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205A - 애견용 울타리 - Google Patents

애견용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205A
KR20210069205A KR1020190158690A KR20190158690A KR20210069205A KR 20210069205 A KR20210069205 A KR 20210069205A KR 1020190158690 A KR1020190158690 A KR 1020190158690A KR 20190158690 A KR20190158690 A KR 20190158690A KR 20210069205 A KR20210069205 A KR 2021006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wall
partition wall
dog
bulk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팡
Priority to KR102019015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205A/ko
Publication of KR2021006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 E04H17/185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hinged or tied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규격의 울타리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격리공간을 구현하는 애견용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벽체를 지지대로 구획하여 가볍고 견고한 상단부(10) 및 다리부(20)와, 상기 상단부와 다리부를 상하로 연결하며 중량체를 겸하는 것이 특징인 격벽(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애견용 울타리 {DOG FENCE}
본 발명은 애견용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규격의 울타리를 연속으로 이어서 분해결합하기 쉽고 결합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반려견이 밀어도 잘 밀리지 않는 애견용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실내외에서 반려견을 키울 때, 일부공간에 조립식 울타리를 연이어 연결하여 세우면 임시로 격리할 수 있다. 방문한 손님을 접객하거나 사료급여시 편하게 먹도록 반려견을 혼자 둘 경우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통제할 수 있어 유용하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979635호 '애완용 울타리'가 있는데, 하나의 울타리를 다른 하나의 울타리에 조립할 시에 삽입시켜 결합하고 결합했을 때 이탈되지 않는 울타리이다.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창살형태의 울타리(100)에 형성한 결합돌기부(110)를 다른 울타리의 결합홀부(120)에 끼워서 연결하고 이탈방지부(130)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창살형태의 울타리는 바닥면이 좁아서 울타리가 직립하는 힘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울타리가 답답한 반려견들은 앞발을 울타리에 기대고 뒷발로 서서 밖을 보는 행동을 자주하는데 체중 때문에 울타리가 쓰러져 자칫 위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등록특허공보 제10-1272952호 '애견용 펜스 어셈블리'와 같이 중량체(40)를 추가하여 안정감을 높이는 경우도 있으나 조립할 부품이 추가되고 부피가 늘어나 사용하기에 번거롭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963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72952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에 닿는 부분이 충분히 넓고, 사람이 들기에 무겁지 않아 취급이 용이하며, 연결부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어 울타리끼리 겹쳐 쓰러지지 않으며, 견종의 체중에 따라 울타리가 밀리지 않게 무게를 변경할 수 있는 애견용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애견용 울타리는 크게 상단부(10)와 다리부(20)와 격벽(30)으로 구성한다. 상단부(10)와 다리부(20)는 각각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벽체(11,21); 벽체(11,21)의 일단에 형성한 돌기(15,24); 벽체(11,21)의 타단에 형성한 체결공(16,25); 벽체(11,21)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격벽삽입홈(12,22); 격벽삽입홈(12,22)을 지지하는 지지벽(13,23);으로 동일하게 구성한다.
다만 상단부(10)와 다리부(20)의 격벽삽입홈(12,22)이 개방된 방향에 차이가 있는데, 상단부(10)의 격벽삽입홈(12)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반대로 다리부(20)의 격벽삽입홈(22)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막히도록 형성하여 격벽(30)을 격벽삽입홈(12,22)의 아래, 위로 각각 삽입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단부(10)의 돌기(14)의 하부에는 걸림부(15)를 구성하고, 돌기(14,24)와 체결공(16,25)은 팔각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단부(10)와 다리부(20)의 내부가 지지벽(13,23)으로 구획된 중공이므로 무게가 가볍고 견고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좋다.
상단부(10)의 돌기(14) 하부에 걸림부(15)가 있어서 다른 울타리(1)의 체결공(16)에 원터치로 결합하면 울타리(1)끼리 임의로 이탈하지 않으며, 필요시 걸림부(15)를 손으로 누르면 쉽게 분리되므로 편리하다.
돌기(14,24)와 체결공(16,25)은 팔각형으로 구성하여 결합후 임의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반려견이 울타리를 밀어도 울타리가 겹쳐지면서 넘어지는 일이 없다.
중량체를 겸하는 격벽(30)을 구성하여 울타리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무게만 증가시켜 반려견의 체중에 밀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2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3a와 도3b는 각각 본 발명의 상단부(10)의 평면도와 저면사시도
도4a와 도4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리부(20)의 평면도와 저면사시도
도5는 본 발명 울타리(1)를 다른 울타리에 결합하기 전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울타리(1)의 결합후 걸림부(15)가 체결공 저면(16a)에 걸린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와 부분확대도
도7은 본 발명 울타리(1)로 만든 격리공간의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과 도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울타리(1)는 크게 상단부(10)와 다리부(20)와 격벽(30)으로 이루어진다. 긴 판재 형태인 다수의 격벽(30)이 상단부(10)와 다리부(20)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울타리(1)를 구성한다.
도3a와 도3b에서 보듯이 상단부(10)는 길이방향으로 길고 네 귀퉁이가 둥근 장방형이고,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벽체(11)로 구성한다. 벽체(11) 안에는 격벽(30)을 아래에서 위로 삽입할 수 있도록 격벽삽입홈(12)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다.
벽체(11)와 격벽삽입홈(12) 사이에 다수의 지지벽(13)을 형성한다. 그러면 중공이 구획되어 상단부(10)가 전체적으로 가볍고 견고해진다.
벽체(11)의 일단에 ㄱ자 형태로 돌기(14)를 형성하고, 벽체(11)의 타단에는 ㄴ자형태의 체결공(16)을 형성하여, 한 울타리의 돌기(14)를 다른 울타리의 체결공(16)에 결합할 수 있다.
도4a와 도4b에서 보듯이, 다리부(20)는 벽체(21), 격벽삽입홈(22), 지지벽(23), 돌기(24), 체결공(25)으로 구성한 것이 상단부(10)와 동일하다.
다만 2가지 차이점이 있는데 격벽(30)을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도록 격벽삽입홈(22)이 위로 개방되어 있고, 걸림부(15)가 없다는 점이다.
다리부(20)가 지면에서 직립하는 힘이 커지도록 벽체(21)의 폭을 격벽(30)의 두께보다 넓게 구성한다. 다만 너무 넓으면 울타리(1)를 보관할 때 부피가 커질 수 있으므로 격벽(30) 두께의 4~5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단부(10)와 다리부(20)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로 한 몸으로 성형하므로 가볍고 튼튼하다.
본 발명에서 격벽(30)은 반려견이 울타리를 통과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과 동시에 중량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중대형 견종을 격리할 때 울타리가 가벼우면, 반려견이 체중으로 울타리를 밀거나 넘어뜨릴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격벽(30)을 반려견이 밀기 힘든 무거운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 목재, 경질고무, 금속판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하면 별도로 중량체를 추가하지 않아도 울타리 구조는 그대로이면서 필요한 무게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울타리(1)를 야외에 설치시 격벽(30)이 무거울수록 다리부(20)의 벽체(21)가 흙바닥을 깊게 파고들어 더욱 밀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5와 도6을 참고하여 울타리(1)간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도5와 같이 상단부(10)와 다리부(20)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공(16,25)에 돌기(14,24)를 삽입하여 2개의 울타리를 연결한다.
체결공(16,25)과 돌기(14,24)가 팔각형이므로 필요에 따라 45도, 90도, 180도의 각도로 울타리를 연결할 수 있고, 일단 체결되면 임의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반려견이 밀어도 울타리끼리 겹쳐지면서 쓰러지지 않는다.
도6에서 보듯이, 울타리(1)가 결합하면 2개의 걸림부(15)가 체결공 저면(16a)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으며, 2개의 걸림부(15)를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아 안쪽으로 누르면 쉽게 해제할 수 있어 분해결합이 간편하다.
따라서 도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울타리(1)를 필요한 만큼 연결하여 반려견을 위한 격리공간을 만들 수 있다.
1: 울타리 10: 상단부 11: 벽체
12: 격벽삽입홈 13: 지지벽 14: 돌기
15: 걸림부 16: 체결공 16a: 체결공 저면
20: 다리부 21: 벽체 22: 격벽삽입홈
23: 지지벽 24: 돌기 25: 체결공
30: 격벽

