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285A - 해양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해양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285A
KR20210078285A KR1020190170156A KR20190170156A KR20210078285A KR 20210078285 A KR20210078285 A KR 20210078285A KR 1020190170156 A KR1020190170156 A KR 1020190170156A KR 20190170156 A KR20190170156 A KR 20190170156A KR 20210078285 A KR20210078285 A KR 2021007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trash
unit
debris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선
진영재
장준두
Original Assignee
최승선
장준두
진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장준두, 진영재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19017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285A/ko
Publication of KR2021007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1Means floating loosely on the water absorbing the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해양 쓰레기통은 상부가 개방되고 해양에서 부유하는 몸체,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해수 및 해양 쓰레기를 몸체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복수 개의 유입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양 쓰레기를 수용하는 해양 쓰레기 수용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펌프, 해양 쓰레기 수용부에 수용된 해양 쓰레기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해양 쓰레기의 적재량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재량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쓰레기통{OCEAN TRASH CAN}
본 발명은 해양에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해양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미래사회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는 해양에는 현재 해양 쓰레기로 인해 큰 몸살을 앓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양 쓰레기는 자연재해(장마, 태풍)에 의하여 하천을 통하여 흘러 들어온 산림 쓰레기, 상행위 후 하천이나 바다로 무단 투기된 포장용 박스, 장마철 하천을 통하여 흘러 들어온 생활 쓰레기, 양식장과 어선들의 어업활동 후 무단 투기되거나 재해시 유실된 (폐)어구 등 다양하게 있다.
이러한 오염을 야기하는 해양 쓰레기들은 항구와 해수욕장 등 관광지의 해안에 쌓여 미관을 저해 할 뿐 아니라, 오랜 시간이 지난 후 퇴적되어 물고기의 산란장을 없애고 갯벌의 산소공급을 막게 된다. 또한 작은 비닐 쓰레기는 파도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파쇄되거나 햇볕에 의하여 분해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부유하면서 이를 먹이로 잘못 알고 먹은 어류가 폐사하면서 연쇄적으로 먹이사슬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로 인하여 해양생태계가 파괴되고 해양수질이 악화되는 등 심각한 2차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해양 쓰레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플라스틱이다. 해양 쓰레기 실태보고(퍼퓰러 사이언스, 2015)에 따르면 현재 해수면 근처에만 26만 8,940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떠다니고 있는데, 이는 대왕고래 1,400마리에 해당하는 엄청난 중량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 부유쓰레기는 조류와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하여 넓은 바다를 떠다니게 되므로 이의 수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해양폐기물 수거선을 운영하였다.
하지만, 해양폐기물 수거선(청소선박)을 이용한 해양 쓰레기 수거방법은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며, 넓은 지역을 운용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해양 쓰레기 수거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의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해양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해양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해양에서 부유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해수 및 상기 해양 쓰레기를 상기 몸체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복수 개의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해양 쓰레기를 수용하는 해양 쓰레기 수용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상기 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펌프, 상기 해양 쓰레기 수용부에 수용된 해양 쓰레기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해양 쓰레기의 적재량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재량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가 상기 해양에 부유하는 경우, 상기 해양의 해수면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유입구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 쓰레기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양 쓰레기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상부의 개방면에는 상기 몸체의 일측부터 타측까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해양 쓰레기 수용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센서부와 상기 해양 쓰레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적재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 쓰레기통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양 쓰레기통의 위치 정보 및 생물의 수거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해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으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함으로써, 해양 쓰레기 수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해양 쓰레기 수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해양 쓰레기통에 수거되는 해양 쓰레기의 적재량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의 쓰레기 수거 방법을 나나낸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시스템(10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양 쓰레기 수거 시스템(1000)은 해양에 부유되어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해양 쓰레기통(100)과 해양 쓰레기통(100)을 관리하기 위한 외부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해양 쓰레기통(100)은 해양에 부유되어 해수면(10)에 떠있는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양 쓰레기통(100)은 일부분만 해수면(10) 위로 나오고 나머지부분은 해수면(10) 아래에 위치하여 해양에 부유된 상태에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해양 쓰레기통(100)과 여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200)은 해양 쓰레기통(100)으로부터 해양 쓰레기통(100)에 수거된 쓰레기의 적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기기(200)는 해양 쓰레기통(100)으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해양 쓰레기통(100)의 이동 제어, 센서부(160)의 민감도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서버, 테블릿 등과 같은 통신기능을 가진 여러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해양 쓰레기통(10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100)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100)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10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해양 쓰레기통(100)은 몸체(110),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 유입구(112), 거름망(120) 및 연결 부재(118)를 모두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물에 부유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해양에 부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는 일부 또는 전체 부분이 물 또는 바닷물의 비중보다 낮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10)는 일부분만 해수면 위로 나오고 나머지부분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는 측면의 형성된 유입구(112)의 하단부가 해수면과 평행하거나 해수면보다 소정거리 이격되어 해양에 부유될 수 있다.
