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241A -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241A
KR20210076241A KR1020190166558A KR20190166558A KR20210076241A KR 20210076241 A KR20210076241 A KR 20210076241A KR 1020190166558 A KR1020190166558 A KR 1020190166558A KR 20190166558 A KR20190166558 A KR 20190166558A KR 20210076241 A KR20210076241 A KR 20210076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beehive
specification water
ecological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0432B1 (en
Inventor
김진수
박완선
Original Assignee
(주)다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울 filed Critical (주)다울
Priority to KR102019016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432B1/en
Publication of KR2021007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utomatic feeder for beekeeping, which collects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humidity/sound inside and outside a beehive by using a bee ecological environment sensor, and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cut-off of a feeding solution by means of a feeding solution control device. The automatic feeder for beekeeping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a size of a comb frame inserted into the beehive and in which an arc-shaped access slit is formed in one side wall to allow entry and exit of bees and a sensor cable entry hole is formed in a side wall; a feeding solution control device installed on an inn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cut-off of a feeding water; a sensor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ense an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output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the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a feeding solution supply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configured to collect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control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the beehive based on the information, control a feeding time of the feeding solution to the feeding solution control device to 24 seasonal divisions and a morning time before sunrise and a time after sunset based on 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set values, and control internal and external humidity levels of the beehive to a desired value.

Description

양봉용 자동 사양기{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Automatic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봉통 내외 생태 환경 정보 수집을 통하여 사양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e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feeding water through collec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inside and outside the beekeeping barrel.

일반적으로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는 월동기, 장마철, 개화기 등과 같은 무밀기에 벌들이 충분한 량의 꿀을 자연적으로 채밀할 수 없을 때나 유밀기에도 채밀 량이 부족할 때, 설탕물 등과 같은 사양액을 공급하여 부족한 채밀 량을 충당시킬 수 있도록 벌통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In general, the breeding season used for beekeeping is when bees are unable to harvest a sufficient amount of honey naturally during the non-miling season, such as the winter season, the rainy season, and the flowering season, or when the harvesting amount is insufficient even during the milking season. It means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beehive so that the amount can be satisfied.

이와 같이 벌통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종래 대부분의 사양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1)의 내부에 꿀이 채밀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소초광(2) 사이에 그 소초광과 같은 형태인 길이방향으로 사양액이 충액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테두리틀(112)의 양측면에 밀폐판(114)가 고정되는 충진몸체(110)와, 그 테두리틀의 상측 틀로부터 연장되어 벌통 내부로 삽입되어 재치되는 재치턱(116)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상기 소초광과 소초광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 most of the conventional specifications device 100 inserted and used in the beehive as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between a plurality of sochogwang 2 inserted so that honey is chaeded in the inside of the beehive 1 and the sochogwang and The filling body 110 in which the sealing plate 114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frame 112 whos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specification liquid can be fi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me shape, and the beehive extending from the upper frame of the frame The mounting jaw 116 to be inserted into and placed is manufactured to be formed, and is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ochogwang and Sochogwang.

그에 따라 벌들이 소초광과 소초광 사이에 설치된 사양기를 왕래하면서 그 충진 몸체 내로 충진된 사양액을 섭취하여 부족하였던 꿀의 채밀 량을 충당하였다.As a result, the bees ate the feed liquid filled into the filling body while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Sochogwang and Sochogwang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amount of honey harvesting.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사양기는 수동 방식으로 사양수를 벌통으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reeding machine has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automatically supply the breeding water to the beehive in a manual manner.

