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010A - 공기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010A
KR20210073010A KR1020190163428A KR20190163428A KR20210073010A KR 20210073010 A KR20210073010 A KR 20210073010A KR 1020190163428 A KR1020190163428 A KR 1020190163428A KR 20190163428 A KR20190163428 A KR 20190163428A KR 20210073010 A KR20210073010 A KR 20210073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housing
spac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남
오민규
노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010A/ko
Priority to CN202010424725.9A priority patent/CN112944469A/zh
Priority to US17/072,807 priority patent/US11852360B2/en
Priority to US17/072,996 priority patent/US20210172618A1/en
Priority to US17/072,891 priority patent/US20210172620A1/en
Priority to US17/073,040 priority patent/US20210172619A1/en
Priority to US17/072,656 priority patent/US20210172624A1/en
Priority to US17/073,093 priority patent/US11774113B2/en
Priority to US17/072,746 priority patent/US11566796B2/en
Priority to US17/072,953 priority patent/US11796190B2/en
Priority to US17/072,576 priority patent/US11906176B2/en
Priority to EP20203243.9A priority patent/EP3835669A1/en
Publication of KR20210073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관리장치이다.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형성된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를 통해 구동팬(130,130',130")의 독립적 가동에 의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에 설치된 제1에서 제3루버(141,142,143)의 가동을 통해 토출되는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관리장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독립된 요구에 맞춰 맞춤형 공기관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상면 양단에서 돌출되는 팝업덕트(234)의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보다 먼 영역으로 공기를 보낼 수도 있다.

Description

공기관리장치{Air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거공간 바닥에 위치되어 주거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관리장치는 소정의 공간 내의 공기를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여 그 공간에 있는 사람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관리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공기조화기가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되어 창문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있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기는 실내공간에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실내기가 해당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형, 실내 공간에 세워져 설치되는 스탠드형, 실내 공간의 벽면 상단에 설치되는 벽면형이 있다.
여기서 창문형을 제외한 나머지 공기조화기들은 모두 상대적으로 실내공간의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춰서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토출구가 하나여서 역시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춰서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선행문헌1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790호에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하나의 크로스팬에서 나온 공기가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전달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2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555호에는 다수개의 풍향조절부를 가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3개의 풍향조절부가 있어서 공기를 독립적으로 방향을 조절하여 배출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각각의 풍향조절부에 별도의 팬이 설치된 것도 아니고 토출구의 위치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적절하게 공기조화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3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2967호에서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로서 높이방향으로 3개의 토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토출구에 팬이 있어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토출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공기를 더 멀리 보내고 덜 멀리 보내는 정도의 차이가 있고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사용자들에게 독립적으로 공기를 보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내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경우에 쇼파에 앉거나, 바닥에 앉거나, 침대에 앉아 있더라도 서로 나란히 있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들 각각의 사용자들은 원하는 공기온도 등 공기조화의 조건이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해 선행문헌들에 나와 있는 공기조화기는 적절한 해결책을 줄 수 없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79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55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2967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거공간 바닥에 안착되어 실내공간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하여 원하는 온도로 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하우징에 토출구가 다수개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독립적으로 공기 토출이 제어되므로 하우징 전방에 좌우로 인접하여 있는 사용자 각자의 요구에 맞도록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팬이 팬가이드의 팬공간에 위치되어 팬공간의 공기를 토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유출구로 보낼 수 있으므로 각각의 토출구를 통해 안정적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팬이 위치되는 팬가이드의 전면에 루버의 구동을 위한 모터와 루버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축이 설치되므로 각각의 토출구에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루버를 둘 수 있게 되어 공기토출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루버의 구동을 위한 모터는 모터블럭에 설치된 상태로 팬가이드에 장착되므로, 모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팬가이드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루버의 배면 양단에는 중심공이 형성된 회전중심편이 있어서 일측 회전중심편중 하나에 루버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연결되고 타측 회전중심편의 중심공에 팬가이드에 설치된 회전중심축이 위치된다. 따라서, 루버를 공용화할 수 있고 구동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팬가이드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팬공간이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각각의 팬공간에 구동팬이 위치되므로, 하우징 전방에 나란히 있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공기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나란히 제1토출구, 제2토출구 그리고 제3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에서 제3토출구에는 제1에서 제3 루버가 설치되어 이들 토출구들에서 독립적으로 공기가 배출되어 공기관리를 다양한 모드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토출구와 제3토출구에 대응되는 팬가이드의 팬공간과 연통되게 분지유로가 팬가이드에 형성되어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분지유로와 유출구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안내되면서 제1에서 제3토출구로 토출되는 것보다 더 먼 원하는 위치로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팬가이드에는 팬공간이 상기 제1토출구, 제2토출구, 제3토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들 팬공간에는 각각 구동팬이 설치되어 기류를 형성하므로 원하는 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공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일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들과 3개의 루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되어 하우징 전방 영역을 제1,제2,제3토출구와 각각 대응되는 영역으로 나누어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인접하여 위치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공기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하우징의 상면 양단부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팬가이드의 분지유로를 통해 전달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추가토출부가 더 구비되므로, 보다 먼 위치로 열교환된 공기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추가토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상부로 돌출되어 동작되므로 하우징 전면의 토출구보다는 더 먼 위치로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전면에 토출구가 좌우로 나란히 있고, 이 토출구로 각각의 구동팬이 공기를 가압하여 토출하도록 독립적으로 가동되고 팬가이드의 팬공간에 상기 구동팬이 위치되어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나누어져 토출구로 토출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로 하우징 전방의 여러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하고 각도가 독립적으로 조절되어 공기의 토출각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루버가 있는데, 이에 의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각도나 좌우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직접풍 또는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팬가이드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팬공간이 좌우로 나란히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팬가이드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나누어져 유동되어 각각의 토출구로 분리되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팬가이드의 양단부에 대응되는 팬공간과 연통되게 분지유로가 형성되는데, 분지유로에 의해 팬가이드의 양단부에 해당되는 하우징의 단부쪽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팬공간에 설치된 구동팬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루버도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토출방향 및 토출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의 상면 양단부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팬가이드의 분지유로를 통해 전달된 공기를 토출하는 추가토출부가 있어서,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바닥에 안착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에서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유로 내에서 다수개의 구동팬이 동작되어 공기 유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공기관리장치는 주거공간에서 주변의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주거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동팬은 상기 공기유로에 설치된 팬가이드의 팬공간 내에 설치되는데, 상기 팬공간은 다수개가 좌우로 나란히 상기 팬가이드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에서는 하우징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공기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팬가이드의 팬공간을 나온 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각각 상기 팬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에게 직접풍과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팬가이드의 단부쪽에 형성된 팬공간과 연통되는 분지유로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해당되는 상면으로 돌출되는 추가토출부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가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의 바닥판에 형성된 흡입구를 지난 위치에는 필터유니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필터유니트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의 출입구를 통해 서랍식으로 입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필터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공기유로와 구획되어 제1공간이 형성되어 추가토출부와 가습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공기유로와 구획되어 제2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기계실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공기관리장치가 보다 다양한 동작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의 상면은 평평한 상판이 형성하므로, 하우징의 상면에는 다양한 물품을 얹을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공기관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하우징 양측 단부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추가토출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보다 다양하고 넓은 영역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바닥에 안착되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외관이 가구형상으로 되며 전면 중앙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공기유로에서 다수개의 구동팬에 의해 공기가 유동되면서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주거공간 내부로 열교환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관리장치가 주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거공간의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바닥에 안착되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외관이 가구형상으로 되며 상면이 사각형의 평면으로 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공기유로에서 다수개의 구동팬에 의해 공기가 유동되면서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주거공간 내부로 열교환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관리장치가 주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거공간의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관리장치의 하우징이 주거공간 바닥에 놓여지고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다수개의 토출구가 있어서, 주거공간 바닥이나 쇼파에 인접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 각각의 사용자에게 각각의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관리장치의 하우징 전방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구에 맞게 공기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다수개의 토출구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들 토출구와 대응되게 각각 구동팬이 있어 토출구를 통해 독립적으로 공기유동이 되도록 하고, 이들 토출구에 각각 루버가 있어서 독립적으로 토출구를 개폐하고 공기의 토출각도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사용한 공기관리가 다양한 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전면에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열영상카메라를 설치하고, 열영상카메라에서 획득된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맞도록 공기관리를 수행하므로, 개별 사용자 맞춤형으로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전면 상에 있는 다수개의 토출구 외에도 하우징의 상면 양단중 적어도 일측에 추가토출부가 더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에서는 팝업덕트가 하우징의 상면 상부로 돌출되어 공기를 토출하므로, 상기 토출구들보다는 더 먼 위치로, 특히 공기관리장치가 설치된 공간과 인접한 공간으로도 공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이 채용된 공기관리장치가 놓여지는 공간 뿐만 아니라 주변의 공간까지도 공기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에서 상판을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의 하우징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D4-D4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D5-D5선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팬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팬가이드내에 구동팬이 위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하우징 전면의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루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도 1의 D10-D10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공간프레임과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공간프레임을 독립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가토출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승강박스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도 1의 D15-D15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팝업덕트의 승강과 회전을 위한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필터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필터유니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필터유니트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레일조립체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리너에 있는 탄성쇄모가 필터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가습을 위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물통이 안착되는 물통안착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물통안착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구성중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틸팅테이블이 틸팅되는 것을 안내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틸팅테이블이 틸팅되는 것을 안내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도 2의 D30-D30선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 실시례의 배수펌프와 관련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주거공간내의 공기가 공기관리장치내에서 열교환되고 루버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에서 제3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팝업덕트가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2토출구가 개방되고 양측의 팝업덕트가 돌출되어 이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3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터유니트가 하우징에서 돌출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일측 팝업덕트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이동도어가 개방되고 틸팅테이블이 경사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3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물통안착대의 틸팅테이블이 경사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4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틸팅테이블이 경사진 상태로 구동된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2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43은 본 발명 일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4는 본 발명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5 내지 도 4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례들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관리장치는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은 주거공간의 바닥과 마주보게 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은 주거공간의 벽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소정 면적의 직사각형 평면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성인이 서서 내려다 볼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인데 높이의 2배 이상의 좌우폭을 가지고 높이가 전후길이보다 약간 크며 상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된다. 