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442A -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442A
KR20210071442A KR1020190161615A KR20190161615A KR20210071442A KR 20210071442 A KR20210071442 A KR 20210071442A KR 1020190161615 A KR1020190161615 A KR 1020190161615A KR 20190161615 A KR20190161615 A KR 20190161615A KR 20210071442 A KR20210071442 A KR 20210071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llection
waste
collection device
coll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filed Critical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riority to KR102019016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1442A/ko
Publication of KR2021007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1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vehi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2003/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tank of the refus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들로부터 폐기되어 인입되는 폐기물을 수용하고, 상기 폐기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는 폐기물 수집 장치;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을 수거하는 수거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폐기물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는 폐기물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 및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설치 지점별 기존 폐기물 수거 이력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폐기물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가 결정된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시기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WASTE COLLECTION}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은 주로 한 곳에 모아지고 폐기물 수거 차량이 일괄 수거하는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공공 장소, 주택가 등에 설치되는 쓰레기통(bin)은 다양한 폐기물이나 재활용 쓰레기를 적재한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이 차기도 전에 폐기물을 수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쓰레기통 유지 관리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통이 꽉 찼음에도 불구하고 수거 시기가 되지 않아 폐기물이 쓰레기통 밖으로 나와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악취가 발생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쓰레기통의 실시간 관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쓰레기통의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쓰레기통의 폐기물 수거 관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폐기물 수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들로부터 폐기되어 인입되는 폐기물을 수용하고, 상기 폐기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는 폐기물 수집 장치;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에 수거된 폐기물을 수거하는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는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 및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설치 지점별 기존 수거 이력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시간 위치 정보 및 폐기물의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가 결정된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수거 시기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방법에 있어서, 폐기물 수집 장치로부터 폐기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설치 지점별 기존 폐기물 발생 및 수거 이력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하는 과정;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폐기물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위치 정보 및 폐기물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가 결정된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시기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쓰레기통의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쓰레기통의 폐기물 수거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수거가 긴급하게 요구되는 쓰레기통의 폐기물로부터 순차적으로 수거하여 효율적으로 수거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쓰레기통의 폐기물 수거 시기 및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쓰레기통의 폐기물 수거 업무 분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폐기물 수집 장치 관점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 관점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폐기물 수집 장치 관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 관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추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쓰레기통 및 이에 부착된 폐기물 수거 상태 등의 감지 센서를 폐기물 수집 장치로 칭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100)은 폐기물 수집 장치(140), 폐기물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120a), 폐기물 수거 차량 장착 단말(120b), 서버(1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공업 단지 등 곳곳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 각각은 재활용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일반 쓰레기, 의료 폐기물 또는 산업 폐기물을 적재하는 폐기물 수집 장치일 수 있다. 즉, 폐기물의 종류는 무관하다.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 각각은 고체 폐기물 뿐만 아니라 액체 폐기물(예컨대, 정화조, 폐유 등)을 수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사용자가 폐기물을 투입하면 폐기물을 수용한다.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상단에는 폐기물 수거 상태 등의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가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에 설치되는 위치는 어디든 무관하다. 상기 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120a)은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폐기물이 수용된 폐기물 수집 장치(140)를 수거하는 수거 차량 운전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 장착 단말(120b)은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폐기물이 수용된 폐기물 수집 장치(140)를 수거하는 수거 차량에 장착되는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서버(130)는 수거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폐기물 수집 장치(140)를 적시에 원활하게 수거하도록 지시함으로써,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과부하를 미리 방지하고 악취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폐기물 수집 장치 관점의 블록 구성도이다.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제어 모듈(211), 이동 통신 모듈(213), GPS 모듈(215), 및 감지 센서(217) 등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외부 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상기 감지 센서(217)는 매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예, 20분) 현재의 적재용량을 퍼센테이지로 감지하고(퍼센테이지로 감지된 정보를 이하, '적재용량 관련 정보'라 칭함), 서버(130)에 적재용량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감지 센서(217)는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고장 정보 및 화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정보는 적재용량 관련 정보, 및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고장 정보 및 화재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17)가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에 설치되는 위치는 어디든 무관하다. 상기 감지 센서(217)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213)은 상기 감지 센서(217)에서 감지한 결과(감지 정보)를 서버(230)로 전송한다.
