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060A - 유기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060A
KR20210074060A KR1020190165044A KR20190165044A KR20210074060A KR 20210074060 A KR20210074060 A KR 20210074060A KR 1020190165044 A KR1020190165044 A KR 1020190165044A KR 20190165044 A KR20190165044 A KR 20190165044A KR 20210074060 A KR20210074060 A KR 20210074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openings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이재기
이정원
공창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060A/ko
Priority to CN202011394189.9A priority patent/CN112951884A/zh
Priority to US17/119,712 priority patent/US11647649B2/en
Publication of KR2021007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01L27/3246
    • H01L27/3211
    • H01L51/5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 H01L2251/3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이외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픽셀들에 할당된 제1 전극들,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제1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1 뱅크, 상기 제1 뱅크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을 노출하는 제2 개구부들,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열된 상기 제1 개구부들을 노출하는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2 개구부들과 상기 제3 개구부들을 연결하는 제4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2 뱅크, 및 상기 제2 개구부들, 상기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4 개구부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기판 상에 소자를 형성할 수 있어 플렉서블한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최근에는 대면적의 고 해상도 유기발광표시장치가 요구됨에 따라 단일 패널에 다수의 서브 픽셀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 서브 픽셀 패터닝(patterning)을 위해 마스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면적의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와 대응되는 대면적의 미세 금속 마스크(Fine Metal Mask, FMM)가 필요하다. 다만, 대면적으로 갈수록 마스크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 발광 물질이 제 위치에 증착되지 않는 등의 다양한 불량이 야기되고 있다.
전술한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대면적에 유리한 용액 공정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용액 공정은 잉크젯 프린팅이나 노즐 프린팅 등을 통해 마스크 없이 대면적 패터닝이 가능하며, 재료 사용률이 10% 이하인 진공 증착에 비해 재료 사용률이 50 내지 80%정도로 매우 높다. 또한 진공증착 박막에 비해서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높아 열안정성과 모폴로지(morphology)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용액 공정에 의해,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 서브 픽셀 내 위치에 따른 두께 편차에 의한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여, 표시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종 뱅크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이외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픽셀들에 할당된 제1 전극들,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제1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1 뱅크, 상기 제1 뱅크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을 노출하는 제2 개구부들,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열된 상기 제1 개구부들을 노출하는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2 개구부들과 상기 제3 개구부들을 연결하는 제4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2 뱅크, 및 상기 제2 개구부들, 상기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4 개구부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들과 상기 제3 개구부들은 상기 제2 뱅크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개구부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개구부들은 각각 상기 제2 개구부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 개구부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 선 상에 배치된 상기 제3 개구부들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들 및 상기 제3 개구부들은 동일한 유기 발광층들이 형성된 제1 열, 상기 제1 열과 다른 유기 발광층들이 형성된 제2 열, 및 상기 제1 및 제2 열과 다른 유기 발광층들이 형성된 제3 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 내지 제3 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4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3 개구부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 내지 제3 열에 각각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1 개구부,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3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3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1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4-2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4-3 개구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4-1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 내지 제3 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1 열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3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3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2 개구부는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제4-3 개구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4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2 및 상기 제3 개구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4-1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4-2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4-1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4-2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뱅크는 친수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뱅크는 소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영역에 제2 뱅크의 제2 개구부를 형성하고 비표시 영역에 제2 뱅크의 제3 개구부를 형성하며 제2 개구부와 제3 개구부를 연결시키는 제4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조절하여 제2 개구부에 채워지는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제3 개구부에 연결된 제4 개구부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뱅크의 제4 개구부가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켜 비표시 영역에서 유기 발광 물질의 두께를 일정 두께로 형성되도록 유지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용액 공정 시, 위치에 따른 유기 발광층의 두께 편차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를 Ⅰ-Ⅰ' 및 Ⅱ-Ⅱ'로 절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를 Ⅲ-Ⅲ'로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에지부 액말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을 Ⅳ-Ⅳ', Ⅴ-Ⅴ' 및 Ⅵ-Ⅵ'로 절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서두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영상 처리부(11), 타이밍 제어부(12), 데이터 구동부(13), 게이트 구동부(14) 및 표시 패널(15)을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1)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영상 처리부(11)는 시스템 회로기판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
타이밍 제어부(12)는 영상 처리부(11)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2)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1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는 제어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
데이터 구동부(13)는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는 데이터 회로기판 상에 IC 형태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에 부착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4)는 타이밍 제어부(12)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4)는 게이트라인들(GL1 ~ GLm)을 통해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4)는 게이트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에 부착되거나, 표시 패널(15)에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5)은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 이외의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은 신호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5)은 데이터 구동부(13) 및 게이트 구동부(14)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게이트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비표시 영역(NA)는 회로 기판이 접합되어 회로 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패드들, 및 패드들에 연결되어 표시 영역(AA)의 서브 픽셀(SP)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링크 라인들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보상회로(CC)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 게이트 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가 커패시터에 데이터 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고전위 전원라인(VDD)과 저전위 전원라인(GND)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SW)나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연결된 커패시터는 보상회로(CC) 내부로 위치할 수 있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경우 서브 픽셀에는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함과 더불어 특정 신호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과 전원라인 등이 더 포함된다. 추가된 신호라인은 서브 픽셀에 포함된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1-2 게이트 라인(GL1b)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된 전원라인은 서브 픽셀의 특정 노드를 특정 전압으로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전원라인(INIT)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하나의 서브 픽셀에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하지만, 보상의 주체가 데이터 구동부(13) 등과 같이 서브 픽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보상회로(CC)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서브 픽셀은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되지만,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2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Ⅰ-Ⅰ' 및 Ⅱ-Ⅱ'로 절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서브 픽셀(SP)들이 배열된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 외측의 비표시 영역(NA)을 갖는 기판(10)을 포함한다. 기판(10)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은 물론, 정방형, 원형, 타원형 등의 평면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에는, 기판(10)의 평면 형상에 관계 없이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 및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이 정의된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의해, 후술하게 될 서브 픽셀 및/또는 개구부의 위치 및 배열 관계 등이 정의될 수 있다.
