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719A -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719A
KR20210074719A KR1020190165720A KR20190165720A KR20210074719A KR 20210074719 A KR20210074719 A KR 20210074719A KR 1020190165720 A KR1020190165720 A KR 1020190165720A KR 20190165720 A KR20190165720 A KR 20190165720A KR 20210074719 A KR20210074719 A KR 20210074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earing means
detachable
sound outpu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273B1 (ko
Inventor
최기정
Original Assignee
(주)프라임음향
최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임음향, 최기정 filed Critical (주)프라임음향
Priority to KR102019016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또는 전동 킥보드 라이딩 시 핸들에 거치되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음향신호를 헬멧 또는 고글과 같은 착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음향장치가 수신 및 출력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음향신호 송/수신 및 출력과 관련된 조작이 핸들그립과 최단거리에서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Sound device and sound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또는 전동 킥보드 라이딩 시 핸들에 거치되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음향신호를 헬멧 또는 고글과 같은 착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음향장치가 수신 및 출력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음향신호 송/수신 및 출력과 관련된 조작이 핸들그립과 최단거리에서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장치는 전기신호를 음파 형태로 변환 출력시키거나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칭하며, 상기 전기신호를 음파 형태로 출력시키는 음향장치로는 스피커 및 이어폰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음향장치는 특정 장소나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귀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한다.
특히, 상기 이어폰은 스마트폰이나 음향재생장치 등의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신호를 음파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귀에 직접 전달한다.
한편, 최근 들어 레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순 이동수단에 불과했던 자전거를 취미 또는 운동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며, 전동 킥보드의 대중화로 이에 대한 사용자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자전거나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여 장거리 또는 장시간 이동하는 사용자들 중에는 상기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를 이어폰을 통해 청취하는 사람들도 많은 편이다.
이와 같이 자전거나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면서 이어폰을 통해 음향신호를 청취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최근에는 안전용 헬멧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무선 음향장치가 다수 소개되었으며, 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4063호(명칭 : 탈부착형 헬멧용 골전도 음향장치 ; 출원일 : 2016.09.23. ; 이하 문헌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7845호(명칭 : 헬멧용 골전도 음향장치 ; 출원일 : 2017.07.07. : 이하 문헌 2이라 함)가 있다.
이러한 종래 헬멧용 음향장치는 무선으로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에 일치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대한 음향 전달 방식은 대동소이하고 헬멧에 탈부착하는 구조만 상이한 것으로, 상기 문헌 1의 경우, 흡착판(30)에 의해 헬멧에 착탈식으로 고정되고, 문헌 2의 경우, 탄성브라켓(30)에 의해 헬멧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문헌 1은 표면의 평탄도가 낮거나 이물질이 묻은 헬멧에는 흡착판(30)의 흡착력이 낮아 고정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으며, 동절기에는 저온에 의해 하절기에는 고온에 의해 흡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에 의해 흡착판(30)의 경화 또는 흡착면 스크래치에 의해 흡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문헌 2는 헬멧에 빈번하게 착탈 사용하는 것에 의해 탄성 브라켓(30)의 탄성력 저하에 의해 고정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 큰 문제점은 상기와 같이 자전거나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면서 이어폰으로 음향신호를 청취할 경우, 주변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에 의한 위험 발생뿐만 아니라, 라이딩 도중 음원제공장치를 조작함에 따른 불안정한 전방주시 및 핸들 조작 부주의로 인해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에, 헬멧 또는 고글과 같은 착용수단에 착탈식임에도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라이딩 시에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이용 시 핸들에 거치되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음향신호를 헬멧 또는 고글과 같은 착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음향장치가 수신 및 출력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음향신호 송/수신 및 출력과 관련된 조작이 핸들그립과 최단거리에서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중 음향장치(10)는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음향장치(10)는 자체 저장 또는 무선 수신된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상부 또는 일측 면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에 대응하여 장착과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탈고정체(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용수단(1)에 대해 음향장치(10)를 착탈 고정시키도록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와 음향장치(10)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마그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향장치(10)의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음향출력모듈의 수용 내지 동작영역에서 벗어나 하우징(11) 상부 또는 일측 면 양단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착용수단(1)의 착탈고정체(2)인 마그네트가 대응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착용수단(1)의 착탈고정체(2)에 대면하는 면에 'S'극과 'N'극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좌측과 우측이 서로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탈고정체(2)는 착용수단(1)에 일체로 내삽 마련되거나 별도의 베이스플레이트(2a)에 배치되어 착용수단(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착탈고정체(12)는 고정브래킷(12a)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이 상기 고정브래킷(12a) 하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음향처리시스템(100)은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장치(10); 자체 저장된 또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정보에 