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460A -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460A
KR20210076460A KR1020190167696A KR20190167696A KR20210076460A KR 20210076460 A KR20210076460 A KR 20210076460A KR 1020190167696 A KR1020190167696 A KR 1020190167696A KR 20190167696 A KR20190167696 A KR 20190167696A KR 20210076460 A KR20210076460 A KR 20210076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picture
user
profile
matching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856B1 (ko
Inventor
소기우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소셜라이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셜라이브(주) filed Critical 소셜라이브(주)
Priority to KR102019016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8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04L51/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프로필사진 등록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로부터의 프로필 보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이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프로필 사진과, 대화 화면에 나타난 사용자의 영상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평가 입력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가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VERIFYING PROFILE PHOTO RELIABILITY AND ONLIN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대화 서비스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온라인 대화 서비스는 초기에 텍스트만 이용되던 것에서 발전하여, 최근에는 영상과 음성을 이용하거나, 영상과 음성에 추가적으로 텍스트를 이용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다.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확인을 위해 위해 프로필 정보가 제공된다. 프로필 정보에는 프로필 사진이 포함되는데,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것에는 통상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의 사진이 아닌 풍경, 좋아하는 글귀, 연예인의 사진을 올리거나 심지어는 다른 사람의 사진을 올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 대화 서비스 이용시 프로필 사진을 믿고 화상 대화를 하는 사용자는 기대가 무너질 수 있으며, 유료 서비스의 경우 프로필 사진의 신뢰도가 더욱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9964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 프로필 사진과,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일치도를 제공함으로써 화상 대화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프로필사진 등록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로부터의 프로필 보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이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프로필 사진과, 대화 화면에 나타난 사용자의 영상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평가 입력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가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가, 상기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화상 대화를 수행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는, 화상 대화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가, 상기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는,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에서, 상기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평가데이터 입력 영역이 상기 프로필 사진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에서,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는, 상기 프로필사진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 사진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프로필 사진 각각에 대해 상기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 상기 평가 입력 단계 및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화상 대화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매너 평가 데이터와,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표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사진과 사용자의 영상 속 인물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신뢰성을 검토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표는 상기 프로필사진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프로필사진 신뢰도에 따른 추천알고리즘 또는 서비스권한부여 등의 보상체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 프로필 사진과,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일치도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화상 대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다.
또한,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사람은 자신의 모습이 공개되기 때문에, 화상 대화 시 무책임하거나 매너없는 행동을 자제하게 되어 건전한 대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의 (a)~(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가 구현된 앱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너지수의 산정 기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전송", "송신", "수신" 또는 "전달"된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전송, 송신, 수신 또는 전달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전송, 송신, 수신 또는 전달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대화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간에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프로필 사진을 포함한 프로필 정보를 관리하고, 다른 사용자의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필 일치도를 산정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사용자들의 매너지수(지표)를 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앱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태플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이며, 각 단말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화상 대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에 자신의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에 대한 평가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화상대화서비스 제공부(11), 프로필정보 저장부(12), 프로필일치도 산정부(13) 및 매너지수 산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화상대화서비스 제공부(11), 프로필정보 저장부(12), 프로필일치도 산정부(13) 및 매너지수 산정부(14)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각 부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서버에서 각각 실행될 수도 있다.
화상대화서비스 제공부(11)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간에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화상대화서비스 제공부(11)는 화상대화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20)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망을 설정한다.
프로필정보 저장부(12)는 사용자의 프로필정보를 저장한다. 프로필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10) 내부에 저장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10) 외부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필일치도 산정부(13)는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에 대한 평가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필일치도를 산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필 사진이 사용자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알 수 있어 프로필 사진의 신뢰도를 보장한다.
매너지수 산정부(14)는 사용자의 매너지수를 산정한다. 매너지수는 사용자의 대화시의 언행, 다른 사용자의 평가 및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의 활동 등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으며, 프로필 일치도가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프로필사진 등록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로부터의 프로필 보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이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프로필 사진과, 대화 화면에 나타난 사용자의 영상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평가 입력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가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의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의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1 사용자가 제1 단말을 통해 프로필 사진의 등록을 신청(S100)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에 대응하여 프로필 사진을 등록한다(S110). 제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업로드하거나 사진을 찍어서 바로 업로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단말로부터 프로필 보기 요청이 수신(S200)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등록된 프로필 사진을 전송(S210)하여, 프로필 보기를 요청한 단말에 프로필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220). 이때, 프로필 사진과 함께 후술하는 평가 데이터의 입력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에서 프로필 보기 요청은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지 않은 제2 사용자가 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프로필 사진을 등록한 제1 사용자가 할 수도 있다. 프로필 보기 요청은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이 클릭되거나, 대화창에 제공된 참가자의 프로필 보기 메뉴를 클릭하거나, 대화창의 특정 사용자에 해당하는 창에서 오른쪽 클릭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단말은, 프로필 사진과, 대화 화면에 나타난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영상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아(S300),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한다(S310).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필 사진과 함께 평가 데이터 입력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평가 데이터 입력 영역을 통해 프로필 사진과 사용자의 일치에 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한다. 평가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단순히 일치/불일치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고, 일치와 불일치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0~100과 같이 소정 범위 내의 임의의 점수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제1 사용자)와 평가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제2 사용자)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20). 자신의 프로필 사진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객관성이 담보되기 어렵기 때문에,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만 평가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자신의 프로필 사진에 대해서는, S220 단계에서 평가 데이터 입력 영역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하고 본 단계를 생락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제1 사용자)와 평가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제2 사용자)가 화상 대화를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30). 프로필 사진의 평가는 실제로 화상 대화를 통해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확인한 후에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와의 화상 대화 횟수에 따라 평가 데이터의 입력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입력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S340)하여 제2 단말에 전송(S350)하고, 제2 단말은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디스플레이한다(S360). 이때,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는 그동안 입력된 평가 데이터를 누적적으로 평가하여 산정될 수 있다. 즉, S340 단계에서의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의 산정은,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는 입력된 평가 데이터의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산정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은,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사진과 사용자의 영상 속 인물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신뢰성을 검토하여, 이를 프로필 일치도 산정시 반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필 사진의 신뢰도에 따른 추천알고리즘 또는 서비스권한부여 등의 보상체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프로필사진 관리에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a)~(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앱이 실행되었을 때의 첫 화면을 나타낸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첫 화면에는 로그인 영역(410), 대화방 분류 영역(420), 대화방 표시 영역(430)이 나타난다.
