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003B1 -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 Google Patents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003B1
KR101909003B1 KR1020160158324A KR20160158324A KR101909003B1 KR 101909003 B1 KR101909003 B1 KR 101909003B1 KR 1020160158324 A KR1020160158324 A KR 1020160158324A KR 20160158324 A KR20160158324 A KR 20160158324A KR 101909003 B1 KR101909003 B1 KR 101909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ensor
sterilizing water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9127A (en
Inventor
박종하
조정호
국동훈
서일광
장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프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to KR102016015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003B1/en
Publication of KR2018005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센서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수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픈(open)되어 상기 물을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 전해질의 이온을 교환하는 격막 없이 인접하게 배치된 (+) 전극 및 (-)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 전극 및 (-) 전극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300); 및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살균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roviding sterilized water to a user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sterilized water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sterile water to a user in a mist-like manner. A non-contact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noid valve (200) for blocking or permitting the inflow of water from outside;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n approach of an object within a preset range;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200) to open when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approach of the object, to control the flow of the water; (+) Electrode and (-)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a diaphragm for exchanging ions of an electrolyte, and water flowing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 electrode and the (-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for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And a jetting unit 600 for jett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the outside.

Description

비접촉식 수처리 장치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0001]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센서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roviding sterilized water to a user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sterilized water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sterile water to a user in a mist-like manner.

신종 인플루엔자(H1N1) 메르스(MERS)의 전염 및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도 최근 발표된 인플루엔자 표본 감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증가하고 있어 질병 관리본부는 신종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전국에 발령하고 주의를 당부하고 우선 접종대상자의 예방접종 권고와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관리에 철저히 임하도록 발표하였다.With the spread of H1N1 mers (MERS) worldwide and the recent influenza surveillance in Korea, the number of influenza viruses has increased, and the Disease Control Division has issued a new influenza pandemic alert nationwide We advised you to pay attention and give priority to immunization recommendations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such as hand washing.

최근에 보도된 기사에 따르면 인천지역에서 전염성이 매우 높은 수인성 질환과 식중독이 해마다 즐고 있지만 원인을 찾지못하고 있다.According to a recent report, the highly contagious water-borne diseases and food poisoning in Incheon are enjoying year by year, but the cause is not found.

이러한 질병은 오염된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미생물과 바이러스에 감염돼 구토, 설사, 발열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이다.These diseases are infected with microorganisms and viruses in the process of ingesting contaminated water and food, and are symptoms of symptoms such as vomiting, diarrhea and fever.

대표적인 식중독균으로 노로 바이러스와 병원성 대장균 등이 있으며, 최근 기후와 환경요인의 변화 등으로 발생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Norovirus and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re typical food poisoning bacteria. Recently, the incidence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세계적으로 해마다 발생되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해 동시 다발적인 전염병이 발생하나 이에 대한 뚜렷한 예방책이 없으며 유일한 예방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개인위생(손씻기)으로 약 90%의 예방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 are simultaneous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bacteria and viruses that occur every year in the world, but there is no clear preventive measure against them. The only precautionary measure is that about 90% of preventive effect is expected due to personal hygiene (hand washing).

개인위생(손씻기)를 위해 이용되는 수돗물은 수도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항균/살균 처리 등의 전처리 작업을 거치게 되나, 노후된 상수도 관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세균이 증식되는 문제가 있다.Although the tap water used for personal hygiene (hand washing) is pre-treated before antimicrobial / sterilization treatment before being supplied to each household through the water pipe, it is inevitably proliferated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hrough the old water supply pipe .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의 수돗물의 공급 비율은 6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40%에 달하는 가정에서는 항균/살균 처리가 되지 않은 지하수를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supply ratio of tap water in Korea is only 60%, and 40% of the households are supplied with groundwater not treated with antibacterial / sterilization.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니즈가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38469호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338469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roviding sterilized water to a user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sterilized water generated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diaphragm to a user in a mist system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a non-contact type senso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수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픈(open)되어 상기 물을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 전해질의 이온을 교환하는 격막 없이 인접하게 배치된 (+) 전극 및 (-)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 전극 및 (-) 전극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300); 및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살균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non-contact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lenoid valve (200) for blocking or allowing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n approach of an object within a preset range;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200) to open when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approach of the object, to control the flow of the water; (+) Electrode and (-)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a diaphragm for exchanging ions of an electrolyte, and water flowing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 electrode and the (-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for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And a jetting unit 600 for jett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분사부(600)는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수가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ayer 600 may spray the sterilizing water in the form of a mist using a nozzle.

또한, 상기 분사부(600)는,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살균수가 유입되는 살균수 유입부(620);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기 위한 기체 유입부(643); 및 상기 살균수 유입부(620)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와 상기 기체 유입부(643)를 통해 유입된 기체가 혼합되고, 상기 기체 혼합 액체를 상기 외부로 분사하는 회전유도부(630);를 포함하ㅣㄹ 수 있다.The sprayer 600 includes a sterilizing water inlet 620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flows; A gas inflow portion 643 through which gas flows from the outside; And a rotation inducing part 630 for mixing the germicidal water flowing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inlet part 620 and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let part 643 and injecting the gas mixture liquid to the outside Can be ordered.

또한, 상기 살균수 유입부(620)는 상기 살균수가 회전하면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전유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inlet 62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rotation inducing line for inducing the sterilizing water to flow while being rotated.

