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072A -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072A
KR20210068072A KR1020217012414A KR20217012414A KR20210068072A KR 20210068072 A KR20210068072 A KR 20210068072A KR 1020217012414 A KR1020217012414 A KR 1020217012414A KR 20217012414 A KR20217012414 A KR 20217012414A KR 20210068072 A KR20210068072 A KR 2021006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chamber
liquid
density liquid
low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레크 수크
슈비네크 사비니오크
페트르 랑폴
Original Assignee
아코 제베린 알만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코 제베린 알만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코 제베린 알만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1006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분리챔버(66), 및 제1 분리챔버(66)와 제1 유체 연통하는 제2 분리챔버(72)를 포함하고, 제1 분리챔버(66)가 제2 분리챔버(72) 위에 위치하는 용기; 액체가 용기 내부로 흐르도록 제1 분리챔버(66)에 배치된 유입구(52); 제2 분리챔버(72)에 배치되어 액체로부터 분리된 저밀도 액체가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저밀도 액체 배출구(78); 및 액체로부터 분리된 고밀도 액체가 용기 밖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용기에 배치된 고밀도 액체 배출구(60)를 포함하는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장치(50); 및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비 혼화성 액체를 분리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리스 제거 장치(GRD) 및 방법, 수동 그리스 제거 장치(PGRD) 및 방법과 같은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수와 같은 폐액은 물뿐만 아니라 지방, 오일 및/또는 그리스(FOG)를 포함할 수 있다. 폐액 분리기는 수많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FOG 분리기는 FOG를 폐수에서 분리하고 및/또는 폐수(하수)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상업 및 기관 주방과 같은 FSE(Food Service Establishments)에서 널리 사용된다. 싱크대와 같은 주방 장비에서 나오는 폐수의 자유로운 흐름을 보장하고, 오일이 축적되어 폐수 파이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등급을 표준화하고 및/또는 그리스 분리기에 대한 성능 요건을 설정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중력 그리스 분리기로 알려진 제1 유형의 그리스 분리기는 일반적으로 크고, 지하에 설치되며, 그리스 분리에 오랜 시간(30분 이상)이 필요하다. 중력 그리스 분리는 FOG와 물 사이의 비중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유체 역학적 그리스 분리기로 알려진 제2 유형의 그리스 분리기는 일반적으로 콤팩트하고, 건물 내부에 설치되며, 제1 유형보다 적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유체 역학적 그리스 분리는 FOG와 물 사이의 비중 차이, 유압 흐름 작용 및/또는 기타 추가 작용과 같은 여러 동시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이 유형에는 PDI G101 표준이 적용된다.
잘 설계되고 적절하게 설치된 그리스 분리기조차도 적절하게 유지 관리되지 않으면 고장나기 쉽다. 명백한 결과로서, 그리스 분리기는 과부하로 인해 FOG를 물에서 분리할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 지방, 오일, 그리스 및/또는 침전물을 하류로 통과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분리기 청소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가 참여할 수 있다. 이것은 대형 분리기에 필요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이 될 가능성이 있다.