실용신안 등록 번호 20-0369756{등록일: 2004년 11월 29일}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0-0369756 {Registration date: November 29, 2004}

본 발명은 꿀벌 생태 환경 센서를 활용하여 양봉 벌통 내외 온도/습도/음향(소리)를 포함한 생태 환경 정보 수집하고 사양수 조절 기구에 의해 사양수의 공급 및 차단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humidity/sound (sound) inside and outside the bee hive by using the bee ecological environment sensor, and provides an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cut-off of the feed water by the feed water control mechanism.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자동 사양기는 벌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초광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벽에 원호 형상의 출입용 슬릿이 형성되고 측벽에 센서 케이블 입구 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사양수의 공급 및 차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사양수 조절 기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벌통 내외 생태 환경을 감지하여 벌통 내외 생태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생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벌통 내의 생태 환경을 제어하고, 시간, 온도, 및 습도 설정치에 의해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의 사양수 공급 시간대를 24절기 시기와 오전 일출 전과 일몰 후로 제어하고 벌통의 내부 및 외부 습도를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사양 공급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Sochogwang which is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beehive, and an arc-shaped slit for entry and exit is formed on one wall to allow entry and exit of the bees, and a sensor cable entry hole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a body formed; a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blocking of the inflow specification water; a sensor uni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to sense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to collect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to control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beehive, and 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setting values to supply the specification water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24 solar seasons and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in the morning and controll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humidity of the hive to a desired value.

상기 센서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센서 케이블 입구 홀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는 센서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sensor cabl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sensor cable entry hol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는 상기 사양수가 유입되는 사양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사양수가 담기는 용기; 하단이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부유하는 부유물; 및 상기 부유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가 부유하는 경우 하강하여 상기 용기의 사양수 유입공을 막아 상기 사양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includes: a container in which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is formed and the specification water is contained; a floating material whose lower end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floats when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specification water; and a protrusion which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floating object and descends when the floating object floats to block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of the container to block the inflow of the specification water.

상기 용기는 홈이 형성된 수평 바닥면; 상기 수평 바닥면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수직으로 상기 사양수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 경사면; 및 상기 수평 바닥면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물의 하단이 상기 용기의 수평 바닥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상기 부유물은 부유할 수 있다.The container has a horizontal bottom surface with grooves; a front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floor surface and is vertically formed with the water inlet hole; and a rear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lo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specification water. Floats can float.

상기 양봉용 자동 사양기는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 공급되는 상기 사양수를 저장하는 사양수 통; 일단은 사양수 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는 제1 사양수 공급 호스; 및 일단이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에 연결되는 제2 사양수 공급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includes: a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for storing the specification number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number control mechanism; a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bott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and a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상기 양수 공급 제어기의 제어 하에 제1 사양수 공급 호스 및 제2 사양수 공급 호스는 상기 사양수 통에 저장된 사양수를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 이송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positive water supply controller, the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and the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may transfer the specification water stored in the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자동 사양기는 꿀벌 생태 환경 센서(온도/습도/음향(소리)를 활용하여 양봉 벌통내외 생태 환경 정보 수집, 즉 24절기 시기와 오전 일출전과 일몰후 시간대에 사양수 공급, 온도와의 상관성은 지역 기상청 온도와 실지 현장 온도 기준 15℃ 이하 경우, 이상 경우, 벌통 내부 온도/습도/소리를 기준(벌통 외부 습도 및 내부 습도는 참고 자료, 소리 데이터 참고 자료)으로 사양수 조절 기구에 의해 (벌통 내부로의) 사양수의 공급 및 차단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inside and outside the beekeeping hive by using the bee ecological environment sensor (temperature/humidity/sound (sound), that is, supply of feed water during the 24 seasons and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and temperatu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local meteorological office and the actual site temperature is 15℃ or less, and in the case of abnormality, the temperature/humidity/sound inside the hive (external humidity and internal humidity of the hive are reference data, sound data reference data). By automatically regulating the supply and cut-off of feed water (into the hive) by

→ 내부 습도 70% 산란 잘 됨→ Good scattering with 70% internal humidity

→ 물 사양 : 소문 급수기, 자동 급수기, 발통 안 먹이 통 이용 급수 등과 같은 결과(효과)를 제공한다.→ Water Specifications: Provides results (effects) such as rumored drinkers, automatic drinkers, and watering using feeders in the foot.

