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506A -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506A
KR20210070506A KR1020190160307A KR20190160307A KR20210070506A KR 20210070506 A KR20210070506 A KR 20210070506A KR 1020190160307 A KR1020190160307 A KR 1020190160307A KR 20190160307 A KR20190160307 A KR 20190160307A KR 20210070506 A KR20210070506 A KR 2021007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household
floor
inter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9016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506A/ko
Publication of KR2021007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과,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출력부에 출력함으로써, 세대별로 소음 피드백을 제공하고,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측정 세대(예를 들면, 우리집 또는 사용자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소음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각 세대 별로 층간소음 정도를 수치화된 값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어 언제든 층간소음 분쟁 해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측정 및 출력하여 대상 세대(아래층)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 층간소음의 분쟁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Intelligent floor noise no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과,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출력부에 출력함으로써, 세대별로 소음 피드백을 제공하고,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측정 세대(예를 들면, 우리집 또는 사용자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소음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각 세대 별로 층간소음 정도를 수치화된 값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어 언제든 층간소음 분쟁 해결에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층간소음은 다가구 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 또는 빌라처럼 다층구조를 갖는 건축물에서 충격음이 건축물의 진동으로 전파되어 다른 호실, 특히, 바닥 슬래브를 통해 하층의 호실로 전달되는 소음이며, 거주자간의 다툼과 민원 제기 등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층간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방진 소재 또는 완충재를 건축물에 시설하였으나,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289061호는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 호실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를 각 호실에 설치하여서, 진동에 의한 진파와 소음에 의한 음파의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호실을 판정하였다. 그리고, 판정 결과에 따라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호실에 알려줌으로써 층간소음을 감소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뱅머신 측정법이나 임팩트볼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뱅머신 측정법은 약 73kg의 타이어를 기계장치를 통해 건축물의 바닥에 타격해, 그 충격음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임팩트볼 방법은 약 25kg의 배구공 크기의 고무공을 사람이 들고 건축물의 바닥에 떨어뜨려 충격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은 편차가 커서 정확하지 않고, 대부분 건축물을 신축하는 시점에서 구조적으로 층간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완충재의 기준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8906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과,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출력부에 출력함으로써, 세대별로 소음 피드백을 제공하고,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측정 세대(예를 들면, 우리집 또는 사용자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소음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각 세대 별로 층간소음 정도를 수치화된 값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어 언제든 층간소음 분쟁 해결에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측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측정 및 출력하여 대상 세대(아래층)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 층간소음의 분쟁을 해소할 수 있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각 세대별로 설치된 소음/진동 센서에 의해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송신된 정보가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정보와 내부에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원점을 분석하여 찾아내어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송신한 신호를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한 세대에 출력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부의 소음/진동 센서는 세대의 바닥면에 그리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부에는 파란, 주황, 빨강의 신호등 형태로 현 세대의 상태를 입력하거나 출력부에 신호등 형태로 출력하여 다른 세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는 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과,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출력부에 출력함으로써, 세대별로 소음 피드백을 제공하고,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측정 세대(예를 들면, 우리집 또는 사용자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소음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각 세대 별로 층간소음 정도를 수치화된 값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어 언제든 층간소음 분쟁 해결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측정 및 출력하여 대상 세대(아래층)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 층간소음의 분쟁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는 여러 사람이 살고 있는 공동주택(아파트)내 이웃 간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미 지어진 건물에 층간소음 방지는 비용/시간 문제로 불가능한 현실이고, 이를 본 발명의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를 이용해 측청하여 층간소음 발생세대를 특정해 내고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층간소음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층간소음 발생 세대에 음성, 시각, 사물인터넷 등으로 경고 등을 표출하여 알려줌으로써 이웃 간에 적극적인 자발적인 해결을 유도하고, 층간 소음 발생 세대를 누적 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해 층간소음 분쟁 관련 기관(관리사무소, 층간소음 분쟁위원회)에서 객관적으로 측정된 층간소음 데이터를 열람하여 층간소음 분쟁 해결에 활용한다.
또한, 부가 기능으로 층간소음 신호등 과 소통게시판을 만들어 이웃 간에 소통의 장으로 활용한다(파란신호등 : 외출 / 파티 등 소음에 자유로울 때 파란색 신호등을 선택 하면 윗집에 아랫집에 파란신호등 표기되어 알려줌).
본 발명의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세대별로 설치된 소음/진동 센서에 의해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서 송신된 정보가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입력부(200)와; 상기 입력부(200)에 저장된 정보와 내부에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원점을 분석하여 찾아내어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부(300)와; 상기 처리부(300)에서 송신한 신호를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한 세대에 출력 표시하는 출력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00)의 소음/진동 센서는 세대의 바닥면에 점, 그리드, 비균 등 그리드 형태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300)는 법 규칙기반으로 소음, 진동 등 입력값에 따라 출력부(400)에 신호를 전달하는데, 상기 처리부(300)는 사용자 규칙기반으로 소음, 진동 등 입력값에 따라 원점을 분석하여 찾아내고 출력부(400)에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처리부(300)는 소음, 진동 등 센서값, 사용자 입력과 일시, 날씨 등 주변 정보를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거나 출력부(400)에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400)는 처리부(300)의 신호에 따라 음성, 시각 형태로 그 정도를 전달하는데, 상기 출력부(400)는 처리부(300)의 신호에 따라 조명기구, 주택관리시설(월패드), 방송시설, 가전 등 사물인터넷에 그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출력부(400)는 처리부(300)의 신호에 따라 정형화된 정보를 웹 등 정보시스템에 그 정보를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감지부(100), 입력부(200), 처리부(300), 출력부(400)는 관리사무소 등에 배치된 중앙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감지부(100)에서 동호수 정보가 포함하는 층간소음 데이터가 수신되면 동호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동호수별 층간소음 데이터를 출력부(400)로 전달한다. 또한 층간소음 데이터가 전달된 해당 세대로 층간 소음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알람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층간소음이 미리 설정된 최대 기준치(장시간)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는 경찰 혹은 관할 구청에 신고가 되도록 관리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400)로 전달되는 동호수별 층간소음 데이터는 경고 알람, 경찰 혹은 관할 구청에 신고 등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분류되어 전달된다.
한편, 상기 입력부(200)에는 파란, 주황, 빨강의 신호등 형태로 현 세대의 상태를 입력하거나 출력부에 신호등 형태로 출력하여 다른 세대에 표시되는데, 파란 신호등은 외출하거나 소음에 자유로운 시간을 설정해 두면 윗집 신호등에 파란색으로 표기되어 부담 없이 실내 활동 가능하게 하고, 주황색 신호등은 세대 하자보수 등 공사 시 선택하면, 주변세대에 본 세대가 공사 등을 하고 있다고 주황색 신호등으로 알려주는 기능이며(아파트는 5년차 하자보증기간 까지 하자 공사가 수시로 발생해서 착안), 빨간색 신호등은 소음이 규정보다 심하다고 느낄 때나 소음/진동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빨간색 신호등으로 진원지 세대에 표시하면서 경고음 등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골목소통게시판이 형성되어 물품 나눔, 골목장터. 재능기부, 공동육아 등 이웃 간에 공유 할 수 있는 게시판을 생성하여 이웃 간에 소통을 장을 마련하여 분쟁 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나눔, 재능기부 등 봉사 활동 시 관리자가 포인트를 지급하여, 공동주택 내에 커뮤니티 시설(헬스장, 골프장, 사우나 등 이용시 감면 혜택 부여 하여 소통 독려) 이용시, 무상으로 공급한다.
100 : 감지부 200 : 입력부
300 : 처리부 400 : 출력부