대한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장치(10)로 제공하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에서 음향장치(10)로 제공되는 음향신호의 무선 송출과 볼륨 및 동작/정지를 포함한 동작 상태를 버튼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컨트롤러(3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향장치(10)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또는 컨트롤러(30)와 무선 통신 연결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및 컨트롤러(3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3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그립(3a)에 근접하여 마련되거나, 핸들(3)에 마련된 기어변속블록(4)에 일체로 탑재되거나, 핸들그립(3a)에 일체로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장치(10)가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헬멧 또는 고글과 같은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와 같이 비교적 속도가 높은 개인 이동수단 이용 시, 음악 청취나 통화를 하면서도 주변의 청각적 정보를 신속하면서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환경적 변화 또는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출력모듈이 수용된 하우징(11)을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만 착용수단(1)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탈리하여 휴대하거나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또는 전동 킥보드 이용 시 착용하는 헬멧을 벗어서 해당 이동수단에 비치할 경우 도난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음향출력모듈이 수용된 하우징(11)을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여, 착용 상태에서 넘어지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음향장치(10)가 착용수단(1)에서 즉각적으로 탈리됨으로써, 착용수단(1)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돌출된 음향장치(10)가 신체를 훼손시키거나 부상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장치(10)의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가 음향출력모듈의 수용영역 내지 동작영역에서 벗어나 마련됨으로써, 음향출력모듈의 전자기적 특성과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음향출력모듈의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좌측과 우측이 서로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향장치(10)의 음향 출력 방향이 항상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위치하게 고정되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탈고정체(2)가 별도의 베이스플레이트(2a)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a)가 착용수단(1)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착용수단(1)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호환성 내지 적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탈고정체(12)가 고정브래킷(12a)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이 상기 고정브래킷(12a) 하방 축(13)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귀 위치에 따라 상기 축(13)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하면서 음향 출력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의 음향 청취 각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각적정보제공장치(20)인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여 전원을 켜거나 음향신호 검색 및 선택을 위한 드래그 또는 클릭 동작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30)를 통해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조작하여 음향신호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와 같이 비교적 속도가 높은 개인 이동수단 이용 시,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및 컨트롤러(30)를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3)에 고정하되, 특히, 상기 컨트롤러(3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그립(3a)에 근접 마렴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핸들(3) 조작을 하면서도, 상기 컨트롤러(30)를 조작하여 손쉽고 빠르게 음향 출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러(30)를 핸들(3)에 마련된 기어변속블록(4)에 일체로 탑재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그립(3a)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기어 변속레버의 조작은 물론, 상기 컨트롤러(30)를 조작하여 손쉽고 빠르게 음향 출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러(30)를 핸들그립(3a)에 일체로 탑재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그립(3a)을 잡은 상태에서 더욱 손쉽게 상기 컨트롤러(30)를 조작하여 손쉽고 빠르게 음향 출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 중 음향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중 음향장치가 착용수단인 헬멧에 착탈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 음향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실시예의 구성이 각도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음향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중 음향처리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적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음향처리시스템이 이동수단인 자전거의 핸들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설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 중 음향처리시스템의 컨트롤러가 기어변속블록에 일체로 탑재된 예를 도시한 설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 중 음향처리시스템의 컨트롤러가 핸들그립에 일체로 탑재된 예를 도시한 설치 구성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중 음향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음향장치(10)는 자체 저장 또는 무선 수신된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상부 또는 일측 면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에 대응하여 장착과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탈고정체(12);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수단(1)에 대해 음향장치(10)를 착탈 고정시키도록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와 음향장치(10)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마그네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음향장치(10)의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음향출력모듈의 수용 내지 동작영역에서 벗어나 하우징(11) 상부 또는 일측 면 양단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착용수단(1)의 착탈고정체(2)인 마그네트가 대응 위치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착용수단(1)의 착탈고정체(2)와 대면하는 면에 'S'극과 'N'극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착자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좌측과 우측이 서로 반대 극성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고정체(2)는 착용수단(1)에 일체로 내삽 마련되거나 