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590A -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590A
KR20210078590A KR1020190169453A KR20190169453A KR20210078590A KR 20210078590 A KR20210078590 A KR 20210078590A KR 1020190169453 A KR1020190169453 A KR 1020190169453A KR 20190169453 A KR20190169453 A KR 20190169453A KR 20210078590 A KR20210078590 A KR 20210078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weight
glass composition
antibacterial gla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초희
박선영
손제구
김영석
홍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590A/ko
Publication of KR2021007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10Forming beads
    • C03B19/1005Forming solid beads
    • C03B19/102Forming solid beads by blowing a gas onto a stream of molten glass or onto particulate materials, e.g. pulve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08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boron or halide
    • C03C2201/1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boron or halide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4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rare earth metals, e.g. Zr, Nb, Ta or Z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4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rare earth metals, e.g. Zr, Nb, Ta or Zn
    • C03C2201/42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rare earth metals, e.g. Zr, Nb, Ta or Zn containing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5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3/00Production processes
    • C03C2203/10Melt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성분 및 이의 성분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대하여 개시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유기 항균제 대비 낮은 용출성을 가지며,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는 영구적이면서 경제적인 항균제이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Ag 계열의 금속 이온이 첨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유기 및 무기 항균제에 비하여 환경 및 인체에 대한 독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가격이 저렴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ANTIBACTERIAL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UING ANTIBACTERIAL GLASS POWDER USING THE SAME AND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세균, 균류,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은 냉장고, 오븐, 세탁기 등과 같은 우리의 생활 공간에 편재해 있다. 만일, 미생물이 인체에 들어가게 되면, 이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오븐,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미생물의 확산을 제어할 수 있는 항균 유리 조성물이 요구된다.
이러한 가전제품에서 플라스틱 사출물이 사용되는 부품 중 수분에 노출되는 부품에서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하여 외관상 혹은 사용 환경에 문제를 일으킨다.
가전제품에 서식하는 균은 매우 다양하고, 부품 별로 주요 균주가 상이할 수 있으나, 수분에 노출되는 부품에는 일반적으로 녹농균이 서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항균제는 이러한 균주에 대한 항균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항균제는 인체 및 환경에 대한 독성이 낮은 재료, 고온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된 재료로 엄격히 선정되어야 한다.
항균제는 크게 무기계 및 유기계로 나눌 수 있다. 유기 항균제는 항균 성능을 가지는 소재를 물에 의해 표면 쪽으로 용출시켜 균에 대한 항균력을 발현하므로 뛰어난 항균 성능을 보이나, 세탁기에 적용 시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유기 항균제는 최근 용출된 소재의 인체 및 환경 유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낮은 분해 온도로 사출 공정 시 분해될 위험이 있다.
무기 항균제는 용출성이 유기 항균제에 비해 상당히 낮고 고온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플라스틱 사출물과의 계면 젖음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항균 소재로 Ag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가격이 높아 적용에 한계가 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2510호(2005.03.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성분 및 이의 성분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Ag 계열의 금속 이온이 첨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유기 및 무기 항균제에 비하여 환경 및 인체에 대한 독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가격이 저렴한 이점을 갖는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성분 및 이의 성분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유기 항균제 대비 낮은 용출성을 가지며,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는 영구적이면서 경제적인 항균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SiO2 및 B2O3 합산으로 40 ~ 50 중량%; Na2O 및 K2O 중 1종 이상 15 ~ 30 중량%; ZnO 10 ~ 30 중량%; CaO 5 ~ 15 중량%; 및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 1 ~ 15 중량%;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은 Ag 계열의 금속 이온이 첨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유기 및 무기 항균제에 비하여 환경 및 인체에 대한 독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가격이 저렴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성분 및 이의 성분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유기 항균제 대비 낮은 용출성을 가지며,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는 영구적이면서 경제적인 항균제이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Ag 계열의 금속 이온이 첨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유기 및 무기 항균제에 비하여 환경 및 인체에 대한 독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가격이 저렴한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사출물에 대한 녹농균 항균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사출물에 대한 침지 후 