본 발명에 따른 사양수 조절 기구에 의하면, 센서부의 생태 환경 정보 수집을 통한 사양 공급 제어기의 제어 하에 사양수 통에 저장된 사양수를 사양수 유입공을 통하여 용기로 유입하는 중 용기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부유물이 부유하는 경우, 돌출부가 하강하여 상기 용기의 사양수 유입공을 막아 상기 사양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사양수의 공급 및 차단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water is not filled in the container while the specification water stored in the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under the control of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through the collec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When the floating material floats, the protrusion descends to block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of the container to block the inflow of the specification water, there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upply and blocking of the specification wa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자동 사양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 사양수 조절 기구, 및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용기의 전방 경사면에 형성된 사양수 유입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사양수 조절 기구의 부유물 및 돌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양수 조절 기구의 부유물 및 돌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사양수 조절 기구의 부유물 및 돌출부가 도 3에 도시된 용기의 내부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the number of specifications adjustment mechanism, and the sensor unit shown in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shown in FIG. 3 .
5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water inlet hole formed in the front inclined surface of the vessel shown in FIGS. 4 and 5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ating object and a protrusion of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shown in FIG. 3 .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floating object and the protrusion of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shown in FIG. 8 .
FIG. 10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at and the protrusion of the water control mechanism shown in FIG. 8 ar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shown in FIG. 3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자동 사양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자동 사양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 사양수 조절 기구, 및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the specification number adjusting mechanism, and the sensor unit shown in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자동 사양기는 본체(150), 사양수 조절 기구(200), 센서부(300), 사양 공급 제어기(400), 사양수 통(500), 제1 사양수 공급 호스(550), 및 제2 사양수 공급 호스(600)를 포함한다.2 and 3, the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50, a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200, a sensor unit 300, a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400, and a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 500 ), a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550 , and a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600 .

본체(150)는 벌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초광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벽에 원호 형상의 출입용 슬릿(152)이 형성되고 측벽에 센서 케이블 입구 홀(154)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15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Sochogwa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beehive 10 and disposed, and a slit 152 for entry and exit of an arc shape is formed on one wall to enable entry and exit of the bees, and a sensor cable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 inlet hole 154 is formed.

사양수 조절 기구(200)는 상기 본체(15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사양수의 공급 및 차단을 자동으로 조절한다.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200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150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blocking of the inflow specification water.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200)는 용기(700), 부유물(800), 및 돌출부(900)를 포함한다.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200 includes a container 700 , a float 800 , and a protrusion 900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용기의 전방 경사면에 형성된 사양수 유입공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shown in FIG. 3 . 5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water inlet hole formed in the front inclined surface of the vessel shown in FIGS. 4 and 5 .

용기(700)는 상기 사양수가 유입되는 사양수 입구홀(722)이 형성되고 상기 사양수가 담긴다. 상기 용기(700)는 수평 바닥면(710), 전방 경사면(720), 및 후방 경사면(730)을 포함한다.In the container 700,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722 into which the specification water is introduced is formed, and the specification water is contained. The container 700 includes a horizontal bottom surface 710 , a front inclined surface 720 , and a rear inclined surface 730 .

