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541A - individu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 - Google Patents

individu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541A
KR20210069541A KR1020190165817A KR20190165817A KR20210069541A KR 20210069541 A KR20210069541 A KR 20210069541A KR 1020190165817 A KR1020190165817 A KR 1020190165817A KR 20190165817 A KR20190165817 A KR 20190165817A KR 20210069541 A KR20210069541 A KR 20210069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spraying
sterilizing water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세현
김홍성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제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제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제네시스
Priority to US17/772,2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400927A1/en
Priority to EP20898770.1A priority patent/EP4072392A1/en
Priority to CA3157955A priority patent/CA3157955A1/en
Priority to CN202090000995.0U priority patent/CN219331563U/en
Priority to PCT/IB2020/000989 priority patent/WO2021116749A1/en
Publication of KR2021006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5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38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electroly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4Other automatic det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6Electroly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erilizing and cleaning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and to an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sterilizing, washing and drying a tumbler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non-diaphragm to a tumbler.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erilizing and cleaning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lenoid valve (200) for blocking or permitting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n approach of an object within a preset range;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for including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disposed adjacently without a diaphragm for exchanging ions of the electrolyte and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by electrolyzing water flowing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solenoid valve (200)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 spraying unit (600)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the outside; and a case including the solenoid valve (200), the sensor unit (100),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500) therein. The spraying unit comprises: an internal spraying unit exposed and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spray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region of the object; and an external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an external area of the object.

Description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individu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 {individu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

본 발명은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텀블러에 분사하여 자동으로 살균,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terilizing, washing and drying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non-diaphragm to a tumbler.

컵은 물이나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에서 소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구비한 컵을 사용할 경우가 많으며 설거지하는 수가 많지 않아 큰 어려움은 없으나 사용 수량이 많은 식당이나 배식실의 경우 많은 수량의 컵의 세척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Cups are used for drinking water or beverages. When using a small amount at home, a cup with a handle is often used. There is not much difficulty in washing dishes because there are not many dishes. Inevitably, difficulties arise in the cleaning of the cup.

커피를 포함하는 음료의 자동판매기에 주로 사용하는 종이컵을 정수기 옆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나 재활용되지 않는 종이컵의 경우 자원의 낭비와 함께 종이컵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라지는 산림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을 제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In many cases, paper cups, which are mainly used in vending machines for beverages containing coffee, are placed next to the water purifier, but in the case of paper cups that are not recycled, the waste of resources and the loss of forests to produce paper cups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global warming. There is a movement to limit the use of disposable paper cups.

이에 컵만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전용 세척기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의 컵의 형상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단순한 형상으로 스테인리스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For this reason, many dedicated washing machines that automatically clean only the cup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nd the most used type of cup is a simple shape with a smaller cross-section toward the bottom and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이때 세척을 위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은 당연한 구성이지만 분사된 물이 빨리 빠지도록 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컵 세척장치의 경우 컵을 옆으로 뉘어 이동하면서 세척과정이 이루어지며 이후 건조와 살균도 동일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o spray water for washing, but in most cup washing devices,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while moving the cup sideways in order to allow the sprayed water to drain out quickly, and then drying and sterilization are performed in the same state. It was common.

하지만 컵을 옆으로 뉘어 이동하고 세척과 건조 및 살균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바닥면과 닿는 면은 컵이 굴러간다고 하더라도 부분적으로 세척이나 살균이 미흡한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세척 후 컵의 내측면을 하향 경사지도록 하더라도 물 빠짐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에 의한 건조과정에서 이물질이 침입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even if the cup rolls on the sid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up to the side and going through th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process, partial cleaning or sterilization may be insufficient. Even if it is inclined, there is a risk that foreign substances may enter in the drying process by blowing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completely drained.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38469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No. 10-1338469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 10-0402160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No. 10-0402160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ith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텀블러에 분사하여 자동으로 살균,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ith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terilizing, washing and drying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non-diaphragm to a tumbler.

본 발명의 목적은, 다면 분사 노즐과 전기분해 모듈을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개인 컵(텀블러, 머그 컵 등)을 살균 세척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n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and cleaning individual cups (tumblers, mug cups, etc.) quickly and conveniently using a multi-sided spray nozzle and an electrolysis module.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전해질의 이온을 교환하는 격막 없이 인접하게 배치된 (+) 전극 및 (-)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 전극 및 (-) 전극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300);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 및 살균수 생성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살균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600);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 센서부(100), 살균수 생성부(300) 및 제어부(500)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노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객체의 내부 영역에 상기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내부 분사부; 및 상기 객체의 외부 영역에 상기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외부 분사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noid valve 200 for blocking or allowing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n approach of an object within a preset range; Electrolysis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including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disposed adjacently without a diaphragm for exchanging ions of the electrolyte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solenoid valve 200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 spraying unit 600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the outside; and a case including the solenoid valve 200, the sensor unit 100,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500 therei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injection unit is ex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and an internal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region of the object; and an external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an external area of the object. may include.

또한, 상기 내부 분사부는, 복수의 홀을 구비한 캡의 형태로 미리 지정된 높이보다 낮게 상기 분사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분사된 살균수는, 상기 객체의 내부 영역의 전체에 랜덤(random)하게 뿌려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nal injection uni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jection unit low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orm of a cap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steriliz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is applied to the entire inner region of the object. It can be sprayed randomly.

또한, 상기 외부 분사부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외부 분사부는 상기 내부 분사부와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객체의 외부 영역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분사부 각각은, 지정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상기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is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are spaced apart from the internal injection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external area of the objec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is , the sterilizing water may be spray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signated areas.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객체의 내부 영역에 에어(air)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분사부 및 상기 외부 분사부의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에어 분사부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상기 객체의 내부는 건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the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air) to the inner region of the object; further comprises, when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and the external injection unit is finished, the air injection unit is sprayed By the air, the inside of the object may be dried.

또한,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된 물이 지나가면서 전기분해되기 위한 유로(2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2000)는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의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 굽어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일부 굽어진 유로(2000)를 상기 유입된 물이 지나가면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상기 상기 (+) 전극 및 (-) 전극과의 평균 접촉량이 증가하여 상기 살균수의 생성률이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further includes a flow path 2000 for electrolysis while the introduced water passes, and the flow path 2000 is formed inside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 The sterilization is arranged in at least a partly curved shape and is electrolyzed as the inflow water passes through the at least partly curved flow path 2000 , thereby increasing the average contact amount with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The spawn rate of numbers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분사부의 주변에 배치된 상기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 방치(9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픈(open)되어 상기 물을 유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가 상기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leaving the drain 952 for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disposed around the injection unit to the outside, and when the sensor unit 10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object, the control unit 500 , the solenoid valve 200 may be opened to control the inflow of the water,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may be controlled to electrolyze the introduced water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또한, 상기 센서부는 근접 센서이고, 상기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및 적외선 근접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a proximity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includes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may include

본 발명은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텀블러에 분사하여 자동으로 살균,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terilizing, washing and drying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non-diaphragm to a tumbler.