상태의 녹농균 항균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성분 및 이의 성분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유기 항균제 대비 낮은 용출성을 가지며, 고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져 장기간 항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는 영구적이면서 경제적인 항균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SiO2 및 B2O3 합산으로 40 ~ 50 중량%; Na2O 및 K2O 중 1종 이상 15 ~ 30 중량%; ZnO 10 ~ 30 중량%; CaO 5 ~ 15 중량%; 및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 1 ~ 15 중량%;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은 Ag 계열의 금속 이온이 첨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유기 및 무기 항균제에 비하여 환경 및 인체에 대한 독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가격이 저렴한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의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iO2 및 B2O3는 유리화가 가능하게 하는 유리형성제로서, 유리의 구조적인 골격의 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성분이다. 또한, SiO2는 항균력을 발현하는 직접적인 성분으로 작용하지는 않으나, 대표적인 유리형성제인 P2O5 대비 유리 표면에 OH기를 덜 형성시켜 유리 내의 금속 이온으로 야기되는 유리 표면을 양의 전하로 띠게 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B2O3는 녹는점이 낮기 때문에 용융물의 공융점(eutectic point)을 낮출 뿐만 아니라, 유리 조성물의 유리화가 쉽게 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SiO2 및 B2O3는 합산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40 ~ 5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42 ~ 45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SiO2 및 B2O3가 합산으로 50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되면, 유리 용융시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 냉각 과정에서 작업성 및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SiO2 및 B2O3가 합산으로 4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유리의 구조가 약화되어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SiO2는 B2O3의 함량보다 높은 함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SiO2의 첨가량이 B2O3의 첨가량보다는 높아야 내수성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iO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30 ~ 40 중량%로 첨가되고, B2O3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5 ~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a2O, K2O와 같은 알칼리 산화물(alkali oxide)은 유리 조성 내에서 비가교 결합을 하는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는 산화물이다. 이러한 성분들은 단독으로는 유리화가 불가능하지만, SiO2 및 B2O3 등과 같은 망목형성제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면 유리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성분들 가운데 한가지 성분만이 유리 조성물에 포함되면, 유리화가 가능한 영역 내에서는 유리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2가지 이상의 성분이 유리 조성에 포함되면 비율에 따라 유리의 내구성이 다시 향상되기도 한다. 이를 혼합된 알칼리 효과(mixed alkali effect)라 한다.
따라서, Na2O 및 K2O 중 1종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15 ~ 3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a2O 및 K2O 중 1종 이상이 30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되면, 유리 조성물의 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Na2O 및 K2O 중 1종 이상이 1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ZnO와 같은 성분의 가수를 제어하기 어려워 항균성이 저하될 수 있다.
ZnO는 유리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망목형성제와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성분이다. 또한, 유리 조성의 항균성을 발현하는 중요 성분 가운데 하나이다.
ZnO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10 ~ 3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ZnO가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유리 조성의 항균성 발현이 어렵다. 반대로, ZnO가 30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될 경우에는 유리 조성의 내구성이나 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CaO는 ZnO와 함께 유리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망목형성제와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성분이다. 또한, 유리 조성의 항균성을 발현하는 중요 성분 가운데 하나이다.
CaO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5 ~ 1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O가 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유리 조성의 항균성 발현이 어렵다. 반대로, CaO가 15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될 경우에는 유리 조성의 내구성이나 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CuO 및 Fe2O3는 유리가 자체적으로 항균 효과를 발현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성분이다. 또한, CuO 및 Fe2O3는 유리가 저탄소강 기판에 코팅하는 재료로 쓰일 때 기판과 유리의 화학적 결합을 유발시켜 유리 코팅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1 ~ 1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이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유리의 항균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이 15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되면 유리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만일, CuO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항균성 발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항균성 발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CuO는 항균 유리 조성물 전체 중량의 3 중량%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3 ~ 7 중량%의 함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은 혼합 단계(S110), 용융 단계(S120), 냉각 단계(S130) 및 분쇄 단계(S140)를 포함한다.
혼합
혼합 단계(S110)에서 SiO2 및 B2O3 합산으로 40 ~ 50 중량%, Na2O 및 K2O 중 1종 이상 15 ~ 30 중량%, ZnO 10 ~ 30 중량%, CaO 5 ~ 15 중량%, 및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 1 ~ 15 중량%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항균 유리 조성물을 형성한다.