대안으로, 그리스 분리기는 그리스를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리스 분리기는 높은 분리 효율로 음식 찌꺼기를 수집하기 위한 여과기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PGRD는 움직이는 부품 없이 폐수에서 FOG를 제거하기 위한 수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반면, 활성 GRD(AGPR)는 폐수에서 FOG 제거를 위해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부분적으로 잠긴 기계식 휠 또는 드럼과 같은 능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스 분리기는 일반적으로 싱크대 아래 주방의 세척 영역에 배치된다. 그러나 그리스 분리기를 싱크대 바로 아래에 연결하면, 그리스 분리기로 들어가는 폐수 흐름이 자주 변동된다. 식기 및 수저용 헹굼 싱크대에는 일반적으로 유속이 0.05 ℓ/s∼0.15 ℓ/s인 샤워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 반면, 냄비 세척 싱크대에는 종종 배수구에서 위쪽으로 냄비 세척 싱크대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거 가능한 오버플로우 파이프가 있다. 폐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상단 가장자리를 통해, 설치된 그리스 분리기로 흐른다.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길이는 냄비 세척 싱크대에서 수위의 일정한 높이를 결정한다. 깨끗한 물로 물을 희석하기 위해 작은 양의 물이 수도꼭지에서 냄비 세척 싱크대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30ℓ의 물이 냄비 세척 싱크대에 남아있을 수 있다. 오버플로우 파이프를 제거한 후 냄비 세척 싱크대에 남아있는 물이 즉시 그리스 분리기로 흘러 들어간다.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길이가 100 mm일 때, 싱크대 배출 유속은 트랩의 유형과 배수 파이프의 크기에 따라 0.5 ℓ/s 내지 1.3 ℓ/s이다. 350mm 깊이의 싱크대에 물을 완전히 채운 다음 배수하면, 싱크대 배출 유속은 2 ℓ/s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싱크대 배출 유량은 분리기 내부의 물/FOG 분리 효율을 크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일부 제조업체는 그리스 분리기의 유입구 파이프에 유량 댐퍼(감속기)를 설치하여 예를 들어 최대 유속을 0.5 ℓ/s로 줄인다.
그러나, 분리 장치로의 폐수 흐름이 변할 수 있으므로, 개선된 분리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장치(50)를 제공한다:
제1 분리챔버 및 제1 분리챔버와 제1 유체 연통하는 제2 분리챔버를 포함하고, 제1 분리챔버는 제2 분리챔버 위에 위치하는 용기;
액체가 용기로 흐르도록 제1 분리챔버에 배치된 유입구;
제2 분리챔버에 배치되어 액체로부터 분리된 저밀도 액체를 제거할 수 있는 저밀도 액체 배출구; 및
액체로부터 분리된 고밀도 액체가 용기 밖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용기에 배치된 고밀도 액체 배출구.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제1 분리챔버 및 제1 분리챔버와 제1 유체 연통하는 제2 분리챔버를 포함하고, 제1 분리챔버는 제2 분리챔버 위에 위치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제1 분리챔버에 배치된 유입구를 통해 액체가 용기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
제2 분리챔버에 배치된 저밀도 액체 배출구를 통해 액체로부터 분리된 저밀도 액체를 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용기에 배치된 고밀도 액체 배출구를 통해 액체로부터 분리된 고밀도 액체를 용기 밖으로 흘러나오게 하는 단계.
본 발명의 추가 양태,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상업용 주방의 배출 파이프에 설치된 유량계의 예시 데이터를 보여 주며, 여기서 동시에 2개의 싱크대에서 폐수를 받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장치(50)에 대한 측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장치(50)의 단면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의 상세한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의 상세한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2개의 싱크대에서 동시에 폐수를 가져오는 상업용 주방의 배출 파이프에 설치된 유량계의 예시 데이터를 나타낸다.
싱크대 중 하나는 접시와 수저를 헹구는 데 사용되며, 다른 하나는 냄비와 팬을 씻는 데 사용된다. 도 1의 그래프는 주방의 작업 시간에 따라 2개의 싱크대에 대한 즉각적인 폐수 유량과 누적된 총 폐수 유량의 모니터링 된 값의 의존성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주방 작업 시간 동안 폐수 유속은 0.05 ℓ/s 미만이며, 배출된 폐수는 5.5 시간 동안 600 ℓ까지 축적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장치(50)에 대한 측 단면도 및 단면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장치(50)는 용기, 유입구(52), 저밀도 액체(FOG) 배출구(78) 및 고밀도 액체(물) 배출구(60)를 포함한다.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50) 및/또는 그의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강철 또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용기는 제1 분리챔버(66) 및 제2 분리챔버(72)를 포함한다. 용기는 하우징(54)일 수 있다. 용기는 제거 가능한 덮개(55,56)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챔버(66)는 제2 분리챔버(72) 위에 위치한다. 제1 분리챔버(66)는 거친 여과 챔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챔버(66)는 경사진 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리챔버(72)는 제1 분리챔버(66)와 제1 유체 연통한다.
