433b)는 사용자의 오른발 후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를 이용한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자신의 왼발 및 오른발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를 측정할 수 있다.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는, 예를 들어 왼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전방 진동자(133a), 왼발 후족부에 대응하는 후방 진동자(133b), 오른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전방 진동자(433a) 및 오른발 후족부에 대응하는 후방 진동자(433b) 중 어느 하나로부터 테스트 진동이 발생하고,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감각 역치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진동이 느껴지는 발바닥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감각 역치 테스트에서는 사용자가 진동을 느낄 때까지 특정 진동자의 진동 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사용자가 진동을 느낀 특정 진동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바닥의 감각 역치가 결정된다. 감각 역치 테스트 프로그램에서는 블라인드 테스트와 유사하게 위 진동자들(133a, 133b, 433a, 433b) 중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테스트가 진행되고, 선택된 진동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시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발의 앞 부분과 뒷 부분의 감각 역치를 개별적으로 정량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감각 역치 테스트에 대해서는 아래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20)에서 단말 장치는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실행 입력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신발형 장치의 각 진동자의 진동 세기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사용자는 신발형 장치에 적용할 자신의 감각 역치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감각 역치 테스트가 시작될 수 있다.
단계(520)에서, 단말 장치는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한다. 단말 장치는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감각 역치 테스트의 결과로서,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각 역치 테스트는 적어도 제1 테스트 과정 및 제2 테스트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스트는 사용자 발의 대략적인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는 과정이고, 제2 테스트는 제1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대략적인 감각 역치 값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최종 감각 역치 값을 세밀하게 탐색해 가는 과정이다.
제1 테스트에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는 예를 들어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바닥 부위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의 최소 세기와 최대 세기의 범위 내에서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진동의 최소 세기가 0이고, 최대 세기가 100이라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는 0 부터 100까지의 범위 내에서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를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결정된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를 통해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초로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를 통해 테스트 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이 발생한 발바닥 부위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세기가 증가된 테스트 진동을 진동자를 통해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다시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시간의 지남에 따라 해당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진동의 세기는 초기 진동 세기 0부터 시작해서 2초마다 5 단위씩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신발형 장치를 통해 진동을 느끼게 되면 단말 장치에 진동을 느낀 발바닥 부위를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의 발생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여 더 이상 신발형 장치로부터 테스트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이 실제로 발생한 현재 발바닥 부위와 해당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진동을 옳게 느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와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 발생한 테스트 진동의 가장 마지막 진동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발바닥 부위에 위 과정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다시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가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발형 장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로부터 테스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현재 발바닥 부위에 가해질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마지막으로 적용된 테스트 진동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마지막에 가해진 진동 세기와 동일할 수 있고, 진동 세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커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테스트 과정에 따라 사용자 발바닥 부위들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이 결정되면, 제2 테스트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테스트에서, 단말 장치는 제1 테스트에서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테스트에서, 단말 장치는 제1 테스트에서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는 예를 들어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바닥 부위이다. 단말 장치는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결정된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를 통해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이 발생한 발바닥 부위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세기가 증가된 테스트 진동을 진동자를 통해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다시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시간의 지남에 따라 해당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은 제1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진동의 세기는 감각 역치 기준 값에 대응하는 테스트 진동의 세기에서 특정 값을 뺀 세기부터 시작해서 2초마다 1 단위씩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신발형 장치를 통해 진동을 느끼게 되면 단말 장치에 진동을 느낀 발바닥 부위를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의 발생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여 더 이상 신발형 장치로부터 테스트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이 실제로 발생한 현재 발바닥 부위와 해당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진동을 옳게 느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와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 발생한 테스트 진동의 가장 마지막 진동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발바닥 부위에 위 과정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다시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가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발형 장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로부터 테스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현재 발바닥 부위에 가해질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마지막으로 적용된 테스트 진동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마지막에 가해진 진동 세기와 동일할 수 있고, 진동 세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위 제2 테스트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각각의 발바닥 부위마다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에 기초하여 각 발바닥 부위의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테스트를 통해 왼발 전족부에 대한 감각 역치 값들이 5개가 결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는 5개의 감각 역치 값들 중 값이 낮은 순서대로 3개의 감각 역치 값들의 평균 값을 왼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최종 감각 역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다른 발바닥 부위에 대해서는 이와 동일한 방식에 따라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단말 장치는 신발형 장치에 단계(520)에서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감각 역치 정보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는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각 진동자를 통해 발생될 진동의 최적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는 왼발 전족부에 대해 결정된 최종 감각 역치 값의 90%에 해당하는 진동 세기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도 해당 다른 발바닥 부위에 대해 결정된 최종 감각 역치 값의 90%에 해당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가정한다. 다만, 실시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각 역치 테스트는 다양한 발바닥 부위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보다 적은 수의 발바닥 부위들에 대해 감각 역치 테스트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각 역치 테스트는 사용자가 신발형 장치를 착용하고 앉은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감각 역치 테스트는 사용자가 진동이 발생한 발바닥 부위를 맞추는 형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610)에서 사용자에게 제1 감각 역치 테스트(baseline phase)의 시작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제1 감각 역치 테스트를 시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제1 감각 역치 테스트가 시작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에서 테스트 진동을 적용할 현재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선택한 현재 발바닥 부위에서 발생할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현재 발바닥 부위와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 해당 초기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발생시킨다.