기판(10) 상에는, 회로 소자층(20) 및 회로 소자층(20)에 구비된 소자들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다.
회로 소자층(20)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라인 및 전극들이 배열될 수 있고, 신호 라인과 전극들은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가 AM(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회로 소자층(20)은 각 서브 픽셀(SP) 마다 할당되는 박막트랜지스터(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브 픽셀 마다 박막트랜지스터(21)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박막트랜지스터(21)와 유기발광 다이오드 사이에는, 패시베이션막(27) 및 오버코트층(28)이 개재된다.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며, 내부 소자를 보호한다. 오버코트층(28)은 소정의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하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21) 및 신호 라인들에 의한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제1 전극(30), 제2 전극(60), 및 제1 전극(30)과 제2 전극(60)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50)을 포함한다. 제1 전극(30)은 애노드일 수 있고, 제2 전극(60)은 캐소드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브 픽셀(SP)들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열된 서브 픽셀(SP)들은 상이한 색의 광을 방출하고, 제2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열된 서브 픽셀(SP)들은 동일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30)이 배치된다. 제1 전극(30)은 서브 픽셀(SP)들 각각에 하나씩 할당될 수 있다.
제1 전극(30) 상에는, 뱅크(40)가 배치된다. 뱅크(40)는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를 포함한다.
제1 전극(30) 상에 제1 뱅크(41)가 위치한다. 제1 뱅크(41)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42)를 포함한다. 하나의 제1 개구부(42)는 하나의 제1 전극(30)을 노출시킨다. 따라서, 제1 개구부(42)의 수와 제1 전극(30)의 수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제1 뱅크(41)는, 유기 발광층(50)에 의해 덮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뱅크(41)는 친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뱅크(41)는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친수성의 무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개구부(42)가 대략 장방향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개구부(42)들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 개구부(42)는 다른 하나의 제1 개구부(42)와 상이한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42)의 형상 및/또는 면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유기 발광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 발광 물질의 수명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 개구부(42)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30) 부분은, 발광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뱅크(41)가 형성된 기판(10) 상에는, 제2 뱅크(43)가 위치한다. 제2 뱅크(43)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개구부(44)들은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시킨다. 또는,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42)들을 노출시킨다.
제2 뱅크(43)는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뱅크(43)는 상부면과 측면이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뱅크(43)는 절연 물질 상에 소수성 특성의 물질이 코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소수성 물질이 함유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뱅크(43)의 소수성 특성은, 유기 발광층(50)을 구성하는 유기 발광 물질이 발광 영역의 중앙부로 모이도록 밀어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뱅크(43)는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당 영역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을 가두는 배리어(barrier)로써 기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개구부(44)가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개구부(44)들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2 개구부(44)는 다른 하나의 제2 개구부(44)와 상이한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44)의 형상 및/또는 면적은, 유기 발광 물질의 수명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2 개구부(44)는 제1 개구부(42)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제1 뱅크(41)의 경계는 제2 뱅크(43)의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부(42)는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뱅크(43)가 형성된 기판(10) 상에, 유기 발광층(50)이 위치한다. 유기 발광층(50)은, 대응되는 제2 개구부(44) 내에서 제2 개구부(44)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2 개구부(44)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30)들 및 제1 뱅크(41)들을 덮으며, 제1 뱅크(41)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하나의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 상에는,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된다. 이는, 하나의 제2 개구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할당된 복수의 서브 픽셀(SP)들에서, 동일한 색의 광이 방출됨을 의미한다. 유기 발광층(50)의 평면 형상은 제2 개구부(44)의 평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대응되는 제2 개구부(44)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적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백색(W)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전극(30)들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개구부(44)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즉, 서로 다른 제2 개구부(44)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제2 뱅크(43)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용액 공정 시 유기 발광층(50)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유기 발광 물질은,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 제1 뱅크(41)의 일부, 및 제2 뱅크(43)의 일부를 덮도록 적하된다. 제1 뱅크(41)는, 제1 전극(30)의 소수성 특성에 의한 습윤성(wettability)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친수 성분의 얇은 막으로, 친수성인 유기 발광 물질을 잘 퍼지게 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소수 성분의 두꺼운 막으로, 친수성인 유기 발광 물질을 중앙부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제1 뱅크(41)와 제2 뱅크(43)의 조합 구조에 의해, 유기 발광층(50)은 발광 영역 상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44)들이 각각 하나의 제1 전극(30)을 노출하는 경우, 용액 공정 시 설비 편차에 따라, 제2 개구부(44)들 각각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설비 편차는, 잉크젯 장비의 노즐들 간 토출량 편차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44)들 상에 유기 발광 물질을 적하하기 위해 이용되는 노즐들 각각은, 토출량이 일정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서브 픽셀(SP) 당 하나씩 할당되는 노즐들을 통해, 서브 픽셀(SP)들 각각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하나의 제2 개구부(44) 내에, 복수 개의 서브 픽셀(SP)들이 할당될 수 있고, 서브 픽셀(SP)들의 개수에 대응한 복수 개의 노즐이 할당될 수 있기 때문에, 노즐들 간 토출량 편차가 보상되어 제2 개구부(44)들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들 간 두께가 균일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유기 발광층(50)의 균일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서브 픽셀(SP) 내 유기 발광층(50)의 두께 편차에 기인한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50)의 균일도를 확보하여, 소자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암점이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뱅크(41)의 경계와 제2 뱅크(43)의 경계 사이의 기 설정된 간격은, 유기 발광층(50)의 두께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는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제1 뱅크(41)의 경계와 제2 뱅크(43)의 경계가 기 설정된 간격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유기 발광층(50)의 균일도를 확보할 수 없고, 제1 뱅크(41)의 경계와 제2 뱅크(43)의 경계가 기 설정된 간격보다 멀게 위치하는 경우 제1 뱅크(41)에 의해 차폐되는 제1 전극(30)의 면적이 증가하여 개구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는, 제2 뱅크(43)의 제2 개구부(44)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픽셀(SP)들 사이에는 제2 뱅크(43)가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제1 뱅크(41)의 전술한 위치 제약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전극(30) 상의 발광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설계 자유도를 개선하면서도, 충분한 개구율을 확보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 표시장치에서는 서브 픽셀(SP)들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이 경우, 유기 발광 물질이 제 위치에 적하되지 못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층(50)이 서로 섞이는 혼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픽셀(SP)에 대응하는 넓은 제2 개구부(44) 상에서, 유기 발광 물질의 적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혼색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6은 도 4를 Ⅲ-Ⅲ'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 상에는, 회로 소자층 및 회로 소자층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다. 