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058A -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058A
KR20210077058A KR1020190167706A KR20190167706A KR20210077058A KR 20210077058 A KR20210077058 A KR 20210077058A KR 1020190167706 A KR1020190167706 A KR 1020190167706A KR 20190167706 A KR20190167706 A KR 20190167706A KR 20210077058 A KR20210077058 A KR 20210077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iving
display
information
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진
박나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7058A/ko
Publication of KR2021007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는,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고, 주행 중 수집되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PERSONAL MOBIL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개시된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이동수단에 해당하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에 대한 시장 확대에 따라, 도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안전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도로에서 운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위험한 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들의 이용도가 높은 반면, 운전 미숙으로 인한 사고율도 높은 편이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현재 자동차군으로 분류되어 있어 도로에서 주행이 허용되나, 인도 등에서 무분별하게 이용되어 다수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재 법적으로 퍼스널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25km/h로 규정하고 있는데, 운전자가 퍼스널 모빌리티의 운전에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기기의 최대 속도로 주행 가능하기 때문에 사고가 더욱 발생하기 쉽다.
개시된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운전자의 등급에 따라 최대 속도 및 최대 토크를 설정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운전 습관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는,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고, 주행 중 수집되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로부터 주행 인자들을 추출하고, 상기 주행 인자들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주행 인자들에 대한 점수들을 합산한 총점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은 평균 속도, 급가속 횟수, 급감속 횟수, 헬멧 착용 여부, 양손 운전 여부, 주행 도로 유형, 야간 점등 여부, 반납 장소 및 주차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 중 두 개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등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감점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낮을수록 상기 최대 속도 및 상기 최대 토크를 작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 안전 교육의 이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교육의 이수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주행 완료 후 상기 업데이트 된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이용 요금과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상급인 경우 요금 할인 리워드를 반영하여 상기 이용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핸들바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지정학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 또는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헬멧과 통신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되는 헬멧 착용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헬멧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는 단계; 주행 중 복수의 센서로부터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로부터 주행 인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행 인자들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인자들에 대한 점수들을 합산한 총점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은 평균 속도, 급가속 횟수, 급감속 횟수, 헬멧 착용 여부, 양손 운전 여부, 주행 도로 유형, 야간 점등 여부, 반납 장소 및 주차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 중 두 개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감점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낮을수록 상기 최대 속도 및 상기 최대 토크를 작은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 안전 교육의 이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교육의 이수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은, 주행 완료 후 상기 업데이트 된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 요금과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상급인 경우 요금 할인 리워드를 반영하여 상기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핸들바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지정학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 또는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로부터 헬멧 착용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헬멧 착용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헬멧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는,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 디스플레이; 상기 모터, 상기 통신부,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고, 주행 중 수집되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운전자의 등급에 따라 최대 속도 및 최대 토크를 설정할 수 있다.
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운전 습관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어 환경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주행 인자 및 운전자 등급 산정 방법을 설명하는 표이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가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1)의 다른 명칭은 전동 킥보드일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는 핸들축(11), 발판(12), 핸들바(13R, 13L), 휠(14, 15), 레이더(110), 전방 라이트(210), 오디오 장치(24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1)는 후륜 커버(16), 모터(20), 제동 장치(30), 서스펜션(40), 브레이크 레버(50R, 50L), 압력 센서(120R, 120L), 후방 라이트(220) 및 햅틱 장치(230R, 230L)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축(11)은 발판(12)과 대략 수직하게 연결되고, 핸들축(11)의 상단에는 핸들바(13R, 13L)와 제어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가 핸들바(13R, 13L)를 조작함에 따라 핸들축(11)이 전륜(14)의 조향을 수행한다. 발판(12)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지지면을 제공한다. 핸들축(11)의 일 면 또는 발판(12)의 일 면에는 배터리(130)가 마련될 수 있다. 휠(14, 15)은 전륜(14)과 후륜(15)을 포함한다. 전륜(14)은 발판(12)의 전방에서 핸들축(11)의 일 단에 마련되고, 후륜(15)은 발판(12)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모터(20)는 전륜(14)과 연결되고,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전륜(14)이 회전할 수 있다. 모터(20)의 구동축은 전륜(14)의 휠프레임 및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모터(20)가 마련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모터(20)는 후륜(15)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전륜(14)과 후륜(15)을 모두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모터(200)는 일반적인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이거나, 구동 및 회생 제동 타입 전동기(예: 모터 및 발전기 겸용)일 수 있다.