별도의 베이스플레이트(2a)에 배치되어 착용수단(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착탈고정체(12)는 고정브래킷(12a)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이 상기 고정브래킷(12a) 하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축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중 음향처리시스템(100)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장치(10); 자체 저장된 또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정보에 대한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장치(10)로 제공하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에서 음향장치(10)로 제공되는 음향신호의 무선 송출과 볼륨 및 동작/정지를 포함한 동작 상태를 버튼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컨트롤러(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는 스마트폰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그 밖의 시청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30)는 선택 및 업/다운 버튼과 각 버튼의 조작신호를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연동시켜 시청각정보를 처리하도록 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논리회로가 탑재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처리시스템(100) 중 상기 음향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또는 컨트롤러(30)와 무선 통신 연결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통신 연결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및 컨트롤러(30)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3)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3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그립(3a)에 근접하여 마련되거나,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에 마련된 기어변속블록(4)에 일체로 탑재되거나,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그립(3a)에 일체로 탑재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장치(10), 특히 사용자의 귀 또는 신체와 비접촉 상태로 음향을 제공하는 이어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음향장치(10)가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헬멧 또는 고글과 같은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와 같이 비교적 속도가 높은 개인 이동수단 이용 시, 음악 청취나 통화를 하면서도 주변의 청각적 정보를 신속하면서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환경적 변화 또는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용수단(1)에 장착된 음향장치(10)가 비접촉 상태에서 음파적으로 음향을 출력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향장치(10)를 착용수단(1)에서 회동시켜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여, 피부 감각을 자극하여 음향을 전달 즉, 골전도를 통해 음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음향장치(10)의 음향출력모듈이 음파적 음향출력모듈과 골전도를 위한 진동적 음향출력모듈로 양분되어 하우징(11)에 수용되거나, 하나의 음향출력모듈이 음파적 진동적인 음향 출력 가능하도록 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음향장치(10)의 회동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실제로는 회전 방향이 도 4와 반대로 이루어져 신체 방향으로 회전) 힌지 내지 회전축이 적용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 각도 조절 후 또는 회동에 의한 피부 가압력 제공 후 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힌지 내지 회전축이 요철로 이루어져 원하는 각도로 회전한 후 요철 구조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음파적 음향출력모듈과 진동적 음향출력모듈 및 이들의 통합형 음향출력모듈의 구성 내지 구조는 주지관용적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음향장치(10)는 자체 저장 또는 무선 수신된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상부 또는 일측 면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에 대응하여 장착과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탈고정체(12);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귀 또는 신체와 비접촉형 이어폰 또는 회동에 의해 신체와 접촉하는 골전도형 이어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출력모듈이 수용된 하우징(11)을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만 착용수단(1)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탈리하여 휴대하거나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이용 시 착용하는 헬멧을 벗어서 해당 이동수단에 비치할 경우 도난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음향출력모듈이 수용된 하우징(11)을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여, 착용 상태에서 넘어지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음향장치(10)가 착용수단(1)에서 즉각적으로 탈리됨으로써, 착용수단(1)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돌출된 음향장치(10)가 신체를 훼손시키거나 부상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는 착용수단(1) 중 귀와 인접한 부위 또는 귀의 전방 부위 또는 후방 부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리하여야만, 음향장치(10)가 귀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와 음향장치(10)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마그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착탈 고정 수단이 치환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음향장치(10)의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음향출력모듈의 수용 내지 동작영역에서 벗어나 하우징(11) 상부 또는 일측 면 양단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착용수단(1)의 착탈고정체(2)인 마그네트가 대응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0)의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가 음향출력모듈의 수용영역 내지 동작영역에서 벗어나 마련됨으로써, 음향출력모듈의 전자기적 특성과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음향출력모듈의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한 쌍의 착탈고정체(2)와 대면하는 면에 각각 'S'극과 'N'극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착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는 좌측과 우측이 서로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자면, 우측 귀에 위치하는 음향장치(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N'극, 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S'극이 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는 착용수단(1)의 우측 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는 'S'극, 우측 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는 'N'극이 되도록 한다. 이리하면, 상기 우측 전방 착탈고정체(12)의 'N'극이 우측 전방 착탈고정체(2)의 'S'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우측 후방 착탈고정체(12)의 'S'극이 우측 후방 착탈고정체(2)의 'N'극과 인력 작용하게 되어, 상기 우측 음향장치(10)가 착용수단(1)에 고정된다.
