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117A - 멀티 컴포넌트 퍼터 - Google Patents

멀티 컴포넌트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117A
KR20210068117A KR1020217013273A KR20217013273A KR20210068117A KR 20210068117 A KR20210068117 A KR 20210068117A KR 1020217013273 A KR1020217013273 A KR 1020217013273A KR 20217013273 A KR20217013273 A KR 20217013273A KR 20210068117 A KR20210068117 A KR 2021006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er
mass
perimeter
heel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에이 힉던
제이콥 티 클라크
Original Assignee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21006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63B53/065Heads adjustable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63B53/0412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63B53/0425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the face insert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두 가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부분을 갖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일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Description

멀티 컴포넌트 퍼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8년 10월 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739,747호의 이득을 청구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컴포넌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많은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에서는,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거나 골프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MOI)를 증가시키기 위해 중량 분배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중량 분배 장치에는 솔(sole)의 힐(heel) 영역과 토(toe) 영역에 있는 제거 가능한 웨이트 포트, 가중형 페이스 플레이트 인서트, 페이스 부분 배면용 인서트, 및 토 영역과 힐 영역의 외부 둘레용 부착물이 포함된다. 특히,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종종, 체결구로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거나 다양한 에폭시, 접착제 또는 기계 가공 방법을 통해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힐 영역과 토 영역에 있는 웨이트 포트를 사용한다. 힐 영역과 토 영역에 웨이트 포트를 사용하면 퍼터 헤드의 MOI가 증가하며, 이에 의해 임팩트 이후 더 직선적인 공의 경로가 생성된다.
이러한 힐 영역과 토 영역의 웨이트 포트가 MOI를 증가시키긴 하지만, 골프 클럽 헤드의 중량을 증가시켜 골프 클럽 헤드를 퍼터의 이상적인 중량보다 더 무겁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골프 클럽 퍼터 헤드에 웨이트 포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조 과정에서 이러한 웨이트 포트를 퍼터 헤드에 배치하기 위한 캐비티 또는 리세스가 필요하여, 이에 의해 퍼터 헤드의 비용이 증가한다. 추가적으로, 웨이트 포트는 골프 클럽 헤드가 골프 공과 접촉할 때 임팩트 동안 캐비티 또는 리세스 내부에 진동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와 리세스는 클럽 헤드의 소리도 변하게 만들어, 클럽 헤드 내부에서의 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당업계에서는 웨이트 포트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추가하지 않고 균형감 있는 퍼팅을 위한 이상적인 웨이트를 구비하는 둘레 가중형 퍼터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도 1a는 블레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블레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1c는 도 1a의 블레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2a는 블레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블레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2c는 도 2a의 블레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3a는 크레센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크레센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3c는 도 3a의 크레센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4a는 반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반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4c는 도 4a의 반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5a는 다른 반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반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5c는 도 5a의 반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6a는 윙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윙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6c는 도 6a의 윙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7a는 스페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스페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7c는 도 7a의 스페이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8a는 둘레 스팬을 갖는 T-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8b는 도 8a의 둘레 스팬을 갖는 T-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8c는 도 8a의 둘레 스팬을 갖는 T-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9a는 듀얼 레일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9b는 도 9a의 듀얼 레일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9c는 도 9a의 듀얼 레일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0a는 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10b는 도 10a의 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10c는 도 10a의 원형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1a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면 인서트를 갖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11b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면 인서트를 갖는 다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기타 양태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I. 퍼터 골프 클럽 헤드
본 명세서에서는 저밀도 금속(즉, 알루미늄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과 같은 제1 재료로 형성된 상부 부분 및 고밀도 금속(즉, 강철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과 같은 제2 재료로 형성된 하부 부분을 갖는 2개 파트의 퍼터가 설명된다. 상부 부분은 타격면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에 걸쳐 이어지는 크라운을 구비한다. 이 상부 부분은 하부 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 부분보다 지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은 퍼터 헤드의 전체 고체 부피의 35% 미만이지만 질량의 45%를 초과한다. 하부 부분이 둘레 구성과 솔을 제공한다. 이러한 둘레 구성과 고밀도 하부 부분의 조합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강철 퍼터와 같은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적어도 30%의 MOI 증가가 초래된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가 있다면 이들 용어는 유사한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특정 순서 또는 발생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환경 하에서 상호 호환 가능하므로, 본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예시되거나 달리 설명된 바와 다른 순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 및 "구비한다" 및 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되므로, 요소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시스템, 물품, 장치 또는 기기가 이러한 요소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았거나 그러한 공정, 방법, 시스템, 물품, 장치 또는 기기에 수반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위", "아래", "상단", "저부" 등의 용어가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서, 영구적인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환경 하에서 상호 호환 가능하므로, 본명세서에 설명된 장치, 방법 및/또는 제조 물품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예시되거나 달리 설명된 바와 다른 배향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용례가 아래의 설명에 제시되거나 아래의 도면에 예시된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배열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며 본 개시가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골프 클럽 헤드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100, 200, 300, 400 ...)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b는 상이한 재료로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함께 결합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구비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다수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말렛(mallet) 유형 퍼터 헤드, 미드 말렛(mid-mallet) 유형 퍼터 헤드, 블레이드 유형 퍼터 헤드, 높은 MOI 퍼터 헤드,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10° 미만의 로프트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의 로프트각은 0° 내지 5°, 0° 내지 6°, 0° 내지 7°, 또는 0° 내지 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럽 헤드의 로프트각은 10° 미만, 9° 미만, 8° 미만, 7° 미만, 6° 미만, 또는 5° 미만일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클럽 헤드의 로프트각은 0°, 1°, 2°, 3°, 4°, 5°, 6°, 7°, 8°, 9°, 또는 10°일 수 있다.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골프 클럽 헤드는 토 단부 및 토 단부 반대측의 힐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타격면을 포함할 수 있다.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타격면 반대측의 후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정렬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골프 클럽 헤드의 힐 단부에 부착된 호젤을 포함할 수 있다. 호젤은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중앙에 부착될 수 있다. 호젤이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힐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호젤이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상부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젤이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하부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부분은 제1 재료로 형성된다. 하부 부분은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재료와 제2 재료는 상이하다. 제1 재료는 제1 밀도를 갖는다. 제2 재료는 제2 밀도를 갖는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와 동일하지 않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340g 내지 385g의 범위의 질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질량이 340g - 345g, 345g - 350g, 350g - 355g, 355g - 360g, 360g - 365g, 365g - 370g, 370g - 375g, 375g - 380g, 또는 380g - 385g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질량이 340g, 341g, 342g, 343g, 344g, 345g, 346g, 347g, 348g, 349g, 350g, 351g, 352g, 353g, 354g, 355g, 356g, 357g, 358g, 359g, 360g, 361g, 362g, 363g, 364g, 365g, 366g, 367g, 368g, 369g, 370g, 371g, 372g, 373g, 374g, 375g, 376g, 377g, 378g, 379g, 380g, 381g, 382g, 383g, 384g 또는 385g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25cc 내지 125cc의 범위의 클럽 헤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 부피는 25cc - 30cc, 30cc - 35cc, 35cc - 40cc, 40cc - 45cc, 45cc - 50cc, 50cc - 55cc, 55cc - 60cc, 60cc - 65cc, 65cc - 70cc, 70cc - 75cc, 75cc - 80cc, 80cc - 85cc, 85cc - 90cc, 90cc - 95cc, 95cc - 100cc, 100cc - 105cc, 105cc - 110cc, 110cc - 115cc, 115cc - 120cc, 또는 120cc - 125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 부피는 40c - 110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 부피는 25cc를 초과하거나, 50cc를 초과하거나, 75cc를 초과하거나, 100cc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제1 재료로 형성된 타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격면이 제2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타격면의 재료는 8620 합금강(7.83 g/cc), S25C 강(7.85 g/cc), 탄소강(7.85 g/cc), 마레이징강(8.00 g/cc), 17-4 스테인리스강(7.81 g/cc), 303 스테인리스강(8.03 g/cc), 304 스테인리스강(8.00 g/cc), 스테인리스강 합금(7.75 g/cc - 8.05 g/cc), 텅스텐(19.25 g/cc), 알루미늄(2.70 g/cc), 알루미늄 합금(2.64 g/cc - 2.81 g/cc), ADC-12(2.75 g/cc)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이 상부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격면이 하부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면은 공동 성형, 사출 성형, 주조, 적층 제조 또는 기타 성형 공정을 통해 클럽 헤드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타격면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타격면은 클럽 헤드에 결합되기 전에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클럽 헤드와 접촉할 타격면 인서트의 측면은 타격면과 접촉할 클럽 헤드의 대응하는 부분의 기하학적 구조와 상보형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가 제1 재료 또는 제2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격면 인서트가 제3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가 상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격면 인서트가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모두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면은 클럽 헤드의 일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또는 체결 수단에 의해 클럽 헤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이 상부 부분에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은 인서트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분 인서트 캐비티는 타격면 인서트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서트가 상부 부분에 부착되면, 상부 부분이 인서트 캐비티를 둘러싸며 인서트 캐비티와 정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격면이 하부 부분에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이 인서트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분 인서트 캐비티는 타격면 인서트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서트가 하부 부분에 부착되면, 하부 부분이 인서트 캐비티를 둘러싸며 인서트 캐비티와 정합한다. 타격면은 아교, VHBTM[Very High Bond(초강력 접합)] 테이프,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타격면이 용접, 납땜, 나사, 리벳, 핀, 기계적 상호 맞물림 구조, 또는 다른 체결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타격면 인서트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구리,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C),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우레탄(TPU), 강철, 니켈, TPU/알루미늄, TPE/알루미늄, 플라스틱/금속 스크린 인서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염화비닐, PEBAX®,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층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PEBAX®는 가요성 폴리에테르와 경질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이다. 경질 폴리아미드는 나일론을 포함할 수 있다. PEBAX®는 상이한 쇼어(Shore) D 경도값, 폴리에테르 백분율 및/또는 폴리아미드 백분율에 해당하는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PEBAX®는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Arkema)] 또는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을 포함할 수 있다.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테트라 메틸렌 산화물(53%wt) 및 나일론 12를 포함한다.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나일론 11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는 강철, 강철 합금, 텅스텐, 텅스텐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바나듐, 바나듐 합금, 크롬, 크롬 합금, 코발트, 코발트 합금, 니켈, 니켈 합금, 기타 금속, 기타 금속 합금, 복합재 폴리머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PEBAX®는 부피 백분율의 폴리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EBAX®는 부피 기준으로 0% 내지 10%, 10% 내지 20%, 15% 내지 30%, 20% 내지 30%, 30% 내지 40%, 30% 내지 50%, 30% 내지 60%, 40% 내지 50%, 40% 내지 60%, 50% 내지 60%, 또는 60% 내지 70%의 폴리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BAX®는 부피 기준으로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또는 70%의 폴리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EBAX®는 부피 기준으로 0% 내지 10%, 10% 내지 20%, 15% 내지 30%, 20% 내지 30%, 30% 내지 40%, 40% 내지 50%, 40% 내지 60%, 50% 내지 60%, 또는 60% 내지 70%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BAX®는 부피 기준으로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또는 70%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의 백분율이 증가할수록 PEBAX®의 경도는 감소한다. 폴리아미드의 백분율이 증가할수록 PEBAX®의 경도는 증가한다. 예를 들어,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부피 기준으로 40% 내지 60%의 폴리에테르 및 부피 기준으로 15% 내지 30%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부피 기준으로 15% 내지 30%의 폴리에테르 및 부피 기준으로 40% 내지 60%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PEBAX®는 쇼어 25D 내지 쇼어 75D의 범위의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EBAX의 경도는 쇼어 25D 내지 쇼어 35D, 쇼어 35D 내지 쇼어 45D, 쇼어 36D 내지 쇼어 44D, 쇼어 38D 내지 쇼어 42D, 쇼어 45D 내지 쇼어 55D, 쇼어 55D 내지 쇼어 65D, 쇼어 56D 내지 쇼어 64D, 쇼어 60D 내지 쇼어 65D, 또는 쇼어 65D 내지 쇼어 75D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EBAX의 경도가 쇼어 25D, 30D, 35D, 40D, 45D, 50D, 55D, 60D, 65D 또는 70D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보다 낮은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PEBAX® 4033은 쇼어 35D 내지 쇼어 55D의 범위의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쇼어 38D 내지 쇼어 42D 또는 쇼어 39D 내지 쇼어 41D의 범위의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쇼어 40D의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쇼어 50D 내지 쇼어 75D의 범위의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쇼어 55D 내지 쇼어 70D 또는 쇼어 60D 내지 쇼어 65D의 범위의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쇼어 63D의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는 2-컴포넌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2-컴포넌트 시스템은 볼 타격면 플레이트 및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면 인서트의 볼 타격면 플레이트는 제1 인서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면 인서트의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는 제2 인서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제1 인서트 재료와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제2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제1 인서트 재료와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제2 재료가 유사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제1 인서트 재료가 폴리머 타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제1 인서트 재료가 금속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제2 인서트 재료가 폴리머 타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서트 재료는 강철, 강철 합금, 텅스텐, 텅스텐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바나듐, 바나듐 합금, 크롬, 크롬 합금, 코발트, 코발트 합금, 니켈, 니켈 합금, 기타 금속, 기타 금속 합금, 복합재 폴리머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서트 재료 또는 제2 인서트 재료가 폴리머 타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타입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임의의 다른 폴리머 타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는 PEBAX®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EBAX®는 가요성 폴리에테르와 경질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이다. 경질 폴리아미드는 나일론을 포함할 수 있다. PEBAX®는 상이한 쇼어 D 경도값, 폴리에테르 백분율 및/또는 폴리아미드 백분율에 해당하는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PEBAX®는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 또는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을 포함할 수 있다. PEBAX® 40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테트라메틸렌 산화물(53%wt) 및 나일론 12를 포함한다. PEBAX® 6333(프랑스 파리 아케마)은 나일론 11을 포함한다. 제1 인서트 재료와 제2 인서트 재료가 전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폴리에테르 백분율, 폴리아미드 백분율, 또는 쇼어 D 경도값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면 인서트의 볼 타격면 플레이트는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015 inch 내지 0.115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015 inch 내지 0.045 inch, 0.020 inch 내지 0.050 inch, 0.025 inch 내지 0.055 inch, 0.050 inch 내지 0.100 inch, 0.055 inch 내지 0.105 inch, 0.060 inch 내지 0.110 inch, 또는 0.065 inch 내지 0.115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적어도 0.015 inch, 0.020 inch, 0.025 inch, 0.030 inch, 0.035 inch, 0.040 inch, 0.045 inch, 0.050 inch, 0.055 inch, 0.060 inch, 0.065 inch, 0.070 inch, 0.075 inch, 0.080 inch, 0.085 inch, 0.090 inch, 0.095 inch, 0.10 inch, 0.105 inch, 0.110 inch 또는 0.115 inch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015 inch 이상, 0.020 inch 이상, 0.025 inch 이상, 0.030 inch 이상, 0.035 inch 이상, 0.040 inch 이상, 0.045 inch 이상, 0.050 inch 이상, 0.055 inch 이상, 0.060 inch 이상, 0.065 inch 이상, 0.070 inch 이상, 0.075 inch 이상, 0.080 inch 이상, 0.085 inch 이상, 0.090 inch 이상, 0.095 inch 이상, 0.10 inch 이상, 0.105 inch 이상, 0.110 inch 이상, 또는 0.115 inch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015 inch 이하, 0.020 inch 이하, 0.025 inch 이하, 0.030 inch 이하, 0.035 inch 이하, 0.040 inch 이하, 0.045 inch 이하, 0.050 inch 이하, 0.055 inch 이하, 0.060 inch 이하, 0.065 inch 이하, 0.070 inch 이하, 0.075 inch 이하, 0.080 inch 이하, 0.085 inch 이하, 0.090 inch 이하, 0.095 inch 이하, 0.10 inch 이하, 0.105 inch 이하, 0.110 inch 이하, 또는 0.115 inch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015 inch, 0.020 inch, 0.025 inch, 0.030 inch, 0.035 inch, 0.040 inch, 0.045 inch, 0.050 inch, 0.055 inch, 0.060 inch, 0.065 inch, 0.070 inch, 0.075 inch, 0.080 inch, 0.085 inch, 0.090 inch, 0.095 inch, 0.10 inch, 0.105 inch, 0.110 inch 또는 0.115 inch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015 inch 내지 0.40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115 inch 내지 0.20 inch, 0.15 inch 내지 0.30 inch, 0.20 inch 내지 0.30 inch, 0.25 inch 내지 0.35 inch, 또는 0.30 inch 내지 0.40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15 inch, 0.20 inch, 0.25 inch, 0.30 inch, 0.35 inch 또는 0.40 inch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15 inch 이상, 0.20 inch 이상, 0.25 inch 이상, 0.30 inch 이상, 0.35 inch 이상, 또는 0.40 inch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15 inch 이하, 0.20 inch 이하, 0.25 inch 이하, 0.30 inch 이하, 0.35 inch 이하, 또는 0.40 inch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 타격면 플레이트의 두께가 0.15 inch, 0.20 inch, 0.25 inch, 0.30 inch, 0.35 inch 또는 0.40 inch일 수 있다.
