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061A -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061A
KR20210073061A KR1020190163501A KR20190163501A KR20210073061A KR 20210073061 A KR20210073061 A KR 20210073061A KR 1020190163501 A KR1020190163501 A KR 1020190163501A KR 20190163501 A KR20190163501 A KR 20190163501A KR 20210073061 A KR20210073061 A KR 20210073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buried
parts
rotating body
concre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3176B1 (en
Inventor
이관상
이대성
이창기
이종윤
신영섭
문현주
김인철
한상주
Original Assignee
금호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filed Critical 금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176B1/en
Publication of KR2021007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block assembly for constructing an arch structure of a block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burying hinge connector, an arch structure constructed by using the sam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n arch direction, and concrete blocks are connected by a rotatable burying hinge connector. A segmented concrete block can freely rotate with the burying hinge connector as a hinge point. When a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n arch structure is lifted in an arch shape, damage to an upper portion of a concrete block or a rising phenomenon on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is prevented. A guide cone member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locks on both ends in the arch direction to eliminate the need for wire pulling work for pulling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when mounting the arch structure on a foundation unit to improve construction efficiency.

Description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아치형 교량, 아치형 거다, 개착식 터널 등의 아치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아치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아치가 형성되는 방향("아치방향")으로 연속 배치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회전이 가능한 매립 힌지연결구로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이 매립 힌지연결구를 힌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분절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아치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아치형상으로 들어 올렸을 때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손상 발생하거나 아치구조체의 양끝단에 들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아치방향 양 끝단의 콘크리트 블록에는 가이드 콘(guide cone) 부재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거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당겨주는 와이어 풀링(wire pulling)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n arch structure tha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connected in an arch direction and is used to construct an arch structure such as an arch bridge, an arch form, and an open tunnel, an arch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same, and an arch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specifically,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an arch is formed (“arch direction”) and the concrete blocks are connected with a rotatable buried hinge connector, so that the concrete block is a buried hinge connector Prevents da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block or lifting at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when the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structure is lifted in an arch shape by having a segmented structure that can rotate freely with In addition, since the concrete block at both ends of the arch direc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guide cone members, there is no need for wire pulling work that pulls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when mounting the arch structure on the foundation. It relates to "a concrete block assembly for building an arch structure of a block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buried hinge connector, an arch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sam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improve construction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교량이나 중,소규모의 개착식 터널로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아치형상의 아치구조물이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638호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아치방향으로 일렬 배열하되 섬유재질의 망으로 이루어진 연결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일체화시켜서 조립체를 만든 후,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교량, 터널, 아치형 지붕 등의 아치구조물을 시공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편의상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일체화시켜서 만든 조립체를 "블록 조립체"라고 기재하고,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만들어지는 아치 형상의 구조체를 "아치구조체"라고 기재한다. As a bridge or medium- and small-scale open-covered tunnel, an arch-shaped arch structure curved upwards convexly is use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57638 discloses that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re arranged in a row in an arch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integrated using a fiber mesh connecting material to form an assembly, and then transported to the site. A technique for constructing arch structures such as bridges, tunnels, and arched roofs is introduced by lifting them with a crane and installing them to form an arch. For convenience, an assembly made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is described as a "block assembly", and an arch-shaped structure made by lifting the block assembly is described as an "arch structure".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연결재는 섬유재질의 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순히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와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며, 아치방향으로 블록 조립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콘크리트 블록을 철근으로 연결하고 아치방향으로 강선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철근 및 강선을 이용한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블록 조립체의 강성 보강에는 효과적이지만,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만들었을 때 철근이나 강선에 장력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블록에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아치구조체를 만들었을 때, 아치구조체의 아치방향 양 끝단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장력 발생으로 인하여 상향으로 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In this prior art, since the connecting material is made of a fiber mesh, it has only a purpose and function for simp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nd there is no function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block assembly in the arch direc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a technology of connecting concrete blocks with reinforcing bars and installing steel wires in the arch direction has been proposed. In the case of this prior art using reinforcing bars and steel wires, although it is effective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block assembly, when the block assembly is lifted to create an arch structure in the shape of an arch, tension is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bars or steel wire, which may cause local damage to the concrete block this is very high In addition, when an arch structure is made by lifting the block assembly, the concrete block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in the arch direction are lifted upward due to tension generation.

이 경우,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기초부에 거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아치형상을 설계대로 유지하여 양 끝단이 기초부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아치의 중앙방향으로 당겨주는 작업 즉,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에 와이어를 묶어서 중앙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 풀링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그에 따른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결국 시공비 및 공기가 증가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이 기초부에 위치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자칫 아치구조체의 전도가 발생하거나, 양 끝단이 기초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arch structure is mounted on the bas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arch direc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arch shape of the arch structure as designed and ensure that both ends ar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base,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ar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arch.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wire pulling operation in which the wire is pulled in the central direction by tying the wire to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construction and consequently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and air time. do.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positioned on the base, the arch structure may be overturned, or both ends may not b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base.

