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352A - 온라인 망에 의하여 법무법인의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망에 의하여 법무법인의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352A
KR20210071352A KR1020190161444A KR20190161444A KR20210071352A KR 20210071352 A KR20210071352 A KR 20210071352A KR 1020190161444 A KR1020190161444 A KR 1020190161444A KR 20190161444 A KR20190161444 A KR 20190161444A KR 20210071352 A KR20210071352 A KR 2021007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user
content
proof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537B1 (ko
Inventor
이복례
Original Assignee
이복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례 filed Critical 이복례
Priority to KR102019016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6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32Post and tele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 단말부의 내용증명 어플을 통해 쉽게 법무법인으로 작성된 문서를 검토받고, 대상자에게 전송하여 대상 단말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대상자가 대상 단말부를 통해 내용증명 문서를 확인했는지 여부를 사용자와 법무법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수신을 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증명 문서를 어플을 통해 전송하므로 서류를 발송하는 복잡한 과정이 감소되어 쉽게 내용증명 문서를 보낼 수 있는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 단말부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증명 어플을 실행하여 대분류 및 중분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분류에 세부 분류 및 해당 내용증명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양식에 어플에서 사용 단말부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 및 세부분류에 따른 선택내용을 자동으로 기입하여 양식에 입력 및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 및 선택내용이 기입된 양식에 사용자가 상세 내용을 기재하여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법무 법인의 법무서버로 전송하여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법무 서버에서 내용증명 문서를 DB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대상자의 대상 단말부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양식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자가 수신하여 확인한 것을 대상 단말부에서 법무 서버와 사용 단말부로 전송하여 수신 확인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Method for delivering certification of contents using the delivering certification delivery application}
본 발명은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 단말부의 내용증명 어플을 통해 쉽게 법무법인으로 작성된 문서를 검토받고, 대상자에게 전송하여 대상 단말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대상자가 대상 단말부를 통해 내용증명 문서를 확인했는지 여부를 사용자와 법무법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수신을 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증명 문서를 어플을 통해 전송하므로 서류를 발송하는 복잡한 과정이 감소되어 쉽게 내용증명 문서를 보낼 수 있는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증명 서류는 발신인이 법무법인을 통해 해당 문제에 대한 내용증명 서류를 작성하여 공증을 받고 보내거나, 발신인이 직접 문서로서 작성하여 우체국을 통해 보내 수신인이 수신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수신인이 우체국 등기로 송달되는 내용증명 서류를 받지 못하는 경우 복잡한 과정을 통해 다시 전달해야 하며, 대리 수령이 가능하므로, 수신인 본인이 수신 확인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신인이 내용증명 문서를 작성할 때 수정사항이나 작성을 잘하지 못하는 항목이 나타나는 경우 도움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수정 등을 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 위하여 시간을 별도로 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전자문서 자동 전달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문서를 작성하여 전달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문서를 전달할 홈페이지, 모바일 앱 또는 서버 중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문서를 문서생성명령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미지 문서화하는 단계와; 이미지 문서화 전자문서를 선택된 홈페이지, 모바일 앱 또는 서버 중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자동 전송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홈페이지, 상기 모바일 앱 또는 상기 서버 중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입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동일한 분야가 아닌 유사 분야라고는 하나 내용증명 전달을 위해 법무법인에서 검토해 주는 구성이 없으며, 내용증명 문서의 기입 내용이 자동으로 기입되어 쉽게 작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증명을 법무법인에서 저장하여 증명 자료로서 사용하는 구성이 없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3230호(2015.05.20.)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 단말부의 내용증명 어플을 통해 쉽게 법무법인으로 작성된 문서를 검토받고, 대상자에게 전송하여 대상 단말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대상자가 대상 단말부를 통해 내용증명 문서를 확인했는지 여부를 사용자와 법무법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수신을 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증명 문서를 어플을 통해 전송하므로 서류를 발송하는 복잡한 과정이 감소되어 쉽게 내용증명 문서를 보낼 수 있는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 단말부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증명 어플을 실행하여 대분류 및 중분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분류에 세부 분류 및 해당 내용증명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양식에 어플에서 사용 단말부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 및 세부분류에 따른 선택내용을 자동으로 기입하여 양식에 입력 