타격면 인서트의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는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05 inch 내지 0.20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05 inch 내지 0.10 inch 또는 0.10 inch 내지 0.20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적어도 0.05 inch, 0.10 inch, 0.15 inch 또는 0.20 inch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05 inch 이상, 0.10 inch 이상, 0.15 inch 이상, 또는 0.20 inch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05 inch 이하, 0.10 inch 이하, 0.15 inch 이하, 또는 0.20 inch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적어도 0.05 inch, 0.10 inch, 0.15 inch, 또는 0.20 inch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20 inch 내지 0.80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20 inch 내지 0.50 inch, 0.30 inch 내지 0.60 inch, 0.40 inch 내지 0.70 inch, 또는 0.50 inch 내지 0.80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20 inch 내지 0.40 inch, 0.30 inch 내지 0.50 inch, 0.40 inch 내지 0.60 inch, 0.50 inch 내지 0.70 inch, 또는 0.60 inch 내지 0.80 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의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가 적어도 0.20 inch, 0.25 inch, 0.30 inch, 0.35 inch, 0.40 inch, 0.45 inch, 0.50 inch, 0.55 inch, 0.60 inch, 0.65 inch, 0.70 inch, 0.75 inch, 또는 0.80 inch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의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가 0.20 inch 이상, 0.25 inch 이상, 0.30 inch 이상, 0.35 inch 이상, 0.40 inch 이상, 0.45 inch 이상, 0.50 inch 이상, 0.55 inch 이상, 0.60 inch 이상, 0.65 inch 이상, 0.70 inch 이상, 0.75 inch 이상, 또는 0.80 inch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 인서트의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가 0.20 inch 이하, 0.25 inch 이하, 0.30 inch 이하, 0.35 inch 이하, 0.40 inch 이하, 0.45 inch 이하, 0.50 inch 이하, 0.55 inch 이하, 0.60 inch 이하, 0.65 inch 이하, 0.70 inch 이하, 0.75 inch 이하, 또는 0.80 inch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격면 인서트 베이스의 두께가 0.20 inch, 0.25 inch, 0.30 inch, 0.35 inch, 0.40 inch, 0.45 inch, 0.50 inch, 0.55 inch, 0.60 inch, 0.65 inch, 0.70 inch, 0.75 inch, 또는 0.80 inch일 수 있다.
타격면 인서트가 다수의 상이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성형 공정에는 사출 성형, 주조, 중공 성형, 압축 성형, 공동 성형, 레이저 성형, 필름 인서트 성형, 가스 보조 성형, 회전 성형, 열 성형, 레이저 절단, 3D 인쇄, 단조, 스탬핑, 전기 주조, 기계 가공, 성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된다. 또한, 타격면 인서트가 전술한 경도, 부피, 두께 및 성형 공정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1 재료를 갖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상부 부분은 1.0 g/cc 내지 6.0 g/cc의 범위의 제1 밀도를 포함한다. 제1 밀도는 2.0 g/cc 내지 5.0 g/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밀도는 1.0 g/cc - 1.25 g/cc, 1.25 g/cc - 1.5 g/cc, 1.5 g/cc - 1.75 g/cc, 1.75 g/cc - 2.0 g/cc, 2.0 g/cc - 2.25 g/cc, 2.25 g/cc - 2.5 g/cc, 2.5 g/cc - 2.75 g/cc, 2.75 g/cc - 3.0 g/cc, 3.0 g/cc - 3.25 g/cc, 3.25 g/cc - 3.5 g/cc, 3.5 g/cc - 3.75 g/cc, 3.75 g/cc - 4.0 g/cc, 4.0 g/cc - 4.25 g/cc, 4.25 g/cc - 4.5 g/cc, 4.5 g/cc - 4.75 g/cc, 4.75 g/cc - 5.0 g/cc, 5.0 g/cc - 5.25 g/cc, 5.0 g/cc - 5.25 g/cc, 5.25 g/cc - 5.5 g/cc, 5.5 g/cc - 5.75 g/cc, 또는 5.75 g/cc - 6.0 g/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의 제1 밀도는 2.0 g/cc - 3.0 g/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밀도는 6.0 g/cc 미만, 5.0 g/cc 미만, 4.0 g/cc 미만, 3.0 g/cc 미만, 또는 2.0 g/cc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밀도는 1.25 g/cc, 1.50 g/cc, 1.75 g/cc, 2.0 g/cc, 2.25 g/cc, 2.50 g/cc, 2.75 g/cc, 3.0 g/cc, 3.25 g/cc, 3.50 g/cc, 3.75 g/cc, 4.0 g/cc, 4.25 g/cc, 4.50 g/cc, 4.75 g/cc, 5.0 g/cc, 5.25 g/cc, 5.50 g/cc, 5.75 g/cc, 또는 6.0 g/cc의 범위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하부 부분은 제2 재료를 갖는다. 제2 재료는 밀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밀도는 상부 부분의 제1 재료의 제1 밀도에 대한 제2 밀도이다. 하부 부분의 제2 재료의 제2 밀도는 7.0 g/cc 내지 20.0 g/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밀도는 7.0 g/cc - 7.5 g/cc, 7.5 g/cc - 8.0 g/cc, 8.0 g/cc - 8.5 g/cc, 8.5 g/cc - 9.0 g/cc, 9.0 g/cc - 9.5 g/cc, 9.5 g/cc - 10.0 g/cc, 10.0 g/cc - 10.5 g/cc, 10.5 g/cc - 11.0 g/cc, 11.0 g/cc - 11.5 g/cc, 11.5 g/cc - 12.0 g/cc, 12.0 g/cc - 12.5 g/cc, 12.5 g/cc - 13.0 g/cc, 13.0 g/cc - 13.5 g/cc, 13.5 g/cc - 14.0 g/cc, 14.0 g/cc - 14.5 g/cc, 14.5 g/cc - 15.0 g/cc, 15.0 g/cc - 15.5 g/cc, 15.5 g/cc - 16.0 g/cc, 16.0 g/cc - 16.5 g/cc, 16.5 g/cc - 17.0 g/cc, 17.0 g/cc - 17.5 g/cc, 17.5 g/cc - 18.0 g/cc, 18.0 g/cc - 18.5 g/cc, 18.5 g/cc - 19.0 g/cc, 19.0 g/cc - 19.5 g/cc, 또는 19.5 g/cc - 20.0 g/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의 제2 재료의 제2 밀도는 8.0 g/cc - 9.0 g/cc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밀도는 7.0 g/cc, 7.5 g/cc, 8.0 g/cc, 8.5 g/cc, 9.0 g/cc, 9.5 g/cc, 10.0 g/cc, 10.5 g/cc, 11.0 g/cc, 11.5 g/cc, 12.0 g/cc, 12.5 g/cc, 13.0 g/cc, 13.5 g/cc, 14.0 g/cc, 14.5 g/cc, 15.0 g/cc, 15.5 g/cc, 16.0 g/cc, 16.5 g/cc, 17.0 g/cc, 17.5 g/cc, 18.0 g/cc, 18.5 g/cc, 19.0 g/cc, 19.5 g/cc, 또는 20.0 g/cc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의 제2 밀도는 제1 밀도보다 적어도 2배 크거나, 제1 밀도보다 적어도 3배 크거나, 제1 밀도보다 적어도 4배 크거나, 제1 밀도보다 적어도 5배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밀도는 7.0 g/cc를 초과하거나, 9.0 g/cc를 초과하거나, 10.0 g/cc를 초과하거나, 11.0 g/cc를 초과하거나, 12.0 g/cc를 초과할 수 있다.
제1 재료를 갖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의 상부 부분은 8620 합금강(7.83 g/cc), S25C 강(7.85 g/cc), 탄소강(7.85 g/cc), 마레이징강(8.00 g/cc), 17-4 스테인리스강(7.81 g/cc), 303 스테인리스강(8.03 g/cc), 304 스테인리스강(8.00 g/cc), 스테인리스강 합금(7.75 g/cc 내지 8.05 g/cc), 텅스텐(19.25 g/cc), 알루미늄(2.70 g/cc), 알루미늄 합금(2.64 g/cc 내지 2.81 g/cc), ADC-12(2.75 g/cc)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ADC-12로 형성된다.
제2 재료를 갖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의 하부 부분은 8620 합금강(7.83 g/cc), S25C 강(7.85 g/cc), 탄소강(7.85 g/cc), 마레이징강(8.00 g/cc), 17-4 스테인리스강(7.81 g/cc), 303 스테인리스강(8.03 g/cc), 304 스테인리스강(8.00 g/cc), 스테인리스강 합금(7.75 g/cc - 8.05 g/cc), 텅스텐(19.25 g/cc), 알루미늄(2.70 g/cc), 알루미늄 합금(2.64 g/cc - 2.81 g/cc), ADC-12(2.75 g/cc)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은 304 스테인리스강, 8620 합금강, 17-4 스테인리스강, 또는 1380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하부 및 상부 부분은 동일한 하나의 재료 또는 동일한 재료 조합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용접, 납땜, 브레이징, 스웨징, 접착, 에폭시 또는 기계적 체결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에폭시,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A. 이점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상이한 밀도를 가지며 및/또는 기계적으로 체결된 웨이트 또는 웨이트 포트가 없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에서 MOI, CG, 느낌 및 중량 가중 이점을 제공한다.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상이한 두 가지 재료로 생성함으로써,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힐 단부 및 토 단부에 대한 부착물 또는 임의의 웨이트 포트 없이, 클럽 헤드의 가중 중량이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둘레를 향해 이동한다.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둘레를 향한 이러한 중량 이동은 y-축선(Iyy)을 중심으로 클럽 헤드의 MOI를 상승시키며, 따라서 y-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며 임팩트 동안 타격면이 골프 공과 직각을 이루는 것이 보장된다. y-축선을 중심으로 한 MOI의 증가는 볼의 경로가 더 직선적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중심을 벗어난 타격(힐 단부 또는 토 단부에서의 임팩트)의 결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두 가지 상이한 재료의 2개 부분으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함으로써,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바람직한 전체 중량에 골프 클럽 헤드를 유지하면서 MOI를 개선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y-축선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한 골프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는 3500 g·㎠ - 6500 g·㎠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y-축선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한 골프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가 3500 g·㎠ - 4000 g·㎠, 4000 g·㎠ - 4500 g·㎠, 4500 g·㎠ - 5000 g·㎠, 5000 g·㎠ - 5500 g·㎠, 5500 g·㎠ - 6000 g·㎠, 6000 g·㎠ - 6500 g·㎠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상이한 두 가지 재료로 형성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동일한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강제 퍼터와 같은 단일 재료의 밀링 가공 퍼터 또는 단일 재료의 정밀 주조 퍼터)에 비해 y-축선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MOI를 적어도 30%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가지 상이한 재료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을 갖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동일한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에 비해 y-축선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한 MOI를 적어도 35%, 적어도 40%, 적어도 45%, 적어도 50%, 적어도 55%, 적어도 60%, 적어도 65%, 적어도 70%,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100%, 적어도 105% 증가시킨다.
II. 실시예
a. 블레이드 실시예
일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블레이드 타입 퍼터 헤드(100)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타입 퍼터 헤드(100)는 상부 부분(104) 및 하부 부분(108)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104)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108)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104)과 하부 부분(1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균형 잡힌 퍼터 헤드(100)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108)은 토 단부(124), 토 단부(124) 반대측의 힐 단부(128), 전방 표면(112) 반대측의 후방벽(132), 후방 부분(156)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밑면과 상부 부분(104)이 솔(168)을 형성한다. 후방벽(132)은 전방 표면(112)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토 단부(124)는 타격면(112) 및 후방 부분(156)에 인접하면서 힐 단부(128)에 대향한다. 후방 부분(156)은 힐 단부(128)로부터 토 단부(124)까지 이어지며, 또한 후방벽(132) 및 전방 표면(112)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후방 부분(156)이 솔에 인접한다. 밑면은 힐 단부(128)로부터 토 단부(124)까지 이어지며, 후방 부분(156) 및 전방 표면(112)에 인접한다.
또한, 하부 부분(108)의 토 단부(124), 힐 단부(128) 및 전방 표면(112)은 리세스(140)를 형성하며, 리세스는 전방 표면(112)으로부터 후방벽(13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된다. 리세스는 상부 부분(104)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리세스(140)는 상부 부분(104)의 기하학적 형상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104)이 하부 부분(108)에 부착되면, 상부 부분(104)이 하부 부분(108)을 둘러싸 정합하여 리세스(140)의 내부에 끼워진다.
블레이드 타입 퍼터 헤드(100)의 하부 부분(108)은 정렬 특징부(13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136)는 선,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136)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타입 퍼터 헤드(200)는 하부 부분(208)이 아닌 상부 부분(204) 상에 정렬 특징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타입 퍼터(100) 헤드의 상부 부분(104)은 타격 표면(113) 및 접착 표면(115)을 포함한다. 타격 표면(113)은 상부 가장자리(116) 및 하부 가장자리(121)를 포함하며, 상부 가장자리(116)는 하부 가장자리(121)보다 지면(172)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퍼터 헤드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172)이 하부 부분(108)에 접한다. 상부 가장자리(116)는 타격 표면(113)과 접착 표면(115)에 인접하며 하부 가장자리(121)에 대향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타격 표면(113)과 접착 표면(115)이 평행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격 표면(113)과 접착 표면(115)이 평행하지 않다.
상부 부분(104)과 하부 부분(108)이 결합되면, 접착 표면(115)이 하부 부분(108)의 리세스(140)에 부착된다. 상부 부분(104)의 타격 표면(113) 및 하부 부분의 전방 표면(112)이 정렬되어, 골프 공을 타격하는 기능을 할 타격면(120)을 형성한다.
상부 부분(104)의 하부 가장자리(121)와 하부 부분(108)의 밑면이 조합되어 솔(168)을 생성한다. 솔(168)은 지면(172)에 수직이며, 퍼터(1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172)이 솔(168)에 접한다. 퍼터(100)의 솔(168)은 퍼터 헤드(100)의 토 단부(124)로부터 퍼터 헤드(100)의 힐 단부(128)까지 연장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100)의 솔(1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100)의 솔(168)은 힐(128)에서 토(124)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100)의 솔(168)은 힐(128)에서 토(124)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168)은 퍼터 헤드(100)를 지면(1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블레이드 타입 퍼터 헤드(100)의 타격면(120)은 타격면 중심점(176)과 로프트 평면(1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176)은 타격면(120)의 하부 가장자리(121) 및 상부 가장자리(116)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타입 퍼터 헤드(100)의 힐 단부(128) 및 토 단부(124)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180)은 블레이드 타입 퍼터 헤드(100)의 타격면(112)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184)이 타격면 중심점(1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180)에 수직이다. 또한, y-축선(188)이 타격면 중심점(176)과 교차하며 지면(172)에 수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108)과 상부 부분(104)이 결합되면, 상부 부분(104)의 상부 가장자리(116)가 타격면(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부분(108)의 후방벽(13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부분(104)의 하부 가장자리(121)가 하부 부분(108)의 밑면의 적어도 일부를 향해 타격면(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에 의해 솔(168)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108)의 후방벽(132)은 솔(168)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저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104)과 고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108)의 조합은 단일 중실형 블록 구성의 퍼터에 비해 퍼터(100)의 MOI를 증가시킨다. 퍼터(100)의 2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구성[상부 부분(104) 및 하부 부분(108)]은 밀도가 더 높은 재료를 힐(128)과 토(124)를 향해 이동시키면서 더 가벼운 재료[상부 부분(104)]를 중앙 근처에 배치하여, 이에 의해 퍼터(100)의 MOI를 증가시키는데, 그 이유는 더 많은 질량이 무게 중심에서 더 멀기 때문이다. 하부 부분의 밀도가 더 높은 재료는 퍼터 헤드(100)의 중량을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외부 부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MOI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단일 재료 퍼터는 고밀도 재료를 둘레에 할당하지 못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상이한 재료의 상부 부분(104) 및 하부 부분(108)을 갖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100)는 동일한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을 갖는 퍼터에 비해 y-축선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한 MOI를 적어도 15% 증가시킨다.