또한, 본 발명은 세척시 발생되는 사각 지대를 없어고, 컵 내부의 전체 영역과 컵 외부의 영역을 세척하고,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blind spot generated during washing, washing the entire area inside the cup and the area outside the cup, and drying it.

또한, 본 발명은 컵의 세척이 완료되는 경우, 에어 분사부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손쉽게 컵의 내부 공간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dry the inner space of the cup throug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injection unit when the cleaning of the cup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은 텀블러의 뚜껑을 손쉽게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easily washing and drying the lid of the tumbler.

또한, 본 발명은 다면 분사 노즐과 전기분해 모듈을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개인 컵(텀블러, 머그 컵 등)을 살균 세척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and cleaning individual cups (tumblers, mug cups, etc.) quickly and conveniently using a multi-sided spray nozzle and an electrolysis module.

이러한 다면 분사 노즐은, 물과 공기가 혼합된 펄스식 다면 분사 노즐로서, 물 소비량을 줄이고, 세척력을 향상시켜 컵 세척의 사각지대(dead zone)을 줄인다' 등으로 표현하고, 아울러 별도 구조변경 없이 공기 분사 노즐로도 사용 가능하다.This multi-sided spray nozzle is a pulse-type multi-sided spray nozzle in which water and air are mixed, and it reduces water consumption and improves cleaning power to reduce the dead zone of cup cleaning. It can also be used as an air jet nozzle.

또한, 무격막 전기분해 모듈/전극은, 유입되는 수돗물의 잔류염소 농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아염소산 생성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며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정전류 방식의 무격막 전기분해 모듈/전극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phragm-free electrolysis module/electrode will be a constant current type diaphragm-free electrolysis module/electrode that can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maintaining a uniform concentration of hypochlorous aci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chlorine in the incoming tap water. can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 유로형 전기분해 살균모듈을 통해 살균수 변환 효율을 높이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sterilization water to a user using a non-contact sensor, and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increases efficiency of sterilizing water conversion through a flow path type electrolysis steriliz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북수의 환경 친화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of the north water, it ca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1) 실시간 고농도 차아염소산(HOCL) 살균수 생성(약 20배)(1) Real-time high-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HOCL) sterilization water generation (about 20 times)

(2) 살균 및 세척 시간 단축(약 6초)(2) Reduce sterilization and cleaning time (about 6 seconds)

(3) 세척력 향상(약 3배)(3) Improved cleaning power (about 3 times)

(4) 물 소비량 최소화(약 70% 절감)(4) Minimize water consumption (about 70% reduction)

(5) 전력소모 최소화(약 50W)(5) Minimize power consumption (about 50W)

(6) 쉽고 신속 간편한 사용(Easy, quick & simple)(6) Easy, quick & simple

(7) 살균수는 살균·세척 후 물로 환원 등 친환경 제품 등(7) Sterilized water is for eco-friendly products such as water after sterilization and washing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살균수 생성부, 제어부 등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를 통해 살균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내부 분사부, 외부 분사부, 에어 분사부 및 거치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내부 분사부, 외부 분사부, 에어 분사부의 구체적인 세척 및 건조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케이스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a solenoid valve,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a control unit, etc.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provides sterilizing water for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device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sterilization water through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show specific examples of an internal injection unit, an external injection unit, an air injection unit, and a mount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pecific cleaning and drying operations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the external injection unit, and the air injec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show an example of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cas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on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reasonab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ssential as a solu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종래기술 및 종래기술의 문제점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ior art

신종 인플루엔자(H1N1) 메르스(MERS)의 전염 및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도 최근 발표된 인플루엔자 표본 감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증가하고 있어 질병 관리본부는 신종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전국에 발령하고 주의를 당부하고 우선 접종대상자의 예방접종 권고와 개인 컵을 깨끗하게 0씻기 등 개인 위생 관리에 철저히 임하도록 발표하였다.As the transmission and spread of H1N1 H1N1 MERS is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as a result of the recently announced influenza sample monitoring in Korea, the number of influenza viruses is increasing,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as issued a H1N1 influenza pandemic advisory nationwide. We urged caution and first announced that vaccination recommendations for those subject to vaccination and thorough personal hygiene management such as washing personal cups were announced.

최근에 보도된 기사에 따르면 인천지역에서 전염성이 매우 높은 수인성 질환과 식중독이 해마다 즐고 있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According to a recently reported article, water-borne diseases and food poisoning, which are highly contagious in Incheon, are enjoying every year, but the cause has not been found.

이러한 질병은 오염된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미생물과 바이러스에 감염돼 구토, 설사, 발열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이다.These diseases are diseases that show symptoms such as vomiting, diarrhea, and fever due to infection with microorganisms and viruses in the process of ingesting contaminated water and food.

대표적인 식중독균으로 노로 바이러스와 병원성 대장균 등이 있으며, 최근 기후와 환경요인의 변화 등으로 발생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Representative food poisoning bacteria include norovirus and pathogenic E. coli, and the incidence rate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세계적으로 해마다 발생되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해 동시 다발적인 전염병이 발생하나 이에 대한 뚜렷한 예방책이 없으며 유일한 예방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개인위생(손씻기, 컵씻기 등)으로 약 90%의 예방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실정이다.Simultaneous epidemics are caused by bacteria and viruses that occur every year around the world, but there is no clear preventive measure against it, and the only preventive measure is personal hygiene (handwashing, cup washing, etc.),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reventive effect of about 90%. there is a situation.