Claims (3)

  1. 상단부(10)와 다리부(20)와 격벽(30)으로 구성된 애견용 울타리(1)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0)는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벽체(11);
    벽체(11)의 일단에 형성한 돌기(15);
    돌기(15) 하부에 형성한 걸림부(16);
    벽체(11)의 타단에 형성한 체결공(16);
    벽체(11)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된 격벽삽입홈(12);
    격벽삽입홈(12)을 지지하는 지지벽(13);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20)는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벽체(21);
    벽체(21)의 일단에 형성한 돌기(24);
    벽체(21)의 타단에 형성한 체결공(25);
    벽체(21)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막힌 격벽삽입홈(22);
    격벽삽입홈(22)을 지지하는 지지벽(23);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0)의 폭이 격벽(30)의 두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울타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0)은 합성수지, 목재, 경질고무, 금속판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하여 중량체를 겸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울타리.
KR1020190158690A 2019-12-03 2019-12-03 애견용 울타리 KR20210069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90A KR20210069205A (ko) 2019-12-03 2019-12-03 애견용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90A KR20210069205A (ko) 2019-12-03 2019-12-03 애견용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205A true KR20210069205A (ko) 2021-06-11

Family

ID=7637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690A KR20210069205A (ko) 2019-12-03 2019-12-03 애견용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2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52B1 (ko) 2012-12-14 2013-06-12 이교영 애견용 펜스 어셈블리
KR101979635B1 (ko) 2017-08-01 2019-05-20 주식회사 더블에스펫 애완용 울타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52B1 (ko) 2012-12-14 2013-06-12 이교영 애견용 펜스 어셈블리
KR101979635B1 (ko) 2017-08-01 2019-05-20 주식회사 더블에스펫 애완용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104A (en) Security enclosure for children and pets
US5848927A (en) Stackable block system
US5577466A (en) Modular play structure for animals
US5490604A (en) Composter
US5421135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s
US9192107B2 (en) Stackable elevated planter
US3966337A (en) Modular post and beam joint
US9364767B2 (en) Toy building block
US4212134A (en) Modular planting box system including liquid level and insert
MXPA97002295A (en) A system of blocks that can be api
US20130312357A1 (en) Building blocks and building block fasteners
US6886495B1 (en) Modular housing for cats
US9114325B1 (en) Modular toy building kit system
US20130019541A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Parts for Creating a Small Structure
KR102632846B1 (ko) 용기 및 용기와 산란 구조물의 조합체
US2862640A (en) Knockdown box
US8448605B2 (en) Small animal entertainment, exercise and interaction structure
US9469991B2 (en) Collapsible lattice
US20140120798A1 (en) Stackable building block array
EP2956592B1 (en) Building block
KR20210069205A (ko) 애견용 울타리
KR20200109972A (ko) 종이연결고정부로 고정되는 고양이 놀이 종이구조물
US4779388A (en) Shelter
US20110108788A1 (en) Corner Brace for an Enclosure
US11993932B2 (en) Gigacubes coasters and l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