Claims (3)

  1. 각 세대별로 설치된 소음/진동 센서에 의해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서 송신된 정보가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입력부(200)와;
    상기 입력부(200)에 저장된 정보와 내부에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원점을 분석하여 찾아내어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부(300)와;
    상기 처리부(300)에서 송신한 신호를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한 세대에 출력 표시하는 출력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0)의 소음/진동 센서는 세대의 바닥면에 그리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200)에는 파란, 주황, 빨강의 신호등 형태로 현 세대의 상태를 입력하거나 출력부(400)에 신호등 형태로 출력하여 다른 세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KR1020190160307A 2019-12-05 2019-12-05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KR20210070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07A KR20210070506A (ko) 2019-12-05 2019-12-05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07A KR20210070506A (ko) 2019-12-05 2019-12-05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06A true KR20210070506A (ko) 2021-06-15

Family

ID=7641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07A KR20210070506A (ko) 2019-12-05 2019-12-05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5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ko)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ko)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345B1 (ko)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Ljunggren et al. Correlation between sound insulation and occupants’ perception–Proposal of alternative single number rating of impact sound
KR101801813B1 (ko) 세대 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0006B1 (ko) 층간소음 및 층간진동 감지시스템
KR101308338B1 (ko)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47704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JP2012021969A (ja) 部屋、配線器具
KR101795765B1 (ko)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20150078964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20090081560A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경보장치
KR20150051041A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Bard et al. Acoustic comfort investigation in residential timber buildings in Sweden
KR102257683B1 (ko) 층간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JP6584217B2 (ja) 室内騒音の予測方法と住宅設計支援システム
CN111461487B (zh) 一种基于bim的室内装修工程智慧管理系统
KR20210070506A (ko) 지능형 층간소음 알림장치
KR20170068348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KR20150086940A (ko) 층간소음 알림장치
CN205427992U (zh) 一种门禁系统
CN115587709A (zh) 一种企业安全生产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Hagberg et al. Uncertainties in standard impact sound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cedure applied to light weight structures
KR20160080522A (ko)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JP2018515882A (ja) 照明器具ベースのモニタリング
KR102008332B1 (ko)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JP2017142681A (ja) 避難経路算出装置および避難経路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