b. 크레센트 실시예
일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초승달 형상의 퍼터 헤드(300)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초승달 형상의 퍼터 헤드(300)는 상부 부분(304) 및 하부 부분(308)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304)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308)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304)과 하부 부분(3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균형 잡힌 퍼터 헤드(300)를 생성한다. 고밀도 하부 부분(308) 및 저밀도 상부 부분(304)은 퍼터 헤드(300)의 둘레 근처에 더 많은 질량을 배치하여, 이에 따라 동일한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을 갖는 퍼터에 비해 MOI 및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308)은 고밀도 재료(즉, 제2 재료)로 구성된다. 하부 부분(308)은 후방 둘레(352), 토 단부(312), 힐 단부(316), 타격면(320), 후방벽(332), 배면 가장자리(334), 크라운(342)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밑면과 상부 부분(304)이 솔(368)을 형성한다. 토 단부(312)는 힐 단부(316)에 대향한다. 하부 부분(308)의 토 단부(312) 및 힐 단부(316)는 각각,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를 포함한다. 타격면(320)은 토 단부(312)로부터 힐 단부(316)까지 이어지며, 후방벽(332)에 대향한다. 후방벽(332)은 타격면(320)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하부 부분은 힐측 둘레(360), 토측 둘레(356), 전방 가장자리(316) 및 상부 가장자리(31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전방 가장자리(348)는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에 인접하며 후방 둘레(352)에 대향한다. 토측 둘레(356)는 전방 가장자리(348) 및 후방 둘레(352)에 인접하며 힐측 둘레(360)에 대향한다. 힐측 둘레(360)도 전방 가장자리(348) 및 후방 둘레(352)에 인접하지만 토측 둘레(356)에 대향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둘레(356)는 전방 가장자리(348)로부터 후방 둘레(352)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토측 둘레(356)와 전방 가장자리(348)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측 둘레(356)가 전방 가장자리(348)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토측 둘레(356)와 전방 가장자리(348)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 1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힐측 둘레(360)는 전방 가장자리(348)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힐측 둘레(360)와 전방 가장자리(348)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360)가 전방 가장자리(348)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힐측 둘레(360)와 전방 가장자리(348)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 180°)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가장자리(348),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가 개구(364)를 형성한다. 개구(364)는 전방 가장자리(348),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개구(364)는 퍼터의 부피와 질량의 대부분을 하부 부분(308)의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개구(364)가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개구(364)는 대략 직사각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구(364)가 원형, 곡선형, 삼각형, 사다리꼴, 포물선형, 골프 공 형상,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퍼터 헤드(300)의 상부 부분(304)은 크라운(342), 전방 가장자리(370) 및 배면 가장자리(334)를 포함한다. 크라운(342)은 상부 부분(304)의 전방 가장자리(370)로부터 배면 가장자리(364)까지 연장된다. 밑면은 전방 가장자리(348)로부터 후면 가장자리(334)에 걸쳐 크라운(342)에 대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360) 및 토측 둘레(356)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360) 및 토측 둘레(356)가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352) 및 전방 가장자리(348)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352) 및 전방 가장자리(348)가 평행하지 않다. 초승달 형상의 퍼터 헤드(300)의 후방 둘레(352)는 대략 초승달 형상이므로, 후방 둘레(352)와 전방 가장자리(348)는 평행하지 않다. 후방 둘레(352)는 힐측 둘레(360)로부터 토측 둘레(356)에 걸쳐 곡선형일 수 있다. 후방 둘레(352)는 힐측 둘레(360)와 후방 둘레(352) 사이의 교차점으로부터 토측 둘레(356)와 후방 둘레(352) 사이의 교차점까지 후방 둘레(352)를 따라 측정된 곡선 길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둘레(352) 곡선 길이는 4.5 inch 내지 6.5 inch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둘레 곡선 길이는 4.5 inch - 4.75 inch, 4.75 inch - 5.0 inch, 5.0 inch - 5.25 inch, 5.25 inch - 5.5 inch, 5.5 inch - 5.75 inch, 5.75 inch - 6.0 inch, 6.0 inch - 6.25 inch, 또는 6.25 inch - 6.5 inch일 수 있다.
상부 부분(304)과 하부 부분(308)이 결합되면, 크라운(342)이 타격면(320) 사이에서 후방 둘레(352)까지 연장된다. 크라운(342)은,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둘레(356)로부터 전체 클럽 헤드(3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으며, 힐측 둘레(360)로부터 전체 클럽 헤드(3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342)이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힐(316)에서 토(312)의 방향으로 전체 클럽 헤드(300)의 전체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342)이 클럽 헤드(3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300)의 총 폭의 80% 미만, 클럽 헤드(300)의 총 폭의 70% 미만, 클럽 헤드(300)의 총 폭의 60% 미만, 클럽 헤드(300)의 총 폭의 50% 미만, 클럽 헤드(300)의 총 폭의 40% 미만, 또는 클럽 헤드(300)의 총 폭의 30% 미만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342)이 타격면(3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334)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타격면(3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334)로 상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크라운(342)의 상승 또는 하강은 선형, 곡선형, 포물선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다항식의 함수형일 수 있다.
크라운(342)은 정렬 홈(355)을 추가로 포함하며, 정렬 홈(355)은 힐 단부(316) 및 토 단부(3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정렬 홈(355)은 후방벽(328)에 인접하며 타격면에 대략 수직이다. 정렬 홈(356)은 힐 단부(316) 및 토 단부(312) 상의 크라운(342), 배면 가장자리(334) 및 후방벽(33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정렬 홈은 대략 골프 공의 폭(대략 4.27 ㎝)으로 보고 있는 사람에게 골프 공의 폭이 확장되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한다.
또한, 퍼터 헤드(300)의 상부 부분(304)은 크라운(342) 상의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344)는 선, 일련의 선, 밀링 가공 홈,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34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정렬 특징부(344)는 전체 크라운(342), 크라운(342)의 일부, 또는 정렬 홈(355)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렬 홈(355)을 따라 연장되는 정렬 특징부(344)는 보고 있는 사람에게 퍼터(300)의 후방벽(332)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334)까지 골프 공의 폭을 확장시키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크라운(342) 및/또는 정렬 홈(355)을 따라 이러한 정렬 특징부(344)를 사용하여 골프 공과 전체 퍼터(300)를 정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부 부분(304)이 하부 부분(308)보다 지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상부 부분(304)이 하부 부분(308)에 부착될 수 있으며, 퍼터 헤드(300)가 골프 공을 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372)이 하부 부분(304)에 접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퍼터 헤드(300)의 타격면(320)은 타격면 중심점(376)과 로프트 평면(3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376)은 상부 부분(304)의 밑면 및 크라운(342)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 헤드(300)의 힐 단부(316) 및 토 단부(3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380)은 퍼터 헤드(300)의 타격면(320)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316)이 타격면 중심점(3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380)에 수직이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y-축선(388)이 중간 평면(384)과 교차하며 지면(372)에 수직이다.
상부 부분(304)과 하부 부분(308)이 결합되면 힐 단부(316)가 토측 둘레(35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304)과 하부 부분(308)이 결합되면 토 단부(312)가 힐측 둘레(36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304)과 하부 부분(308)이 결합되면 타격면(320)이 전방 가장자리(31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분(304)과 하부 부분(308)이 결합되면 배면 가장자리(364)가 후방 둘레(33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상부 부분(304)과 결합된 하부 부분(308)의 전방 가장자리(316), 후방 둘레(332),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가 솔(368)을 생성한다. 솔(368)은 지면(372)에 수직이며, 퍼터 헤드(3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372)이 솔(368)에 접한다. 퍼터 헤드(300)의 솔(368)은 퍼터 헤드(300)의 토 단부(312)로부터 퍼터 헤드(300)의 힐 단부(316)까지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300)의 솔(3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300)의 솔(368)은 힐(324)에서 토(320)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300)의 솔(368)은 힐(324)에서 토(320)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368)은 퍼터 헤드(300)를 지면(3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308)은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하부 부분(308)과 일체형이며,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와 각각 접촉한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지면(3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부 부분(304)을 향해 하부 부분(308)으로부터 연장된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퍼터 헤드(300)의 하부 부분(308)과 상부 부분(304)을 위치 설정 및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이러한 질량 특징부가 없는 퍼터와 비교할 때 초승달 형상의 퍼터 헤드(300)의 MOI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에 중량을 추가하는 추가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량 특징부는 2g - 5g, 3g - 7g, 또는 1g - 6g의 범위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가 위에 제공된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중량을 갖거나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의 중량이 1g, 2g, 3g, 4g, 5g, 6g, 또는 7g일 수 있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각각, 직사각형, 삼각형, 피라미드형, 구형, 초승달형, 정사각형, 원통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후방 둘레(352)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으며,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후방 둘레(352)와 접촉하거나 교차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가 후방 둘레(352)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가 후방 둘레(352)와 일체형이며 교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토 질량부(341)가 토측 둘레(356)와 전방 가장자리(348)의 교차점에서 전방 가장자리(3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 질량부(341)가 토측 둘레(356)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힐 질량부(343)가 힐측 둘레(360)와 전방 가장자리(348)의 교차점에서 전방 가장자리(3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 질량부(343)가 힐측 둘레(360)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가 집중 질량 영역을 제공하여,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가 퍼터 헤드(300)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가 퍼터(30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기 때문에, 전방 가장자리(316) 상의 또는 그 근처 및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 상의 또는 그 근처에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가 각각 배치되면 MOI가 증가된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제2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재료는 제1 재료보다 밀도가 더 높다.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는 이중 기능을 제공하여, 토 질량부(341) 및 힐 질량부(343)가 퍼터(300)의 MOI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304)이 하부 부분(308)에 결합되는 추가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토 질량부(341)가 또한 전방 토 접착 부분(341)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힐 질량부(343)가 또한 전방 힐 접착 부분(343)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304)의 밑면, 크라운(342), 전방 가장자리(370) 및 배면 가장자리(334)가 제1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캐비티는 토 단부(312) 상의 밑면으로부터 크라운(3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3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1 캐비티는 배면 가장자리(334), 크라운(342) 및 전방 가장자리(37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1 캐비티는 하부 부분(308)의 토 질량부(341)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304)의 밑면, 크라운(342), 전방 가장자리(370) 및 배면 가장자리(334)가 제2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캐비티가 힐 단부(316) 상의 밑면으로부터 크라운(3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3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2 캐비티는 배면 가장자리(334), 크라운(342) 및 전방 가장자리(37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2 캐비티는 하부 부분(308)의 힐 질량부(343)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캐비티는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는 대응하는 토 질량부(341) 또는 힐 질량부(343)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부분(304)이 하부 부분(308)에 부착되면, 제1 캐비티는 제1 캐비티가 토 질량부(34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제2 캐비티는 제2 캐비티가 힐 질량부(343)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저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304)과 고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308)의 조합은 매우 무거운 퍼터를 생성하지 않고 높은 MOI의 퍼터(300)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308)의 후방벽(332), 후방 둘레(352), 토측 둘레(356) 및 힐측 둘레(360)에 의해 형성된 큰 개구(364)는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와 비교하여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는 조밀하지만 부피가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 재료 퍼터는 원하는 부피(50cc - 75cc)와 질량(340g - 385g)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재료를 주변에 할당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308)은 퍼터(300) 부피의 38% 미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308)은 퍼터(300)의 총 부피의 37%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36%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35%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34%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33%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32%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31%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30%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29% 미만, 퍼터(300)의 총 부피의 28% 미만, 또는 퍼터(300)의 총 부피의 27% 미만이다.
하부 부분(308)이 퍼터(300)의 부피의 절반 미만을 차지하지만, 하부 부분(308)이 퍼터(3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5%를 차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308)은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47%,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48%,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49%,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50%,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51%,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52%,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53%, 퍼터(300)의 질량의 적어도 54%, 또는 퍼터(3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5%를 차지한다.
퍼터 헤드(300)의 둘레로의 유익한 질량 이동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단일 스테인리스강 블록으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퍼터(300)의 MOI가 증가된다.
c. 반원형 실시예
일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반원 형상의 퍼터 헤드(400)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반원형 퍼터 헤드(400)는 상부 부분(404) 및 하부 부분(408)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404)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408)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404)과 하부 부분(4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높은 MOI 퍼터 헤드(400)(5000 g·㎠ - 6500 g·㎠)를 생성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408)은 고밀도 재료(즉, 제2 재료)로 구성된다. 하부 부분(408)은 전방 가장자리(448), 후방 둘레(452), 토측 스팬(456) 및 힐측 스팬(460)을 포함한다. 하부 부분(408)과 상부 부분(404)의 밑면이 조합되어 솔(468)을 생성한다. 전방 가장자리(448)가 토측 스팬(456) 및 힐측 스팬(460)에 인접하며 후방 둘레(452)에 대향한다. 토측 스팬(456)이 전방 가장자리(448) 및 후방 둘레(452)에 인접하며 힐측 스팬(460)에 대향한다. 힐측 스팬(460)도 전방 가장자리(448) 및 후방 둘레(452)에 인접하지만 토측 스팬(456)에 대향한다. 토측 스팬(456) 및 힐측 스팬(460)은 상부 부분(404)의 후방 둘레(448)를 지나쳐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힐측 스팬(460) 및 토측 스팬(456)이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스팬(460) 및 토측 스팬(456)이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452) 및 전방 가장자리(448)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452) 및 전방 가장자리(448)가 평행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 둘레(452)는 대략 반원형이며, 따라서 후방 둘레(452)와 전방 가장자리(448)가 평행하지 않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스팬(456)이 전방 가장자리(448)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토측 스팬(456)과 전방 가장자리(448)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측 스팬(456)이 전방 가장자리(448)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토측 스팬(456)과 전방 가장자리(448)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 1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힐측 스팬(460)이 전방 가장자리(448)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힐측 스팬(460)과 전방 가장자리(448)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측 스팬(460)이 전방 가장자리(448)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힐측 스팬(460)과 전방 가장자리(448)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 180°)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가장자리(448), 토측 스팬(456) 및 힐측 스팬(460)이 간극(464)을 형성한다. 간극(464)이 전방 가장자리(448), 토측 스팬(456) 및 힐측 스팬(46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전방 가장자리(448), 토측 스팬(456) 및 힐측 스팬(460)에 의해 형성된 간극(464)이 퍼터의 부피 및 질량의 대부분을 하부 부분(408)의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간극(464)이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간극이 대략 직사각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간극(464)이 원형, 곡선형, 삼각형, 사다리꼴, 포물선형, 골프 공 형상,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퍼터 헤드(400)의 상부 부분(404)은 토 단부(412), 힐 단부(416), 타격면(420), 후방벽(432), 배면 가장자리(434), 크라운(442)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토 단부(412)는 힐 단부(416)에 대향한다. 타격면(420)은 토 단부(412)로부터 힐 단부(416)까지 이어지며, 후방벽(432)에 대향한다. 후방벽(432)은 타격면(420)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크라운(442)은 상부 부분(404)의 타격면(4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434)까지 연장된다. 또한, 밑면은 타격면(4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434)에 걸쳐 크라운(442)에 대향한다.
크라운(442)은 타격면(4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434)까지 추가로 하강한다. 추가적으로, 크라운(442)은 타격면(420)으로부터 하부 부분(408)의 전방 가장자리(448)를 넘어 상부 부분(404)의 배면 가장자리(434)까지 연장된다. 크라운(442)은,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스팬(456)으로부터 총 클럽 헤드(4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으며, 힐측 스팬(460)으로부터 총 클럽 헤드(4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442)이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힐에서 토의 방향으로 총 클럽 헤드(400)의 전체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442)이 클럽 헤드(4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400)의 총 폭의 80% 미만, 클럽 헤드(400)의 총 폭의 70% 미만, 클럽 헤드(400)의 총 폭의 60% 미만, 클럽 헤드(400)의 총 폭의 50% 미만, 클럽 헤드(400)의 총 폭의 40% 미만, 또는 클럽 헤드(400)의 총 폭의 30% 미만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442)이 타격면(4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434)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타격면(4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434)로 상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크라운(442)의 상승 또는 하강은 선형, 곡선형, 포물선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다항식의 함수형일 수 있다.
크라운(442)은 정렬 홈(455)을 더 포함하며, 정렬 홈(455)은 힐 단부(416) 및 토 단부(4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정렬 홈(455)은 후방벽(432)에 인접하며 타격면(420)에 대략 수직이다. 정렬 홈(455)은 힐 단부(416) 및 토 단부(412) 상의 크라운(442), 배면 가장자리(434) 및 후방벽(43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정렬 홈(455)은 대략 골프 공의 폭(대략 4.27 ㎝)으로서, 보고 있는 사람에게 골프 공의 폭이 확장되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한다.
또한, 퍼터 헤드(400)의 상부 부분(404)은 크라운(442) 상의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444)는 선, 일련의 선, 밀링 가공 홈,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44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정렬 특징부(444)는 전체 크라운(442), 크라운(442)의 일부, 또는 정렬 홈(455) 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렬 홈(455)을 따라 연장되는 정렬 특징부(444)는 보고 있는 사람에게 퍼터(400)의 후방벽(432)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434)까지 골프 공의 폭을 확장시키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크라운(442) 및/또는 정렬 홈(455)을 따라 이러한 정렬 특징부(444)를 사용하여 골프 공과 전체 퍼터(400)를 정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부 부분(404)이 하부 부분(408)보다 지면(472)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상부 부분(404)이 하부 부분(408)에 부착되며, 퍼터 헤드(4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472)이 하부 부분(404)에 접한다.
