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701A -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701A
KR20210075701A KR1020190167090A KR20190167090A KR20210075701A KR 20210075701 A KR20210075701 A KR 20210075701A KR 1020190167090 A KR1020190167090 A KR 1020190167090A KR 20190167090 A KR20190167090 A KR 20190167090A KR 20210075701 A KR20210075701 A KR 20210075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hicle
user
remote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701A/ko
Priority to US16/936,889 priority patent/US11184750B2/en
Publication of KR2021007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과 통신하는 통신부;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및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모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모션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REMOTE CONTROL DEVICE,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원격 조작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원격 조작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원격 조작 장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한다.
일 측면은 차량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과 통신하는 통신부;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및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모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모션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 에 대응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 에 대응하면, 상기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3 모션 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시트, 공조 장치 또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별 모션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NFC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터리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테이블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션 테이블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모션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슬립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션 정보를 획득하고; 모션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 에 대응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 에 대응하면,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은,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시트, 공조 장치 또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테이블을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된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모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모션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슬립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버튼 등의 별도의 물리적 입력 구성을 누르지 않고도, 의도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부합하는 변위를 갖도록 원격 제어 장치를 움직임으로써 차량을 제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테이블의 일 예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스템(1)은 원격 제어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300)을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차량(3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00)를 통하여 차량(300)으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으며, 차량(300)은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량(3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원격 제어 장치(100)을 소지한 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300)은 원격 제어 장치(10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도어(15L)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난 위험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00)를 통하여 차량(300)이 도난경보 기능(Panic 기능)을 제공하도록 차량(300)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도난경보 기능 실행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차량(300)은 주변으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전조등(11L, 11R)을 턴온(Turn On)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원격 제어 장치(100) 또는 차량(300)과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원격 제어 장치(100) 또는 차량(300)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을 이용한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r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감지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0)는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모션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과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고유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1)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는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LF 안테나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는 RF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신부(110)는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모션(Motion)과 관련된 모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션 정보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0)를 움직이는 경우, 감지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정보는 제어부(150)에 전달되어 제어 기초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마그네틱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16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60)는 리튬이온 폴리머 방식의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130)는 광을 방출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13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 소자(130)는 광을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함으로써 배터리(160)에 대한 충전 잔량 또는 배터리(160)의 상태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160)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130)는 광의 색상, 밝기, 점등 주기 등을 달리함으로써 배터리(160)의 충전 상태, 고장 상태 또는 방전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배터리(160)의 방전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및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모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모션 테이블을 구성하는 지정 모션 및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등록한 지정 모션과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정보는 통신부(110)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지정 모션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포함된 모션 테이블을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40)는 저장부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와 관련하여 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생성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차량(3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 또는 차량(300)이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모션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감지부(120)에 의하여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제어부(150)는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에 대응하면,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구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에 대응하면,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무선 통신 모듈(111)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100)가 차량(300)으로 제어 명령을 보낼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제1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만 통신부(11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부정확한 모션 정보의 인식으로 인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이 차량(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격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에 대응하면,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감지부(120)가 정확한 모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로 활성화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감지부(120)는 제어부(150)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모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제어부(150)로부터의 활성화 신호가 전달되기 전에는 제1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1 전력을 소비할 수 있고, 제어부(150)로부터의 활성화 신호가 전달된 이후에는 모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제1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만 감지부(12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모션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원격 제어 기능을 이용할 의도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고, 이후 보다 정확한 모션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감지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정확한 모션 인식으로 인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이 차량(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의 정확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에 대응하면, 제어부(150)는 배터리(160)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160)의 정보는 배터리(160)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며,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 등의 배터리(160)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배터리(160)의 정보는 배터리(160)의 고장 상태 또는 방전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에 대응하면, 제어부(150)는 배터리(160)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발광 소자(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배터리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발광 소자(130)가 방출하는 광의 색상, 밝기, 점등 주기 등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발광 소자(130)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150)는 배터리(160)의 충전 상태에 따라 턴온(Turn-on)되는 발광 소자(130)의 개수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배터리(160)의 충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배터리(160)의 충전 상태, 고장 상태 또는 방전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60)가 방전되는 경우가 미리 예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제어부(150)는 차량(300)의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Unlock)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차량(3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300)의 도어(15L)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과 함께 차량(300)의 시트, 공조 장치 또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값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차량(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300)의 시트, 공조 장치 또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값이 사용자 정보 별로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이 태깅되는 경우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신부(110)에 태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통신부(1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300)은 원격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 개인에 적합한 설정값에 기초하여 시트, 공조 장치 또는 AVN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모션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슬립 모드(Sleep mode)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구성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슬립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또는 감지부(120)를 활성화 신호가 전달되기 전의 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테이블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과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모션 테이블을 차량(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차량(300)의 AVN 장치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과 이에 각각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입력함으로써 모션 테이블을 등록할 수 있다.
