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909A -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09A
KR20210069909A KR1020190159729A KR20190159729A KR20210069909A KR 20210069909 A KR20210069909 A KR 20210069909A KR 1020190159729 A KR1020190159729 A KR 1020190159729A KR 20190159729 A KR20190159729 A KR 20190159729A KR 20210069909 A KR20210069909 A KR 20210069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ag
frequency signal
radiation frequency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이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민 filed Critical 이수민
Priority to KR102019015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909A/ko
Publication of KR2021006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그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물품의 위치를 알리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태그와 음향 장치를 이용한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은,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전송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 및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전자 태그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 정보를입력받아 상기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식별 정보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 기기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관리 대상 물품의 위치를 찾을 수 있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시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position seeking system and program }
본 발명은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그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물품의 위치를 알리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태그와 음향 장치를 이용한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태그를 이용한 인식 시스템은 자동 인식 기술의 한 종류로서, 직접회로 칩을 내장한 전자 태그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읽는 매체 인식 기술을 일컫는다. 특히, 전자 태그는 정보의축척 기능과 발신 기능을 갖는 매우 작은 칩으로서, 상품의 식별 정보 및 상세 정보를 담고 있으며, 태그 판독기로부터 고주파신호를 입력받으면 저장된 정보를 태그 판독기에 전송한다. 전자 태그 시스템은 인식 속도, 인식 거리, 인식 확률 등의 측면에서 종래에 사용되던 바코드 시스템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갖는다.
전자 태그는 전원의 공급 유무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는데, 첫째 안테나 코일과 IC 칩만으로 구성되어 태그 판독기로부터 유도되는 전력을 공급받는 수동형 태그, 둘째 안테나 코일과 IC 칩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식별 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능동형 태그가 있다. 수동형 태그는 매우 가볍고 저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소비 전력이 큰 단점이 있고, 능동형 태그는 태그 판독기의 필요 전력을 줄이고 인식 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으나 작동 시간의 제한을 받으며 고가인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생활 환경이 급격한 변화를 이루면서 각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용품의 종류는 다양해졌다. 예를들어, 귀금속, 지갑, 열쇠, 안경, 가방, 신발 등과 같은 일반적인 품목에서부터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첨단의 전자기기 품목으로까지 폭 넓게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물품의 종류가 확대될수록 가정 내에 존재하는 해당 물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기억하는 것이 어려워져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면, 출근길에 집 열쇠 또는 자동차 열쇠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회사에 지각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는, 분실 및 도난 방지용 알 에프 송수신 장치에 관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55708호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품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45407호가 있다. 그러나, 이들 발명들은 첫째,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항상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하며, 둘째, 분실한 물품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특정 물품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해당 물품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으로 태그 판독기가 대상 물품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스스로 신호음을 발생하는 수단과 대상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태그와 음향 장치를 이용한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은,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 및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전자태그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식별정보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추적 장치는,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단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유효 인식 거리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방사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방법은,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식별정보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은, 관리 대상 물품에 알 에프 아이디 태그와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를 부착하고, 태그 판독기를 이용하여 해당 물품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게 관리 대상 물품의 위치를 찾을 수 있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시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대상 물품을 인식하는 거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 맞춤형 물품 추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추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은, 위치 추적 대상이 되는 물품(110,120,130), 물품에 부착되는 위치 추적 장치(115,125,135), 물품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 기기(140), 및 태그 식별 정보를 수신받는 태그 판독기(145)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위치 추적 장치(115,125,135)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물품(시계, 신발, 또는 가방 등)에 부착되며, 알 에프 아이디 전자 태그와 음향 장치를 포함한다. 위치추적 장치(115, 125, 135)는 태그 판독기(145)로부터 송신되는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직접회로 칩에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태그 판독기(145)로 전송한다. 또한, 위치 추적 장치(115,125,135)는 태그 판독기(145)로부터 송신되는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신호의 크기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태그 판독기(145)는 방사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고, 태그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태그 식별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 기기(140)는 태그 판독기(145)로부터 입력된 태그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40)는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상품 식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이다. 휴대용 단말기(140)는 거리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태그 판독기(145)에 출력한다. 태그 판독기(145)는 그에 따른 방사 주파수 신호를 송신한다. 거리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추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추적 장치(200)는, 안테나(210), 직접회로 칩(220), 및 음향 장치(230)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안테나(210)는 도 1에 도시된 태그 판독기(145)로부터 송신된 방사 주파수 신호를 수
신한다. 안테나(210)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방사 주파수 신호에 따라 내부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직접회로 칩(220)과 음향 장치(230)에 출력한다. 직접회로 칩(220)은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되는 유도 전류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제1 안테나(210)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태그 판독기(145)로 전송한다. 직접회로칩(220)은 동작수행을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태그 식별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음향 장치(230)는 제1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되는 유도 전류에 응답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장치(230)는 유도 전류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음향 장치(230)는 동작수행을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한편, 물품 추적 장치(200)는 인식률과 인식거리가 뛰어난 능동형 태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능동형 태그에 사용되는 전원으로는 2.0V 리튬 이온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장치(300)는, 거리 측정 모듈(310), 컨트롤러(320), 및 음향 발생 모듈(330)을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거리 측정 모듈(310)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210)로부터 출력되는 유도 전류의 크기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고,이에 상응하는 논리 신호를 출력한다. 논리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태그 판독기(145)와 위치 추적 장치(115,125,135)의 상대 거리를 나타낸다. 안테나(210)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방사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음향 장치(230)로 출력하므로 상대 거리는 유도 전류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컨트롤러(320)는 전류 측정 모듈(310)로부터 출력되는 논리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음향 발생 모듈(330)로 출력한다.
