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323A -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323A
KR20210078323A KR1020190170201A KR20190170201A KR20210078323A KR 20210078323 A KR20210078323 A KR 20210078323A KR 1020190170201 A KR1020190170201 A KR 1020190170201A KR 20190170201 A KR20190170201 A KR 20190170201A KR 20210078323 A KR20210078323 A KR 20210078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wrapper
generating article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119B1 (ko
Inventor
김영중
기성종
박인수
이존태
정순환
정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17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119B1/ko
Priority to PCT/KR2020/017861 priority patent/WO2021125668A1/en
Priority to JP2021556911A priority patent/JP7291242B2/ja
Priority to US17/430,380 priority patent/US20220142233A1/en
Priority to EP20901640.1A priority patent/EP3908129A4/en
Priority to CN202080018759.6A priority patent/CN113518562A/zh
Publication of KR2021007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다.

Description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FIRST WRAPPER AND A SECOND WRAPPER,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다.
근래에 일반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연소식 궐련과는 달리, 에어로졸의 발생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보습제 등과 같은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필터 권지를 사용하게 되면 내부에 포함된 충진제와 같은 액상 성분들이 누액될 수 있다.
또한,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장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영역과 직접적으로 가열되지 않는 영역 사이에 온도 차이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에어로졸의 발생이나 니코틴의 이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부분;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키는 제 3 부분; 및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되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는 제 1 래퍼(wrapper) 및 상기 제 1 래퍼,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을 둘러싸는 제 2 래퍼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는 5 내지 30 μ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2 래퍼는 30 내지 7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는,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금(Au), 은(Ag), 및 철(F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래퍼는 셀룰로오스(cellulos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는 3M KIT법을 기준으로 5 이상의 내유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래퍼는 50 내지 500 W·m-1/K-1 의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 및 상기 제 2 래퍼 전체는 4.5 내지 10 kgf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경우, 상기 제 2 부분은 180℃ 내지 250℃ 범위에서 최고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 이후 120초가 지난 시점부터 상기 제 2 부분은 17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은 10 내지 14 mm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부분은 10 내지 14 mm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부분의 일부 및 상기 제 2 부분의 일부를 모두 가열시킬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유추될 수 있는 사항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따르면,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함유된 액상 성분들의 누액이 저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3M KIT법을 기준으로 5 이상의 내유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따르면,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중에서 장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지 않는 영역까지 열이 효율적으로 전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따르면,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전체 권지가 충분한 인장 강도(약 4.5 kgf 이상)를 가짐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 공정 중 절단면이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금속 재질의 제 1 래퍼를 포함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반점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구성으로부터 유추가능한 효과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된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 2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적용한 경우, 시간에 따라 제 2 부분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액상 누수 정도를 사진을 통해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는 A 및 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의 일 면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여,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고 배치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증기화기(140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히터(130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0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증기화기(14000) 및 히터(130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증기화기(14000) 및 히터(1300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히터(13000) 및/또는 증기화기(14000)를 작동시켜,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 및/또는 증기화기(1400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000) 및/또는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히터(1300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0)는 히터(13000) 또는 증기화기(140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0)는 배터리(11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000)는 배터리(1100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삽입되면, 히터(130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0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0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0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00)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0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는 히터(1300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00)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00)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0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00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0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00)가 가열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내부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삽입되고,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의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 1 부분 전체가 삽입될 수도 있고,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4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된 제 1 부분(21000), 제 2 부분(22000), 제 3 부분(23000) 및 제 4 부분(24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부분(21000)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부분(22000)은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부분(23000)은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킬 수 있고, 제 4 부분(24000)은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부분(21000), 제 2 부분(22000), 제 3 부분(23000), 및 제 4 부분(2400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이 제 1 부분(21000), 제 2 부분(22000), 제 3 부분(23000), 및 제 4 부분(24000)을 순서대로 통과하며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 4 부분(24000)으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부분(2100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말단부터 약 8 내지 약 12 mm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 2 부분(22000)은 제 1 부분(21000)이 끝나는 지점부터 약 10 내지 약 14 mm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치범위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각각이 연장되는 길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부분(21000)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22000)은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식 궐련의 경우, 담배 물질로서, 예를 들어, 절단된 각초, 재구성 담배, 팽화 담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22000)은 연속적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담배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22000)은 보습제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2200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성분은 제 1 부분(2100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성분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부분(23000)은,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 3 부분(23000)은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냉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부분(23000)은 폴리락트산(PLA) 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제 3 부분(23000)은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 3 부분(23000)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은, 제한 없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부분(23000)은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필터 또는 지관 필터일 수 있다.