용기는 고밀도 액체(물) 방출 챔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밀도 액체(물) 방출 챔버(80)는 제2 분리챔버(72)와 제2 유체 연통할 수 있다. 고밀도 액체 방출 챔버(80)는 고밀도 액체(물)가 용기 밖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수직 방출 샤프트(86)를 포함하여 액체에 포함된 미세한 실트(silt)를 용기 밖으로 제거할 수 있다. 용기는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제거된 저밀도 액체(FOG)를 수집하도록 배치된 컨테이너(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고밀도 액체(물) 방출 챔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밀도 액체(물) 방출 챔버(80)는 제2 분리챔버(72)와 제2 유체 연통할 수 있다. 고밀도 액체 방출 챔버(80)는 고밀도 액체(물)가 용기 밖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수직 방출 샤프트(86)를 포함하여 액체에 포함된 미세한 실트를 용기 밖으로 제거할 수 있다. 용기는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제거된 저밀도 액체(FOG)를 수집하도록 배치된 컨테이너(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제1 분리챔버(66)와 제2 분리챔버(72) 사이에 배치된 수직 저밀도 액체(FOG) 갭(75)을 추가로 포함하여 액체의 제2 유속에서 제1 유체 연통되도록 하고, 제2 유속은 액체의 제1 유속보다 높다. 수직 저밀도 액체(FOG) 갭(75)은 유착(coalescent) 필터, 예를 들어 저밀도 액체(FOG)의 소적(droplets) 응집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거 가능한 유착 필터(88)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52)는 액체(폐수)가 용기 내부로 흐르도록 제1 분리챔버(66)에 배치된다. 유입구(52)는 회전 가능한 유입구로 구성되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저밀도 액체(FOG) 배출구(78)는 액체(폐수)로부터 분리된 저밀도 액체(FOG)가 제2 분리챔버(72)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제2 분리챔버(72)에 배치된다. 용기는 용기 밖으로 저밀도 액체(FOG)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밀도 액체(FOG) 배출구(78)에 배치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고밀도 액체(물)가 플로팅 부재를 미리 결정된 높이로 상승시키는 경우, 저밀도 액체(FOG)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플로팅 부재를 포함하는 플로팅 볼 밸브(78)일 수 있다.
고밀도 액체(물) 배출구(60)는 액체(폐수)로부터 분리된 고밀도 액체(물)가 용기 밖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용기에 배치된다. 고밀도 액체(물) 배출구(60)는 고밀도(물) 액체 방출 챔버(8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그리스, 지방(저밀도 액체) 및/또는 기타 입자와 같이, 밀도가 상이한 2 이상의 비 혼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폐수가 유입구(52)로 유입되어 하우징(54)으로의 통로를 제공한다. 유입구(52)는 주방의 설치 공간이 제한된 경우 다양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 혼화성 액체는 하우징(54) 내에서 분리된다. 밀도가 낮은 액체(물질), 예를 들어 지방, 오일 및 그리스는 컨테이너(58) 내부로 배출되는 반면, 밀도가 높은 액체, 예를 들어 물은 배출구(60)로부터 배출된다. 통상적으로 부유 고체의 작은 입자인 실트는 하우징(54)의 바닥에 축적될 수 있다. 실트는 적용 가능한 경우 실트 배출구(57)를 통해 주기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분리장치(50)의 작동은 도 2a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거친 여과 챔버(62)는 하우징(54)과, 하우징(54)의 전체 폭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는 천공판(63)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폐수가 유입구(52)를 통해 거친 여과 챔버(62)로 들어가면, 여과 바스켓(64)을 통과하여 음식물 찌꺼기, 용해되지 않은 지방 및 기타 부유 고형물과 같은 고체 입자를 여과해 낸다.