제동 장치(30)는 휠(14, 15)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제동 장치(30)는 브레이크 레버(50R, 50L)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거나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동 장치(30)는 마찰을 이용한 기계식 브레이크이거나, 전자식 브레이크일 수 있다. 제동 장치(30)는 전륜(14)과 후륜(15)의 회전 속도를 낮추거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40)은 전륜(14)과 후륜(15)에 각각 설치되어 주행 시 도로면과 휠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주변 물체에 관한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전방, 측방 및/또는 후방을 향하는 감지 시야(field of sensing)를 가질 수 있다. 레이더(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핸들축(11)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이더(11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퍼스널 모빌리티(1)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이더(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주변으로 송신 전파를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또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와, 물체에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또는 수신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송신 안테나에 의한 송신된 송신 전파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반사 전파로부터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레이더 데이터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주변 물체에 관한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송신 전파와 반사 전파 사이의 위상 차이(또는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물체까지의 상대 거리를 산출하고, 송신 전파와 반사 전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에 기초하여 물체의 상대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레이더 데이터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레이더(110)는 라이다(Lida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120R, 120L)는 핸들바(13R, 13L)에 설치되고, 핸들바(13R, 13L)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압력 센서(120R, 120L)는 오른쪽 핸들바(13R)와 왼쪽 핸들바(13L)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가 퍼스널 모빌리티(1)에 탑승한 경우, 운전자는 반드시 핸들바(13R, 13L)를 잡아야 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핸들바(13R, 13L)를 손으로 잡을 경우, 운전자의 손으로부터 핸들바(13R, 13L)로 전달되는 압력이 존재한다. 압력 센서(120R, 120L)는 운전자에 의해 핸들바(13R, 13L)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전방 라이트(210)는 핸들축(11)의 전방에 설치되어 퍼스널 모빌리티(1)의 전방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후방 라이트(220)는 후륜 커버(16)에 설치되어 퍼스널 모빌리티(1)의 후방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전방 라이트(210)와 후방 라이트(220)는 LED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방 라이트(210)와 후방 라이트(220)는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장치(230R, 230L)는 핸들바(13R, 13L)에 설치되고, 핸들바(13R, 13L)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장치(230R, 230L)는 압력 센서(120R, 120L)와 함께 마련되거나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햅틱 장치(230R, 230L)의 진동에 의해 핸들바 파지 경고 또는 충돌 위험 경고 중 적어도 하나가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40)는 제어부(300)에 마련될 수 있고,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4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음은, 예를 들면, 70dB 이상의 소리일 수 있다. 오디오 장치(240)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에 의해 핸들바 파지 경고 또는 충돌 위험 경고 중 적어도 하나가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퍼스널 모빌리티(1)는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제어부(300)에 마련될 수 있고, 퍼스널 모빌리티(1)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모터(20), 제동 장치(30), 레이더(110), 압력 센서(120), 배터리(130), 전방 라이트(210), 후방 라이트(220), 햅틱 장치(230), 오디오 장치(240) 및 디스플레이(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핸들축(11)의 상단에 마련되는 제어 박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20), 제동 장치(30), 레이더(110), 압력 센서(120), 배터리(130), 전방 라이트(210), 후방 라이트(220), 햅틱 장치(230), 오디오 장치(240), 디스플레이(25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1)는 통신부(140) 및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속도 센서(160), 자이로 센서(170), 위치 센서(180), 잠금 센서(190)와 같은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각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퍼스널 모빌리티(1)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스널 모빌리티(1)는 서버(2)와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3)와 통신할 수 있으며, 헬멧(4)과 통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퍼스널 모빌리티(1)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 사용자 단말기(3), 헬멧(4)과 같은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헬멧(4)은 통신 장치와 헬멧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헬멧(4)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경우 헬멧 착용 신호를 퍼스널 모빌리티(1)의 통신부(140)를 통해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통신 기술이 적용된 통신 회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 및/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5G(5th Generation),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의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통신,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통신,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는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 장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 장치,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말기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데스크 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및/또는 