상기 GPS 모듈(215)은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현재 위치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 통신 모듈(213)을 통해 서버(130)로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 관점의 블록 구성도이다.
서버(130)는 제어 모듈(331), 인터넷 통신 모듈(333),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 및 폐기물 수거 차량 결정부(33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13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모듈(331)은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또는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감지기(140)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수거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우선은, 상기 제어 모듈(331)은 화재에 의한 센서의 고온 감지 시 소방서에 자동 연결하여 화재를 진화 한 후, 남은 폐기물 및 이의 수집 장치의 수거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통신 모듈(333)은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결과(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로 전송한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은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로부터 수신된 감지 결과(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로 출력한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은 빅데이터 분석 시, 예컨대, 지역별, 요일별, 계절별, 날씨별, 시간별로 폐기물의 적재량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은 폐기물의 축적 속도 또는 예측 증가량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별로 여름에 폐기물이 더 많이 축적된다든가 요일별로 볼 때는 지역마다 특정 요일에 폐기물이 더 많이 축적되는지 등의 빅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여름에는 폐기물의 부패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활 쓰레기의 부하량이 50%가 안되어도 수거가 필요하다는 등의 다양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시골의 경우에는 부하량의 증가 속도 즉, 축적 속도가 늦은데 여름이라면 다 차지 않더라도 수거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여름에는 부패를 고려해서 수거를 위한 기간 제한을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은 상기 인터넷 통신 모듈(333)에서 수신된 각종 정보 또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에서 분석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폐기물 수거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폐기물 수거 차량 결정부(339)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는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설치 지점별 기존 수거 이력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른 예측 증가량을 산출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수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는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기존의 수거 이력을 통해 설치 지점의 지역별, 요일별, 계절별, 날씨별, 시간별 폐기물 발생 및 수거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축적 속도 및 예측 증가량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폐기물 수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에서 분석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폐기물 수거 시기 및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추가 및 철거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즉시 수거, 10시간 후 및 48시간 후 수거 등 수거 시점을 확정 할 수 있으며, 이때 수거에 필요한 폐기물 수거 차량의 운영 예약 및 폐기물 수거 동선 등을 폐기물 수거 관리 운영 프로그램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는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폐기물의 기존 발생 감지 인력 및 수거 이력을 통해 설치 지점의 지역별, 요일별, 계절별, 날씨별, 시간별 수거 이력 데이터 및 감지 정보 모두를 고려하여 수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335)에서 분석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폐기물 수거에 대한 우선 순위 또는 수거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에서 수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 결정부(339)는 상기 인터넷 통신 모듈(333)이 폐기물 수집 장치(140)로부터 새로운 감지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있는다.
그러나 상기 폐기물 수거 결정부(337)에서 수거가 필요한 경우,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 결정부(339)는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폐기물을 수거할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 수거 차량의 폐기물 추가 수거 가능 정보, 및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폐기물 수거 차량을 지정(또는 선택)한다.
이후,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 결정부(339)는 선택된 폐기물 수거 차량의 해당 폐기물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120a) 또는 폐기물 수거 차량 장착 단말(120b)로 수거 지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상기 수거 지시 메시지에는 해당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폐기물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120a) 또는 폐기물 수거 차량 장착 단말(120b)에서는 위치 정보를 곧바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해당 위치 정보의 길 안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폐기물 수집 장치 관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401 단계에서 폐기물이 투입되면, 폐기물 상태 감지 센서에 의해 폐기물의 상태 및 장치 정보를 감지한다. 즉,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폐기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실시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정보는 적재용량 관련 정보, 및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센서 부분(140)의 고장 정보 및 화재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403 단계에서 감지된 센서의 감지 정보를 서버(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140)는 405 단계에서 상기 서버(130)로부터 폐기물 수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405 단계의 동작은 생략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 관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서버(130)는 501 단계에서 폐기물 수집 장치(140)로부터 폐기물 및 센서 부분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130)는 503 단계에서 상기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상기 서버(130)는 빅데이터를 분석 결과, 적재량 통계 데이터를 통해 미래에 발생할 폐기물 배출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30)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복수 개의 폐기물 수집 장치 (140) 중 폐기물 수거에 대한 우선 순위 또는 최적의 수거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130)는 505 단계에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폐기물의 수거 여부를 결정한다.