단계(620)에서 사용자가 발바닥에 진동을 느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신발형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테스트 진동의 세기는 시간에 따라 점점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발바닥 부위로부터 발생되는 테스트 진동의 세기는 0부터 시작하여 2초마다 5 단위씩 증가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신발형 장치에 테스트 진동의 발생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이 가해졌는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느 특정한 발바닥 부위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이 실제로 발생한 현재 발바닥 부위와 해당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계(640)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옳았음을 나타내는 결과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와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 발생한 테스트 진동의 가장 마지막 진동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발바닥 부위에 대해 위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는 현재 발바닥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발바닥 부위들 중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650)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다시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로부터 테스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현재 발바닥 부위에 가해질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마지막으로 적용된 진동 세기를 초기 세기로 하여 2초마다 5 단위씩 증가될 수 있다.
위 과정을 통해 결정된 사용자 발바닥 부위들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은 감각 역치 기준 값에 대응할 수 있다. 특정 발바닥 부위에 대해 감각 역치 값이 복수 개가 결정된 경우, 예를 들어 감각 역치 값이 작은 순서대로 특정 개수의 감각 역치 값들의 평균 값 또는 제일 작은 감각 역치 값이 감각 역치 기준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각 발바닥 부위의 감각 역치 기준 값이 결정된 후, 도 7에 도시된 감각 역치 값을 세밀하기 탐색하기 위한 테스트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사용자에게 제2 감각 역치 테스트(phase-1)의 시작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제2 감각 역치 테스트를 시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감각 제2 역치 테스트가 시작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에서 테스트 진동을 적용할 현재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선택한 현재 발바닥 부위에서 발생할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발바닥 부위에서 발생할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제1 감각 역치 테스트에서 결정된 해당 현재 발바닥 부위의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각 역치 테스트에서 결정된 현재 발바닥 부위의 감각 역치 기준 값이 20이라고 가정하면, 제2 감각 역치 테스트의 현재 발바닥 부위에서 발생할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20보다 작은 값(예, -10을 적용한 1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결정된 초기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를 통해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현재 발바닥 부위와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 해당 초기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발생시킨다.
단계(720)에서 사용자가 발바닥에 진동을 느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신발형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테스트 진동의 세기는 시간에 따라 점점 커질 수 있다. 제2 감각 역치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은 제1 감각 역치 테스트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세기는 초기 세기부터 시작해서 2초마다 1 단위씩 증가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신발형 장치에 테스트 진동의 발생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이 가해졌는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느 특정한 발바닥 부위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테스트 진동이 실제로 발생한 현재 발바닥 부위와 해당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계(740)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옳았음을 나타내는 결과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와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 발생한 테스트 진동의 가장 마지막 진동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발바닥 부위에 대해 위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는 현재 발바닥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발바닥 부위들 중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현재 발바닥 부위와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750)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다시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로부터 테스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현재 발바닥 부위에 가해질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현재 발바닥 부위에 마지막으로 적용된 진동 세기를 초기 세기로 하여 2초마다 1 단위씩 증가될 수 있다.