수평 바닥면(710)에는 홈(712)이 형성된다. 전방 경사면(720)은 상기 수평 바닥면(710)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수직으로 상기 사양수 유입공(722)이 형성된다. 후방 경사면(730)은 상기 수평 바닥면(710)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A groove 712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710 . The front inclined surface 720 is inclined forwardly upward from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710 and the water inlet hole 722 is formed vertically. The rear inclined surface 730 is inclined upwardly backward from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710 .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사양수 조절 기구의 부유물 및 돌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양수 조절 기구의 부유물 및 돌출부의 정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ating object and a protrusion of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shown in FIG. 3 .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floating object and the protrusion of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shown in FIG. 8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부유물(800)은 하단이 상기 용기(700)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700)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부유한다. 돌출부(900)는 상기 부유물(800)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800)가 부유하는 경우 하강하여 상기 용기(700)의 사양수 입구홀(722)을 막아 상기 사양수의 유입을 차단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float 800 floats when the lower end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700 and the specification water is filled in the container 700 . The protrusion 900 is formed to extend integrally from the floating object 800 and descend when the floating object 800 floats to block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722 of the container 700 to block the inflow of the specification water. do.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사양수 조절 기구의 부유물 및 돌출부가 도 3에 도시된 용기의 내부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다.FIG. 10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ating object and the protrusion of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shown in FIG. 8 ar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shown in FIG. 3 .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부유물(800)의 하단이 용기(700)의 수평 바닥면(710)의 홈(712)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700)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700)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상기 부유물(800)은 부유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lower end of the floating object 8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712 of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710 of the container 700 and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700 , and is placed on the container 700 . When the specification water is filled, the float 800 floats.

센서부(300)는 꿀벌 생태 환경 센서로서 상기 본체(150)의 내부에 위치하여 벌통 내외 생태 환경을 감지하여 벌통의 내부 및 외부 습도, 소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벌통 내외 생태 환경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일단이 상기 본체(150)의 센서 케이블 입구 홀(154)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부(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400)에 연결되는 센서 케이블(310)을 포함한다.The sensor unit 300 is a bee ecological environment senso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50 to sense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hive including internal and external humidity and sound data of the hive. The sensor unit 300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sensor cable inlet hole 154 of the main body 150 to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0 and the other end to the sensor cable 310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400 . ) is included.

센서부(300)는 벌통(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벌통(10)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센서, 벌통(10)의 진동 여부를 측정하는 진동 센서, 벌통(10) 내부의 음향을 측정하는 음향 센서, 벌통(10) 내부 기체 농도를 측정하는 기체 센서, 및 각 센서를 제어하고 센싱 값을 증폭하여 전송하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eehive 10 ,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beehive 10 , and a vibration sensor for measuring whether the beehive 10 vibrates. , an acoustic sensor measuring the sound inside the hive 10, a gas sensor measuring the gas concentration inside the hive 10, and a sens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sensor and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he sensed value.

사양 공급 제어기(400)는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생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벌통(10) 내의 생태 환경을 제어하고, 시간, 온도, 및 습도 설정치에 의해 사양수 통(500)으로부터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200)로의 사양수 공급 시간대를 24절기 시기와 오전 일출 전과 일몰 후로 제어하고 벌통의 내부 및 외부 습도를 원하는 값으로 제어한다.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to collect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to control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beehive 10, and the number of specifications by 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set values The feeding time of the feeding water from the barrel 500 to the feeding water control mechanism 200 is controlled to 24 seasons,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in the morning,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humidity of the beehive is controlled to a desired value.

사양수 통(500)은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200)로 공급되는 상기 사양수를 저장한다.The specification water bottle 500 stores the specification water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200 .

제1 사양수 공급 호스(550)는 일단은 사양수 통(5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400)에 연결된다.The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5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5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400 .

제2 사양수 공급 호스(600)는 일단이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4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200)에 연결된다.The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6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4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200 .

상기 양수 공급 제어기(400)의 제어 하에 제1 사양수 공급 호스(550) 및 제2 사양수 공급 호스(600)는 사양수 통(500)에 저장된 사양수를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200)로 이송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positive water supply controller 400 , the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550 and the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600 transfer the specification water stored in the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500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200 . transpor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it.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not only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equivalents to these claims.