또한, 상기 회전유도부(630)는, 상기 기체 혼합 액체가 회전하면서 상기 외부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나선형의 회전유도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inducing unit 630 may include a helical rotation inducing space for inducing the gas mixture liquid to be injected to the outside while rotating.

또한, 상기 회전 유도 공간은 상기 기체 혼합 액체가 분사되는 공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induction space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oward a space where the gas mixture liquid is injected.

또한, 상기 외부로 분사되는 기체 혼합 액체는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될 수 있다.Further, the gas mixture liquid ejected to the outside may be discharged accompanied by a pulsation phenomenon.

또한, 상기 기체 유입부(643)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회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전유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 inlet 643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rotation inducing line for inducing rotation of the ga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센서부는 근접 센서이고, 상기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및 적외선 근접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may b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roviding sterilized water to a user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sterilized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diaphragm to a user in a mist-type manner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a non-contact type sensor.

또한, 본 발명은 미스트 절수 노즐을 적용하여 일반 수전에 비해 60~70%의 절수를 할 수 있고, 수압이 상승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saving nozzle having a water saving of 60 to 70% compared with that of a general water tank, and a water pressur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수전 손잡이에 의한 접촉성 감염을 예방하고, 살균수를 이용함으로써 수배관을 통한 전염원 차단과 사용자 손 살균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act infections caused by hand grips using a non-contact type infrared sensor and blocking the infusion source through the water pipe and sterilizing the user's hand by using sterilized water.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살균수 생성부, 제어부 등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를 통해 살균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센서부 및 분사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가 비접촉식 센서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분사부에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조에 포함된 회전공간, 회전유도라인, 에어 투입구 등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 solenoid valve, a sterilizing water generator, and a control unit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sterilized water through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ized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 sensor unit and an injection unit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diaphragm to a user in a mist mode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a non-contact typ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for spraying sterilizing water in a mist-type spraying part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specific details of the rotation space, the rotation induction line, and the air inlet included in the structure for spraying sterilizing water described in FIG. 8 in the mist typ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것과 같이, 개인위생(손씻기)를 위해 이용되는 수돗물은 수도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항균/살균 처리 등의 전처리 작업을 거치게 되나, 노후된 상수도 관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세균이 증식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ap water used for personal hygiene (hand washing) is generally subjected to pretreatment such as antibacterial / sterilizing treatment before being supplied to each household through a water pipe. However,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hrough an old water supply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bacteria grow.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의 수돗물의 공급 비율은 6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40%에 달하는 가정에서는 항균/살균 처리가 되지 않은 지하수를 공급받고 있어 문제된다.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supply of tap water in Korea is only 60%, and 40% of the households are supplied with groundwater that has not been treated with antibacterial / antiseptic.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roviding sterilized water to a user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sterilized water generated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diaphragm to a user in a mist system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a non-contact type sensor.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장치(10)는 센서부(100),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500), 분사부(600), 조절부(800) 및 전원공급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a solenoid valve 200,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 interface unit 400, a control unit 500, A controller 600, a controller 800, and a power supply 700.

먼저, 센서부(100)는 수처리 장치(10)의 개폐 상태, 수처리 장치(1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수처리 장치(10)의 방위, 수처리 장치(1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수처리 장치(1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수처리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First, the senso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the posi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the user's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10)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예를 들어 근접 센서가 수처리 장치(10)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can sense the user's body in proximity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또한, 전원 공급부(70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0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70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40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전술한 것과 같이, 센서부(10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상에 출력될 수 있다.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a display unit (not shown).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디스플레이부는 수처리 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portion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on structure.

센서부(100)의 일례로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이용될 수 있고,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100, a display unit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can be used. In a case where the sensor unit 100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or a capacitance occurring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00)는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 unit 500. Thus, the control unit 50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is touched or the like.

또한, 센서부(100)의 일례인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수처리 장치(1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Further, the proximity sensor 141, which is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10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wrapped by the touch screen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즉,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수전 손잡이에 의한 접촉성 감염을 예방하고, 살균수를 이용함으로써 수배관을 통한 전염원 차단과 사용자 손 살균 세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ontact infections caused by a hand grip using a non-contact type infrared ray sensor, and can provide an effect of blocking an infusion source through a water pipe and sterilizing a user's hand by using sterilized water.

다음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제어부(500)로부터의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됨으로써, 살균수 생성부(300)에 의한 살균수 공급 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solenoid valve 200 may be individually opened or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mode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can be executed.

또한, 살균수 생성부(300)는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section 3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diaphragm.

예를 들어, 무격막의 2개의 (+) 전극과 (-)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wo (+) and (-) electrodes of a non-diaphragm.

단, 본 발명의 내용이 2개의 전극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무격막의 한쌍의 (+) 전극과 (-)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개수의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wo electrodes, but a larger number of electrodes may be included in the case of including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diaphragm.

이때, 살균수 생성부(300) 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 사이에는 격막이 존재하지 않고, 무격막 환경에서 원수에 존재하는 미량의 물속 미네랄과 잔류염소가 전해질 역할을 하므로 전극의 소재에 따라 고효율의 전해 살균수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diaphragm between at least two electrodes disposed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section 300, a trace amount of water mineral existing in the raw water in the seawater environment and residual chlorine serve as an electrolyte, Can be obtained.