회로 소자층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 상에 광차단층(22)이 위치한다. 광차단층(22)은 외부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에서 광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광차단층(22) 상에 버퍼층(23)이 위치한다. 버퍼층(23)은 광차단층(22)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층(23)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버퍼층(23) 상에 박막트랜지스터(21)의 반도체층(212)이 위치한다. 반도체층(212)은 실리콘 반도체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 반도체는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화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212)은 p형 또는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채널을 포함한다.
반도체층(212) 상에 게이트 절연막(25)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25)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5) 상에 상기 반도체층(212)의 일정 영역, 즉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211)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21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전극(21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다중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211)은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의 2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211) 상에 게이트 전극(211)을 절연시키는 층간 절연막(26)이 위치한다. 층간 절연막(26)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층간 절연막(26) 상에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이 위치한다.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은 반도체층(212)의 소스 영역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212)에 연결된다.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이 단일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이 다중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의 2중층,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몰리브덴의 3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층(212), 게이트 전극(211),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21)가 구성된다.
박막트랜지스터(21)를 포함하는 기판(10) 상에 패시베이션막(27)이 위치한다. 패시베이션막(27)은 하부의 소자를 보호하는 절연막으로,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7) 상에 오버코트층(28)이 위치한다. 오버코트층(28)은 하부 구조의 단차를 완화시키기 위한 평탄화막일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오버코트층(28)의 일부 영역에는 패시베이션막(27)을 노출하여 소스 전극(213)을 노출시키는 서브 픽셀 콘택홀(29)이 위치한다.
오버코트층(28) 상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전극(30), 제1 전극(30)과 대향하는 제2 전극(60), 및 제1 전극(30)과 제2 전극(60)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50)을 포함한다. 제1 전극(30)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60)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30)은 오버코트층(28) 상에 위치하여, 오버코트층(28)을 관통하는 서브 픽셀 콘택홀(29)을 통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2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30)은 서브 픽셀 당 하나씩 할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극(30)은, 채택된 발광 방식에 대응하여,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ZnO(Zinc Oxide) 등의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져 투과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고, 반사층을 포함하여 반사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반사층은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PC(은/팔라듐/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30)가 형성된 기판(10) 상에는 뱅크(40)가 배치된다. 뱅크(40)는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를 포함한다.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은 각각 제1 전극(30)의 대부분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뱅크(40)가 형성된 기판(10) 상에는 유기 발광층(50)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50)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을 포함하고,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뱅크(40)는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를 포함한다.
제1 뱅크(41)는 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하는 제1 개구부(42)을 포함한다. 제2 뱅크(43)는 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하는 제2 개구부(44)를 포함한다.
제2 전극(60)은 유기 발광층(50) 상에 배치된다. 제2 전극(60)은 기판(10)의 전면에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0)은, 채택된 발광 방식에 대응하여, 투과 전극 또는 반사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전극(60)이 투과 전극인 경우, 제2 전극(6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광이 투과될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는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에지부 액말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유기 발광 물질(56)이 적하되면, 유기 발광 물질(56)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AA)에 구획된 제2 뱅크(43)의 제2 개구부(44) 내에 적하된다. 적하된 초기에는 유기 발광 물질(56)이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AA)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유기 발광 물질(56)의 건조가 진행되면, 기판(10)의 표시 영역(AA) 주변의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 중심부에 비해 증기압이 낮기 때문에 자연 건조가 빠르게 진행된다. 이때, 액체의 응집력과 주변 증기압에 대한 대류현상으로 인해 표시 영역(AA)의 중심부로 갈수록 유기 발광 물질(56)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유기 발광 물질(56)의 건조 시 유기 발광 물질(56)이 표시 영역(AA) 외곽에서 빨리 건조되고, 표시 영역 중앙부로 응집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표시 영역(AA) 외곽의 비표시 영역(NA)에 유기 발광 물질(56)의 양이 줄어드는 에지부 액말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구부(44)의 표시 영역(AA)의 중앙부로 유기 발광 물질(56)의 응집하는 현상에 의해, 건조 후 형성된 유기 발광층의 두께가 위치에 따라 균일하지 못하고, 유기 발광 물질이 응집된 중앙부에서 유기 발광층의 두께가 두껍고 외곽부에서 유기 발광층의 두께가 얇아지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외곽부와 중앙부의 휘도 차이로 나타나게 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을 Ⅳ-Ⅳ', Ⅴ-Ⅴ' 및 Ⅵ-Ⅵ'로 절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200)는, 서브 픽셀(SP)들이 배열된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 외측의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하는 기판(10)을 포함한다. 기판(10)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은 물론, 정방형, 원형, 타원형 등의 평면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에는, 기판(10)의 평면 형상에 관계 없이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 및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이 정의된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의해, 후술하게 될 서브 픽셀 및/또는 개구부의 위치 및 배열 관계 등이 정의될 수 있다.
