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918A -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918A
KR20210075918A KR1020210072301A KR20210072301A KR20210075918A KR 20210075918 A KR20210075918 A KR 20210075918A KR 1020210072301 A KR1020210072301 A KR 1020210072301A KR 20210072301 A KR20210072301 A KR 20210072301A KR 20210075918 A KR20210075918 A KR 20210075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element
space
augmented reality
refrac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215B1 (ko
Inventor
이광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티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티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티널
Priority to KR102021007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2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918A/ko
Priority to PCT/KR2021/019287 priority patent/WO2022255579A1/ko
Priority to US18/550,082 priority patent/US2024015197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0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 G02B27/4227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in image 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되어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제2 광학 소자로 전달하는 제1 광학 소자;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전달하는 제2 광학 소자;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제2 광학 소자가 매립 배치되는 광학 수단; 및 상기 광학 수단 내부에 형성되는 굴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굴절 공간은, 상기 제1 광학 소자가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면인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상기 제1 광학 소자로 입사하고, 상기 제1 광학 소자에서 반사된 후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출사하여 상기 제2 광학 소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OPTICAL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HAVING REFRACTIVE SPACE}
본 발명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 수단 내부에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키는 굴절 공간을 형성하여 광학계의 성능을 보다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라 함은, 주지된 바와 같이, 현실 세계의 실제 영상에 컴퓨터 등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영상을 겹쳐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현실 세계의 시각 정보에서 확장된(augmented) 가상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가상 영상을 현실 세계의 실제 영상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 합성기(optical combiner)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광학 합성기로서는, 반거울(half mirror) 방식과 홀로그래픽/회절 광학 소자(Holographic/Diffractive Optical Element : HOE/DOE)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거울 방식은, 가상 영상의 투과율이 낮다는 문제점과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해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므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피와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개의 소형 반거울을 도파로(waveguide) 내부에 배치하는 이른바 LOE(Light guide Optical Element) 등과 같은 기술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 또한 도파로 내부에서 가상 영상의 화상광이 반거울을 여러번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일반적으로 광균일도가 낮아진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홀로그래픽/회절 광학 소자 방식은, 일반적으로 나노 구조 격자나 회절격자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매우 정밀한 공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높고 양산을 위한 수율이 낮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또한 파장 대역 및 입사 각도에 따른 회절 효율의 차이로 인하여 색상 균일도 측면 및 영상의 선명도가 낮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홀로그래픽/회절 광학 소자는, 전술한 LOE와 같은 도파로(waveguide)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따라서 마찬가지의 문제점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광학 합성기들은, 사용자가 현실 세계를 응시할 때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경우 가상 영상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상 영상에 대한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즘을 이용하거나 전기적으로 초점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가변형 초점 렌즈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또한 초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해야 하거나 초점 거리 제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사람의 동공보다 작은 크기의 핀미러(pin mirror) 형태의 반사부를 이용하여 가상 영상을 동공을 통해 망막에 투영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선행 기술 문헌 1 참조).
도 1은 선행 기술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100)는, 광학 수단(10), 반사부(20) 및 화상 출사부(30)를 포함한다.
광학 수단(10)은 실제 세계의 사물로부터 출사된 화상광인 실제 사물 화상광을 투과시키는 한편 반사부(20)에서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동공(40)으로 출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그 내부에는 반사부(20)가 매립 배치되어 있다.
광학 수단(10)은 예컨대 안경 렌즈와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경테와 같은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화상 출사부(30)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출사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가상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가상 영상에 상응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출사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하는 화상광을 평행광으로 시준하기 위한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구비할 수 있다
반사부(20)는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반사시켜 사용자의 동공(40)을 향해 전달하는 수단이다.
