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936A -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36A
KR20210069936A KR1020190159795A KR20190159795A KR20210069936A KR 20210069936 A KR20210069936 A KR 20210069936A KR 1020190159795 A KR1020190159795 A KR 1020190159795A KR 20190159795 A KR20190159795 A KR 20190159795A KR 20210069936 A KR20210069936 A KR 2021006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item
tooth
list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360B1 (ko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진단명 및/또는, 치료명에 대응하여 현 시점에서의 치료 진행 상황에 적절한 진료 항목을 제공하며, 해당 진료 항목에 대한 환자와 의료자 간에 상담 기록을 진행한다.

Description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for Guiding Of Recommendation Treatment}
본 발명은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차트에 입력된 진료 내역에 기초하여 진료 내역의 내용에 맞는 진료 항목을 추천하고, 추천된 진료 항목을 이용하여 상담 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전차 차트는 진료 일자, 치아 술식, 치료 술식, 치료 방법 및 치료에 사용되는 재료를 입력하는 항목 등으로 구성된다. 항목의 내용은 차트의 사용자가 손으로 기재하게 되어있고, 기재할 수 있는 공간의 한계가 있어 기재내용을 약기하는 경우도 빈번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기재한 내용을 볼 때 그 내용을 오역하여 환자에게 잘못된 시술을 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전자차트에서 각 치아에 대한 진료를 입력할 때 치식 선택 시 진료 확인 정도만 가능하며 다음 진료 입력 및 환자를 위한 치료 상담에 대한 가이드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환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개별화된 진료 정보 및 치료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진료 내역으로 기록된 이전 기록을 바탕으로 환자의 진료 순서의 각 진료 단계에 대응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함으로써, 환자의 진단명 및/또는, 치료명에 대응하여 현 시점에서의 치료 진행 상황에 적절한 진료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진료 대상 리스트에서 추천된 진료 항목에 따라 환자의 치아를 치료할 경우,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담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은 환자의 치아 위치에 따라 전자 차트에 표시된 치아 모델들 중 진료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치아 모델에 대응하는 치아의 진료 내역을 기반으로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대상 리스트를 팝업 형태로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PI: Present Illness)인 경우, 상기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대상 리스트를 팝업 형태로 추천하는 단계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상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대상 리스트를 팝업 형태로 추천하는 단계는, 치아 모델이 복수 개로 선택된 경우, 복수 개로 선택된 치아 모델에 각각 추천 가능한 진료 항목 중 중복으로 나타나는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대상 리스트 내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진료 검색이 가능한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 화면의 검색창에 입력된 치아의 상태와 관련된 검색어에 대응하여 진료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검색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은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치아 위치에 따라 전자 차트에 표시된 치아 모델들 중 진료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치아 모델에 대응하는 치아의 진료 내역을 기반으로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고, 상기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하는, 상기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치아 모델이 복수 개로 선택된 경우, 복수 개로 선택된 치아 모델에 각각 추천 가능한 진료 항목 중 중복으로 나타나는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진료 대상 리스트 내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진료 검색이 가능한 검색 화면을 제공하고, 검색 화면의 검색창에 입력된 치아의 상태와 관련된 검색어에 대응하여 진료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고, 진료 검색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장치는 환자의 진료 내역으로 기록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지 또는, 진료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른 개인별 맞춤화된 진료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장치는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담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진료 항목을 제공하며, 환자가 치아 진료에 대해 합리적이고 효율성 있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장치는 전자 차트와 연동하는 상담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치아의 치료 계획을 상담함으로써, 환자와 의료자 간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아 상태를 고려한 진료 항목을 추천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진과 관련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와 관련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료와 연계된 상담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아 상태를 고려한 진료 항목을 추천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전자 차트(102)에 입력된 진료 내역에 대응하여 환자(104)의 다음에 수행되어야 하는 시술 가능한 치료 항목 및/또는 의료 정보를 의료자(103)에게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차트(102)는 전자 의무 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으로, 치료 과정에서의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술의 전 과정을 기록하는 차트이다. 전자 차트(102)는 기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적시성에 따른 치료 내용이 객관적으로 타당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른 개인별 맞춤화된 진료 항목을 제공하면서, 환자(104)와 의료자(103) 간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환자(104)가 불편해하는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환자(104)의 개인 정보 및 구강 질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개인 정보는 환자(104)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환자(104)의 나이, 이름, 성별, 과거 질환 병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질환 정보는 환자(104)의 치료를 위한 진료 이행 정보로, 치료명, 진단명, 치료 순서 등의 구강 질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치주상태, 통증부위, 저작가능 여부 및 저작 가능 방향 등의 진료에 참고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상응하는 진료 항목을 추천하기 위해 상술한 정보 이외에 치료에 도움이 되는 구강 의료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지 또는, 진료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환자(104)의 치아에 관한 치료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치아의 