기판(10) 상에는, 회로 소자층(20) 및 회로 소자층(20)에 구비된 소자들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다.
회로 소자층(20)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라인 및 전극들이 배열될 수 있고, 신호 라인과 전극들은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가 AM(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회로 소자층(20)은 각 서브 픽셀(SP) 마다 할당되는 트랜지스터(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브 픽셀 마다 박막트랜지스터(21)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박막트랜지스터(21)와 유기발광 다이오드 사이에는, 패시베이션막(27) 및 오버코트층(28)이 개재된다.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며, 내부 소자를 보호한다. 오버코트층(28)은 소정의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하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21) 및 신호 라인들에 의한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28)은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오버코트층(28)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 전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제1 전극(30), 제2 전극(60), 및 제1 전극(30)과 제2 전극(60)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50)을 포함한다. 제1 전극(30)은 애노드일 수 있고, 제2 전극(60)은 캐소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픽셀(SP)들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열된 서브 픽셀(SP)들은 상이한 색의 광을 방출하고, 제2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열된 서브 픽셀(SP)들은 동일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30)이 배치된다. 제1 전극(30)은 서브 픽셀(SP)들 각각에 하나씩 할당될 수 있다.
제1 전극(30) 상에는, 뱅크(40)가 배치된다. 뱅크(40)는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를 포함한다.
제1 전극(30) 상에는, 제1 뱅크(41)가 위치한다. 제1 뱅크(41)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42)를 포함한다. 하나의 제1 개구부(42)는 하나의 제1 전극(30)을 노출시킨다. 따라서, 제1 개구부(42)의 수와 제1 전극(30)의 수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제1 뱅크(41)는 유기 발광층(50)에 의해 덮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뱅크(41)는 친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뱅크(41)는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친수성의 무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뱅크(41)는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제1 뱅크(41)의 제1 개구부(42)는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된다. 표시 영역(AA)에서 제1 개구부(42)는 제1 전극(30)을 노출시키고, 비표시 영역(NA)에서 제1 개구부(42)는 하부의 오버코트층(28)을 노출시킨다.
도면에서는, 제1 개구부(42)가 대략 장방향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개구부(42)들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 개구부(42)는 다른 하나의 제1 개구부(42)와 상이한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42)의 형상 및/또는 면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유기 발광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 발광 물질의 수명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 개구부(42)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30) 부분은, 발광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더미 영역(D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영역(DA)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영역이다. 제1 뱅크(41)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며, 비표시 영역(NA)의 더미 영역(DA)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더미 영역(DA)에서, 제1 뱅크(41)와 기판(10) 사이에는 오버코트층(28)이 개재된다.
제1 뱅크(41)가 형성된 기판(10) 상에는, 제2 뱅크(43)가 위치한다. 제2 뱅크(43)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개구부(44)들은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시킨다. 또는,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42)들을 노출시킨다.
제2 뱅크(43)는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뱅크(43)는 절연 물질 상에 소수성 특성의 물질이 코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소수성 물질이 함유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뱅크(43)의 소수성 특성은, 유기 발광층(50)을 구성하는 유기 발광 물질이 발광 영역의 중앙부로 모여들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뱅크(43)는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당 영역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을 가두는 배리어(barrier)로써 기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개구부(44)가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개구부(44)들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2 개구부(44)는 다른 하나의 제2 개구부(44)와 상이한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44)의 형상 및/또는 면적은, 유기 발광 물질의 수명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2 개구부(44)는 제1 개구부(42)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제1 뱅크(41)의 경계는 제2 뱅크(43)의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부(42)는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며, 제2 개구부(44)는 표시 영역(AA)에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한다.
제2 뱅크(43)는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포함한다. 제3 개구부(43)는 비표시 영역(NA)의 더미 영역(DA)에 형성되어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1 뱅크(41)를 노출한다. 더미 영역(DA)은 비표시 영역(NA)으로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제3 개구부(46)는 더미 영역(DA)에서, 제1 뱅크(41) 및 제1 뱅크(41)의 제1 개구부(42)에 의해 노출된 오버코트층(28)을 노출시킨다. 제3 개구부(46)는 제2 개구부(44)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3 개구부(46)는 제2 뱅크(43)에 의해 제2 개구부(44)와 분리되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한편,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에서 분기되어 제2 개구부(44)와 동일 선 상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되어 연장됨으로써,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됨으로써,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배치된다. 제4 개구부(48)는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에 배치된다.