아치구조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아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웃 배치하여 일체화시킬 경우,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치구조체 사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충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In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an arch structure, when arranging and integrating a plurality of arch structures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ch direction), it is convenient and efficient to And it is necessary to firmly integrate, and the prior art does not yet provide a sufficient solution for thi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638호(2012. 06. 1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57638 (published on June 19, 20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하였을 때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손상 발생하거나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에 들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거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당겨주는 와이어 풀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specifically, when the block assembly is lifted to form an arch-shaped arch structure, da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block or lifting at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is preven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construction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wire pulling operation that pulls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when the arch structure is mounted on the founda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이웃 배치하여 일체화시킬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치구조체 사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conveniently, efficiently, and firmly integrating a plurality of arch structu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arranging and integrating them in a horizontal direction. do.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블록 조립체로서,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와 상부 매립부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는 상부 본체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는 회전 결합부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부 본체가 위쪽이 되도록 인양되면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arranged in a row in an arch direction and connected as a block assembly, wherein the concrete blocks are divided into a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corresponding to a portion existing above it; Concret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by a buried hinge connector, which consists of a first rotating body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crete block on one side and a second rotating body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crete block on the other side; Each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is divided into a lower buried part and an upper buried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buried part is embedded in the lower body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 upper buried part is buried in the upper body, and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are embedded in the upper body. The second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upling part,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rotate the first rotation body and the second rotation body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bent at the rotation coupling part; There is provided a concrete block assembly for building an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pper body is lifted upwards, it is bent in an arcuate shape to form an arch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만들어진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 구부러지게 만들어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룬 후,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초부 사이에 거치하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거치하여 구성되는 아치구조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과, 이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arch direction, and the block assembly made by connecting is lifted and bent to form an arch-shaped arch structure, and then the arch structure is spaced apart in the arch direction. Provided are an arch structure that is mounted between the arranged foundations, and is configured by mounting a plurality of arch structur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by using the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에서는 매립 힌지연결구의 회전 결합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이 연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됨으로써, 설계에 부합되는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되는데, 아치구조체를 이루는 동안에, 별도의 장력이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에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문제점이었던 아치형상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철근이나 강선에 장력이 발생하여 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국부적인 손상이 유발되는 현상 및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이 들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In the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acent concrete blocks are rotated and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rotation coupling part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as the hinge point, thereby forming an arch-shaped arch structure conforming to the design. Since a separate tension does not act on the lower body of the concrete block, a phenomenon that causes local damage to the concrete block caused by tension in the reinforcing bar or steel wir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arch shape, which was a problem in the prior art, and the amount of the arc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end is inden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립 힌지연결구의 콘크리트 블록 매립 배치를 통해서 콘크리트 블록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block through the concrete block embedding arrangement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블록 조립체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가이드 콘 부재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록 조립체는 아치방향의 양 단부가 들려지는 현상 없이 설계에 부합되는 아치형상을 자연스럽게 이루게 되며,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설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아치의 중앙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와이어 풀링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설치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될 뿐만 아니라, 블록 조립체에 의해 만들어진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매우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cone member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end concrete block of the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lock assembly naturally achieves an arch shape conforming to the design without lifting both ends in the arch direction. When the arch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there is no need for wire pulling work to pull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toward the center of the arch, so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installation work is exhibite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unt the arch structure made by the block assembly to the foundation very easily and efficiently is exhibited.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이웃 배치하여 일체화시킬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치구조체 사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rranging and integrating a plurality of arch structu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re is a very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veniently, efficiently, and firmly integrate between the arch structures adjacent in the lateral direction. is performe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블록 조립체를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매립 힌지연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블록 조립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콘크리트 블록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연결된 상태를 횡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6은 복수개의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매립 힌지연결구에서 상부 매립부와 하부 매립부가 분리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가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횡측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후속하여 횡측보강부재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매립 힌지연결구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되어 일체화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매립 힌지연결구에 의해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일체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연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가이드 콘 부재의 설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를 인양하여 기초부 사이에 설치하여 아치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도 17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1은 횡결합재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2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mbedded hinge connector used to construct a block assembly;
4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A of FIG. 1 showing in detail only two concrete block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block assembly.
5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wo concrete blocks connected in a lateral direction.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upper buried part and a lower buried part are separated from the buried hinge connector.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lateral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ree buried hinge connectors are arranged in a row in an arcuate direction.
9 is a schematic assembling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lateral reinforcing member is completed following FIG. 8 .
10 to 13 are schematic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buried hinge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lock and integrated.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bent in various shapes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n embedded hinge connector.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B of FIG. 1 showing the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the guide cone member.
Fig. 16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part shown in Fig. 15;
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nstructing an arch structure by lifting the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talling it between the foundations.
18 and 19 are schematic lateral side views of the circle D portion of FIG. 17, respectively;
FIG. 20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C of FIG. 17 .
Figure 21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20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transverse bonding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아치구조물의 구축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는 블록 조립체(100)를 지면에 놓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블록 조립체(100)를 인양하여 아치형태의 아치구조체로 만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100)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1)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되,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1)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 조립체(100)을 이루고 있는 구성을 가진다. 블록 조립체(100)는 평평한 지면에 놓았을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을 이루고 있으나 크레인 등의 인양장치로 들어 올렸을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아치형 교량, 개착식 터널 등의 이용되는 아치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는 아치구조체가 된다. 참고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 전체에서 블록 조립체(10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이 "아치방향"이며, "횡방향"은 블록 조립체(100)의 폭방향 즉, 아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H로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block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for constructing an arch structure, respectively. In FIG. 1, the block assembly 100 is placed on the groun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block assembly 100 is lifted using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to form an arch-shaped arch structure. In the block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 made of concrete are arranged in a line in an arch direction, and adjacent concrete block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uried hinge connector 2 . It ha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one block assembly 100 . When the block assembly 100 is placed on a flat ground, it forms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1, but when lifted by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it is bent into an arch shape as shown in FIG. It becomes an arch structure that constructs the used arch structure. For 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he claim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 assembly 100 is elongated is the "arch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assembly 100, that is,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ch direction (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H in FIG. 1).

