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577A -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577A
KR20210076577A KR1020190167937A KR20190167937A KR20210076577A KR 20210076577 A KR20210076577 A KR 20210076577A KR 1020190167937 A KR1020190167937 A KR 1020190167937A KR 20190167937 A KR20190167937 A KR 20190167937A KR 20210076577 A KR20210076577 A KR 20210076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peer
content
digi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현
권정현
김민섭
김준혁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6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577A/ko
Publication of KR2021007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피투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1 피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피어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콘텐츠 판매부; 및 상기 제2 피어가 상기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제1 피어 측에 제공할 대금을 정산하는 대금 정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digital content based on peer-to-peer network}
본 발명은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투피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촉진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는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MP3 음악 파일, 멀티미디어 서적 등과 같이 디지털화된 방법으로 제작, 유통, 소비되는 콘텐츠를 말한다. 최근,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단말들이 보급됨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지원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83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집중형 구조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지원하는 기존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측에서 거래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을 모두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판매된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자 측에 제공하기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시 근본적으로 SPF(Single Point of Failure)의 위험이 상존하고 거래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떨어지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 인프라의 구축과 유지·관리를 위해 높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 기술은 피투피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개선하고,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 인프라의 구축과 유지·관리에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피투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1 피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피어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콘텐츠 판매부; 및 상기 제2 피어가 상기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제1 피어 측에 제공할 대금을 정산하는 대금 정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제1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는 과정 없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판매부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 상기 제2 피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수행부; 및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제2 피어와 관련된 거래 내역의 조회를 요청하고 해당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피어를 인증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수행부는, 상기 제2 피어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1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피어로부터 상기 제1 해시값과 함께 다운로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판매부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거나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거래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 및 판매 횟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와 관련된 피어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인센티브 지급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분산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하는 분산화 지수 산출부;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판매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하는 인기도 지수 산출부; 및 상기 분산화 지수 및 인기도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하는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는, 상기 인센티브 지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제2 피어에 각각 분배하여 지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과 데이터 통신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이 피투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1 피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는 (a)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피어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 단계; 및 상기 제2 피어가 상기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피어 측에 제공할 대금을 정산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는 과정 없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1) 단계; 상기 제2 피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b2) 단계; 및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3)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제2 피어와 관련된 거래 내역의 조회를 요청하고 해당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피어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피어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1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4) 단계; 및 상기 제2 피어로부터 상기 제1 해시값과 함께 다운로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5)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거나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시스템이 상기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 및 판매 횟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와 관련된 피어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분산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하는 (e1) 단계;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판매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하는 (e2) 단계; 및 상기 분산화 지수 및 인기도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하는 (e3)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e3) 단계에서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제2 피어에 각각 분배하여 지급하는 (e4)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동작 또는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이 거래 대상 콘텐츠들을 중앙 집중형 구조로 관리하지 않고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분산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만을 중개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개선하고,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 인프라의 구축과 유지·관리에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이력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는 피어들을 블록체인 원장을 조회하여 인증하고, 인증된 피어들에 대해서만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를 허용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이력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판매 횟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따라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에 기여한 피어나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피어 등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와 분산화를 촉진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는 피어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경로를 다원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등록 프로세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판매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에 있어서 인센티브 지급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들은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술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투피 네트워크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투피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 환경은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피어(peer)(10)를 포함하며, 블록체인 시스템(20)과 결제 서버(3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피어(10)는,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자나 구매자 등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통신 단말들로서,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고정 단말로 