도 1의 반사부(20)는 사람의 동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사람의 일반적인 동공의 크기는 4~8mm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반사부(20)는 8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20)를 8mm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반사부(20)를 통해 동공(40)으로 입사하는 빛에 대한 심도(Depth of Field)를 거의 무한대에 가깝게 즉, 매우 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심도(Depth of Field)라 함은, 초점이 맞는 것으로 인식되는 범위를 말하는데, 심도가 깊어지면 그에 상응하여 가상 영상에 대한 초점 거리도 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세계를 응시하면서 실제 세계에 대한 초점 거리를 변경하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가상 영상의 초점이 항상 맞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는 일종의 핀홀 효과(pinhole effect)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20)를 동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사물에 대한 초점 거리를 변경하더라도 사용자는 항상 선명한 가상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장치는, 시야각이 좁고, 화상 출사부(30)에 콜리메이터와 같은 광학 수단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 두께 및 부피가 커진다는 한계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상 출사부(30)에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광학 수단(10) 내부에 콜리메이터를 배치한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선행 기술 문헌 2 참조).
도 2는 선행 기술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는 도 1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100)와 비교해 볼 때, 반사부(20)가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광학 수단(10) 내부에 콜리메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반사부(50)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2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화상 출사부(3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은 광학 수단(10)의 내면에서 전반사된 후 보조 반사부(50)로 전달된다. 보조 반사부(50)에서 반사된 가상 영상은 광학 수단(10)의 내면에서 다시 전반사된 후 반사부(20)로 전달되고, 반사부(20)는 가상 영상을 반사시켜 동공(40)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도 2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는 복수개의 반사부(2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출사부(30)에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광학 수단(10) 내부에 배치된 보조 반사부(50)에 의해 콜리메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 부피, 무게, 두께 등의 폼팩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는 전체적인 광학계의 성능이 보조 반사부(50)에 지나치게 의존하므로 광학계의 전체적인 설계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0519호(2016.09.2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0144호(2021.01.08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학 수단 내부에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키는 굴절 공간을 형성하여 광학계의 성능을 보다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수단 내부에 콜리메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소자를 배치하고 상기 광학 소자와 굴절 공간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가상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제공하는 한편 가상 영상의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되어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제2 광학 소자로 전달하는 제1 광학 소자;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전달하는 제2 광학 소자;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제2 광학 소자가 매립 배치되는 광학 수단; 및 상기 광학 수단 내부에 형성되는 굴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굴절 공간은, 상기 제1 광학 소자가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면인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상기 제1 광학 소자로 입사하고, 상기 제1 광학 소자에서 반사된 후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출사하여 상기 제2 광학 소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은 광학 수단의 제1 면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제1 광학 소자로 입사하고, 상기 제1 광학 소자에서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상기 광학 수단의 제1 면을 향해 출사하고, 상기 광학 수단의 제1 면에서 전반사된 후 제2 광학 소자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반사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굴절 소자(Refractive Optical Element),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및 프레넬 미러(fresnel mirro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 부분에서 좌우의 양 단부쪽으로 갈수록 제2 광학 소자에 더 가깝도록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은 내부가 빈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진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질은,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기체,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질은 전압 차이, 온도 및 압력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상변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에서 굴절되어 상기 제1 광학 소자로 입사하고, 상기 제1 광학 소자에서 반사된 후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에서 다시 굴절되어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증강 현실 화상광이 입사 및 출사하는 방향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증강 현실 화상광이 입사 및 출사하는 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자유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프레넬 렌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학 소자는, 복수개의 광학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은,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이 다른 광학 모듈들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수단 내부의 상기 화상 출사부와 제1 광학 소자 사이에 보조 굴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의 표면은 자유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은 화상 출사부에서 출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켜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은 내부가 빈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진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질은,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기체,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질은 전압 차이, 온도 및 압력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상변화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수단 내부에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키는 굴절 공간을 형성하여 광학계의 성능을 보다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수단 내부에 콜리메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소자를 배치하고 상기 광학 소자와 굴절 공간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가상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제공하는 한편 가상 영상의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선행 기술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굴절 공간(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서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에서의 전체적인 광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40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광학 장치(400)의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서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50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광학 장치(500)의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서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600, 7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시도, 도 4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 이하 간단히 "광학 장치(300)"라 한다)는, 제1 광학 소자(50), 제2 광학 소자(20), 광학 수단(10) 및 굴절 공간(60)을 포함한다.