및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 및 선택내용이 기입된 양식에 사용자가 상세 내용을 기재하여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법무 법인의 법무서버로 전송하여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법무 서버에서 내용증명 문서를 DB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대상자의 대상 단말부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양식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자가 수신하여 확인한 것을 대상 단말부에서 법무 서버와 사용 단말부로 전송하여 수신 확인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 단말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법무 서버에서는 내용증명 문서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하고, 수정사항을 사용 단말부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문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법무 서버에서는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 단말부에 문자메세지 또는 내용증명 어플로 전송하여 대상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 단말부의 내용증명 어플을 통해 쉽게 법무법인으로 작성된 문서를 검토받고, 대상자에게 전송하여 대상 단말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자가 대상 단말부를 통해 내용증명 문서를 확인했는지 여부를 사용자와 법무법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수신을 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증명 문서를 어플을 통해 전송하므로 서류를 발송하는 복잡한 과정이 감소되어 쉽게 내용증명 문서를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의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을 통해 사용 단말부에서 대분류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을 통해 사용 단말부에서 중분류, 소분류, 상세 정보 및 내용을 기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에 따라 대상 단말부에서 수신하는 내용증명 문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 단말부(10)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증명 어플을 실행하여 대분류 및 중분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10); 상기 선택된 분류에 세부 분류 및 해당 내용증명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S20); 상기 선택된 양식에 어플에서 사용 단말부(1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 및 세부분류에 따른 선택내용을 자동으로 기입하여 양식에 입력 및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30); 상기 기본 정보 및 선택내용이 기입된 양식에 사용자가 상세 내용을 기재하여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S40);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법무 법인의 법무서버로 전송하여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 상기 법무 서버(20)에서 내용증명 문서를 DB 서버(4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대상자의 대상 단말부(30)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양식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자가 수신하여 확인한 것을 대상 단말부(30)에서 법무 서버(20)와 사용 단말부(10)로 전송하여 수신 확인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 단말부(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법무 서버(20)에서는 내용증명 문서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하고, 수정사항을 사용 단말부(10)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문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법무 서버(20)에서는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 단말부(30)에 문자메세지 또는 내용증명 어플로 전송하여 대상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의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 단말부(10)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증명 어플을 실행하여 대분류 및 중분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10), 선택된 분류에 세부 분류 및 해당 내용증명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S20), 선택된 양식에 어플에서 사용 단말부(1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 및 세부분류에 따른 선택내용을 자동으로 기입하여 양식에 입력 및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30), 기본 정보 및 선택내용이 기입된 양식에 사용자가 상세 내용을 기재하여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S40), 내용증명 문서를 법무 법인의 법무서버로 전송하여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 법무 서버(20)에서 내용증명 문서를 DB 서버(4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대상자의 대상 단말부(30)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양식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자가 수신하여 확인한 것을 대상 단말부(30)에서 법무 서버(20)와 사용 단말부(10)로 전송하여 수신 확인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을 통해 사용 단말부에서 대분류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을 통해 사용 단말부에서 중분류, 소분류, 상세 정보 및 내용을 기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에 따라 대상 단말부에서 수신하는 내용증명 문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 단말부(10)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증명 어플을 실행하여 대분류 및 중분류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 단말부(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전용 단말부로서 사용자의 기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본 정보를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대분류의 경우 민사와 형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중분류의 경우 이에 따른 좀더 세부적인 목적과 선택사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분류와 중분류를 어플을 통해 선택하면,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통해 어플을 통해 사용자가 내용증명의 작성용 양식을 선택하고, 세부적인 분류 및 선택 사항 내용등을 선택하고 자동으로 사용자의 정보가 양식에 기입된다.