도 3의 (a) 내지 (c)에는 각각 본 발명에서 블록 조립체(100)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실시예를 회전되기 전의 상태 및 회전된 후의 상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블록 조립체(100)를 이루기 위하여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도 3의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콘크리트 블록이 연결된 상태를 횡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서로 구분하여 지칭할 때에는 각각 "제1콘크리트 블록(1-1)" 및 "제2콘크리트 블록(1-2)"으로 기재한다. 3 (a) to (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mbedded hinge connector 2 used to build the block assembly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and after being rotated, respectively. is show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A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concrete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of FIG. 3 to form the block assembly 100, 5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a concrete block connected in a lateral direction. For convenience, when two concrete bloc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referred to separately, they are described as "first concrete block 1-1" and "second concrete block 1-2", respectively.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는 제1콘크리트 블록(1-1)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제2콘크리트 블록(1-2)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는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는 회전에 의해 절곡될 수 있는 형태로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매립 힌지연결구(2)는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힌지점으로 하여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함으로써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될 수 있다.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회전 결합부(213, 223)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봉부재로 이루어져서, 양측의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이루도록 배치된 후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매립 힌지연결구(2)를 형성하게 된다.First, the embedded hinge connector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21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concrete block 1-1, and a second rotation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crete block 1-2. Consists of the whole 22,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is hinged in a form that can be bent by rotation. Therefore,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is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as shown in Fig. 3 (a) form a straight line, or a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hinge point to the first By rotating the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it can be bent as shown in Fig. 3 (b) or Fig. 3 (c).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are provided with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are rotatably coupled.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are each made of a rod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on both sides are arranged to form a straight li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n ar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pin. .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are integrally rotatably assembled to form the embedded hinge connector 2 .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 본체(11)에 매립되는 하부 매립부(211, 221)와,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즉, 하부 본체(11)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는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된다. 즉, 블록 조립체(100)을 이루는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1)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는 것이며, 매립 힌지연결구(2)의 하부 매립부(211, 221)는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매립 힌지연결구(2)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블록(1)의 하부 본체(11)는 횡방향으로 바라볼 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본체(11) 상면의 아치방향 길이 보다 하면의 아치방향 길이가 짧은 역사다리꼴 측면을 가진다. Each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incl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lower embedding parts 211 and 221 embedded in the lower body 11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block. That is, it is divided into upper embedding parts 212 and 222 embedded in the upper body 12 positioned above the lower body 11 . That is, each concrete block 1 constituting the block assembly 100 is divided into a lower body 11 and an upper body 12 corresponding to a portion existing above i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mbedded hinge connector 2 . The buried portions 211 and 221 are embedded in the lower body 11 , and the upper buried portions 212 and 222 of the embedded hinge connector 2 are embedded in the upper body 12 .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lower body 11 of the concrete block 1 has an inverted trapezoidal side surface in which the arch direction length of the lower surface is shorter than the arch direction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 as shown in FIG. 5 .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아치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 매립부(211, 221)은 상부 매립부(212, 222)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부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아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막대부재가 회전 결합부(213, 223)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상부 매립부(212, 222)를 이루고 있고, ㄴ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부재가 상부 매립부(212, 222)의 하면에 구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를 이루고 있다. 상부 매립부(212, 222) 및 하부 매립부(211, 221)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막대부재가 서로 끼워지는 등의 방식에 의해 연결되면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끼리 연결되어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도 6의 (a) 및 (b)에는 각각 복수개의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매립 힌지연결구(2)끼리의 일체 연결구성을 통해서 블록 조립체(100)에서의 콘크리트 블록(1) 간의 일체화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를 형성하는 부재가 막대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형상의 부재 등 다양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를 이루는 부재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건 간에,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가 아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아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를 이루는 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 자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of each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are formed of member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arcuate direction,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the upper buried parts. It consists of a member protruding downwards of (212, 222).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 plurality of rod members extending in the arcuate direction ar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s 213 and 223, respectively to form the upper buried portions 212 and 222, and are bent in an L-shape. The bar membe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uried part (212, 222) to form the lower buried part (211, 221). When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formed of a rod member, the adjacent buried hinges are connected while the rod members are fitted with each other in the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 2 . The connector 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l body. 6 (a) and (b) are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at a plurality of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s shown.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tegration between the concrete blocks 1 in the block assembly 100 more robust through the integral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buried hinge connectors 2 . However, the members forming the lower buried portions 211 and 221 and the upper buried portions 212 and 222 are not limited to the rod member,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members, such as a plate-shaped member. Whether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nd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are made of a rod member or other various types of members,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nd the upper buried part ( When the members 212 and 222) are made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arch direction or have a portion extending long in the arch direction, the member constituting the same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lock,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concrete block itself.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상부 매립부(212, 222)와 하부 매립부(211, 221)는 일체로 이루고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 매립부(212, 222)와 하부 매립부(211, 221)가 분리되어 있다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일체를 이루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에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상부 매립부(212, 222)와 하부 매립부(211, 221)가 분리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integrally formed. If necessary,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formed. )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forms an integral body by being separated and then assembled with each other.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separated from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