제2 뱅크(43)가 형성된 기판(10) 상에, 유기 발광층(50)이 위치한다. 유기 발광층(50)은, 대응되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 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44)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30)들 및 제1 뱅크(41)들을 덮으며, 제1 뱅크(41)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3 개구부(46)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3 개구부(46)에 의해 노출된 제1 뱅크(41) 및 오버코트층(28)을 덮으며, 제1 뱅크(41)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 제4 개구부(48)를 따라 퍼져, 제4 개구부(48)를 채운다.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 상에는,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된다. 이는, 하나의 제2 개구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할당된 복수의 서브 픽셀(SP)들에서, 동일한 색의 광이 방출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개구부(44)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개구부(46)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고,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 제4 개구부(48)에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물질이 채워지게 된다. 유기 발광층(50)의 평면 형상은 제2 개구부(44)의 평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대응되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적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백색(W)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전극(30)들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즉, 서로 다른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제2 뱅크(43)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200)에서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뱅크(43)의 제2 개구부들(44), 제3 개구부들(46) 및 제4 개구부들(48)은 서로 다른 유기 발광층(50)을 포함하는 제1 열(71), 제2 열(73) 및 제3 열(75)을 포함한다. 제1 열(71)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에 어느 하나의 동일한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50)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2 열(73)은 제1 열(71)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50)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50)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3 열(75)은 제2 열(73)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 및 제2 열(73)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50)들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50)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1 열(71), 제2 열(73), 및 제3 열(75) 각각에서,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와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를 연결함으로써,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형성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분기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 및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에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어 고루 퍼질 때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여 제4 개구부(48)로 유기 발광 물질이 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물질의 적하 후 건조 시 유기 발광 물질이 표시 영역(AA)의 외곽부에서 빨리 건조되고 표시 영역(AA)의 중앙부로 응집하여 유기 발광층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200)에서는, 표시 영역(AA) 이외의 비표시 영역(NA)에 더미 영역(DA)을 구비하고,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개구부(46)는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을 저장한다. 제3 개구부(46)에 저장된 유기 발광 물질은 폭이 좁은 제4 개구부(48)를 통해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제2 개구부(44)에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가 빨리 되면서 중앙부로 응집할 때,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4 개구부(48)를 통해 제2 개구부(44)로 채워지게 된다. 즉,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유기 발광 물질이 계속 공급됨으로써,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의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 후 형성된 유기 발광층은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와 중앙부에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 개구부(48)의 폭(W1)은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4 개구부(48)의 폭(W1)은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의 폭(W2)보다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의 폭(W1)은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의 폭(W2) 대비 5 내지 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개구부(48)의 폭(W1)이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의 폭(W2) 대비 5% 이상이면 제3 개구부(46)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제4 개구부(48)를 통해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고, 제4 개구부(48)의 폭(W1)이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의 폭(W2) 대비 30% 이하이면 제4 개구부(48)의 폭(W1)이 넓어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서브 픽셀(SP)들이 배열된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 외측의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하는 기판(10)을 포함한다. 기판(10)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박막트랜지스터(2l), 패시베이션막(27) 및 오버코트층(28)을 포함하는 회로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30)이 배치된다. 제1 전극(30)은 서브 픽셀(SP)들 각각에 하나씩 할당될 수 있다.
제1 전극(30) 상에는, 뱅크(40)가 배치된다. 뱅크(40)는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를 포함한다.
제1 전극(30) 상에는, 제1 뱅크(41)가 위치한다. 제1 뱅크(41)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42)를 포함하고, 친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뱅크(41)는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비표시 영역(NA)은 더미 영역(D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영역(DA)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영역이다.
제1 뱅크(41)가 형성된 기판(10) 상에는, 제2 뱅크(43)가 위치한다. 제2 뱅크(43)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개구부(44)들은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시킨다. 또는,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42)들을 노출시킨다. 제2 뱅크(43)는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44)는 제1 개구부(42)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제1 뱅크(41)의 경계는 제2 뱅크(43)의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부(42)는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며, 제2 개구부(44)는 표시 영역(AA)에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한다.
제2 뱅크(43)는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포함한다. 제3 개구부(46)는 비표시 영역(NA)의 더미 영역(DA)에 형성되어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1 뱅크(41)를 노출한다. 제3 개구부(46)는 제2 개구부(44)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3 개구부(46)는 제2 뱅크(43)에 의해 제2 개구부(44)와 분리되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에서 분기되어 제2 개구부(44)와 동일 선 상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되어 연장됨으로써,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됨으로써,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배치된다. 제4 개구부(48)는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에 배치된다.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 상에는,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된다. 이는, 하나의 제2 개구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할당된 복수의 서브 픽셀(SP)들에서, 동일한 색의 광이 방출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개구부(44)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개구부(46)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고,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 제4 개구부(48)에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물질이 채워지게 된다. 유기 발광층(50)의 평면 형상은 제2 개구부(44)의 평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대응되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적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백색(W)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전극(30)들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즉, 서로 다른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제2 뱅크(43)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술한 것처럼,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에서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뱅크(43)의 제2 개구부들(44), 제3 개구부들(46) 및 제4 개구부들(48)은 서로 다른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1 열(71), 제2 열(73) 및 제3 열(75)을 포함한다. 제1 열(71)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제4 개구부(48)에 어느 하나의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2 열(73)은 제1 열(71)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3 열(75)은 제2 열(73)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 및 제2 열(73)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들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1 열(71), 제2 열(73), 및 제3 열(75) 각각에서,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와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를 연결함으로써,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형성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분기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 및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에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어 고루 퍼질 때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여 제4 개구부(48)로 유기 발광 물질이 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에서는, 표시 영역(AA) 이외의 비표시 영역(NA)에 더미 영역(DA)을 구비하고,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가 빨리 되면서 중앙부로 응집할 때,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4 개구부(48)를 통해 제2 개구부(44)로 채워지게 된다. 즉,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유기 발광 물질이 계속 공급됨으로써,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의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 후 형성된 유기 발광층은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와 중앙부에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에서는 제1 열(71)에 제4-1 개구부(48-1)가 배치되고, 제2 열(73)에 제4-2 개구부(48-2)가 배치되고, 제3 열(75)에 제4-3 개구부(48-3)가 배치된다. 