살균수 생성부(300)를 통한 살균수 생성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terilizing water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인터페이스부(400)는 수처리 장치(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구 및 장치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40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the external apparatuses and devices connect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인터페이스부(40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수처리 장치(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수처리 장치(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interface unit 400 provides a structure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transmit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or receives data from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00)에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400.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수처리 장치(1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수처리 장치(1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수처리 장치(1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whe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ted from the cradle by the user are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 And may be a passage that is communicated to the device 10.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수처리 장치(1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ted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또한, 제어부(500)는 센서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전원공급부(700) 및 분사부(6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200,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the power supply unit 700, and the sprayer 600 based on a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

제어부(controller, 500)는 통상적으로 수처리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50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

상기 제어부(50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500)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such a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제어부(500)는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또한, 전원 공급부(7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70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또한, 분사부(600)는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etting section 600 can supply sterile water to the user.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살균수를 미스트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spray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 structure in which sterilizing water is spray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mis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미스트 절수 노즐을 적용하여 일반 수전에 비해 60~70%의 절수를 할 수 있고, 수압이 상승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ray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saving of 60 to 70% compared to that of a general water tank by applying the mist water saving nozzle, and the water pressure can be increased.

분사부(600)의 구체적인 구조 등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specific structure and the like of the jetting unit 6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마지막으로 조절부(800)는 사용자가 수처리 장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Finally, the controller 80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by the user.

조절부(8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절부(800)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Also, the user control unit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control the supply of hot water and cold water.

또한, 조절부(800)는 일반 수돗물이 유입되는 구성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00 can be us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general tap water is introduced.

조절부(800)로 유입된 수돗물은 조절부(800)를 통해 다른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tap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trol unit 800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configur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800.

한편, 도시하시는 않았지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장치(10)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실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outside.

여기서 무선통신부의 통신 기술에 이용되는 통신은 원거리 무선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sed in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near-field communication may use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y.

또한, 원거리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Further,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Technology may be used.

한편,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2 shows a concrete example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the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측에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부(600)와 사용자가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10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a spraying unit 600 for discharging sterilized water to the outside and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 user's proximity to the sterilizing water are illustra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적용되는 센서부(100)는 근접 센서인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nsor unit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ximity sens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분사부(600)는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살균수를 미스트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sprayer 600 can supply sterilized water to the user. The spraye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 structure to spray sterilized water to the user in the form of mis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미스트 절수 노즐을 적용하여 일반 수전에 비해 60~70%의 절수를 할 수 있고, 수압이 상승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ray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saving of 60 to 70% compared to that of a general water tank by applying the mist water saving nozzle, and the water pressur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have.

이러한 근접센서를 통해, 본 발명은 비접촉식으로 수처리 장치(10)를 운용함으로써, 수전 손잡이에 의한 접촉성 감염을 예방하고, 살균수를 이용함으로써 수배관을 통한 전염원 차단과 사용자 손 살균 세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use of the proximity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ontact infections caused by a hand grip by operating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in a noncontact manner, and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infectious source through the water pipe by using sterilized water, Can be provided.

다음으로, 도 2의 중간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인터페이스부(400), 전원공급부(700) 및 제어부(500)가 도시되어 있다.2, a solenoid valve 200,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 interface unit 400, a power supply unit 700, and a control unit 500 are show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중간의 콘트롤 박스의 표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50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2, the controller 50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trol box.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500 may be changed.

또한, 상기에서는 센서부(100)가 분사부(600)의 상단에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서부(100)는 수처리 장치(10)의 중간 파트 또는 하단 파트에 배치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ensor unit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as being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pray unit 6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in the lower part.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살균수 생성부, 제어부 등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3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 solenoid valve, a sterilizing water generator, and a control unit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a solenoid valve 200 is shown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제어부(500)로부터의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됨으로써, 살균수 생성부(300)에 의한 살균수 공급 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200 may be individually opened or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mode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can be executed.

또한, 살균수 생성부(300)는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해 살균수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section 300 generates electrolytic sterilized water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the diaphragm.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를 통해 살균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sterilized water through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ized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통해, 물의 전기분해 및 살균수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The process of generating electrolysis and sterilization water of wa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일반적으로 이온수기는 이온수 생성기 또는 환원수기라 부르고 있으며 이온수기는 정수기와 전해조를 구비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가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Generally, an ionizer is called an ionized water generator or a reduced water, and an ionizer has a water purifier and an electrolytic cell, and acidic ionized water and alkaline ionized water are produced by electrolysis.

이렇게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는 주로 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산성 이온수는 피부 미용수 또는 소독수, 세척수로 사용된다. The alkaline ionized water thus generated is mainly used for beverage, and the acidic ionized water is used for skin cosmetic or disinfecting water and washing water.

하지만 대부분의 식음용 알칼리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함께 생산되는 산성수는 폐수되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process of producing most of the alkaline water for food, acidic water produced together is wastewater.

또한 소독수, 세척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이온수기에서 생성되는 산성수는 그 살균력이 낮고, 일반적인 알칼리 이온수기에서 생성되는 산성수는 일반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양극방에서 생성되는 이온수로 pH농도가 약 4.0 ~ 6.5 사이로 생성된다.In addition, the acidic water produced in a general ionizer is low in sterilizing power and the acidic water generated in a general alkaline ionizer is electrolyzed in a general water, Lt; / RTI >

한편, 강산성 이온수는 일반 알칼리 이온수기에서 생산하는 과정이 동일하지만 희석소금용액(0.2%이하)를 정량펌프를 통해 공급하여 전기분해 과정을 거치면 강한 살균력을 갖는 강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rong acidic ionized water is produced in the general alkaline ionized water system, but strong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having a strong sterilizing power is produced when a dilute salt solution (0.2% or less) is supplied through a metering pump and electrolyzed.