보다 자세한 하우징(10)의 치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좌우폭이 2000mm, 전후길이가 450mm, 높이가 600mm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을 바닥판(11)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11)은 직사각형상의 판으로, 주거공간의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상기 바닥판(11)의 양측에는 측판(12)이 있는데, 이들 측판(12)이 하우징(10)의 양측 면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을 배면판(13)이 형성하는데, 상기 배면판(13)은 상기 바닥판(11)의 후단 끝, 상기 측판(12)의 후단 끝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상판(14)의 후단 끝에서 소정 길이 이동된 위치에서 바닥판(11), 측판(12) 및 상판(14)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이 주거공간 내에 설치되었을 때, 벽면과 상기 배면판(13)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면서, 상기 바닥판(11), 측판(12), 배면판(13), 상판(14) 그리고 벽면에 의해 배면공간(13s)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13)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기계실(5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공급호스(510)와 배출호스(506)가 통과하는 호스통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입구파이프와 출구파이프가 통과하는 배관통공(13")이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상판(14)이 형성한다. 상기 상판(14)은 평평한 평면으로 직사각형상의 평면이 된다. 상기 상판(14)의 표면인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여러가지 물품이 놓여질 수 있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물품이 놓여져야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을 전면판(15)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5)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전체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유동공간(20)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전면판(15)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5)의 상단에는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동공간(20)과 주거공간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형상과 대응되게 좌우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상기 입력부(17)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입력부(17)의 형성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전면판(15)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7)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부분의 일부가 외부에 표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주요 부분은 내부 공간(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7)는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관리장치의 온(ON)/오프(OFF),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풍량, 풍향, 그리고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례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입력부(17)는 외부장치(미도시)로부터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부(17)는 이러한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IR), 근거리무선통신(NFC),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 LTE 등의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외부장치로서 예를 들어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적외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에는 공기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입력부(17)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입력부(17)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입력부(17)와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인가받는 터치 패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공기관리장치의 구동 및 동작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전면판(1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전면은 제1이동판(16)과 제2이동판(16')이 형성한다. 상기 제1이동판(16)과 제2이동판(16')은 일종의 도어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은 주거공간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적어도 4 모서리에는 레그(18)가 있다. 상기 레그(18)는 소정의 높이를 가져 상기 하우징(10)을 주거공간 바닥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바닥판(11)에 형성된 흡입구(11')로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주거공간 바닥과 하우징(10)의 하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상기 레그(18)가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레그(18)가 하우징(10)의 바닥판(11) 네 모서리에 있으나, 바닥판(11)의 모서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많은 숫자의 레그(18)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은 가구의 형상을 가지도록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구성하는 재료를 목재 또는 목재의 외관을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들 중에서 최소한 측판(12), 상판(14), 전면판(15), 제1이동판(16), 제2이동판(16')은 외관이 목재 또는 목재의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상기 하우징(10)을 전방 또는 상방에서 볼 때, 제1구획벽(19)과 제2구획벽(19')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도 2 및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구획벽(19)에 의해 공기유동공간(20)과 제1공간(22)이 구획되고, 제2구획벽(19')에 의해 공기유동공간(20)과 제2공간(24)이 구획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주거공간 내의 공기가 열교환하면서 유동되는 곳으로, 열교환되어 원하는 상태로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통해서 주거공간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과 제1구획벽(19)에 의해 구획되어 제1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중 하나와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공간(22)중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1이동판(1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과 제2구획벽(19')에 의해 구획되어 제2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공간(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 중 하나가 위치되고 제어부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500)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계실(500)이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2이동판(16')에 의해 계폐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의 좌우폭은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의 좌우폭의 2배 이상이 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의 좌우폭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형성되는 토출구(15'-1,15'-2,15'-3)의 개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장치(100)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구성과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구성 등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과한 위치에는 필터유니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 형성된 공기유로(102)를 유동한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열교환기(104)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04)는 공기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 사이클의 작용유체가 열교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방운전인 경우에는 공기로부터 열을 열교환기(104)의 작동유체가 전달받아 실외기로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난방운전인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을 작동유체로부터 전달받아 주거공간 내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난방운전에서 상기 열교환기(104)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구성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기(104)로는 실외기에서 전달된 작동유체가 입구파이프를 통해 전달되고,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출구파이프를 통해 실외기로 전달된다.
상기 열교환기(104)의 하부에는 드레인팬(108)이 있다. 상기 드레인팬(108)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모아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로(102)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구성들이 있다. 먼저 상기 필터유니트(300)와 마주보게 입구가이드(110)가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는 상기 흡입구(11')와 대응되는 영역에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는 상기 흡입구(11')의 대부분의 영역과 마주보게 되어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에는 안내경사면(110')이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선단쪽에 인접한 흡입구(11') 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배면판(13)쪽으로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경사면(110')은 상기 배면판(13)쪽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구(11')에서 멀어지도록 된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은 상기 배면판(13)을 향해 연장되는데,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 위치는 하우징(10)의 전후방향 기준으로 상기 흡입구(11')의 2/3 정도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을 설정하는 것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기유로(102)의 최대한 후방으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상면에는 상기 드레인팬(108)과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12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상부가이드(112)가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공기유로(102)의 천정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배면판(13)에서 시작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120)까지 연장된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배면판(13)과 만나는 부분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곡면으로 된다. 즉, 상기 배면판(13)과 상부가이드(112)가 직교하지 않도록 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면판(13)의 내면중 공기유로(102)에 해당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면판(13)과 상기 상부가이드(112)가 연속되는 곡면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면판(13)의 후면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와 상부가이드(112)는 되도록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와 상부가이드(112) 자체가 단열성이 좋은 재질이 아니라면, 표면에 단열성이 좋은 부재를 두어서 주변과의 열교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열교환기(104)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팬가이드(120)까지 연장된다.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상기 공기유로(102)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유동되어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팬(130,130',130")이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공기를 분리해서 유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경로로 나눠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실내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팬가이드(120)의 골격을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된 팬가이드몸체(122)가 형성한다. 상기 팬가이드몸체(12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팬공간(124,124',124")이 형성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에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팬(130,130',130")들이 설치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은 내부에서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은 상기 열교환기(104)와 마주보는 쪽은 모두 개방되어 유입구(126)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팬공간(124,124',124")에서 토출구(15'-1,15'-2,15'-3)들과 대응되는 쪽은 일부만이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팬공간(124,124',124")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유출구(128)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28)는 상기 전면판(15)의 제1에서 3토출구(15'-1,15'-2,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28)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유동단면적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상기 유출구(128)는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상대적으로 상단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내면 일측에는 분지유로(129)가 형성된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각각 상기 팬가이드(120)의 양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쪽으로 연결된다.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공간(124,124',124")들에는 각각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은 각각에 대응하는 팬모터(132)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팬모터(132)들은 후술할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구동팬(130,130',130")을 동작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팬모터(132)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팬(130,130',130")을 동작(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모두 3개의 구동팬(130,130',130")이 사용된다. 물론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4개의 구동팬이 사용되거나 5개의 구동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양 단에 있는 구동팬(130,130")들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도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전체 구동팬(130,130',130")들은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구동팬(130,130',130")들을 제1구동팬(130), 제2구동팬(130'), 제3구동팬(130')이라 칭한다. 참고로 상기 구동팬(130,130',130")으로는 회전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원심방향으로 배출되는 터보팬이 사용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130,130',130")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에 각각 루버(141,142,143)들이 설치된다. 제1토출구(15'-1)에 제1루버(141), 제2토출구(15'-2)에 제2루버(142), 제3토출구(15'-3)에 제3루버(143)가 설치된다. 이들 루버(141,142,143)는 각각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한다.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은 구동모터(141',142',143')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이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중심축이 회전되면서 상기 루버(141,142,143)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루버(141,142,143)를 개폐 및 동작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루버(141,142,143)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를 구동시켜 상기 루버(141,142,143)를 동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는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과 함께 개방 각도의 조절도 가능하다.
상기 루버(141,142,143)의 배면에는 상기 구동모터(141',142',143')과 결합되는 회전중심편(145)이 있다. 상기 회전중심편(145)에는 중심공(145')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편(145)은 하나의 루버(141,142,143)에 2개씩 형성되는데, 그 중 하나의 중심공(145')에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이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는 상기 팬가이드(120)에 형성된 설치홈(150)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를 상기 팬가이드(120)의 설치홈(150)에 설치하기 위하여 모터블럭(146)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블럭(146)은 일측면에 구동모터(141',142',143')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 있어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와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홈(150) 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하나의 루버(141,142,143)에는 회전중심편(145)이 2개씩 있는데, 하나는 구동모터(141',142',143')와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중심축(147)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축(147)은 루버(141,142,143)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중심축(147)은 양단에 지지편(149)이 있고, 상기 지지편(149)이 상기 팬가이드(120)의 설치홈(15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하나의 회전중심축(147)이 동시에 2개의 회전중심편(145)을 관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루버(141,142,143)가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는,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되는 것 외에 상기 전면판(15)의 배면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버(141,142,143)의 동작을 통해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달리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전방을 향해 직접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에게 직접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5'-1,15'-2,15'-3)에서 전방 상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사용자에게 직접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등을 제어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동작모드를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은 그 내부의 감속부에 의해 속도와 토크가 설정되어 동작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의 동작정도에 의해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동작모드가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동작모드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은 동시에 모두 가동되거나, 선별적으로 조합되어 같이 가동될 수 있다. 즉, 공기관리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조합으로 구동팬(130,130',130")이 동작된다.