여기서, SiO2는 B2O3의 함량보다 높은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SiO2는 30 ~ 40 중량%로 첨가하고, B2O3는 5 ~ 10 중량%로 첨가한다.
또한, CuO는 3 ~ 7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융
용융 단계(S120)에서는 항균 유리 조성물을 용융시킨다.
본 단계에서, 용융은 1,200 ~ 1,300℃에서 1 ~ 6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온도가 1,200℃ 미만이거나, 용융 시간이 1분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유리 조성물이 완전히 용용되지 못하여 유리 용융물의 불혼화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용융 온도가 1,300℃를 초과하거나, 용융 시간이 6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에너지 및 시간이 필요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냉각
냉각 단계(S130)에서는 용융된 항균 유리 조성물을 상온까지 냉각한다.
본 단계에서, 냉각은 노냉(cooling in furnace)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냉 또는 수냉을 적용할 경우에는 항균 유리의 내부응력이 심하게 형성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바, 냉각은 노냉이 바람직하다.
분쇄
분쇄 단계(S140)에서는 냉각된 항균 유리를 분쇄한다. 이때, 분쇄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볼밀, 제트밀, 유성 밀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쇄에 의해, 항균 유리가 미세하게 분쇄되어 항균 유리 분말이 제조된다. 이러한 항균 유리 분말은 30㎛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1 ~ 10㎛의 평균 직경을 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수지재에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 유리 분말이 첨가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전제품은 세탁기, 스탠드 에어컨, 시스템 에어컨 등을 포함하며,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사출물은 수지재 95.0 ~ 99.0 중량% 및 항균 유리 분말 1.0 ~ 5.0 중량%을 포함한다.
항균 유리 분말의 첨가량이 플라스틱 사출물 전체 중량의 1.0 중량% 미만으로 미량 첨가될 경우에는 녹농균에 대한 항균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항균 유리 분말의 첨가량이 플라스틱 사출물 전체 중량의 5.0 중량%를 초과하여 과량 첨가될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수지재는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ABS(acrylonitrile-buradiene-styrene) 및 HIPS(high impact polystyre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항균 유리 분말은 SiO2 및 B2O3 합산으로 40 ~ 50 중량%, Na2O 및 K2O 중 1종 이상 15 ~ 30 중량%, ZnO 10 ~ 30 중량%, CaO 5 ~ 15 중량%, 및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 1 ~ 15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물에는 항균 유리 분말 외에 기능성 첨가제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기능성 첨가제로는 산화방지제, 발포제, 충격보강제, 핵제, 커플링제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세균 번식에 취약하고, 수분과의 접촉이 많은 부품의 표면에 적용되어 각종 미생물의 서식 및 성장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력을 갖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사출물 제조
실시예 1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항균 유리 조성물을 전기로에서 1,260℃의 온도로 용융시킨 후,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강판에 공냉 방식으로 글래스 벌크 형태로 냉각하여 컬릿(cullet) 형태의 항균 유리를 얻었다. 이후, 항균 유리를 건식분쇄기(ball mill)로 분쇄한 후, 400메쉬 시브에 통과시켜 D90 평균 입경이 7㎛인 항균 유리 분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항균 유리 분말 3 중량% 및 PP(Polypropylene) 수지 97 중량%를 혼합한 후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200mm(가로), 100mm(세로) 및 3mm(두께)의 사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항균 유리 조성물을 전기로에서 1,220℃의 온도로 용융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D90 평균 입경이 5㎛인 항균 유리 분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항균 유리 분말 4 중량% 및 PP(Polypropylene) 수지 96 중량%를 혼합한 후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200mm(가로), 100mm(세로) 및 3mm(두께)의 사출품을 제조하였다.