개인위생(손씻기, 컵씻기 등)을 위해 이용되는 수돗물은 수도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항균/살균 처리 등의 전처리 작업을 거치게 되나, 노후된 상수도 관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세균이 증식되는 문제가 있다.Tap water used for personal hygiene (hand washing, cup washing, etc.) goes through pre-treatment such as antibacterial/sterilization treatment before being supplied to each household through water pipes.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proliferation.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의 수돗물의 공급 비율은 6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40%에 달하는 가정에서는 항균/살균 처리가 되지 않은 지하수를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t is known that currently only 60% of domestic tap water is supplied, and therefore 40% of households are receiving groundwater that has not been treated with antibacterial/sterilization.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 10-0402160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컵자동 세척장치가 설명되어 있다.Referring to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Patent No. 10-0402160, a conventional automatic cup washing device is described.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 10-0402160호의 문헌을 참조하면, 종래발명은 급수대의 외측에 컵자동 세척장치가 급수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컵 자동세척장치의 일측에서 세척된 컵을 집어서 급수대에서 물을 받아 마신 뒤에 컵 자동세척장치의 타측에 사용을 마친 컵을 내려놓으면, 그 컵이 자동으로 세척되면서 컵을 사용할 수 있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함으로써, 다수의 컵이 급수대 주위를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세척되고 사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소량의 컵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세척하면서 다수인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Korean Patent Office Registration Patent No. 10-0402160, in the prior invention, an automatic cup wash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water supply, so that the user picks up the cup washed from one side of the automatic cup washing device and removes it from the water supply. If you put the used cup on the other side of the automatic cup washing device after receiving and drinking water, the cup is automatically cleaned and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cup can be used and waits, so that a number of cups continuously rotate around the drinking fountain. By repeating the process of being washed and used while doing so, a small amount of cups can be quickly and thoroughly washed and water can be supplied to a large number of people.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세척장치부의 양측에 컵공급 컨베이어와 컵배출 컨베이어가 각각 설치되고, 컵을 세척하고 헹구며 건조시키는 세척유닛이 제자리에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컵공급 컨베이어 실려오는 컵을 컵홀더로 1개씩 홀딩하여 세척유닛측으로 이동시켜서 컵을 세척하도록 구성하였다.In this conventional invention, a cup supply conveyor and a cup discharge conveyor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leaning device, and the cup loaded on the cup supply conveyor is used as a cup holder in a state where the cleaning unit for washing, rinsing, and drying the cup operates in place. Each cup was held and moved to the washing unit to wash the cups.

따라서, 종래발명은 부피가 커지게 되어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와, 1개씩의 컵을 개별적으로 홀딩시켜서 세척장치부 측으로 이동시켜서 세척하는 장치부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 장치부를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not only takes up a lot of installation area but also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structure of the device part for washing by holding each cup individually and moving it to the washing device part is complicated and the devic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having difficulty controlling wealth.

특히, 종래기술에 따르면, 세척시 발생되는 사각 지대가 필수적으로 발생되고, 컵 내부의 전체 영역과 컵 외부의 영역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없으며, 건조를 하기 위해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a blind spot generated during washing is necessarily generated, it is impossible to wash and sterilize the entire area inside the cup and the area outside the cup, and a separate operation is required for drying. .

또한, 텀블러의 뚜껑 등과 같이, 높이가 낮은 객체에 대해 세척을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In addi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erform washing on an object having a low height, such as a lid of a tumbl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다면체에 분사하여 자동으로 살균,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ith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using tap water, which can be automatically sterilized, washed and dried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without a diaphragm onto a polyhedron. We want to provide the device to the user.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블록구성도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는 센서부(100),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500), 분사부(600), 전원공급부(700), 조절부(800), 혼합부(900) 및 케이스(9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 a solenoid valve 200 , a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unit 300 , an interface unit 400 ,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500 , an injection unit 600 , a power supply unit 700 , a control unit 800 , a mixing unit 900 , and a case 950 .

먼저, 센서부(100)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개폐 상태,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방위,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First, the sensor unit 100 determines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the location of the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the presence of user contact, and automatic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using tap water. Automatic personal cup using tap water by detec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10 using tap water, such as the orientation of the washing device 10 and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ing and washing device 10 using tap water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is generated.

예를 들어 근접 센서가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may sense the user's body in proximity to the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또한, 전원 공급부(70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0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70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40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전술한 것과 같이, 센서부(10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proximity touch distance, proximity touch direction, proximity touch speed, proximity touch time, proximity touch position,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상에 출력될 수 있다.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a display unit (not shown).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apparatus 10 for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of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디스플레이부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of a transparent type or a light-transmitting type so that the outside can be viewed through them.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센서부(100)의 일례로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이용될 수 있고,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100 , a display unit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may be used, and when a mutual layer structure is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unit or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uni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ed position and area,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he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00)는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a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50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has been touched, and the like.

또한, 센서부(100)의 일례인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141, which is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10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clean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cover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span than contact sensors and their utility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of a capacitive typ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즉,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수전 손잡이에 의한 접촉성 감염을 예방하고, 살균수를 이용함으로써 수배관을 통한 전염원 차단과 사용자의 컵 살균 세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ct infection by the faucet handle by using an infrared sensor, and by using sterile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blocking the source of infection through the water pipe and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user's cup.

다음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제어부(500)로부터의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됨으로써, 살균수 생성부(300)에 의한 살균수 공급 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solenoid valve 200 may be individually opened or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500 ,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mode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may be executed.

또한, 살균수 생성부(300)는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without a diaphragm.

예를 들어, 무격막의 2개의 (+) 전극과 (-)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include two (+) electrodes and a (-) electrode of no diaphragm.

단, 본 발명의 내용이 2개의 전극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무격막의 한쌍의 (+) 전극과 (-)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개수의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Howev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wo electrodes, and when a pair of (+) electrodes and (-) electrodes of a non-diaphragm are included, a larger number of electrodes may be included.

이때, 살균수 생성부(300) 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 사이에는 격막이 존재하지 않고, 무격막 환경에서 원수에 존재하는 미량의 물속 미네랄과 잔류염소가 전해질 역할을 하므로 전극의 소재에 따라 고효율의 전해 살균수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re is no diaphragm between the at least two electrodes disposed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d in a diaphragm-free environment, trace minerals in water and residual chlorine in the raw water serve as an electrolyte, so it is highly efficient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of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can be obtained.

살균수 생성부(300)를 통한 살균수 생성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The process of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

또한, 인터페이스부(400)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구 및 장치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400 serves as a passage with all external devices and devices connected to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인터페이스부(40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interface unit 400 provides a structure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and deliver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device 10 using tap water, or tap water. The data inside the used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10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00)에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wired/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equipped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output (I/O) ports,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400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When the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clean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is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person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for personal cups using the tap water is transmitted.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또한, 제어부(500)는 센서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전원공급부(700) 및 분사부(600)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solenoid valve 200 ,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 the power supply unit 700 , and the injecting unit 600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 .

제어부(controller, 500)는 통상적으로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50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500)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500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ler 500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제어부(500)는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ler 50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또한, 전원 공급부(7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70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또한, 분사부(600)는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600 may supply sterilizing water to the user.