먼저, 모든 구동팬(130,130',130")이 동작되고, 모든 루버(141,142,143)가 개방되어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는 제1댐퍼(206)를 사용하여 폐쇄하여 분지유로(129)에서 다른 부분으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댐퍼(206)는 댐퍼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댐퍼구동모터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제1댐퍼(206)를 개폐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제1댐퍼(206)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댐퍼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1댐퍼(206)를 동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3개의 구동팬(130,130',130")중 어느 하나 만을 가동시키고 그에 대응되는 루버(141,142,143)를 개방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는 제1댐퍼(206)를 사용하여 폐쇄하여 분지유로(129)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모든 루버(141,142,143)를 닫은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을 가동시켜 공기가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추가토출부(200)로 전달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제1댐퍼(206)는 개방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에 의해 공기가 분지유로(129)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팬(130')도 가동시키고 상기 제2루버(142)를 개방해서 하우징(10)의 전방으로도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에는추가토출부(200)가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구성을 도 10에서 도 1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추가토출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모두에 추가토출부(200)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공간(22)에 설치된 것을 기초로 설명한다.
상기 제1공간(22) 내에는, 도 11에 도시된, 제1공간프레임(202)이 설치된다.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은 도 2에서도 볼 수 있다. 제1공간프레임(202)은 제1공간(22)을 구획하여 추가토출부(200)와 아래에서 설명될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일측에는 프레임공간(203)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공간(203)은 상기 제1이동판(1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이동판(16)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공간(203)을 개폐한다.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우측면에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덕트(204)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덕트(204)는 일단부가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와 연통된다. 상기 연결덕트(204)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ㄱ'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기 연결덕트(204)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04)의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직덕트(208)와 연통된다. 상기 연결덕트(204)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연결유로(20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은 제1댐퍼(206)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연결유로(205)의 입구에 있다. 상기 제1댐퍼(206)가 동작됨에 의해 상기 연결유로(205)로의 공기 공급이 제어된다.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에는 수직덕트(208)가 있다. 상기 수직덕트(208)는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 자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덕트(208)가 반드시 제1공간프레임(202)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직덕트(208)는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제1공간(22)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덕트(208)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박스(214)의 승강을 안내하여 팝업덕트(234)가 정해진 궤적을 따라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덕트(208)의 내부에는 승강박스(214)와 팝업덕트(234)가 위치되고 승강되며 공기가 유동되는 수직유로(210)가 있다. 상기 수직유로(210)에는 팝업덕트(234)와 승강박스(214)가 승강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팝업덕트(234)와 승강박스(214)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유로(210)는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가 된다.
상기 수직유로(210)의 내면 일측을 따라서는 하부에서 상부까지 승강랙기어부(212)가 있다.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구동기어(232)와 맞물려서 승강구동기어(232)가 상하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는 도 15와 도 16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수직유로(210)의 내부에는 승강박스(21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박스(214)는 도 13과 도 14에서 그 형상을 잘 볼 수 있다. 상기 승강박스(214)는 상기 수직유로(210)를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횡단면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될 만입부(221)를 제외하고는 상기 수직유로(210)의 횡단면 형상과 같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외측면들은 각각 상기 수직유로(210)의 내면에 접촉되어 이동된다.
상기 승강박스(214)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도 1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링(216)이 있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은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연통유로(218)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의 회전지지부(23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연통유로(218)는 상기 수직유로(210)와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의 팝업유로(236)를 연통시킨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의 하단부에 있는 회전지지부(23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연통유로(218)의 내부에는 팬설치부(219)가 있다. 상기 팬설치부(219)는 본 실시례에서는 십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팬설치부(219)에는 추가토출부(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압하는 팝업구동팬(224)이 설치된다. 상기 팝업구동팬(224)는 팝업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팝업구동모터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동작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동작(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회전지지링(216)에는 회전모터수납부(220)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모터(226)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일측 외면에는 만입부(221)가 형성되는데, 상기 만입부(221)에는,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모터수납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만입부(221)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승강박스(214)의 외면과 수직유로(210)의 내면 사이가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팬설치부(219)에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팝업구동팬(224)이 설치된다. 상기 팝업구동팬(224)은 상기 연통유로(218)에서 공기를 가압하여 보다 멀리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구동팬(130)이나 제3구동팬(130")에 의해 분지유로(219)로 전달되어 연결덕트(204)와 수직덕트(208)를 통과한 공기를 가압하는 역할을 팝업구동팬(224)이 수행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회전모터수납부(220)에는 회전모터(226)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모터(226)의 출력축에는 회전구동기어(228)가 있다. 상기 회전모터(226)가 구동함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가 회전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모터수납부(222)에는 승강모터(23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터(230)의 출력축에는 승강구동기어(232)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린다. 상기 승강구동기어(232)는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려서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박스(214)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에 의해 팝업덕트(234)가 함께 승강된다. 상기 승강모터(230)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덕트(234)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팝업덕트(234)의 승강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승강모터(230)를 구동시켜 상기 팝업덕트(234)를 승강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팝업덕트(234)는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4)을 관통하여 상부로 상승하고 다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와 그 내부의 구성은 도 1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팝업덕트(234)는 육면체 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팝업덕트(234)의 회전을 위한 부분은 원통형으로 되어야 한다.
상기 팝업덕트(234)의 내부에는 팝업유로(236)가 있어서 상기 연통유로(218)와 연통된다. 상기 팝업덕트(234)의 하부에는 회전지지부(238)가 있는데, 상기 승강박스(214)의 회전지지링(21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지지부(238)의 외경은 상기 회전지지링(216)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되어 상기 회전지지링(2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은 팝업덕트(234)의 회전을 위해서 원통형상으로 되어야 할 부분이다.
상기 회전지지부(238)의 외면을 둘러서는 종동기어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종동기어부(240)는 일종의 랙기어부이다. 상기 종동기어부(240)에는 상기 회전모터(226)의 회전구동기어(228)가 맞물려 동작된다. 상기 회전모터(226)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기어(228)가 상기 종동기어부(240)와 맞물려 동작되면 상기 팝업덕트(234)가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부(240), 회전구동기어(228) 등의 구성은 도 1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모터(226)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덕트(234)를 회전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팝업덕트(234)의 회전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회전모터(226)를 구동시켜 상기 팝업덕트(234)를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팝업덕트(234)의 외면을 둘러서는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된다. 상기 팝업토출구(242)는 상기 팝업덕트(234) 외면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다. 이는 팝업유로(236)를 통해 유동된 공기가 특정한 방향으로 보다 강력하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팝업덕트(234) 외면의 절반 이하가 좋다. 팝업유로(236)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보다는 작은 영역에 걸쳐서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팝업유로(236)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조절날개(244)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날개(244)는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날개(24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판형상이고, 별도의 구동원 또는 수동으로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추가토출부(20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공간(24)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더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추가토출부(200)에서 상기 팝업덕트(234)는 원통형이 아닌 사각기둥 등 육면체 형태 또는 또 다른 형태로 될 수 있다. 여기서 팝업덕트(234)의 형태는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원하는 위치로 보낼 수 있기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사각기둥형태로 팝업덕트(234)를 형성할 경우에는 팝업덕트(234)의 4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중앙 하부로 서랍식으로 입출되게 필터유니트(300)가 있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는 상기 바닥판(11)에 형성된 흡입구(11')에 설치되어 흡입구(11')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구(11')는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되고 하우징(10)이 놓여지는 바닥면과 마주보게 되어 있어서 필터유니트(300)를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은 없다. 즉 하우징(10)이 거실 바닥에 설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흡입구(11')를 볼 수 없고,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구(11')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흡입구(11')에 필터유니트(3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두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필터유니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5)의 하부에 형성된 출입구(도면부호 부여않음)를 통해 입출된다. 따라서, 필터유니트(300)에서 수명이 다한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유니트(300)의 골격을 필터프레임(301)이 형성한다. 상기 필터프레임(301)은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되는데, 상하로 관통되게 다수개의 통과영역(30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영역(302)은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이다. 상기 통과영역(302)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3개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통과영역(302)은 평면도로 볼 때, 정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통과영역(302)의 형상과 크기는 이에 위치되는 필터(320,330,340)에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상기 통과영역(30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필터(320), 제2필터(330), 제3필터(340)가 차례로 적층되어 위치된다.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전면을 전면벽(30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벽(303)은 필터유니트(300)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10)의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벽(303)의 하단 중앙에는 손잡이(303')가 있다. 상기 손잡이(303')는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출입구를 통해 빼고 넣을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전면벽(303)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측면벽(305)이 있다. 양측의 상기 측면벽(305)의 후단을 연결하게 배면벽(307)이 있다. 상기 배면벽(307)은 상기 전면벽(303)과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전면벽(303)과 배면벽(307)을 연결하여 상기 통과영역(302)을 구획하도록 필터구획벽(309)이 있다. 상기 필터구획벽(309)에 의해 상기 필터프레임(301)을 상하로 관통하는 통과영역(302)이 다수개로 나누어진다.