여과 바스켓(64)을 통과한 후, 폐수는 제어판(67), 경사판(68) 및 하우징(54)에 의해 형성된 제1 분리챔버(66)로 유입된다. 두 제어판(67,68)은 하우징(54)의 전체 폭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제1 분리챔버(66)로부터의 2 배출구가 있고, 제1 분리챔버(66)의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한 상부 에지(69) 위 및 관통공(70)이다. 경사판(68)은 관통공(70)에 아래로 기울어진다. 여과 바스켓(64)을 통과하는 부유 고체의 작은 입자는 경사판(68) 아래로 미끄러져서 관통공(70)을 통해 하우징(54)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낮은 폐수 유속, 예를 들어 0.04 ℓ/s 미만인 경우, 제1 분리챔버(66)로 흐르고, 모든 물은 관통공(70)을 통해 제2 분리챔버(72)로 흐른다. 분리된 오일 층은 자유 수위(73)에 나타난다. 분리된 오일은 제1 분리챔버(66)에 남아 있다. 낮은 폐수 유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작동 시간 동안 분리 장치를 구성하고, 따라서 제1 분리챔버(66)에서 오일/물 분리를 촉진한다. 분리된 오일은 천공판(63)을 통해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폐수 유속이 0 일 때, 제1 분리챔버(66)의 폐수 레벨은 배출구 오버플로우 에지(85)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레벨(74)로 감소한다.
높은 폐수 유속, 예를 들어 0.04 ℓ/s 이상인 경우, 폐수는 관통공(70)을 통해서만 제1 분리챔버(66)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다. 폐수 레벨은 상부 에지(69)까지 상승하고, 폐수는 오일 갭(75)으로 넘쳐흐르기 시작한다. 오일 갭(75)은 하우징(54)과 제어판(67) 사이에 형성되고, 제2 분리챔버(72) 로 통하는 자유 개구를 갖는다. 오일 갭(75)은 오일 갭(75)의 전체 높이를 차지할 수 있는 특정 양의 분리된 오일을 유지한다. 이 조건은 자유 수위(73)로부터의 분리된 오일과 제1 분리챔버(66)로부터의 다른 오일성 물이 오일 갭(75)을 통해 흐를 때 오일 소적의 응집을 지원한다. 이 유착 효과는 유착 필터, 예를 들어 제거 가능한 유착 필터(88)를 오일 갭(75)에 삽입함으로써 증가될 수도 있다.
관통공(70)과 오일 갭(75)을 통과한 폐수는 경사판(68), 제어판(76) 및 하우징(54)의 바닥에 의해 한정된 제2 분리챔버(72)로 유입된다. 제어판(76)은 하우징(54)의 전체 폭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2 개의 배출구, 즉 플로팅 볼 밸브(78), 및 제어판(76)의 바닥 에지와 하우징(54)의 바닥 사이에 배치된 통로(79)가 있다. 경사판(68)은 제1 분리챔버(66)의 바닥으로부터 플로팅 볼 밸브(78)를 향해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하우징(54)의 전체 폭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는 위어 플레이트(82)는 제어판(76) 및 하우징(54)과 함께 물 방출 챔버(80)를 형성한다. 배출구(60)는 하우징(54)을 통해 배치된다.
제2 분리챔버(72)에 더 많은 폐수가 유입됨에 따라 오일이 상승한다. 제2 분리챔버(72)를 통과하는 흐름은 오일이 물로부터 분리되고 경사판(68)을 향해 위쪽으로 떠서 접촉한 다음, 플로팅 볼 밸브(78)를 향해 더 떠오르게 하는 속도로 설정된다.
경사판(68)은 오일이 플로팅 볼 밸브(78)의 유입구에 축적되게 한다. 플로팅 볼 밸브(78)는 고밀도 액체(물)와 저밀도 액체(오일) 사이의 계면에서 부유하는 볼을 사용한다. 고밀도 액체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볼은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컨테이너(58)로의 오일 흐름을 중지시키는 높이로 상승한다.