차량(300)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모션 테이블은 원격 제어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300)은 원격 제어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300)은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100)가 차량(300)의 NFC 통신 모듈에 태깅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모션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모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과 이에 각각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입력함으로써 모션 테이블을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원격 제어 장치(100) 또는 차량(300)과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의 NFC 통신 모듈에 태깅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모션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모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모션 테이블은 사용자별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모션 테이블에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킴으로써 사용자 정보 별 모션 테이블을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원격 제어 장치(100)가 태깅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등록한 모션 테이블과 매칭함으로써 사용자별 모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에 같이, 제1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활성화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을 'S'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차량(300)의 도어(15L)에 대한 잠금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을 'L'로 등록할 수 있으며, 차량(300)의 도어(15L)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을 'U'로 등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사용자는 도난 경보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을 'P'로, 배터리정보 표시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을 'B'로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제1 사용자가 등록한 지정 모션에 매칭시킬 수 있고, 사용자별 모션 테이블을 저장하도록 저장부(140)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지정 모션을 등록한 후 사용자 단말(200)을 원격 제어 장치(100)에 태깅시킬 수 있고, 제어부(15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제1 사용자가 등록한 지정 모션에 매칭시킴으로써 제1 사용자의 모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을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등록한 지정 모션에 매칭시킴으로써 제2 사용자의 모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50)는 변경된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션 정보를 사용자별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차량(3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휴대가 간편한 카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코팅 필름(101), 제1 시트(102), 제2 시트(103), PCB(Printed Circuit Board, 104), 발광 다이오드(105), 제1 통신 모듈(106), 감지부(120), 배터리(160), 제2 통신 모듈(108)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필름(101)은 원격 제어 장치(100)의 표면의 오염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시트(102) 및 제2 시트(103)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들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PCB(104)에는 제어부(150) 또는 저장부(14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가 마련될 수 있다. 즉, PCB(104)는 제어부(150) 또는 저장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PCB(104)는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성 인쇄회로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 RPCB)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05)는 발광 소자(13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배터리(160)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06) 및 제2 통신 모듈(108)은 통신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또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통신 모듈(108)은 배터리(16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60)의 무선 충전을 위한 다양한 회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모듈(108)은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형상의 원격 제어 장치(100)는 기존의 원격 제어 장치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갑 등의 다양한 위치에도 원격 제어 장치(100)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차량(3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버튼 등의 별도의 물리적 입력 구성을 누르지 않고도, 의도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부합하는 변위를 갖도록 원격 제어 장치(100)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100)가 지갑 등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조작 없이 차량(300)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카드 형상의 원격 제어 장치(100)는 일 실시예로서 개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소자들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전술한 구성들의 배치 또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모션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1).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획득된 모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제1 모션을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따라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제1 모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획득된 모션 정보와 제1 모션의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제1 모션에 대응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제1 모션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1 모션은 원격 제어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지정 모션으로,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모션이 입력되면(501의 예),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502).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구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111)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차량(300)으로 제어 명령을 보낼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만 통신부(110)가 활성화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부정확한 모션 정보의 인식으로 인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이 차량(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격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획득된 모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에 대응하면, 감지부(12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고, 정확한 모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활성화 상태가 되기 전에 제1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1 전력을 소비할 수 있고, 활성화 상태가 된 이후 모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상태가 되면 실시간으로 모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만 감지부(12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는 지정 모션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3).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모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모션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해당 지정 모션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정 모션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503의 예),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입력된 지정 모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504).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입력된 지정 모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차량(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300)은 사용자가 의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3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버튼 등의 별도의 물리적 입력 구성을 누르지 않고도, 의도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부합하는 변위를 갖도록 원격 제어 장치(100)를 움직임으로써 차량(300)을 제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모션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601). 제1 모션이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602),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602).