또한, 퍼터 헤드(400)의 타격면(420)은 타격면 중심점(476)과 로프트 평면(4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476)은 상부 부분(404)의 밑면 및 크라운(442)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 헤드(400)의 힐 단부(416) 및 토 단부(4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480)은 퍼터 헤드(400)의 타격면(420)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484)이 타격면 중심점(4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480)에 수직이다. 또한, y-축선(488)이 중간 평면(484)과 교차하며 지면(472)에 수직이다.
상부 부분(404)과 하부 부분(408)이 결합되면 힐 단부(416)가 토측 스팬(45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404)과 하부 부분(408)이 결합되면 토 단부(412)가 힐측 스팬(46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404)과 하부 부분(408)이 결합되면 타격면(420)이 전방 가장자리(448)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분(404)과 하부 부분(408)이 결합되면 배면 가장자리(434)가 후방 둘레(45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후방 둘레(452)는 힐측(416)으로부터 토측(412)에 걸쳐 곡선형일 수 있다. 후방 둘레(452)는 힐측(416)과 후방 둘레(452) 사이의 교차점으로부터 토측(412)과 후방 둘레(452) 사이의 교차점까지 후방 둘레(452)를 따라 측정된 곡선 길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둘레(452) 곡선 길이는 4.5 inch 내지 8.0 inch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둘레(452) 곡선 길이는 4.5 inch - 4.75 inch, 4.75 inch - 5.0 inch, 5.0 inch - 5.25 inch, 5.25 inch - 5.5 inch, 5.5 inch - 5.75 inch, 5.75 inch - 6.0 inch, 6.0 inch - 6.25 inch, 6.25 inch - 6.5 inch, 6.5 inch - 6.75 inch, 6.75 inch - 7.0 inch, 7.25 inch - 7.5 inch, 7.5 inch - 7.75 inch, 또는 7.75 inch - 8.0 inch일 수 있다.
상부 부분(404)과 결합된 하부 부분(408)의 전방 가장자리(448), 후방 둘레(452), 토측 스팬(456) 및 힐측 스팬(460)이 솔(468)을 생성한다. 솔(468)은 지면(472)에 수직이며, 퍼터 헤드(4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472)이 솔(468)에 접한다. 퍼터 헤드(400)의 솔(468)은 퍼터 헤드(400)의 토 단부(412)로부터 퍼터 헤드(400)의 힐 단부(416)까지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400)의 솔(4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400)의 솔(468)은 힐(416)에서 토(412)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400)의 솔(468)은 힐(416)에서 토(412)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468)은 퍼터 헤드(400)를 지면(4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408)은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토 질량부(441), 전방 힐 질량부(443)는 하부 부분(408)과 일체형이다.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는 지면(4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부 부분(404)을 향해 하부 부분(408)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들 질량부는 퍼터 헤드(400)의 하부 부분(408)과 상부 부분(404)을 위치 설정 및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 질량부[즉, 전방 토 질량부(441) 및 힐 전방 질량부(443)]는 이러한 질량 특징부가 없는 퍼터에 비해 퍼터(400)의 MOI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에 중량을 추가하는 추가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량 특징부는 2g - 5g, 3g - 7g, 또는 1g - 6g의 범위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가 위에 제공된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중량을 갖거나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는 1g, 2g, 3g, 4g, 5g, 6g, 또는 7g일 수 있다.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는 각각, 직사각형, 삼각형, 피라미드형, 구형, 반원형, 정사각형, 원통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도 4a에서,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343)는 후방 둘레(452)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으며,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는 후방 둘레(452)와 접촉하거나 교차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대안의 반원형 퍼터(500)가 아래에 예시된다. 퍼터(500)는 퍼터(400)와 동일한 특징부를 포함하지만, 퍼터(500)의 전방 토 질량부(541) 및 전방 힐 질량부(543)가 후방 둘레(552) 상에 위치하며, 전방 토 질량부(541) 및 전방 힐 질량부(543)가 후방 둘레(452)와 일체형이며 교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토 질량부(441)가 토측 스팬(456)과 전방 가장자리(448)의 교차점에서 전방 가장자리(4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토 질량부(441)가 토측 스팬(456)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힐 질량부(443)가 힐측 스팬(460)과 전방 가장자리(448)의 교차점에서 전방 가장자리(4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토 질량부(443)가 힐측 스팬(460)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가 집중 질량 영역을 제공하여, 각각의 질량부(441, 443)가 퍼터 헤드(400)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질량부가 퍼터(40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으므로, 전방 가장자리(448)와 스팬(456, 460) 상에 각각의 질량부(441, 443)를 배치하면 MOI가 증가된다. 둘레(448) 및 스팬(456, 460) 상의 각각의 질량부(441, 443)는 제2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 재료는 제1 재료보다 밀도가 더 높다.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는 이중 기능을 제공하여,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가 퍼터(400)의 MOI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404)이 하부 부분(408)에 결합되는 추가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방 토 질량부(441)가 또한 전방 토 접착 부분(441)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전방 힐 질량부(443)가 또한 전방 힐 접착 부분(443)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408)의 밑면, 타격면(420) 및 후방벽(432)이 제1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캐비티는 토 단부(412) 상의 밑면으로부터 크라운(4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4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1 캐비티는 후방벽(432), 타격면(420) 및 토(41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1 캐비티는 하부 부분(408)의 전방 토 질량부(441)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408)의 밑면, 타격면(420) 및 후방벽(432)이 제2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캐비티가 힐 단부(416) 상의 밑면으로부터 크라운(4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4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2 캐비티는 후방벽(432), 타격면(420) 및 힐(416)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2 캐비티는 하부 부분(408)의 전방 힐 질량부(443)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캐비티가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는 전방 토 질량부(441) 및 전방 힐 질량부(443)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부분(704)이 하부 부분(408)에 부착되면, 제1 캐비티는 제1 캐비티가 전방 토 질량부(44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제2 캐비티는 제2 캐비티가 전방 힐 질량부(443)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저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404)과 고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408)의 조합은 매우 무거운 퍼터를 생성하지 않고 높은 MOI의 퍼터(400)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408)의 후방 둘레(452) 및 스팬(456, 460)에 의해 형성된 큰 간극(464)은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와 비교하여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는 조밀하지만 부피가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 재료 퍼터는 원하는 부피(75cc - 100cc)와 질량(340g - 385g)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재료를 주변에 할당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408)은 퍼터(400) 부피의 38% 미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408)은 퍼터(400)의 총 부피의 37%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36%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35%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34%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33%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32%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31%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30%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29% 미만, 퍼터(400)의 총 부피의 28% 미만, 또는 퍼터(400)의 총 부피의 27% 미만이다.
하부 부분(408)이 퍼터(400)의 부피의 절반 미만을 차지하지만, 하부 부분(408)이 퍼터(4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5%를 차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408)은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47%,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48%,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49%,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50%,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51%,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52%,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53%,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54%, 또는 퍼터(400)의 질량의 적어도 55%를 차지한다.
고밀도의 부피가 작은 하부 부분(408)을 사용한 퍼터 헤드(400)의 둘레로의 유익한 질량 이동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단일 스테인리스강 블록으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퍼터(400)의 MOI가 증가된다.
d. 윙형 실시예
일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둘레 스팬을 갖는 윙 형상의 퍼터 헤드(600)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윙형 퍼터 헤드(600)는 상부 부분(604) 및 하부 부분(608)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604)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608)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604)과 하부 부분(6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높은 MOI 퍼터 헤드(600)(5000 g·㎠ - 6500 g·㎠)를 생성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608)은 고밀도 재료(즉, 제2 재료)로 구성된다. 하부 부분(608)은 전방 둘레(648), 솔(668), 후방 둘레(652), 토측 윙(656) 및 힐측 윙(660)을 포함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도 6c에서, 상부 부분(604)과 결합된 하부 부분(608)의 전방 둘레(648), 후방 둘레(652), 토측 윙(656) 및 힐측 윙(660)이 솔(668)을 생성한다. 전방 둘레(648)는 토측 둘레(656) 및 힐측 둘레(660)에 인접하며 후방 둘레(652)에 대향한다. 토측 윙(656)이 전방 둘레(648) 및 후방 둘레(652)에 인접하며 힐측 윙(660)에 대향한다. 힐측 윙(660)도 전방 둘레(648) 및 후방 둘레(652)에 인접하지만 토측 윙(656)에 대향한다. 토측 윙(656) 및 힐측 윙(660)은 상부 부분(604)의 후방 둘레(648)를 지나쳐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힐측 윙(660) 및 토측 윙(656)이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윙(660) 및 토측 윙(656)이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652) 및 전방 둘레(648)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652) 및 전방 둘레(648)가 평행하지 않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윙(656)이 후방 둘레(65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토측 윙(656)과 후방 둘레(652)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측 윙(656)이 후방 둘레(652)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토측 윙(656)과 후방 둘레(652)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내지 1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힐측 윙(660)이 후방 둘레(65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힐측 윙(660)과 후방 둘레(652)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측 윙(660)이 후방 둘레(652)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힐측 윙(660)과 후방 둘레(652)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 18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부분(608)의 전방 둘레(648)는 전방 폭을 포함한다. 전방 폭은 토측 윙(656)과 전방 둘레(648)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윙(660)과 전방 둘레(648)의 교차점까지 측정된다. 또한, 하부 부분(608)은 후방 폭을 포함한다. 후방 폭은 토측 윙(656)의 선단(657) 및 토측 윙(660)의 선단(661)으로부터 측정되고, 선단(657)은 전방 둘레(648)로부터 가장 먼 토측 윙(656)의 지점이며 선단(661)은 전방 둘레(648)로부터 가장 먼 힐측 윙(660)의 지점이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전방 폭이 후방 폭보다 크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방 폭이 후방 폭과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
후방 둘레(652), 토측 윙(656) 및 힐측 윙(660)이 간극(664)을 형성한다. 간극(664)이 후방 둘레(652), 토측 윙(656) 및 힐측 윙(66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후방 둘레(652), 토측 윙(656) 및 힐측 윙(660)에 의해 형성된 간극(664)이 퍼터의 부피 및 질량의 대부분을 하부 부분(608)의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간극(664)이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간극이 대략 직사각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간극(664)이 원형, 곡선형, 삼각형, 사다리꼴, 포물선형, 골프 공 형상,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퍼터 헤드(600)의 상부 부분(604)은 토 단부(612), 힐 단부(616), 타격면(620), 후방벽(632), 배면 가장자리(634), 크라운(642)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토 단부(612)는 힐 단부(616)에 대향한다. 타격면(620)은 토 단부(612)로부터 힐 단부(616)까지 이어지며, 후방벽(632)에 대향한다. 후방벽(632)은 타격면(620)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크라운(642)은 상부 부분(604)의 타격면(6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634)까지 연장된다. 또한, 밑면은 타격면(6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634)에 걸쳐 크라운(642)에 대향한다.
크라운(642)은 타격면(6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634)까지 추가로 하강한다. 추가적으로, 크라운(642)은 타격면(620)으로부터 하부 부분(608)의 전방 둘레(648)를 넘어 상부 부분(604)의 배면 가장자리(634)까지 연장된다. 크라운(642)은,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윙(656)으로부터 총 클럽 헤드(6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으며, 힐측 윙(660)으로부터 총 클럽 헤드(6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642)이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힐에서 토의 방향으로 총 클럽 헤드(600)의 전체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642)이 클럽 헤드(6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600)의 총 폭의 80% 미만, 클럽 헤드(600)의 총 폭의 70% 미만, 클럽 헤드(600)의 총 폭의 60% 미만, 클럽 헤드(600)의 총 폭의 50% 미만, 클럽 헤드(600)의 총 폭의 40% 미만, 또는 클럽 헤드(600)의 총 폭의 30% 미만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642)이 타격면(6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634)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타격면(6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634)로 상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크라운(642)의 상승 또는 하강은 선형, 곡선형, 포물선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다항식의 함수형일 수 있다.
크라운(642)은 정렬 홈(655)을 추가로 포함하며, 정렬 홈(655)은 힐 단부(616) 및 토 단부(6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정렬 홈(655)은 후방벽(632)에 인접하며 타격면(620)에 대략 수직이다. 정렬 홈(655)은 힐 단부(616) 및 토 단부(612) 상의 크라운(642), 배면 가장자리(634) 및 후방벽(63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정렬 홈은 대략 골프 공의 폭(대략 4.27 ㎝)으로 보고 있는 사람에게 골프 공의 폭이 확장되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한다.
또한, 퍼터 헤드(600)의 상부 부분(604)은 크라운(642) 상의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6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644)는 선, 일련의 선, 밀링 가공 홈,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64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정렬 특징부(644)는 전체 크라운(642), 크라운(642)의 일부, 또는 정렬 홈(655)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렬 홈(655)을 따라 연장되는 정렬 특징부(644)는 보고 있는 사람에게 퍼터(600)의 후방벽(632)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634)까지 골프 공의 폭을 확장시키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크라운(642) 및/또는 정렬 홈(655)을 따라 이러한 정렬 특징부(644)를 사용하여 골프 공과 전체 퍼터(600)를 정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부 부분(604)이 하부 부분(608)보다 지면(672)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상부 부분(604)이 하부 부분(608)에 부착되며, 퍼터 헤드(6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672)이 하부 부분(604)에 접한다.
또한, 퍼터 헤드(600)의 타격면(620)은 타격면 중심점(676)과 로프트 평면(6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676)은 상부 부분(604)의 밑면 및 크라운(642)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 헤드(600)의 힐 단부(616) 및 토 단부(6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680)은 퍼터 헤드(600)의 타격면(620)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684)이 타격면 중심점(6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680)에 수직이다. 또한, y-축선(688)이 중간 평면(648)과 교차하며 지면(672)에 수직이다.
상부 부분(604)과 하부 부분(608)이 결합되면 힐 단부(616)가 토측 윙(65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604)과 하부 부분(608)이 결합되면 토 단부(612)가 힐측 윙(66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604)과 하부 부분(608)이 결합되면 타격면(620)이 전방 둘레(648)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분(604)과 하부 부분(608)이 결합되면 배면 가장자리(634)가 후방 둘레(65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부 부분(604)과 결합된 하부 부분(608)의 전방 둘레(648), 후방 둘레(652), 토측 윙(656) 및 힐측 윙(660)이 솔(668)을 생성한다. 솔(668)은 지면(672)에 수직이며, 퍼터 헤드(6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672)이 솔(668)에 접한다. 퍼터 헤드(600)의 솔(668)은 퍼터 헤드(600)의 토 단부(612)로부터 퍼터 헤드(600)의 힐 단부(616)까지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600)의 솔(6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600)의 솔(668)은 힐(616)에서 토(612)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600)의 솔(668)은 힐(616)에서 토(612)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668)은 퍼터 헤드(600)를 지면(6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608)은 전방 토 질량부(641), 전방 힐 질량부(643), 토 윙 질량부(645), 및 힐 윙 질량부(64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토 질량부(641), 전방 힐 질량부(643), 토 윙 질량부(645) 및 힐 윙 질량부(647)는 하부 부분(608)과 일체형이다. 전방 토 질량부(641), 전방 힐 질량부(643), 토 윙 질량부(645) 및 힐 윙 질량부(647)는 지면(6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부 부분(604)을 향해 하부 부분(608)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들 질량부는 상부 부분(404)을 위치 설정하며 퍼터 헤드(600)의 하부 부분(608)과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 질량부[즉, 전방 토 질량부(641), 전방 힐 질량부(643), 토 윙 질량부(645) 및 힐 윙 질량부(647)]는 이러한 질량 특징부가 없는 퍼터에 비해 퍼터(600)의 MOI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에 중량을 추가하는 추가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량 특징부는 2g - 5g, 3g - 7g, 또는 1g - 6g의 범위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가 위에 제공된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중량을 갖거나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는 1g, 2g, 3g, 4g, 5g, 6g, 또는 7g일 수 있다. 전방 토 질량부(641), 전방 힐 질량부(643), 토 윙 질량부(645) 및 힐 윙 질량부(647)는 각각, 직사각형, 삼각형, 피라미드형, 구형, 반원형, 정사각형, 원통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토 질량부(641)가 토 윙(656)과 전방 둘레(648)의 교차점에서 전방 둘레(6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토 질량부(641)가 전방 둘레(648)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힐 질량부(643)가 힐 윙(660)과 전방 둘레(648)의 교차점에서 전방 둘레(6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힐 질량부(643)가 전방 둘레(648)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 윙 질량부(645)가 토측 윙(656)의 일부 위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 윙 질량부(645)가 토측 윙(656)의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힐 윙 질량부(647)가 힐측 윙(660)의 일부 위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 윙 질량부(647)가 힐측 윙(660)의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 토 질량부(641), 전방 힐 질량부(643), 토 윙 질량부(645) 및 힐 윙 질량부(647)가 집중 질량 영역을 제공하여, 각각의 질량부(641, 643, 645, 647)가 퍼터 헤드(600)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질량부(641, 643, 645, 647)가 퍼터(60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으므로, 둘레(648)와 윙(656, 660) 상에 각각의 질량부(641, 643, 645, 647)를 배치하면 MOI가 증가된다. 둘레(648) 및 윙(656, 660) 상의 각각의 질량부(641, 643, 645, 647)는 제2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 재료는 제1 재료보다 밀도가 더 높다.