블록 조립체(100)를 공장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가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데,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축력이나 뒤틀림 등에 대한 매립 힌지연결구(2)의 저항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횡측보강부재(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가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횡측보강부재(8)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후속하여 횡측보강부재(8)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the block assembly 100 in a factory, a plurality of buried hinge connectors 2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arcuat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buried hinge connectors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uried hinge connectors for axial force or distortion ( In order to improve the resistance of 2),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8 may be further provided if necessary.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 is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three buried hinge connectors 2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arcuate direction, and in FIG. 9 , the lateral side reinforcing member 8 is shown in FIG. A schematic assembling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reinforcing member 8 is completed is shown.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횡측보강부재(8)는 아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부재로 이루어져서 한 쌍이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횡방향 양측(양쪽 횡측면)에 설치되는데, 횡측보강부재(8)의 일단은 하나의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이에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8 및 도 9에는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가 일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편의상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를 순차적으로 제1매립 힌지연결구(2-1), 제2매립 힌지연결구(2-2) 및 제3매립 힌지연결구(2-3)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제1매립 힌지연결구(2-1)와 제2매립 힌지연결구(2-2) 사이에 설치되는 횡측보강부재를 편의상 제1횡측보강부재(8-1)라고 명명하고, 제2매립 힌지연결구(2-2)와 제3매립 힌지연결구(2-3) 사이에 설치되는 횡측보강부재를 편의상 제2횡측보강부재(8-2)라고 명명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제1횡측보강부재(8-1)의 막대부재의 일단은 제1매립 힌지연결구(2-1)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제2매립 힌지연결구(2-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횡측보강부재(8-2)의 막대부재의 일단은 제2매립 힌지연결구(2-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제3매립 힌지연결구(2-3)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횡측보강부재(8)는 한 쌍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막대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 사이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횡측면에 배치되며, 막대부재의 양단은 각각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횡측보강부재(8)는 매립 힌지연결구(2)가 회전에 의한 절곡될 때, 아무런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도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서로 연결하고, 매립 힌지연결구가 발휘하는 축력이나 뒤틀림 등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증진시켜 보강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횡측보강부재(8)는 콘크리트 블록(1)의 상부 본체(12)에 매립되어서 상부 본체(12)의 콘크리트를 더 보강하는 기능도 발휘한다.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 is composed of a bar member extending in the arcuate direction, and a pair is installed on both lateral sides (both lateral sides)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one end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of one buried hinge connector 2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of the embedded hinge connector 2 adjacent thereto. . 8 and 9 show that the three buried hinge connectors are integrally coupled. For convenience, the three buried hinge connectors shown in FIGS. 8 and 9 are sequentially replaced with the first buried hinge connector 2-1, the second The two buried hinge connectors (2-2) and the third buried hinge connectors (2-3) are called.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uried hinge connector 2-1 and the second buried hinge connector 2-2 is called the firs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1 for convenience, and the second buried hinge connector The lateral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between (2-2) and the third buried hinge connector (2-3) is called a second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2) for convenienc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one end of the bar member of the firs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s 213 and 223 of the first buried hinge connector 2-1, and the other end is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s 213 and 223 of the second buried hinge connector 2-2. And one end of the bar member of the second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s 213 and 223 of the second buried hinge connector 2-2, and the other end is the third buried hinge connector 2-2.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s 213 and 223 of (2-3). As such,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 consists of a pair of bar members, each bar member being disposed on the transverse side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between the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2,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s 213 and 223, respectively. Such lateral reinforcing member 8 connects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2 to each other without any obstruction when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is bent by rotation, and the axial force exerted by the buried hinge connector It further enhances resistance to twisting, etc., and exerts a reinforcing function. In addition,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 is embedded in the upper body 12 of the concrete block 1 to exhibit a function of further reinforcing the concrete of the upper body 12 .

도 10 내지 도 13에는 각각 매립 힌지연결구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되어 일체화되어 블록 조립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4개의 콘크리트 블록만을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우선 콘크리트 블록(1)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19)을 아치방향으로 일렬 배치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거푸집(19)에 설치한다. 매립 힌지연결구(2)를 거푸집(19)에 설치함에 있어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 사이에 간격을 둘 수도 있지만, 상부 매립부(212, 222) 및 하부 매립부(211, 221)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막대부재를 서로 삽입하거나 기타 방식에 의해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일체화시킨 상태로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일렬로 거푸집(19) 내에 배치할 수 있다. 10 to 13 are schematic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block assembly by embedding and integrating an embedded hinge connector in a concrete block,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only four concrete blocks are shown in FIGS. 10 to 13 . As shown in Fig. 10, first, the formwork 19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crete block 1 is arranged in a row in the arch direction, and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are integrally connected. Install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in the state of the form (19). When installing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in the formwork 19, a gap may be left between the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2, but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In the case of a bar member, the plurality of buried hinge connectors 2 are formed in a lin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tegrated by inserting the bar members into each other 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uried hinge connectors 2 to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by other methods. (19) can be placed within.

매립 힌지연결구(2)의 하부 매립부(211, 221)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본체(11)를 제작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하부 매립부(211, 221)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거푸집(19)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때,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하부 본체(11)의 위쪽에 돌출된 상태로 존재한다. 도 12에는 하부 본체(11)가 제작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The upper body 11 is manufactured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are buried. That is, as shown in FIG. 11 ,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19 so that the lower embedding parts 211 and 221 of each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To manufacture the lower body 11 . At this time, the upper buried portions 212 and 222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21 and 22 respectively protrude above the lower body 11 . 12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body 11 is manufactured.

후속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본체(11) 위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2)의 상부 매립부(212, 222)가 매립되도록 추가적인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더 타설하여 상부 본체(12)를 형성한다. 비록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는 각각 별도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지만, 하부 매립부(212, 222)와 상부 매립부(211, 221)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의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에서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에 걸쳐서 매립되므로,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는 일체를 이루게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3 , additional concrete is pour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upper buried portions 212 and 222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2 are buried on the lower body 11 to form the upper body 12 . Although the lower body 11 and the upper body 12 are each formed by pouring concrete separately, the lower buried parts 212 and 222 and the upp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Since the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are embedded across the lower body 11 and the upper body 12 in each concrete block, the lower body 11 and the upper body 12 are integrally formed.