즉, 몸체(110)가 해양에 부유되는 경우, 해양의 해수면은 몸체(110)에 형성된 유입구(112)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구(112)가 해수면과 평행 또는 소정거리 높게 위치함으로써, 물고기와 같은 생물들이 유입구(112)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측면에는 사각형의 유입구(1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해양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하단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의 개방면에는 연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유입구(112)는 몸체(1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해수 및 해수면에 떠있는 해양 쓰레기가 유입되는 입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해양 쓰레기통(100)은 유입구(112)를 통해, 몸체(110) 내부로 해수 및 해양 쓰레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배출구(114)는 몸체(110)의 하단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에 유입된 해수를 해양으로 다시 배출하기 위한 출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배출구(114)의 위치는 하나의 예시이며, 배출구(114)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하단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는 몸체(110)의 내부의 공간에 위치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양 쓰레기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거름망(120)은 몸체(110)의 내부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에 위치되어 유입구(112)를 통해 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해양 쓰레기를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거름망(120)은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에서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해양 쓰레기가 배출구(114)로 배출되지 않도록 걸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거름망(120)은 몸체(110) 내측에 고리나 걸쇠 등과 같은 고정장치로 고정 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시에 몸체(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거름망(120)은 몸체(110)에서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8)는 몸체(110)의 개방면에 형성되어, 몸체(110)의 일측부터 타측까지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118)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도면 2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방사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118)는 거름망(120)에 걸러진 해양 쓰레기가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18)는 해양 쓰레기통(100)의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118)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118)는 몸체(110)의 상부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고, 힌지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18)는 몸체(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힌지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몸체(110) 상부의 개방면이 오픈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18)는 몸체(11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몸체(110)에 해양 쓰레기가 꺼내거나 거름망(120)을 교체할 때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결 부재(118)는 거름망(120) 및 거름망(120)에 걸러진 해양 쓰레기를 몸체(110)에서 꺼내기 위해 상술한 이외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부재(118)의 하단에는 센서부(16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118)의 내측에는 통신부(14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 부재(118)의 내측에는 해양 쓰레기통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GP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118)의 상부에는 해양 쓰레기통(100)의 전원부(130)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해양 쓰레기통(100)은 전원부(130), 통신부(140), 배출 펌프(150), 센서부(160) 및 제어부(170)를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해양 쓰레기통 내측에 위치하여, 해양 쓰레기통(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30)는 배출 펌프(150), 통신부(140), 제어부(170)등 해양 쓰레기통(10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부(13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30)는 연결 부재(118)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연결 부재(118)의 내측에 위치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200)과 여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해양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해양 정보는 현재 해양 쓰레기통(100)의 해양 쓰레기 적재량, 해양 쓰레기통의 위치 정보, 생물의 수거 유무 및 현재 파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해양 쓰레기통(100)의 이동 제어, 센서 감도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통신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배출 펌프(150)는 몸체(110)의 하단 내측에 위치되어 몸체(110)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로 해수 및 해양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몸체(110)의 내부에 해수를 몸체(110)의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배출 펌프(150)는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펌프(150)는 몸체(110)의 내부에 해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14) 방향으로 이동시켜,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 펌프(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기초하여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펌프(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14)에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 펌프(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기초하여 해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펌프(150)를 통해, 해양 쓰레기통(100)은 내부의 해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배출 펌프(150)의 해수 배출은 해양에서 해양 쓰레기통(100)의 이동 동력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배출 펌프(150)는 해양 쓰레기통(100)의 해상에서의 이동을 위해 해수의 배출 방향 및 배출량이 조절되도록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연결 부재(118)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여 몸체(110) 내부에 위치한 거름망(120)에 수거된 해양 쓰레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센서부(160)는 연결 부재(118)에 