제1 광학 소자(50)는,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되어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virtual image light)을 제2 광학 소자(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화상 출사부(30)는, 가상 영상(virtual image)을 표시하고 가상 영상에 상응하는 화상광인 가상 영상 화상광을 출사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소형의 LCD, OLED, LCoS 등과 같이 종래 알려져 있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화상 출사부(3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광학 수단(10)의 내부에 매립 배치된 제1 광학 소자(50)로 전달된다. 이 때, 화상 출사부(3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전반사된 후 제1 광학 소자(50)로 전달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화상 출사부(3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광학 수단(10)의 내면에서의 전반사를 거치지 않고, 제1 광학 소자(5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 및 제2 면(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2회 이상 전반사되어 제1 광학 소자(50)로 전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화상 출사부(30)는, 반사 수단, 굴절 수단 및 회절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소자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반사, 굴절 또는 회절시켜서 광학 수단(10)의 제1 광학 소자(50)로 전달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화상 출사부(30)는 광학 수단(10)의 상면(14) 위쪽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기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광학 소자(50)는 광학 수단(10)의 내부에 매립 배치된다. 즉, 제1 광학 소자(50)는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 제2 면(12), 제3 면(13) 및 제4 면(14)와 각각 이격되어 광학 수단(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 면(11)은, 실제 세계 화상광이 입사하는 면이고, 제2 면(12)은 실제 세계 화상광과 가상 영상 화상광이 출사하는 면인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3 면(13)은 광학 수단(10)의 저면이고 제4 면(14)은 광학 수단(10)의 상면으로서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이 입사하는 면인 것으로 정의한다.
제1 광학 소자(50)는, 도 3 내지 도 5의 광학 장치(300)에서는, 제2 광학 소자(20)를 사이에 두고 화상 출사부(30)와 대향하도록 광학 수단(10)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하여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전반사되어 입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을 향해 출사하여 제2 광학 소자(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광학 소자(50)는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제2 광학 소자(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화상 출사부(30), 제2 광학 소자(20) 및 동공(40)의 상대적인 위치 및 각도를 고려하여 광학 수단(10)의 내부 공간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광학 소자(5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서 좌우의 양 단부쪽으로 갈수록 제2 광학 소자(20)에 더 가깝도록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완만한 "U"자 형태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 소자(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방향의 길이가 제2 광학 소자(20)의 가로 방향의 길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광학 소자(50)가 후술하는 콜리메이터로서의 기능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광학 소자(50)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광학 소자(50)의 표면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영상 화상광이 입사하는 방향에 대해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제1 광학 소자(50)가 후술하는 콜리메이터로서의 기능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 광학 소자(50)의 폭 방향의 길이는 고스트 이미지, 광경로, 광학 성능 및 폼팩터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광학 소자(50)의 폭 방향의 길이는, 도 5에서와 같이 광학 장치(3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광학 소자(50)의 양 단부 사이의 길이를 의미한다.
한편, 제1 광학 소자(50)는 입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반사시켜 출사할 수 있는 반사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금속재 등과 같이 100% 또는 100%에 거의 근접하는 높은 반사율을 갖는 재질로 제1 광학 소자(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 광학 소자(50)는 빛을 부분적으로 반사시키고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half mirror)와 같은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광학 소자(50)는 굴절 소자(Refractive Optical Element),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및 프레넬 미러(fresnel mirro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광학 소자(50)는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노치 필터(notch filter) 등과 같은 광학 소자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광학 소자(50)의 가상 영상 화상광이 입사 및 출사하는 면의 반대면을 빛을 흡수하는 흡수재로 코팅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광학 수단(10) 내부에는 굴절 공간(60)이 형성되며, 제1 광학 소자(50)는 굴절 공간(60)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 광학 소자(50)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표면이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굴절 공간(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광학 수단(10)과 굴절 공간(60)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절 공간(60)은 광학 수단(10) 내부에 형성되며, 제1 광학 소자(50)가 배치되는 제1 면(61)과, 상기 제1 면(61)에 대향하는 면인 제2 면(62)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61)과 제2 면(62)의 단부는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면(61)과 제2 면(62)의 단부는 서로 접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굴절 공간(60)은 광학 수단(10) 제조시에 광학 수단(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므로, 제1 면(61)과 제2 면(62)은 광학 수단(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갖는다.