또한, 좌측 귀에 위치하는 음향장치(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S'극, 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N'극이 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는 착용수단(1)의 좌측 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는 'N'극, 좌측 후방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는 'S'극이 되도록 한다. 이리하면, 상기 좌측 전방 착탈고정체(12)의 'S'극이 좌측 전방 착탈고정체(2)의 'N'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좌측 후방 착탈고정체(12)의 'N'극이 좌측 후방 착탈고정체(2)의 'S'극과 인력 작용하게 되어, 상기 좌측 음향장치(10)가 착용수단(1)에 고정된다.
물론, 반드시 그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음향장치(10)의 음향 출력 방향이 항상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위치하게 고정되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유용하다. 즉, 좌측 음향장치(10)를 그대로 우측 음향장치(10)가 고정되는 착용수단(1)의 우측 착탈고정체(2)에 장착할 경우, 음향이 출력되는 면이 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좌측 음향장치(10)를 착용수단(1)의 우측에 장착하려 해도 각 착탈고정체의 동일 극성이 척력 작용하여 장착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촤측 음향장치(10)를 착용수단(1)의 우측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향이 출력되는 면이 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180도 회전시켜 장착하면, 상기 각 착탈고정체의 극성이 반대가 되어 인력 작용하게 되므로,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고정체(2)는 착용수단(1)에 일체로 내삽 마련되거나 별도의 베이스플레이트(2a)에 배치되어 착용수단(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착탈고정체(12)는 고정브래킷(12a)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이 상기 고정브래킷(12a) 하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착탈고정체(2)가 별도의 베이스플레이트(2a)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a)가 착용수단(1)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착용수단(1)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a)를 나사 고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끼움결합(요철, 스냅단추 등), 걸림결합(걸림턱과 홈), 부착결합(밸크로파스너, 양면테이프 등) 등의 결합 요소나 구조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기 착탈고정체(12)가 고정브래킷(12a)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장치(10)의 하우징(11)이 상기 고정브래킷(12a) 하방 축(13)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귀 위치에 따라 상기 축(13)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하면서 음향 출력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의 음향 청취 각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1) 일 측면 또는 후방면 외부에는 LED가 마련되어, 점등 또는 점멸하면서 음향장치(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음향장치(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은 물론, 야간이나 안개 낀 환경에서 타인에게 위치 내지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 중 음향처리시스템(100)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장치(10); 자체 저장된 또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정보에 대한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장치(10)로 제공하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에서 음향장치(10)로 제공되는 음향신호의 무선 송출과 볼륨 및 동작/정지를 포함한 동작 상태를 버튼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컨트롤러(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음향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또는 컨트롤러(30)와 무선 통신 연결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통신 연결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이면 모두 가능하고 예시적으로는 블루투스를 제시하며, 상기 유선 접속은 데이터 전송 및 전원공급 가능한 케이블이면 모두 가능하고 예시적으로는 USB 또는 마이크로USB 케이블을 제사한다.
