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233A -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233A
KR20210078233A KR1020190170073A KR20190170073A KR20210078233A KR 20210078233 A KR20210078233 A KR 20210078233A KR 1020190170073 A KR1020190170073 A KR 1020190170073A KR 20190170073 A KR20190170073 A KR 20190170073A KR 20210078233 A KR20210078233 A KR 2021007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elastic member
case
compress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935B1 (ko
Inventor
권용욱
박대현
이창락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9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9Tens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6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for gripping or pushing bones, e.g. approxim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7Joint mechanisms or joint supports in addition to the natural joints and outside the joint g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2017/681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에 탄성부재를 배치시키고 그 케이스에 의해 안내되어 인장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성장판을 사이에 두고 뼈에 체결된 스크류들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성장판에 균일하고 정밀한 인장력을 지속적으로 인가시켜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성장판의 성장 촉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압축 유닛에 의해 탄성부재의 인장을 일시적으로 허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술부위에 본 실시예의 설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 향상은 물론, 시술 시간 단축으로 인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Elastic pressurization type bone growth promo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장판의 성장 촉진을 가능하게 하고, 인체 내부에서 성장판 성장 촉진을 위한 의료기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조개 개선된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퇴골(femur), 경골(tibia), 상박골(humerus) 등 길이가 긴 장골은 중앙부를 형성하는 골간(diaphysis)과, 골간의 양단부에 구비된 골간단(metaphysis), 골간단의 외곽에 구비된 골단(epiphysis)으로 구비되며, 골간단과
골단 사이에는 성장판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골간의 내부에는 골수가 차 있는 골수강이 존재하며, 상기 성장판을 통해 뼈가 성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골의 성장판은 골단으로부터 골간단을 향하는 내부 방향의 압축력을 받으면 길이 성장이 저해되고, 골간단으로부터 골단을 향하는 외부 방향의 인장력을 받을 때 길이 성장이 촉진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에는, 성장판에 외부를 향하는 인장력을 가해 뼈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장치가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뼈 성장 촉진장치는 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인장력을 가하는 구조로, 성장판의 자극시 피부조직이 함께 압박됨에 따라 피부조직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착용자의 고통을 유발하고, 외부로 노출된 장치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66527호에 개시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도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원활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6665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803423호 일본 등록특허 48013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내부에서 성장판 성장 촉진을 위한 의료기기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술의 편리성 향상 및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는, 장골을 이루는 골간단부와 골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성장판에 인장력을 가하여 장골의 성장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골간단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골단부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각 스크류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시킬 수 있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킨 상태로 시술 부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압축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이 각각 통과되어 상기 각 스크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각각 개방된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방된 부위를 한정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에 삽입되고 압축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케이스에 대한 상대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압축용 구멍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압축규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크류의 헤드와 제2스크류의 헤드에는 각각 복수의 결속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스크류의 결속용 구멍을 통해 그 제1스크류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2스크류의 결속용 구멍을 통해 제2스크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크류의 헤드와 제2스크류의 헤드에는 각각 복수의 결속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 중 마주하는 어느 하나의 결속용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축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가 통과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길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가 통과된 후 상대이동될 수 있게 하는 장공의 관통슬릿; 상기 관통공과 관통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압축용 구멍들;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 쌍의 압축용 구멍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탄성부재를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그 탄성부재의 양측을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압축용 구멍들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한 쌍의 압축규제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는, 케이스 내에 탄성부재를 배치시키고 그 케이스에 의해 안내되어 인장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성장판을 사이에 두고 뼈에 체결된 스크류들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성장판에 균일하고 정밀한 인장력을 지속적으로 인가시켜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성장판의 성장 촉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압축 유닛에 의해 탄성부재의 인장을 일시적으로 허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술부위에 본 실시예의 설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 향상은 물론, 시술 시간 단축으로 인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뼈 성장 촉진 장치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는, 장골을 이루는 골간단부와 골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성장판(A)에 인장력을 가하여 장골의 성장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탄성부재(1)와 케이스(2)와 압축 유닛(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1)는, 예컨대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골간단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S1)와 상기 골단부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S2)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스크류들 중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가하여 성장판(A)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케이스(2)는, 상기 탄성부재(1)를 수용시킬 수 있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탄성부재(1)가 케이스(2) 외부로 벗어남 없이 케이스(2)의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인장될 수 있게 하여, 성장판(A)의 요구되는 부위에 정확하게 성장판(A) 성장 촉진을 위한 힘을 인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압축 유닛(3)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를 압축시킨 상태로 시술 부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탄성부재(1)의 인장을 일시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늘어나려고 하는 인장성을 가진 탄성부재(1)로 인해 본 실시예의 설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는, 도 4와 같이, 케이스(2) 내에 탄성부재(1)를 배치시키고 그 케이스(2)에 의해 안내되어 인장되는 탄성부재(1)에 의해 성장판(A)을 사이에 두고 뼈에 체결된 스크류들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성장판(A)에 균일하고 정밀한 인장력을 지속적으로 인가시켜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성장판(A)의 성장 촉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하고, 이에 더하여 도 3과 같이, 압축 유닛(3)에 의해 탄성부재(1)의 인장을 일시적으로 허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술부위에 본 실시예의 설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 향상은 물론, 시술 시간 단축으로 인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기 케이스(2)는, 상기 탄성부재(1)의 양측이 각각 통과되어 상기 각 스크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각각 개방된 부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1)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지지리브(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21)는 개방된 부위를 가로 질러 배치되어서 그 개방된 부위의 개방 정도를 한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탄성부재(1)의 일측을 상기 케이스(2)의 지지리브(21)에 지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탄성부재(1)의 타측을 압축 유닛(3)에 의해 인장되지 않게 함으로써, 지지리브(21)가 없어서 탄성부재(1)의 양측의 인장을 모두 허용하지 않게 하는 추가 구성이 필요한 비교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의 시술부위 설치시까지 상기 탄성부재(1)의 인장을 허용하지 않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압축 유닛(3)은, 탄성부재(1)의 인장을 일시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31)와 압축규제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채용되었다.
