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750A -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7750A KR20210067750A KR1020190157671A KR20190157671A KR20210067750A KR 20210067750 A KR20210067750 A KR 20210067750A KR 1020190157671 A KR1020190157671 A KR 1020190157671A KR 20190157671 A KR20190157671 A KR 20190157671A KR 20210067750 A KR20210067750 A KR 202100677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trademark
- search
- similarity
- simil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WZREIFADZCYQD-NSHGMRRFSA-N deltamethrin Chemical compound CC1(C)[C@@H](C=C(Br)Br)[C@H]1C(=O)O[C@H](C#N)C1=CC=CC(OC=2C=CC=CC=2)=C1 OWZREIFADZCYQD-NSHGMRRF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4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extracted text
-
- G06K9/00456—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3—Classification of content, e.g. text, photographs or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표 관리 서버에서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검색 이미지를 통해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상표권 침해에 관한 정의는 상표법 제 108조 제1항에 명시되어 있으며, 제1호는 상표권의 직접적 침해 행위, 제2호 ~ 제4호는 상표권의 간접 침해 행위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표 1은 상표권 침해 범위(상표법 제108조 제1항)를 나타내는 표이다.
특허청(2013)의 국내기업의 상표관리행동 실태 조사·분석에 따르면 이종(異種)업체에 의해 자사의 상표권이 침해되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약 24%로 나타났으며, 동종(同種)업체에 의해 자사의 상표권이 침해되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약 44%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 분쟁 발생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표 분쟁에 대한 전담부서를 설치한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상표권에 대한 분쟁 경험이 있다'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약 63.1%, 전담부서가 미설치된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상표권에 대한 분쟁 경험이 없다'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약 78.9%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 기업 중 '상표보호를 위한 사전 예방 활동을 수행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약 65.3%로 나타났으며,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49명 이하의 기업이 73%, 50~299명 규모의 기업이 66.4%의 비율로 상표보호를 위한 사전 예방 활동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해당 통계자료는 타 기업이 자사의 상표권을 침해하더라도 인력 및 자본의 부족으로 인해 해당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표권 침해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조사 결과, 국내에서는 '상표권 침해에 관한 법리적 고찰'에 관한 연구와, '상표에 대한 유사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상표권 침해에 관한 법리적 고찰'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먼저, 조영선(2013), "상표권 침해에 대한 구제 법리의 재검토-경과실 감액을 중심으로," 법조, 62(8), pp.45-92. 에서는 오픈 마켓에서 공동불법행위의 책임을 갖는 상표권 간접침해자에 대해 상표법 제67조 4항에 명시되어있는 경과실 감액을 적극 고려함으로써 오픈 마켓 수요자의 불이익이 초래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상육(2013), "상표권침해를 둘러싼 오픈 마켓운영자의 법적 책임," 경제법연구, 13(1), pp.25-64. 에서는 오픈 마켓에 전시된 상품이 제3자의 상표권을 침해하고, 오픈 마켓 운영자가 상표권 침해를 인지하어 합리적인 기간 내에 웹사이트로부터 상품을 삭제하지 아니한 경우, 오픈 마켓 운영자가 상표권 침해의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김지환(2014), "오픈 마켓운영자의 상표권 간접침해책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22(1), pp.169-196. 에서는 상표권 침해자가 소송을 제기한다면, 오픈 마켓 운영자가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되, 소송을 제기하지 않는다면 삭제된 정보를 부활시키는 방안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나동규(2015),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의 위조상표 단속 강화방안," 과학기술법연구, 21(2), pp.25-52. 에서는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의 권리자인 법인과 해당 지자체 관계자들은, 지역의 특산품 브랜드에 대한 침해에 대한 인식 제고 및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등록 상표 운영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김대중, 김세진(2016), "중국 중재시장 개방에 따른 중국 진출 기업의 상표권 침해 분쟁 중재 가능성," 중국법연구, 29, pp.453-488. 에서는 중국에서 발생한 상표권 침해로 인한 피해를 중국 내에서 중재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우리나라 또한 중재 시장에서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상표에 대한 유사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원준(2011), "결합상표의 유사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31(3), pp.83-124. 에서는 도형 결합 상표의 유사판단 기준을 정리했으며, 대상 판결을 통해 상표의 유사여부 판단 및 식별 사례와 한국·미국·유럽·일본의 입법례 및 판례를 비교, 분석했다.