이에 강한 살균력을 갖는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별도의 용매(NaCl 또는 HCl 등)를 혼합한 정수에 전기분해하여 강산성 또는 강알칼리성 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현재 동일한 전해조에서 알칼리수와 강산성수가 생성되는 이온수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강산성수 생성 후 알칼리수 생성 사용 시 사용자에게 냄새를 유발하는 한편 음용하였을 경우 인체에 무해하다는 검증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In order to produce strongly acidic hypochlorous acid having a strong sterilizing power, man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in order to generate strongly acidic or strongly alkaline ionized water by electrolysis in a purified water containing a separate solvent (such as NaCl or HCl) Currently, an ionizer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lkaline water and strong acidic water are produced in the same electrolytic cell. However, there is no verification result that, when using alkaline water production after generating strong acidic water, causing smell to user and drinking alcohol is harmless to human body.

도 4를 참조하면, 격막을 기준으로 (+)극과 (-)극이 존재하고 전해질에서 음이온은 (+)극으로 이동하고, 양이온은 (-)극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수분해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4, the positive and negative poles are present on the basis of the diaphragm, the anions in the electrolyte move to the (+) pole, and the cations move to the (-) pole.

또한, 수돗물을 전해질로 하여 음이온으로 분류되는 요소들이 (+)극으로 이동하고, 양이온으로 분류되는 요소들이 (-)극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ap water is used as an electrolyte and the elements classified as anions move to the (+) pole and the elements classified as positive move to the (-) pole.

결국 (+)극에서는 산성 이온수가 생성되어 출력가능하고, (-)극에서는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어 출력 가능하다.As a result, acidic ionized water can be generated and output at the (+) electrode, and alkaline ionized water can be generated at the (-) electrode and output.

한편, 격막을 이용하지 않는 전기분해를 무격막전기분해이라고 한다.On the other hand, electrolysis without diaphragm is referred to as non-diaphragm electrolysis.

즉, 무격막전기분해는 (+)전극과 (-)전극의 사이에 격막을 사용하지 않는 전기분해를 의미하고, 작은 힘으로 전기분해를 하므로 전기의 저항이 작아서 유격막보다 약한 열이 발생된다.That is, the non-diaphragm electrolysis means electrolysis that does not use a diaphragm between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and since the electrolysis is performed with a small force, the electric resistance is small, .

유격막은 격막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극과 (-)전극의 사이에 이온만 통과되고 물은 통과하지 않게 하기 위해 격막을 사용하는 방식이다.The channel membrane uses a diaphragm to pass only ions between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and uses a diaphragm to prevent water from passing through.

유격막전기분해는 무격막전기분해에 비해 단위시간당 최대의 효율을 얻게 되고, 격막이 있는 이유는 ph를 원하는 수치에 매핑하기 위함이다.The capillary membrane depolarization achieves maximum efficiency per unit time compared to the non-septic electrolysis, and the reason for the diaphragm is to map the pH to the desired value.

무격막은 양쪽 전극에 물의 흐름이 없게 되므로 전기의 힘이 많이 필요하므로 열이 발생되고, 결국 전기의 저항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impulsive membrane has no water flow on both electrodes, so it requires a lot of electric power, which means that heat is generated and the electric resistance is large.

단, 무격막방식이라도 가동 시간이 길어지면 유격막방식과 마찬가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even in the non-diaphragm type, if the operation time is prolonged, the same phenomenon as that of the clearance membrane type may occur.

유격막 방식의 경우 (-)극쪽, 즉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는 쪽의 극실에 미량의 잔류물들이 남는데 이것은 전기분해 하면서 (-)전극 쪽에 있는 백금족 금속 이온들이 떨어져 나오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capillary membrane type, a small amount of residues remain in the negative (-) side, ie, the negative side of the alkaline ionized water side, which causes electrolytic decomposition of the platinum group metal ions on the (-) electrode side.

이것을 지속적으로 농축을 시키게 되면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의 불순물이 형성된다.When this is continuously concentrated, an impurity as visible to the naked eye is formed.

이온수기의 경우 한쪽의 극성만 쓰게 되면 어느 순간 스케일이 과도하게 전극의 표면에 끼게 되어 급격한 효율의 감소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단위 시간별로 아주 짧은 순간 동안에 전기의 극성을 바꿔서 스케일을 인위적으로 떨어지게 하는 방식을 채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onizer, if only one polarity is used, the scale is excessively put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so that the efficiency is rapidly reduced. To prevent this phenomenon, the polarity of the electricity is changed for a very short time A method of artificially falling can be adopted.

담수 된(즉, 일정한 용기에 저장된) 물을 가지고 전기분해를 할 경우 전극의 극성을 바꾸게 되면 오히려 전극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효율을 낮출 수도 있다.When electrolyzed with fresh water (ie, stored in a certain container), if the polarity of the electrode is changed, the life of the electrode may be influenced and the efficiency may be lowered.