설치되되,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해양 쓰레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는 몸체(110) 내부에 물체의 높이를 기초로 해양 쓰레기의 적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60)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적외선 센서, 자세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센서부(160)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는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160)는 센서부(160)와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에 수용된 해양 쓰레기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60)는 거름망(120)에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는 열감지 센서로 구성되어 거름망(120)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160)는 해양 쓰레기통(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파고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는 자세 센서로 구성되어 해양 쓰레기통(100)의 상하좌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60)는 해양 쓰레기통(100)에 유입되는 해수의 양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해양 쓰레기통(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를 통해 감지된 정보들을 기초로 여러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를 통해 감지된 센서부(160)와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에 수용된 해양 쓰레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해양 쓰레기의 적재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센서부(160)와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에 수용된 해양 쓰레기 사이의 거리가 좁을수록 쓰레기의 적재량이 많다고 적재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복수의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센서부(160)와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에 수용된 해양 쓰레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입체적인 적재량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일측에 해양 쓰레기가 밀집되어 잘못된 적재량 정보가 산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물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물의 수거 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물체의 움직임이 해수의 유입 및 배출되는 방향과 다른 경우, 제어부(170)는 생물이 수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센서부(160)의 센싱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센서부(160)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배출 펌프(150)의 해수 배출량 및 해수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몸체(110)에 유입된 해수의 양에 기초하여 배출 펌프(150)의 해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110)에 일정한 해수의 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해양 쓰레기통(100)의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20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배출 펌프(150)가 특정 배출구(114)로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200)의 제어 명령은 해양 쓰레기통(100)의 이동 제어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여러 데이터를 기초로 해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해양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송신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해양 쓰레기 적재량, 해양 쓰레기통의 위치 정보, 생물의 수거 유무 및 현재 파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해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해양 쓰레기통(100)의 쓰레기 수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통(100)의 쓰레기 수거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해양에 부유된 상태일 때, 해양 쓰레기통(100)의 일부분만 해수면 아래로 잠기고 나머지는 해수면 위로 보이도록 부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양의 해수면은 해양 쓰레기통(100)의 유입구(112)와 평행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된 하단에 위치되도록 부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유된 해양 쓰레기통(100)의 유입구로 해수와 해양 쓰레기(a)가 유입되는 경우, 해양 쓰레기(a)는 해양 쓰레기 수용부(116)에 설치된 거름망(120)에 걸러지게 되고, 해수는 배출 펌프(150)에 의해 하단으로 이동하여 해양 쓰레기통(100)의 일 측에 형성된 배출구(114)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복하여 해양 쓰레기통(100)은 해수면에 떠다니는 해양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으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함으로써, 해양 쓰레기 수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해양 쓰레기 수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해양 쓰레기통에 수거되는 해양 쓰레기의 적재량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해양 쓰레기통 110 : 몸체
112 : 유입구 114 : 배출구
116 : 해양 쓰레기 수용부 118 : 연결 부재
120 : 거름망 130 : 전원부
140 : 통신부 150 : 배출 펌프
160 : 센서부 170 : 제어부
200 : 외부 기기

Claims (5)

  1.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해양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해양에서 부유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해수 및 상기 해양 쓰레기를 상기 몸체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복수 개의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해양 쓰레기를 수용하는 해양 쓰레기 수용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상기 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펌프;
    상기 해양 쓰레기 수용부에 수용된 해양 쓰레기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해양 쓰레기의 적재량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재량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의 개방면에는 상기 몸체의 일측부터 타측까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쓰레기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쓰레기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해양 쓰레기 수용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센서부와 상기 해양 쓰레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적재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양 쓰레기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양 쓰레기통의 위치 정보 및 생물의 수거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해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쓰레기통.