제4-1 개구부(48-1)는 제1 열(71)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시키고, 제4-2 개구부(48-2)는 제2 열(73)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시키고, 제4-3 개구부(48-3)는 제3 열(75)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시킨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4-1 개구부(48-1)의 길이는 제4-2 개구부(48-2) 및 제4-3 개구부(48-3)의 길이보다 길고, 제4-2 개구부(48-2)의 길이는 제4-3 개구부(48-3)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열(71)에서 제4-1 개구부(48-1)가 연결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제2 열(73)에서 제4-2 개구부(48-2)가 연결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및 제3 열(75)에서 제4-3 개구부(48-3)가 연결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각각 서로 폭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71)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적색 발광층이 형성되고, 제2 열(73)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녹색 발광층이 형성되고, 제3 열(75)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청색 발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 내지 제3 열(71, 73, 75)에 각각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의 폭의 차이는 각 발광층의 발광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폭이 가장 좁은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2 개구부(44)는 적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많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전술한 에지부의 액말림 현상의 정도가 작다. 따라서,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4-1 개구부(48-1)는 가장 길게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길게 하여 제2 개구부(44)에 채워지는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작게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2 개구부(44)보다 폭이 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3)의 제2 개구부(44)는 녹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적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에지부 액말림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3)의 제4-2 개구부(48-2)는 제4-1 개구부(48-1)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짧게 하여 제2 개구부(44)에 채워지는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많게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4)의 제2 개구부(44)보다 폭이 큰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3 열(75)의 제2 개구부(44)는 청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더 적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에지부 액말림 현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청색의 액말림 현상에 대한 시인성이 상대적으로 녹색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3 열(75)의 제4-3 개구부(48-3)는 제4-1 개구부(48-1)보다 짧게 형성하고 제4-2 개구부(48-2)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조절하여 제2 개구부(44)에 채워지는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에서는 유기 발광층이 발광하는 색 별로 액말림 현상의 시인성을 고려하여 제4-1 내지 제4-3 개구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위치에 따른 유기 발광층의 두께 편차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400)는, 서브 픽셀(SP)들이 배열된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 외측의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하는 기판(10)을 포함한다. 기판(10)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트랜지스터(2l), 패시베이션막(27) 및 오버코트층(28)을 포함하는 회로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30)이 배치된다. 제1 전극(30)은 서브 픽셀(SP)들 각각에 하나씩 할당될 수 있다.
제1 전극(30) 상에는, 뱅크(40)가 배치된다. 뱅크(40)는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를 포함한다.
제1 전극(30) 상에는, 제1 뱅크(41)가 위치한다. 제1 뱅크(41)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42)를 포함하고, 친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뱅크(41)는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비표시 영역(NA)은 더미 영역(D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영역(DA)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영역이다.
제1 뱅크(41)가 형성된 기판(10) 상에는, 제2 뱅크(43)가 위치한다. 제2 뱅크(43)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개구부(44)들은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시킨다. 또는,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42)들을 노출시킨다. 제2 뱅크(43)는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44)는 제1 개구부(42)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제1 뱅크(41)의 경계는 제2 뱅크(43)의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부(42)는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며, 제2 개구부(44)는 표시 영역(AA)에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한다.
제2 뱅크(43)는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포함한다. 제3 개구부(46)는 비표시 영역(NA)의 더미 영역(DA)에 형성되어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1 뱅크(41)를 노출한다. 제3 개구부(46)는 제2 개구부(44)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3 개구부(46)는 제2 뱅크(43)에 의해 제2 개구부(44)와 분리되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에서 분기되어 제2 개구부(44)와 동일 선 상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되어 연장됨으로써,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됨으로써,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배치된다. 제4 개구부(48)는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에 배치된다.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 상에는,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된다. 이는, 하나의 제2 개구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할당된 복수의 서브 픽셀(SP)들에서, 동일한 색의 광이 방출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개구부(44)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개구부(46)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고,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 제4 개구부(48)에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채워지게 된다. 유기 발광층(50)의 평면 형상은 제2 개구부(44)의 평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대응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적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백색(W)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전극(30)들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즉, 서로 다른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제2 뱅크(43)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뱅크(43)의 제2 개구부들(44), 제3 개구부들(46) 및 제4 개구부들(48)은 서로 다른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1 열(71), 제2 열(73) 및 제3 열(75)을 포함한다. 제1 열(71)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에 어느 하나의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2 열(73)은 제1 열(71)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3 열(75)은 제2 열(73)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 및 제2 열(73)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들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400)에서는, 제2 열(73) 및 제3 열(75) 각각에서,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와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를 연결함으로써,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형성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분기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 및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에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어 고루 퍼질 때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여 제4 개구부(48)로 유기 발광 물질이 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400)에서는, 표시 영역(AA) 이외의 비표시 영역(NA)에 더미 영역(DA)을 구비하고,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가 빨리 되면서 중앙부로 응집할 때,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4 개구부(48)를 통해 제2 개구부(44)로 채워지게 된다. 즉,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유기 발광 물질이 계속 공급됨으로써,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의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 후 형성된 유기 발광층은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와 중앙부에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400)에서는 제1 열(71)에 제4-1 개구부(48-1)가 배치되지 않고, 제2 열(73)에 제4-2 개구부(48-2)가 배치되고, 제3 열(75)에 제4-3 개구부(48-3)가 배치된다. 제4-2 개구부(48-2)는 제2 열(73)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시키고, 제4-3 개구부(48-3)는 제3 열(75)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시킨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4-2 개구부(48-2) 및 제4-3 개구부(48-3)의 길이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열(71)에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제2 열(73)에서 제4-2 개구부(48-2)가 연결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및 제3 열(75)에서 제4-3 개구부(48-3)가 연결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각각 서로 폭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71)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적색 발광층이 형성되고, 제2 열(73)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녹색 발광층이 형성되고, 제3 열(75)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청색 발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 내지 제3 열(71, 73, 75)에 각각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의 폭의 차이는 각 발광층의 발광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폭이 가장 좁은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2 개구부(44)는 적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많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전술한 에지부의 액말림 현상의 정도가 작고 적색 특성 상 시인성이 낮다. 따라서,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4-1 개구부(48-1)는 구비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2 개구부(44)보다 폭이 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3)의 제2 개구부(44)는 녹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적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에지부 액말림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3)의 제4-2 개구부(48-2)를 구비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제2 개구부(44)에 채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4)의 제2 개구부(44)보다 폭이 큰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3 열(75)의 제2 개구부(44)는 청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더 적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에지부 액말림 현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청색의 액말림 현상에 대한 시인성이 상대적으로 녹색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3 열(75)의 제4-3 개구부(48-3)는 제4-2 개구부(48-2)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조절하여 제2 개구부(44)에 채워지는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400)에서는 유기 발광층이 발광하는 색 별로 액말림 현상의 시인성을 고려하여 제1 열의 제4-1 개구부를 구비하지 않고, 제2 열의 제4-2 개구부 및 제3 열의 제4-3 개구부를 구비함으로써, 위치에 따른 유기 발광층의 두께 편차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5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2 개구부,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500)는, 서브 픽셀(SP)들이 배열된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 외측의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하는 기판(10)을 포함한다. 기판(10)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트랜지스터(2l), 패시베이션막(27) 및 오버코트층(28)을 포함하는 회로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서브 픽셀(SP)들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30)이 배치된다. 제1 전극(30)은 서브 픽셀(SP)들 각각에 하나씩 할당될 수 있다.