위 과정을 통해 사용자 발바닥 부위들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발바닥 부위들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을 보다 세밀하기 측정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제3 감각 역치 테스트(phase-2) 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의 단계(810)에서 현재 발바닥 부위에 적용될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제2 감각 역치 테스트에서 현재 발바닥 부위에 대해 결정된 감각 역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각 역치 테스트에서 결정된 현재 발바닥 부위의 감각 역치 기준 값이 18이라고 가정하면, 제3 감각 역치 테스트의 현재 발바닥 부위에서 발생할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18보다 작은 값(예, -5를 적용한 13)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3 감각 역치 테스트의 경우, 제2 감각 역치 테스트에서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적용된 조정 값(예, -10)보다 작은 조정 값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 결정과정을 제외하고는, 각 단계들(810, 820, 830, 840, 850)은 도 7의 각 단계들(710, 720, 730, 740, 750)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는 위 제3 감각 역치 텍스트를 여러 번 수행하여 각각의 발바닥 부위마다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획득한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에 기초하여 각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왼발 전족부에 대한 감각 역치 값들이 5개가 결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는 5개의 감각 역치 값들 중 값이 낮은 순서대로 3개의 감각 역치 값들의 평균 값을 왼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최종 감각 역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감각 역치 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사용자의 각 발바닥 부위에 대해 결정된 최종 감각 역치 값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계(920)에서와 같이 각 최종 감각 역치 값에 대한 신뢰도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복수 번 측정된 감각 역치 값들에 기초하여 ICC(interclass correlation)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ICC 값에 기초하여 최종 감각 역치 값의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결정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신발형 장치에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최종 감각 역치 값의 적용을 선택하는 경우, 단계(950)에서 단말 장치는 각 발바닥 부위의 최종 감각 역치 값에 기초하여 감각 역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감각 역치 정보를 신발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신발형 장치는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각 진동자를 통해 발생될 진동의 최적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형 장치는 최종 감각 역치 값의 90%에 해당하는 세기를 최적 세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930)에 나타난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감각 역치 테스트의 재시작을 선택하는 경우, 단계(610)로 다시 돌아가 감각 역치 테스트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오른발 및 왼발의 각 발바닥 부위에 대한 감각 역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고, 각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최적의 진동 세기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신발형 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1010)에서 제어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 감각 역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각 역치 정보는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될 수 있고, 감각 역치 테스트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 및 해당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는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제어 장치는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신발형 장치에 포함된 진동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신발형 장치의 각 진동자를 통해 발생될 진동의 최적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왼발 전족부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 왼발 전족부에 대해 결정된 최종 감각 역치 값의 90%에 해당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다른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진동자에서도 해당 다른 발바닥 부위에 대해 결정된 최종 감각 역치 값의 90%에 해당하는 진동 세기의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자로부터 발생될 진동의 최적 세기는 최종 감각 역치 값에 해당하는 세기보다 작으면 되고, 반드시 최종 감각 역치 값의 90%에 해당하는 진동 세기일 필요는 없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신발형 장치(1100)는 센서(1110), 진동자(1120), 콘트롤러(1130) 및 통신 장치(1140)를 포함한다.
센서(1110)는 신발형 장치(1100)의 내부 또는 외부 환경을 센싱하며,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1120)는 콘트롤러(1130)의 제어 하에 진동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자(1120)는 신발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감각 역치 미만 세기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진동에 의해 확률 공명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콘트롤러(1130)는 신발형 장치(1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40)는 외부 장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는 무선 송신 안테나와 무선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140)는 단말 장치로부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감각 역치 정보는 예를 들어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1130)는 수신한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진동자(1120)들을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러(1130)는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신발형 장치(1100)의 서로 다른 부위에 배치된 각 진동자를 통해 발생될 진동의 최적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1130)는 각 진동자를 통해 발생될 진동의 최적 세기를 각 발바닥 부위에 대해 결정된 최종 감각 역치 값에 해당하는 세기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밖에, 콘트롤러(1130)는 도 1 내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한 신발형 장치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200)는 프로세서(1210), 메모리(12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230), 통신 장치(1240) 및 디스플레이 장치(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200)의 각 컴포넌트들은 통신 버스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들과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메모리(1220)는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20)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20)는 RAM(random access memories),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ies) 또는 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10)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고, 단말 장치(1200)에 의해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230)는 촉각, 비디오, 오디오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23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마이크로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입력을 단말 장치(1200)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230)는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2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240)는 유선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3G(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24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신발형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신발형 장치에 감각 역치 정보 및 신발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50)는 시각적인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단말 장치(1200)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50)는 액정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50)는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단말 장치(1200)를 제어하고, 단말 장치(1200)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기능 및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122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도 1 내지 도 11을 통하여 전술한 단말 장치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를 수행하고, 해당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통신 장치(1240)가 신발형 장치에 해당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9)

  1.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발형 장치에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foot)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은,
    상기 제1 테스트에서 적용되는 진동 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값보다 작은,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다시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에 가해질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에 마지막으로 적용된 테스트 진동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복수의 감각 역치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최소 세기와 최대 세기의 범위 내에서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상기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기가 증가된 테스트 진동을 상기 진동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발바닥 부위들 중 다음 테스트를 위한 발바닥 부위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서 선택된 발바닥 부위가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에 테스트 진동을 다시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에 가해질 테스트 진동의 초기 세기는,
    상기 현재 발바닥 부위에 마지막으로 적용된 진동의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세기의 테스트 진동을 상기 신발형 장치의 진동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기가 증가된 테스트 진동을 상기 진동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에 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상기 신발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로부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신발형 장치에 포함된 진동자들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역치 정보는,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값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 및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4. 신발형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감각 역치 테스트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신발형 장치에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왼발 전족부, 왼발 후족부, 오른발 전족부 및 오른발 후족부 각각에 대한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말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 과정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감각 역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말 장치.