또한, 상기 연결방식에 따라 세부적으로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0)를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무선 통신 연결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는 유선 접속시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인 스마트폰에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적 음향신호를 무선을 통해 음향장치(10)로 제공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케이블로 연결된 컨트롤러(30)를 통해 음향신호의 전송 및 중단 또는 종료를 선택하거나 볼륨을 업 다운시키거나 뒤돌림/앞넘김 등 동작 전반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0)를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무선 통신 연결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도 무선 통신 연결시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인 스마트폰에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적 음향신호를 무선을 통해 음향장치(10)로 제공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컨트롤러(30)를 통해 음향신호의 전송 및 중단 또는 종료를 선택하거나 볼륨을 업 다운시키거나 뒤돌림/앞넘김 등 동작 전반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0)를 컨트롤러(30)와 무선 통신 연결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는 유선 접속시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인 스마트폰에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적 음향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컨트롤러(30)가 전달받아, 음향신호의 전송 및 중단 또는 종료를 선택하거나 볼륨을 업 다운시키거나 뒤돌림/앞넘김 등 동작 전반에 대해 제어하면서 상기 음향장치(1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0)를 컨트롤러(30)와 무선 통신 연결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도 무선 통신 연결시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인 스마트폰에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적 음향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30)가 전달받아, 음향신호의 전송 및 중단 또는 종료를 선택하거나 볼륨을 업 다운시키거나 뒤돌림/앞넘김 등 동작 전반에 대해 제어하면서 상기 음향장치(1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상기 시각적정보제공장치(20)인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여 전원을 켜거나 음향신호 검색 및 선택을 위한 드래그 또는 클릭 동작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30)를 통해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조작하여 음향신호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및 컨트롤러(30)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3)에 고정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컨트롤러(3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그립(3a)에 근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되면, 사용자가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핸들(3) 조작을 하면서도, 상기 컨트롤러(30)를 조작하여 손쉽고 빠르게 음향 출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가 핸들(3)에 마련된 기어변속블록(4)에 일체로 탑재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되면, 사용자가 핸들그립(3a)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기어 변속레버의 조작은 물론, 상기 컨트롤러(30)를 조작하여 손쉽고 빠르게 음향 출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가 핸들그립(3a)에 일체로 탑재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되면, 사용자가 핸들그립(3a)을 잡은 상태에서 더욱 손쉽게 상기 컨트롤러(30)를 조작하여 손쉽고 빠르게 음향 출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음향장치 11 : 하우징
12 : 착탈고정체 12a : 고정브래킷
13 : 축 20 : 시청각정보제공장치
30 : 컨트롤러 1 : 착용수단
2 : 착탈고정체 3 : 핸들
3a : 핸들그립 4 : 기어변속블록
100 : 음향처리시스템

Claims (11)

  1. 헬멧 또는 고글을 포함한 착용수단(1)에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장치(10)에 있어서,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장치(10)는 자체 저장 또는 무선 수신된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상부 또는 일측 면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에 대응하여 장착과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탈고정체(12);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1)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2)와 음향출력장치(10)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마그네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장치(10)의 착탈고정체(12)는 마그네트이고, 상기 마그네트는 음향출력모듈의 수용 내지 동작영역에서 벗어나 하우징(11) 상부 또는 일측 면 양단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착용수단(1)의 착탈고정체(2)는 마그네트로서 상기 착탈고정체(12)인 마그네트와 대응 위치에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마그네트이고 상기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착용수단(1)의 착탈고정체(2)인 마그네트와 대면하는 면에 'S'극과 'N'극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착자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음향출력장치(10)의 하우징(11) 양단에 마련되는 착탈고정체(12)는 마그네트이고, 상기 마그네트는 좌측과 우측이 서로 반대 극성으로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고정체(2)는 착용수단(1)에 일체로 내삽 마련되거나 별도의 베이스플레이트(2a)에 배치되어 착용수단(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착탈고정체(12)는 고정브래킷(12a)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출력장치(10)의 하우징(11)이 상기 고정브래킷(12a) 하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축(13)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8. 헬멧 또는 고글을 포함한 착용수단(1)에 마련된 음향장치(10)에 대한 음향 출력을 처리하는 음향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단일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를 포함한 신체에 비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회동하여 신체에 접촉 상태가 되도록 착용수단(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파 또는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향출력장치(10);
    자체 저장된 또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시청각정보 중 청각정보에 대한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출력장치(10)로 제공하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에서 음향출력장치(10)로 제공되는 음향신호의 무선 송출과 볼륨 및 동작/정지를 포함한 동작 상태를 버튼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컨트롤러(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장치(10)는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또는 컨트롤러(30)와 무선 통신 연결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와 컨트롤러(30)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통신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청각정보제공장치(20) 및 컨트롤러(3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3)에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핸들그립(3a)에 근접하여 마련되거나, 핸들(3)에 마련된 기어변속블록(4)에 일체로 탑재되거나, 핸들그립(3a)에 일체로 탑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시스템.