운전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50)는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15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50)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처리하고 그에 대응하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그에 대응하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은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스널 모빌리티(1)는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160), 핸들바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20),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170), 지정학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180),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는 상술한 센서들 외의 다른 센서들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속도 센서(160)로부터 획득되는 속도 값에 기초하여 평균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속도 센서(160)로부터 획득되는 속도 값에 기초하여 급가속 및 급감속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급가속 횟수 및 급감속 횟수를 셀 수 있다. 제어부(300)는 압력 센서(120)에 의해 획득되는 압력 값에 기초하여 양손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위치 센서(180)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 주행 경로, 주행 도로 유형 및/또는 반납 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자이로 센서(170)에 의해 획득되는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퍼스널 모빌리티(1)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고, 추정한 자세에 기초하여 주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주차 상태는 정상 주차와 불완전 주차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퍼스널 모빌리티(1)가 세워져 있지 않은 경우 불완전 주차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잠금 센서(190)에 의해 확인되는 잠금 상태에 기초하여 주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주차 후에도 잠금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불완전 주차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방 라이트(210)와 후방 라이트(220) 각각에 포함된 점등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방 라이트(210)와 후방 라이트(220)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320) 및 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와 프로세서(310)는 하나의 칩에 집적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와 프로세서(31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20)와 프로세서(310)는 각각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레이더(110)의 레이더 데이터와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모터 구동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생성하며, 전방 라이트(210), 후방 라이트(220), 햅틱 장치(230), 오디오 장치(240) 및 디스플레이(250)의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가 서버(2)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고,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모터(20)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고, 주행 중 수집되는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300)는 서버(2)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고,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모터(20)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고, 주행 중 센서들에 의해 수집되는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운전 행동 데이터로부터 주행 인자들을 추출하고, 주행 인자들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주행 인자들에 대한 점수들을 합산한 총점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주행 인자들은 평균 속도, 급가속 횟수, 급감속 횟수, 헬멧 착용 여부, 양손 운전 여부, 주행 도로 유형, 야간 점등 여부, 반납 장소 및 주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의 등급 정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의 등급은 점수에 따라 최상급, 상급, 중급, 하급, 최하급의 다섯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상급은 81 내지 100점, 상급은 61 내지 80점, 중급은 41 내지 60점, 하급은 21 내지 40점, 최하급은 0 내지 20점에 해당할 수 있다.
운전자의 등급은 과거 주행 기록에 포함된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누적된 전체 주행 기록의 운전 행동 데이터를 반영하게 되면 운전자의 등급이 업그레이드 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주행 기록 및/또는 미리 정해진 주행 건수에 포함된 운전 행동 데이터만 반영하여 운전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의 등급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최근 5건의 주행 기록만 이용될 수 있고, 3개월 이전의 주행 기록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최근 5건의 주행 기록에 기초한 평균 점수의 비중을 70%, 그 이전 3개월 동안의 주행 기록에 기초한 평균 점수의 비중을 30%로 하여 운전자의 등급이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퍼스널 모빌리티(1)의 제어부(300)가 운전자의 등급을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운전자의 등급은 서버(2)에 의해 산출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점 안내 정보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주행 인자와 해당 주행 인자의 점수가 감소하지 않게 도와주는 가이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점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 정보 및 주행 중에 획득되는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감점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부(150)를 통해 감점 안내 정보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이용하여 감정 안내 정보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낮을수록 최대 속도 및 최대 토크를 작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 자체의 최대 속도가 25km/h 이고, 최대 토크가 25N·m일 수 있다. 운전자의 등급이 최상급일 경우, 제어부(300)는 최대 속도를 25km/h, 최대 토크를 25N·m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일 경우, 제어부(300)는 최대 속도를 10km/h, 최대 토크를 10N·m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운전자가 결정된 최대 속도 및 최대 토크 이상으로 속도를 올릴 수 없도록 퍼스널 모빌리티(1)를 제어한다. 