양대승(2014), "업무표장의 식별력과 유사 여부 판단에 관한 고찰-업무표장 관련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법연구, 20(2), pp.107-148. 에서는 비영리업무를 표상하는 업무표장의 식별력을 일반상표나 서비스표와 다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으며, 상표법이나 상표심사기준 등의 개정과 같은 입법적 검토를 통해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태호(2015), "판례평석논문: 상표권 침해 및 부정경쟁행위에 관한 상표의 유사 판단의 비판적 검토-대법원 2014. 6. 26. 선고 2012 다 12849 판결을 중심으로," 법학논집, 20(1), pp.367-404. 에서는 상표 소송 실무에서 결합 상표를 분리, 관찰하는 경우에 수요자와 거래자의 현실을 반영할 유사 판단 기준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김원오(2017), "상표의 동일성 판단기준의 변화상에 관한 고찰," 동북아법연구, 11(2), pp.383-414. 에서는 상표의 동일성 판단의 공통적 기준에 대한 규정의 제도적 취지를 고려하여 동일성 판단의 범주나 관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설기석(2017),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의 판단기준 및 개선안에 관한 고찰," 서강법률논총, 6(1), pp.61-99. 에서는 출원인에게 상표 등록가능성 예측에 대한 신뢰를 부여하고 공정한 기준과 심사를 통하여 그 결과를 누구나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기존의 선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에 대한 명확한 판단기준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상표권 침해 및 유사 판단에 관한 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arsoof, A.(2010), "Keywords advertising: Issues of trademark infringement," Journal of International Commercial Law & Technology, 5(4), pp.240-251. 에서는 상표권이 지역적으로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상표권에 관한 법률이 전 세계적으로 통합됨에 따라 유럽 사법 재판소(European Court of Justice)의 판결을 무시할 수 없다고 언급했으며, 인터넷을 통해 광고를 게재하는 세계적 기업은 상표를 사용함에 있어 잠재적인 책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Fernandes, S.(2014), "A case study approach-An analysis of the infringement of trademark by comparative advertising,"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33, pp.346-357. 에서는 다양한 국가에서 게재되는 비교 광고에 대한 연방 법원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관할권의 인식이 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경쟁사에 대한 상표를 광고에 사용할 수 없는 현실에 대해 비판했다.
Dispoto, A. J.(2014), "Protecting Small Businesses against Trademark Bullying: Creating a Federal Law to Remove the Disparity of Leverage Trademark Holders Maintain over Small Business," San Diego Int'l LJ, 16, pp.457-498. 에서는 상표권 보호에 관한 미국 연방법과 영국 법을 비교한 결과 미국이 불공정한 소송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것을 막는데 충분한 조취를 취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 비판했으며, 법 개정을 통해 상표권자의 허위 고발 문제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표 유사 판단 기준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살펴보면 객관적인 측정 방법이 아닌 법리적 해석 중심의 연구가 중점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상표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행된 연구는 전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유사 상표를 검색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유사 상표를 객관적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검색 이미지를 통해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표 관리 서버에서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사 상표의 검색 단계는, 유사한 객체 이미지로 그룹화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집단 별로 상기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 내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사 상표의 검색 단계는, 상기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의 인식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이미지의 획득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1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1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2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2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 상표의 검색 단계는, 상기 제1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와 상기 제2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합산하여, 합산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이미지의 획득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상기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상기 객체 이미지의 크기로 조절하여 상기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상기 검색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유사 상표 검색부를 포함하는, 상표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유사 상표 검색부는, 유사한 객체 이미지로 그룹화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집단 별로 상기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 내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유사 상표 검색부는, 상기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1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1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2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2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유사 상표 검색부는, 상기 제1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와 상기 제2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합산하여, 합산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상기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고, 상기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상기 객체 이미지의 크기로 조절하여 상기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 상표를 검색하는데 있어, 원본 이미지 자체로 유사 상표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에 대한 검색 이미지를 별도로 추출하여, 검색 이미지를 통해 유사 상표 검색이 수행되어 유사 상표 검색 결과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한 객체 이미지의 등록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한 모집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데이터를 정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데이터를 증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한 객체 이미지의 등록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한 모집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데이터를 정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데이터를 증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100), 상표 관리 서버(200) 및 데이터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G, 4G 등의 이동 통신망으로 구성되어,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상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객체 이미지 등록, 유사 상표 검색 등의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표 관리 서버(200)에서 운영하는 유사 상표 검색 전용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해당 웹 사이트를 통해 객체 이미지 등록, 유사 상표 검색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유사 상표 검색 시 사용되는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 함으로써,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이미지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 함으로써, 원본 이미지와 대응되는 유사 상표의 검색 결과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접속 방법으로, 먼저, 사용자 단말(100)에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미도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제공할 수 있고, 상표 관리 서버(200)를 운영하는 업체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유사 상표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등록된 유사 상표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 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유사 상표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객체 이미지 등록, 유사 상표 검색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 상표 검색 애플리케이션은 유사 상표 검색 시 사용되는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이미지 등록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상표 검색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되어 배포될 수 있으나, 이미지 등록, 유사 상표 검색 등의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통합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배포될 수도 있다.