진료 순서에 따른 진료 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환자(104)의 치아에 대한 의료자(103)의 진찰 유무를 고려하여 진료 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는 치아에 관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이전에 환자(104)가 작성한 검진표의 정보가 전자 차트에 기록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환자(104)와 의료자(103)가 진찰을 하기 전의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는 치아에 관한 치료 계획이 세워진 이후에 치아의 상태에 따라 단기, 중기 또는 장기적으로 치료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환자(104)와 의료자(103) 간에 진찰이 이루어진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을 기준값으로 하여, 적절한 진료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에 따라 치아의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에 제공되는 진료 대상 리스트는 환자의 치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초기 진단명을 결정하기 위한 진료 항목일 수 있다. 일례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 환자의 진술에 기초한 현재 증상에 대응하여 환자의 치아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C1 ~ C4', 매복치, 상실치 등의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에 제공되는 진료 대상 리스트는 결정된 초기 진단명에 대응하여 치아의 진료 현황을 고려한 다음에 진행되어야 하는 진료 항목일 수 있다. 일례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환자의 초기 진단명에 대응하는 진료 순서의 각 진료 단계를 나타낼 수 있는 틀니, 보철 치료 등의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진료 항목은 진료 항목의 하위 개념의 항목들을 의미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101)는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의료자(103)에 의한 선택이 완료되면, 상담 소프트웨어에서 추천된 항목을 바탕으로 자료를 구성하여 환자(104)와의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 치아의 병변은 질병에 대한 정태적 감별로서 질병의 발생, 경과, 종료 시점까지 일정한 병명을 가지며, 본 발명은 치아의 진료 순서에 따른 각 진료 단계에 대응하여 다음에 진료 가능한 항목을 추천함으로써, 치아의 관리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치아의 진료 방법을 유동적으로 변경 및 상담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201)는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201)는 프로세서(2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다음과 같이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상태에 최적화된 진료 항목 및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프로세서(202)는 환자의 치아 위치에 따라 전자 차트에 표시된 치아 모델들 중 진료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모델이 선택될 수 있다. 의료자는 환자의 진행 상황에 따라, 전자 차트에 표시된 치아 모델 중 하나의 치아 모델 또는, 복수의 치아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와 그 지지조직 및 구강의 생리 · 병리 · 치료기술 등 치과학의 특징을 고려하여 특정된 진료 과목에 한하여 복수의 치아 모델을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202)는 충치와 관련된 진료가 진행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복수 개의 치아 모델이 선택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치아 모델에 대응하는 치아의 진료 내역을 기반으로 진료 단계에 상응하는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이전 기록이 예진인 상태에서, 치아 모델이 복수 개로 선택된 경우, 충치 치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생성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전자 차트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의료자에게 환자의 개인별 최적화된 진료 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진료 대상 리스트 내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02)는 진료 검색이 가능한 검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02)는 검색 화면의 검색창에 입력된 치아의 상태와 관련된 검색어에 대응하여 진료 검색 리스트를 재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재 생성된 진료 검색 리스트를 팝업 형태로 표시하고, 의료자로부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의료자에 의해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02)는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진과 관련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에 따라 치아의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자세하게,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클릭된 치아에 입력된 값이 예진(PI)인 경우, 각 예진에 해당되는 추천 가능한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이전 기록이 예진인 상태에서, 치아 모델이 복수 개로 선택된 경우, 복수 개로 선택된 치아 모델에 각각 추천 가능한 진료 항목 중 중복으로 나타나는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의료자는 전자 차트 상에서 예진에 해당하는 16번 치아와 17번 치아를 복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16번 치아는 '예진 C1'에 해당하며, 17번 치아는 '예진 C2'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16번 치아와 17번 치아를 선택했을 때, 추천 대상이 되는 진료 항목으로 '예진 C1'에 해당하는 진료인 충치 치료(직접), 충치 치료(소아) 및 '예진 C2'에 해당하는 진료인 신경 치료, 충치 치료(직접), 충치 치료(간접), 충치 치료(소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예진 C1'에 해당하는 진료 항목과 '예진 C2'에 해당하는 진료 항목 중 중복으로 나타나는 진료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는 각 진료 항목에서 중복으로 나타난 충치 치료(직접), 충치 치료(소아)에 해당하는 두 가지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팝업 형태로 의료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의료자는 전자 차트에 표시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구성하는 진료 항목에 환자에게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료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의료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각 진료 항목별 연결된 세부 진료 항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3에 도시된 '다른 진료 검색’은 기본 표시 항목으로, 프로세서는 '다른 진료 검색’에 관한 버튼이 선택되면, 의료자가 진료 항목을 직접 검색할 수 있는 팝업창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의료자는 변경된 팝업창을 통해 원하는 진료 항목을 검색하고, 검색된 진료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팝업창을 통해 검색된 결과는 전체 진료 항목 중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진료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와 관련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에 따라 치아의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이전 기록이 진료인 상태에서, 진료에 따른 추천 항목의 이름이 동일하더라도, 이전 단계인 진료에서 해당 치료의 적용 목적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의료자는 전자 차트 상에서 진료에 해당하는 45번 치아와 36번 치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45번 치아는 '진료 충치치료(간접)'에 해당하며, 36번 치아는 '진료 보철치료'에 해당할 수 있다.
