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540A -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 Google Patents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540A
KR20210077540A KR1020190169278A KR20190169278A KR20210077540A KR 20210077540 A KR20210077540 A KR 20210077540A KR 1020190169278 A KR1020190169278 A KR 1020190169278A KR 20190169278 A KR20190169278 A KR 20190169278A KR 20210077540 A KR20210077540 A KR 2021007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controller
confirmation means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905B1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아이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포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9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5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means for identifying a deposit; Deposits carry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회사에서 부여한 송장정보를 스캔한 스캔정보를 통해 무인택배함이나 통합서버에서 이를 조회하여 배송자를 확인 후, 해당 무인택배함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무인택배함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스캔하되 그 스캔정보를 컨트롤러에 의해 조회하는 단계와, 2)상기 컨트롤러가 배송자단말에 확인수단을 전송하는 단계 및 3)전송받은 상기 확인수단을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여 배송자의 인증을 완료하여 상기 무인택배함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Parcel delivery method which is capable of identifying information of deliverer}
본 발명은 택배회사에서 부여한 송장정보를 스캔한 스캔정보를 통해 무인택배함이나 통합서버에서 이를 조회하여 배송자를 확인 후, 해당 무인택배함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택배 서비스는 물품을 발송하는 발송인이 택배 운송이 가능한 장소에서 택배 운송을 요청하면, 택배사는 물품을 수취하여 수취인의 주소지까지 가서 물품을 전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택배물품의 수령시 수령인 본인이나 주변 사람에게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수령인 본인이나 주변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택배물품의 전달이 곤란하다. 아파트의 경우, 경비실 또는 관리실을 통해 택배물품을 전달받기도 하지만, 수령인 본인이나 주변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택배물품의 전달을 위해 택배기사가 수 차례 재방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령인은 택배를 받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한편, 최근 들어 택배기사를 가장하여 가정 내에 침입, 각종 범죄행위를 일삼는 사례가 늘어나 이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수령인의 부재 시에도 택배물품을 수령할 수 있고 가정 또는 사무실에 수령자가 있더라도 택배기사와 직접 대면 없이 택배물품을 안전하게 전달받을 수 있는 택배 시스템이 시급하다.
종래에도 무인택배 서비스에 대한 특허가 일부 출원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에서는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패스워드 입력시 개방되는 보관함; 상기 식별정보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요청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상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보관함에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입력하는 스마트 단말; 및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보관함의 식별정보 및 패스워드가 저장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패스워드 요청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기 저장된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화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패스워드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를 검색하여 상기 스마트단말로 송신하는 무인택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택배물품을 배송한 배송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구성이 전혀 없어 배송자의 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무인택배 서비스를 통해 구매물품을 수령시에 정확하게 본인이 구매한 물품을 배송한 배송자인지에 관한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0926호 (2015.02.27)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송자에 관한 정보를 조회 후, 검증하는 절차를 통해 해당 배송자에 관한 신원을 확인하여 무인택배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은 1)무인택배함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스캔하되 그 스캔정보를 컨트롤러에 의해 조회하는 단계와, 2)상기 컨트롤러가 배송자단말에 확인수단을 전송하는 단계 및 3)전송받은 상기 확인수단을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여 배송자의 인증을 완료하여 상기 무인택배함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송장정보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상기 확인수단은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텍스트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은 1)무인택배함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스캔하되 그 스캔정보를 컨트롤러에 의해 조회하는 단계와, 2)통합서버를 통해 해당 스캔정보를 조회하되 그 조회 결과에 따라 배송자단말에 상기 통합서버에 등록된 배송자정보를 토대로 확인수단을 전송하는 단계 및 3)상기 확인수단을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여 상기 무인택배함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송장정보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되, 상기 확인수단은 배송자 또는 해당 배송자가 속한 택배회사를 확인할 수 있게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텍스트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택배사에서 부여한 배송자의 연락처가 포함된 송장정보의 스캔을 통해 무인택배함의 컨트롤러 또는 통합서버에서 전송하는 확인수단을 해당 배송자가 상기 무인택배함에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안심하고 구매물품의 수납이나 수령이 가능하며, 나아가서는 해당 배송자의 역추적도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대한 개념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이하, 간략하게 '물품배송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실시예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송장정보(200)는 복수의 배송자를 관리하되 구매자의 구매물품을 위탁받아 해당 배송자를 통해 무인택배함(100)으로 배송하는 택배회사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해당 구매물품의 정보 이외에 택배사에 등록된 배송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정보를 의미한다.