물이 분리장치(50)를 통과할 때, 분리장치(50)를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위어 플레이트(82)의 배출구 오버플로우 에지(85)(상부) 위로 상승해야 한다. 따라서, 제2 분리챔버(72)의 물은, 배출구 오버플로우 에지(85)가 배치된 것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려고 시도한다. 제2 분리챔버(72)의 상부가 배출구 오버플로우 에지(85) 아래에 있기 때문에, 물의 상승 힘의 정수압이 플로팅 볼 밸브(78)를 통해 제2 분리챔버(72) 상부의 분리된 오일을 밀어낸다. 그러나, 물은 플로팅 볼 밸브(78)를 통과할 수 없는 데, 그 이유는 플로팅 볼 밸브(78)가 그 통과를 중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리된 오일 또는 FOG 모두가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강제로 배출되면, 플로팅 볼 밸브(78)는 더 많은 오일이 축적될 때까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분리된 물은 통로(79), 위어 플레이트(82) 위 및 배출구(60)를 통과한다. 물 속의 실트는 하우징(54)의 바닥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하우징(54)의 바닥에 위치한 실트 밸브(57)는 주기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실트 밸브(57)로부터의 물의 흐름은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실트를 플러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싱크대로부터의 폐수 유속은 0.05 ℓ/s 미만에서 2 ℓ/s까지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루에 여러 번 주방 작동 중에 최대 유량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에, 높은 폐수 유량의 동적 효과는 하우징(54)의 바닥으로부터 통로(79)를 통해 멀리 그리고 제어판(76)과 위어 플레이트(82) 사이의 수직 방출 샤프트(86)를 추가로 통과하여 실트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직 방출 샤프트(86)를 통한 유량이 높을수록 효과가 커진다. 수직 방출 샤프트(86)를 통과하는 0.1 m/s의 유속에서, 미세한 실트가 제거되어 배출구 오버플로우 에지(85) 위로 배출된다. 이 경우, 실트 밸브(57)는 일상적인 유지 보수 중에 개방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의 상세한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작동 시, 작은 저밀도 액체 소적(83), 즉 오일 소적은 관통공(70)을 통과하거나 상부 에지(69) 위를 통해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으로 흐를 수 있다. 자유 고밀도 액체 수위(73), 자유 수위로부터 분리된 저밀도 액체는 상부 에지(69)를 넘어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으로 만 통과할 수 있다.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은 제어판(67)과 하우징(54) 사이의 전체 공간을 차지하는 콤팩트한 저밀도 액체 층으로의 저밀도 액체 소적의 응집을 지원한다.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으로부터 빠져 나가는 폐수는,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의 하부 구획을 찢어 제2 분리챔버(72)로 들어가는 큰 소적(84)으로 된다. 소량의 저밀도 소적(83)이 관통공(70)을 통해 흐른다. 큰 저밀도 액체 방울이 액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분리챔버(72)에서의 분리 효율이 더 높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의 상세한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유착 필터는 막힘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의 기능은 제거 가능한 유착 필터(88)를 사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유착 필터(88)는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으로부터 제거되고 외부에서 세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로 구성된다"라는 표현은 장치의 요소가 정의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성"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상호 연결 배치 또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규정된 동작을 제공하는 전용 하드웨어를 가질 수 있거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장치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이라는 표현은 규정된 작업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든 장치 요소를 변경해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정확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 업게의 기술을 가진 사람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50 :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장치(수동 그리스 제거장치, 분리기)
52 : 유입구 54 : 하우징
55,56 : 분리 가능한 덮개 57 : 실트 배출구/실트 밸브
58 : 컨테이너 60 : 고밀도 액체(물) 배출구
62 : 거친 여과 챔버 63 : 천공판
64 : 여과 바스켓 66 : 제1 분리챔버
67 : 제어판 68 : 경사판
69 : 상부 에지 70 : 관통공
72 : 제2 분리챔버 73 : 자유 고밀도 액체(물) 수위
74 : 레벨 75 : 수직 저밀도 액체(오일) 갭
76 : 제어판
78 : 저밀도 액체(오일) 배출구/플로팅 볼 밸브
79 : 통로 80 : 고밀도 액체(물) 방출 챔버
82 : 위어 플레이트 83 : 저밀도 액체(오일) 소적
84 : 큰 저밀도 액체(오일) 방울 85 : 배출구 오버플로우 에지
86 : 수직 방출 샤프트 88 : 제거 가능한 유착 필터

Claims (15)

  1. 제1 분리챔버(66), 및 상기 제1 분리챔버(66)와 제1 유체 연통하는 제2 분리챔버(7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챔버(66)가 상기 제2 분리챔버(72) 위에 위치하는 용기;
    액체가 상기 용기 내부로 흐르도록 상기 제1 분리챔버(66)에 배치된 유입구(52);