또한, 제1 면(61)에는 제1 광학 소자(50)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면(61)은 제1 광학 소자(50)의 형태 및 크기에 상응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제1 광학 소자(5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완만한 "U"자 형태이므로, 제1 면(61)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제1 광학 소자(50)의 형태와 상응하도록 완만한 "U"자 형태를 갖는다.
굴절 공간(60)의 위치는, 제1 광학 소자(50)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에 따라 결정되므로, 제1 광학 소자(50)의 위치를 결정한 후 해당 위치에 굴절 공간(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은 가상 영상 화상광이 입사하고 출사하는 면으로 작용한다.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전반사되어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으로 향하고,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을 통해 제1 광학 소자(50)로 입사한다. 또한, 제1 광학 소자(50)에서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을 통해 출사하며,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전반사된 후 제2 광학 소자(20)로 전달된다.
도 6에서,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의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면(62)의 표면은 볼록면 또는 오목면과 같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굴절 공간(6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굴절 공간(60)의 내부는 광학 수단(10)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로 충전될 수 있다.
광학 수단(10)이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경우, 그 굴절률은 1.5 내외이므로, 굴절 공간(60)에는 이와 다른 값의 굴절률을 갖는 매질로 채울 수 있다.
예컨대, 굴절률이 1.0003 정도인 공기 또는 1에 가까운 값을 갖는 공기 이외의 기타 기체로 굴절 공간(60)을 채울 수 있다.
또한, 진공은 굴절률이 1이므로, 굴절 공간(60)을 진공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매질로서는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물은 1.33 정도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광학 수단(10)의 내부를 물로 채울 수도 있다. 이외에도, 광학 수단(10)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기타 액체를 굴절 공간(60)의 내부에 채우는 매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학 수단(10)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고체를 매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광학 수단(10)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기타 다양한 물질을 매질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굴절 공간(60)의 내부에는 전압 차이, 온도 및 압력 등의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상변화 물질이 충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홀로그램 메모리, 광 저장 장치등에 사용되는 상변화 물질은 에너지를 가한 이후 결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온도나 압력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지는 특성을 갖는다.
광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로 GeSbTe(GST)로 대표되는 Sb2Se3, Ge2Sb2Te5 와 TeOx(0<x<2)등이 있고, 이러한 물질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고온으로 가열한 이후, 급격히 냉각시키면 비결정상으로 변화하고, 서서히 냉각시키면 결정상으로 변화하는데, 이 때 결정상과 비결정상의 굴절률의 차이가 발생한다.
홀로그램 메모리 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등이 있고, 레이저를 통한 노광에 의해 굴절률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상변화 물질을 굴절 공간(60)에 채우고, 상변화 물질의 조건에 따른 굴절률 변화를 이용하여 메타 물질과 광학 수단(10)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에서의 굴절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변경될 수 있는 기타 메타 물질을 매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굴절 공간(60)에 충전되는 매질은 투명재 또는 반투명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굴절 공간(60)에는 광학 수단(10)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이 충전되므로, 제2 면(62)을 통과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은 제2 면(62)에서 굴절되어 입사 또는 출사하게 된다.
즉, 제1 광학 소자(50)로 입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은,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에서 굴절되고, 제1 광학 소자(50)로부터 출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은 제2 면(62)에서 다시 굴절되어 출사하게 된다.
도 7은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서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영상 화상광은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을 통과하는데, 이 때 광학 수단(10)과 굴절 공간(60)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굴절된 후 제1 광학 소자(50)로 입사한다.
도 7에서는 매질의 굴절률이 광학 수단(10)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입사각보다 큰 각도의 굴절각을 갖게 된다.