상기 측면벽(305)과 필터구획벽(309)의 하단에는 안착단(311)이 있다. 상기 안착단(3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필터(32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단(311)은 반드시 상기 측면벽(305)과 필터구획벽(309)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전면벽(303)과 배면벽(307)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안착단(311)이 상기 측면벽(305), 필터구획벽(309), 전면벽(303), 배면벽(307)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단면적을 좁히지 않기 위해서는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벽에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배면벽(307)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리브(31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13)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필터를 교체할 수 있을 정도로 출입구에서 빼내어졌을 때, 필터프레임(301)이 출입구 내부에 지지되어 임의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레일조립체(350)에 의해서도 필터프레임(301)이 하우징(10)에 잡혀 있기는 하지만, 상기 지지리브(313)가 협력하여 필터프레임(301)이 하우징(10)에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과영역(302)에 설치되는 필터(320,330,340)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통과영역에는 먼저 제1필터(3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필터(320)는 일종의 프리필터로서,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필터(320)에 있는 필터링부(322)의 구조는 메쉬망 형태로 되어서 먼지를 걸러준다. 상기 제1필터(320)에는 수납케이스(3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케이스(324)는 상기 필터링부(322)의 가장자리를 둘러 사각벽체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부(322) 상에 소정의 수납공간(325)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공간(3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가 설치된다. 상기 수납케이스(324)의 높이는 제1필터(320)의 필터링부(322) 상에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를 적층한 상태에서 제3필터보다 더 돌출된다. 이는 도 19에서 잘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수납케이스(324)를 작업자가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통과영역(302)에서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공간(325)에는 제2필터(33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필터(330)는 상기 수납공간(325)의 형상과 대응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제2필터(330)는 헤파(HEPA)필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제2필터(330)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섬유조직에 의한 차단 및 충돌, 중력에 의한 입자침강, 입자의 브라운 운동, 정전기력에 의한 흡착 등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325)에는 제2필터(330) 상에 제3필터(340)가 설치된다. 상기 제3필터(340)는 탈취필터가 사용된다. 탈취필터의 경우 주로 활성탄성분을 많이 사용한다. 탈취필터인 제3필터(340)에 의해서는 공기중의 악취가스 등의 이취가 제거된다.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상기 하우징(10)에서 서랍식으로 입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양측과 하우징(10)의 대응되는 내면 사이에 레일조립체(35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조립체(350)의 구성은 도 20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일조립체(350)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352)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고정부(352)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상단과 하단에 이동가이드레일(354)이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부(352)와 대응되게 하우징고정부(356)가 있다. 상기 하우징고정부(356)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고정부(356)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가이드레일(358)이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레일(358)은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54)과 마주보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동가이드레일(354)의 내면과 마주보게 고정가이드레일(358)이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부(352)의 내측에는 연결레일(36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레일(360)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수개의 볼지지편(362)이 있고, 상기 볼지지편(362)에는 볼(36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54)과 고정가이드레일(358)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이동가이드레일(354)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레일(360)은 상기 프레임고정부(352)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일정 부분 프레임고정부(352)에서 돌출될 수 있어 필터프레임(301)의 이동 행정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한다.
도 4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1')에서 상기 필터(320,330)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370)가 설치된다.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바닥판(11)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 전체 영역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클리너(370)는 일종의 진공청소기라고 볼 수 있다. 상기 클리너(370)의 외관과 골격을 클리너몸체(317)가 형성한다. 상기 클리너몸체(317)중에서 상기 바닥판(11)과 마주보는 부분은 바닥부(372)이다. 상기 바닥부(37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대체로 평면인데, 폭은 상기 흡입구(11')의 폭과 같거나 조금 큰 것이 좋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372)에는 클리너흡입구(373)가 있다.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리너레일(380)이 통과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눠져 형성된다. 물론, 상기 클리너레일(380)이 상기 흡입구(11')의 양단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바닥판(11)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를 하나로 할 수 있다. 하지만, 클리너(370)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무게가 무거워질 수 있어서 클리너레일(380)이 흡입구(11')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클리너(370)의 크기를 소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클리너흡입구(373)를 다수개로 나누게 되면 각각의 클리너흡입구(373)의 유동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면서 클리너(370)의 처짐 등에 의한 흡입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너흡입구(37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탄성쇄모(37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쇄모(375)는 필터 표면에 마찰되면서 마치 빗자루가 먼지를 쓰는 것처럼 작용하여 필터 표면에 있는 먼지가 클리너흡입구(373)로 잘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쇄모(375)는 또한 상기 클리너흡입구(373)의 가장자리를 둘러 촘촘하게 설치되어 클리너흡입구(373)에 형성된 흡입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탄성쇄모(375)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직선형태로 만들어서 소정의 길이로 자른 것이다. 물론, 상기 탄성쇄모(375)는 약간 뻣뻣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털과 같은 천연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쇄모(375)는 클리너흡입구(373)를 둘러서 일종의 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한줄로 배치되는 것보다는 여러줄로 배치하여 흡입력의 누설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클리너몸체(371)의 외면 일측에는 공기배출구(377)가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377)는 상기 클리너흡입구(373)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이 좋은데,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되고 나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물론, 클리너(370)의 내부에 먼지를 모으지 않고 상기 공기배출구(377)에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별도의 위치에 있는 먼지탱크에 먼지를 모을 수도 있다.
상기 클리너몸체(371)의 내부에는 클리너(370)의 이동을 위한 구성과 먼지의 흡입을 위한 구성 그리고 클리너흡입구(373)에는 에지테이터와 같이 필터(310)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를 털어주는 구성이 있다.
클리너레일(380)은 상기 바닥판(11)의 저면에 상기 흡입구(11')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클리너레일(380)을 따라 상기 클리너(370)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리너(370)가 하우징(10)의 바닥판(11) 저면에 설치되고 별도의 구성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가 그대로 노출되고 다른 구성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거실 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102)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리너(370)도 별도의 구성에 의해 덮어지지 않게 되어 역시 흡입구(11')로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클리너(370)가 상기 클리너레일(380)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클리너(370)의 자중에 의해 위치에 따라서는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쇄모(375)는 항상 제1필터(320)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을 수 있어,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즉, 클리너(370)가 중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쇄모(375)의 탄성변형 정도가 줄어들면서 여전히 제1필터(32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클리너(370)의 바닥부(372)는 상기 제1필터(320)의 표면과 마주보고 상기 클리너흡입구(373) 가장자리의 탄성쇄모(375)는 제1필터(320)의 표면에 탄성변형되어 밀착된 상태로 된다. 상기 탄성쇄모(375)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탄성쇄모(375)의 사이를 통해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필터(320)의 표면과 클리너(370)의 바닥부(372) 사이의 거리는 일정 이하의 값으로 되어야 한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는 상기 하우징(10)의 흡입구(11') 내측에 있고, 상기 클리너(370)는 하우징(10)의 바닥판(11) 하면에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 어느 정도의 거리가 존재한다. 이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제1필터(320)의 가장자리에 단차를 두어 제1필터(320)의 표면이 상기 클리너(370)의 바닥부(372)와 근접하도록 돌출되게 할 수 있다.
도 24에서 도 29를 참고하여 가습을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구획벽(19)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유로(102)와 연통되게 공기유입덕트(401)가 있다.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는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상기 공기유로(102)의 공기 일부가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하였지만 상기 열교환기(104)는 통과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거실 내의 공기가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상태로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전달된다.
상기 공기유입덕트(401)에 연결되어 유입팬부(403)가 있다. 상기 유입팬부(403)는 내부에 팬(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덕트(401) 내부로 상기 공기유로(102)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가압된 공기가 유동되게 공기전달덕트(405)가 있고, 상기 공기전달덕트(405)에 연결되어 스팀생성기(407)가 있다. 상기 스팀생성기(407)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통(419)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가습을 위해 가열식 스팀생성기(407)를 사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나, 초음파를 이용해서 물분자를 기화할 수 있다. 즉, 스팀생성기(407) 대신에 다양한 가습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는 제1배출덕트(409)가 있다. 상기 제1배출덕트(409)는 스팀생성기(407)에서 생성된 스팀과 공기유입덕트(401)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제1배출덕트(409)는 상기 연결덕트(204)와 연결된다.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통해 유동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204)로 전달되어, 상기 수직유로(210), 연통유로(218), 팝업유로(236)를 차례로 유동하고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덕트(411)가 상기 제1배출덕트(409)와 다른 방향에 있다. 물론 상기 제2배출덕트(411)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배출덕트(411)는 가습연결덕트(413)로 가습된 공기를 전달한다.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는 상기 제2공간(24)에 있는 수직덕트(208)의 수직유로(210)와 연통된다.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는 상기 배면판(13)과 벽면 사이에 형성된 배면공간(13s)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덕트(409)와 제2배출덕트(411)에는 각각 가습댐퍼(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가습을 위한 공기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에 형성된 프레임공간(203)에는 물통안착대(415)가 있다. 상기 물통안착대(415)에는 물통(419)이 안착된다. 상기 물통(419)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전달하기 위해 가습펌프(417)가 상기 물통안착대(415)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물통안착대(415)는 상기 물통(419)을 틸팅시킬 수 있다. 상기 물통안착대(415)는 상기 프레임공간(203) 내에서 상기 물통(419)의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된다. 이는 상기 물통(419)을 상기 프레임공간(203)에 입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통안착대(415)에는 베이스프레임(421)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은 물통안착대(415)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장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은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프레임공간(203)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후단에는 가이드컬럼(423)이 한쌍이 직립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컬럼(423) 사이의 공간에는 가이드레일(425)과 가이드슬롯(427)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25)은 상기 가이드컬럼(423)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425) 사이의 공간이 가이드슬롯(427)이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25)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형태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상면에 돌출되어서는 저수부(429)가 있다. 상기 저수부(429)의 내부에는 저수공간(431)이 형성되어 상기 물통(419)에서 공급된 물이 임시로 저장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저수부(429) 상면에는 저수부상판(433)이 설치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은 상기 저수공간(431)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과 베이스프레임(421)의 사이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의 양측면에는 회전중심공(435)이 있다. 상기 회전중심공(435)은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는 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중심공(435)은 상기 저수부상판(433)에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벽(437)의 측면에 있다. 상기 안착벽(437)은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틸팅테이블(449)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벽(437)은 아래에서 설명될 저수부입구(441)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벽(437)에서 연장되어 틸팅스토퍼(439)가 있다. 상기 틸팅스토퍼(439)는 상기 저수부상판(433)의 선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진다. 상기 틸팅스토퍼(439)는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었을 때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을 관통하여 저수부입구(441)가 있다. 상기 저수부입구(441)는 상기 저수공간(431)의 입구가 된다. 상기 저수부입구(441)에는 밸브개방구(443)가 있다. 상기 밸브개방구(443)는 상기 물통(419)에 있는 밸브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에 구비되는 구성들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중심공(435)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저수부(429)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중심공(435)에는 회전중심부재(445)의 회전중심축(447)이 위치된다. 상기 회전중심부재(445)는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테이블(449)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중심축(447)이 상기 회전중심공(435)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중심공(435)은 틸팅테이블(449)의 회전중심이 된다.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면이 수평인 상태와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틸팅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상기 회전중심축(44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틸팅동작을 위한 구동력은 틸팅랙기어부(451)를 통해 전달된다. 도 2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랙기어부(451)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후단에 있다. 상기 틸팅랙기어부(451)는 전체 형상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이다. 상기 틸팅랙기어부(451)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가이드레일(425)과 연동될 수 있도록 곡선으로 된다. 상기 틸팅랙기어부(451)의 외면에는 랙기어(4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453)는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감속기(463)의 출력기어(467)와 맞물려 동작된다.