제1 전극(30) 상에는, 뱅크(40)가 배치된다. 뱅크(40)는 제1 뱅크(41), 및 제2 뱅크(43)를 포함한다.
제1 전극(30) 상에는, 제1 뱅크(41)가 위치한다. 제1 뱅크(41)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42)를 포함하고, 친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뱅크(41)는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비표시 영역(NA)은 더미 영역(D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영역(DA)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영역이다.
제1 뱅크(41)가 형성된 기판(10) 상에는, 제2 뱅크(43)가 위치한다. 제2 뱅크(43)는 제1 전극(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개구부(44)들은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시킨다. 또는, 제2 개구부(4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42)들을 노출시킨다. 제2 뱅크(43)는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44)는 제1 개구부(42)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제1 뱅크(41)의 경계는 제2 뱅크(43)의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부(42)는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며, 제2 개구부(44)는 표시 영역(AA)에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을 노출한다.
제2 뱅크(43)는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포함한다. 제3 개구부(46)는 비표시 영역(NA)의 더미 영역(DA)에 형성되어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1 뱅크(41)를 노출한다. 제3 개구부(46)는 제2 개구부(44)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3 개구부(46)는 제2 뱅크(43)에 의해 제2 개구부(44)와 분리되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에서 분기되어 제2 개구부(44)와 동일 선 상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되어 연장됨으로써,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각각에서 분기됨으로써,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배치된다. 제4 개구부(48)는 인접한 제3 개구부(46)들 사이에 형성된 제2 뱅크(43)에 배치된다.
제2 개구부(44)에 의해 노출된 복수의 제1 전극(30)들 상에는,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된다. 이는, 하나의 제2 개구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할당된 복수의 서브 픽셀(SP)들에서, 동일한 색의 광이 방출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개구부(44)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개구부(46)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고,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에 연결된 제4 개구부(48)에도 동일한 색의 유기 발광 물질이 채워지게 된다. 유기 발광층(50)의 평면 형상은 제2 개구부(44)의 평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대응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적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백색(W)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뱅크(43)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전극(30)들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즉, 서로 다른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에 각각 적하된 서로 다른 색의 유기 발광 물질들은, 제2 뱅크(43)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500)에서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를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뱅크(43)의 제2 개구부들(44), 제3 개구부들(46) 및 제4 개구부들(48)은 서로 다른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1 열(71), 제2 열(73) 및 제3 열(75)을 포함한다. 제1 열(71)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에 어느 하나의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2 열(73)은 제1 열(71)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3 열(75)은 제2 열(73)과 인접하여 이격되고, 제1 열(71) 및 제2 열(73)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들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500)에서는, 제2 열(73) 및 제3 열(75) 각각에서, 제2 뱅크(43)는 제2 개구부(44), 제3 개구부(46)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와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된 제3 개구부(46)를 연결함으로써,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에 걸쳐 형성된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분기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 및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제4 개구부(48)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에 유기 발광 물질이 적하되어 고루 퍼질 때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여 제4 개구부(48)로 유기 발광 물질이 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500)에서는, 표시 영역(AA) 이외의 비표시 영역(NA)에 더미 영역(DA)을 구비하고,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를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연결하는 제4 개구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가 빨리 되면서 중앙부로 응집할 때, 더미 영역(DA)에 배치된 제3 개구부(46)에 적하된 유기 발광 물질은 제4 개구부(48)를 통해 제2 개구부(44)로 채워지게 된다. 즉,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에 유기 발광 물질이 계속 공급됨으로써, 에지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의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물질의 건조 후 형성된 유기 발광층은 표시 영역(AA)의 에지부와 중앙부에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500)에서는 제1 열(71)에 제4-1 개구부(48-1)가 배치되지 않고, 제2 열(73)에 제4-2 개구부(48-2)가 배치되고, 제3 열(75)에 제4-3 개구부(48-3)가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열(73)에는 복수의 제4-2 개구부(48-2)가 배치되고, 제3 열(75)에는 제2 열(73)의 제4-2 개구부(48-2)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제4-3 개구부(48-3)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4-2 개구부(48-2)는 제2 열(73)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시키고, 제4-3 개구부(48-3)는 제3 열(75)에 배치된 제2 개구부(44)와 제3 개구부(46)를 연결시킨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3 열(75)에는 제2 열(73)의 제4-2 개구부(48-2)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제4-3 개구부(48-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열(73)의 제4-2 개구부(48-2)의 개수가 제3 열(75)의 제4-3 개구부(48-3)의 개수보다 많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열(71)에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제2 열(73)에서 제4-2 개구부(48-2)가 연결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 및 제3 열(75)에서 제4-3 개구부(48-3)가 연결하는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각각 서로 폭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71)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적색 발광층이 형성되고, 제2 열(73)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녹색 발광층이 형성되고, 제3 열(75)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는 청색 발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 내지 제3 열(71, 73, 75)에 각각 형성된 제2 개구부(44) 및 제3 개구부(46)들의 폭의 차이는 각 발광층의 발광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폭이 가장 좁은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2 개구부(44)는 적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많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전술한 에지부의 액말림 현상의 정도가 작고 적색 특성 상 시인성이 낮다. 따라서,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4-1 개구부(48-1)는 구비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적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1 열(71)의 제2 개구부(44)보다 폭이 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3)의 제2 개구부(44)는 녹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적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에지부 액말림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3)에 복수의 제4-2 개구부(48-2)를 구비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제2 개구부(44)에 빠르게 채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2 열(74)의 제2 개구부(44)보다 폭이 큰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3 열(75)의 제2 개구부(44)는 청색 유기 발광 물질이 표면적 대비 더 적은 양이 적하되어 상대적으로 에지부 액말림 현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청색의 액말림 현상에 대한 시인성이 상대적으로 녹색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제3 열(75)의 제4-3 개구부(48-3)는 제4-2 개구부(48-2)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기 발광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조절하여 제2 개구부(44)에 채워지는 유기 발광 물질의 양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500)에서는 유기 발광층이 발광하는 색 별로 액말림 현상의 시인성을 고려하여 제1 열의 제4-1 개구부를 구비하지 않고, 제2 열의 제4-2 개구부의 개수를 제3 열의 제4-3 개구부보다 많이 구비함으로써, 위치에 따른 유기 발광층의 두께 편차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기판 AA : 표시 영역