45번 치아를 선택할 경우, 프로세서(202)는 진료 충치치료(간접)에 대응하여 국소적인 범위로 제한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료충치치료(간접)는 주로 인레이 치료를 나타내는 표현으로써, 프로세서(202)는 인레이 치료에 관한 범위로 제한된 진료 항목(라미네이트, 레진, 골드, 세라막, 지르코니아 등)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6번 치아를 선택할 경우, 프로세서(202)는 진료 충치치료(간접)에 대응하여 제한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료보철치료는 주로 크라운 치료를 나타내는 표현으로써, 프로세서는 크라운 치료에 관한 범위로 제한된 진료 항목(라미네이트, 전치부 올세라믹, 전치부 지르코니아, 전치부 골드 크라운, 구치부 메탈 크라운 등)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팝업 형태로 의료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의료자는 전자 차트에 표시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구성하는 진료 항목에 환자에게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료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의료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각 진료 항목별 연결된 세부 진료 항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도 4에 도시된 '다른 진료 검색’은 기본 표시 항목으로, 프로세서는 '다른 진료 검색’에 관한 버튼이 선택되면, 의료자가 진료 항목을 직접 검색할 수 있는 팝업창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의료자는 변경된 팝업창을 통해 원하는 진료 항목을 검색하고, 검색된 진료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팝업창을 통해 검색된 결과는 전체 진료 항목 중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진료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료와 연계된 상담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따른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의료자(103)에 의한 선택이 완료되면, 상담 소프트웨어에서 추천된 항목을 바탕으로 자료를 구성하여 환자와의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치료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치료 항목과 연계된 상담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팝업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담과 관련된 소프트웨어(OneCodi)와 연동하여 치료 항목의 상담 자료를 불러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601)에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환자의 치아 위치에 따라 전자 차트에 표시된 치아 모델들 중 진료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모델이 선택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치아 모델에 대응하는 치아의 진료 내역을 기반으로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는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102: 전자 차트
103: 의료자
103: 환자

Claims (12)

  1. 환자의 치아 위치에 따라 전자 차트에 표시된 치아 모델들 중 진료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모델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치아 모델에 대응하는 치아의 진료 내역을 기반으로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PI: Present Illness)인 경우, 상기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상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모델이 복수 개로 선택된 경우, 복수 개로 선택된 치아 모델에 각각 추천 가능한 진료 항목 중 중복으로 나타나는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항목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진료 대상 리스트 내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진료 검색이 가능한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 화면의 검색창에 입력된 치아의 상태와 관련된 검색어에 대응하여 진료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검색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치아 위치에 따라 전자 차트에 표시된 치아 모델들 중 진료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치아 모델에 대응하는 치아의 진료 내역을 기반으로 진료 단계에 따른 시술이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고,
    상기 시술 가능한 진료 대상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진료 항목에 포함된 세부 진료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세부 진료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기 위한 상당 자료를 구성하도록 상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예진인 경우, 상기 예진과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아의 진료 내역으로 입력된 이전 기록이 진료인 경우, 상기 진료와 관련된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아 모델이 복수 개로 선택된 경우, 복수 개로 선택된 치아 모델에 각각 추천 가능한 진료 항목 중 중복으로 나타나는 진료 항목으로 구성된 진료 대상 리스트를 추천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료 대상 리스트 내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진료 검색이 가능한 검색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검색 화면의 검색창에 입력된 치아의 상태와 관련된 검색어에 대응하여 진료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진료 검색 리스트 중에서 상기 치아의 상태에 대응하여 처치하고자 하는 진료 항목을 선택하는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KR1020190159795A 2019-12-04 2019-12-04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33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95A KR102330360B1 (ko) 2019-12-04 2019-12-04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95A KR102330360B1 (ko) 2019-12-04 2019-12-04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36A true KR20210069936A (ko) 2021-06-14