상기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양식에는 세부적인 분류 및 선택 사항 내용등을 사용자가 입력하고, 사용자의 기본 정보가 사용자의 전용 사용 단말부(10)를 통해 입력되므로, 자동으로 어플을 통해 양식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양식을 선택할 때에는 사용자의 전용 사용 단말부(10)의 어플에서 제공되는 기본양식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는 상세양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첨부서류 또는 사진등을 등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화 내용 또는 통화 내용등의 음성파일 등을 첨부할 수 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내용증명을 전송 후 대상자가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법무법인을 통해 소송을 진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송여부를 선택하는 입력창이 어플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통해 양식에 기본적인 정보 및 선택 사항등이 입력되면,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S40)를 통해 기본 정보 및 선택 사항 내용이 기입된 양식에 사용자가 상세 내용을 기재하여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게 된다.
상기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S40)를 통해 내용증명 문서를 모두 작성하면,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를 통해 내용증명 양식을 법무 법인의 법무서버로 전송하여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법무 서버(20)에서는 내용증명 양식을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하고, 수정사항을 사용 단말부(10)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양식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를 통해 담당자가 내용증명 문서를 확인하면, 내용증명 양식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 법무 서버(20)에서 내용증명 양식을 DB 서버(4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대상자의 대상 단말부(30)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양식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법무 서버(20)에서는 대상 단말부(30)로 내용증명 문서를 전달함과 동시에 DB 서버(40)에 해당 내용증명 문서를 저장하고 대상 단말부(30), 사용 단말부(10) 또는 법무 서버(20)에서 요청하는 경우 저장된 내용증명 문서를 열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법무 서버(20)에서는 내용증명 양식을 대상 단말부(30)에 문자메세지 또는 내용증명 어플로 전송하여 대상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용증명 양식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 대상 단말부(30)로 문서가 전달되면, 수신 확인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S70)를 통해 내용증명 양식을 대상자가 수신하여 확인한 것을 대상 단말부(30)에서 법무 서버(20)와 사용 단말부(10)로 전송하여 수신 확인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대상 단말부(30)에서 내용증명 문서가 표시되면, 대상자는 문자일 경우 수신 확인 선택을 하여 수신을 한 사실을 법무 서버(20)로 전송하고, 내용증명 어플을 통해 받을 경우 자동으로 내용증명 어플에서 확인하게 되면 법무 서버(20)로 확인 사실이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내용증명 어플을 대상자가 대상 단말부(30)에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법무 서버(20)에서 자동으로 문자 메세지로 대상 단말부(30)에 내용증명 문서를 전송하고, 내용증명 어플을 대상자가 대상 단말부(30)에 설치한 경우 내용증명 어플의 설치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내용증명 어플로 내용증명 문서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 단말부의 내용증명 어플을 통해 쉽게 법무법인으로 작성된 문서를 검토받고, 대상자에게 전송하여 대상 단말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자가 대상 단말부를 통해 내용증명 문서를 확인했는지 여부를 사용자와 법무법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수신을 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증명 문서를 어플을 통해 전송하므로 서류를 발송하는 복잡한 과정이 감소되어 쉽게 내용증명 문서를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사용 단말부 20 : 법무 서버
30 : 대상 단말부 40 : DB 서버

Claims (4)

  1.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 단말부(10)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증명 어플을 실행하여 대분류 및 중분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10);
    상기 선택된 분류에 세부 분류 및 해당 내용증명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S20);
    상기 선택된 양식에 어플에서 사용 단말부(1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 및 세부분류에 따른 선택내용을 자동으로 기입하여 양식에 입력 및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30);
    상기 기본 정보 및 선택내용이 기입된 양식에 사용자가 상세 내용을 기재하여 내용증명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S40);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법무 법인의 법무서버로 전송하여 법무법인의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
    상기 법무 서버(20)에서 내용증명 문서를 DB 서버(4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대상자의 대상 단말부(30)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문서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60) 및