    상기 제2 분리챔버(72) 상에 배치되어 액체로부터 분리된 저밀도 액체를 상기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저밀도 액체 배출구(78); 및
    액체로부터 분리된 고밀도 액체가 상기 용기 밖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배치된 고밀도 액체 배출구(60)를 포함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5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챔버(66)가 거친 여과 챔버(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제2 분리챔버(72)와 제2 유체 연통하는 고밀도 액체 방출 챔버(80)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고밀도 액체 배출구(60)는 상기 고밀도 액체 방출 챔버(8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액체 방출 챔버(80)는 상기 용기 밖으로 흐르는 고밀도 액체가 액체에 포함된 미세한 실트를 용기 밖으로 흐르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수직 방출 샤프트(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저밀도 액체 유출구(78)에 배치된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여 저밀도 액체가 상기 용기 밖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불가능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고밀도 액체가 플로팅 부재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밸브는 저밀도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상기 플로팅 부재를 포함하는 플로팅 볼 밸브(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챔버(72)로부터 제거된 저밀도 액체를 수집하도록 배치된 컨테이너(5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52)는 회전 가능한 유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챔버(66)는 경사진 바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분리챔버(66)의 경사진 바닥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분리챔버(72)의 경사진 천장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경사판(6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바닥은 액체의 제1 유량에서 제1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경사진 바닥의 하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분리챔버(66)와 상기 제2 분리챔버(72) 사이에 배치된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1 유체가 액체의 제2 유량으로 연통되도록 하며, 제2 유량은 액체의 제1 유량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분리챔버(66)와 상기 제2 분리챔버(72) 사이에 배치된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1 유체가 액체의 제2 유량으로 연통되도록 하며, 제2 유량은 액체의 제1 유량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저밀도 액체 갭(75)은 저밀도 액체 소적의 응집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착 필터 또는 제거 가능한 유착 필터(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혼화성 액체 분리장치.
  15. 제1 분리챔버(66), 및 상기 제1 분리챔버(66)와 제1 유체 연통하는 제2 분리챔버(7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챔버(66)가 상기 제2 분리챔버(72) 위에 위치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분리챔버(66)에 배치된 유입구(52)를 통해 액체가 용기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분리챔버(72)에 배치된 저밀도 액체 배출구(78)를 통해 액체로부터 분리된 저밀도 액체가 그로부터 제거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에 배치된 고밀도 액체 배출구(60)를 통해 액체로부터 분리된 고밀도 액체가 용기 밖으로 흘러나오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방법.



KR1020217012414A 2018-09-28 2019-09-20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68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15872.5 2018-09-28
GB1815872.5A GB2577559B (en) 2018-09-28 2018-09-28 Immiscible liquids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PCT/EP2019/075399 WO2020064571A1 (en) 2018-09-28 2019-09-20 Immiscible liquids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072A true KR20210068072A (ko) 2021-06-08

Family

ID=6807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14A KR20210068072A (ko) 2018-09-28 2019-09-20 비 혼화성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377837B2 (ko)
EP (1) EP3856983B1 (ko)
KR (1) KR20210068072A (ko)
CN (1) CN112752888B (ko)
AU (1) AU2019345932B2 (ko)
DK (1) DK3856983T3 (ko)
FI (1) FI3856983T3 (ko)
GB (1) GB2577559B (ko)
LT (1) LT3856983T (ko)
PL (1) PL3856983T3 (ko)
WO (1) WO2020064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9446A (en) * 2020-10-05 2022-04-06 Env Products & Services Lim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527A (en) * 1915-06-04 1915-12-14 Kelly Separator Company Grease-trap.