가상 영상 화상광은 제1 광학 소자(50)에서 반사된 후 다시 제2 면(62)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되며, 이 때 가상 영상 화상광은 입사각보다 작은 각도의 굴절각을 갖게 된다.
따라서, 굴절 공간(60), 특히 제2 면(62)은 제1 광학 소자(50)와 함께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되어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시준하여 평행광으로 출사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굴절 공간(60)의 내부에 충전된 매질의 굴절률과 제1 광학 소자(50)의 표면 형상의 특성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화상 출사부(30)의 어느 한 점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이 제2 광학 소자(20)로 시준된 평행광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에서의 전체적인 광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5의 단면도와 동일하되,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서의 가상 영상 화상광의 광 경로가 표시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광학 소자(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광학 모듈을 2개만 나타내었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도 8에서 굴절 공간(60)에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제2 면(62)을 통과할 때 굴절되지 않는 것처럼 직선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히 나타낸 것이고, 실제로는 도 7에서와 같이 굴절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상 출사부(30)의 어느 한 점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은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전반사되어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으로 입사한다.
굴절 공간(60)은 광학 수단(10)과 다른 굴절률을 가지므로, 제2 면(62)으로 입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면(62)에서 굴절된 후 제1 광학 소자(50)로 입사한다.
제1 광학 소자(50)로 입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은 제1 광학 소자(50)에서 반사된 후 다시 제2 면(62)을 향해 출사하고,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면(62)에서 다시 굴절된 후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을 향해 출사한다. 이 때, 출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L1,L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 의해 시준된 평행광이 된다.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다시 전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은 제2 광학 소자(20)로 전달되고, 제2 광학 소자(20)는 입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L1,L2)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을 향해 전달한다.
따라서, 화상 출사부(30)의 한 점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는 사용자의 동공(40)으로 평행광의 형태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학 소자(50) 및 굴절 공간(60)을 함께 이용하여 콜리메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콜리메이터로서 제1 광학 소자(50)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계의 자유도 및 편의성을 높이고 광학계에서 요구되는 공차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보다 정교한 광학계의 성능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은 평면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곡면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400)의 단면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광학 장치(300)와 동일하되,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이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이 입사 및 출사하는 방향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은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을 통과할 때의 굴절각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라지게 된다.
도 9에서도 굴절 공간(60)에서의 가상 영상 화상광은 제2 면(62)을 통과할 때 굴절되지 않는 것처럼 직선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히 나타낸 것이고, 실제로는 도 10과 같이 굴절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10은 도 9의 광학 장치(400)의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서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영상 화상광은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으로 입사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 수단(10)과 굴절 공간(60)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굴절되는데, 제2 면(62)이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의 경우에 비해 굴절각이 더 작아진다.
한편, 제1 광학 소자(50)에서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다시 제2 면(62)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되는데, 이 때 가상 영상 화상광의 굴절각은 도 7의 경우에 비해 더 작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에서 굴절되어 출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은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전반사되어 제2 광학 소자(20)를 통해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으로 전달되는데, 이 때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으로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L1, L2)는 평행광이 아니라 동공(40)의 중심축을 향해 수렴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면, 제1 광학 소자(50)와 굴절 공간(60)을 함께 이용하여 콜리메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화상 출사부(3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의 광경로를 보다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500)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실시예 또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광학 장치(300)와 동일하지만,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이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이 입사 및 출사하는 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1에서도 굴절 공간(60)에서의 가상 영상 화상광은 제2 면(62)을 통과할 때 굴절되지 않는 것처럼 직선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히 나타낸 것이고, 실제로는 도 12와 같이 굴절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12는 도 11의 광학 장치(500)의 굴절 공간(60) 및 제1 광학 소자(50)에서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영상 화상광은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으로 입사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 수단(10)과 굴절 공간(60)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굴절되는데, 제2 면(62)이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의 경우에 비해 굴절각이 더 커진다.