위의 설명에서는 제작하고자 하는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길이 전체에 거푸집(19)을 일렬 배치하고 매립 힌지연결구(2)를 배치하여, 전체 콘크리트 블록(1)을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제1회전체(21)가 매립된 제1콘크리트 블록(1-1)과, 제2회전체(22)가 매립된 제2콘크리트 블록(1-2)을 각각 별도로 완성된 상태로 제작한 후,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를 회전결합부(23)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entire concrete block 1 is manufactured by arranging the formwork 19 in a line and arranging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arch direction of the block assembly 100 to be manufactured. Otherwise, the first concrete block 1-1 in which the first rotating body 21 is embedded 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1-2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ody 22 is embedded are separately manufactured. Then, the bloc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rotation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on body 22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rotation coupling part 23 .

또한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매립 힌지연결구가 상부 매립부와 하부 매립부의 분리/조립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하부 본체(11)를 제작할 때에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하부 매립부(211, 221)만을 콘크리트에 매립한 후, 하부 본체(11)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 하부 매립부(211, 221)에 상부 매립부(212, 222)를 조립하여 매립 힌지연결구를 완성한 후, 상부 매립부(212, 222)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상부 본체(12)를 제작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 when the buried hinge connector has a separation/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upper buried part and the lower buried part, when the lower body 11 is manufacture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are After filling the bay with concrete, after the production of the lower body 11 is completed,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are assembled to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to complete the buried hinge connector, and then the upper buried part 212 , 222) may be manufactured so that the upper body 1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도 14에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1)이 일체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연직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에서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213, 223)를 힌지점으로 하여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1)이 연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될 수 있다. 블록 조립체(100)가 완성되면 도 1과 같은 상태로 지면에 놓이게 되는데, 블록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교량 등의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상부 본체(12)가 위쪽에 있는 상태로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리게 된다. 블록 조립체(100)에서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 블록(1)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연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될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리게 되면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양측 콘크리트 블록(1)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1) 사이의 힌지점에서 자연스럽게 절곡되면서 블록 조립체(10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설계된 형상에 부합하는 아치형상을 가지는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아치구조체를 이루는 동안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장력이 하부 본체(12)에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문제점 즉,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아치형상으로 만들었을 때 철근이나 강선에 장력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블록에 국부적인 손상이 유발되는 현상 및 아치구조물의 양 끝단이 들여지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본체(12)를 형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사전에 정해진 위치의 콘크리트 블록(1)에 대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앵커볼트 고정부(121)를 미리 형성해둘 수 있다. 앵커볼트 고정부(121)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볼트 고정부(121)의 활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 are bent in various shapes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n embedded hinge connector 2, and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embly 100 , the adjacent concrete blocks 1 may be rotated and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s 213 and 223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as hinge points. When the block assembly 100 is completed, it is placed on the groun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 . In order to construct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using the block assembly 100, the upper body 12 is raised using a lift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The block assembly 100 is lifted in a state in the In the block assembly 100, adjacent concrete block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orm that can be rotated and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point where they are connected, so that when the block assembly 100 is lifted,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The both sides of the concrete block 1 rotate with the rotational coupling part of the hinge point as a hinge point, and accordingly, the block assembly 100 conforms to the designed shape as shown in FIG. 2 as it is naturally bent at the hinge point between the concrete blocks 1 to form an arch structure having an arch shape. As such, during the formation of the arch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eparate tension does not act on the lower body 12, a problem of the prior art, that is, when the block assembly is lifted and made into an arc shape, tension occurs in the reinforcing bar or steel wi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ocal damage to the concrete block and the phenomenon that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are indented. In forming the upper body 12, if necessary, for the concrete block 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s shown in FIG. 14, the anchor bolt fixing part 121 may be formed in advance. The anchor bolt fixing part 121 may be formed as a concave groove. The utilization of the anchor bolt fixing part 121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서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의 각각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는 필요에 따라 가이드 콘(guide cone) 부재(4)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는 가이드 콘 부재(4)의 설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상부 본체(12)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확장플랜지부(120)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플랜지부(120)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아치방향 끝단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콘 부재(4)는 아치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원추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콘 부재(4)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concrete block position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arch direction of the block assembly 10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a guide cone member 4 as necessary.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B part of FIG. 1 showing the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the guide cone member 4, and FIG. 16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part shown in FIG. . In the case of an end concrete block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lock assembly 100 in the arch direction, an expansion flange part 12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body 12, and the expansion flange part 120 has The guide cone member 4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end in the arcuate direction. The guide cone member 4 may be formed of a conical member that becomes sharper toward the end in the arcuate direction. The guide cone member 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이와 같이 가이드 콘 부재(4)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콘 부재(4)의 자중이 연직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단부 콘크리트 블록 아치방향 측면이,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아치방향 측면에 자연스럽게 밀착하게 되어 블록 조립체(100)가 설계된 아치형상을 이루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된다. 즉,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구비된 가이드 콘 부재(4)의 자중에 의해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방향으로 연직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연직하중으로 인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는 화살표 M으로 표현된 형태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력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위로 들어 올려지지 않고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아치방향 측면이 잘 밀착되도록 만들게 된다. 따라서 블록 조립체(100)는 아치방향의 양 단부가 들려지는 현상 없이 설계에 부합되는 아치형상을 자연스럽게 이루게 되며, 아치형상을 이룬 아치구조체를 기초부(5)에 설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아치의 중앙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와이어 풀링(pulling)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설치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When the guide cone member 4 is provid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6 , as shown in FIG. 16 , the arch side surface of the end concrete block becomes the arch side surface of the adjacent concrete block while the weight of the guide cone member 4 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Naturally close to the block assembly 100 is a great help in achieving the designed arc shape. That is, a vertical load is applied to the end concrete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by the weight of the guide cone member 4 provided in the end concrete block. The moment force due to the weight in the expressed form acts. This moment force causes the end concrete block to adhere well to the adjacent concrete block in the arch direction without being lifted up. Therefore, the block assembly 100 naturally forms an arch shape conforming to the design without lifting both ends in the arch direction, and when installing the arch structure having an arch shape on the base part 5, both ends of the arch structur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installation work is exhibited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wire pulling operation to pull it toward the center of the arch.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를 아치형태의 아치구조체로 만들어서 횡방향으로 복수개 연속배치함으로써, 터널이나 교량 등의 아치구조물을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onstructing an arch structure such as a tunnel or a bridge by making the bloc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arch-shaped arch structure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them consecutively in the later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도 17에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를 인양하여 기초부(5) 사이에 설치하여 아치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 및 도 19에는 각각 도 17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블록 조립체(100)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아치형상을 만들어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기초부(5) 사이에 거치하게 된다. 이 때,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기초부(5)에 놓이게 되는데,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가이드 콘 부재(4)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접하는 기초부(5)의 상면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50)이 오목하게 형성해놓는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아치형태를 이룬 상태의 블록 조립체(100)를 기초부(5)에 거치할 때,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가이드 홀(50)에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를 충진하여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nstructing an arch structure by lifting the bloc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talling it between the base parts 5, and in FIGS. 18 and 19, respectively, the circle of FIG.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part D is shown. 18 shows a state before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 and FIG. 19 shows a state after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lock assembly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pre-fabricated at the factory, transported to the site and lifted by a crane to make an arch shape, between the base parts 5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will be held on At this time, the end concrete blocks located at both ends in the arch direction of the block assembly 100 are placed on the base part 5. When the guide cone member 4 is provided in the end concrete block, the end concrete blocks are in contact. A guide hole 50 into which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5 .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lock assembly 100 in an arcuate state is mounted on the base 5 ,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and fixed. After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 if necessary, the guide hole 50 is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such as mortar so that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 fasten firmly.