<제1실시예>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1)에 따른 물품배송방법은 크게 송장정보를 스캔 후, 조회하는 단계(S10), 배송자단말에 확인수단을 전송하는 단계(S20) 및 전송된 확인수단을 입력하여 배송자에 관한 인증을 완료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단계(S10)는 배송자가 무인택배함(100)을 이용하여 송장정보(200)를 스캔하여 배송자의 인증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배송자는 예컨대 구매물품을 배송하고자 하는 배송지역에 구비된 무인택배함(100)의 스캐너(120)를 통해 해당 구매물품에 바코드나 QR 코드 방식으로 부착된 송장정보(200)를 먼저 스캔하며, 그 스캔정보 컨트롤러(110)를 통해 판독(조회)되어 상기 송장정보(200)에 포함된 배송자의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캔정보의 조회를 통해 상기 2)단계(S20)로 순차되며, 상기 2)단계(S20)는 조회된 배송자의 배송자단말(400)에 확인수단을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확인수단은 컨트롤러(110)에 입력이 가능한 문자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배송자단말(400)에 전송되며, 상기 확인수단은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랜덤으로 생성하여 발생하거나 송장정보(200)에 포함되어 상기 배송자단말(4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배송자단말(400)을 통해 확인수단을 전송받은 배송자는 상기 3)단계(S30)로, 컨트롤러(110)의 입력 키패드 등을 통해 상기 확인수단에 전송된 텍스트정보를 입력하여 무인택배함(100)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은 물론, 택배사에서 보증하는 배송자로부터 배송된 구매물품이라는 것을 인증받을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2)에 따른 물품배송방법은 크게 송장정보를 스캔 후, 조회하는 단계(S100), 통합서버의 검증단계(S200) 및 확인수단을 입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제1단계(S100)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1)의 1)단계(S10)와 동일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제2실시예(2)에 대한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상기 1)단계(S10)의 설명을 대신하며, 하기에는 제2단계(S200)부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단계(S100)에 의한 스캔정보의 조회를 통해 상기 제2단계(S200)로 순차되며, 상기 제2단계(S200)는 컨트롤러(110)를 통해 해당 스캔정보가 통합서버(300)로 전송되어 배송자에 관한 검증을 실행한다.