상기 틸링랙기어부(451)의 양측면에는 곡선형상으로 되는 연동채널(455)이 있다. 상기 연동채널(455)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가이드레일(425)이 위치되어 안내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에는 저수부커버(45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저수부커버(457)에는 물공급공(459)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물공급공(459)과 상기 저수부입구(441) 사이에는 밸로우즈 형태의 연결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물이 누수없이 저수공간(431)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틸팅테이블(449) 상에 안착된 물통(419)으로부터 나온 물이 상기 물공급공(459)을 통해 저수공간(431)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은, 도 26 및 도 29에 도시된 틸팅구동원(461)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은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틸팅감속기(463)가 상기 틸팅구동원(461)의 출력축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틸팅감속기(463)의 외관을 감속기하우징(465)이 형성하고, 상기 감속기하우징(465) 내에는 다수개의 기어가 설치된다. 상기 틸팅감속기(463)의 기어열에서 제일 마지막 기어는 출력기어(467)이다. 상기 출력기어(467)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랙기어(453)와 맞물려 동작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근접센서(470)가 있다. 상기 근접센서(470)는 상기 물통(419)을 교체하기 위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이동판(16) 앞에서 상기 근접센서(470)에 근접하면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1이동판(16)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상기 물통안착대(415)의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어 물통(419)의 상단이 프레임공간(203)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근접센서(470) 대신에 버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물통(419)의 교체 의사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감지수단이라도 상기 근접센서(47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0 및 도 31을 참고하여 기계실(500) 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공간(24)에는 제2공간프레임(202')이 설치된다.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은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구성하는 수직덕트(208)가 있어 팝업덕트(234)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와 관련된 구성은 제1공간프레임(202)에 있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의 일측에는 기계실(5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500)은 상기 제1공간프레임(201)의 프레임공간(203)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상기 기계실(500)은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에서 상기 수직덕트(208)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있다. 상기 기계실(500)의 천정을 구성하는 상구획판(501)은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4)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 위치에 있고, 상기 상구획판(501)과 마주보고 상기 기계실(500)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구획판(501')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과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상기 하구획판(501')의 저면에는 배수펌프(502)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펌프(502)는, 도 3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상기 배수펌프(502)에서 연결호스(504)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의 연장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108)과 배수펌프(502) 사이를 연결하여 응축수를 배수펌프(502)로 전달하는 연결호스(504)는 상기 드레인팬(108)과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배수펌프(502)와 연결되는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는 상기 연결호스(504)를 통해서 응축수가 중력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호스(504)가 상기 드레인팬(108)의 측면을 관통하여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면과 상기 연결호스(504)의 대응되는 내측면은 동일한 높이에 있다. 또는 상기 연결호스(504)는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서 드레인팬(108)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연결호스(504)가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드레인팬(108)은 그 바닥면이 상기 연결호스(504)와 연결되는 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호스(504)는 본 발명에서는 크게 상단부(505), 연결부(505') 그리고 하단부(505")로 구분된다. 상기 상단부(505)는 상기 드레인팬(108)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단부(505")와 소정의 높이차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505')는 상기 상단부(505)와 하단부(505")를 연결한다. 상기 하단부(505")는 상기 배수펌프(502)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연결호스(504)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다. 상기 연결호스(504)에서 상기 상단부(505)가 없이 상기 연결부(505')가 직접 드레인팬(108)의 바닥으로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호스(504)의 상기 하단부(505")에 채워진 응축수까지 모두 배수펌프(502)로 흡입되도록 하지 않고, 상기 하단부(505") 또는 연결부(505')에는 응축수가 남아 있을 정도까지 배수펌프(502)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배수펌프(502)에는 배출호스(506)가 연결된다. 상기 배출호스(506)는 상기 배수펌프(502)에서 가압된 응축수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대높이(H)는 적어도 400mm 이상으로 된다. 상기 배출호스(506)는 상기 하우징(10)의 배면판(13)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호스(506)가 상기 배면판(13)을 관통하는 호스통공(13')의 위치(배출호스(506)의 최대높이(H))중 가장 높은 위치는 상기 배면판(13)의 최상단이 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하우징(10)의 외부에 있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대높이(H)를 적어도 400mm이상으로 하는 것은, 이 최대높이(H) 이후의 배출호스(506)의 구간에서 중력작용만 활용해서도 응축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기계실(500)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 배출호스(506)의 부분부터는 배수펌프(502)에 의한 가압력에 상관없이 중력에 의해서 응축수가 유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계실(500)에는 공급호스(510)가 있다. 상기 공급호스(510)는 상기 공기유로(102)로, 예를 들면, 산소 또는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거공간 내의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호스(510)는 상기 제2구획판(19')에 대응되는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 부분과 상기 배면판(13)의 호스통공(13')중 하나에 대응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호스(510)는 실외기 측의 공급원과 상기 공기유로(102)를 연통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에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는 것을, 도 3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실내공기는 실내의 바닥과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의 공기유로(102)로 유동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하면서 먼지와 이물질 그리고 이취 등이 제거된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102)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102)의 상대적으로 후단으로 유동되는 것은 상기 입구가이드(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안내경사면(110')이 상기 배면판(13)을 향해 상향 경사지므로,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주로 배면판(13)쪽으로 안내된다. 이는 상기 안내경사면(110')과 필터유니트(300)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면판(13)쪽으로 가면서 점차 더 넓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배면판(13) 근처의 공기유로(102) 후단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4)를 지나서 가동되고 있는 구동팬(130,130',130")이 있는 팬가이드(120)의 팬공간(124,124',124")으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공기유로(102)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해서 상기 열교환기(104)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열교환기(104)의 상부를 넘어서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유로(102)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전부가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공기는 각각의 구동팬(130,130',130')의 구동에 의해 특정한 팬공간(124,124',124")으로 들어가서 유동경로가 분리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상기 유출구(128)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대응되는 토출구(15'-1,15'-2,15'-3)로 공기가 유동된다. 해당되는 토출구(15'-1,15'-2,15'-3)의 루버(142,142,143)가 개방되어 소정의 각도로 세워져 있으면 공기가 루버(141,142,143)에 의해 안내되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특정 구동팬(130,130',130")의 가동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한 공기의 토출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1루버(141)를 개방하여 제1토출구(15'-1)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2루버(142)를 개방하여 제2토출구(15'-2)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3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3루버(143)를 개방하여 제3토출구(15'-3)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을 적어도 2개 이상씩 조합하여 가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 가동되는 구동팬(130,130',130")과 대응되는 루버(141,142,143)를 동작시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달되는 거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의 동작여부와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영역에 대해 다양하게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루버(141,142,143)의 상하방향의 각도 조절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각각의 토출구(15'-1,15'-2,15'-3)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절날개를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는 예를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 3명의 사용자가 각각의 토출구(15'-1,15'-2,15'-3)와 대응되는 위치에 앉아 있다고 할 때, 각각의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서 구동팬(130,130',130")의 가동과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를 달리 설정해서 공기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가동과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 및 각도조절은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속도를 달리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조합을 통해서 각각의 토출구(15'-1,15'-2,15'-3)를 통해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33에는 모든 구동팬(130,130',130")을 가동하면서, 3개의 토출구(15'-1,15'-2,15'-3)를 모두 개방하도록 상기 루버(141,142,143)를 동작시켜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것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120)에 형성된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기가 팝업덕트(234)쪽으로 가는 것은 상기 제1댐퍼(206)를 닫아 연결덕트(204)로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는 상기 분지유로(129)로 유동되지 않고 모두 각각 유출구(128)를 통해 제1토출구(15'-1)나 제3토출구(15'-3)로 유동된다.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과 각도 조절은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에 연결된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중심편(145)이 회전되면서 상기 루버(141,142,143)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은 그 내부의 감속부에 의해 속도와 토크가 설정되어 동작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의 동작정도에 의해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동작모드가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동작모드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는, 특정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거나,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전방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면 하우징(1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41,142,143)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토출구(15'-1,15'-2,15'-3)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방 상부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기가 전달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의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보내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멀리 보낼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고 또한 회전되면서 원하는 위치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멀리 그리고 넓은 영역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즉, 공기관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인접한 다른 공간으로까지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가 거실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인접한 주방으로 까지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의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통해 공기가 팝업덕트(234)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댐퍼(206)가 상기 분지유로(219)를 개방하여 상기 분지유로(219)와 연결덕트(204)가 서로 연통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된다. 즉, 양측의 팝업덕트(234)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지만, 어느 하나의 팝업덕트(234)를 통해서만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다. 도 34에는 제1구동팬(130)과 관련된 구성만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도 35에는 양측의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35에서는 제2토출구(15'-2)의 제2루버(142)가 동작되어 이를 통해서도 제2구동팬(130')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2루버(142)도 제1루버(141)나 제3루버(143)와 같이 폐쇄되고, 양측의 팝업덕트(23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작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 좌측의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구동팬(130)이 가동되고,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되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제1구동팬(130)에 의해 상기 분지유로(219)로 유동된다. 상기 분지유로(219)로 유동된 공기는 개방된 제1댐퍼(206)를 지나서 상기 연결덕트(204)의 연결유로(205)로 간다. 상기 연결유로(205)는 수직덕트(208)의 수직유로(210)와 연통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20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수직유로(210)로 유동된다.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는 사용시에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팝업덕트(234)의 돌출은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상기 승강박스(214)에 설치된 승강모터(230)의 승강구동기어(232)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모터(2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승강구동기어(23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승강박스(214)가 동작한다.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팝업덕트(234)를 상승시켜서 도 34에서와 같이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다.