살균수 생성부(300) 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 사이에는 격막이 존재하지 않고,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무격막 환경에서 원수에 존재하는 미량의 물속 미네랄과 잔류염소가 전해질 역할을 하므로 전극의 소재에 따라 고효율의 전해 살균수를 얻을 수 있다.Since there is no diaphragm between at least two electrodes disposed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section 300 and a trace amount of water mineral and residual chlorine present in the raw water in the seawater environment serve as an electroly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of high efficiency can be obtain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또한, 전원공급부(700)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700 provides a function of supplying driving power for each component.

한편, 인터페이스부(400)는 제 1 인터페이스부(410), 제 2 인터페이스부(420) 및 제 3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interface unit 410, a second interface unit 420, and a third interface unit 430.

즉,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부(600)와 사용자가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100)를 포함하는 상측과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배관(440)이 도시되어 있는데, 배관(440)과 살균수 생성부(300)를 연결하기 위해 제 3 인터페이스부(430)가 이용될 수 있다.That is, a piping 440 is shown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middle portion including the spraying portion 600 for discharging the sterilized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sensor portion 100 for sensing that the user is located adjacent to the piping 440.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interface unit 430.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200)와 살균수 생성부(300)를 연결하기 위해 제 2 인터페이스부(420)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face 420 may be used to connect the solenoid valve 200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또한, 물이 유입되는 조절부(800)와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연결하기 위해 제 1 인터페이스부(410)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terface 410 may be used to connect the controller 800 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또한, 도 2의 하단에는 조절부(800)가 도시된다.In addition, an adjustment unit 800 is shown at the lower end of FIG.

조절부(80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800, the user can control the supply of the desired hot water and cold water.

또한, 조절부(800)의 하단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수돗물이 제 1 인터페이스부(410)을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ap water flow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regulating unit 800, the introduced tap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unit 410.

한편,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5 shows an example of a concrete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the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장치(10)는 센서부(100),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500), 분사부(600), 조절부(800) 및 전원공급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a solenoid valve 200,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an interface unit 400, a control unit 500, a spraying unit 600, 800, and a power supply unit 700.

도 5의 상단에는 센서부(100)와 분사부(600)의 구체적인 배치 형태가 도시된다.5 shows a specific arrangement of the sensor unit 100 and the jetting unit 600. As shown in FIG.

또한, 도 5의 중단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살균수 생성부(300) 및 제어부(500)의 배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5, the arrangement of the solenoid valve 200,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and the control unit 500 is shown.

또한, 도 5의 하단에는 조절부(800)의 배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an arrangement of the adjustment unit 800 is shown at the bottom of FIG.

한편,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센서부 및 분사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sensor unit and a jet unit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sterile water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근접 센서인 센서부(100)는 인접한 사용자의 존재를 센싱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ensor unit 100, which is a proximity sensor, senses the presence of an adjacent user.

또한, 분사부(600)는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살균수를 미스트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6, the spray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sterilizing water is spray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mist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미스트 절수 노즐을 적용하여 일반 수전에 비해 60~70%의 절수를 할 수 있고, 수압이 상승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ray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saving of 60 to 70% compared to that of a general water tank by applying the mist water saving nozzle, and the water pressure can be increased.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을 기초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10)가 비접촉식 센서(100)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non-contact type sensor 100,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with the sterilized water generated by the mist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부(1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인접한 것을 센싱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Referring to FIG. 7, step S100 is performed in which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at the user is adjac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대표적으로 센서부(100)로서 근접 센서가 이용되어 사용자의 인접 사실을 감지할 수 있다.Typically, a proximity sensor is used as the sensor unit 100 to sense a user's neighboring facts.

이후, 센싱된 정보가 제어부(500)에 전달되고,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픈(open)되는 단계(S200)가 진행된다.Thereafter, the sens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olenoid valve 200 to be opened (S200).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오픈에 대응하여, 조절부(800)를 통해 원수가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In response to the opening of the solenoid valve 200, a step S300 in which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regulating unit 800 proceeds.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된 원수가 살균수 생성부(300)로 제공(S400)된다.Also, the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solenoid valve 200 is supplied to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S400).

살균수 생성부(300) 내에 존재하는 무격막의 적어도 한 쌍의 (+) 및 (-) 전극들은, 살균수 생성부(300)에 공급된 원수를 전기분해 하여 살균수를 생성(S500)한다.At least one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segregation membrane in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300 electrolyzes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300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S500 .

또한, 생성된 살균수가 배관(440)를 따라 분사부(600)에 전달(S600)되고, 결국, 분사부(600)에서 미스트 노즐을 통해 살균수를 분사(S700)한다.In addition, the generated sterilization water is transmitted to the sprayer 600 along the pipe 440 (S600), and finally the steriliz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mist nozzle at the sprayer 600 (S700).

분사부(600)의 살균수 분사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있는 경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간 동안 분사된 이후에 자동으로 분사가 중단될 수 있다.The spraying of the sterilizing water of the spraying unit 600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after the spraying for the predetermined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tim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분사부(600)에서 살균수를 분사함에 있어서, 살균수를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고, 기존의 방식보다 강력하게(powerfully) 분사하며, 기체와의 결합을 통해 맥동현상을 수반하도록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In the mean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in the spraying unit 600, the sterilizing water is sprayed in the form of mist, and is sprayed more powerful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o propose a structure capable of jetting to the outsid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분사부에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for spraying sterilizing water in a mist-type spraying part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분사부(600)의 구조만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8, only the structure of the jetting unit 6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nlarged.