전방 토 질량부(641) 및 전방 힐 질량부(643)는 이중 기능을 제공하여, 전방 토 질량부(641) 및 전방 힐 질량부(643)가 퍼터(600)의 MOI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604)이 하부 부분(608)에 결합되는 추가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방 토 질량부(641)가 또한 전방 토 접착 부분(641)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전방 힐 질량부(643)가 또한 전방 힐 접착 부분(643)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608)의 밑면, 타격면(620) 및 후방벽(632)이 제1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캐비티는 토 단부(612) 상의 밑면으로부터 크라운(6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6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1 캐비티는 후방벽(632), 타격면(620) 및 토(61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1 캐비티는 하부 부분(608)의 전방 토 질량부(641)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608)의 밑면, 타격면(620) 및 후방벽(632)이 제2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캐비티가 힐 단부(616) 상의 밑면으로부터 크라운(6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6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2 캐비티는 후방벽(632), 타격면(620) 및 힐(616)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2 캐비티는 하부 부분(608)의 전방 힐 질량부(643)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캐비티가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는 전방 토 질량부(641) 및 전방 힐 질량부(643)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부분(604)이 하부 부분(608)에 부착되면, 제1 캐비티는 제1 캐비티가 전방 토 질량부(64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제2 캐비티는 제2 캐비티가 전방 힐 질량부(643)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저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604)과 고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608)의 조합은 매우 무거운 퍼터를 생성하지 않고 높은 MOI의 퍼터(600)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608)의 후방 둘레(652) 및 윙(656, 660)에 의해 형성된 큰 간극(664)은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와 비교하여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는 조밀하지만 부피가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 재료 퍼터는 원하는 부피(75cc - 100cc)와 질량(340g - 385g)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재료를 주변에 할당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608)은 퍼터(600)의 총 부피의 38% 미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608)은 퍼터(600)의 총 부피의 37%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36%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35%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34%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33%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32%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31%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30%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29% 미만, 퍼터(600)의 총 부피의 28% 미만, 또는 퍼터(600)의 총 부피의 27% 미만이다.
하부 부분(608)이 퍼터(600)의 부피의 절반 미만을 차지하지만, 하부 부분(608)이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5%를 차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608)은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7%,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8%,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9%,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0%,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1%,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2%,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3%,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4%, 또는 퍼터(6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5%를 차지한다.
고밀도의 부피가 작은 하부 부분(608)을 사용한 퍼터 헤드(600)의 둘레로의 유익한 질량 이동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단일 스테인리스강 블록으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퍼터(600)의 MOI가 증가된다.
e. 스페이드 실시예
일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둘레 스팬을 갖는 스페이드 형상의 퍼터 헤드(700)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스페이드 형상의 퍼터 헤드(700)는 상부 부분(704) 및 하부 부분(708)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704)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708)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704)과 하부 부분(7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높은 MOI 퍼터 헤드(700)(5000 g·㎠ - 6500 g·㎠)를 생성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708)은 고밀도 재료(즉, 제1 재료)로 구성되어, 이에 의해 중간선(784) 아래의 질량을 낮춘다. 하부 부분(708)은 전방 둘레(748), 후방 둘레(752), 토측 둘레(756) 및 힐측 둘레(760)를 포함한다. 전방 둘레(748)는 토측 둘레(756) 및 힐측 둘레(760)에 인접하며 후방 둘레(752)에 대향한다. 토측 둘레(756)는 전방 둘레(748) 및 후방 둘레(752)에 인접하며 힐측 둘레(760)에 대향한다. 힐측 둘레(760)도 전방 둘레(748) 및 후방 둘레(752)에 인접하지만 토측 둘레(756)에 대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760) 및 토측 둘레(756)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760) 및 토측 둘레(756)가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752) 및 전방 둘레(748)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752) 및 전방 둘레(748)가 평행하지 않다.
하부 부분(708)의 전방 둘레(748)는 전방 폭을 포함한다. 전방 폭은 토측 둘레(756)와 전방 둘레(748)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760)와 전방 둘레(748)의 교차점까지 측정된다. 또한, 하부 부분(708)의 후방 둘레(752)는 후방 폭을 포함한다. 후방 폭은 토측 둘레(756)와 후방 둘레(752)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760)와 후방 둘레(752)의 교차점까지 측정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전방 폭이 후방 폭보다 크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방 폭이 후방 폭과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전방 둘레(748), 후방 둘레(752), 토측 둘레(756) 및 힐측 둘레(760)가 결합되어 개구(764)를 형성하며, 개구(764)는 4개의 둘레[전방(748), 후방(752), 토측(756) 및 힐측(76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4개의 둘레(748, 752, 756, 760)가 개구(764)의 주위에 주변부를 형성한다. 하부 부분(708)의 둘레(748, 752, 756, 760)에 의해 형성된 중앙 개구(764)가 퍼터의 부피 및 질량의 대부분을 하부 부분(708)의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퍼터 헤드(700)의 상부 부분(704)은 토 단부(712), 힐 단부(716), 타격면(720), 후방벽(732), 배면 가장자리(734), 크라운(742)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토 단부(712)는 힐 단부(716)에 대향한다. 타격면(720)은 토 단부(712)로부터 힐 단부(716)까지 이어지며, 후방벽(732)에 대향한다. 후방벽(732)은 타격면(720)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크라운(742)은 타격면(720)으로부터 후방벽(732)의 적어도 일부를 넘어 상부 부분(704)의 배면 가장자리(734)까지 연장된다. 또한, 밑면은 타격면(7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734)에 걸쳐 크라운(742)에 대향한다.
크라운(742)은 타격면(7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734)까지 추가로 하강한다. 추가적으로, 크라운(742)은 타격면(720)으로부터 후방벽(732)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부분(708)의 개구(764)를 넘어 상부 부분(704)의 배면 가장자리(734)까지 연장된다. 크라운(742)은,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둘레(756) 및 힐측 둘레(760)로부터 총 클럽 헤드(700) 폭의 내측 25%이다. 본 실시예에서, 크라운(742)은 클럽 헤드(700)의 폭의 대략 50%에 걸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742)이 힐에서 토의 방향으로 총 클럽 헤드(700)의 전체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742)이 클럽 헤드(7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700)의 총 폭의 80% 미만, 클럽 헤드(700)의 총 폭의 70% 미만, 클럽 헤드(700)의 총 폭의 60% 미만, 클럽 헤드(700)의 총 폭의 50% 미만, 클럽 헤드(700)의 총 폭의 40% 미만, 또는 클럽 헤드(700)의 총 폭의 30% 미만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742)이 타격면(7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734)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타격면(7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734)로 상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크라운(742)의 상승 또는 하강은 선형, 곡선형, 포물선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다항식의 함수형일 수 있다.
또한, 퍼터 헤드(700)의 상부 부분(704)은 크라운(742) 상의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7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744)는 선, 일련의 선, 밀링 가공 홈,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74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정렬 특징부(744)는 전체 크라운(742) 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되며, 크라운은 골프 공의 폭(대략 4.27 ㎝)으로 구성된다. 크라운(742)을 따라 연장되는 정렬 특징부(744)는 보고 있는 사람에게 퍼터(700)의 타격면(7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734)까지 골프 공의 폭을 확장시키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크라운(742)을 따라 이러한 정렬 특징부(744)를 사용하여 골프 공과 전체 퍼터(700)를 정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부 부분(704)이 하부 부분(708)보다 지면(772)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상부 부분(704)이 하부 부분(708)에 부착되며, 퍼터 헤드(7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772)이 하부 부분(704)에 접한다.
또한, 퍼터 헤드(700)의 타격면(720)은 타격면 중심점(776)과 로프트 평면(7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776)은 상부 부분(704)의 밑면 및 크라운(742)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 헤드(700)의 힐 단부(716) 및 토 단부(7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780)은 퍼터 헤드(700)의 타격면(720)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748)이 타격면 중심점(7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780)에 수직이다. 또한, y-축선(788)이 중간 평면(784)과 교차하며 지면(772)에 수직이다.
상부 부분(704)과 하부 부분(708)이 결합되면 힐 단부(716)가 토측 둘레(75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704)과 하부 부분(708)이 결합되면 토 단부(712)가 힐측 둘레(76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704)과 하부 부분(708)이 결합되면 타격면(720)이 전방 둘레(748)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분(704)과 하부 부분(708)이 결합되면 배면 가장자리(734)가 후방 둘레(75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상부 부분(704)과 결합된 하부 부분(708)의 4개의 둘레[전방(748), 후방(752), 토측(756) 및 힐측(760)]가 솔(768)을 생성한다. 솔(768)은 지면(772)에 수직이며, 퍼터 헤드(7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772)이 솔(768)에 접한다. 퍼터 헤드(700)의 솔(768)은 퍼터 헤드(700)의 토 단부(712)로부터 퍼터 헤드(700)의 힐 단부(716)까지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700)의 솔(7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700)의 솔(768)은 힐(716)에서 토(712)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700)의 솔(768)은 힐(716)에서 토(712)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768)은 퍼터 헤드(700)를 지면(7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708)은 전방 질량부(741), 후방 질량부(743), 토 질량부(745), 및 힐 질량부(74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질량부(741), 후방 질량부(743), 토 질량부(745) 및 힐 질량부(747)는 하부 부분(708)과 일체형이다. 전방 질량부(741), 후방 질량부(743), 토 질량부(745) 및 힐 질량부(747)는 지면(7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부 부분(704)을 향해 하부 부분(708)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들 질량부는 상부 부분(404)을 위치 설정하며 퍼터 헤드(700)의 하부 부분(708)과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 질량부[즉, 전방 질량부(741), 후방 질량부(743), 토 질량부(745) 및 힐 질량부(747)]는 이러한 질량 특징부가 없는 퍼터에 비해 퍼터(700)의 MOI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에 중량을 추가하는 추가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량 특징부는 2g - 5g, 3g - 7g, 또는 1g - 6g의 범위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가 위에 제공된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중량을 갖거나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는 1g, 2g, 3g, 4g, 5g, 6g, 또는 7g일 수 있다. 전방 질량부(741), 후방 질량부(743), 토 질량부(745) 및 힐 질량부(747)는 각각, 직사각형, 삼각형, 피라미드형, 구형, 반원형, 정사각형, 원통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질량부(741)가 토측 둘레(756) 및 힐측 둘레(760)로부터 등거리로 전방 둘레(7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질량부(741)가 전방 둘레(748)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질량부(743)가 토측 둘레(756) 및 힐측 둘레(760)로부터 등거리로 후방 둘레(752)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후방 질량부(743)가 후방 둘레(752)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 질량부(745)가 토측 둘레(756)와 후방 둘레(752)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 질량부(745)가 토측 둘레(756)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힐 질량부(747)가 힐측 둘레(760)와 후방 둘레(752)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 질량부(747)가 힐측 둘레(760)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 질량부(741), 후방 질량부(743), 토 질량부(745) 및 힐 질량부(747)가 집중 질량 영역을 제공하여, 각각의 질량부(741, 743, 745, 747)가 퍼터 헤드(700)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질량부가 퍼터(70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으므로, 둘레(748, 752, 756, 760) 상에 각각의 질량부(741, 743, 745, 747)를 배치하면 MOI가 증가된다. 둘레(748, 752, 756, 760) 상의 각각의 질량부(741, 743, 745, 747)는 제2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 재료는 제1 재료보다 밀도가 더 높다.
전방 질량부(741) 및 후방 질량부(743)는 이중 기능을 제공하여, 전방 질량부(741) 및 후방 질량부(743)가 퍼터(700)의 MOI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704)이 하부 부분(708)에 결합되는 추가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방 질량부(741)가 또한 전방 접착 부분(741) 및 후방 질량부(743)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708)의 밑면, 타격면(720) 및 후방벽(732)이 제1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캐비티는 밑면으로부터 크라운(7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7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1 캐비티는 후방벽(732) 및 타격면(72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1 캐비티는 하부 부분(708)의 전방 질량부(741)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면, 배면 가장자리(734) 및 크라운(742)이 제2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한다. 제2 캐비티는 밑면으로부터 크라운(7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7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2 캐비티는 배면 가장자리(734) 및 크라운(73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708)이 상부 부분(704)에 결합되면, 제2 캐비티는 토측 둘레(756)와 힐측 둘레(760)의 사이에 등거리에 위치한다. 제2 캐비티는 하부 부분(708)의 후방 질량부(743)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캐비티가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는 전방 질량부(741) 및 후방 질량부(743)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부분(704)이 하부 부분(708)에 부착되면, 제1 캐비티는 제1 캐비티가 전방 질량부(74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제2 캐비티는 제2 캐비티가 후방 질량부(743)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저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704)과 고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708)의 조합은 매우 무거운 퍼터를 생성하지 않고 높은 MOI의 퍼터(700)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708)의 둘레(748, 752, 756, 760)에 의해 형성된 큰 개구(764)는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와 비교하여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는 조밀하지만 부피가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 재료 퍼터는 원하는 부피(75cc - 100cc)와 질량(340g - 385g)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재료를 주변에 할당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708)은 퍼터(700)의 총 부피의 35% 미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708)은 퍼터(700)의 총 부피의 34% 미만, 퍼터(700)의 총 부피의 33% 미만, 퍼터(700)의 총 부피의 32% 미만, 퍼터(700)의 총 부피의 31% 미만, 퍼터(700)의 총 부피의 30% 미만, 퍼터(700)의 총 부피의 29% 미만, 퍼터(700)의 총 부피의 28% 미만, 또는 퍼터(700)의 총 부피의 27% 미만이다.
하부 부분(708)이 퍼터(700)의 부피의 절반 미만을 차지하지만, 하부 부분(708)이 퍼터(7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5%를 차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708)은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47%,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48%,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49%,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50%,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51%,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52%,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53%,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54%, 또는 퍼터(700)의 질량의 적어도 55%를 차지한다.
고밀도의 부피가 작은 하부 부분(708)을 사용한 퍼터 헤드(700)의 둘레로의 유익한 질량 이동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단일 스테인리스강 블록으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퍼터(700)의 MOI가 증가된다.
f. 둘레 스팬을 갖는 T-자형 실시예
일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둘레 스팬을 갖는 T-자형의 퍼터 헤드(800)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둘레 스팬을 갖는 T-자형 퍼터 헤드(800)는 상부 부분(804) 및 하부 부분(808)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804)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808)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804)과 하부 부분(8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높은 MOI 퍼터 헤드(800)(5000 g·㎠ - 6500 g·㎠)를 생성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808)은 고밀도 재료(즉, 제2 재료)로 구성되어, 이에 의해 중간선(884) 아래의 질량을 낮춘다. 하부 부분(808)은 전방 둘레(848), 후방 둘레(852), 토측 둘레(856) 및 힐측 둘레(860)를 포함한다. 전방 둘레(848)는 토측 둘레(856) 및 힐측 둘레(860)에 인접하며 후방 둘레(852)에 대향한다. 토측 둘레(856)는 전방 둘레(848) 및 후방 둘레(852)에 인접하며 힐측 둘레(860)에 대향한다. 힐측 둘레(860)도 전방 둘레(848) 및 후방 둘레(852)에 인접하지만 토측 둘레(856)에 대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860) 및 토측 둘레(856)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860) 및 토측 둘레(856)가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852) 및 전방 둘레(848)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852) 및 전방 둘레(848)가 평행하지 않다.