NA : 비표시 영역 20 : 회로 소자층
21 : 박막트랜지스터 28 : 오버 코트층
30 : 제1 전극 40 : 뱅크
41 : 제1 뱅크 42 : 제1 개구부
43 : 제2 뱅크 44 : 제2 개구부
50 : 유기 발광층 60 : 제2 전극

Claims (16)

  1.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이외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픽셀들에 할당된 제1 전극들;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제1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1 뱅크;
    상기 제1 뱅크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을 노출하는 제2 개구부들,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열된 상기 제1 개구부들을 노출하는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2 개구부들과 상기 제3 개구부들을 연결하는 제4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2 뱅크; 및
    상기 제2 개구부들, 상기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4 개구부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들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들과 상기 제3 개구부들은 상기 제2 뱅크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개구부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개구부들은 각각 상기 제2 개구부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 개구부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 선 상에 배치된 상기 제3 개구부들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들 및 상기 제3 개구부들은 동일한 유기 발광층들이 형성된 제1 열, 상기 제1 열과 다른 유기 발광층들이 형성된 제2 열, 및 상기 제1 및 제2 열과 다른 유기 발광층들이 형성된 제3 열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내지 제3 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4 개구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3 개구부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내지 제3 열에 각각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1 개구부,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3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3 개구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1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4-2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4-3 개구부의 길이보다 짧은 유기발광표시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1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길이와 동일한 유기발광표시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내지 제3 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1 열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3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4-3 개구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2 개구부는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제4-3 개구부의 개수보다 많은 유기발광표시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2 및 상기 제3 개구부의 폭보다 좁은 유기발광표시장치.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1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4-2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보다 좁은 유기발광표시장치.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1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2 개구부 및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과 동일한 유기발광표시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2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4-3 개구부의 폭보다 좁은 유기발광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뱅크는 친수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뱅크는 소수성을 나타내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90165044A 2019-12-11 2019-12-11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10074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44A KR20210074060A (ko) 2019-12-11 2019-12-11 유기발광표시장치
CN202011394189.9A CN112951884A (zh) 2019-12-11 2020-12-03 有机发光显示装置
US17/119,712 US11647649B2 (en) 2019-12-11 2020-12-1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openings in banks in a dummy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44A KR20210074060A (ko) 2019-12-11 2019-12-11 유기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60A true KR20210074060A (ko) 2021-06-21

Family

ID=7623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044A KR20210074060A (ko) 2019-12-11 2019-12-11 유기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7649B2 (ko)
KR (1) KR20210074060A (ko)
CN (1) CN1129518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6241A4 (en) * 2017-04-27 2021-01-2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RAY SUBSTRATE, DISPLAY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BOAR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978B2 (en) * 2002-11-18 2007-05-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Ink jet bank substrates with channels
KR100528910B1 (ko) * 2003-01-22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055171B2 (ja) * 2004-05-19 2008-03-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KR102084400B1 (ko) * 2013-08-30 2020-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580014B (zh) * 2013-09-20 2017-04-21 Joled Inc Display devices and electronic machines
KR20150146059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299968B (zh) * 2014-09-22 2017-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致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180013377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75607A (ko) 2018-12-18 2020-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1884A (zh) 2021-06-11
US20210183973A1 (en) 2021-06-17
US11647649B2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93861B (zh) 显示装置
US2021005039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12734B1 (ko) 표시장치
US10923544B2 (en) Display device having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in a non-transmission portion and a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in a transmission portion
KR10261373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4563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bank openings on the non-display region
KR20200072162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4168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695758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2021017545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00069692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80012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116476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openings in banks in a dummy area
KR10264857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97852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1008603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10080103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0006969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1008626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74593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