한편, 제1 광학 소자(50)에서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다시 제2 면(62)을 통과하여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을 향해 출사하는데, 이 때 가상 영상 화상광의 굴절각은 도 7의 경우에 비해 더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에서 굴절되어 출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L1, L2)은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전반사되어 제2 광학 소자(20)를 통해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으로 전달되는데, 이 때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으로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L1, L2)는 평행광이 아니라 동공(40)의 중심축에서 바깥쪽으로 발산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면, 제1 광학 소자(50)와 굴절 공간(60)을 함께 이용하여 콜리메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화상 출사부(3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의 광경로를 보다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은, 자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자유 곡면이란,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곡면일 수 있다. 또한, 자유 곡면이란, 회전 대칭이 아닌 비회전 대칭의 형상을 갖는 곡면일 수도 있다. 또한, 자유곡면은 구면이나 회전 대칭 비구면과는 달리 어떠한 축에 대해서도 비대칭성을 갖는 임의의 면일 수도 있다.
한편,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은, 프레넬 렌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굴절 공간(60)의 제2 면(62)은,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광학 소자(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광학 소자(20)는, 제1 광학 소자(50)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을 향해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광학 소자(20) 또한 광학 수단(10)의 내부에 매립 배치된다. 즉, 제2 광학 소자(20)는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 제2 면(12), 제3 면(13) 및 제4 면(14)와 각각 이격되어 광학 수단(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1 광학 소자(50)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을 향해 전달한다.
제2 광학 소자(20)는, 시야각을 넓히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광학 소자(20)는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 전체를 통칭하여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의 광학 장치(3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학 소자(5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을 향해 출사하고,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에서 다시 전반사된 후 제2 광학 소자(20)로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출사부(30)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제1 광학 소자(50) 및 광학 수단(10)의 제1 면(11)을 거쳐 제2 광학 소자(20)로 전달되므로, 제2 광학 소자(20)를 구성하는 광학 모듈들은 이러한 광 경로를 고려하여 광학 수단(10)의 제2 면(12)에 대해 적절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2 광학 소자(20)는, 입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반사시켜 동공(40)으로 출사하는 반사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금속재 등과 같이 100% 또는 100%에 거의 근접하는 높은 반사율을 갖는 재질로 제2 광학 소자(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학 소자(20)는, 빛을 부분적으로 반사시키고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half mirror)와 같은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광학 소자(20)는 굴절 소자(Refractive Optical Element),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광학 소자(20)는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노치 필터(notch filter) 등과 같은 광학 소자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광학 소자(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 각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도를 깊게 하여 핀홀 효과(pinhole effect)를 얻을 수 있도록 사람의 동공 크기보다 작은 크기 즉, 8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광학 모듈들에 의해 동공(40)으로 입사하는 빛에 대한 심도(Depth of Field)를 거의 무한대에 가깝게 즉, 심도를 매우 깊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세계를 응시하면서 실제 세계에 대한 초점 거리를 변경하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가상 영상의 초점은 항상 맞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광학 모듈의 크기라 함은, 각 광학 모듈의 가장자리 경계선 상의 임의의 두 점 간의 최대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각각의 광학 모듈의 크기는, 동공(40)과 광학 모듈 사이의 직선에 수직하면서 동공(40)의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각 광학 모듈을 투영한 정사영의 가장자리 경계선 상의 임의의 두 점 간의 최대 길이일 수 있다.
다만, 광학 모듈들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회절(diffraction) 현상이 커지기 때문에, 광학 모듈들의 크기는 0.3mm 보다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모듈들 각각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또한, 동공(40)에서 광학 모듈들을 바라보았을 때 원형으로 보이도록 광학 모듈들을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 각각은, 제1 광학 소자(50)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이 다른 광학 모듈들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장치(3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직선상에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사선이나 완만한 곡선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광학 수단(10)에 대해 설명한다.