하부 부분(808)의 전방 둘레(848)는 전방 폭을 포함한다. 전방 폭은 토측 둘레(856)와 전방 둘레(848)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860)와 전방 둘레(848)의 교차점까지 측정된다. 또한, 하부 부분(808)의 후방 둘레(852)는 후방 폭을 포함한다. 후방 폭은 토측 둘레(856)와 후방 둘레(852)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860)와 후방 둘레(852)의 교차점까지 측정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전방 폭이 후방 폭보다 크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방 폭이 후방 폭과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전방 둘레(848), 후방 둘레(852), 토측 둘레(856) 및 힐측 둘레(860)가 결합되어 개구(864)를 형성하며, 개구(864)는 4개의 둘레[전방(856), 후방(852), 토측(856) 및 힐측(86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4개의 둘레(856, 852, 856, 860)가 개구(864)의 주위에 주변부를 형성한다. 하부 부분(808)의 둘레(856, 852, 856, 860)에 의해 형성된 중앙 개구(864)가 퍼터의 부피 및 질량의 대부분을 하부 부분(808)의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둘레(848), 후방 둘레(852), 토측 둘레(856) 및 힐측 둘레(860)에 의해 형성된 개구(864)는 직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원형(골프 공 크기), 원형(골프 공 크기보다 큼), 원형(골프 공 크기보다 작음), 정사각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퍼터 헤드(800)의 상부 부분(804)은 토 단부(812), 힐 단부(816), 타격면(820), 후방벽(832), 배면 가장자리(834), 크라운(842)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토 단부(812)는 힐 단부(816)에 대향한다. 타격면(820)은 토 단부(812)로부터 힐 단부(816)까지 이어지며, 후방벽(832)에 대향한다. 후방벽(832)은 타격면(820)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크라운(842)은 타격면(820)으로부터 후방벽(832)의 적어도 일부를 넘어 상부 부분(804)의 배면 가장자리(834)까지 연장된다. 또한, 밑면은 타격면(8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834)에 걸쳐 크라운(842)에 대향한다.
크라운(842)은 타격면(8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834)까지 추가로 하강한다. 추가적으로, 크라운(842)은 타격면(820)으로부터 후방벽(832)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부분(808)의 개구(864)를 넘어 상부 부분(804)의 배면 가장자리(834)까지 연장된다. 크라운(842)은,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둘레(856) 및 힐측 둘레(860)로부터 총 클럽 헤드(800) 폭의 내측 25%이다. 본 실시예에서, 크라운(842)은 클럽 헤드(800)의 폭의 대략 50%에 걸쳐 있어, 타격면을 갖는 "T-자형"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842)이 힐에서 토의 방향으로 총 클럽 헤드(800)의 전체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842)이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80% 미만,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70% 미만,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60% 미만,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50% 미만,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40% 미만, 또는 클럽 헤드(800)의 총 폭의 30% 미만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842)이 타격면(8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834)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타격면(8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834)로 상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크라운(842)의 상승 또는 하강은 선형, 곡선형, 포물선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다항식의 함수형일 수 있다.
또한, 퍼터 헤드(800)의 상부 부분(804)은 크라운(842) 상의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8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844)는 선, 일련의 선, 밀링 가공 홈,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84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정렬 특징부(844)는 전체 크라운(842) 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되며, 크라운은 골프 공의 폭(대략 4.27 ㎝)으로 구성된다. 크라운(842)을 따라 연장되는 정렬 특징부(844)는 보고 있는 사람에게 퍼터(800)의 타격면(8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834)까지 골프 공의 폭을 확장시키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크라운(842)을 따라 이러한 정렬 특징부(844)를 사용하여 골프 공과 전체 퍼터(800)를 정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부 부분(804)이 하부 부분(808)보다 지면(872)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상부 부분(804)이 하부 부분(808)에 부착되며, 퍼터 헤드(8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872)이 하부 부분(804)에 접한다.
또한, 퍼터 헤드(800)의 타격면(820)은 타격면 중심점(876)과 로프트 평면(8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876)은 상부 부분(804)의 밑면 및 크라운(842)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 헤드(800)의 힐 단부(816) 및 토 단부(8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880)은 퍼터 헤드(800)의 타격면(820)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884)이 타격면 중심점(8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880)에 수직이다. 또한, y-축선(888)이 중간 평면(884)과 교차하며 지면(872)에 수직이다.
상부 부분(804)과 하부 부분(808)이 결합되면 힐 단부(816)가 토측 둘레(85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804)과 하부 부분(808)이 결합되면 토 단부(812)가 힐측 둘레(86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804)과 하부 부분(808)이 결합되면 타격면(820)이 전방 둘레(848)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분(804)과 하부 부분(808)이 결합되면 배면 가장자리(834)가 후방 둘레(85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상부 부분(804)과 결합된 하부 부분(808)의 4개의 둘레[전방(848), 후방(852), 토측(856) 및 힐측(860)]가 솔(868)을 생성한다. 솔(868)은 지면(872)에 수직이며, 퍼터 헤드(8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872)이 솔(868)에 접한다. 퍼터 헤드(800)의 솔(868)은 퍼터 헤드(800)의 토 단부(812)로부터 퍼터 헤드(800)의 힐 단부(816)까지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800)의 솔(8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800)의 솔(868)은 힐(816)에서 토(812)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800)의 솔(868)은 힐(816)에서 토(812)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868)은 퍼터 헤드(800)를 지면(8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808)은 전방 질량부(841), 후방 질량부(843), 토 질량부(845) 및 힐 질량부(84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질량부(841), 후방 질량부(843), 토 질량부(845) 및 힐 질량부(847)는 하부 부분(808)과 일체형이다. 전방 질량부(841), 후방 질량부(843), 토 질량부(845) 및 힐 질량부(847)는 지면(8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부 부분(804)을 향해 하부 부분(808)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들 질량부는 상부 부분(804)을 위치 설정하며 퍼터 헤드(800)의 하부 부분(808)과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 질량부[즉, 전방 질량부(841), 후방 질량부(843), 토 질량부(845) 및 힐 질량부(847)]는 이러한 질량 특징부가 없는 퍼터에 비해 퍼터(800)의 MOI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에 중량을 추가하는 추가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량 특징부는 2g - 5g, 3g - 7g, 또는 1g - 6g의 범위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가 위에 제공된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중량을 갖거나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는 1g, 2g, 3g, 4g, 5g, 6g, 또는 7g일 수 있다. 전방 질량부(841), 후방 질량부(843), 토 질량부(845) 및 힐 질량부(847)는 각각, 직사각형, 삼각형, 피라미드형, 구형, 반원형, 정사각형, 원통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질량부(841)가 토측 둘레(856) 및 힐측 둘레(860)로부터 등거리로 전방 둘레(8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질량부(841)가 전방 둘레(848)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질량부(843)가 토측 둘레(856) 및 힐측 둘레(860)로부터 등거리로 후방 둘레(852)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후방 질량부(843)가 후방 둘레(852)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 질량부(845)가 토측 둘레(856)와 후방 둘레(852)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 질량부(845)가 토측 둘레(856)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힐 질량부(847)가 힐측 둘레(860)와 후방 둘레(852)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 질량부(847)가 힐측 둘레(860)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 질량부(841), 후방 질량부(843), 토 질량부(845) 및 힐 질량부(847)가 집중 질량 영역을 제공하여, 각각의 질량부(841, 843, 845, 847)가 퍼터 헤드(800)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질량부(841, 843, 845, 847)가 퍼터(80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으므로, 둘레(848, 852, 856, 860) 상에 각각의 질량부(841, 843, 845, 847)를 배치하면 MOI가 증가된다. 둘레(848, 852, 856, 860) 상의 각각의 질량부(841, 843, 845, 847)는 제2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 재료는 제1 재료보다 밀도가 더 높다.
전방 질량부(841) 및 후방 질량부(843)는 이중 기능을 제공하여, 전방 질량부(841) 및 후방 질량부(843)가 퍼터(800)의 MOI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804)이 하부 부분(808)에 결합되는 추가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방 질량부(841)가 또한 전방 접착 부분(841) 및 후방 질량부(843)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808)의 밑면, 타격면(820) 및 후방벽(832)이 제1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캐비티는 밑면으로부터 크라운(8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8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1 캐비티는 후방벽(832) 및 타격면(82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1 캐비티는 하부 부분(808)의 전방 질량부(841)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면, 배면 가장자리(834) 및 크라운(842)이 제2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한다. 제2 캐비티는 밑면으로부터 크라운(8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8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2 캐비티는 배면 가장자리(834) 및 크라운(83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808)이 상부 부분(804)에 결합되면, 제2 캐비티는 토측 둘레(856)와 힐측 둘레(860)의 사이에 등거리에 위치한다. 제2 캐비티는 하부 부분(808)의 후방 질량부(843)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캐비티가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는 전방 질량부(841) 및 후방 질량부(843)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부분(804)이 하부 부분(808)에 부착되면, 제1 캐비티는 제1 캐비티가 전방 질량부(84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제2 캐비티는 제2 캐비티가 후방 질량부(843)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저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804)과 고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808)의 조합은 매우 무거운 퍼터를 생성하지 않고 높은 MOI의 퍼터(800)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808)의 둘레(848, 852, 856, 860)에 의해 형성된 큰 개구(864)는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와 비교하여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는 조밀하지만 부피가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 재료 퍼터는 원하는 부피(75cc - 100cc)와 질량(340g - 385g)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재료를 주변에 할당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808)은 퍼터(800)의 총 부피의 35% 미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908)은 퍼터(800)의 총 부피의 34% 미만, 퍼터(800)의 총 부피의 33% 미만, 퍼터(800)의 총 부피의 32% 미만, 퍼터(800)의 총 부피의 31% 미만, 퍼터(800)의 총 부피의 30% 미만, 퍼터(800)의 총 부피의 29% 미만, 퍼터(800)의 총 부피의 28% 미만, 또는 퍼터(800)의 총 부피의 27% 미만이다.
하부 부분(808)이 퍼터(800)의 부피의 절반 미만을 차지하지만, 하부 부분(808)이 퍼터(8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5%를 차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808)은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47%,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48%,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49%,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50%,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51%,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52%,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53%,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54%, 또는 퍼터(800)의 질량의 적어도 55%를 차지한다.
고밀도의 부피가 작은 하부 부분(808)을 사용한 퍼터 헤드(800)의 둘레로의 유익한 질량 이동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단일 스테인리스강 블록으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퍼터(800)의 MOI가 증가된다.
g. 듀얼 레일 실시예
다른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는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는 상부 부분(904) 및 하부 부분(908)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904)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908)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904)과 하부 부분(9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높은 MOI 퍼터 헤드(900)(5000 g·㎠ - 6500 g·㎠)를 생성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908)은 고밀도 재료(즉, 제2 재료)로 구성되어, 이에 의해 중간선(984) 아래의 질량을 낮춘다. 하부 부분(908)은 전방 둘레(948), 후방 둘레(952), 토측 둘레(956) 및 힐측 둘레(960)를 포함한다. 전방 둘레(948)는 토측 둘레(956) 및 힐측 둘레(960)에 인접하며 후방 둘레(952)에 대향한다. 토측 둘레(956)는 전방 둘레(948) 및 후방 둘레(952)에 인접하며 힐측 둘레(960)에 대향한다. 힐측 둘레(956)도 전방 둘레(948) 및 후방 둘레(952)에 인접하지만 토측 둘레(956)에 대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960) 및 토측 둘레(956)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둘레(960) 및 토측 둘레(956)가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952) 및 전방 둘레(948)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방 둘레(952) 및 전방 둘레(948)가 평행하지 않다.
하부 부분(908)의 전방 둘레(948)는 전방 폭을 포함한다. 전방 폭은 토측 둘레(956)와 전방 둘레(948)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960)와 전방 둘레(948)의 교차점까지 측정된다. 또한, 하부 부분(908)의 후방 둘레(952)는 후방 폭을 포함한다. 후방 폭은 토측 둘레(956)와 후방 둘레(952)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960)와 후방 둘레(952)의 교차점까지 측정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전방 폭이 후방 폭보다 크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방 폭이 후방 폭과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전방 둘레(948), 후방 둘레(952), 토측 둘레(956) 및 힐측 둘레(960)가 결합되어 개구(964)를 형성하며, 개구(964)는 4개의 둘레[전방(948), 후방(952), 토측(956) 및 힐측(96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4개의 둘레(948, 952, 956, 960)가 개구(964)의 주위에 주변부를 형성한다. 하부 부분(908)의 둘레(948, 952, 956, 960)에 의해 형성된 중앙 개구(964)가 퍼터의 부피 및 질량의 대부분을 하부 부분(908)의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둘레(948), 후방 둘레(952), 토측 둘레(956) 및 힐측 둘레(960)에 의해 형성된 개구(964)는 직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원형(골프 공 크기), 원형(골프 공 크기보다 큼), 원형(골프 공 크기보다 작음), 정사각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상부 부분(904)은 토 단부(912), 힐 단부(916), 타격면(920), 후방벽(932), 배면 가장자리(934), 크라운(942)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토 단부(912)는 힐 단부(916)에 대향한다. 타격면(920)은 토 단부(912)로부터 힐 단부(916)까지 이어지며, 후방벽(932)에 대향한다. 후방벽(932)은 타격면(920)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크라운(942)은 타격면(920)으로부터 후방벽(932)의 적어도 일부를 넘어 상부 부분(904)의 배면 가장자리(934)까지 연장된다. 또한, 밑면은 타격면(9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934)에 걸쳐 크라운(942)에 대향한다.
상부 부분(904)의 크라운(942)은 토 단부 중간 레일(936) 및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 단부 중간 레일(936)과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이 대략 평행하면서 타격면(920)에 수직이다. 또한, 토 단부 중간 레일(936)과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은 토측 둘레(956) 또는 힐측 둘레(960)와 접촉하지 않는다. 토 단부 중간 레일(936) 및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이 각각, 토측 둘레(956) 및 힐측 둘레(960)의 외부 둘레로부터 총 클럽 헤드 폭의 대략 1/3 내측에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 단부 중간 레일(936) 및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이 각각, 토측 둘레 및 힐측 둘레의 외부 둘레로부터 총 클럽 헤드 폭의 대략 1/3 이상 또는 이하 내측에 있다. 토 단부 중간 레일(936)과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은 타격면(9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934)로 하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토 단부 중간 레일(936)과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은 평행하지 않으며 타격면(920)에 수직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토 단부 중간 레일(936)과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이 타격면(9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934)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타격면(9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934)로 상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중간 레일(936, 940)의 상승 또는 하강은 선형, 곡선형, 포물선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다항식의 함수형일 수 있다.
또한,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상부 부분(904)은 토 단부 중간 레일(936) 및 힐 단부 중간 레일(940) 상에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9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944)는 선,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94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정렬 특징부(944)는 레일(936, 940) 상에 골프 공의 폭(대략 4.27 ㎝)으로 이격 배치된다. 정렬 특징부(944)는 레일을 따라 연장되어 보고 있는 사람에게 전체 퍼터(900)의 골프 공 타격면(920)으로부터 확장되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한다. 토 단부 중간 레일(936) 및/또는 힐 단부 중간 레일(940)을 따라 이러한 정렬 특징부(944)를 사용하여 골프 공과 전체 퍼터(900)를 정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부 부분(904)이 하부 부분(908)보다 지면(972)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상부 부분(904)이 하부 부분(908)에 부착되며,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972)이 하부 부분(904)에 접한다.
또한,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타격면(920)은 타격면 중심점(976)과 로프트 평면(9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976)은 상부 부분(904)의 밑면 및 크라운(942)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뿐만 아니라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힐 단부(916) 및 토 단부(9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980)은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타격면(920)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984)이 타격면 중심점(9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980)에 수직이다. 또한, y-축선(988)이 중간 평면(984)과 교차하며 지면(972)에 수직이다.
상부 부분(904)과 하부 부분(908)이 결합되면 힐 단부(916)가 토측 둘레(95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904)과 하부 부분(908)이 결합되면 토 단부(912)가 힐측 둘레(96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904)과 하부 부분(908)이 결합되면 타격면(920)이 전방 둘레(948)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분(904)과 하부 부분(908)이 결합되면 배면 가장자리(934)가 후방 둘레(95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부 부분(904)과 결합된 하부 부분(908)의 4개의 둘레[전방(948), 후방(952), 토측(956) 및 힐측(960)]가 솔(968)을 생성한다. 솔(968)은 지면(972)에 수직이며,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972)이 솔(968)에 접한다.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솔(968)은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토 단부(912)로부터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힐 단부(916)까지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솔(9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900)의 솔(968)은 힐에서 토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900)의 솔(968)은 힐에서 토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968)은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를 지면(9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908)은 전방 질량부(941), 후방 질량부(943),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질량부(941), 후방 질량부(943),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는 하부 부분(908)과 일체형이다. 전방 질량부(941), 후방 질량부(943),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는 지면(9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부 부분(904)을 향해 하부 부분(908)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들 질량 부분은 상부 부분을 위치 설정하며 듀얼 레일 퍼터 헤드(900)의 하부 부분과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 질량부[즉, 전방 질량부(941), 후방 질량부(943),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는 이러한 질량 특징부가 없는 퍼터에 비해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에 중량을 추가하는 추가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량 특징부는 2g - 5g, 3g - 7g, 또는 1g - 6g의 범위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가 위에 제공된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중량을 갖거나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특징부는 1g, 2g, 3g, 4g, 5g, 6g, 또는 7g일 수 있다. 전방 질량부(941), 후방 질량부(943),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는 각각, 직사각형, 삼각형, 피라미드형, 구형, 반원형, 정사각형, 원통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질량부(941)가 토측 둘레(956) 및 힐측 둘레(960)로부터 등거리로 전방 둘레(948)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질량부(941)가 전방 둘레(948)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질량부(943)가 토측 둘레(956) 및 힐측 둘레(960)로부터 등거리로 후방 둘레(952) 상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후방 질량부(943)가 후방 둘레(952)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 질량부(945)가 토측 둘레(956)와 후방 둘레(952)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 질량부(945)가 토측 둘레(956)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힐 질량부(947)가 힐측 둘레(960)와 후방 둘레(952)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 질량부(947)가 힐측 둘레(960)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 질량부(941), 후방 질량부(943),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가 집중 질량 영역을 제공하여, 각각의 질량부(941, 943, 945, 947)가 퍼터 헤드(900)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질량부(941, 943, 945, 947)가 퍼터(90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으므로, 둘레(948, 952, 956, 960) 상에 각각의 질량부(941, 943, 945, 947)를 배치하면 MOI가 증가된다. 둘레(948, 952, 956, 960) 상의 각각의 질량부(941, 943, 945, 947)는 제2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 재료는 제1 재료보다 밀도가 더 높다.