운전자의 등급이 낮다는 것은 숙련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운전자의 등급이 낮을수록 저속으로 운행하게 함으로써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 안전 교육의 이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안전 운전의 이수가 완료되는 경우, 운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여 하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 안전 교육의 이수가 완료되기 전까지 퍼스널 모빌리티(1)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등급이 최하급인 운전자는 안전 교육의 이수를 완료한 후 퍼스널 모빌리티(1)를 운행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주행 완료 후 업데이트 된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하고, 이용 요금과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최상급인 경우 요금 할인 리워드를 반영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등급 업드레이드 가이드 정보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에서 다음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현재 운전자의 등급이 상급이고 78점인 경우, 3점을 더 올리면 최상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3점을 더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주행 인자 및 운전자 등급 산정 방법을 설명하는 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운전 행동 데이터로부터 주행 인자들을 추출하고, 주행 인자들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주행 인자들에 대한 점수들을 합산한 총점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표(400)를 참조하면, 주행 인자들은 평균 속도, 급가속 횟수, 급감속 횟수, 헬멧 착용 여부, 양손 운전 여부, 주행 도로 유형, 전방 라이트 점등 여부, 후방 라이트 점등 여부, 반납 장소 및 주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인자들 각각의 최고 점수는 10점일 수 있고, 총점의 최고점은 100점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평균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이상일 경우, 즉 과속일 경우 평균 속도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급가속 횟수에 따라 감점할 수 있고, 급감속 횟수에 따라 감점할 수 있다. 급가속은 순간 가속도가 미리 정해진 가속도를 초과한 경우를 의미한다. 급감속은 속도가 20km/h 이상인 상태에서 제동 속도가 4km/s 이상 발생했을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헬멧 미착용 상태로 주행할 경우 헬멧 착용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일정 시간 이상 양쪽 핸들바의 압력 값이 임계 압력 값 미만일 경우 양손 운전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자동차 전용 도로, 보행자 도로 등 주행이 불허된 도로 구간을 주행한 비율에 따라 주행 도로 유형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전방 라이트를 off한 상태로 야간 주행하는 경우 야간 점등 여부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후방 라이트를 off한 상태로 야간 주행하는 경우 야간 점등 여부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반납이 불허된 구역에서 반납 처리된 경우 반납 장소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불완전 주차 시 주차 상태에 관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주행 인자 별로 산출한 점수를 합산하고, 총점에 따라 운전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최상급은 81 내지 100점, 상급은 61 내지 80점, 중급은 41 내지 60점, 하급은 21 내지 40점, 최하급은 0 내지 20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1)의 전원이 켜지면(501), 제어부(300)는 서버(2)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502).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503), 안전 교육의 이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504). 제어부(300)는, 안전 운전의 이수가 완료되는 경우(505), 운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506).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 안전 교육의 이수가 완료되기 전까지 퍼스널 모빌리티(1)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이 아닌 경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모터(20)의 최대 토크를 결정할 수 있다(507). 제어부(300)는 결정된 최대 속도 및 최대 토크에 기초하여 퍼스널 모빌리티(1)의 주행을 제어한다. 주행이 개시되면 제어부(300)는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508). 제어부(300)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509). 제어부(300)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 정보 및 주행 중에 획득되는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주행 완료 후, 주행 중에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510). 즉, 현재 운전자의 등급이 변경될 수 있다. 주행 시마다 운전 행동 데이터의 주행 인자들에 관한 점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운전자의 등급이 중급인 경우 상급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업데이트 된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서버(2)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2)는 업데이트 된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주행 완료 후 업데이트 된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하고, 이용 요금과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511).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등급이 최상급인 경우 요금 할인 리워드를 반영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도 6은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는 퍼스널 모빌리티(1)의 디스플레이(250)에도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 정보(610)를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운전자의 등급 정보는 상급, 78점, 현재 설정된 최대 속도 및 최대 토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는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620)를 표시할 수 있다.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620)는 다음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 아이콘(630)을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선택한 경우, 제어부(300)는 감점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가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점 안내 정보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주행 인자와 해당 주행 인자의 점수가 감소하지 않게 도와주는 가이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점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 정보 및 주행 중에 획득되는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점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현재 운전자의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주행 인자로서 "과속"이 표시되어 있고, 가이드 메시지로서 "어린이 보호 구역입니다. 서행하세요! 제한 속도 10km/h"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운전자의 등급에 따라 최대 속도 및 최대 토크를 설정할 수 있다.