음향 발생 모듈(330)은 컨트롤러(3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음향 신호를 발생한다. 음향 발생 모듈(330)은 도 1에 도시된 태그 판독기(145)와 위치 추적 장치(115,125,135)의 상대 거리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음향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태그 판독기(145)가 위치 추적장치(115,125,135)에 근접할수록 음향 신호의 크기는 커진다. 한편, 컨트롤러(320)에 공급되는 전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320)는 주기적으로 공급 전원의 잔여량을 계산 및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기기(400)는, 안테나(410), 태그 판독기(4
20), 및 정보 처리 장치(430)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안테나(410)는 주기적으로 방사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알 에프 아이디 태그로부터 전송된 태그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태그 식별 정보는 태그 판독기(42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430)로 출력한다. 태그 판독기(4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410)가 송신하는 방사 주파수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태그판독기(420)는 정보 처리 장치(4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410)를 통해 송신되는 방사 주파수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430)는 태그 판독기(420)로부터 입력되는 태그 식별 정보를 화면 표시창
에 표시한다. 정보 처리장치(430)는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새로운 태그 식별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그에 대응하는 상품 식별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화면 표시창에 표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430)는 사용자로부터 방사 주파수 신호의 유효 도달 거리에 관한 추적 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추적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태그 판독기(420)에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500)는, 명칭 입력 모듈(510), 마이크
로프로세서(520), 및 거리 설정 모듈(530)을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명칭 입력 모듈(510)은 태그 식별 정보(태그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상품 식별 정보(사용
자 지정 명칭)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모듈로서, 상품의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20)는 명칭 입력 모듈(510)을 통해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사용자 지정 명칭)를 내부 메모리에 테이블 형태로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20)는 도 1에 도시된 태그 판독기(145)로부터 태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상품 식별 정보를 메모리에서 추적하고, 태그 식별 정보와 상품 식별 정보를 동시에 화면 표시창에 표시한다.
거리 설정 모듈(530)은, 방사 주파수 신호의 유효 도달거리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모듈로서, 인식 거리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20)는 거리 설정 모듈(530)을 통해 입력된 거리 설정 정보(유효 인식 거리)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20)는 설정된 유효 인식 거리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태그 판독기(145)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태그 판독기(145)는 마이크로프로세서(52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내부 안테나가 송신하는 방사 주파수 신호의 강도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 물품에 전자 태그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를 부착한다(610). 전자 태그는 태그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위치 추적 장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더 포함한다. 위치 추적 장치는 물품에 부착하기에 간편한 고리 형태의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 기기와 연결된 태그 판독기를 이용하여 전자 태그를 판독하는 방식으로 태그 식별 번호를 추출한다(620). 휴대용 단말 기기가 추출한 태그 식별 번호를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추출한 태그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물품 명칭을 입력한다(630). 상기 입력한 물
품 명칭은 변경가능하다. 동일한 전자 태그를 다른 대상 물품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품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유효 거리를 설정한다(640). 유효 거리는 0.5m 내지 3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한 유효 거리에 상응하는 강도의 방사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여 물품의 위치 추적을 시작한다(650). 물품의 위치 추적은 휴대용 단말 기기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대상 물품이 휴대용 단말 기기에서 설정한 유효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대상 물품에 부착된 위치 추적 장치로부터 태그 식별 정보가 수신된다. 휴대용 단말기기는 수신된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화면 표시창에 표시한다(660). 음향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방사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된 신호음을 출력한다(670). 신호음의 크기는 상대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 물품의 위치확인을 완료한다(680).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전자 태그를 이용하여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 및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전자 태그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식별 정보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장치는,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유효 인식 거리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방사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4. 전자 태그를 이용하여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태그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사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태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식별 정보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190159729A 2019-12-04 2019-12-04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9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29A KR20210069909A (ko) 2019-12-04 2019-12-04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29A KR20210069909A (ko) 2019-12-04 2019-12-04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09A true KR20210069909A (ko) 2021-06-14

Family

ID=7641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29A KR20210069909A (ko) 2019-12-04 2019-12-04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9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68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on loss of item and prompt search thereof
KR20100028395A (ko) 전자 태그와 음향 장치를 이용한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방법
US7956745B2 (en) Wireless ta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53337B1 (ko)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KR101954877B1 (ko)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 그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4016A (ko) 바코더 리더와 rfid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US9984262B2 (en) Method of operating an RFID-enabled mobile telephone, mobile telephone, remote unit and application program product
CN111433789A (zh) 用于操作标签的系统和方法
KR20210069909A (ko) 입력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물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JP2009193253A (ja) 無線タグ探知装置
KR20100013668A (ko) 분실방지용 송수신 장치
KR20070004179A (ko) 지갑 분실 방지장치
JP2000030006A (ja) 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KR100738801B1 (ko) Rfid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폰을 이용한 메모 작성,확인 방법 및 그 기능이 구현된 휴대폰
KR20060127352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소품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20032790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요양시설에서 물건의 위치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7537A (ko) 분실방지용 송수신시스템
KR20200114903A (ko) 앱을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KR20160060445A (ko) 신원확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확인 방법, 신원확인카드의 사용자 위치확인을 위한 비콘신호 제공방법 및 신원확인카드용 또는 서버용 프로그램
KR100745132B1 (ko) 휴대용품의 위치확인 시스템
JP2010178300A (ja) 無線タグシステム
JP2015146495A (ja) 無線タグを付帯した対象物同士の遠近関係を推定する携帯端末、プログラム、方法及びシステム
US9622045B2 (en) Managing location profiles for personal area maps
CN109325555A (zh) 短距离物品定位系统
KR20080008710A (ko) 알에프아이디 칩과 알에프아이디 칩 수신기가 탑재된핸드폰을 이용한 핸드폰 도난, 분실 방지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