유사 상표 검색 애플리케이션은 데스크탑 전용 애플리케이션, 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 태블릿 PC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웨어러블 기기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 상표 검색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과 같이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유사 상표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유사 상표 검색 사이트에 접속하여, 객체 이미지 등록 요청, 유사 상표 검색 요청 등을 상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서 객체 이미지의 등록 요청을 상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에서 추출된 객체 이미지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면, 객체 이미지에 대한 등록 결과를 상표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서 유사 상표의 검색 요청을 상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통해 유사 상표가 검색되면, 원본 이미지에 대한 유사 상표 검색 결과를 상표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 한 원본 이미지 내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만 포함되도록 객체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를 인식하는데 있어,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를 추출하는데 있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객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는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큰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모집단으로 등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 한 원본 이미지가 유사 상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이미지로 확인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다수의 이미지 정보, 이미지에 설정된 메타 정보, 이미지에 설정된 라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다수의 객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큰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그룹화된 객체 이미지의 모집단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기초로 생성된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개체 이미지 별로 해당 객체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표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별도 서버로 구현되어, 상표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표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별도 서버로 구현되지만,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표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여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표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하나의 통합 서버로 구현되어, 하나의 통합 서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의 기능과 데이터 관리 서버(3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표 관리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 인식부(210), 객체 판단부(220), 이미지 획득부(230), 이미지 등록부(240) 및 유사 상표 검색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표 관리 서버(200)의 구성을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의 종류 별로 구분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해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는 과정과 관련된 상표 관리 서버(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객체 인식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서 객체 이미지 등록이 요청되면, 업로드 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인식부(210)는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원본 이미지에서 문자 "A"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도형 "○" 및 문자 "A"가 모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도 있다.
객체 인식부(210)는 원본 이미지에서 복수의 객체를 인식한 경우, 복수의 객체를 조합하여 새로운 객체를 더 인식할 수 있다.
즉, 객체 인식부(210)는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1 객체의 일부 및 제2 객체의 일부가 포함된 제3 객체를 더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인식부(210)는 원본 이미지에서 문자 "AB"가 포함된 객체를 제1 객체로 인식하고, 문자 "CD"가 포함된 객체를 제2 객체로 인식할 수 있으며, 제1 객체의 일부인 문자 "B"와 제2 객체의 일부인 문자 "C"를 조합하여, 문자 "BC"가 포함된 객체를 제3 객체로 더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 인식부(210)는 하나의 원본 이미지에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복수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220)는 객체 인식부(210)에서 인식된 객체에 대해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220)는 객체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상표 관리 서버(200)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객체 이미지의 특징을 기초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표 유사를 판단하기 위한 객체의 기준이 일정 면적 이상을 차지하는 도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객체 판단부(220)는 도형 "○"가 포함된 객체에 대해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선 하나만 포함된 객체에 대해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표 유사를 판단하기 위한 객체의 기준이 두 자리 이상의 숫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객체 판단부(220)는 숫자 "12"가 포함된 객체에 대해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숫자 "1"만 포함된 객체에 대해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230)는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객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획득부(230)는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고,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고,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조절하여 객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후보 이미지에서 여백을 제거하고 해상도를 조절하는 데이터 정제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미지 등록부(240)는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큰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모집단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등록부(240)는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제3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크면,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제3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제1 모집단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제6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크면,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제6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제2 모집단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미지 등록부(240)는 객체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시킨 이미지, 객체 이미지의 일부만 포함시킨 이미지, 객체 이미지를 특정 각도로 회전시킨 이미지 및 객체 이미지에 임의의 선을 추가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등록부(240)는 제1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면서, 제1 객체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증폭 과정(이미지 반전, 일부만 포함, 특정 각도로 회전, 임의의 선 추가 등)을 수행하여, 제1 객체 이미지를 상하로 반전시킨 제1-1 객체 이미지, 제1 객체 이미지의 일부만 포함시민 제1-2 객체 이미지, 객체 이미지를 90도로 회전시킨 제1-3 객체 이미지, 객체 이미지에 임의의 선을 추가한 제1-4 객체 이미지를 제1 객체 이미지와 함께 더 등록할 수 있다. 객체 이미지에 임의의 선을 추가하는 데이터 증폭 과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미지 등록부(240)는 데이터 증폭 과정을 통해 새로 생성된 제1-1 객체 이미지, 제1-2 객체 이미지, 제1-3 객체 이미지 및 제1-4 객체 이미지 각각에 대해서도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에 따라 모집단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 이미지가 제1 모집단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1-1 객체 이미지, 제1-2 객체 이미지 및 제1-3 객체 이미지는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에 따라 제1 객체 이미지와 함께 제1 모집단에 등록될 수 있고, 제1-4 객체 이미지는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에 따라 제1 객체 이미지가 등록된 제1 모집단이 아닌 제2 모집단에 새로 등록될 수 있다.