분사부(600)의 구체적인 구조 등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8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injection unit 6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8D .

또한, 조절부(800)는 사용자가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for a personal cup using tap water.

조절부(8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may includ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절부(800)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ontrol unit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control the supply of hot and cold water.

또한, 조절부(800)는 일반 수돗물이 유입되는 구성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may be use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general tap water is introduced.

조절부(800)로 유입된 수돗물은 조절부(800)를 통해 다른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tap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trol unit 800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configur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800 .

또한, 혼합부(900)는 복수의 기체를 선택적으로 살균수 혼합시켜 컵을 세정하기 위한 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Also, the mixing unit 900 selectively mixes a plurality of gases with sterilizing water and supplies it to a space for cleaning the cup.

마지막으로, 케이스(950)는 전술한 센서부(100),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500), 분사부(600), 전원공급부(700), 조절부(800), 혼합부(900)을 수용하는 하우징이다.Finally, the case 950 includes the sensor unit 100, the solenoid valve 200,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300, the interface unit 400, the control unit 500, the injection unit 600, the power supply unit ( 700 ), the control unit 800 ,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mixing unit 900 .

한편, 도시하시는 않았지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실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outside.

여기서 무선통신부의 통신 기술에 이용되는 통신은 원거리 무선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sed for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use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y.

또한, 원거리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t least one of the techniques may be used.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한편,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2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측에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부(600)가 도시되고, 사용자가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injection unit 600 for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to the outside is shown on the upper side, and a sensor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at a user is located adjacently is shown.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적용되는 센서부(100)는 근접 센서인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nsor unit 100 applied herein is a proximity sens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etc. may be used. ha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내부 분사부(610), 외부 분사부(620), 에어 분사부(630) 및 거치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jection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nal injection unit 610 , an external injection unit 620 , an air injection unit 630 , and a mounting unit 640 .

내부 분사부(610)는 배치된 컵의 내부에 살균수를 분사하여 세정 및 살균하기 위한 구조물이고, 외부 분사부(620)는 배치된 컵의 외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살균수를 분사하여 세정 및 살균하기 위한 구조물이다.The internal spraying unit 610 is a structure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inside the disposed cup, and the external spraying unit 620 sprays sterilizing water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outside of the disposed cup fo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tructure for sterilization.

이때, 외부 분사부(6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shown in FIG. 2 .

또한, 에어 분사부(630)는 내부 분사부(610) 및 외부 분사부(620)를 통해 컵의 세척 및 살균이 완료된 경우, 에어를 컵 내부에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cup is completed through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and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 the air injection unit 630 provides a function of spraying air into the cup to dry it.

또한, 거치부(640)는 텀블러의 뚜껑 등과 같이, 높이가 낮은 객체의 경우, 장치에 배치하면 내부 분사부(610)와의 이격거리가 너무 가까워 실질적으로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될 수 없는바 내부 분사부(610), 외부 분사부(620) 등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배치되기 위해 해당 객체를 거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object having a low height, such as a lid of a tumbler, when the mounting unit 640 is disposed on the devic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internal spraying unit 610 is too close, so cleaning and sterilization cannot be substantially performed. It provides a function of holding a corresponding object in order to be disposed by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master 610 and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

다음으로, 도 2의 중간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인터페이스부(400), 전원공급부(700) 및 제어부(500)가 도시되어 있다.Next, in the middle of FIG. 2 , the solenoid valve 200 ,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 the interface unit 400 , the power supply unit 700 , and the control unit 500 are illustrated.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중간의 콘트롤 박스의 표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50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unit 500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trol box in the midd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500 may be changed.

또한, 상기에서는 센서부(100)가 분사부(600)의 상단에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서부(100)는 수처리 장치(10)의 중간 파트 또는 하단 파트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was assumed that the sensor unit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spray unit 600 ,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or unit 100 is an intermediate part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 Alternatively, it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art.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를 통한 살균수의 제공Provision of sterilized water through an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device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면체 분사장치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살균수 생성부, 제어부 등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solenoid valve,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a control unit, etc. applied to the polyhedral injection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도시되어 있다2 and 3 , a solenoid valve 200 is shown.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제어부(500)로부터의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됨으로써, 살균수 생성부(300)에 의한 살균수 공급 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200 may be individually opened or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500 ,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mode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may be executed.

또한, 살균수 생성부(300)는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해 살균수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generates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no diaphragm.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면체 분사장치를 통해 살균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through the polyhedral injection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통해, 물의 전기분해 및 살균수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A process of electrolysis of water and generating sterilization wa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일반적으로 이온수기는 이온수 생성기 또는 환원수기라 부르고 있으며 이온수기는 정수기와 전해조를 구비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가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In general, an ionized water generator is called an ionized water generator or a reduced water device, and the ionized water device includes a water purifier and an electrolyzer to generate acidic and alkaline ionized water by electrolysis.

이렇게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는 주로 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산성 이온수는 피부 미용수 또는 소독수, 세척수로 사용된다. The alkaline ionized water thus generated is mainly used for beverages, and the acidic ionized water is used as skin care water, disinfectant water, or washing water.

하지만 대부분의 식음용 알칼리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함께 생산되는 산성수는 폐수되는 실정이다.However, most of the acidic water produc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lkaline water for food is wastewater.

또한 소독수, 세척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이온수기에서 생성되는 산성수는 그 살균력이 낮고, 일반적인 알칼리 이온수기에서 생성되는 산성수는 일반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양극방에서 생성되는 이온수로 pH농도가 약 4.0 ~ 6.5 사이로 생성된다.In addition, acidic water generated in a general ionizer for use as sterilizing water and washing water has low sterilization power, and acidic water generated in a general alkaline ionizer is ionized water generated in the anode room by electrolyzing general purified water with a pH of about 4.0 ~ Generated between 6.5.

한편, 강산성 이온수는 일반 알칼리 이온수기에서 생산하는 과정이 동일하지만 희석소금용액(0.2%이하)를 정량펌프를 통해 공급하여 전기분해 과정을 거치면 강한 살균력을 갖는 강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된다.On the other hand, strong acid ionized water is produced in the same process as in a general alkaline water ionizer, but strong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with strong sterilizing power is generated when dilute salt solution (0.2% or less) is supplied through a metering pump and undergoes an electrolysis process.