원격 제어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602), 원격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모션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603).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모션 정보가 입력되면(603의 예),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입력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604).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입력된 모션 정보와 모션 테이블에 저장된 지정 모션을 비교할 수 있고, 입력된 모션 정보와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 지정 모션을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입력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면(604의 예), 원격 제어 장치(100)는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지정 모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605).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입력된 지정 모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차량(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300)은 사용자가 의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모션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603의 아니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슬립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606).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구성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슬립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또는 감지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제1 모션에 의한 원격 제어 기능 활성화가 되기 전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모션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만 원격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부정확한 모션 정보의 인식으로 인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이 차량(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격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원격 제어 장치
110: 통신부
120: 감지부
130: 발광 소자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60: 배터리
200: 사용자 단말
300: 차량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과 통신하는 통신부;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및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모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모션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시트, 공조 장치 또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별 모션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NFC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원격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터리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테이블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모션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슬립모드를 실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
  12.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션 정보를 획득하고;
    모션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 모션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1 모션 에 대응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2 모션 에 대응하면,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모션 중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은,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가 상기 제3 모션에 대응하면, 상기 차량의 시트, 공조 장치 또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테이블을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된 모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모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모션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슬립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167090A 2019-12-13 2019-12-13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210075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90A KR20210075701A (ko) 2019-12-13 2019-12-13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US16/936,889 US11184750B2 (en) 2019-12-13 2020-07-23 Remote control device,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90A KR20210075701A (ko) 2019-12-13 2019-12-13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01A true KR20210075701A (ko) 2021-06-23

Family

ID=7631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090A KR20210075701A (ko) 2019-12-13 2019-12-13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84750B2 (ko)
KR (1) KR20210075701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2931A1 (en) * 2008-08-26 2010-03-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Gesture control key fob
US8224313B2 (en) * 2008-09-24 2012-07-1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s from a cell phone
KR101428240B1 (ko) * 2012-12-04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42668A1 (en) * 2013-05-16 2014-11-20 Honda Motor Co., Ltd. Smart phone case
US20150116079A1 (en) * 2013-10-24 2015-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hanced vehicle key fob
US20170282856A1 (en) * 2016-04-04 2017-10-05 Analog Devices, Inc. Wireless keyless entry systems and methods
US11417163B2 (en) * 2019-01-04 2022-08-16 Byton North Americ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key fob motion based gesture comm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5496A1 (en) 2021-06-17
US11184750B2 (en)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3467B2 (en) Optical fingerprint verif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10069960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for carrying out functions based on reflected electromagnetic radiation
CN103283210B (zh) 用于接近检测验证的移动设备和方法
CN101536434B (zh) 用于移动设备的配对系统和方法
US20130135095A1 (en) Device Locator
US20180239999A1 (en) Wireless low power flexible and removably attachable tag and corresponding loca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203841B1 (ko) Rfid 지원 이동 전화를 동작시키는 방법, 이동 전화, 원격 유닛, 및 응용 프로그램 제품
CN104246668A (zh) 利用手势激活电子装置的方法和设备
KR20200089441A (ko)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07316928A (ja) 携帯情報端末、通信ユニット、及び携行品確認システム
KR20150055304A (ko) 휴대품 분실 예방 시스템
KR20210075701A (ko) 원격 제어 장치, 이와 통신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CN113615154B (zh) 用户设备的传感器模块
US20070035411A1 (en) Service selection
US9946303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5631636A (zh) 一种新式物流拣选作业的智能货架系统
KR20200075470A (ko) 위치 기반 동작 방법, 전자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120176553A1 (en) RFID - Based Wireless Remote Control Using Variable ID Field
GB2619421A (en) Communicating weight sensor units and techniques for using same
KR20190104317A (ko)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JP2007034770A (ja) 所在検出装置および所在検出方法
KR20110050256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시험물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159333A1 (en) Automobile dashcam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rage of image
KR102505290B1 (ko)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모듈
EP4290410A2 (en) Communicating weight sensor units, asset tags and dispensing units and enclosures, and techniques for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