구성되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피어(10)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장에 사용되는 스토리지를 가진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을 생성, 검증, 관리하는 노드들로 이루어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들은 각각 서버(server)나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데이터 통신과 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만 접근할 수 있는 프라이빗 체인(private chai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결제 서버(30)는, 온라인 결제를 처리하고 정산하는 신용카드사나 결제 대행사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결제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대금 결제를 처리하고,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결제된 대금에 대한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은 이러한 피투피 네트워크에 적용되어 피투피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은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10), 블록체인 시스템(20), 결제 서버(30) 등과 데이터 통신 가능한 1 또는 2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은, 통신부(102), 입력부(104), 저장부(106) 및 제어부(1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2)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피어(10), 블록체인 시스템(20), 결제 서버(30) 또는 그 밖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08)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08)의 제어 신호나 데이터를 피어(10), 블록체인 시스템(20), 결제 서버(30) 또는 그 밖의 다른 통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통신부(102)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2)는 USB 포트, 유선랜 포트 또는 그 밖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다양한 통신 포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4)는, 서비스 제공자나 관리자의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104)는 키보드, 조작 버튼 또는 터치 패널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6)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저장부(106)는 ROM, RAM, EEPROM, 레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기록장치 등의 다양한 저장 매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은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을 저장부(106)에 직접 저장하며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제어부(108)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08)는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한 범용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그 밖의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8)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8)의 제어 로직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제어부(108)의 자체 메모리나 저장부(106)에 저장되고,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어부(108)의 하드웨어를 통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8)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세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08)는 콘텐츠 등록부(110), 콘텐츠 판매부(120) 및 대금 정산부(13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인증 수행부(140), 인센티브 지급부(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등록부(110)는, 콘텐츠 제공자의 피어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1 피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콘텐츠 등록부(110)는 상기 제1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는 과정 없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한다. 즉,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은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을 직접 저장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해당 콘텐츠의 명칭, 생성일자, 가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또는 생체정보 등과 같은 제1 피어의 사용자 식별 정보, 제1 피어의 단말 식별 정보와 IP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등록부(110)는 디지털 콘텐츠와 피어에 관한 정보를 DHT(Distributed Hash Table)를 통해 암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DHT는 해시함수를 활용하여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크기가 다른 자료들을 특정한 길이의 암호화된 키로 변환시켜서 피어들 간에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경우, 해시함수로는 미국의 NSA(National Security Agency)에서 설계한 SHA(Secure Hashing Algorithm)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SHA-2 계열 중 모든 입력된 데이터를 64자리 해시값으로 리턴하는 SHA-256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등록부(110)는 디지털 콘텐츠의 등록 후, 상기 제1 피어를 식별하는 해시값(peer ID)과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해시값(content ID)을 제1 피어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상에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1 피어가 저장 및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는 암호화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과 피어(10) 간 교환되는 메시지도 암호화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판매부(120)는, 콘텐츠 구매자의 피어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피어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콘텐츠 판매부(120)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콘텐츠 제공자의 제1 피어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콘텐츠 판매부(120)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122), 결제 수행부(124) 및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부(122)는, 상기 제2 피어가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에 접속하면 상기 콘텐츠 등록부(110)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콘텐츠 정보는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의 목록을 나열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결제 수행부(124)는, 상기 제2 피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결제 수행부(124)는 상술한 결제 서버(30)와 연동하여 해당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수행부(124)는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상기 제2 피어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유효성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여, 인증된 경우에만 상기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증 수행부(140)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상기 제2 피어와 관련된 거래 내역의 조회를 요청하고 해당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피어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는, 구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우선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1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2 피어로부터 상기 제1 해시값과 함께 다운로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는 피투피 콘텐츠 서치 알고리즘(P2P content search algorithm)을 통해 상기 제1 피어 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를 검색하고,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peer ID)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content ID)으로 이루어진 해시값 페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어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은, 주민등록번호 또는 생체정보 등과 같은 해당 피어의 사용자 식별 정보, 제1 피어의 단말 식별 정보와 IP 주소 등을 결합하여 생성한 해시값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은 해당 콘텐츠의 명칭, 생성일자, 가격 등을 결합하여 생성한 해시값일 수 있다.
상기 피투피 콘텐츠 검색 알고리즘은 피투피 네트워크의 트래픽,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에 등록된 가입자 수, 디지털 콘텐츠의 데이터 양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최적의 콘텐츠 전송 경로 또는 콘텐츠 저장 위치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이다. 이와 같이 피투피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판매되면, 콘텐츠 제공자의 피어는 물론 콘텐츠나 구매자의 피어도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 및 제공하는 캐시(cache)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거래 정보 제공부(128)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거나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에 따른 거래 내역 블록을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원장의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은 원본 Content ID와 이를 제공하는 Peer ID를 결합한 해시값으로 생성한다. 또한, 판매된 디지털 콘텐츠의 Content ID와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한 제2 피어의 peer ID를 결합한 해시값으로 생성한 블록을 블록체인 원장의 마지막 블록에 연결시킨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최종 거래 이력을 기록을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블록체인 원장은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로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 이력이 있는 피어는 암호화된 전용 모바일 앱이나 웹으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블록체인 원장을 조회할 수 있다.