도 35에는 팝업덕트(234)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고,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팝업덕트(234)를 상승시켜 돌출시키고, 상승 후에 회전을 수행하여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구성들은 도 15와 도 1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박스(214)에 설치된 회전모터(226)를 구동시킨다. 상기 회전모터(226)가 구동하면 상기 회전구동기어(228)가 회전하면서 상기 팝업덕트(234)의 회전지지부(238)에 형성된 종동기어부(240)와 연동하여 팝업덕트(234)가 회전한다. 상기 팝업덕트(234)가 돌출된 상태로 회전함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위치로 쉽게 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팝업토출구(242)는 상기 팝업덕트(234)의 외면을 정면에서 봤을 대 절반 이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 팝업덕트(234)의 팝업토출구(242)가 향하는 방향으로 팝업유로(236)로 전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하우징(10)이 주거공간 벽면에 배면이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팝업덕트(234)는 180도 정도의 회전영역에 걸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전방에 있을 경우 사용자 방향으로 팝업토출구(242)가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별도의 공간으로 공기를 보내는 경우는 해당 공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팝업토출구(242)가 해당 공간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는 특정한 방향으로 상기 팝업토출구(242)가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만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팝업덕트(234)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공기를 토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팝업덕트(234)의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소정 각도 범위를 계속하여 왕복하면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유로(236)내에는 상기 팝업토출구(2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날개(244)가 있으므로, 상기 팝업토출구(2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팝업구동팬(224)이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팝업구동팬(224)은 팝업덕트(23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멀리 보내기 위해 상기 연통유로(218) 내에서 공기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1구동팬(130)이나 제3구동팬(130")의 구동에 의해서만 공기를 유동시켜 토출할 수 있고, 보다 멀리 공기를 보낼 때에는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동작시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면서 양측의 팝업덕트(234)를 사용하여 공기를 토출하게 되면 보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 있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에 대해서 동시에 서로 다른 조건으로 공기관리를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기 하우징(10)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하우징(10)의 전면 중앙 상단에 있는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와 이들 추가토출부(200)가 협력하여 나란히 앉아 있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에게 각각 독립적인 조건으로 공기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의 정화작용이 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구(11')로 전달된 공기는 바로 제1필터(320)를 통과한다. 이는 상기 흡입구(11')에는 별도로 차폐를 위한 구성이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흡입구(11')는 거실 바닥과 마주보고 있어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없는 등, 특별히 차폐를 위한 구성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상기 필터프레임(301)에는 제1필터(320), 제2필터(330), 제3필터(340)가 차례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상기 제1필터(320), 제2필터(330),제3필터(34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먼지, 미세먼지, 이취가 제거된다.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102)로 들어간다.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어 거실 공간 내의 공기가 반복하여 상기 공기관리장치로 흡입되고 토출되는 것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유니트(300)의 제1필터(320), 제2필터(330) 및 제3필터(340)에는 먼지와 이취성분이 모인다. 필터유니트(300)의 성능이 일정 이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기 클리너(370)가 동작된다.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흡입구(11')을 벗어난 영역인 상기 바닥판(11)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가, 동작신호를 받으면 상기 클리너레일(38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구(11') 영역을 통과한다.
상기 클리너(370)가 상기 흡입구(11') 영역을 통과하면서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된다. 즉 필터(320)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은 클리너(37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필터(320)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특히 제1필터(320)의 성능이 개선된다.
한편, 상기 클리너(37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므로 중력에 의해 거실 바닥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고, 상기 클리너레일(380)의 중간 부분은 중력에 의해 처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클리너레일(380)의 중간 부분에 갔을 때 상기 필터(32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클리너(370)의 클리너흡입구(373)는 탄성쇄모(375)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서, 필터(320) 표면과 클리너(37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클리너흡입구(373)에서의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탄성쇄모(375)가 상기 클리너흡입구(373) 주위를 둘러싸면서 필터(320)의 표면에 선단이 밀착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필터(320) 표면과 클리너(37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탄성쇄모(375)가 탄성변형된 정도만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클리너레일(380)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필터(320)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고, 필터(320)에 대한 청소 상태가 끝나면 상기 흡입구(11')를 벗어난 위치인 상기 바닥판(11)의 하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320,330,340)의 교체를 위해서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을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빼내어야 한다. 상기 손잡이(303')를 사용자가 잡고 당기면 상기 필터프레임(301)은 서랍같이 상기 하우징(1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즉, 상기 레일조립체(350)가 동작되면서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빠져나온다. 이는 도 3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빠져나오면,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후단에 있는 지지리브(313)가 출입구 내측에 걸어져 있어서, 필터프레임(301)의 후단이 지지되어 선단이 낙하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레일조립체(350)가 상기 필터프레임(301)과 하우징(10)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어 필터프레임(301)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납케이스(324)를 들어올리면 수납공간(325)에 있는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가 제1필터(320)와 함께 동시에 필터프레임(301)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3개의 통과영역(302)에 있는 필터(320,330,340)들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두 빼내고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거나 새로운 필터(320,330,340)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통과영역(302)에 다시 놓여진다. 즉, 상기 수납케이스(324)의 수납공간(325)에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를 차례로 적층하고 이를 각각 통과영역(302)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1)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가습만 독립적으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모든 난방운전모드에 대해서 가습을 추가적으로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204), 수직덕트(208) 및 팝업덕트(234)를 통해 유동되어 토출되므로, 가습동작에서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먼저, 가습만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팬부(403)를 동작시켜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를 통해 상기 공기유로(102)에 있는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팬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보내진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서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을 가열하여 만들어진 스팀과 공기가 섞이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습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나 제2배출덕트(411)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배출덕트(409,411)만을 개방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 있는 팝업덕트(234)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개방하여 상기 연결덕트(204)의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는 것이 좋다.
도 37에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고 상기 제1구동팬(130)을 동작시키지 않아 연결유로(205)로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습운전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에서 나온 가습된 공기가 상기 연결유로(205), 수직유로(210)를 지나 팝업유로(236)로 전달되어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팝업덕트(234)는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어서, 가습된 공기를 보다 멀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구동시켜 가습된 공기를 가압하여 보다 멀리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든 난방운전모드에 대해서 가습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 상기 추가토출부(20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토출되면서, 동시에 가습된 공기가 연결유로(205), 수직유로(210), 팝업유로(236)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가습운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유입팬부(403)의 팬이 동작된다. 상기 유입팬부(403)의 팬이 동작되면 상기 공기유로(102)에서 일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유동된다.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전달된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이 공급되어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스팀은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전달된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409)와 제2배출덕트(411)로 전달된다.
상기 제1배출덕트(409)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204)의 연결유로(205)를 따라 상기 수직유로(210)를 지나고, 연통유로(218)를 통과해서 상기 팝업유로(236)와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제2배출덕트(411)로 전달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로 전달되고,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를 지나 상기 하우징(10)의 우측에 있는 수직덕트(208)이 수직유로(210)로 전달되어 팝업덕트(234)를 통과하여 토출된다.
한편, 가습을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다. 가습을 위한 물은 물통(419)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물통(419)은 상기 물통(419)은 상기 프레임공간(203)에 있는 물통안착대(415)에 안착된다. 상기 근접센서(470)에 사용자가 접촉하면, 근접센서(470)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제1이동도어(16)를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물통안착대(415)의 틸팅테이블(449)를 하우징(10)의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틸팅테이블(449)이 경사지게 되면 사용자는 물통(419)을 프레임공간(203)에서 빼내거나 프레임공간(203)으로 넣는 것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통(419)을 넣거나 빼고 나면 상기 근접센서(470)에 다시 접촉하여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상기 프레임공간(203)을 닫게 한다.
여기서,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3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되고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평상태로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에 대해 회전중심축(44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은 상기 틸팅구동원(461)이 제공한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이 동작하면 틸팅구동원(461)의 구동력에 의해 틸팅감속기(463)가 동작되어 틸팅감속기(463)에 있는 기어열이 동작된다. 틸팅감속기(463)의 출력기어(467)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랙기어(453)와 맞물려 회전되어 상기 랙기어(453)가 형성된 틸팅랙기어부(451)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가이드레일(425)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425)이 상기 틸팅랙기어부(451)의 연동채널(455)에 위치되고 상기 출력기어(467)에 의해 상기 틸팅랙기어부(451)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면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회전중심축(447)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틸팅테이블(449)이 상기 회전중심축(447)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의해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수평상태과 경사상태 사이에 선택적으로 있게 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에는 상기 물통(419)이 위치되는데,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경사진 상태에 있고,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수평상태로 되면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닫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 상에 안착된 물통(419)에서는 상기 밸브개방구(443)에 의해 물통(419)에 있는 밸브가 개방되면서 물이 상기 저수공간(431)으로 전달된다. 상기 저수공간(431)에 있는 물은 상기 가습펌프(417)에 의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전달되어 가열되어 기화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작동유체와 공기가 열교환할 때, 상기 공기에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열교환기(104)의 표면에 맺힐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4)에 맺힌 응축수는 그 직경이 커지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04)의 표면을 타고 흘러 내려서 상기 드레인팬(108)에 모인다.