로그인 영역(410)에는 사용자에게 로그인할 것을 안내하는 문구가 표시된다.
대화방 분류 영역(420)은 수다, 음악/노래, 외국어와 같은 대화방의 주제를 나타낸다.
대화방정보 표시 영역(430)은 대화방 분류 영역(420) 중 선택된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대화방들의 간략 정보를 나타낸다. 각 대화방의 간략 정보는, 대화방을 나타내는 이미지(431), 대화방에 대한 소개글(432), 대화방 검색어(433) 및 대화방을 개설한 사용자(방장) 정보(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장 정보(434)는 방장의 프로필 사진과 매너지수를 포함한다. 매너지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의 앱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영역(410)에 사용자 정보로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사용자 호칭 및 사용자의 매너지수가 표시될 수 있다.
로그인으로 인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화방정보 표시 영역(430)에 표시되는 대화방은 달라질 수 있다.
도 4의 (c)~(d)는 도 4의 (b)의 대화방정보 표시 영역(430) 중 첫번재 대화방(440)을 클릭하였을 때 첫번째 대화방에 해당하는 영역(440)을 나타낸다. 방장을 제외한 대화방의 참가자가 5명으로 제한되는 경우에, 참가자가 꽉 찬 경우(도 4의 (c)), 참가자가 4명인 경우(도 4의 (d))를 나타낸다.
도 4의 (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b)에서 어느 하나의 대화방을 선택하면, 대화방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대화방의 상세정보는 방장정보(441) 및 참가자 정보(442)가 포함될 수 있다. 방장정보(441)에는 방장의 매너지수가 표시되고, 참가자 정보(442)에는 각 참가자의 매너지수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의 (c)의 경우에는 대화에 참여할 수 없으며, 도 4의 (d)의 경우에는 입장 표시를 클릭함으로써 대화방에 입장할 수 있다.
도 4의 (e)는 대화방에 입장한 화면을 나타낸다. 방장을 포함한 대화방의 참가자들의 영상이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참가자들은 각자의 단말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텍스트는 참가자의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의 프로필 표시 화면은 도 4의 (a)~(e)에서 로그인 영역(410)의 사용자 프로필 사진, 대화방정보 표시 영역(430)의 방장 정보 중 프로필 사진, 대화방 상세 정보 중 방장 또는 참가자의 프로필 사진 중 어느 하나를 클릭했을 때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필 표시 화면은, 프로필 사진(510), 프로필 사진 선택 영역(520), 평가데이터 입력 영역(530), 일치도 표시 영역(540) 및 매너지수(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필 사진을 등록한 경우, 프로필 사진 선택 영역(520)의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프로필 사진(510)이 변경될 수 있다.
평가데이터 입력 영역(530)에는 프로필 사진과, 대화 화면에 나타난 사용자의 영상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평가 데이터가 입력된다. 도 5에는 평가데이터 입력 영역(530)이 일치(+)와 불일치(-)의 평가데이터를 입력받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평가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일치도 표시 영역(540)에는, 평가데이터 입력 영역(530)을 통해 입력된 평가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치도를 산정한 값이 표시된다.
매너지수(550)는 프로필 표시 화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매너지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정보로서 매너지수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매너지수에 따라 대화를 시작할지 말지를 미리 선택할 수 있어, 온라인 매너가 좋지 않은 상대방과의 대화를 사전에 피할 수 있다. 또한, 매너지수가 온라인 대화 서비스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대화 상대방을 끌어모으기 위해 대화 주최자는 매너지수를 관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 대화 서비스에서 타인에게 불쾌감이나 피해를 주는 행위가 억제, 예방되고, 타인에게 도움이나 호감을 주는 행위가 장려되어 올바른 온라인 대화 서비스 환경을 조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너지수는, 사용자가 화상 대화시 입력한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매너 평가 데이터와,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너지수의 산정 기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매너지수는 5점 만점이고, 가입시 3점이 기본 점수로 주어질 수 있다.