    상기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자가 수신하여 확인한 것을 대상 단말부(30)에서 법무 서버(20)와 사용 단말부(10)로 전송하여 수신 확인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단말부(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무 서버(20)에서는 내용증명 문서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하고, 수정사항을 사용 단말부(10)로 전송하여 내용증명 양식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무 서버(20)에서는 내용증명 문서를 대상 단말부(30)에 문자메세지 또는 내용증명 어플로 전송하여 대상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KR1020190161444A 2019-12-06 2019-12-06 온라인 망에 의하여 법무법인의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KR102346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444A KR102346537B1 (ko) 2019-12-06 2019-12-06 온라인 망에 의하여 법무법인의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444A KR102346537B1 (ko) 2019-12-06 2019-12-06 온라인 망에 의하여 법무법인의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352A true KR20210071352A (ko) 2021-06-16
KR102346537B1 KR102346537B1 (ko) 2021-12-31

Family

ID=7660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444A KR102346537B1 (ko) 2019-12-06 2019-12-06 온라인 망에 의하여 법무법인의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5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359A (ko) * 2001-03-28 2002-10-11 김미자 인터넷을 이용한 계약 인증 시스템
KR20070013562A (ko) * 2005-07-26 2007-01-31 (주) 오세오닷컴 온라인 망을 이용한 내용증명 서비스 시스템
KR20080034669A (ko) * 2006-10-17 2008-04-22 주식회사 로앤비 공인전자문서보관소를 이용한 온라인상의 내용증명, 계약,유언, 증인진술, 증거보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전자법률지원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23230B1 (ko) 2013-03-07 2015-05-28 은상용 전자문서 자동 전달방법
KR101896351B1 (ko) * 2017-12-06 2018-09-10 (주)캡소프트 비대면 대화형 전자계약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359A (ko) * 2001-03-28 2002-10-11 김미자 인터넷을 이용한 계약 인증 시스템
KR20070013562A (ko) * 2005-07-26 2007-01-31 (주) 오세오닷컴 온라인 망을 이용한 내용증명 서비스 시스템
KR20080034669A (ko) * 2006-10-17 2008-04-22 주식회사 로앤비 공인전자문서보관소를 이용한 온라인상의 내용증명, 계약,유언, 증인진술, 증거보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전자법률지원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23230B1 (ko) 2013-03-07 2015-05-28 은상용 전자문서 자동 전달방법
KR101896351B1 (ko) * 2017-12-06 2018-09-10 (주)캡소프트 비대면 대화형 전자계약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537B1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9258A1 (en) Mobile Solution for Importing and Signing Third-Party Electronic Signature Documents
US11887176B2 (en) Method for registering customized device, server, and terminal
US11778430B2 (en)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US102186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 chat function into an e-reader application
US20170357432A1 (en) Image creation app in messaging app
US9104768B2 (en) Person-based information aggregation
US20170359701A1 (en) Sticker distribution system for messaging apps
US11223481B2 (en) Electronic document signing using blockchain
US8671342B2 (en) Desired font rendering
JP201451963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起動
JP689193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052409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ommunication program recorded, and network system
KR20140120196A (ko)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00089910A1 (en) Message privacy
WO2017038469A1 (ja) 投稿情報提供装置および端末装置
AU2012328509B2 (en) Mobile solution for importing and signing third-party electronic signature documents
US20200250707A1 (en) Email-Based Promotion for User Adoption
KR102346537B1 (ko) 온라인 망에 의하여 법무법인의 내용증명 전달 어플을 이용한 내용증명 전달 방법
CN111199390A (zh) 发票报销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102095666B1 (ko)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1700526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rving and Transmitting Interfaces Displayed at Communication Devices
US2011016132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ocoding data
KR20120114431A (ko) 고객 서비스의 개선 및 고객 센터의 상담 부하를 줄이기 위한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고객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고객 서비스 운영 방법
EP27728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b widget
JP2010061225A (ja) Fax閲覧システム及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