여기서, 배송자에 관한 검증은 송장정보(200)에 포함된 배송자의 전화번호를 검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스캔정보가 컨트롤러(110)와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통합서버(300)에 전송되면 상기 통합서버(300)가 보유한 데이터 베이스(310)의 정보와 대비하여 해당 배송자가 상기 통합서버(300)에 출입한 이력이 있는 배송자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즉, 배송자가 무인택배함(100)의 사용을 위해 상기 무인택배함(100)을 관리하는 아파트 관리소 등의 통합서버(300)에 접속하여 전화번호 등의 배송자정보가 입력된 이력이 있으면, 해당 배송자정보는 상기 통합서버(30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310)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된 배송자정보는 차후 해당 배송자가 무인택배함(100)을 재이용하기 위해 송장정보(200)를 스캔하면 통합서버(300)는 그 스캔정보와 배송자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된 배송자임을 검증함으로써, 배송자에 관한 신원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송자에 관한 신원이 확인되면 제3단계(S300)로 해당 배송자는 이미 숙지하고 있는 확인수단을 무인택배함(100)의 컨트롤러(110)을 통해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갖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1) 또는 제2실시예(2)에서와 같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택배사에서 부여한 배송자의 연락처가 포함된 송장정보(200)의 스캔을 통해 무인택배함(100)의 컨트롤러(110) 또는 통합서버(300)에서 전송하는 확인수단을 해당 배송자가 상기 무인택배함(100)에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안심하고 구매물품의 수납이나 수령이 가능하며, 나아가서는 해당 배송자의 역추적도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100: 무인택배함
110: 컨트롤러 120: 스캐너
200: 송장정보
300: 통합서버
310: 데이터 베이스
400: 배송자단말

Claims (4)

1) 무인택배함(100)의 스캐너(120)를 이용하여 송장정보(200)를 스캔하되 그 스캔정보를 컨트롤러(110)에 의해 조회하는 단계;
2) 상기 컨트롤러(110)가 배송자단말(400)에 확인수단을 전송하는 단계; 및
3) 전송받은 상기 확인수단을 상기 컨트롤러(110)에 입력하여 배송자의 인증을 완료하여 상기 무인택배함(100)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장정보(20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상기 확인수단은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텍스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1) 무인택배함(100)의 스캐너(120)를 이용하여 송장정보(200)를 스캔하되 그 스캔정보를 컨트롤러(110)에 의해 조회하는 단계;
2) 통합서버(300)를 통해 해당 스캔정보를 조회하되 그 조회 결과에 따라 배송자단말(400)에 상기 통합서버(300)에 등록된 배송자정보를 토대로 확인수단을 전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확인수단을 상기 컨트롤러(110)에 입력하여 상기 무인택배함(100)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장정보(20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되,
상기 확인수단은 배송자 또는 해당 배송자가 속한 택배회사를 확인할 수 있게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텍스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KR1020190169278A 2019-12-17 2019-12-17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KR10229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78A KR102295905B1 (ko) 2019-12-17 2019-12-17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78A KR102295905B1 (ko) 2019-12-17 2019-12-17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540A true KR20210077540A (ko) 2021-06-25
KR102295905B1 KR102295905B1 (ko) 2021-08-31

Family

ID=7662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278A KR102295905B1 (ko) 2019-12-17 2019-12-17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9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926A (ko)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6095782A (ja) * 2014-11-17 2016-05-26 日本宅配システム株式會社 宅配ボックス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926A (ko)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6095782A (ja) * 2014-11-17 2016-05-26 日本宅配システム株式會社 宅配ボックス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905B1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6248B2 (en) Integrated real estate showing scheduling and key management system
CN110033536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09757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图像获取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5731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ecured area for the delivery of parcel shipments
KR20150020926A (ko)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074682A (zh) 用于远程访问权限和验证的系统和方法
KR102101249B1 (ko) 서비스 지원 장치, 서비스 지원 방법, 비일시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24592B1 (ko) 제 3 자 사용을 위해 차량에 대한 액세스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4182476B (zh) 房源信息发布及查询方法和系统
KR102093193B1 (ko) 키 정보 관리 장치, 키 정보 관리 방법, 및 키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01052053A1 (en) Entry control system
CN109003378B (zh) 一种小区快递服务区块链安防系统及方法
US117636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ackage delivery
US11734544B2 (en) Mobile passport, mobile passport generation system for generating same, and mobile passport certification method
CN109887128A (zh) 钥匙信息管理装置和管理方法、存储钥匙信息管理程序的计算机可读非瞬时性存储介质
KR20120108199A (ko) 스마트 대여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JP2021504617A (ja) 配達物を安全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CN111753333A (zh) 一种身份验证的方法与系统
CN109934974B (zh) 递送辅助装置、递送辅助方法和记录介质
KR102109669B1 (ko)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295905B1 (ko)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US11599872B2 (en) System and network for access control to real property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KR102566445B1 (ko) 전화 인증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109666B1 (ko) 우편/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SE518554C2 (sv) Hantering av passerk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