가이드 콘 부재(4)와 가이드 홀(50)의 결합 구성은, 블록 조립체(100)를 정해진 위치에서 기초부(5)에 거치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발휘한다. 가이드 홀(5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면 제작 내지 시공시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가이드 콘 부재(4)가 용이하게 가이드 홀(50)에 삽입되면서, 블록 조립체(100)가 정해진 위치에서 기초부(5)에 거치된다. 이와 같이 블록 조립체(100)를 기초부(5)에 거치할 때,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블록 조립체(100)의 거치 과정에서 전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 콘크리트 블록(1-3)이 접하는 기초부(5)의 상면이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블록 조립체(100)가 기초부(5)에 거치될 때, 가이드 콘 부재(4)가 사선 방향으로 쉽게 가이드 홀(50)에 삽입된다. 가이드 홀(50)의 지름과 가이드 콘 부재(4)의 지름을 동일하게 만들면,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끼워져서 고정되면서 블록 조립체(10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가이드 홀(5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게 되면,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끼워지는 즉시 블록 조립체(10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는 않지만, 제작 내지 시공시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가이드 콘 부재(4)가 용이하게 가이드 홀(50)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후에는 블록 조립체(100)의 위치 조정 후 가이드 홀(50)에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를 충진하여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블록 조립체(10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guide cone member 4 and the guide hole 50 exhibit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block assembly 100 to be mounted on the base part 5 at a predetermined position more easily. When the size of the guide hole 50 is sufficiently large, the guide cone member 4 is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even if an error occurs during manufacturing or construction, and the block assembly 100 is positioned at the base ( 5) is mounted on In this way, when the block assembly 100 is mounted on the base 5, the guide cone member 4 is firmly fix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so that dur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block assembly 100, conduction, etc. can effectively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5 in contact with the end concrete blocks 1-3 as shown in the drawings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when the block assembly 100 is mounted on the base part 5, the guide cone The member 4 is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in an oblique direc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guide hole 50 and the diameter of the guide cone member 4 are made the same, the block assembly 100 is placed in an accurate position while the guide cone member 4 is fitted and fixed in the guide hole 50 . However, if the size of the guide hole 50 is sufficiently large as mentioned above, the block assembly 100 is not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immediately after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but manufacturing or construction Even if a time error occurs, the guide cone member 4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 and after the guide con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0 , the position of the block assembly 100 . After adjustment, by filling the guide hole 50 with a filler such as mortar and fixing the guide cone member 4 in the inserted state in the guide hole 50 , the block assembly 100 can be firmly installed.

도 17에 예시된 것처럼 블록 조립체(100)를 인양하여 아치형태로 만들어서 아치방향 양단의 기초부(5) 사이에 설치하면서 복수개의 블록 조립체(100)를 횡방향으로 연속배치함으로써 터널, 교량 등과 같은 아치구조물을 축조한다. 이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를 결속하여 서로 간의 일체화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횡결합재(6)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0에는 도 17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횡결합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2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7 , the block assembly 100 is lifted into an arch shape and installed between the base parts 5 at both ends in the arch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lock assemblies 100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uch as tunnels, bridges, etc. Build an arch structure. At this time,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integration between each other by binding the neighboring block assemblies 1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transverse binder 6 made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ay be installed. FIG. 20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C of FIG. 17 , and FIG. 21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20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transverse binder.