광학 수단(10)은 제1 광학 소자(50) 및 제2 광학 소자(20)가 매립 배치되며, 실제 세계로부터 전달되는 실제 세계 화상광을 투과시켜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으로 전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광학 소자(20)에서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4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수단(10)의 내부에는 굴절 공간(60)이 형성되며, 굴절 공간(60)의 제1 면(61)에 제1 광학 소자(50)가 배치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600,7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의 광학 장치(600,7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되, 화상 출사부(30)와 제1 광학 소자(50) 사이에 배치된 보조 굴절 공간(70,8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3의 보조 굴절 공간(70,8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기타 구성 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생략하였으며 보조 굴절 공간(70, 80)만을 나타내었다.
보조 굴절 공간(70,8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도시된 볼록 렌즈와 같은 형상 또는 우측에 도시된 오목 렌즈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화상 출사부(30)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켜 출사시킨다.
이러한 보조 굴절 공간(70,80)은 입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켜 출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학 소자(50) 및 굴절 공간(60)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광학계의 성능 조절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보조 굴절 공간(70,80)의 표면 또한 자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굴절 공간(70,80)의 내부는, 전술한 굴절 공간(60)과 마찬가지로, 빈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굴절 공간(70,80)의 내부는 광학 수단(10)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굴절 공간(70,8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보조 굴절 공간(70,80)의 내부에 충전되는 매질로서는 광학 수단(10)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액체, 기체, 고체 등 기타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보조 굴절 공간(70,80)의 내부에는 전압 차이, 온도 및 압력 등의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상변화 물질이 충전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변경될 수 있는 기타 메타 물질을 보조 굴절 공간(70,80) 내부에 충전되는 매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보조 굴절 공간(70,80)에 충전되는 매질은 투명재 또는 반투명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100,200...종래 기술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300...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0...광학 수단
20...제2 광학 소자
30...화상 출사부
40...동공
50...제1 광학 소자
60...굴절 공간
61...제1 면
62...제2 면
70, 80...보조 굴절 공간

Claims (29)

  1.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되어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제2 광학 소자로 전달하는 제1 광학 소자;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전달하는 제2 광학 소자;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제2 광학 소자가 매립 배치되는 광학 수단; 및
    상기 광학 수단 내부에 형성되는 굴절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굴절 공간은, 상기 제1 광학 소자가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면인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상기 제1 광학 소자로 입사하고, 상기 제1 광학 소자에서 반사된 후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출사하여 상기 제2 광학 소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은 광학 수단의 제1 면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제1 광학 소자로 입사하고,
    상기 제1 광학 소자에서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을 통해 상기 광학 수단의 제1 면을 향해 출사하고, 상기 광학 수단의 제1 면에서 전반사된 후 제2 광학 소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반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굴절 소자(Refractive Optical Element),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및 프레넬 미러(fresnel mirro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 부분에서 좌우의 양 단부쪽으로 갈수록 제2 광학 소자에 더 가깝도록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은 내부가 빈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진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로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기체, 액체 또는 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전압 차이, 온도 및 압력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상변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에서 굴절되어 상기 제1 광학 소자로 입사하고, 상기 제1 광학 소자에서 반사된 후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에서 다시 굴절되어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증강 현실 화상광이 입사 및 출사하는 방향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증강 현실 화상광이 입사 및 출사하는 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자유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프레넬 렌즈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공간의 제2 면은,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소자는, 복수개의 광학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은,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이 다른 광학 모듈들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단 내부의 상기 화상 출사부와 제1 광학 소자 사이에 보조 굴절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의 표면은 자유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은 화상 출사부에서 출사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은 내부가 빈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진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7.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굴절 공간의 내부는,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로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상기 광학 수단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기체, 액체 또는 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전압 차이, 온도 및 압력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상변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0210072301A 2021-06-03 2021-06-03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56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01A KR102563215B1 (ko) 2021-06-03 2021-06-03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PCT/KR2021/019287 WO2022255579A1 (ko) 2021-06-03 2021-12-17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US18/550,082 US20240151978A1 (en) 2021-06-03 2021-12-17 Optical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having refractive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01A KR102563215B1 (ko) 2021-06-03 2021-06-03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918A true KR20210075918A (ko) 2021-06-23