이에 강한 살균력을 갖는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별도의 용매(NaCl 또는 HCl 등)를 혼합한 정수에 전기분해하여 강산성 또는 강알칼리성 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현재 동일한 전해조에서 알칼리수와 강산성수가 생성되는 이온수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강산성수 생성 후 알칼리수 생성 사용 시 사용자에게 냄새를 유발하는 한편 음용하였을 경우 인체에 무해하다는 검증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In order to generate strong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with strong sterilizing power, electrolysis in purified water mixed with a separate solvent (NaCl or HCl, etc.) as described above to produce strongly acidic or strongly alkaline ionized water. Bar, Currently, an ionizer that generates alkaline water and strongly acidic water in the same electrolyzer is being developed, but there is no verification result that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en drinking while generating odor to users when using alkaline water after generating strong acidic water.

도 4를 참조하면, 격막을 기준으로 (+)극과 (-)극이 존재하고 전해질에서 음이온은 (+)극으로 이동하고, 양이온은 (-)극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수분해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4 , a (+) pole and a (-) pole exist based on the diaphragm, and in the electrolyte, the anion moves to the (+) pole, and the cation moves to the (-) pole, so that hydrolysis is performed.

또한, 수돗물을 전해질로 하여 음이온으로 분류되는 요소들이 (+)극으로 이동하고, 양이온으로 분류되는 요소들이 (-)극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using tap water as an electrolyte, elements classified as anions move to the (+) pole, and elements classified as cations move to the (-) pole.

결국 (+)극에서는 산성 이온수가 생성되어 출력가능하고, (-)극에서는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어 출력 가능하다.As a result, acidic ionized water is generated at the (+) pole and output is possible, and at the (-) pole, alkaline ionized water is generated and output is possible.

한편, 격막을 이용하지 않는 전기분해를 무격막전기분해이라고 한다.On the other hand, electrolysis without using a diaphragm is called diaphragm-free electrolysis.

즉, 무격막전기분해는 (+)전극과 (-)전극의 사이에 격막을 사용하지 않는 전기분해를 의미하고, 작은 힘으로 전기분해를 하므로 전기의 저항이 작아서 유격막보다 약한 열이 발생된다.In other words, diaphragm-free electrolysis means electrolysis without using a diaphragm between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and since the electrolysis is performed with a small force,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small and weaker heat is generated than the diaphragm. .

유격막은 격막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극과 (-)전극의 사이에 이온만 통과되고 물은 통과하지 않게 하기 위해 격막을 사용하는 방식이다.The diaphragm uses a diaphragm, and it uses a diaphragm to prevent only ions from passing between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but not water.

유격막전기분해는 무격막전기분해에 비해 단위시간당 최대의 효율을 얻게 되고, 격막이 있는 이유는 ph를 원하는 수치에 매핑하기 위함이다.Diaphragm electrolysis achieves maximum efficiency per unit time compared to diaphragm-free electrolysis, and the reason there is a diaphragm is to map pH to a desired value.

무격막은 양쪽 전극에 물의 흐름이 없게 되므로 전기의 힘이 많이 필요하므로 열이 발생되고, 결국 전기의 저항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no diaphragm means that there is no flow of water in both electrodes, so a lot of power is needed, so heat is generated, which means that the resistance of electricity is that much.

단, 무격막방식이라도 가동 시간이 길어지면 유격막방식과 마찬가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even in the non-diaphragm method, if the operating time is prolonged, the same phenomenon as the diaphragm method may occur.

유격막 방식의 경우 (-)극쪽, 즉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는 쪽의 극실에 미량의 잔류물들이 남는데 이것은 전기분해 하면서 (-)전극 쪽에 있는 백금족 금속 이온들이 떨어져 나오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diaphragm method, a small amount of residue is left in the polar chamber on the (-) electrode side, that is, on the side where alkaline ionized water is generated.

이것을 지속적으로 농축을 시키게 되면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의 불순물이 형성된다.If this is continuously concentrated, impurities that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are formed.

이온수기의 경우 한쪽의 극성만 쓰게 되면 어느 순간 스케일이 과도하게 전극의 표면에 끼게 되어 급격한 효율의 감소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단위 시간별로 아주 짧은 순간 동안에 전기의 극성을 바꿔서 스케일을 인위적으로 떨어지게 하는 방식을 채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water ionizer, if only one polarity is used, the scale becomes excessively caught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t some point, resulting in a rapid decrease in efficiency. A method of artificially dropping may be adopted.

담수 된(즉, 일정한 용기에 저장된) 물을 가지고 전기분해를 할 경우 전극의 극성을 바꾸게 되면 오히려 전극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효율을 낮출 수도 있다.In the case of electrolysis with fresh water (that is, stored in a certain container), if the polarity of the electrode is changed, the lifespan of the electrode may be affected and the efficiency may be lowered.

살균수 생성부(300) 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 사이에는 격막이 존재하지 않고,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무격막 환경에서 원수에 존재하는 미량의 물속 미네랄과 잔류염소가 전해질 역할을 하므로 전극의 소재에 따라 고효율의 전해 살균수를 얻을 수 있다.There is no diaphragm between the at least two electrodes disposed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d as described in FIG. 4 , in a diaphragm-free environment, trace minerals and residual chlorine in the water serve as an electrolyte, so the electrode High-efficiency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can be obtain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또한, 전원공급부(700)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700 provides a function of supplying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한편, 인터페이스부(400)는 제 1 인터페이스부(410), 제 2 인터페이스부(420) 및 제 3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face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interface unit 410 , a second interface unit 420 , and a third interface unit 430 .

즉,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부(600)와 사용자가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100)를 포함하는 상측과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배관(440)이 도시되어 있는데, 배관(440)과 살균수 생성부(300)를 연결하기 위해 제 3 인터페이스부(430)가 이용될 수 있다.That is, there is shown a pipe 440 connecting the upper side and the middle part including the injection unit 600 for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located adjacently, the pipe 440 is shown. ) and the third interface unit 430 may be used to connect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200)와 살균수 생성부(300)를 연결하기 위해 제 2 인터페이스부(420)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face unit 420 may be used to connect the solenoid valve 200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

또한, 물이 유입되는 조절부(800)와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연결하기 위해 제 1 인터페이스부(410)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terface unit 410 may be used to connect the control unit 800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the solenoid valve 200 .

또한, 도 2의 하단에는 조절부(800)가 도시된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unit 800 is shown at the lower end of FIG. 2 .

조절부(80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800, the user can control the supply of desired hot water and cold water.