10: 벌통 150: 본체
152: 출입용 슬릿 154: 센서 케이블 입구 홀
200: 사양수 조절 기구 300: 센서부
310: 센서 케이블 400: 사양 공급 제어기
500: 사양수 통 550: 제1 사양수 공급 호스
600: 제2 사양수 공급 호스 700: 용기
710: 수평 바닥면 720: 전방 경사면
722: 사양수 유입공 730: 후방 경사면
800: 부유물
10: beehive 150: body
152: entrance slit 154: sensor cable entry hole
200: specification number control mechanism 300: sensor unit
310: sensor cable 400: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500: water bottle 550: first water supply hose
600: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700: container
710: horizontal bottom surface 720: front inclined surface
722: water inlet hole 730: rear slope
800: float

Claims (7)

벌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초광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벽에 원호 형상의 출입용 슬릿이 형성되고 측벽에 센서 케이블 입구 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사양수의 공급 및 차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사양수 조절 기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벌통 내외 생태 환경을 감지하여 벌통 내외 생태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생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벌통 내의 생태 환경을 제어하고, 시간, 온도, 및 습도 설정치에 의해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의 사양수 공급 시간대를 24절기 시기와 오전 일출 전과 일몰 후로 제어하고 벌통의 내부 및 외부 습도를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사양 공급 제어기를 포함하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
The body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sochogwang that is inserted into the beehive and arranged, the arc-shaped slit for entry and exit is formed on one side wall to allow entry and exit of the bee, and the sensor cable entry hole is formed on the side wall;
a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blocking of the inflow specification water;
a sensor uni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to sense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collects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to control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beehive, and by 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set values, the feeding time of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control mechanism is controlled. Automatic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including 24 seasons and a specification feed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time of the morning and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and controls the humidity inside and outside the hive to a desired valu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센서 케이블 입구 홀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는 센서 케이블을 포함하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The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sensor cabl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sensor cable inlet hol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는
상기 사양수가 유입되는 사양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사양수가 담기는 용기;
하단이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부유하는 부유물; 및
상기 부유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가 부유하는 경우 하강하여 상기 용기의 사양수 유입공을 막아 상기 사양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specifications adjustment mechanism is
a container having a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specification water is introduced and containing the specification water;
a floating material whose lower end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floats when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specification water; and
Automatic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including a protrusion which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floating object and descends when the floating object floats to block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of the container and block the inflow of the specification wat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홈이 형성된 수평 바닥면;
상기 수평 바닥면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수직으로 상기 사양수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 경사면; 및
상기 수평 바닥면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물의 하단이 상기 용기의 수평 바닥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상기 부유물은 부유하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ainer has a horizontal bottom surface formed with a groove;
a front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floor surface and is vertically formed with the water inlet hole; and
Including a rear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When the lower end of the flo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specification water, the float is an automatic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that floa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 공급되는 상기 사양수를 저장하는 사양수 통;
일단은 사양수 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는 제1 사양수 공급 호스; 및
일단이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에 연결되는 제2 사양수 공급 호스를 더 포함하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bottle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control mechanism;
a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bott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and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 공급 제어기의 제어 하에 제1 사양수 공급 호스 및 제2 사양수 공급 호스는 상기 사양수 통에 저장된 사양수를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 이송하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Claim 6]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under the control of the pumped water supply controller, the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and the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transfer the specification water stored in the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벌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초광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벽에 원호 형상의 출입용 슬릿이 형성되고 측벽에 센서 케이블 입구 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사양수의 공급 및 차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사양수 조절 기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벌통 내외 생태 환경을 감지하여 벌통 내외 생태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생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벌통 내의 생태 환경을 제어하고, 시간, 온도, 및 습도 설정치에 의해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의 사양수 공급 시간대를 24절기 시기와 오전 일출 전과 일몰 후로 제어하고 벌통의 내부 및 외부 습도를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사양 공급 제어기;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로 공급되는 상기 사양수를 저장하는 사양수 통;
일단은 사양수 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는 제1 사양수 공급 호스;
일단이 상기 사양 공급 제어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에 연결되는 제2 사양수 공급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양수 조절 기구는
상기 사양수가 유입되는 사양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사양수가 담기는 용기;
하단이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부유하는 부유물; 및
상기 부유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가 부유하는 경우 하강하여 상기 용기의 사양수 유입공을 막아 상기 사양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홈이 형성된 수평 바닥면;
상기 수평 바닥면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수직으로 상기 사양수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 경사면; 및
상기 수평 바닥면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물의 하단이 상기 용기의 수평 바닥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놓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사양수가 채워지는 경우 상기 부유물은 부유하는 양봉용 자동 사양기.
The body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sochogwang that is inserted into the beehive and arranged, the arc-shaped slit for entry and exit is formed on one side wall to allow entry and exit of the bee, and the sensor cable entry hole is formed on the side wall;
a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blocking of the inflow specification water;
a sensor uni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to sense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and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beehiv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collects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to control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beehive, and by 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set values, the feeding time of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control mechanism is controlled. A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24 seasons and the morning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and controls the internal and external humidity of the hive to a desired value;
a specification water container for storing the specification water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a first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bott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a second specification water supply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supply controll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water control mechanism,
The specification number control mechanism is
a container having a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specification water is introduced and containing the specification water;
a floating material whose lower end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floats when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specification water; and
It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floating object and descends when the floating object floats to block the specification water inlet hole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a protrusion for blocking the inflow of the specification water,
The container has a horizontal bottom surface formed with a groove;
a front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floor surface and is vertically formed with the water inlet hole; and
Including a rear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When the lower end of the flo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specification water, the float is an automatic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that floats.
KR1020190166558A 2019-12-13 2019-12-13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KR102360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58A KR102360432B1 (en) 2019-12-13 2019-12-13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58A KR102360432B1 (en) 2019-12-13 2019-12-13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41A true KR20210076241A (en) 2021-06-24
KR102360432B1 KR102360432B1 (en) 2022-02-10