KR1020190165720A 2019-12-12 2019-12-12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 KR10230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20A KR102305273B1 (ko) 2019-12-12 2019-12-12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20A KR102305273B1 (ko) 2019-12-12 2019-12-12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19A true KR20210074719A (ko) 2021-06-22
KR102305273B1 KR102305273B1 (ko) 2021-09-28

Family

ID=7660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720A KR102305273B1 (ko) 2019-12-12 2019-12-12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2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56B1 (ko) * 2001-10-30 2009-03-10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면체 또는 모체 스트랍프 장착용 송수화장치
KR20090081171A (ko) * 2008-01-23 2009-07-28 (주)드림텍 무전통신이 가능한 헬멧형 핸즈프리 시스템
KR101796618B1 (ko) * 2017-07-17 2017-12-01 (주)대건 헬멧용 골전도 음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56B1 (ko) * 2001-10-30 2009-03-10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면체 또는 모체 스트랍프 장착용 송수화장치
KR20090081171A (ko) * 2008-01-23 2009-07-28 (주)드림텍 무전통신이 가능한 헬멧형 핸즈프리 시스템
KR101796618B1 (ko) * 2017-07-17 2017-12-01 (주)대건 헬멧용 골전도 음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273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0646B2 (en) Eyewear with detachable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US7406172B2 (en) Reversible behind-the-head mounted personal audio set with pivoting earphone
US8473004B2 (en) Eyeglasses with electronic components
JP4880059B1 (ja)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ホン及び該ヘッドホンを有するヘルメット
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20110164776A1 (en) Audio ear bud headphone with extended curvature
US20060158608A1 (en) Eyeglasses with signal receiving function
JP2012510218A (ja) 蝶形骨伝導の通信装置及び/或いは補聴装置
JP2011521560A (ja) 耳掛けとイヤホン本体のヘッドセット
US20050226452A1 (en) Behind-the-head mounted personal audio set
EP2606659A2 (en) Audio ear bud headphone with extended curvature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KR20070049946A (ko) 귀걸이를 갖춘 삽입형 이어폰
JP2008227806A (ja) 骨伝導スピーカ装置
CA2579556A1 (en) Spectacle type communication device
TW201018982A (en) Sphenoid temporal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and/or hearing aid device
KR102305273B1 (ko) 음향장치 및 음향처리시스템
CN113168033A (zh) 具有音频回放功能的眼镜
JP2015082824A (ja) イヤホン
KR100703324B1 (ko) 귀 밑 착용형 이어셋
KR20150004097U (ko) 헬멧용 카메라 부착장치
CN210670494U (zh) 一种头戴式耳机
KR100689881B1 (ko) 리시버를 이용한 스테레오 무선 헤드셋
KR20140116837A (ko) 안테나를 구비한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KR200213413Y1 (ko) 엠피3 기능이 구비된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