US3199676A (en) * 1962-01-02 1965-08-10 Briggs Filtration Company Coalescing and filtering apparatus
JPS5421801Y2 (ko) 1976-07-12 1979-08-01
US4422931A (en) * 1982-04-15 1983-12-27 Wolde Michael Girma Oil concentrator
HU209763B (en) * 1992-03-18 1994-10-28 Szereday Apparatus for separating first liquid contamination floating on fluid e.g. oil and the fluid e.g. water
US6517715B1 (en) * 1999-11-12 2003-02-11 Thermaco, Inc. Readily serviceable separator unit with a focusing plate
EP1232779A1 (en) * 2001-02-15 2002-08-21 Evac International Oy Separator device
US7285209B2 (en) * 2001-12-28 2007-10-23 Guanghua Yu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emulsified water from hydrocarbons
US7361282B2 (en) * 2003-07-21 2008-04-22 Smullin Corporation Separator of floating components
US20080149553A1 (en) * 2004-03-26 2008-06-26 Sowerby John C separator for immiscible liquids
US7297284B2 (en) * 2004-03-26 2007-11-20 Goslyn, L.P. Separator for immiscible liquids
US8153004B2 (en) * 2008-11-14 2012-04-10 Felix Juan Rodriguez-Jovet Grease trap with detachable residue interceptor
US8915380B2 (en) * 2009-12-24 2014-12-23 Goslyn, LP Separator for low discharge applications
US8273255B2 (en) * 2010-06-04 2012-09-25 Thermaco, Inc. Economical fat, oil, and grease waste removal system and method
CN201704786U (zh) * 2010-06-22 2011-01-12 刘克诚 餐饮废水油水分离装置
GB2511292A (en) * 2013-01-27 2014-09-03 Edward George Owen Semi Automatic Oil Water Separator
KR101634960B1 (ko) * 2014-09-16 2016-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 분리 장치
US10035716B1 (en) * 2015-08-21 2018-07-31 Goslyn General, Llc Immiscible liquid separator for marine vessels
CN207726772U (zh) * 2017-09-28 2018-08-14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油水处理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856983T3 (da) 2024-01-29
EP3856983B1 (en) 2023-11-01
AU2019345932A1 (en) 2021-04-08
US11377837B2 (en) 2022-07-05
EP3856983A1 (en) 2021-08-04
CN112752888A (zh) 2021-05-04
WO2020064571A1 (en) 2020-04-02
LT3856983T (lt) 2024-02-26
GB2577559A (en) 2020-04-01
AU2019345932B2 (en) 2022-02-10
CN112752888B (zh) 2022-07-15
PL3856983T3 (pl) 2024-05-13
US20210395992A1 (en) 2021-12-23
GB2577559B (en) 2023-06-07
FI3856983T3 (fi)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36344B2 (en) Separator for low discharge applications
US4132645A (en) Two-stage oil skimmer separator
US7297284B2 (en) Separator for immiscible liquids
US5069781A (en) Combined floor sink and strainer
WO2010050795A1 (en) Kitch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EP1697049B1 (en) Grease separator for kitchen sinks and other applications
US20080149553A1 (en) separator for immiscible liquids
JP5065567B2 (ja) 固液分離装置
CA2655208C (en) Grease interceptor having a grease removal device
CN112752888B (zh) 不混溶液体分离设备和方法
US7431852B2 (en) Oil/grease separator with interchangeable inlet and outlet
US20060237362A1 (en) Wastewater solids strainer apparatus for plumbing drain systems in commercial kitchen facilities
US10300406B1 (en) Variable flow immiscible liquid separator for in-ground applications
JP3368426B2 (ja) 浮上油自動回収装置
JP3921377B2 (ja) 循環型油水分離油脂回収方法
CA2866911C (en) An outlet well cover for an in-line grease interceptor
CA2472507C (en) Improved separator for immiscible liquids
CN219449399U (zh) 一种油水分离系统
GB2565548A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EP3976217A1 (en) Variable flow immiscible liquid separator for in-ground applications
CN215457788U (zh) 一种隔油池和洗碗机
TWI693960B (zh) 截油槽
GB2551132A (en) A grease separation apparatus
KR20130087978A (ko) 싱크대 정화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