제 4 부분(24000)은,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부분(24000)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제 4 부분(240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4 부분(24000)은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제 4 부분(24000)은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제 4 부분(24000)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 4 부분(24000)은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4 부분(2400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제 4 부분(2400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은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25000)는 제 1 부분(21000)과 제 2 부분(22000)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래퍼(26000)는 제 1 래퍼(25000), 제 3 부분(23000), 및 제 4 부분(24000)을 둘러쌀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래퍼(25000)는 제 1 부분(21000) 또는 제 2 부분(22000)만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 1 래퍼(25000)는 제 1 부분(21000)의 전부 및 제 2 부분(22000)의 일부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제 2 래퍼(26000)는 제 1 래퍼(25000), 제 3 부분(23000), 및 제 4 부분(24000)을 둘러쌀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상술한 바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래퍼(260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최외곽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 2 래퍼(260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래퍼(26000)는 단일 래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제 2 래퍼(26000)는 복수 개의 래퍼들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 1 부분(21000)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함유하는 권축된 주름진 시트를 포함하고, 제 2 부분(22000)은 절단된 각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부분(23000)은 냉각부를 포함하고, 제 4 부분(24000)은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래퍼(25000)는 은(Ag) 박막 또는 구리(Cu) 박막으로 형성되고, 제 2 래퍼(26000)는 셀룰로오스 권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 2 부분(220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에는, 제 2 부분(22000)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제 1 부분(21000) 또한 제 1 래퍼(250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에 대한 설명은 제 2 부분(22000)뿐만 아니라 제 1 부분(21000)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 2 부분(22000)은, 내부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담배 물질(100),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100)은, 예를 들어, 절단된 각초의 형태로 제 2 부분(22000)에 함유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퍼(25000)는 원통 형태로서, 담배 물질(100)을 둘러쌀 수 있다. 제 1 래퍼(25000)는 약 5 내지 약 30 μm의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제 1 래퍼(25000)가 상술한 수치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중에서 장치에 의해 직접 가열되지 않는 영역으로 열이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고,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보습제 등의 액상 성분들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액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를 포함하는 전체 권지의 인장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퍼(25000)는 약 50 내지 약 500 W·m-1/K-1 의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이 금속 재질의 제 1 래퍼(25000)를 포함함으로써, 자유 전자를 통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 내의 열전도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 내에서 직접적으로 가열되지 않는 영역들이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래퍼(250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금(Au), 은(Ag), 및 철(F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래퍼(25000)는 금속 박막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래퍼(25000)는 알루미늄 박, 동박, 또는 은박 재질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제 1 래퍼(25000)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중에서 장치에 의해 직접 가열되지 않는 영역으로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보습제 등의 액상 성분들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액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래퍼(26000)는 약 30 내지 약 70 μm의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제 2 래퍼(260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래퍼(26000)는 제 1 래퍼(25000), 제 3 부분(23000), 및 제 4 부분(24000)을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은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 모두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제 3 부분(23000) 및 제 4 부분(24000)은 제 2 래퍼(26000)에 의해서만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래퍼(26000)는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덱스트린(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래퍼(26000)는 셀룰로오스 권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를 모두 포함하는 전체 권지는 약 35 내지 약 100 μm의 두께(d1+d2)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전체 권지의 두께가 상술한 수치 범위를 가짐으로써, 보습제 등의 액상 성분들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 전체는 약 4.5 내지 약 10 kgf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 전체가 상술한 수치 범위의 인장 강도를 가짐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조 공정 중 절단면의 각 구성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은 도시가 생략되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1)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1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은 수용 공간(11)에 삽입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내부의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가열 요소(11)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요소(11)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제 1 부분(21000)의 일부 및 제 2 부분(22000)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11)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을 커버하는 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21000)의 일부 및 제 2 부분(22000)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의 전체가 직접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퍼(25000)는 가열 요소(11)로부터 전달된 열을,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나타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측정 지점(M)은, 가열 요소(11)에 의해 커버되지 않아 직접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르면, 제 1 래퍼(25000)는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제 1 래퍼(250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요소(11)로부터 공급된 열을 측정 지점(M)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 전체는 비교적 균일하게 열을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이 가열되어 형성되는 에어로졸의 양 및 니코틴 이행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에 제 1 래퍼(25000) 및 제 2 래퍼(26000)를 적용한 경우, 시간에 따라 제 2 부분(22000)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20000)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삽입하고, 가열 요소(11)를 작동시킨 후, 제 2 부분(22000)에 해당하는 측정 지점(M)에서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로서 래퍼 미적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 속도가 느리고, 평균 온도가 약 140℃, 최고 온도가 약 170℃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실시예로서 은박 래퍼 적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 속도가 빠르고, 평균 온도가 약 170℃, 최고 온도가 약 190℃ 정도로, 래퍼에 의한 보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실시예로서 동박 래퍼 적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 속도가 가장 빠르고, 평균 온도가 약 180℃, 최고 온도가 약 190℃ 정도로, 래퍼에 의한 보온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경우, 제 2 부분은 약 180℃ 내지 약 250℃ 범위에서 최고 온도를 가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 이후 120초가 지난 시점부터 제 2 부분은 약 17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제 1 래퍼(25000)는 3M KIT법을 기준으로 5 이상의 내유도를 가질 수 있다. 3M KIT법에 의한 내유도 측정은 아래와 같이 수행되었다.