한편, 대금 정산부(130)는, 상기 제2 피어가 상기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제1 피어 측에 제공할 대금을 정산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피어 측에 제공할 대금은 제1 피어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에 최초로 등록했을 때 가격을 기준으로 정산될 수 있다.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상기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 및 판매 횟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와 관련된 피어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 및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156)를 포함한다.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분산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각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는 해당 콘텐츠를 공유한 피어의 수 또는 해당 콘텐츠를 공유한 저장 위치의 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는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부터 제공받은 블록체인 원장을 참조하여 각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대상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에 가입한 100대의 피어 중에서 최다 분산 콘텐츠는 50대의 피어에 복사되었고, 대상 콘텐츠는 10대의 피어에 복사되었다면, 대상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는 0.2가 된다.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는,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판매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는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부터 제공받은 블록체인 원장을 참조하거나 또는 상기 콘텐츠 판매부(120)에 의해 판매된 콘텐츠의 판매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각 콘텐츠의 판매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대상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에 가입한 100대의 피어 중에서 최다 판매 콘텐츠는 40대의 피어에 판매되었고, 대상 콘텐츠는 10대의 피어에 판매되었다면, 대상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는 0.2가 된다.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156)는 상기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에 의해 산출된 분산화 지수와 상기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에 의해 산출된 인기도 지수를 이용하여 대상 디지털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156)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대상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예컨대, 상기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에 의해 산출된 분산화 지수가 0.2이고, 상기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에 의해 산출된 인기도 지수가 0.2라면, 대상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는 1이 된다.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따라 결정된 인센티브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한 제2 피어에 각각 분배하여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지급될 인센티브 금액은, 상기와 같이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정책적으로 정해진 단위 금액을 곱한 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센티브 1당 단위 금액이 100원으로 정해졌다면, 대상 콘텐츠와 관련된 피어에 지급될 인센티브는 100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인센티브는 SNS를 통한 홍보나 광고 등을 통해 해당 콘텐츠의 구매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피어의 서비스 가입이나 디지털 콘텐츠 구매시 상기 콘텐츠 판매부(120) 또는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상기 제2 피어로부터 추천자 정보를 제공받거나, 제2 피어가 접속한 SNS 메시지 링크 정보를 디텍트(detect)하여 해당 SNS 메시지를 전송한 피어를 추천자 피어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피어가 신규 구매자에 해당하는 경우, 인센티브는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제2 피어에 분배되어 지급될 수 있다. 인센티브의 분배율은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분배 계수(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4]
추천자 인센티브 = α× 인센티브
신규 구매자 인센티브 = (1-α)× 인센티브
예컨대, 해당 콘텐츠에 관한 총 인센티브가 100원이고 α가 0.6으로 정해지면, 추천자 피어에 지급될 인센티브는 60원이고, 신규 구매자 피어에 지급된 인센티브는 40원이다.
이러한 인센티브는 은행 계좌로 송금 가능한 디지털 화폐로 지급되거나, 상기 디지털 화폐로 교환 가능한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로 지급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등록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투피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제공자의 피어인 제1 피어(10a)는 자신의 저장소에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다(S300).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콘텐츠 등록부(110)는, 상기 제1 피어(10a)로부터 콘텐츠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한다(S310). 이 경우, 콘텐츠 등록부(110)는 제1 피어(10a)로부터 디지털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는 과정 없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한다.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해당 콘텐츠의 명칭, 생성일자, 가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또는 생체정보 등과 같은 제1 피어의 사용자 식별 정보, 제1 피어의 단말 식별 정보와 IP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콘텐츠 등록부(110)는 디지털 콘텐츠와 피어에 관한 정보를 DHT(Distributed Hash Table)를 통해 암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S320). 디지털 콘텐츠의 등록 후, 콘텐츠 등록부(110)는 상기 제1 피어를 식별하는 해시값(peer ID)과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해시값(content ID)을 제1 피어에 제공할 수 있다(S330).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판매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콘텐츠 판매부(120)는, 콘텐츠 구매자의 피어인 제2 피어(10b)로부터 디지털 콘텐츠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S400 내지 S430).