KR1020190170156A 2019-12-18 2019-12-18 해양 쓰레기통 KR20210078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56A KR20210078285A (ko) 2019-12-18 2019-12-18 해양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56A KR20210078285A (ko) 2019-12-18 2019-12-18 해양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285A true KR20210078285A (ko) 2021-06-28

Family

ID=7660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156A KR20210078285A (ko) 2019-12-18 2019-12-18 해양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2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8986A (zh) * 2022-04-12 2022-05-06 山东省海洋资源与环境研究院(山东省海洋环境监测中心、山东省水产品质量检验中心) 一种利用潮汐能的海洋用垃圾回收装置
CN114657957A (zh) * 2022-04-02 2022-06-24 延安大学 湖面垃圾清理机器人
KR102450796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450799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7957A (zh) * 2022-04-02 2022-06-24 延安大学 湖面垃圾清理机器人
CN114438986A (zh) * 2022-04-12 2022-05-06 山东省海洋资源与环境研究院(山东省海洋环境监测中心、山东省水产品质量检验中心) 一种利用潮汐能的海洋用垃圾回收装置
CN114438986B (zh) * 2022-04-12 2022-06-07 山东省海洋资源与环境研究院(山东省海洋环境监测中心、山东省水产品质量检验中心) 一种利用潮汐能的海洋用垃圾回收装置
KR102450796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450799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8285A (ko) 해양 쓰레기통
KR102051547B1 (ko)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101985436B1 (ko)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청소유닛
US20150292174A1 (en) Apparatus for reducing water-bloom and removing floating matters using infrared ray sensor and gps
CN107401152B (zh) 一种小型水上垃圾清理装置
CN203249861U (zh) 一种用于检测鱼塘水质浊度的无线传感网络节点装置
KR101772984B1 (ko) 부유물 제거장치
KR101613674B1 (ko) 하이브리드 해양 시스템
Akib et al. Unmanned floating waste collecting robot
CN103245766A (zh) 用于防污水偷排的ph值监测wsn节点装置及监测方法
US202303633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ultivation and harvesting of aquatic animals
CN110199961A (zh) 一种自主避障寻迹识别的多功能智能捕鱼船
Zolich et al. A communication bridge between underwater sensors and unmanned vehicles using a surface wireless sensor network-design and validation
CN203583447U (zh) 水面浮萍清理机
CN206713726U (zh) 一种猫砂盆
CN208235474U (zh) 自游式水面浮渣收集装置
CN110231022A (zh) 一种海浪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US20200115868A1 (en) Hybrid water filtering cleaning and quality monitoring device
CN108521154B (zh) 充电方法、洗地机及基于洗地机的充电系统
KR101614432B1 (ko) 녹조 발견 및 제거 로봇
CN112298477B (zh) 一种地表水水质监测用水库小型式水面监测装置
Michel et al. A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open ocean aquaculture
CN108221890A (zh) 一种海洋污染分类清理装置
Reddy et al. An autonomous robot for removing Underwater pollution: OCTACLEANER
CN207469207U (zh) 一种新型水体智能检测除藻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