앞서 언급한 것처럼, 블록 조립체(100)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1)을 제작할 때, 사전에 정해진 위치의 콘크리트 블록(1)에 대해서는, 오목한 홈 형태의 앵커볼트 고정부(121)를 상부 본체(12)에 미리 형성해둘 수 있는데, 복수개의 블록 조립체(100)를 횡방향으로 연속배치하였을 때, 각 블록 조립체(100)에 형성된 앵커볼트 고정부(121)가 횡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20 내지 도 22에 예시된 것처럼, 막대부재, 판부재 등으로 이루어져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횡결합재(6)를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의 앵커볼트 고정부(121) 사이에 배치하고, 앵커볼트(60)를 이용하여 횡결합재(6)를 앵커볼트 고정부(12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 사이가 횡결합재(6)에 의해 더욱 강하게 결속되며, 그에 따라 블록 조립체(100) 간의 일체화를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mentioned above, when manufacturing the concrete block 1 constituting the block assembly 100, for the concrete block 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anchor bolt fixing part 121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is attached to the upper body 12 ), when the plurality of block assemblies 100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anchor bolt fixing parts 121 formed in each block assembly 100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S. 20 to 22, between the anchor bolt fixing part 121 of the neighboring block assembly 100, the transverse bonding material 6 consisting of a member made of a bar member, a plate member, etc. an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ixing the transverse coupling material 6 to the anchor bolt fixing part 121 using the anchor bolt 60 .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between the block assembli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more strongly bound by the transverse bonding material 6 , and accordingly, the effect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integration between the block assemblies 100 is exhibited.

1: 콘크리트 블록
2: 매립 힌지연결구
4: 가이드 콘 부재
5: 기초부
6: 횡결합재
8: 횡측보강부재
11: 하부 본체
12: 상부 본체
19: 거푸집
21: 제1회전체
22: 제2회전체
100: 블록 조립체
121: 앵커볼트 고정부
211, 221: 하부 매립부
212, 222: 상부 매립부
213, 223: 회전 결합부
1: Concrete block
2: Recessed hinge connector
4: No guide cone
5: base
6: transverse bonding material
8: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11: lower body
12: upper body
19: formwork
21: first rotating body
22: second rotating body
100: block assembly
121: anchor bolt fixing part
211, 221: lower buried part
212, 222: upper buried part
213, 223: rotation coupling part

Claims (8)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된 구성의 블록 조립체(100)로서,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부 본체(12)가 위쪽이 되도록 인양되면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A block assembly 100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arranged in a row in an arcuate direction and are connected, wherein the concrete blocks are divided into a lower body 11 and an upper body 12 corresponding to a portion existing above it;
Concret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by a buried hinge connector 2,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1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crete block on one side and the concrete block on the other side. is made of a second rotating body 22;
Each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is divided into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nd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It is embedded in the lower body 11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 upper embedding parts 212 and 222 are embedded in the upper body 12 , and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have a rotation coupling part 213 . , 223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are rotatably coupled to rotate the first rotation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on body 22 to be bent at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having a configuration that is;
Concrete block assembly for building an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pper body 12 is lifted upward, it is bent into an arch shape to form an arch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아치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막대부재가 회전 결합부(213, 223)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하부 매립부(211, 221)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부재가 상부 매립부(212, 222)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respectively, the upper buried portion (212, 222) is a plurality of rod member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arcuate direction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213, 223) integrally, respectively. has a ready-made configuration;
The lower buried portion (211, 221) is a concrete block assembly for building an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rod member bent in the shape of an L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uried portion (212, 222).
제2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상부 매립부(212, 222)의 막대부재 또는 하부 매립부(211, 221)의 막대부재가 서로 끼워짐으로써,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끼리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Since the bar members of the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or the rod members of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fitted in the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2, the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integrated Concrete block assembly for building an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치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횡측보강부재(8)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설치되어 매립 힌지연결구(2)의 강성을 더 보강하는데,
횡측보강부재(8)의 막대부재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 사이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횡측면에 배치되는데, 막대부재의 양단은 각각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 composed of a pair of rod members extending in the arch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to further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Each of the rod members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8 is disposed on the transverse side of the buried hinge connector 2 between the adjacent buried hinge connectors 2, and both ends of the bar membe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Concrete block assembly for building an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upl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의 각각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서, 상부 본체(12)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확장플랜지부(120)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플랜지부(120)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아치방향 끝단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서;
블록 조립체(100)가 들어 올려졌을 때, 가이드 콘 부재(4)의 자중에 의한 힘과 모멘트력이 작용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아치방향 측면에서의 향상된 밀착이 이루어지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end concrete block locat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arch direction of the block assembly 100, the upper body 12 is further formed with an expansion flange portion 12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xtension flange portion 12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guide cone member 4 protruding toward the end in the arcuate direction;
When the block assembly 100 is lifted, the force and moment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guide cone member 4 are applied to make the end concrete block and the neighboring concrete block improved adhesion in the arch direction. Concrete block assembly for building arch structures with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만들어진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려 구부러지게 만들어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룬 후,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초부(5) 사이에 횡방향으로 복수개 거치하여 구성되는 아치구조물로서,
블록 조립체(100)의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arch direction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lifting and bending the block assembly 100 to form an arch-shaped arch structure, and then placing the arch structure between the base parts 5 spaced apart in the arch direction. As an arch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ly mounted,
The concrete block of the block assembly 100 is divided into a lower body 11 and an upper body 12 corresponding to a portion existing above it;
Concret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by a buried hinge connector 2,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1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crete block on one side and the concrete block on the other side. is made of a second rotating body 22;
Each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is divided into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nd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It is embedded in the lower body 11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 upper embedding parts 212 and 222 are embedded in the upper body 12 , and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have a rotation coupling part 213 . , 223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are rotatably coupled to rotate the first rotation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on body 22 to be bent at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제6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횡결합재(6)를 배치하고, 앵커볼트(60)로 횡결합재(6)를 블록 조립체(100)에 고정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이 횡결합재(6)에 의해 결속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7. The method of claim 6,
By arranging a transverse bonding material 6 made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adjacent block assemblies 1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ixing the transverse bonding material 6 to the block assembly 100 with an anchor bolt 60, An ar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lock assembli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bound by the transverse bonding material (6).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만들어진 블록 조립체(100)로 이루어진 아치구조체를 이용하여 아치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는 시공방법으로서,
블록 조립체(100)의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도록 블록 조립체(100)를 제작하고;
상부 매립부(212, 222)가 위쪽에 위치한 상태로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려 구부러지게 만들어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루고;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초부(5) 사이에 거치하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의 시공방법.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arranged in a row in an arch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struct an arch structure using an arch structure comprising a block assembly (100),
The concrete block of the block assembly 100 is divided into a lower body 11 and an upper body 12 corresponding to a portion existing above it;
Concret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by a buried hinge connector 2,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1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crete block on one side and the concrete block on the other side. is made of a second rotating body 22;
Each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is divided into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nd upper buried parts 212 and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buried parts 211 and 221 are It is embedded in the lower body 11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 upper embedding parts 212 and 222 are embedded in the upper body 12 , and the first rotating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 have a rotation coupling part 213 . , 223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are rotatably coupled to rotate the first rotation body 21 and the second rotation body 22 to be bent at the rotation coupling parts 213 and 223 . to fabricate the block assembly 100 to have a configuration;
The upper recessed parts 212 and 222 are raised to bend the block assembly 10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positioned above to form an arcuate arch structur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rch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mounting the arch structure between the base portions (5) spaced apart in the arch direction, and mounting a plurality of the arch struct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KR1020190163501A 2019-12-10 2019-12-10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3031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01A KR102303176B1 (en) 2019-12-10 2019-12-10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01A KR102303176B1 (en) 2019-12-10 2019-12-10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61A true KR20210073061A (en) 2021-06-18
KR102303176B1 KR102303176B1 (en) 2021-09-16