도 8의 분사부(800)는 (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하우징(610), 살균수 유입부(620) 및 회전유도부(630)로 구성된다.8 is composed of an outer housing 610, a sterilizing water inflow section 620 and a rotation inducing section 630 as shown in (b).

먼저, 외부 하우징(6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장치에 분사부(8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고, 외부 하우징(6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부로부터 에어(air) 등의 기체가 유입되기 위한 에어 투입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First, the outer housing 610 functions to fix the jetting unit 800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housing 610 is provided with a gas such as air from the outside At least one air inlet portion may be provided.

또한, 살균수 유입부(620)는 살균수 생성부(300)가 생성한 살균수를 전달받아 회전유도부(630)로 살균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sterilizing water inlet 620 receives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and supplies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rotation inducing unit 630.

또한, 회전유도부(630)는 살균수 유입부(620)로부터 전달받은 살균수를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고, 기존의 방식보다 강력하게(powerfully) 분사하며, 기체와의 결합을 통해 맥동현상을 수반하도록 외부로 분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inducing unit 630 injects the sterilized water received from the sterilized water inflow unit 620 in the form of mist, emits powerful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causes pulsation through the coupling with the gas And is sprayed to the outside.

도 8의 (a)를 참조하면, 살균수 유입부(620)의 제 1 공간(641)을 통해 살균수 생성부(300)가 생성한 살균수가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8A,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flows through the first space 641 of the sterilizing water inlet 620.

또한, 유입된 살균수는 살균수 유입부(620)와 회전유도부(630)가 결합된 중간의 제 2 영역(644)으로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inflowing sterilized water drops to the middle second region 644 where the sterilized water inflow portion 620 and the rotation inducing portion 630 are combined.

이때, 제 2 영역(644)은 제 3 영역(645) 및 제 4 영역(646) 방향으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라인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region 644 includes a line for inducing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region 645 and the fourth region 646.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조에 포함된 회전공간, 리브살, 회전유도라인, 에어 투입구 등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specific details of the rotating space, the rib fins, the rotation induction line, and the air inlet included in the structure for spraying sterilizing water described in FIG. 8 in the mist type.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영역(644)에 제 3 영역(645) 및 제 4 영역(646) 방향으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 라인(644a, 644b)이 형성되어 있다.9, lines 644a and 644b formed to induce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region 645 and the fourth region 646 ar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644.

즉, 제 2 영역(644)에는 제 3 영역(645) 방향으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복수의 라인(644a)이 단차를 이루며 구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lines 644a ar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644 in order to induce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region 645.

또한, 제 2 영역(644)에는 제 4 영역(646) 방향으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복수의 라인(644b)이 단차를 이루며 구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lines 644b ar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644 so as to induce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ourth region 646.

살균수 유입부(620)와 회전유도부(630)가 결합된 중간의 제 2 영역(644)으로 떨어진 살균수는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 라인(644a, 644b)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체 회전이 유도되고, 여기서 발생된 회전을 통해 살균수는 미스트 상태로 분사 가능하다.The sterilized water dropped to the middle second region 644 in which the sterilized water inflow portion 620 and the rotation induction portion 630 are combined moves along the lines 644a and 644b formed to induce the rotation, , And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sprayed in the mist state through the generated rotation.

다시 도 8로 복귀하여, 제 2 영역(644)으로 떨어진 살균수는 결국 제 3 영역(645) 및 제 4 영역(646)으로 이동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 3 영역(645) 및 제 4 영역(646)에는 추가적인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 공간이 구성된다.8, the sterilized water that has fallen into the second region 644 is eventually transferred to the third region 645 and the fourth region 646 and falls down. At this time, the third region 645 and the third region 646 4 area 646 constitutes a rotation space for inducing additional rota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 3 영역(645)은 수직방향으로 아래로 내려갈수록 관로가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회전하면서 살균수가 하단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회전 구조를 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third region 645 has a shape in which the channel becomes narrower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rotating structure that rotates the sterilization water down to the lower end.

마찬가지로, 제 4 영역(646)은 수직방향으로 아래로 내려갈수록 관로가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회전하면서 살균수가 하단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회전 구조를 취하고 있다.Similarly, the fourth region 646 has a shape in which the channel becomes narrower as it goes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rotating structure that rotates the sterilization water down to the lower end.

결국, 살균수는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 라인(644a, 644b)을 따라 이동하면서 1차적으로 회전이 유도되고, 제 3 영역(645) 및 제 4 영역(646)에 형성된 관로가 좁아지는 회전 공간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회전이 유도되게 된다.As a result, the sterilizing water is guided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moving along the lines 644a and 644b formed to induce the rotation, and the rotating space formed in the third region 645 and the fourth region 646 is narrowed The second rotation is induced.

이렇게 회전이 유도된 살균수는 제 3 영역(645) 및 제 4 영역(646) 말단의 좁은 관로를 통해 미스트의 형태로 외부로 분사된다.The sterilized water thus induced is injected into the third region 645 and the fourth region 646 through a narrow channel at the end of the fourth region 646 in the form of mist.

즉, 살균수는 도 8의 제 5 영역(642)를 통해 미스트의 형태로 외부로 분사된다.That is, the sterilizing water is injected outward in the form of mist through the fifth region 642 of FIG.