상기 드레인팬(108)에 모인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연결호스(504)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호스(504)를 통해 상기 배수펌프(502)로 응축수가 전달되면, 상기 배수펌프(502)가 동작하여 응축수를 가압한다. 가압된 응축수는 상기 배출호스(506) 내부를 따라 상승된다. 상기 배출호스(506)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응축수는 일단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고높이(H)까지만 상기 배수펌프(502)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고높이(H)까지 응축수가 전달되고 나면, 그 이후로는 중력작용에 의해 응축수의 유동이 일어나도록 하여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호스(504)가 드레인팬(108)과 연결된 단부보다 상기 배수펌프(502)에 연결된 단부가 더 낮으므로, 중력에 의해 응축수가 상기 연결호스(504)를 따라 유동되어 배수펌프(502)로 가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가 발생하면 드레인팬(108)에서 연결호스(504)로 무조건 이동되어 연결호스(504)로부터 먼저 채워지고 나중에 드레인팬(108)에 채워진다.
이와 같이 응축수가 드레인팬(108)보다는 연결호스(504)에 먼저 채워지고, 다음으로 드레인팬(108)에 일정 이상 응축수가 모인 후에 상기 배수펌프(502)가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배수펌프(502)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드레인팬(108)에 응축수가 어느 정도 모였을 때, 상기 배수펌프(502)를 동작시킬 것인가는 상기 드레인팬(108)에 감지수단을 둠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08)에 응축수가 오래 있게 되면 세균번식 등 위생상의 문제가 있으므로, 응축수가 드레인팬(108) 상에 있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상기 배수펌프(502)로의 공기흡입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호스(504)의 하단부(505")에 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배수펌프(502)의 동작이 멈추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연결호스(504)의 내부에는 도 41에 화살표 A로 표시된 위치까지는 응축수가 남아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화살표 A로 표시된 위치는 연결호스(504) 내부에서 응축수의 최소 수위이다. 상기 연결호스(504)에서 최고 수위는 상기 연결부(505') 상단위치가 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기에서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7)가 공기관리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의 조작을 통해 공기관리장치의 동작을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에서 공기토출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 [S1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관리장치의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팬모터는 구동팬(130,130',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은 각각의 팬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S103 : 팬모터 구동단계]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되는 것이다. [S105 : 구동팬 동작 단계]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107 : 공기 흡입 단계]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공간(20)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열교환기(206)를 구동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1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 형성된 공기유로(102)를 유동한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상기 열교환기(104)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104)는 상기 공기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이다. [S109 : 열교환 단계]
상기 과정들을 거치는 동안 상기 구동팬(130,130',130")은 계속 동작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로 전달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판(15)에는 제1,2,3토출구(15'-1,15'-2,15'-3)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동공간(20)과 거실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S111 : 토출구로 공기 공급 단계]
도면에는 일례로 3개의 토출구(15'-1,15'-2,15'-3)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개수는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설치된 각각의 루버(141,142,143)를 개방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130,130',130")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1,2,3토출구(15'-1,15'-2,15'-3)에 각각 상기 루버(141,142,143)들이 설치된다. 이들 상기 루버(141,142,143)는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141',142',143')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한다.
상기 루버(141,142,143)는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상기 루버(141,142,143)가 개방되어야 상기 토출구(15'-1,15'-2,15'-3)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S113 : 루버 개방 단계]
한편, 상기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분지유로(129)를 통해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각각 상기 팬가이드(120)의 양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쪽으로 연결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에는 배치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팝업덕트(234)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상기 루버(141,142,143)를 개방하면서 제1댐퍼(206)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댐퍼(206)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왜냐햐면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는 경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전방의 상기 토출구(15'-1,15'-2,15'-3)로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S115 : 제1댐퍼 폐쇄 단계]
이와 같이 상기 루버(141,142,143)는 개방되고 상기 제1댐퍼(206)는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S117 : 공기 토출 단계]
이러한 제어과정을 통해 공기관리장치는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루버(141,142,143)는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2 및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에서 추가토출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기관리장치에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S2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팬(130,130',130")를 동작시키기 위해 각각의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팬(130,130',130")는 상기 각각의 팬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S203 : 팬모터 구동단계]
이와 같이 상기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팬모터(132)에 연결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한다. 즉,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는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팬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하는 것이다. [S205 : 구동팬 동작 단계]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207 : 공기 흡입 단계]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공간(20)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열교환기(206)를 제어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S209 : 열교환 단계]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상기 토출구(15'-1,15'-2,15'-3)가 아니라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설치된 상기 루버(141,142,143)를 폐쇄한다. 이는 상기 루버(141,142,143)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211 : 루버 폐쇄 단계]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루버(141,142,143)를 폐쇄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하도록 한다. [S213 : 제1댐퍼 개방 단계]
이와 같이 상기 루버(141,142,143)가 폐쇄되고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됨으로써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다. [S215 : 분지유로 공기 공급 단계]
이어, 상기 분기유(129)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된다. [S217 : 추가토출부 공기 공급 단계]
이와 같이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S219 : 공기 토출 단계]
도 42 및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추가토출부의 동작을 위한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승강 및 회전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에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S3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승강모터(230)를 구동한다. [S303 : 승강모터 구동 단계]
상기 승강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S305 : 추가토출부 상승단계]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압하는 팝업구동팬(224)을 구동시킨다. 상기 팝업구동팬(224)은 상기 연통유로(218)에서 공기를 가압하여 보다 멀리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분지유로(219)로 전달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공기를 더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한다. [S307 : 팝업구동팬 구동 단계]
상기 판업구동팬(224)의 구동에 의해 상기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되어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된다. [S309 : 공기 토출 단계]
한편,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일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기관리장치에서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S31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추가토출부(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226)를 구동할 수 있다. [S313 : 회전모터 구동 단계]
이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2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회전하면서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S315 : 추가토출부 회전 단계]
도 4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2 및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상기 입력부(17)가 상기 공기관리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의 조작을 통해 상기 공기관리장치의 동작을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에서 가습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 [S4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가습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승되도록 하기 위해 승강모터(230)를 구동한다.
상세히,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모터수납부(222)에는 상기 승강모터(23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터(230)의 출력축에는 승강구동기어(232)가 설치되어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린다. 상기 승강구동기어(232)는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려서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승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박스(214)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팝업덕트(234)가 함께 승강된다. [S403 : 추가토출부 상승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도록 각각의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상기 각각의 팬모터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팬모터에 연결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한다. 즉,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상기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상기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팬모터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하는 것이다. [S405 : 구동팬 동작 단계]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407 : 공기 흡입 단계]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지유로(129)의 입구에 설치된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제1댐퍼(206)가 개방됨으로써 내부의 공기는 분지유로(129)로 공급된다. [S409: 분지유로 공기 공급 단계]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보내진다. 상기 가습펌프(417)은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물통(419)에서 물을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공급하고, 상기 스팀생성기(407)에서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상기 스팀은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전달된 공기와 섞이게 된다. [S411 : 가습공기 생성 단계]
상기 물통(419)은 상기 물통안착대(415)에 안착된다. 상기 물통안착대(415)는 상기 물통(419)을 틸팅시킬 수 있다. 근접센서(470)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물통안착대(415)를 팅팅시켜 상기 프레임공간(203) 내에서 상기 물통(419)의 상단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는 상기 물통(419)을 상기 프레임공간(203)에 입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나 상기 제2배출덕트(411)를 통해 상기 팝업덕트(234)로 전달될 수 있다. [S413 : 가습공기 추가토출부로 전달단계]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에 형성된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팝업덕트(234)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상기 배출덕트(409,411)만을 개방한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 있는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개방하여 상기 연결덕트(204)의 상기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15 : 가습공기 토출 단계]
이후에, 선택적으로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제어가 시작된다. [S417 : 사용자 조작입력]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해 회전모터(226)를 동작시켜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회전되도록 한다. [S419 : 추가토출부 회전 단계]
이로써,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승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가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2 및 도 4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 공기관리장치에서 공기온도설정 및 가습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공기관리장치의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공기관리장치에서 공기온도설정 및 가습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의 가습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 [S5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온도설정 및 가습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구동팬(130,130',130")을 동작시키기 위해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은 실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팬모터는 복수의 구동팬(130,130',130")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의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각의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각 팬모터(132)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한다. 즉,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상기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하는 것이다. [S503 : 구동팬 동작 단계]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505 : 공기흡입 단계]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공간(20)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구동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1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로(102)를 유동한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상기 열교환기(104)가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열교환기(104)는 상기 공기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이다. [S507 : 열교환 단계]
상기 과정들을 거치는 동안 상기 구동팬(130,130',130")은 계속 동작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로 전달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판(15)에는 제1,2,3토출구(15'-1,15'-2,15'-3)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동공간(20)과 거실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S509 : 토출구로 공기 공급 단계]
도면에는 일례로 3개의 토출구(15'-1,15'-2,15'-3)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설치된 각각의 루버(141,142,143)를 개방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130,130',130")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1,2,3토출구(15'-1,15'-2,15'-3)에 상기 각각 루버(141,142,143)들이 설치된다. 상기 루버(141,142,143)는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141',142',143')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한다.