  27. 신발형 장치에 있어서,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자;
    단말 장치로부터 감각 역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감각 역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 및
    상기 감각 역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자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신발형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역치 테스트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에 대한 감각 역치 기준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테스트 및 상기 결정된 감각 역치 기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발에 대한 최종 감각 역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포함하는,
    신발형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신발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감각 역치 미만 세기의 진동을 생성하는,
    신발형 장치.
KR1020190170835A 2019-12-19 2019-12-19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078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835A KR20210078898A (ko) 2019-12-19 2019-12-19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PCT/KR2020/009162 WO2021125480A1 (en) 2019-12-19 2020-07-13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sory threshold for shoe-type device, shoe-typ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992,382 US11825907B2 (en) 2019-12-19 2020-08-13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sory threshold for shoe-type device, shoe-typ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835A KR20210078898A (ko) 2019-12-19 2019-12-19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898A true KR20210078898A (ko) 2021-06-29

Family

ID=7643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835A KR20210078898A (ko) 2019-12-19 2019-12-19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25907B2 (ko)
KR (1) KR20210078898A (ko)
WO (1) WO20211254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4379T3 (es) * 2003-03-06 2018-10-02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Aparato para mejorar el equilibrio y la marcha en humanos y prevenir lesiones en los pies
US20060178596A1 (en) * 2005-01-25 2006-08-1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utaneous indentation sensory testing device
US10786669B2 (en) * 2006-10-02 2020-09-29 Emkine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ver the palmar and plantar surfaces
US9017266B2 (en) * 2007-02-13 2015-04-28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Automated testing for palpating diabetic foot patient
FR2940892B1 (fr) 2009-01-09 2011-04-08 Quo Vadis Piece de chaussure munie d'un dispositif vibratoire
CN102316802B (zh) * 2009-02-12 2014-01-29 特拉维夫大学拉玛特有限公司 检测神经病变的方法和系统
KR101004001B1 (ko) 2010-05-17 2010-12-31 박종은 신경기능 검사장치
US20120186101A1 (en) 2011-01-21 2012-07-26 Sanchez Roy C Vibrating insole with Bluetooth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and vibrate motors integrated
EP2898834B1 (en) * 2012-09-18 2018-11-0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Device for evaluating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US20150068069A1 (en) * 2013-07-27 2015-03-12 Alexander Bach Tran Personally powered appliance
KR101558082B1 (ko) * 2014-02-27 2015-10-0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촉각 자극 개소(個所) 인지(認知) 시험을 위한 촉각 자극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KR102346198B1 (ko) 2015-01-07 2021-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10617597B2 (en) * 2015-10-22 2020-04-1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nsole design and actuator placement for balance and gait
WO2017216812A1 (en) * 2016-06-17 2017-12-21 Padmanabha Vinayaka Nandalike A system and method for neuropathy diagnosis with wireless feedback mechanism
EP3518736B1 (en) * 2016-09-27 2021-08-18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System for pain management using objective pain measure
KR101988718B1 (ko) * 2017-04-19 2019-06-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 및 스마트라이프로거를 위한 걸음걸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480A1 (en) 2021-06-24
US11825907B2 (en) 2023-11-28
US20210186141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6095B2 (en)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US11889900B2 (en) Capacitive foot presence sensing for footwear
JP2019531153A (ja) 多モードセンシングアレイ
US20190387840A1 (en)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CN110573075B (zh) 行走教导系统、行走教导方法
KR102604085B1 (ko) 신발형 장치 및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7217213A (ja) 歩行連動通信装置、歩行連動装置、および歩行連動システム
EP3797626B1 (en) Smart insole and balance enhancement device comprising smart insoles
KR101848169B1 (ko) 보행 분석을 위한 깔창형 장치 및 보행 분석 방법
US20190335843A1 (en) Multi-modal sensor fusion platform
KR20210078898A (ko) 신발형 장치를 위한 감각 역치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신발형 장치와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68727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10081664A (ko) 신발형 장치 및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49541A (ko) 실시간 걸음걸이 자가 학습 방법 및 이를 사용한 걸음걸이 자세 교정 시스템
KR102109680B1 (ko) 스마트 보행 관리 시스템
JP6786137B2 (ja) 歩行教示システム、歩行教示方法
US20230371652A1 (en)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CN111712154B (zh) 步伐分析设备
KR20240080315A (ko) 9축 관성센서를 이용한 보행패턴 측정장치
KR20210040668A (ko)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보행패턴 측정장치
TW202416854A (zh) 用於鞋件的電容式足部存在感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