이때, 분사되는 살균수는 이중의 회전을 포함하고, 좁아지는 관로 형태를 통해 분사되므로, 기존의 출력보다 높은 출력을 갖고 외부로 분출된다.At this time, the sprayed sterilizing water includes double rotations and is sprayed through the narrowing pipe shape, so that it has an output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utput and is eject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사되는 살균수의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맥동현상을 포함하는 기체와 액체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germicidal effect of sprayed sterilizing water, a gas-liquid mixture including a pulsation phenomenon may be spraye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600)는 외부로부터 에어 등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제 6 공간(643)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jett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xth space 643 through which gas such as air can flow from the outside.

여기서 제 6 공간(643) 단순하게 직선의 유입 공간이 아니라 유입되는 기체에 대해서도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회전 관로의 형태로 구현된다.Here, the sixth space 643 is implemented not only as a linear inflow space, but also as a rotary pipe to induce rotation of the inflowing gas.

또한, 제 6 공간(643)은 한 개가 아니라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xth space 643 may be implemented in plural, not in one.

도 9를 참조하면, 기체가 유입되는 제 6 공간(643)은 제 1 유입부(643a) 및 제 2 유입부(643b)로 2개로 구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ixth space 643 through which the gas is introduced is implemented as a first inlet 643a and a second inlet 643b.

단,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개수의 기체 유입부가 구현될 수 있고, 1개의 기체 유입부만 이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gas inflow parts can be realized, and only one gas inflow part can be used.

또한, 도 9의 제 1 유입부(643a) 및 제 2 유입부(643b)는 유입되는 기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관로의 형태로 구현된다.In addition, the first inlet portion 643a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643b of FIG. 9 are realized in the form of a conduit rotating so that the introduced gas can be rotated.

제 1 유입부(643a) 및 제 2 유입부(643b)로 유입된 기체는 도 8의 제 2 영역(644)에서 회전하는 살균수와 섞이게 되고, 여기서 섞인 기체 및 살균수는 제 3 영역(645) 및 제 4 영역(646)에 형성된 관로가 좁아지는 회전 공간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회전이 유도된다.The ga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flow portion 643a and the second inflow portion 643b is mixed with the sterilizing water rotating in the second region 644 of Figure 8 and the mixed gas and sterilizing water is mixed with the third region 645 ) And the fourth region 646, the rotation is secondarily induced.

회전이 유도된 기체 및 액체 혼합물은 맥동현상을 수반하면서 제 5 영역(642)를 통해 미스트의 형태로 외부로 분사된다.The rotation induced gas and liquid mixture is ejected outward in the form of mist through the fifth region 642 with pulsation.

본 발명에서의 맥동 현상이란 자유 수면이 없는 액체의 흐름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과 토출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pulsation phenomen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liquid and the discharge amount fluctuate periodically in the flow of liquid without free water surface, which causes periodic vibration.

이와 같은 맥동 현상의 발생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배관의 토출 관로가 길고, 배관의 내부에 에어 포켓 등의 공기가 괴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re are various causes of such a pulsation phenomenon, but it is known that such a phenomenon occurs when a discharge pipe of a pipe is long and there is a portion where air such as an air pocket is stuck inside the pipe.

맥동 현상은 관내 유체의 원할한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배관 내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관의 단면적, 유속, 유량을 조절하는 등과 같은 맥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맥동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가해지는 충격량을 통해 분사되는 살균수의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The pulsation phenomenon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smooth flow of the fluid in the tube. Generally, a method for preventing the pulsation phenomenon such as removing the air in the pipe,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pipe has been studied. The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maximizing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sterilized water injected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pulsation phenomenon and the applied impact quantity.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2중의 회전 구조를 통해 효율적인 미스트 생성이 가능하고, 좁아지는 관로 형태 및 2중의 회전 구조를 통해 강력한 미스트 분출이 가능하며, 맥동현상을 수반하는 살균수를 분출함으로써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generate mist through the double-rotation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eject the mist with a narrow channel shape and a double rotation structure,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roviding sterilized water to a user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무격막의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sterilized water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f a diaphragm to a user in a mist-type manner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a non-contact type sensor.

또한, 본 발명은 미스트 절수 노즐을 적용하여 일반 수전에 비해 60~70%의 절수를 할 수 있고, 수압이 상승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saving nozzle having a water saving of 60 to 70% compared with that of a general water tank, and a water pressur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수전 손잡이에 의한 접촉성 감염을 예방하고, 살균수를 이용함으로써 수배관을 통한 전염원 차단과 사용자 손 살균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act infections caused by hand grips using a non-contact type infrared sensor and blocking the infusion source through the water pipe and sterilizing the user's hand by using sterilized water.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has been present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tilize each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of mutually combining th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be included in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the filing.

Claims (9)