KR102330360B1 KR102330360B1 (ko) 2021-11-24

Family

ID=7641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95A KR102330360B1 (ko) 2019-12-04 2019-12-04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3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010A (ko) * 2009-05-29 2010-12-08 (주)바텍이우홀딩스 치과용 전자차트 시스템 및 그 표시방법
KR20180011558A (ko) * 2016-07-25 2018-02-02 (주)뷰닷소프트 표준 치료계획 자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866519B1 (ko) * 2017-03-17 2018-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66748B1 (ko) * 2016-12-22 2018-06-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33523A (ko) * 2016-06-21 2019-03-29 클리어콜렉트 오퍼레이팅, 엘엘씨 가상 모델링을 위한 개선된 그래픽 처리를 갖는 치과교정 치료 시뮬레이션
US20190333622A1 (en) * 2018-04-30 2019-10-31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using domain-specific treatment protocol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010A (ko) * 2009-05-29 2010-12-08 (주)바텍이우홀딩스 치과용 전자차트 시스템 및 그 표시방법
KR20190033523A (ko) * 2016-06-21 2019-03-29 클리어콜렉트 오퍼레이팅, 엘엘씨 가상 모델링을 위한 개선된 그래픽 처리를 갖는 치과교정 치료 시뮬레이션
KR20180011558A (ko) * 2016-07-25 2018-02-02 (주)뷰닷소프트 표준 치료계획 자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866748B1 (ko) * 2016-12-22 2018-06-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66519B1 (ko) * 2017-03-17 2018-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33622A1 (en) * 2018-04-30 2019-10-31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using domain-specific treatment protoc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360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tts et al. International Caries Detection and Assessment System (ICDAS) and its International Carie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ICCMS)–methods for staging of the caries process and enabling dentists to manage caries
EP2601608B1 (en) Report authoring
Dreyer et al. Registries for robust evidence
Petitti Meta-analysis, decision analysis,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methods for quantitative synthesis in medicine
Allevi et al. Diagnostic criteria for odontogenic sinusitis: a systematic review
JPWO2003001421A1 (ja) 電子的レポート作成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ilford et al. Effect of using protocols on medical care: randomised trial of three methods of taking an antenatal history.
Gedney et al. Memory for stress-associated acute pain
KR102284579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아 진단 시스템
JP2018181340A (ja) 医用データ提示装置及び医用データ提示プログラム
Miyoshi et al. Bifurcated root canals and crown diameter
JP5377506B2 (ja) 処置の手順のデータを記憶するシステム
Meade et al. Digital treatment planning and clear aligner therap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Pawar et al. New classification for pulp chamber floor anatomy of human molars
JP2020187687A (ja) 医用情報処理装置
KR102330360B1 (ko) 진료 추천 가이드 장치, 진료 추천 가이드 방법 및 기록 매체
Carrillo et al. Hyperbilirubinemia and intrinsic pigmentation in primary teeth: a case report and histological findings
Carrasco-Labra et al. How to use evidence-based dental practices to improve clinical decision-making
JP2004362484A (ja) 診療支援システム
Akbaş et al. The Effect of Holistic Birth Support Strategies on Coping With Labor Pain, Birth Satisfaction, and Fear of Childbirth: A Randomized, Triple-Blind, Controlled Trial
JP5203481B2 (ja) 傷病管理システム
Lorenzoni et al. Description of alternative approaches to measure and place a value on hospital products in seven OECD countries
Salaza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reatment planning and soft tissue outcome prediction of orthognathic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Millan-Fernandez-Montes et al. Mapping clinical procedures to the ICD-10-PCS: The German operation and procedure classification system use case
Berg Nursing audit and outcome cri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