매너 평가 데이터에는, 다른 사용자가 욕설 및 인신공격, 불법 또는 폭력, 성행위 묘사, 조건만남 조장, 프로필 사진 도용, 광고 등을 이유로 신고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차단하거나, 강제퇴장 당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활동 데이터에는, 주거나 받은 선물의 금액, 팔로우된 횟수, 대화 지속 시간 및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화상 대화시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 즉 사용자가 생성한 음성 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AI 인식 엔진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식 및 평가될 수 있다. 즉, AI 인식 엔진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 중 욕설, 비방 등 비매너 행위를 인식하고 이를 매너 점수로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매너지수의 산정 기준으로서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너지수의 관리를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와 일치하는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 프로필 사진과,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일치도가 표시되므로, 신뢰성 있는 화상 대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사람은 자신의 모습이 공개되기 때문에, 화상 대화 시 무책임하거나 매너없는 행동을 자제하게 되어 건전한 대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서비스 제공 서버가,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프로필사진 등록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로부터의 프로필 보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이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프로필 사진과, 대화 화면에 나타난 사용자의 영상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평가 입력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가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가, 상기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화상 대화를 수행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는,
    화상 대화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평가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가, 상기 프로필 사진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는,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에서,
    상기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평가데이터 입력 영역이 상기 프로필 사진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에서,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는, 상기 프로필사진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사진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프로필 사진 각각에 대해 상기 프로필사진 표시 단계, 상기 평가 입력 단계 및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화상 대화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매너 평가 데이터와, 화상 대화 서비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표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상기 프로필사진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사진 일치도 표시 단계에서,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사진과 상기 사용자의 영상 속 인물의 유사성을 실시간 분석한 결과가 상기 프로필 사진의 일치도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167696A 2019-12-16 2019-12-16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0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96A KR102408856B1 (ko) 2019-12-16 2019-12-16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96A KR102408856B1 (ko) 2019-12-16 2019-12-16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460A true KR20210076460A (ko) 2021-06-24
KR102408856B1 KR102408856B1 (ko) 2022-06-15

Family

ID=7660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696A KR102408856B1 (ko) 2019-12-16 2019-12-16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8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5A (ko) * 2003-07-16 2005-01-25 양기철 화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018242A (ko) * 2010-08-20 2012-03-02 (주)게임스프링 동영상 프로필의 실시간 업로드를 통한 본인 인증방법
KR20160025082A (ko) * 2014-08-25 2016-03-08 김태석 가상 데이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89648A (ko) * 2016-01-27 2017-08-04 이지훈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9964B1 (ko) 2016-04-14 2018-01-22 엘에스디테크 주식회사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KR101951354B1 (ko) * 2018-07-18 2019-02-22 비스냅(주) 게시물 순위 결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5A (ko) * 2003-07-16 2005-01-25 양기철 화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018242A (ko) * 2010-08-20 2012-03-02 (주)게임스프링 동영상 프로필의 실시간 업로드를 통한 본인 인증방법
KR20160025082A (ko) * 2014-08-25 2016-03-08 김태석 가상 데이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89648A (ko) * 2016-01-27 2017-08-04 이지훈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9964B1 (ko) 2016-04-14 2018-01-22 엘에스디테크 주식회사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KR101951354B1 (ko) * 2018-07-18 2019-02-22 비스냅(주) 게시물 순위 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856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694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differential weight to meeting participants and for generating meeting summaries
US20190035421A1 (en) Performing Cognitive Operations Based on an Aggregate User Model of Personality Traits of Users
US8532343B1 (en) System for non-repudiable registration of an online identity
US10380380B1 (en) Protecting client personal data from customer service agents
US10621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social media content
US20120197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profession recommendations, create a profession ranking
US20160170956A1 (en) Performance Modification Based on Aggregation of Audience Traits and Natural Language Feedback
US9495361B2 (en) A priori performance modification based on aggregation of personality traits of a future audience
US117208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advisor-related data
US20160065539A1 (en) Method of sending information about a user
US20160170938A1 (en) Performance Modification Based on Aggregate Feedback Model of Audience Via Real-Time Messaging
CN105897704A (zh) 权限添加、权限添加请求的方法、装置和系统
US202101099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Recommendations Based on Ratings of Offline Experiences
CN109920436A (zh) 一种提供辅助服务的装置及方法
US10917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inmate communication notification
Kalogeropoulos Who shares news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why and in what ways? A cross-national analysis
US11100739B1 (en) Two factor identification verification of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residents and associated non-residents
TWM554612U (zh) 智能線上客戶服務系統
KR20200096935A (ko) 다중 프로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75291B1 (ko)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한 ai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8257A (ko) 챗봇 트레이너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CN112528017A (zh) 对话流自动分析方法及装置
KR102408856B1 (ko) 프로필 사진 신뢰성 검증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878761B (zh) 直播互动方法、装置及服务器
CN109831417A (zh) 防骚扰处理帐号的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