또한, 조절부(800)의 하단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수돗물이 제 1 인터페이스부(410)을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제공될 수 있다.Also, when tap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800 , the introduced tap water may be provided 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unit 410 .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를 통한 살균, 세척 및 건조Sterilization, washing and drying through an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device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내부 분사부, 외부 분사부, 에어 분사부 및 거치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5A to 5D show specific examples of an internal injection unit, an external injection unit, an air injection unit, and a mount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내부 분사부(610)가 분사부(600)의 중앙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5A ,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jection unit 600 .

내부 분사부(610)는, 캡의 형태로 구성되고, 샤워기 헤드와 같이, 복수의 홀이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살균수가 360도로 흩뿌려지면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rnal spraying unit 6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p, and, like a shower head,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on the surface,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output while spraying 360 degre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내부 분사부(610)의 복수의 홀을 통해 다방면으로 분사된 살균수는 내부 분사부(610)의 상단에 배치된 컵의 내부를 사각지대 없이 살균 및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erilizing water spray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can sterilize and clean the inside of the cup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without a blind spot.

또한, 외부 분사부(620)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로 분사부(600) 상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620 may be provided on the injection unit 600 as shown in FIG. 5A .

도 5a에서는 3개의 외부 분사부(620)가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다양한 개수 및 다른 모양의 외부 분사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ree external injection units 620 are provided in FIG. 5A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ore diverse number and different shapes of external injection units 620 may be provided.

도 5a에 도시된 외부 분사부(620)는 내부 분사부(610)의 상단에 배치된 컵의 외면에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다.The external spraying unit 620 illustrated in FIG. 5A may spray the sterilizing wa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internal spraying unit 610 .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컵의 하단은 손으로 파지하고, 상단에 입술을 접촉하여 음료를 섭취하게 되므로, 복수의 외부 분사부(620a, 620b, 620c)는 컵의 상단 영역의 전체 영역을 3개로 나누어 담당하면서, 각자 담당한 영역에 살균수를 분사함으로써 살균 및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user grips the lower end of the cup by hand and consumes the drink by contacting the upper end with the lips, s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620a, 620b, 620c divides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region of the cup into thre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wash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to each area in charge while dividing the charge.

또한, 에어 분사부(630)는 상기 내부 분사부(610) 및 외부 분사부(620)에 의해 컵의 내부 및 외부가 살균 및 세척되는 경우, 고속의 에어(air)를 공급받아 컵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컵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up are sterilized and washed by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and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 the air injection unit 630 receives high-speed air into the inside of the cup. By supplying, the function of drying the inside of the cup is provided.

본 발명에서는 컵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에어 분사부(630) 만을 구비한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컵의 외부를 함께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에어 분사부(6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only the air spraying unit 630 for drying the inside of the cup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air spraying unit 630 for drying the outside of the cup togeth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거치부(640)는 컵과 내부 분사부(610) 간의 이격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 컵의 내부를 완벽하게 살균 및 세척하기 어렵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상 내부 분사부(610)와 이격될 수 있도록 해당 컵을 거치하는 구조물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completely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cup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up and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is too close, the mounting unit 640 includes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over a certain distance. It is a structure that holds the corresponding cup so that it can be spaced apart from it.

이러한 거치부(640)는 세척 및 살균하고자 하는 객체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보다 일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 더 효율적으로 동작한다.The mounting unit 640 operates more efficiently when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sterilized is small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size than when the object is larg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size.

예를 들어, 텀블러의 뚜껑의 경우, 납작하고 얇은 형태로 인해, 내부 분사부(610)와 맞닿게 되어 세척이 어려우므로, 거치부(640)를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id of the tumbler, due to its flat and thin shape, it is difficult to clean becaus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ternal spraying unit 610 , so it can be washed and sterilized by being spaced a certain distance through the mounting unit 640 .

거치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specific operation of the mounting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

한편,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분사부(610), 외부 분사부(620), 에어 분사부(630) 및 거치부(640)를 상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b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the air injection unit 630, and the mounting unit 6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side.

또한,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분사부(610), 외부 분사부(620), 에어 분사부(630) 및 거치부(64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5c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the air injection unit 630 and the mounting portion 6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또한,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분사부(610), 외부 분사부(620), 에어 분사부(630) 및 거치부(640)를 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 5D shows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the air injection unit 630 and the mounting unit 6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lower side.

한편,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내부 분사부, 외부 분사부, 에어 분사부의 구체적인 세척 및 건조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Meanwhile, FIGS. 6A to 6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pecific cleaning and drying operations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the external injection unit, and the air injec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센서부(1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사용자의 컵(1000)이 인접한 것을 센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A ,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at the user's cup 1000 is adjacent within a preset distance.

대표적으로 센서부(100)로서 근접 센서가 이용되어 사용자의 인접 사실을 감지할 수 있다.Typically, a proximity sensor may be used as the sensor unit 100 to detect the user's proximity.

이후, 센싱된 정보가 제어부(500)에 전달되고,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픈(open)된다.Thereafter, the sens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0 , and the solenoid valve 200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오픈에 대응하여, 조절부(800)를 통해 원수가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된 원수가 살균수 생성부(300)로 제공된다.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opening of the solenoid valve 200 , raw water flows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control unit 800 , and the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solenoid valve 200 is provided to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 do.

이때, 살균수 생성부(300) 내에 존재하는 무격막의 적어도 한 쌍의 (+) 및 (-) 전극들은, 살균수 생성부(300)에 공급된 원수를 전기분해 하여 살균수를 생성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pair of (+) and (-) electrodes of the non-diaphragm existing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electrolyze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generate sterilizing water.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살균수가 배관(440)를 따라 분사부(600)에 전달되고, 분사부의 내부 분사부(610)의 복수의 홀을 통해 다방면으로 분사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is delivered to the spray unit 600 along the pipe 440 and is spray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of the inner spray unit 610 of the spray unit.

즉,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분사부(610)는, 캡의 형태로 구성되고, 샤워기 헤드와 같이, 복수의 홀이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살균수가 360도로 흩뿌려지면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6A,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p, and, like a shower head,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on the surface, and steriliza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The number is scattered 360 degrees so that it can be printed.

도 6a에서 내부 분사부(610)의 복수의 홀을 통해 다방면으로 분사된 살균수는 내부 분사부(610)의 상단에 배치된 컵의 내부를 사각지대 없이 살균 및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In FIG. 6A , the sterilizing water spray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can sterilize and clean the inside of the cup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without blind spots.

이후,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외부 분사부(620)가 내부 분사부(610)의 상단에 배치된 컵(1000)의 외면에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s shown in FIG. 6b , a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620 can spray the sterilizing wa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00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 have.