수거가 필요가 없는 경우, 서버(130)는 511 단계에서 폐기물 수집 장치(140)로부터 새로운 감지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있는다.
그러나 수거가 필요한 경우, 서버(130)는 507 단계에서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폐기물을 수거할 폐기물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 수거 차량의 추가 수거 가능 정보, 및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수거 차량을 지정(또는 선택)한다.
이후, 서버(130)는 509 단계에서 선택된 폐기물 수거 차량의 해당 폐기물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 또는 폐기물 수거 차량 장착 단말로 수거 지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상기 폐기물 수거 지시 메시지에는 해당 폐기물 수집 장치(14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폐기물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120a) 또는 폐기물 수거 차량 장착 단말(120b)에서는 위치 정보를 곧바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해당 위치 정보의 길 안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들로부터 폐기되어 인입되는 폐기물을 수용하고, 상기 폐기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는 폐기물 수집 장치;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을 수거하는 폐기물 수거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는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 및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설치 지점별 기존 폐기물 수거 이력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내 폐기물의 수거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위치 정보 및 폐기물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가 결정된 폐기물 수집 장치내 폐기물의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시기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폐기물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예측 증가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폐기물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다수 개의 폐기물 수집 장치별 폐기물 수거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관리 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폐기물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수거가 결정된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정보는,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센서 고장 정보 및 수집 장치내 화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6. 폐기물 수집 장치로부터 폐기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설치 지점별 기존 폐기물 수거 이력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하는 과정;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수거 차량의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위치 정보 및 폐기물 추가 수거 가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가 결정된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시기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는 과정은,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수거가 결정된 폐기물 수집 장치의 폐기물 수거 차량을 자동 지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정보는,
    상기 폐기물 수집 장치의 센서 고장 정보 및 수집 장치내 화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방법.
KR1020190161615A 2019-12-06 2019-12-06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1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15A KR20210071442A (ko) 2019-12-06 2019-12-06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15A KR20210071442A (ko) 2019-12-06 2019-12-06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442A true KR20210071442A (ko) 2021-06-16

Family

ID=7660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615A KR20210071442A (ko) 2019-12-06 2019-12-06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14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194B1 (ko) * 2021-10-15 2022-02-24 주식회사 프레시넷 빅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수거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98111A (ko) * 2021-06-28 2023-07-03 (주)디에이치글로벌로지스 폐기물 수거 운송차 배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8111A (ko) * 2021-06-28 2023-07-03 (주)디에이치글로벌로지스 폐기물 수거 운송차 배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65194B1 (ko) * 2021-10-15 2022-02-24 주식회사 프레시넷 빅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수거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4552B (zh) 智慧城市垃圾管理系统
Murugaanandam et al. Efficient IOT based smart bin for clean environment
US108106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density of data surrounding an event
KR102268240B1 (ko) 자동화 폐기물 수거함의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05911219A (zh) 一种污染气体监测预警系统及方法
KR101931552B1 (ko) 도시통합운영센터에서의 IoT 기반 스마트 쓰레기 수거 최적화 경로 제공방법
US20160179065A1 (en) Smart facility management platform
KR20210071442A (ko) 폐기물 수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7684A (ko) 폐기물 수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030920A (ja) ごみ収集システム
EP2813979A1 (en) Electric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20030072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leaks of liquids or gases
KR20070080965A (ko)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시스템
WO2019130302A1 (en) Autonomous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garbage bins and method of operation
CN115549292A (zh) 电网运行监测系统及其方法
KR20180003516A (ko) 전력 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통신 기기 및 서버,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CN110708389B (zh) 智慧环卫云平台及其数据处理方法
CN108918781A (zh) 一种硫化氢气体在线监测系统
JP4358121B2 (ja) 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管理サーバ
KR20200022117A (ko)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환경 유해요인 예·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934676B2 (en)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CN109740191A (zh) 风传感器剩余使用寿命的预测方法、装置及设备
Meissen et al. WIND-A 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and its extensions towards mobile services.
KR101058001B1 (ko)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2214173B1 (ko) 통합 기상 정보 수집 및 표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