즉, 콘텐츠 판매부(120)의 콘텐츠 정보 제공부(122)는, 제2 피어(10b)가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에 접속하면 상기 콘텐츠 등록부(110)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제2 피어(10b)에 제공한다. 이 경우, 콘텐츠 정보는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의 목록을 나열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피어(10b)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구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시스템(100)의 결제 수행부(124)는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결제 수행부(124)는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제2 피어(10b) 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유효성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S410),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이력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원장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피어(10b) 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만, 상기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20, S422, S430). 이 경우, 결제 수행부(124)는 상술한 결제 서버(30)와 연동하여 해당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인증 수행부(140)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상기 제2 피어(10b)와 관련된 거래 내역의 조회를 요청하고 해당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피어(10b)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콘텐츠 판매부(120)는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콘텐츠 제공자의 제1 피어(10a)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제2 피어(10b)에 제공한다(S440 내지 S462).
이 경우, 콘텐츠 판매부(120)의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는, 구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우선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1 해시값을 제2 피어(10b) 피어에 제공한다(S440).
그리고, 제2 피어(10b)로부터 상기 제1 해시값과 함께 다운로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S450),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26)는 피투피 콘텐츠 서치 알고리즘(P2P content search algorithm)을 통해 상기 제1 피어 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를 검색하고(S460), 검색 결과에 따라 제1 피어(10a)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peer ID) 및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content ID)으로 이루어진 해시값 페어를 제2 피어에 제공한다(S462). 이 경우, 피어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은, 주민등록번호 또는 생체정보 등과 같은 해당 피어의 사용자 식별 정보, 제1 피어의 단말 식별 정보와 IP 주소 등을 결합하여 생성한 해시값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은 해당 콘텐츠의 명칭, 생성일자, 가격 등을 결합하여 생성한 해시값일 수 있다.
그 결과, 제2 피어(10b)는 상기 해시값 페어를 이용하여 제1 피어(10a)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제1 피어(10a)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게 된다(S470).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제2 피어(10b)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으로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S480).
상기 시스템(100)의 거래 정보 제공부(128)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거나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제공한다(S490). 이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에 따른 거래 내역 블록을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의 대금 정산부(130)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인 제1 피어(10a) 측에 제공할 대금을 정산한다(S492).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에 있어서 인센티브 지급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100)의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 및 판매 횟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와 관련된 피어에 대해 인센티브 결정하여 지급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디지털 콘텐츠의 인센티브 결정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한다(S500). 예컨대,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대상 콘텐츠를 공유한 공유 피어의 수(또는, 공유 저장 위치의 수), 콘텐츠 판매 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블록체인 원장을 조회하거나 콘텐츠 판매부(120)에 의한 판매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150)의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110)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분산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한다(S510). 이 경우, 각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는 해당 콘텐츠를 공유한 피어의 수 또는 해당 콘텐츠를 공유한 저장 위치의 수로 정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대상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에 가입한 100대의 피어 중에서 최다 분산 콘텐츠는 50대의 피어에 복사되었고, 대상 콘텐츠는 10대의 피어에 복사되었다면, 대상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는 0.2가 된다.
그 다음,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150)의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는,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판매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한다(S52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는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대상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에 가입한 100대의 피어 중에서 최다 판매 콘텐츠는 40대의 피어에 판매되었고, 대상 콘텐츠는 10대의 피어에 판매되었다면, 대상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는 0.2가 된다.
그 다음,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150)의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156)는, 상기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에 의해 산출된 분산화 지수와 상기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에 의해 산출된 인기도 지수를 이용하여, 대상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한다(S53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156)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대상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산화 지수 산출부(152)에 의해 산출된 분산화 지수가 0.2이고, 상기 인기도 지수 산출부(154)에 의해 산출된 인기도 지수가 0.2라면, 대상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는 1이 된다.