도 6b에서는 3개의 외부 분사부(620)가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다양한 개수 및 다른 모양의 외부 분사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ree external injection units 620 are provided in FIG. 6B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ore diverse number and shapes of external injection units 620 may be provided.

도 6b에서는 컵의 상단 영역의 전체 영역을 3개로 나누어 담당하면서, 각자 담당한 영역에 3개의 외부 분사부(620a, 620b, 620c)가 살균수를 분사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는 컵의 하단은 손으로 파지하고, 상단에 입술을 접촉하여 음료를 섭취하므로, 사용자의 입술이 접촉되는 상단 영역을 집중적으로 살균 및 세척하는 것이다.In Figure 6b,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area of the cup is divided into three, and three external spraying units (620a, 620b, 620c) spray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areas each responsible for, which means that the user is at the bottom of the cup. Since it is gripped by hand, and drinks are consumed by contacting the lips with the upper part, the upper area in contact with the user's lips is intensively sterilized and washed.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분사부(610)는, 캡의 형태로 구성되면서, 샤워기 헤드와 같이, 복수의 홀이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살균수가 360도로 흩뿌려지면서 살균수를 출력하게 되고, 복수의 외부 분사부(620a, 620b, 620c)가 컵 표면의 외부 영역을 복수로 나누어 각각 담당한 영역에 살균수를 출력하게 되고, 본 발명에서는 사각 지대 없이 살균수를 기초로 컵(1000)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spraying unit 6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p, and, like a shower head,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on the surface, and sterilizing water is sprayed 360 degre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The sterilizing water is outputted while the sterilization water is lost,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spraying units (620a, 620b, 620c) divides the outer area of the cup surface into a plurality and outputs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area each responsible fo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blind spot. It is possible to wash and sterilize the cup 1000 based on the .

한편, 도 6a와 9b의 과정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상기에서는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a의 과정과 도 6b의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ocesses of FIGS. 6A and 9B are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 of FIG. 6A and the process of FIG. 6B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또한, 도 6a 및 도 6b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살균수만을 컵(10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에는 살균수를 분사한 이후에, 이후의 일정 시간 동안에는 일반 물을 분사하여 마무리 세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IGS. 6A and 6B, instead of continuously supplying only steriliz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cup 1000, after spraying sterilizing w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general water is spr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after to perform final washing. It is also possible to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 분사부(630)는 상기 내부 분사부(610) 및 외부 분사부(620)에 의해 컵의 내부 및 외부가 살균 및 세척되면, 고속의 에어(air)를 공급받아 컵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컵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After that, when a certain time elapses, as shown in FIG. 6c , the air injection unit 630 is sterilized and cleaned inside and outside the cup by the internal injection unit 610 and the external injection unit 620, By supplying high-speed air to the inside of the cup, it provides a function of drying the inside of the cup.

즉, 에어 분사부(630)를 통해 컵(1000)의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살균수를 건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up 1000 through the air injection unit 630 performs an operation of drying the sterilizing water.

전술한 것과 같이, 도 6c에서는 컵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에어 분사부(630) 만을 구비한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컵의 외부를 함께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에어 분사부(630)를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G. 6C, it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only the air injection unit 630 for drying the inside of the cup is provided, but a separate air injection unit 630 for drying the outside of the cup together is additionally provided. may be

케이스에 결합된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attached to the case

도 7a 내지 도 7c는 케이스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7A to 7C show an example of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case.

도 7a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케이스(950)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ase 950 .

도 7a를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은 케이스(950)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단에는 내부 분사부(610), 외부 분사부(620), 에어 분사부(630) 및 거치부(640)과 배수구(952)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7A ,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 2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case 950 , and an internal injection unit 610 , an external injection unit 620 , an air injection unit 630 and a mounting unit are disposed at the upper end. A 640 and a drain 952 are disposed.

즉, 도 7b에서는 케이스(950)에 삽입된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을 상 측면에서 바라본 일례가 도시되고, 복수의 외부 분사부(620)와 내부 분사부(610) 및 에어 분사부(630)가 배치되고, 그 주변에 배수구(952)가 배치되어, 컵(1000)을 세척하는 동작을 통해 유도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in FIG. 7B , an example of the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using tap water inserted into the case 950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is shown, and a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620 and internal injection units 610 and The air jet unit 630 is disposed, and a drain port 952 is disposed around it, so that the liquid induced through the operation of washing the cup 10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950)의 하단에는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951)가 별도로 구비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951) 상에는 바퀴 등과 같은 이동 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A , a support 951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is separate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950 , and although not shown, moving means such as wheel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upport 951 . have.

도 7c는 케이스(950)에 삽입된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10)을 측면에서 바라본 일례가 도시된 것이다.7C shows an example of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10 for personal cups using tap water inserted into the case 950 as viewed from the side.

본 발명에 따른 효과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은 수돗물을 이용한 개인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n automatic personal cup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tap wat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다면체에 분사하여 자동으로 살균,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terilizing, washing and drying by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non-diaphragm to a polyhedron in a mist manner.

또한, 본 발명은 세척시 발생되는 사각 지대를 없어고, 컵 내부의 전체 영역과 컵 외부의 영역을 세척하고,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blind spot generated during washing, washing the entire area inside the cup and the area outside the cup, and drying it.

또한, 본 발명은 컵의 세척이 완료되는 경우, 에어 분사부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손쉽게 컵의 내부 공간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dry the inner space of the cup throug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injection unit when the cleaning of the cup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은 텀블러의 뚜껑을 손쉽게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easily washing and drying the lid of the tumbler.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 유로형 전기분해 살균모듈을 통해 살균수 변환 효율을 높이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sterilization water to a user using a non-contact sensor, and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increases efficiency of sterilizing water conversion through a flow path type electrolysis steriliz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다면 분사 노즐과 전기분해 모듈을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개인 컵(텀블러, 머그 컵 등)을 살균 세척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and cleaning individual cups (tumblers, mug cups, etc.) quickly and conveniently using a multi-sided spray nozzle and an electrolysis module.

이러한 다면 분사 노즐은, 물과 공기가 혼합된 펄스식 다면 분사 노즐로서, 물 소비량을 줄이고, 세척력을 향상시켜 컵 세척의 사각지대(dead zone)을 줄인다' 등으로 표현하고, 아울러 별도 구조변경 없이 공기 분사 노즐로도 사용 가능하다.This multi-sided spray nozzle is a pulse-type multi-sided spray nozzle in which water and air are mixed, and it reduces water consumption and improves cleaning power to reduce the dead zone of cup cleaning. It can also be used as an air jet nozzle.