상기 루버(141,142,143)는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상기 루버(141,142,143)가 개방되어야 상기 토출구(15'-1,15'-2,15'-3)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S511 : 루버 개방 단계]
한편, 상기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상기 제1팬공간(124)과 상기 제3팬공간(124')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각각 상기 팬가이드(120)의 양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쪽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되어야 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에는 배치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팝업덕트(234)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면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상기 루버(141,142,143)와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왜냐햐면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면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로는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다. [S513: 분지유로 공기 공급 단계]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보내진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서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상기 스팀은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전달된 공기와 섞이게 된다. [S515 : 가습공기 생성 단계]
한편, 상기 가습된 공기를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승되도록 승강모터(230)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모터수납부(222)에는 상기 승강모터(23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터(230)의 출력축에는 승강구동기어(232)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린다. 상기 승강구동기어(232)는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려서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승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박스(214)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팝업덕트(234)가 함께 승강된다. [S517 : 추가토출부 상승 단계]
이렇게 하여 상기 생성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나 제2배출덕트(411)를 통해 팝업덕트(234)로 전달될 수 있다. [S519 : 가습공기 추가토출부로 전달단계]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에 형성된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팝업덕트(234)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배출덕트(409,411)만을 개방한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 있는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개방하여 상기 연결덕트(204)의 상기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21 : 가습공기 토출 단계]
이후에, 선택적으로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제어가 시작된다. [S523 : 사용자 조작입력]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해 회전모터(226)를 동작시켜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가습할 수 있도록 한다. [S525 : 추가토출부 회전 단계]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실시례에서는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승된 후 회전하면서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토출구(15'-1,15'-2,15'-3)가 3개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토출구가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루버를 개방해서 공기를 보냄과 동시에 추가토출부(200)로도 공기를 보내서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즉,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하고 동시에 루버도 개방해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댐퍼(206)를 닫고 2개의 토출구를 독립적으로 제어해서 하우징(10) 전방의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가 4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양단부에 있는 토출구와 대응되는 구동팬의 동작에 의해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보낼 수 있고 루버의 개방에 의해 하우징 전방으로도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나머지 토출구는 도시된 실시례의 제2토출구(15'-2)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분지유로(129)가 연결덕트(204)를 통해 수직덕트(208)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분지유로(129)와 상기 수직덕트(208)가 제1댐퍼(206)를 사이에 두고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에서 상기 수직덕트(208)의 위치가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하우징(10)의 단부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덕트(204)가 필요하지만, 상기 수직덕트(208)의 위치가 공기유동공간(20)에 인접해 있다면 상기 연결덕트(204)가 없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204)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는 수직덕트(20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이동판(16)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이동판(16)을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고 상기 물통안착대(415)의 틸팅테이블(449)이 상기 근접센서(470) 또는 별도의 버튼에 의해 틸팅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덕트(214)의 승강을 위해 승강구동원(224)이 팝업덕트(214)에 설치되고 승강랙기어부(212)가 수직유로(210) 내에 형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승강구동원(224)이 수직유로(210) 최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랙기어부(212)가 팝업덕트(214)의 배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필터(320,330,340)가 3개가 사용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프레임(301)에 통과영역(302)이 3개 형성되고 있으나, 이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필터프레임(301)이 서랍식으로 하우징(10)에서 입출되는 것을 돕기 위해 레일조립체(350)가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레일조립체(350)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레일조립체(350)없이 서랍식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입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탄성쇄모(375)를 사용하여 클리너흡입구(373)에서의 흡입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쇄모(375) 대신에 탄성이 있는 시일 등과 같은 다양한 누설차단부재를 두어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0: 하우징 11: 바닥판
11': 흡입구 12: 측판
13: 배면판 13': 호스통공
13": 배관통공 14: 상판
15: 전면판 15'-1: 제1토출구
15'-2: 제2토출구 15'-3: 제3토출구
16: 제1이동 16': 제2이동판
18: 레그 19: 제1구획벽
19': 제2구획벽 20: 공기유동공간
22: 제1공간 24: 제2공간
100: 열교환장치 102: 공기유로
104: 열교환기 108: 드레인팬
110: 입구가이드 110': 안내경사면
112: 상부가이드 120: 팬가이드
122: 팬가이드몸체 124: 제1팬공간
124': 제2팬공간 124": 제3팬공간
126: 유입부 128: 유출구
129: 분지유로 130: 제1구동팬
130': 제2구동팬 130": 제3구동팬
132: 팬모터 141: 제1루버
142: 제2루버 143: 제3루버
200: 추가토출부 202: 제1공간프레임
203: 프레임공간 204: 연결덕트
205: 연결유로 206: 제1댐퍼
208: 수직덕트 210: 수직유로
212: 승강랙기어부 214: 승강박스
216: 회전지지링 218: 연통유로
219: 팬설치부 220: 회전모터수납부
221: 만입부 224: 팝업구동팬
226: 회전모터 228: 회전구동기어
230: 승강모터 232: 승강구동기어
234: 팝업덕트 236: 팝업유로
238: 회전지지부 240: 종동기어부
242: 팝업토출구 244: 조절날개
300: 필터유니트 301: 필터프레임
303: 전면벽 303': 손잡이
305: 측면벽 307: 배면벽
309: 필터구획벽 311: 안착단
313: 지지리브 320: 제1필터
322: 필터링부 324: 수납케이스
325: 수납공간 330: 제2필터
340: 제3필터 350: 레일조립체
352: 프레임고정부 354: 이동가이드레일
356: 하우징고정부 358: 고정가이드레일
360: 연결레일 362: 볼지지편
364: 볼 370: 클리너
371: 클리너몸체 372: 바닥부
373: 클리너흡입구 375: 탄성쇄모
377: 공기배출구 380: 클리너레일
401: 공기유입덕트 403: 유입팬부
405: 공기전달덕트 407: 스팀생성기
409: 제1배출덕트 411: 제2배출덕트
413: 가습연결덕트 415: 물통안착대
417: 가습펌프 419: 물통
421: 베이스프레임 423: 가이드컬럼
425: 가이드레일 427: 가이드슬롯
429: 저수부 431: 저수공간
433: 저수부상판 435: 회전중심공
437: 안착벽 439: 틸팅스토퍼
441: 저수부입구 443: 밸브개방구
445: 회전중심부재 447: 회전중심축
449: 틸팅테이블 451: 틸팅랙기어부
453: 랙기어 455: 연동채널
457: 저수부커버 459: 물공급공
470: 근접센서 500: 기계실
501: 상구획판 501': 하구획판
502: 배수펌프 504: 연결호스
505: 상단부 505': 연결부
505": 하단부 506: 배출호스
510: 공급호스 600 : 제어부

Claims (18)

  1. 주거공간 바닥에 안착되고 하우징의 전면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토출구와,
    상기 각각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하고 각도가 조절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루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위해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토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가동되는 구동팬을 포함하는 공기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팬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팬가이드의 팬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팬공간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구는 상기 토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의 전면에는 상기 루버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설치되는 설치홈과 상기 루버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축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구동을 위한 모터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모터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블럭이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기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배면 양단에는 중심공이 형성된 회전중심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중심편중 하나에 루버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중심편중 다른 하나의 중심공에 상기 팬가이드에 설치된 회전중심축이 위치되는 공기관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팬공간이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각각의 팬공간에 구동팬이 위치되는 공기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나란히 제1토출구, 제2토출구 그리고 제3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에서 제3토출구에는 제1에서 제3 루버가 설치되는 공기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와 제3토출구에 대응되는 팬가이드의 팬공간과 연통되게 분지유로가 팬가이드에 형성되어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분지유로와 유출구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안내되게 하는 공기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에는 팬공간이 상기 제1토출구, 제2토출구, 제3토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들 팬공간에는 각각 구동팬이 설치되어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관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팬공간에 설치된 구동팬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1,제2,제3토출구를 개폐하고 공기의 토출각도를 제어하는 제1, 제2, 제3루버도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어 하우징 전방 영역을 제1,제2,제3토출구와 각각 대응되는 영역으로 나누어 공기관리를 수행하는 공기관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양단부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팬가이드의 분지유로를 통해 전달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추가토출부가 더 구비되는 공기관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상부로 돌출되어 동작되는 공기관리장치.
  13. 하우징의 전면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위해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토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가동되는 다수개의 구동팬과,
    상기 구동팬이 설치되는 팬공간이 상기 토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나누어서 토출구로 전달하는 팬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관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하고 각도가 독립적으로 조절되어 공기의 토출각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루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관리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팬공간이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의 양단부에 대응되는 팬공간과 연통되게 분지유로가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팬공간에 설치된 구동팬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루버도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토출방향 및 토출각도를 달리하는 공기관리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양단부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팬가이드의 분지유로를 통해 전달된 공기를 토출하는 추가토출부가 더 구비되는 공기관리장치.
KR1020190163428A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28A KR20210073010A (ko)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CN202010424725.9A CN112944469A (zh) 2019-12-10 2020-05-19 空气管理装置
US17/072,807 US11852360B2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7/072,996 US20210172618A1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7/072,891 US20210172620A1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7/073,040 US20210172619A1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7/072,656 US20210172624A1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7/073,093 US11774113B2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7/072,746 US11566796B2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7/072,953 US11796190B2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7/072,576 US11906176B2 (en) 2019-12-10 2020-10-16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20203243.9A EP3835669A1 (en) 2019-12-10 2020-10-22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28A KR20210073010A (ko)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10A true KR20210073010A (ko) 2021-06-18

Family

ID=7301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428A KR20210073010A (ko)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35669A1 (ko)
KR (1) KR20210073010A (ko)
CN (1) CN1129444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0778B (zh) * 2021-11-10 2022-1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壁挂式空调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790A (ko) 2003-09-02 2005-03-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의 공기 배출 구조
KR20090038555A (ko) 2007-10-16 2009-04-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50082967A (ko) 2014-01-08 2015-07-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운동 감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603B2 (ja) * 1995-12-14 1999-06-07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40106051A (ko) * 2003-06-10 200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323263C (zh) * 2005-10-17 2007-06-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101791056B1 (ko) * 2015-07-21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0178B1 (ko) * 2016-01-07 202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6958866B (zh) * 2017-04-17 2019-11-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室内机
CN107166517A (zh) * 2017-04-28 2017-09-1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08332289B (zh) * 2018-01-29 2021-12-2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08413494B (zh) * 2018-03-21 2023-1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设备
CN109489122A (zh) * 2018-12-21 2019-03-19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立式空调柜机及空调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790A (ko) 2003-09-02 2005-03-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의 공기 배출 구조
KR20090038555A (ko) 2007-10-16 2009-04-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50082967A (ko) 2014-01-08 2015-07-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운동 감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5669A1 (en) 2021-06-16
CN112944469A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2360B2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KR20210073010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23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18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105544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14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19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08A (ko) 공기관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73026A (ko) 공기관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73013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20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12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24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7272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25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11A (ko) 공기관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73006A (ko) 공기관리장치
EP3835675A1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6A1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