[표 1] (단위 : 중량%)
Figure pat00001
2. 항균력 측정
표 2는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사출품에 대한 항균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각 사출품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항균규격시험법인 JIS Z 2801, 필름부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및 녹농균에 대한 항균활성치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1은 사출물 제조 후, 침지하는 것 없이 바로 항균 평가하였고, 실시예 2는 사출물 제조 후 90℃에서 96시간 침지 후 항균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준필름으로는 Stomacher 400 POLY-BAG를 이용하였고, 시험조건은 시험균액을 35 ± 1℃, RH 90%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사출품의 경우, 24시간 경과 후 모든 균주(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및 녹농균)에서 세균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사출품은 항균활성치 2.0 log 이상으로 측정되어, 항균력 99%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사출물에 대한 녹농균 항균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사출물에 대한 침지 후 상태의 녹농균 항균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사출물의 경우, 녹농균 항균력 측정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4시간 경과후 녹농균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사출물은 녹농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S110 : 혼합 단계
S120 : 용융 단계
S130 : 냉각 단계
S140 : 분쇄 단계

Claims (10)

  1. SiO2 및 B2O3 합산으로 40 ~ 50 중량%;
    Na2O 및 K2O 중 1종 이상 15 ~ 30 중량%;
    ZnO 10 ~ 30 중량%;
    CaO 5 ~ 15 중량%; 및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 1 ~ 15 중량%;
    를 포함하는 항균 유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O2
    상기 B2O3의 함량보다 높은 함량으로 첨가된 항균 유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iO2는 30 ~ 40 중량%로 첨가되고,
    상기 B2O3는 5 ~ 10 중량%로 첨가된 항균 유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uO는
    3 ~ 7 중량%로 첨가된 항균 유리 조성물.
  5. (a) SiO2 및 B2O3 합산으로 40 ~ 50 중량%, Na2O 및 K2O 중 1종 이상 15 ~ 30 중량%, ZnO 10 ~ 30 중량%, CaO 5 ~ 15 중량%, 및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 1 ~ 15 중량%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항균 유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항균 유리 조성물을 용융시키는 단계;
    (c) 상기 용융된 항균 유리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 및
    (d) 상기 냉각된 항균 유리를 분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SiO2
    상기 B2O3의 함량보다 높은 함량으로 첨가하는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iO2는 30 ~ 40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B2O3는 5 ~ 10 중량%로 첨가하는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CuO는
    3 ~ 7 중량%로 첨가하는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9. 수지재에 항균 유리 분말이 첨가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은
    상기 수지재 95.0 ~ 99.0 중량%; 및
    상기 항균 유리 분말 1.0 ~ 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 유리 분말은 SiO2 및 B2O3 합산으로 40 ~ 50 중량%, Na2O 및 K2O 중 1종 이상 15 ~ 30 중량%, ZnO 10 ~ 30 중량%, CaO 5 ~ 15 중량%, 및 CuO 및 Fe2O3 중 1종 이상 1 ~ 15 중량%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재는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ABS(acrylonitrile-buradiene-styrene) 및 HIPS(high impact polystyre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0190169453A 2019-12-18 2019-12-18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20210078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53A KR20210078590A (ko) 2019-12-18 2019-12-18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53A KR20210078590A (ko) 2019-12-18 2019-12-18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590A true KR20210078590A (ko) 2021-06-29

Family

ID=7662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453A KR20210078590A (ko) 2019-12-18 2019-12-18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5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16B1 (ko) * 2023-06-07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653469B1 (ko) * 2023-04-17 2024-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510A (ko) 2003-09-02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510A (ko) 2003-09-02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69B1 (ko) * 2023-04-17 2024-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651316B1 (ko) * 2023-06-07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161B1 (ko) 항균 유리 분말 및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20210078590A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EP4091996A1 (en) Antibacterial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15135615B (zh) 抗菌玻璃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15103821B (zh) 抗菌玻璃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2549217B1 (ko) 복합 유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549169B1 (ko) 항균 유리 분말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20210077167A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102545212B1 (ko) 비용출성 항균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102549391B1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549222B1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549401B1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20210077168A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102613568B1 (ko) 고내구성 항균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
US20240172760A1 (en) Non-elutable antimicrobial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ntimicrobial glass powder using same
EP4317093A1 (en) Non-elutable antimicrobial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ntimicrobial glass powder using same
JP5111906B2 (ja) 抗菌剤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20210093121A (ko)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