또한, 무격막 전기분해 모듈/전극은, 유입되는 수돗물의 잔류염소 농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아염소산 생성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며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정전류 방식의 무격막 전기분해 모듈/전극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phragm-free electrolysis module/electrode will be a constant current type diaphragm-free electrolysis module/electrode that can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maintaining a uniform concentration of hypochlorous aci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chlorine in the incoming tap water. can

한편, 본 발명은 북수의 환경 친화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eco-friendly technology of the north water, it ca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1) 실시간 고농도 차아염소산(HOCL) 살균수 생성(약 20배)(1) Real-time high-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HOCL) sterilization water generation (about 20 times)

(2) 살균 및 세척 시간 단축(약 6초)(2) Reduce sterilization and cleaning time (about 6 seconds)

(3) 세척력 향상(약 3배)(3) Improved cleaning power (about 3 times)

(4) 물 소비량 최소화(약 70% 절감)(4) Minimize water consumption (about 70% reduction)

(5) 전력소모 최소화(약 50W)(5) Minimize power consumption (about 50W)

(6) 쉽고 신속 간편한 사용(Easy, quick & simple)(6) Easy, quick & simple

(7) 살균수는 살균·세척 후 물로 환원 등 친환경 제품 등(7) Sterilized water is for eco-friendly products such as water after sterilization and washing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Claims (7)

외부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전해질의 이온을 교환하는 격막 없이 인접하게 배치된 (+) 전극 및 (-)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 전극 및 (-) 전극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300);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 및 살균수 생성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살균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600);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 센서부(100), 살균수 생성부(300) 및 제어부(500)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노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객체의 내부 영역에 상기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내부 분사부; 및
상기 객체의 외부 영역에 상기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외부 분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a solenoid valve 200 that blocks or permits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n approach of an object within a preset range;
Electrolysis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including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disposed adjacently without a diaphragm for exchanging ions of the electrolyte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solenoid valve 200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 spraying unit 600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the outside; and
A case including the solenoid valve 200, the sensor unit 100,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500 therein; further comprising,

The spray unit,
It is disposed exposed at the top of the case,
an internal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region of the object; and
an external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an external area of the object;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분사부는, 복수의 홀을 구비한 캡의 형태로 미리 지정된 높이보다 낮게 상기 분사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분사된 살균수는, 상기 객체의 내부 영역의 전체에 랜덤(random)하게 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nal injection uni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jection unit low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orm of a cap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steriliz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is a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randomly (randomly) sprayed over the entire inner region of the objec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분사부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외부 분사부는 상기 내부 분사부와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객체의 외부 영역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분사부 각각은, 지정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상기 살균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xternal injection part is plural,
The plurality of external injection unit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ternal injection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external area of the objec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spraying units,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signated area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객체의 내부 영역에 에어(air)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분사부 및 상기 외부 분사부의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에어 분사부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상기 객체의 내부는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ray unit,
It further includes; an air spraying unit for spraying air to the inner region of the object;
When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injection unit and the external injection unit is finished, the inside of the object is dried by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된 물이 지나가면서 전기분해되기 위한 유로(2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2000)는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의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 굽어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일부 굽어진 유로(2000)를 상기 유입된 물이 지나가면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상기 상기 (+) 전극 및 (-) 전극과의 평균 접촉량이 증가하여 상기 살균수의 생성률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ide of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further includes a flow path 2000 for electrolysis as the introduced water passes,
The flow path 2000 is disposed in at least a partially curved shape inside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
As the introduced water passes through the at least partially curved flow path 2000, it is electrolyzed, so that the average contact amount with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rate of the sterilizing water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주변에 배치된 상기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 방치(9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픈(open)되어 상기 물을 유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가 상기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leaving the drain 952 for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disposed around the spraying part to the outside;
When the sensor unit 10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object,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olenoid valve 200 to be opened to introduce the water,
The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controls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by electrolyzing the introduced wat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근접 센서이고,
상기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및 적외선 근접 센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살균세척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nsor unit is a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is
A cup automatic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KR1020190165817A 2019-12-03 2019-12-12 individu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 KR20210069541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72,202 US20220400927A1 (en) 2019-12-11 2020-12-09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cups and other objects
EP20898770.1A EP4072392A1 (en) 2019-12-11 2020-12-09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cups and other objects
CA3157955A CA3157955A1 (en) 2019-12-11 2020-12-09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cups and other objects
CN202090000995.0U CN219331563U (en) 2019-12-11 2020-12-09 Automatic cup disinfection system, spraying device for polyhedron and disinfection device
PCT/IB2020/000989 WO2021116749A1 (en) 2019-12-11 2020-12-09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cups and other obj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9023 2019-12-03
KR1020190159023 2019-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541A true KR20210069541A (en) 2021-06-11

Family

ID=7637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817A KR20210069541A (en) 2019-12-03 2019-12-12 individu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54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60B1 (en) 2001-05-15 2003-10-30 조기준 An automatic washing machine of cups for a graup feeding
KR101338469B1 (en) 2011-05-18 2013-12-10 주식회사 교원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60B1 (en) 2001-05-15 2003-10-30 조기준 An automatic washing machine of cups for a graup feeding
KR101338469B1 (en) 2011-05-18 2013-12-10 주식회사 교원 Wate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132B1 (en) reverse counting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erect ear type flow type sterilizing module
KR101909003B1 (en)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US2022040092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cups and other objects
US11458214B2 (en)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CN103619229A (en) Conveyor dishwash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nveyor dishwasher
KR102323767B1 (en) Spray device for polyhedron object
JP2012082615A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2283226B1 (en) Smart Complex Washer
KR20210069541A (en) individual cup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using tap water
KR102299062B1 (en)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and water electrolysis control device using high durable electrode
KR102300426B1 (en)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using high durable electrode and sterilization system applying the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KR101645308B1 (en) A shower device of sterilized water having transparent window
CN216571176U (en) Hand disinfection equipment
KR20230022337A (en) Electric water chiller-heater equipped with bubbl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CN206626805U (en) A kind of running water water heater
KR200425399Y1 (en) Hand Treatment Stand for Disinfection, Wash, and Dry
CN203990283U (en) A kind of air processor
US20240084559A1 (en) Dispensing device and hand washing device
KR102214638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water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00342U (en) bubbl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CN213835959U (en) Underwear machine is washed to intelligence ultrasonic wave
CN213216691U (en) Spiral clean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JP2003052556A (en) Automatic hand washing system with ozone water
JPH0453529B2 (en)
KR102283228B1 (en) Multipurpose Washer having Hybrid Water-Ejecting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