전방 질량부(941), 후방 질량부(943),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는 이중 기능을 제공하여, 각각의 질량부(941, 943, 945, 947)가 퍼터(900)의 MOI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904)이 하부 부분(908)에 결합되는 추가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방 질량부(941)가 또한 전방 접착 부분(941)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후방 질량부(943)가 또한 후방 접착 부분(943)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토 질량부(945)가 또한 토 접착 부분(945)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힐 질량부(947)가 또한 힐 접착 부분(947)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부분(904)의 크라운(942)이 토 단부 캡(949) 및 힐 단부 캡(951)을 포함하여, 토 단부 캡(949)과 힐 단부 캡(951)이 토 질량부(945) 및 힐 질량부(947)와 각각 정합하는 기능을 한다. 토 단부 캡(949)이 토 단부 중간 레일(936)과 배면 가장자리(934)에 인접한다. 힐 단부 캡(951)이 힐 단부 중간 레일(940)과 배면 가장자리(934)에 인접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 단부 캡(949)과 힐 단부 캡(951)이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토 단부 캡(949)과 힐 단부 캡(951)이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크라운(942)의 토 단부 캡(949)과 힐 단부 캡(951)이 각각, 토 질량부(945)와 힐 질량부(947)보다 커, 상부 부분(904)이 하부 부분(908)에 부착되면 토 단부 캡(949)과 힐 단부 캡(951)이 토 질량부(945)와 힐 질량부(947)를 둘러싼다. 또한, 상부 부분(904)이 하부 부분(908)에 부착되면, 토 단부 캡(949)은 토 단부 캡(949)이 토 질량부(945)와 토측 둘레(956)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부 부분(904)이 하부 부분(908)에 부착되면, 힐 단부 캡(951)은 힐 단부 캡(951)이 힐 질량부(960)와 힐측 둘레(96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908)의 밑면, 타격면(920) 및 후방벽(932)이 제1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캐비티는 밑면으로부터 크라운(9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9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1 캐비티는 후방벽(932) 및 타격면(92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1 캐비티는 하부 부분(908)의 전방 질량부(941)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면, 배면 가장자리(934) 및 크라운(942)이 제2 캐비티(도시 생략)를 형성한다. 제2 캐비티는 밑면으로부터 크라운(942)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크라운(942)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제2 캐비티는 배면 가장자리(934), 토 캡(949) 및 힐 단부 캡(951)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2 캐비티는 토 단부 캡(949)과 힐 단부 캡(951)의 사이에 등거리에 위치한다. 제2 캐비티는 하부 부분(908)의 후방 질량부(943)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캐비티가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는 전방 질량부(941) 및 후방 질량부(943)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부분(904)이 하부 부분(908)에 부착되면, 제1 캐비티는 제1 캐비티가 전방 질량부(94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제2 캐비티는 제2 캐비티가 후방 질량부(943)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저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904)과 고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908)의 조합은 매우 무거운 퍼터를 생성하지 않고 높은 MOI의 퍼터(900)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908)의 둘레(948, 952, 956, 960)에 의해 형성된 큰 개구(964)는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와 비교하여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는 조밀하지만 부피가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 재료 퍼터는 원하는 부피(75cc - 100cc)와 질량(340g - 385g)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재료를 주변에 할당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908)은 퍼터(900)의 총 부피의 35% 미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908)은 퍼터(900)의 총 부피의 34% 미만, 퍼터(900)의 총 부피의 33% 미만, 퍼터(900)의 총 부피의 32% 미만, 퍼터(900)의 총 부피의 31% 미만, 퍼터(900)의 총 부피의 30% 미만, 퍼터(900)의 총 부피의 29% 미만, 퍼터(900)의 총 부피의 28% 미만, 또는 퍼터(900)의 총 부피의 27% 미만이다.
하부 부분(908)이 퍼터(900)의 부피의 절반 미만을 차지하지만, 하부 부분(908)이 퍼터(900)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45%를 차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908)은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46%,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47%,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48%,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49%,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50%,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51%,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52%,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53%,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54%, 또는 퍼터(900)의 질량의 적어도 55%를 차지한다.
고밀도의 부피가 작은 하부 부분(908)을 사용한 퍼터 헤드(900)의 둘레로의 유익한 질량 이동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단일 스테인리스강 블록으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퍼터(900)의 MOI가 증가된다.
h. 원형 실시예
다른 실시예에서,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1000)는 원형 퍼터 헤드(1000)일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원형 퍼터 헤드(1000)는 상부 부분(1004) 및 하부 부분(1008)을 구비한다. 하부 부분(1008)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상부 부분(1004)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밀도는 제2 밀도 미만이다. 상부 부분(1004)과 하부 부분(1008)이 조합되어 바람직한 부피 및 질량을 유지하면서 높은 MOI 퍼터 헤드(1000)(5000 g·㎠ - 6500 g·㎠)를 생성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상부 부분(1004)은 고밀도 재료(즉, 제2 재료)로 구성된다. 상부 부분(1004)은 토 단부(1012), 힐 단부(1016), 타격면(1020), 후방벽(432) 및 밑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토 단부(1012)는 힐 단부(1016)에 대향한다. 타격면(1020)은 토 단부(1012)로부터 힐 단부(1016)까지 이어지며, 후방벽(1032)에 대향한다. 후방벽(1032)은 타격면(1020)에 대향하며 대략 평행하다.
상부 부분(1004)은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을 추가로 포함한다. 토측 스팬(1056)이 토 단부(1012)에 인접하며 힐측 스팬(1060)에 대향한다. 힐측 스팬(1060)도 힐 단부(1016)에 인접하며 토측 스팬(1056)에 대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힐측 스팬(1060) 및 토측 스팬(1056)이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힐측 스팬(1060) 및 토측 스팬(1056)이 평행하지 않다.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이 후방벽(1032) 및 타격면(10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벽(103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스팬(1056)이 후방벽(103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토측 스팬(1056)과 후방벽(1032)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측 스팬(1056)이 후방벽(1032)으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토측 스팬(1056)과 후방벽(1032)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 1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힐측 스팬(1060)이 후방벽(103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힐측 스팬(1060)과 후방벽(1032)의 교차점에 직각(90°의 각도)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힐측 스팬(1060)이 후방벽(1032)으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힐측 스팬(1060)과 후방벽(1032)의 교차점에 임의의 각도(0° - 180°)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벽(1032),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이 간극(1064)을 형성한다. 간극(1064)은 후방벽(1032),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후방벽(1032),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에 의해 형성된 간극(1064)이 퍼터의 부피 및 질량의 대부분을 상부 부분(1004)의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간극(1064)이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간극이 대략 직사각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간극(1064)이 원형, 곡선형, 삼각형, 사다리꼴, 포물선형, 골프 공 형상,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퍼터 헤드(1000)의 하부 부분(1008)은 전방 가장자리(1041), 후방 가장자리(1034), 토 가장자리(1043) 및 힐 가장자리(1045)를 포함한다. 전방 가장자리(1041)가 토 가장자리(1043) 및 힐 가장자리(1045)에 인접하며 후방 가장자리(1034)에 대향한다. 토 가장자리(1034)가 전방 가장자리(1041) 및 후방 가장자리(1034)에 인접하며 힐 가장자리(1045)에 대향한다. 힐 가장자리(1045)도 전방 가장자리(1041) 및 후방 가장자리(1034)에 인접하며 토 가장자리(1043)에 대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토 가장자리(1043) 및 힐 가장자리(1045)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토 가장자리(1043) 및 힐 가장자리(1045)가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방 가장자리(1041) 및 후방 가장자리(1034)가 평행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방 가장자리(1041) 및 후방 가장자리(1034)가 평행하지 않다.
전방 가장자리(1041), 후방 가장자리(1034), 토 가장자리(1043) 및 힐 가장자리(1045)가 결합되어 개구(1065)를 형성하며, 개구(1065)는 4개의 가장자리[전방(1041), 후방(1034), 토(1043) 및 힐(1045)]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4개의 가장자리(1041, 1034, 1043, 1045)가 개구(1065)의 주위에 주변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가장자리(1041), 후방 가장자리(1034), 토 가장자리(1043) 및 힐 가장자리(1045)에 의해 형성된 개구(1065)는 직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원형(골프 공 크기), 원형(골프 공 크기보다 큼), 원형(골프 공 크기보다 작음), 정사각형, 타원형, 계란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하부 부분(1008)이 상부 부분(1004)에 부착되어, 하부 부분(1008)과 상부 부분(1004)의 일부가 지면(1072)과 교차한다. 퍼터 헤드(10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1072)이 하부 부분(1004)에 접한다.
또한, 퍼터 헤드(1000)의 타격면(1020)은 타격면 중심점(1076)과 로프트 평면(1080)을 포함한다. 타격면 중심점(1076)이 상부 부분(1004)의 상부 레일(1050)과 지면(1072)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으며, 상부 레일(1050)이 타격면(1020)과 후방벽(1032)에 인접하면서 지면(1072)에 대향한다. 타격면 중심점(1076)도 퍼터 헤드(1000)의 힐 단부(1016)와 토 단부(1012)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로프트 평면(1080)은 퍼터 헤드(1000)의 타격면(1020)에 접한다. 또한, 중간 평면(1084)이 타격면 중심점(1076)과 교차하며 로프트 평면(1080)에 수직이다. 또한, y-축선(1088)이 중간 평면(1084)과 교차하며 지면(1072)에 수직이다.
상부 부분(1004)과 하부 부분(1008)이 결합되면 토측 스팬(1056)이 토 가장자리(1043)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1004)과 하부 부분(1008)이 결합되면 힐측 스팬(1060)이 힐 가장자리(104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또한, 상부 부분(1004)과 하부 부분(1008)이 결합되면 타격면(1020)이 전방 가장자리(1048)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분(1004)과 하부 부분(1008)이 결합되면, 하부 부분(1008)이 타격면(1020),토측 스팬(1056)과 힐측 스팬(1060)의 일부에 부착되어, 이에 의해 후방벽(1032),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에 의해 형성된 간극(1064)의 적어도 일부에 채워진다.
하부 부분(1008) 및 상부 부분(10040의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이 조합되면 솔(1068)을 생성한다. 솔(1068)은 지면(1072)에 수직이며, 퍼터 헤드(1000)가 골프 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1072)이 솔(1068)에 접한다. 퍼터 헤드(1000)의 솔(1068)은 퍼터 헤드(1000)의 토 단부(1012)로부터 퍼터 헤드(1000)의 힐 단부(1016)까지 연장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1000)의 솔(1068)은 완벽하게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1000)의 솔(1068)은 힐(1016)에서 토(1012)의 방향으로 약간의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약간의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퍼터 헤드(1000)의 솔(1068)은 힐(1016)에서 토(1012)의 방향으로 강한 아치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아치부는 선형이거나 다항식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 솔(1068)은 퍼터 헤드(1000)를 지면(1072)에 안착시키는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1004)은 크라운(도시 생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크라운은 하부 부분(1008)의 타격면(10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1034)까지 연장된다. 또한, 크라운은 타격면(1020)으로부터 적어도 하부 부분의 개구(1065)의 일부를 넘어 그리고 적어도 후방벽(1032)의 일부를 넘어 배면 가장자리(1034)까지 걸쳐 있다.
크라운은 타격면(10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1034)까지 추가로 하강할 수 있다. 크라운은,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측 스팬(1056)으로부터 총 클럽 헤드(10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으며, 힐측 스팬(1060)으로부터 총 클럽 헤드(1000) 폭의 대략 내측 25%에 걸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이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힐에서 토의 방향으로 총 클럽 헤드(1000)의 전체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이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90% 미만,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80% 미만,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70% 미만,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60% 미만,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50% 미만,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40% 미만, 또는 클럽 헤드(1000)의 총 폭의 30% 미만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크라운이 타격면(10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1034)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타격면(1020)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1034)로 상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크라운의 상승 또는 하강은 선형, 곡선형, 포물선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다항식의 함수형일 수 있다.
또한, 퍼터 헤드(1000)의 상부 부분(1004)은 토측 스팬(1065) 및 힐측 스팬(1060) 상에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10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1044)는 선, 일련의 선, 밀링 가공 홈, 원, 점선, 삼각형,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정렬 특징부(104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정렬 특징부(1044)는 전체 토측 스팬(1065) 및 힐측 스팬(1060), 크라운의 일부 또는 전체 크라운 상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을 따라 연장되는 정렬 특징부(1044)는 보고 있는 사람에게 퍼터(1000)의 후방벽(1032)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1034)까지 골프 공의 폭을 확장시키는 시각적 정렬 필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토측 스팬(1056) 및 힐측 스팬(1060) 및/또는 크라운을 따라 이러한 정렬 특징부(1044)를 사용하여 골프 공과 전체 퍼터(1000)를 정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밀도 제1 재료 상부 부분(1004)과 저밀도 제2 재료 하부 부분(1008)의 조합은 매우 무거운 퍼터를 생성하지 않고 높은 MOI의 퍼터(1000)를 생성한다. 상부 부분(1004)의 후방벽(1032) 및 스팬(1056, 1060)에 의해 형성된 큰 간극(1064)은 단일 재료로 밀링 가공된 퍼터와 비교하여 퍼터의 MOI를 증가시키는 조밀하지만 폭 둘레가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 재료 퍼터는 원하는 부피(75cc - 100cc)와 질량(340g - 385g)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재료를 주변에 할당하지 못한다.
고밀도의 상부 부분(1004)과 부피가 작고 질량이 작은 하부 부분(1008)을 사용한 퍼터 헤드(1000)의 둘레로의 유익한 질량 이동에 의해 동일 부피, 질량 및 단일 재료 구성의 퍼터(즉, 단일 스테인리스강 블록으로 밀링 가공된 퍼터 또는 단일 재료로 정밀 주조된 퍼터)에 비해 퍼터(1000)의 MOI가 증가된다.
하나 이상의 청구 요소의 교체에 의하면 수리가 아닌 재구성이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이점, 다른 장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점, 장점,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더 두드러지도록 만들 수 있는 임의의 요소(들)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한, 필요한, 또는 필수적인 특징 또는 요소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골프 규칙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새로운 규정이 채택될 수 있고 또는 오래된 규칙이 골프 표준 조직 및/또는 미국 골프 협회(USGA), 세인트 앤드류 왕립 골프 클럽(R&A) 등과 같은 관리 기관에 의해 제거 또는 수정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 방법 및 제조 물품과 관련된 골프 장비가 임의의 특정 시점에서의 골프 규칙을 준수하거나 준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 방법 및 제조 물품과 관련된 골프 장비가 적합하거나 부적합한 골프 장비로서 광고, 판매 제의 및/또는 판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장치 및 제조 물품이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가 퍼터 타입 골프 클럽,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 방법 및 제조 물품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 방법 및 제조 물품이 하키 스틱, 테니스 라켓, 낚싯대, 스키 폴 등과 같은 적용 가능한 다른 유형의 스포츠 장비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제한 사항이 (1)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청구되지 않으며, (2) 균등 원칙 하에 청구범위의 표현 요소 및/또는 제한 사항의 잠재적인 균등물이면, 이들 실시예 및/또는 제한이 헌납 원칙 하에 대중에게 헌납되지 않는다.