그 다음,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150)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따라 결정된 인센티브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한 제2 피어에 각각 분배하여 지급한다(S540). 이 경우, 최종적으로 지급될 인센티브 금액은, 상기와 같이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정책적으로 정해진 단위 금액을 곱한 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센티브 1당 단위 금액이 100원으로 정해졌다면, 대상 콘텐츠와 관련된 피어에 지급될 인센티브는 100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인센티브는 SNS를 통한 홍보나 광고 등을 통해 해당 콘텐츠의 구매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피어가 신규 구매자에 해당하는 경우, 인센티브는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제2 피어에 분배되어 지급될 수 있다. 인센티브의 분배율은 상기 수학식 4와 같이 분배 계수(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해당 콘텐츠에 관한 총 인센티브가 100원이고 α가 0.6으로 정해지면, 추천자 피어에 지급될 인센티브는 60원이고, 신규 구매자 피어에 지급된 인센티브는 40원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과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해당 동작이나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포함된다. 예컨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EEPROM, 레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또는 광 데이터 기록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 배치되어 프로그램 코드들을 분산 방식으로 저장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이 거래 대상 콘텐츠들을 중앙 집중형 구조로 관리하지 않고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분산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만을 중개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개선하고,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 인프라의 구축과 유지·관리에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이력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는 피어들을 블록체인 원장을 조회하여 인증하고, 인증된 피어들에 대해서만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를 허용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이력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판매 횟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따라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에 기여한 피어나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피어 등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와 분산화를 촉진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는 피어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경로를 다원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110 : 콘텐츠 등록부
120 : 콘텐츠 판매부 122 : 콘텐츠 정보 제공부
124 : 결제 수행부 126 :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
130 : 대금 정산부 140 : 인증 수행부
150 : 인센티브 지급부 152 : 분산화 지수 산출부
154 : 인기도 지수 산출부 156 :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

Claims (19)

  1. 피투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1 피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피어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콘텐츠 판매부; 및
    상기 제2 피어가 상기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제1 피어 측에 제공할 대금을 정산하는 대금 정산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제1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는 과정 없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판매부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
    상기 제2 피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수행부; 및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제2 피어와 관련된 거래 내역의 조회를 요청하고 해당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피어를 인증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수행부는, 상기 제2 피어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1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피어로부터 상기 제1 해시값과 함께 다운로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판매부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거나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거래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 및 판매 횟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와 관련된 피어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인센티브 지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분산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하는 분산화 지수 산출부;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판매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하는 인기도 지수 산출부; 및
    상기 분산화 지수 및 인기도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하는 인센티브 지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지급부는, 상기 인센티브 지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제2 피어에 각각 분배하여 지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10.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과 데이터 통신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이 피투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1 피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는 (a)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피어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받은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 단계; 및
    상기 제2 피어가 상기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피어 측에 제공할 대금을 정산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피어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는 과정 없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상기 제1 피어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1) 단계;
    상기 제2 피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b2) 단계; 및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제2 피어와 관련된 거래 내역의 조회를 요청하고 해당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피어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피어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1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4) 단계; 및
    상기 제2 피어로부터 상기 제1 해시값과 함께 다운로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피어 또는 상기 다른 피어를 식별하는 제2 해시값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3 해시값을 상기 제2 피어에 제공하는 (b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대금 결제 절차가 완료되거나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에 관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시스템이 상기 피투피 네트워크의 피어들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 및 판매 횟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와 관련된 피어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분산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분산화 지수를 산출하는 (e1) 단계;
    상기 판매 대상 디지털 콘텐츠들 중 최다 판매된 타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기도 지수를 산출하는 (e2) 단계; 및
    상기 분산화 지수 및 인기도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인센티브 지수를 산출하는 (e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e3) 단계에서 산출된 인센티브 지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의 피어에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의 피어와 상기 제2 피어에 각각 분배하여 지급하는 (e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를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67937A 2019-12-16 2019-12-16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6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37A KR20210076577A (ko) 2019-12-16 2019-12-16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37A KR20210076577A (ko) 2019-12-16 2019-12-16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77A true KR20210076577A (ko) 2021-06-24

Family

ID=7660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37A KR20210076577A (ko) 2019-12-16 2019-12-16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5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23B1 (ko) * 2023-02-21 2023-06-13 하일렌 주식회사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23B1 (ko) * 2023-02-21 2023-06-13 하일렌 주식회사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2410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10055720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20040181487A1 (en) Digital media clearing house platform
US20010037311A1 (en) Efficient internet service cost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20080270286A1 (en) Product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CA3080370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US20100218239A1 (en) Digital Content Counting System and Method
JP7302799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を用いて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権利証書を流通させ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に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138530A (ko)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493442B1 (ko)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Sober et al. A blockchain-based IoT data marketplace
KR20210076577A (ko) 피투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Rafati Niya et al. DeTi: A Decentralized Ticketing Management Platform
Masseport et al. Proof of usage: User-centric consensus for data provision and exchange
KR20070027278A (ko) 메신저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거래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26112B1 (ko) 진성 확인된 부동산 거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20014631A (ko) P2p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241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Digital Media Files with External Commodities
US20210264390A1 (en) Electronic content utilization syste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content utilization method
KR20230097582A (ko) 음원 저작물 nft 매매방법
Kokkinen et al. Post-Payment System for Peer-to-Peer Filesh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