즉, 상기 가압부재(31)는, 상기 케이스(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부(311)와 지지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311)는 상기 탄성부재(1)의 내측에 삽입되어서 그 탄성부재(1)의 인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압축규제핀(32)이 삽입되는 압축용 구멍(3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12)는 상기 가이드부(3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가 접촉되어서 그 탄성부재(1)를 지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규제핀(32)은, 상기 케이스(2)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311)의 압축용 구멍(311a)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어서, 상기 가압부재(31)의 케이스(2)에 대한 상대이동을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즉,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규제핀(32)이 상기 가압부재(31)의 가이드부(311)의 압축용 구멍(311a)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1)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가압부재(31)의 지지부(312)의 케이스(2)에 대한 상대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탄성부재(1)의 인장으로 인한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본 실시예를 요구되는 시술부위까지 원활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와 같이 본 실시예가 시술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규제핀(32)의 압축용 구멍(311a)에 대한 삽입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의 인장력이 상기 가압부재(31)를 통해 스크류(S1) 측에 전달됨으로써, 성장판(A)의 성장 촉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크류(S1)의 헤드와 제2스크류(S2)의 헤드에는 각각 복수의 결속용 구멍(H1)(H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1)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1)의 일측이 상기 제1스크류(S1)의 결속용 구멍(H1)을 통해 그 제1스크류(S1)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의 타측이 상기 제2스크류(S2)의 결속용 구멍(H2)을 통해 제2스크류(S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는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입수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렴한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스크류(S1)의 헤드와 제2스크류(S2)의 헤드에는 각각 복수의 결속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탄성부재의 일측이 상기 결속용 구멍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압부재(5)의 지지부(511)가 상기 결속용 구멍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가압부재(5)의 지지부(511)는 상기 제1스크류(S1)와 제2스크류(S2) 중 마주하는 어느 하나(S1)의 결속용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보스(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인장력이 상기 가압부재(5)를 통해 스크류(S1)에 균일하고 정확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가압부재(5)의 지지부(511)와 마찬가지로, 케이스(6)의 지지리브(611)에 마련되고 상기 제1스크류(S1)와 제2스크류(S2) 중 마주하는 다른 하나(S2)의 결속용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보스(61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스(6)의 다른 하나의 스크류(S2)에 대한 견고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압축 유닛은, 케이스(7)에 형성된 관통공(71)과 관통슬릿(72)과 압축용 구멍(73)들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용 구멍(73)들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압축규제핀(8)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공(71)은, 상기 케이스(7)의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가 통과되는 부분이고, 상기 관통슬릿(72)은, 상기 관통공(71)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케이스(7)의 외면에 상기 관통공(71)보다 길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가 통과된 후 상대이동될 수 있게 하는 장공(long hole)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용 구멍(73)들은 상기 관통공(71)과 관통슬릿(7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압축규제핀(8)들은, 상기 케이스(7)의 상기 한 쌍의 압축용 구멍(73)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탄성부재(9)를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압축용 구멍(73)들에 삽입되어서 탄성부재(9)의 인장을 허용하지 않는 상태로 본 실시예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압축규제핀(8)들의 상기 한 쌍의 압축용 구멍(73)들에 대한 삽입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압축규제핀(8)들에 의해 눌려 있던 탄성부재(9)가 상기 한 쌍의 스크류(S1)(S2)들에 접촉됨으로써 그 스크류(S1)(S2)들에 직접 인장력을 가하여 성장판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탄성부재 2:케이스
21:지지리브 3:압축 유닛
31:가압부재 311:가이드부
311a:압축용 구멍 312:지지부
32:압축규제핀 A:성장판
H1,H2:결속용 구멍 S1:제1스크류
S2:제2스크류

Claims (7)