Family

ID=7662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501A KR102303176B1 (en) 2019-12-10 2019-12-10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1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2922A (en) * 2020-10-30 2021-02-09 中国电建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amline steel arch with special-shaped section box-type steel structure
KR102501685B1 (en) * 2021-12-28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 tunnel construction method that combines semi open cut and top-down excav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2405A (en) 2022-10-14 2024-04-23 금호건설 주식회사 Mold Apparatus for Arch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ch Block using such Mold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971A (en) * 1999-01-25 2000-08-02 Hitoshi Mori Pc foundation slab and pc foundation beam member for mat foundation, and work method for mat foundation using them
JP2002089194A (en) * 2000-09-19 2002-03-2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Installation structure for curved slab for arched tunnel
KR101157638B1 (en) 2012-02-06 2012-06-19 이형훈 Arch block assembler making method, arch block assembler and arch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block assembler
KR101524238B1 (en) * 2014-12-15 2015-06-01 비코비엔주식회사 Arch block assembl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block assembler
JP2019094736A (en) * 2017-11-28 2019-06-20 矢内 誠 String of box-shaped structures constituting convex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vex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971A (en) * 1999-01-25 2000-08-02 Hitoshi Mori Pc foundation slab and pc foundation beam member for mat foundation, and work method for mat foundation using them
JP2002089194A (en) * 2000-09-19 2002-03-2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Installation structure for curved slab for arched tunnel
KR101157638B1 (en) 2012-02-06 2012-06-19 이형훈 Arch block assembler making method, arch block assembler and arch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block assembler
KR101524238B1 (en) * 2014-12-15 2015-06-01 비코비엔주식회사 Arch block assembl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block assembler
JP2019094736A (en) * 2017-11-28 2019-06-20 矢内 誠 String of box-shaped structures constituting convex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vex connection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2922A (en) * 2020-10-30 2021-02-09 中国电建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amline steel arch with special-shaped section box-type steel structure
CN112342922B (en) * 2020-10-30 2022-04-01 中国电建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amline steel arch with special-shaped section box-type steel structure
KR102501685B1 (en) * 2021-12-28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 tunnel construction method that combines semi open cut and top-down exca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176B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176B1 (en)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157638B1 (en) Arch block assembler making method, arch block assembler and arch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block assembler
KR20080105509A (en) Concrete retaining wall with dual wall jointed by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22509698A (en) Base for wind turbine tower
KR101675908B1 (en) Arch shap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99885B1 (en) Arch structure using concrete block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74773B1 (en) Composite Deck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83531B1 (en) 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45525B1 (en) Twin wall and twin wall structure produced by using twin wall
KR101222522B1 (en) Precast tunnel structure using corrugated multi plate
KR101052732B1 (en) Composite pile using composite plate with shear connector and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9016127B (en) Bridge arch box prefabrication production and transverse connection method thereof
KR101994089B1 (en) Precast Concrete Slab With Pullout-Shear Resistance Elements Of Mesh Ri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92972B2 (en) Calvert
KR102065623B1 (en) the improved yoke truss and the wall form structure using the same
CN208235557U (en) A kind of assembling type base
KR20140070267A (en)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horizontal shear connecting member of solid body type, and method for the same
RU2554364C2 (en) Supporting device of anchor for concrete elements lifting
CN113931348A (en) L-shaped precast concrete component and building structure
KR100500143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hollow section extension of pier to ensure water flow section and struction thereof
KR200404658Y1 (en) Prefabricated Buttressed Retaining Wall
KR20220135682A (en) Steel Assembly Pile
KR101846245B1 (en) Helical lattice
KR101304335B1 (en)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variable horizontal shear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for the same
CN113958056A (en) Precast concrete component, in-line precast concrete subassembly and build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