- 원리
지류의 내유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내유도 측정용액을 제조하여 시험편에 적하하여 일정시간 경과후 시험편에 기름자국이 남지않는 최고 용액번호로 내유도를 판단한다.
- 기구 및 장치
Stock bottle (저장병)으로서, 증발을 막을 수 있는 유리마개나 foil lined cap 등으로 된 저장병을 사용하였다. 시험병으로서, 시험편에 용액을 적하(drop)시킬 수 있는 dropper나 막대가 장치된 병을 사용하였다.
- 시험 방법
Figure pat00001
용액 제조는 Castor oil, Toluene, Heptane을 아래 표와 같이 Kit Number별로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험편에 낮은 Kit Number 시약부터 시험을 하며, 시험편에 제조한 시약을 한방울 적하하여 15초 후 적하된 시약을 습수솜이나 휴지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기름자국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기름자국이 나타나지 않으면 계속 kit number를 올리면서 실험을 하고 기름자국이 발생할 때까지 실험하였다. 최종 기름자국이 없는 kit number를 적용시켜 oil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상술한 3M KIT 법을 기준으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유도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에 따른 제 1 래퍼(25000)는 3M KIT법을 기준으로 5 이상의 내유도를 가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8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액상 누수 정도를 사진을 통해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로서 래퍼 미적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제 2 부분의 액상 성분의 누액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로서 래퍼 적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제 2 부분의 액상 성분의 누액이 비교적 적고,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면을 통해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본 개시에 따르면, 제 1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 1 부분만을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부분;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키는 제 3 부분; 및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부분, 제 2 부분,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되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제 1 부분을 둘러싸는 제 1 래퍼(wrapper) 및 제 1 래퍼, 제 2 부분,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을 둘러싸는 제 2 래퍼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금속 재질의 제 1 래퍼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 1 부분만을 둘러싸므로, 제 1 부분에서의 열전도성이 향상되고, 제 1 부분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 등의 보습제 성분들의 누액이 저감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경우, 제 1 부분에 함유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액상 형태로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누액을 방지하는 효과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제 1 래퍼를 통해 제 1 부분으로부터의 누액을 방지 또는 저감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흡연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제 1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 2 부분만을 둘러쌀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부분에서의 열전도성이 향상되고, 제 2 부분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 등의 보습제 성분들의 누액이 저감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0: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000: 배터리
12000: 제어부
13000: 가열 요소
14000: 증기화기
20000: 에어로졸 발생 물품
21000: 제 1 부분
22000: 제 2 부분
23000: 제 3 부분
24000: 제 4 부분
25000: 제 1 래퍼
26000: 제 2 래퍼
100: 담배 물질
10: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가열 요소
12: 수용 공간
M: 측정 지점

Claims (9)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부분;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키는 제 3 부분; 및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되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는 제 1 래퍼(wrapper) 및 상기 제 1 래퍼,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을 둘러싸는 제 2 래퍼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는 5 내지 30 μ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2 래퍼는 30 내지 70 μm의 두께를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는,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금(Au), 은(Ag), 및 철(F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래퍼는 셀룰로오스(cellulose)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는 3M KIT법을 기준으로 5 이상의 내유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래퍼는 50 내지 500 W·m-1/K-1 의 열전도도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퍼 및 상기 제 2 래퍼 전체는 4.5 내지 10 kgf의 인장 강도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6. 제 1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경우, 상기 제 2 부분은 180℃ 내지 250℃ 범위에서 최고 온도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 이후 120초가 지난 시점부터 상기 제 2 부분은 17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은 10 내지 14 mm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부분은 10 내지 14 mm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부분의 일부 및 상기 제 2 부분의 일부를 모두 가열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0190170201A 2019-12-18 2019-12-18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41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01A KR102412119B1 (ko) 2019-12-18 2019-12-18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PCT/KR2020/017861 WO2021125668A1 (en) 2019-12-18 2020-12-08 Aerosol-generating article including first wrapper and second wrapper,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us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JP2021556911A JP7291242B2 (ja) 2019-12-18 2020-12-08 第1ラッパ及び第2ラッパ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物品、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US17/430,380 US20220142233A1 (en) 2019-12-18 2020-12-08 Aerosol-generating article including first wrapper and second wrapper,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us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EP20901640.1A EP3908129A4 (en) 2019-12-18 2020-12-08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 FIRST ENCLOSURE AND A SECOND ENCLOSUR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US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CN202080018759.6A CN113518562A (zh) 2019-12-18 2020-12-08 包括第一包装件和第二包装件的气溶胶生成制品和使用该气溶胶生成制品的气溶胶生成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01A KR102412119B1 (ko) 2019-12-18 2019-12-18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323A true KR20210078323A (ko) 2021-06-28