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운전 습관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어 환경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퍼스널 모빌리티
20: 모터
30: 제동 장치
110: 레이더
120: 압력 센서
130: 배터리
140: 통신부
150: 입력부
160: 속도 센서
170: 자이로 센서
180: 위치 센서
190: 잠금 센서
210: 전방 라이트
220: 후방 라이트
230: 햅틱 장치
240: 오디오 장치
250: 디스플레이
300: 제어부

Claims (25)

  1.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고, 주행 중 수집되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로부터 주행 인자들을 추출하고, 상기 주행 인자들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주행 인자들에 대한 점수들을 합산한 총점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은
    평균 속도, 급가속 횟수, 급감속 횟수, 헬멧 착용 여부, 양손 운전 여부, 주행 도로 유형, 야간 점등 여부, 반납 장소 및 주차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 중 두 개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감점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낮을수록 상기 최대 속도 및 상기 최대 토크를 작은 값으로 결정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 안전 교육의 이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교육의 이수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행 완료 후 상기 업데이트 된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이용 요금과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상급인 경우 요금 할인 리워드를 반영하여 상기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핸들바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지정학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 또는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헬멧과 통신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되는 헬멧 착용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헬멧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3.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는 단계;
    주행 중 복수의 센서로부터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로부터 주행 인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행 인자들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인자들에 대한 점수들을 합산한 총점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은
    평균 속도, 급가속 횟수, 급감속 횟수, 헬멧 착용 여부, 양손 운전 여부, 주행 도로 유형, 야간 점등 여부, 반납 장소 및 주차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행 인자들 중 두 개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중 감점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감점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낮을수록 상기 최대 속도 및 상기 최대 토크를 작은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하급인 경우, 안전 교육의 이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교육의 이수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주행 완료 후 상기 업데이트 된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 요금과 등급 업그레이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등급이 최상급인 경우 요금 할인 리워드를 반영하여 상기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핸들바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지정학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 또는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통신부로부터 헬멧 착용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헬멧 착용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헬멧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 방법.
  25.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운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
    디스플레이;
    상기 모터, 상기 통신부,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속도 및 상기 모터의 최대 토크를 결정하고, 주행 중 수집되는 상기 운전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의 등급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190167706A 2019-12-16 2019-12-16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77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706A KR20210077058A (ko) 2019-12-16 2019-12-16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706A KR20210077058A (ko) 2019-12-16 2019-12-16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058A true KR20210077058A (ko) 2021-06-25

Family

ID=7662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706A KR20210077058A (ko) 2019-12-16 2019-12-16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70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59908A (ja) * 2022-04-21 2023-11-02 俊介 水谷 安全走行支援システムサーバ、及び安全走行支援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59908A (ja) * 2022-04-21 2023-11-02 俊介 水谷 安全走行支援システムサーバ、及び安全走行支援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660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416123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차량
KR20190115040A (ko) 운전 거동 결정 방법, 디바이스, 장비 및 저장 매체
CN112258837B (zh) 一种车辆预警的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4956182A (zh) 基于头盔的导航通知
RU2015140481A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телеметрии, формирования карт и планирования маршрута для турис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3869481A1 (en) Method of determining vehicle accident, server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vehic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5194891A (ja) 運転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524937B1 (en) Method of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for a vehicle with use of a portable device, and a navigation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CN112615924A (zh) 一种为用户推送音乐的方法和装置
JPWO2018179305A1 (ja) 走行経路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10077058A (ko)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CN114307128A (zh) 一种基于车载娱乐系统的互动方法、车辆及介质
WO2018070235A1 (ja) 制御システム、サー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045518A (zh) 获取姿态数据的方法及相关装置
US11491958B2 (en) Braking device for a bicycle and braking system for a bicycle
WO2016188547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oviding turn guidance
CN111806617B (zh) 一种电动车的控制方法和装置
EP3765821B1 (en) Intra-route feedback system
KR101305547B1 (ko) 주행 감정 표현 시스템
KR20210104194A (ko)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52649A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2431493B1 (ko)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차량기능 안내 및 가상 시험주행 경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132301B (zh) 一种引领式车辆导航方法及系统
CN113650712A (zh) 电动自行车的控制方法、装置及电动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