  1. 장골을 이루는 골간단부와 골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성장판에 인장력을 가하여 장골의 성장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골간단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골단부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각 스크류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시킬 수 있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킨 상태로 시술 부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압축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이 각각 통과되어 상기 각 스크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각각 개방된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방된 부위를 한정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에 삽입되고 압축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케이스에 대한 상대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압축용 구멍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압축규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의 헤드와 제2스크류의 헤드에는 각각 복수의 결속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스크류의 결속용 구멍을 통해 그 제1스크류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2스크류의 결속용 구멍을 통해 제2스크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의 헤드와 제2스크류의 헤드에는 각각 복수의 결속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 중 마주하는 어느 하나의 결속용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가 통과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길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가 통과된 후 상대이동될 수 있게 하는 장공의 관통슬릿;
    상기 관통공과 관통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압축용 구멍들;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 쌍의 압축용 구멍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탄성부재를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그 탄성부재의 양측을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압축용 구멍들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한 쌍의 압축규제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KR1020190170073A 2019-12-18 2019-12-18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KR10232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73A KR102324935B1 (ko) 2019-12-18 2019-12-18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73A KR102324935B1 (ko) 2019-12-18 2019-12-18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233A true KR20210078233A (ko) 2021-06-28
KR102324935B1 KR102324935B1 (ko) 2021-11-10

Family

ID=7660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073A KR102324935B1 (ko) 2019-12-18 2019-12-18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485B1 (ko) * 2023-03-14 2023-05-31 주식회사 엠디온바이오 뼈 성장 촉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318B2 (ja) 2002-11-13 2011-10-26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
KR101666527B1 (ko) 2015-12-14 2016-10-24 권용원 뼈 성장 촉진용 임플란트 장치
KR101803423B1 (ko) 2017-04-20 2017-11-30 에스제이크리웍스 주식회사 신체 발육 촉진을 위한 성장판 자극 장치
US20180028234A1 (en) * 2016-07-28 2018-02-01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correction construct and method
US20190282277A1 (en) * 2015-04-17 2019-09-19 Apifix Ltd. Expandable polyaxial spinal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318B2 (ja) 2002-11-13 2011-10-26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
US20190282277A1 (en) * 2015-04-17 2019-09-19 Apifix Ltd. Expandable polyaxial spinal system
KR101666527B1 (ko) 2015-12-14 2016-10-24 권용원 뼈 성장 촉진용 임플란트 장치
US20180028234A1 (en) * 2016-07-28 2018-02-01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correction construct and method
KR101803423B1 (ko) 2017-04-20 2017-11-30 에스제이크리웍스 주식회사 신체 발육 촉진을 위한 성장판 자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485B1 (ko) * 2023-03-14 2023-05-31 주식회사 엠디온바이오 뼈 성장 촉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935B1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902B2 (en) Joint fusion apparatus for the ankle-type joint and arthrodetic pin for use in said apparatus
US2580821A (en) Spring impactor bone plate
KR101632652B1 (ko)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위한 고정 기구
JP5351515B2 (ja) 胸骨再構成システム
KR101740905B1 (ko)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위한 고정 기구
US6576018B1 (en) Apparatus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flatfoot
WO1995003003A1 (en) Bone fixation system
JPS61103439A (ja) 骨縫合用プレート
JP2003093400A (ja) 2つの骨片を互いに固定するインプラント
KR102324935B1 (ko) 탄성 가압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US20120316561A1 (en) Customized intraoral jaw distractor and use of such a distractor in order to obtain almost continuous distraction
US11701154B2 (en) Bone plate internal fixator device
KR102310844B1 (ko) 뼈 내고정술용 겸자
KR100942170B1 (ko) 척추궁 성형 플레이트
JP7093119B2 (ja) 骨固定プレート
KR102004365B1 (ko) 골절 부위 연장용 골절 고정 플레이트 세트
KR102538485B1 (ko) 뼈 성장 촉진 장치
KR102328801B1 (ko) 척추 교정 장치
KR20190139435A (ko) 인체 외부에서의 조작이 가능한 식립 타입 뼈 성장 촉진 장치
KR102210692B1 (ko)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US20220151665A1 (en) Dynamic bone plate and method of use
CN109620378B (zh) 植入物的定位结构
KR102146161B1 (ko) 결합돌기가 구비된 치조골 골유도재생용 차폐막
JP7284805B2 (ja) 骨固定用プレート
KR20180007143A (ko) 수술용 견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