KR102412119B1 KR102412119B1 (ko) 2022-06-22

Family

ID=7647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201A KR102412119B1 (ko) 2019-12-18 2019-12-18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2233A1 (ko)
EP (1) EP3908129A4 (ko)
JP (1) JP7291242B2 (ko)
KR (1) KR102412119B1 (ko)
CN (1) CN113518562A (ko)
WO (1) WO20211256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8A1 (ko)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34A2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90093027A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5776A (en) * 1990-08-29 1991-11-1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with tobacco/glass fuel wrapper
US5348027A (en) * 1991-02-14 1994-09-2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with improved substrate
US9220301B2 (en) * 2006-03-16 2015-12-2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7836897B2 (en) * 2007-10-05 2010-11-2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having configured lighting end
GB0804272D0 (en) * 2008-03-07 2008-04-1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Wrapper for smoking material rods
US8469035B2 (en) * 2008-09-18 2013-06-2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fuel element for smoking article
EP2551407B1 (de) * 2011-07-28 2013-06-19 delfortgroup AG Ölbeständiges Filterhüllpapier
TWI605764B (zh) * 2012-05-31 2017-11-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混合桿、形成此種混合桿的方法、氣溶膠產生物品、氣溶膠產生基體及包含電操作氣溶膠產生設備及氣溶膠產生物品的系統
UA118857C2 (uk) * 2013-12-05 2019-03-25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Шаруваті стрижні, що зазнають впливу тепла, для використання у виробах, що генерують аерозоль
AU2014365123B2 (en) * 2013-12-19 2019-04-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the quantity of nicotine salt particles
NO2768923T3 (ko) * 2014-10-20 2018-05-05
TWI703936B (zh) * 2015-03-27 2020-09-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電熱式氣溶膠產生物件之紙質包覆材料
GB201505515D0 (en) 2015-03-31 2015-05-1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composite we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moking article component
US20170055576A1 (en) 2015-08-31 2017-03-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O2017114683A1 (en) 2015-12-31 2017-07-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article with ventilation zone
CN207836767U (zh) * 2016-12-16 2018-09-11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产生设备
JP6915082B2 (ja) 2017-03-30 2021-08-04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収容するクレードル
CN107568787A (zh) * 2017-09-04 2018-01-12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增香降温基棒
KR102156756B1 (ko) * 2017-09-29 2020-09-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복수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필터 구조물
JP7362606B2 (ja) 2017-12-07 2023-10-1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二重プラグ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基体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WO2019224072A1 (en) 2018-05-21 2019-11-28 Jt International S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s
JP7332631B2 (ja) 2018-05-21 2023-08-23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生成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34A2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90093027A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8A1 (ko)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119B1 (ko) 2022-06-22
EP3908129A1 (en) 2021-11-17
US20220142233A1 (en) 2022-05-12
CN113518562A (zh) 2021-10-19
WO2021125668A1 (en) 2021-06-24
JP2022528046A (ja) 2022-06-08
JP7291242B2 (ja) 2023-06-14
EP3908129A4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3251B2 (ja) シガレット及びシガレット用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330299B1 (ko) 외부 래퍼를 포함하는 궐련
KR20190049420A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43350B1 (ko) 복수의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JP7144115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のシガレット及びそのシガレットを使用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330300B1 (ko) 궐련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2822953B (zh) 气溶胶生成制品、气溶胶生成装置以及气溶胶生成系统
KR102400620B1 (ko)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4939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20220047236A (ko) 담배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00058086A (ko) 외부가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사용되는 궐련
KR20190049629A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2544434A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102412119B1 (ko) 제 1 래퍼 및 제 2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N113631055B (zh) 气溶胶生成制品和气溶胶生成系统
KR20190049646A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2600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20584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10000205A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604670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10158260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쓰레드 필터, 및 쓰레드 필터를 포함한 냉각 물품
KR20220030009A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7015321A (zh)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加热器组件及包括加热器组件的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