외부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00);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픈(open)되어 상기 물을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
전해질의 이온을 교환하는 격막 없이 인접하게 배치된 (+) 전극 및 (-)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 전극 및 (-) 전극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300); 및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살균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600)는,
상기 살균수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살균수가 유입되는 살균수 유입부(620);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기 위한 기체 유입부(643); 및
상기 살균수 유입부(620)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와 상기 기체 유입부(643)를 통해 유입된 기체가 혼합되고, 상기 기체 혼합 액체를 상기 외부로 분사하는 회전유도부(63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로 분사되는 기체 혼합 액체는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며,
상기 회전유도부(630)는, 상기 기체 혼합 액체가 회전하면서 상기 외부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나선형의 회전유도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유도 공간은 상기 기체 혼합 액체가 분사되는 공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며,
상기 살균수 유입부(620)는 상기 살균수가 회전하면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전유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유입부(643)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회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전유도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수처리 장치.
A solenoid valve (200) for blocking or allowing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n approach of an object within a preset range;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200) to open when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approach of the object, to control the flow of the water;
(+) Electrode and (-)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a diaphragm for exchanging ions of an electrolyte, and water flowing into the solenoid valve 200 through the (+) electrode and the (-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for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And
And a spraying unit 600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300 to the outside,
The jetting unit (600)
A sterilizing water inlet 620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300 flows;
A gas inflow portion 643 through which gas flows from the outside; And
And a rotation inducing part 630 for mixing the germicidal water flowing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inlet part 620 and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let part 643 and injecting the gas mixture liquid to the outside ,
The gas mixture liquid ejected to the outside is discharged with a pulsation phenomenon,
The rotation inducing unit 630 includes a helical rotation inducing space for inducing the gas mixture liquid to be injected to the outside while rotating,
The rotation induction space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a space where the gas mixture liquid is injected.
The sterilizing water inlet (62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rotation inducing line for inducing the sterilizing water to flow while being rotated,
Wherein the gas inlet (643)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rotation inducing line for guiding rotation of the ga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600)는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수가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ayer (600) is adapted to spray the sterilizing water in the form of a mist using a nozz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근접 센서이고,
상기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및 적외선 근접 센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is a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includes:
Wherein the contactless type photoelectric sensor, the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the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the capacitive proximity sensor, the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the infrared proximity sensor.
KR1020160158324A 2016-11-25 2016-11-25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KR101909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24A KR101909003B1 (en) 2016-11-25 2016-11-25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24A KR101909003B1 (en) 2016-11-25 2016-11-25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27A KR20180059127A (en) 2018-06-04
KR101909003B1 true KR101909003B1 (en) 2018-10-17

Family

ID=6262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324A KR101909003B1 (en) 2016-11-25 2016-11-25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0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526B1 (en) 2020-06-04 2020-09-24 주식회사 일과사람 A dispenser valve pusher using a power and its method
KR20220013968A (en) 2020-07-28 2022-02-04 정병일 Pedal type dispenser holder and its method to discharge the liquid of the dispen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132B1 (en) * 2018-12-21 2021-09-02 주식회사 케스트 reverse counting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erect ear type flow type sterilizing module
KR102323767B1 (en) * 2019-12-02 2021-11-09 이세현 Spray device for polyhedron object
EP4072392A1 (en) * 2019-12-11 2022-10-19 Water Genesi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cups and other objects
KR102299062B1 (en) * 2019-12-18 2021-09-07 주식회사 케스트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and water electrolysis control device using high durable electrode
KR102300426B1 (en) * 2019-12-18 2021-09-10 주식회사 케스트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using high durable electrode and sterilization system applying the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KR102586800B1 (en) 2020-12-16 2023-10-13 주식회사 케스트 Chamber-type sterilizing device
KR20220087142A (en)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케스트 Electrolysis steriliz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1081A (en) * 2009-03-05 2010-09-16 Minoru Sugano Washing device and deodorizing method for washing water
JP2012170929A (en) 2011-02-23 2012-09-10 Yanmar Sangyo Kk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523A (en) * 2010-11-04 2012-05-14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Aseptic water supply apparatus
KR101338469B1 (en) 2011-05-18 2013-12-10 주식회사 교원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1081A (en) * 2009-03-05 2010-09-16 Minoru Sugano Washing device and deodorizing method for washing water
JP2012170929A (en) 2011-02-23 2012-09-10 Yanmar Sangyo Kk Nozzle
JP5743600B2 (en) * 2011-02-23 2015-07-01 ヤンマー産業株式会社 nozz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526B1 (en) 2020-06-04 2020-09-24 주식회사 일과사람 A dispenser valve pusher using a power and its method
KR20220013968A (en) 2020-07-28 2022-02-04 정병일 Pedal type dispenser holder and its method to discharge the liquid of th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27A (en)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003B1 (en)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KR102284132B1 (en) reverse counting contactless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erect ear type flow type sterilizing module
US2022040092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cups and other objects
US20110320134A1 (en) Smart Faucet and Wate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TW201439008A (en) Electrochemical water softening system
CN105396365A (en) Intelligent faucet control system for water purifier
WO2018232749A1 (en) Water dispenser
CN105399240B (en) Water purification shower with intelligent filter core control
CN104865908A (en) Intelligent cell direct drinking water treatment station monitoring system
KR102299062B1 (en)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and water electrolysis control device using high durable electrode
KR102300426B1 (en)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using high durable electrode and sterilization system applying the water electrolysis sterilizing module
KR102323767B1 (en) Spray device for polyhedron object
CN203275249U (en) Intelligent water quality turbidity sensor
KR20210041644A (en) Remote management system of hypochlorous acid
CN215607913U (en) Ozone water spraying device
CN110312837A (en) Drink water generation equipment
CN104712792A (en) Intelligent sterilization constant temperature faucet
JP2015536882A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CN102452708A (en) High-pressure water purifying device
CN105776721B (en) A kind of pollution-removing disinfecting spray head
CN214278133U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river water quality
CN214284513U (en) Water dispenser with intelligent sterilization system
CN215365258U (en) Water for disinfection generates device
WO2022255090A1 (en) Discharge device and hand wash device
CN208345823U (en) The electrode cleaning of falling pole acidic oxidized electric potential water generator automat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