Family

ID=7660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558A KR102360432B1 (en) 2019-12-13 2019-12-13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43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57Y1 (en) * 2003-08-05 2003-10-30 장봉환 new bee feed
KR200369756Y1 (en)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Bee-breeding apparatus
KR20170001000U (en) * 2015-09-08 2017-03-16 박호순 Beehive bee-breeding apparatus and beehive cover and beehive having the same
KR101736288B1 (en) * 2016-06-17 2017-05-16 신상훈 System having a beehiv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57Y1 (en) * 2003-08-05 2003-10-30 장봉환 new bee feed
KR200369756Y1 (en)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Bee-breeding apparatus
KR20170001000U (en) * 2015-09-08 2017-03-16 박호순 Beehive bee-breeding apparatus and beehive cover and beehive having the same
KR101736288B1 (en) * 2016-06-17 2017-05-16 신상훈 System having a beehiv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432B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64581A1 (en) Automated plant support system
KR101490704B1 (en) Reeve’s turtle egg artificial incubation facilities
US9854789B2 (en) Bee feeders and bee feeding systems for bee colonies
US4644903A (en) Automatic animal feeder
US20190357502A1 (en) Inoculation systems for bee hives and related methods
CN2865266Y (en) Self-controlling bee feeder
US43228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bees
KR102136410B1 (en) Bee-breeding apparatus with humidifier for beehive
KR102360432B1 (en)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CN109220899A (en) A kind of auto-feeding system of pet beehive
US3978534A (en) Bee feeder
US4214329A (en) Molded plastic bee feeder
EP0014170B1 (en) Tray for rearing and feeding bees from the outside for intensive apiculture
CN213044751U (en) Queen bee colony external storage equipment
KR101213834B1 (en) A bumblebee oviposition device
CN210492114U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white mice
WO2011086397A1 (en) Bee feeder with automatic pressure control
KR100894826B1 (en) A transport box of queen bee larva
KR102221060B1 (en)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rearing liquid for bee
CN219330375U (en) Livestock and poultry breeding drinking bowl
KR960001738Y1 (en) Feeding device for bee-keeping
KR102661783B1 (en) Smart farm system for breeding grub and the method to breed grub using the system
RU222975U1 (en) Drinking bowl for bee colonies
SU1376995A1 (en) Apparatus for hibernation of queen bees
CN115005165B (en) Independent feeding and observation device for tomato leaf miner and us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