항 1: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으로서, 상부 부분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부분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되며; 제1 밀도는 제2 밀도보다 작으며; 하부 부분은 전방 둘레, 토측 둘레, 힐측 둘레 및 후방 둘레를 포함하며; 하부 부분은 전방 둘레, 토측 둘레, 힐측 둘레 및 후방 둘레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부 부분은 힐 단부, 토 단부, 타격면, 후방벽, 배면 가장자리, 크라운 및 밑면을 포함하며; 토 단부는 힐 단부에 대향하며, 배면 가장자리는 타격면에 대향하며; 크라운은 타격면으로부터 후방벽의 적어도 일부를 넘어 배면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며; 밑면은 타격면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에 걸쳐 있는 크라운과 대향하며; 상부 부분은 하부 부분에 부착되며 하부 부분보다 지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힐 단부는 힐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며, 토 단부는 토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며, 타격면은 전방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며, 크라운은 타격면으로부터 후방 둘레까지 걸쳐 있으며;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이 조합되어 솔을 생성하며; 골프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솔은 지면에 접하며; 타격면은 로프트 평면에 접하며, 로프트 평면과 지면 사이에 로프트각이 형성되는 것인,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및 부피 및 질량으로서, 하부 부분은 골프 클럽 헤드의 부피의 30% 미만을 차지하며; 하부 부분은 골프 클럽 헤드의 질량의 50%를 초과하는 것인 부피와 질량을 포함하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2: 항 1에 있어서, 하부 부분은 토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에 있는 토 질량부; 힐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에 있는 힐 질량부; 토측 둘레 및 힐측 둘레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후방 둘레에 위치한 후방 질량부; 및 토측 둘레 및 힐측 둘레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전방 둘레에 위치한 전방 질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3: 항 2에 있어서, 토 질량부, 힐 질량부, 후방 질량부 및 전방 질량부는 일체형이며,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며 상부 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하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4: 항 1에 있어서, 상부 부분의 크라운은 토 단부 중간 레일, 힐 단부 중간 레일, 토 단부 캡 및 힐 단부 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5: 항 4에 있어서, 토 단부 캡은 토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며, 힐 단부 캡은 힐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6: 항 5에 있어서, 상부 부분은 타격면과 후방벽 사이에서 밑면에 형성되어 크라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캐비티; 및 후방 개구가 배면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토 단부 캡과 힐 단부 캡 사이에 등거리에서 밑면에 형성되는 것인 제2 캐비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7: 항 6에 있어서, 제1 캐비티는 전방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며, 제2 캐비티는 후방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8: 항 4에 있어서, 토 단부 중간 레일 및 힐 단부 중간 레일은 타격면으로부터 후방 둘레로 하강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9: 항 4에 있어서, 힐 단부 중간 레일 및 토 단부 중간 레일은 힐 단부 중간 레일 및 토 단부 중간 레일에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0: 항 9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는 타격면으로부터 후방 둘레까지 불균일하거나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1: 항 1에 있어서, 하부 부분의 전방 둘레는 토측 둘레와 전방 둘레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와 전방 둘레의 교차점까지 측정된 전방 폭을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2: 항 11에 있어서, 하부 부분의 후방 둘레는 토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에서 힐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까지 측정된 후방 폭을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3: 항 12에 있어서, 전방 폭이 후방 폭보다 큰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4: 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가 크라운에 위치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5: 항 1에 있어서, 제1 재료의 제1 밀도가 6.0 g/cc 미만인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6: 항 1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제2 밀도가 7.0 g/cc를 초과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7: 항 1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제2 밀도가 제1 재료의 제1 밀도보다 적어도 2배 더 큰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8: 항 1에 있어서, 제1 재료가 8620 합금강, S25C 강, 탄소강, 마레이징강, 17-4 스테인리스강, 303 스테인리스강, 304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 합금, 텅스텐,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ADC-12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19: 항 1에 있어서, 제2 재료가 8620 합금강, S25C 강, 탄소강, 마레이징강, 17-4 스테인리스강, 303 스테인리스강, 304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 합금, 텅스텐,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ADC-12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항 20: 항 1에 있어서, 제1 재료가 ADC-12이며, 제2 재료가 304 스테인리스강인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Claims (20)

  1.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으로서,
    상부 부분은 제1 밀도를 갖는 제1 재료로 제조되고 하부 부분은 제2 밀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되며;
    제1 밀도는 제2 밀도보다 작고;
    하부 부분은 전방 둘레, 토측 둘레, 힐측 둘레 및 후방 둘레를 포함하며;
    하부 부분은 전방 둘레, 토측 둘레, 힐측 둘레 및 후방 둘레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힐 단부, 토 단부, 타격면, 후방벽, 배면 가장자리, 크라운 및 밑면을 포함하며;
    토 단부는 힐 단부에 대향고, 배면 가장자리는 타격면에 대향하며;
    크라운은 타격면으로부터 후방벽의 적어도 일부를 넘어 배면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밑면은 타격면으로부터 배면 가장자리에 걸쳐 있는 크라운과 대향하며;
    상부 부분은 하부 부분에 부착되고, 하부 부분보다 지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힐 단부는 힐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고, 토 단부는 토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며, 타격면은 전방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고, 크라운은 타격면으로부터 후방 둘레까지 걸쳐 있으며;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이 조합되어 솔을 생성하고;
    골프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솔은 지면에 접하며;
    타격면은 로프트 평면에 접하고, 로프트 평면과 지면 사이에 로프트각이 형성되는 것인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및
    부피 및 질량으로서,
    하부 부분은 골프 클럽 헤드의 부피의 30% 미만을 구성하며;
    하부 부분은 골프 클럽 헤드의 질량의 50% 초과를 구성하는 것인
    부피 및 질량
    을 포함하는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부분은:
    토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에 있는 토 질량부;
    힐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에 있는 힐 질량부;
    토측 둘레 및 힐측 둘레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후방 둘레에 위치한 후방 질량부; 및
    토측 둘레 및 힐측 둘레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전방 둘레에 위치한 전방 질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토 질량부, 힐 질량부, 후방 질량부 및 전방 질량부는 일체형이고,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며 상부 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하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부분의 크라운은 토 단부 중간 레일, 힐 단부 중간 레일, 토 단부 캡 및 힐 단부 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토 단부 캡은 토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며, 힐 단부 캡은 힐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부 부분은,
    타격면과 후방벽 사이에서 밑면에 형성되고 크라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캐비티; 및
    배면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그리고 토 단부 캡과 힐 단부 캡 사이에 등거리에서, 후방 개구가 밑면에 형성되는 제2 캐비티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캐비티는 전방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며, 제2 캐비티는 후방 질량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8. 제4항에 있어서, 토 단부 중간 레일 및 힐 단부 중간 레일은 타격면으로부터 후방 둘레로 하강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9. 제4항에 있어서, 힐 단부 중간 레일 및 토 단부 중간 레일은 힐 단부 중간 레일 및 토 단부 중간 레일에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는 타격면으로부터 후방 둘레까지 불균일하거나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1.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부분의 전방 둘레는, 토측 둘레와 전방 둘레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와 전방 둘레의 교차점까지 측정된 전방 폭을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부 부분의 후방 둘레는, 토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으로부터 힐측 둘레와 후방 둘레의 교차점까지 측정된 후방 폭을 포함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전방 폭이 후방 폭보다 큰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가 크라운에 위치하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재료의 제1 밀도가 6.0 g/cc 미만인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6. 제1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제2 밀도가 7.0 g/cc 초과인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7. 제1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제2 밀도가 제1 재료의 제1 밀도보다 적어도 2배 더 큰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8. 제1항에 있어서, 제1 재료는 8620 합금강, S25C 강, 탄소강, 마레이징강, 17-4 스테인리스강, 303 스테인리스강, 304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 합금, 텅스텐,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ADC-12,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19. 제1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8620 합금강, S25C 강, 탄소강, 마레이징강, 17-4 스테인리스강, 303 스테인리스강, 304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 합금, 텅스텐,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ADC-12,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20. 제1항에 있어서, 제1 재료는 ADC-12이며, 제2 재료는 304 스테인리스강인 것인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KR1020217013273A 2018-10-01 2019-10-01 멀티 컴포넌트 퍼터 KR20210068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9747P 2018-10-01 2018-10-01
US62/739,747 2018-10-01
PCT/US2019/054139 WO2020072542A1 (en) 2018-10-01 2019-10-01 Multi-component pu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117A true KR20210068117A (ko) 2021-06-08

Family

ID=6994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273A KR20210068117A (ko) 2018-10-01 2019-10-01 멀티 컴포넌트 퍼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0640B2 (ko)
EP (1) EP3860729A4 (ko)
JP (2) JP7390371B2 (ko)
KR (1) KR20210068117A (ko)
WO (1) WO2020072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0273B2 (en) * 2014-12-31 2019-03-05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tter-type golf club head with alignment feature
US10092801B2 (en) 2014-12-31 2018-10-09 Dunlop Sports Co. Ltd. Putter-type golf club head with alignment feature
US20210362011A1 (en) * 2018-10-01 2021-11-2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putter
US11813508B2 (en) 2018-10-01 2023-11-14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putter
GB2613972B (en) * 2019-03-06 2023-10-25 Karsten Mfg Corp Co-molded golf putter with integral interlocking features
USD912746S1 (en) * 2019-08-21 2021-03-09 Callaway Golf Company Putter head
USD967914S1 (en) * 2020-02-05 2022-10-2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USD930096S1 (en) * 2020-02-05 2021-09-0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USD979680S1 (en) * 2020-02-12 2023-02-28 Karsten Manufacturing Association Golf club head
US11618213B1 (en) 2020-04-17 2023-04-04 Cobra Golf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a golf club
US11618079B1 (en) 2020-04-17 2023-04-04 Cobra Golf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a golf club
USD965714S1 (en) * 2020-08-26 2022-10-04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KR20230117146A (ko) * 2020-11-13 2023-08-07 액시스1, 엘엘씨 골프 클럽
EP4344755A2 (en) * 2020-12-23 2024-04-0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putter
USD978996S1 (en) * 2021-05-14 2023-02-2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Head for a golf club
USD999311S1 (en) * 2021-07-01 2023-09-19 Topgolf Callaway Brands Corp. Putter head
USD1012213S1 (en) 2021-09-02 2024-01-2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USD1008390S1 (en) 2021-09-02 2023-12-1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O2023154830A1 (en) * 2022-02-10 2023-08-1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Large scale blade putters
USD1006930S1 (en) 2022-03-08 2023-12-0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USD1028138S1 (en) * 2022-06-22 2024-05-2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489A (en) * 1987-08-24 1989-02-28 Mizuno Kk Golf club head
US5078398A (en) 1990-01-24 1992-01-07 Tommy Armour Golf Company Infinitely balanced, high moment of inertia golf putter
JPH0787603A (ja) 1993-09-17 199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自動車の保護装置
US5482281A (en) * 1995-02-17 1996-01-09 Karsten Mfg. Corp. Golf putter head
US5676606A (en) 1995-09-08 1997-10-14 The Founders Club Golf Company Golf putter
US5655976A (en) 1995-12-18 1997-08-12 Rife; Guerin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weight configuration
US5797176A (en) 1996-01-25 1998-08-2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manufacturing method
US5842935A (en) * 1997-07-17 1998-12-0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putter head with low density insert
US6083118A (en) 1997-07-30 2000-07-04 Joseph Sery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44976B1 (en) 1997-10-23 2001-06-12 Callaway Golf Company Integral sole plate and hosel for a golf club head
US6485375B1 (en) * 1999-05-26 2002-11-26 Robert C. McKinley High CG, modular putter
US6270422B1 (en) 1999-06-25 2001-08-07 Dale P. Fisher Golf putter with trailing weighting/aiming members
JP2001062013A (ja) 1999-08-30 2001-03-13 Aisin Takaoka Ltd ゴルフクラブ
US6471600B2 (en) * 1999-09-03 2002-10-29 Callaway Golf Company Putter head
US6416421B1 (en) 2000-02-25 2002-07-09 Carbite, Inc. Cap hosel for polar balanced putter
US6692378B2 (en) 2001-01-26 2004-02-17 Roger Cleveland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with alignment channel
US7083525B2 (en) 2001-10-30 2006-08-01 Roger Cleveland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with insert
US7077758B2 (en) 2002-06-07 2006-07-18 Rohrer Technologies, Inc. Golf putter with improved moment of inertia, aim and feel
US6958019B2 (en) 2002-06-07 2005-10-25 Rohrer Technologies, Inc. Golf putter with improved miss-hit performance, aim and feel
GB2391484A (en) 2002-08-02 2004-02-11 Anthony Edmund Meeks High inertia golf club head
US6984181B2 (en) 2002-09-25 2006-01-10 Callaway Golf Company Multiple material golf putter head
WO2004098728A1 (en) 2003-04-11 2004-11-18 Dewhurst Solution, Llc Golf club head with force transfer system
US6716110B1 (en) 2003-05-27 2004-04-06 Paul Ballow Golf putter
US20080176672A1 (en) 2003-08-11 2008-07-24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alignment system
US7918745B2 (en) 2003-08-11 2011-04-05 Cobra Golf, Inc. Golf club head with alignment system
US7022030B2 (en) 2003-08-11 2006-04-04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US7351162B2 (en) 2003-08-11 2008-04-01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alignment system
US6988955B2 (en) 2003-10-31 2006-01-24 Stoakes Norman L Golf putter
US7160203B2 (en) 2004-04-15 2007-01-09 Bonneau Michael D Rear, perimeter, and face weighted putter support
US7163469B2 (en) 2004-04-15 2007-01-16 Bonneau Michael D Rear, perimeter, and face weighted putter support
JP4522775B2 (ja) 2004-07-21 2010-08-1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パターヘッド
US7491135B1 (en) 2004-12-30 2009-02-17 Callaway Golf Company Dual face putter head
US7491131B2 (en) 2005-01-04 2009-02-17 Vinton Philip G Golf putter heads
US20060234810A1 (en) 2005-04-18 2006-10-19 Chiodo Chris D Stabilized putter head
US20070142122A1 (en) 2005-12-15 2007-06-21 Bonneau Michael D Top weighted putter head
JP4840910B2 (ja) 2005-12-27 2011-12-2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パターヘッド
US20070167253A1 (en) 2006-01-17 2007-07-19 Sizemore Bruce E Jr Putter head
US7993215B1 (en) 2006-03-23 2011-08-09 Gregory E. Summers Producing golf clubs
US7455599B2 (en) * 2006-03-29 2008-11-2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putter head with top and bottom compon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densities
US7566276B2 (en) * 2006-04-14 2009-07-28 Dogleg Right Corporation Multi-piece putter head having an insert
US7485051B2 (en) 2006-10-30 2009-02-03 Richard Jr Joseph K Golf putter
US7594865B2 (en) 2006-12-21 2009-09-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7666108B2 (en) 2007-11-05 2010-02-2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8109838B2 (en) 2008-04-29 2012-02-0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a three-dimensional alignment member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7803066B2 (en) 2008-04-29 2010-09-2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three-dimensional alignment aid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379181A2 (en) 2008-12-19 2011-10-26 Prince Sports, Inc. An improved golf club head
US8328654B2 (en) 2009-01-21 2012-12-11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20100227704A1 (en) 2009-03-06 2010-09-0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9022876B2 (en) 2010-12-07 2015-05-05 Nike, Inc. Putter heads and putters
US8961334B2 (en) 2010-12-07 2015-02-24 Nike, Inc. Putter heads and putters including a ball striking face body member and a rear body member
US9956463B2 (en) 2011-11-30 2018-05-01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072948B2 (en) 2011-11-30 2015-07-07 Nike, Inc.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utilizing energy transfer
US9901792B2 (en) 2011-11-30 2018-02-27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044062B2 (en) 2012-08-23 2015-06-02 Sean E. F. Delaney Convertible shoe
US9132325B2 (en) 2012-10-11 2015-09-15 David Whitlam Putter head
US9220960B2 (en) 2012-12-20 2015-12-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Putter head, adjustable shaft and putter
US10046211B2 (en) 2014-05-29 2018-08-14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WO2016130571A1 (en) 2015-02-09 2016-08-18 Carnegie Mellon University Indoor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through footstep induced structural vibration
US10300348B2 (en) 2016-05-27 2019-05-2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Ball pickup aid putter
US9808680B1 (en) * 2016-12-29 2017-11-07 Callaway Golf Company Putter with replaceable ho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0729A4 (en) 2022-06-15
JP2024016076A (ja) 2024-02-06
US20200101357A1 (en) 2020-04-02
JP7390371B2 (ja) 2023-12-01
EP3860729A1 (en) 2021-08-11
WO2020072542A1 (en) 2020-04-09
US11020640B2 (en) 2021-06-01
JP2022504044A (ja)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8117A (ko) 멀티 컴포넌트 퍼터
US11040256B2 (en) Multicomponent weight system for a golf club head
US11458375B2 (en) Multi-component putter
US11813508B2 (en) Multi-component putter
US9956463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10046211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901792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901788B2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US10974109B2 (en) Golf club with adjustable weighting system
US9943733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080194354A1 (en)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US11511168B2 (en) Putter golf club head with elastomer fill
GB2259863A (en) Golf club heads
US20100087271A1 (en) Golf club head
US10357693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130029780A1 (en) Golf club head with optimized moi and/or roll radius
US20210362011A1 (en) Multi-component putter
KR20230119239A (ko) 멀티 컴포넌트 퍼터
WO2015184060A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