KR102563215B1 KR102563215B1 (ko) 2023-08-03

Family

ID=7659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301A KR102563215B1 (ko) 2021-06-03 2021-06-03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51978A1 (ko)
KR (1) KR102563215B1 (ko)
WO (1) WO202225557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970A (ko) * 2021-08-30 2021-09-17 주식회사 레티널 회절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2255579A1 (ko) * 2021-06-03 2022-12-08 주식회사 레티널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3063555A1 (ko) *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레티널 회절 소자를 이용한 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3068456A1 (ko) * 2021-10-22 2023-04-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핀미러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배열을 이용해 확장된 아이박스를 갖는 도파관 형태의 투과형 맥스웰리안 근안 디스플레이
WO2023128168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레티널 내장 콜리메이터 및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3128167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레티널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6822A (en) * 1996-10-08 1999-03-23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Image combining system for eyeglasses and face masks
KR101660519B1 (ko) 2015-03-09 2016-09-29 하정훈 증강 현실 구현 장치
JP2020512574A (ja) * 2017-02-23 2020-04-23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agic Leap,Inc. 可変屈折力反射体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200144B1 (ko) 2019-11-01 2021-01-08 주식회사 레티널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 및 광 시야각을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10053249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레티널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 및 광 시야각을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252287B1 (ko) * 2020-06-12 2021-05-14 주식회사 레티널 소형 반사부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3149B2 (en) * 2013-01-28 2014-10-28 David D. Bohn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coupling image light to a near-eye display
JP6287131B2 (ja) * 2013-12-02 2018-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KR102563215B1 (ko) * 2021-06-03 2023-08-03 주식회사 레티널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6822A (en) * 1996-10-08 1999-03-23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Image combining system for eyeglasses and face masks
KR101660519B1 (ko) 2015-03-09 2016-09-29 하정훈 증강 현실 구현 장치
JP2020512574A (ja) * 2017-02-23 2020-04-23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agic Leap,Inc. 可変屈折力反射体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200144B1 (ko) 2019-11-01 2021-01-08 주식회사 레티널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 및 광 시야각을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10053249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레티널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 및 광 시야각을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252287B1 (ko) * 2020-06-12 2021-05-14 주식회사 레티널 소형 반사부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579A1 (ko) * 2021-06-03 2022-12-08 주식회사 레티널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10113970A (ko) * 2021-08-30 2021-09-17 주식회사 레티널 회절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3063555A1 (ko) *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레티널 회절 소자를 이용한 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3068456A1 (ko) * 2021-10-22 2023-04-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핀미러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배열을 이용해 확장된 아이박스를 갖는 도파관 형태의 투과형 맥스웰리안 근안 디스플레이
WO2023128167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레티널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3128168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레티널 내장 콜리메이터 및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215B1 (ko) 2023-08-03
US20240151978A1 (en) 2024-05-09
WO2022255579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3215B1 (ko)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192942B1 (ko) 광 효율을 개선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US20070008624A1 (en) Optical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unit
EP3822693A2 (en) Head-mounted display
JP6670431B2 (ja) 結像光学系およびスマートグラス
US11586044B2 (en) Compact optical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having ghost image blocking function and wide field of view
KR20220006023A (ko) 내장 콜리메이터 및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20005423A (ko)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248606B1 (ko) 곡선 배치 반사 구조를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438997B1 (ko)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503576B1 (ko) 전반사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20017455A (ko) 편광 광학 소자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282422B1 (ko)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 및 광 시야각을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627825B1 (ko) 회절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627824B1 (ko) 회절 소자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323201B1 (ko) 광 효율 개선을 위한 곡선 배치 반사 구조를 갖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10130669A (ko) 회절 소자를 이용한 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10022860A (ko)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523617B1 (ko) 전반사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310804B1 (ko) 곡선 배치 반사 구조를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452963B1 (ko) 전반사를 이용한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190131707A (ko) 회절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0650B1 (ko) 곡선 배치 반사 구조를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20240013445A (ko) 회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아이박스 확장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US20220229220A1 (en) Optical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having improved light transmit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