이미지 등록부(240)는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기초로,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가 제1 모집단에 등록되어 있고,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및 제6 객체 이미지가 제2 모집단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 등록부(240)는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빨간색 원형의 도형을 제1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로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고,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및 제6 객체 이미지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파란색 사각형의 도형을 제2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로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관련된 상표 관리 서버(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해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객체 인식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서 유사 상표 검색이 요청되면, 업로드 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22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객체 인식부(210)에서 인식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230)는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230)는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고,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고,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객체 이미지의 크기로 조절하여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검색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즉,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원본 이미지 전체로 유사 상표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를 통해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에 도형 "○", 문자 "A" 등의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도형 "○" 객체에 대한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도형 "○" 객체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고, 문자 "A" 객체에 대한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문자 "A" 객체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유사한 객체 이미지로 그룹화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집단 별로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 내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검색 이미지와 제1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제1 모집단의 유사도 평균값을 산출하고, 검색 이미지와 제2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제2 모집단의 유사도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모집단 별로 유사도 평균값을 비교하여 유사도 평균값이 가장 높은 제1 모집단을 선정하고, 제1 모집단 내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를 정렬한 후,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객체 이미지를 선별하여, 선별된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집단의 유사도 평균값을 통해 유사 상표를 검색할 수 있지만,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를 통해 유사 상표를 검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하고, 1차 검색 수행 결과,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을 선별할 수 있으며, 선별된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가 제1 모집단으로 등록되어 있고,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및 제6 객체 이미지가 제2 모집단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먼저 제1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 및 제2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1차 검색 수행 결과, 제1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모집단에 포함된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인식부(210)는 원본 이미지에서 복수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획득부(230)는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1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원본 이미지에서 제2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2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제1 검색 이미지와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와 제2 검색 이미지와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합산하여, 합산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즉,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원본 이미지에서 복수의 객체가 인식된 경우, 각각의 객체 별로 해당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고, 복수의 객체를 조합하여 조합된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에서 문자 "A"가 포함된 제1 객체, 문자 "B"가 포함된 제2 객체가 인식된 경우, 제1 객체에 대한 제1 검색 이미지와 제2 객체에 대한 제2 검색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으며,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제1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제1 검색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고, 제2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제2 검색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고, 제1 검색 이미지 및 제2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제1 검색 이미지 및 제2 검색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도 있다.
유사 상표 검색부(250)는 제1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검색된 유사 상표 검색 결과, 제2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검색된 유사 상표 검색 결과, 제1 검색 이미지 및 제2 검색 이미지를 기초로 검색된 유사 상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각각의 유사 상표 검색 결과를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원본 이미지 하나만 업로드 하였지만, 원본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복수의 객체를 통해 다양한 유사 상표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한 객체 이미지의 등록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S3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원본 이미지 업로드의 요청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의 업로드를 요청하면서 객체 이미지의 등록도 함께 요청될 수 있다.
이후, S302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S301 단계에서 업로드 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를 인식하는데 있어,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한 후, 제1 객체의 일부 및 제2 객체의 일부가 포함된 제3 객체를 더 인식할 수도 있다.
이후, S303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S302 단계에서 인식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가 식별 가능한 도형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식별 가능한 문자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통해,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가 상표 유사 판단 시 의미를 가지는지 미리 설정된 기준을 통해 확인하여,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S304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객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있어,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고,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고,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조절하여 객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S305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S304 단계에서 획득된 객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는데 있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큰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그룹화된 객체 이미지를 모집단으로 등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기초로,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를 생성하여 대표 이미지를 모집단 별로 등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면서, 객체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시킨 이미지, 객체 이미지의 일부만 포함시킨 이미지, 객체 이미지를 특정 각도로 회전시킨 이미지, 객체 이미지에 임의의 선을 추가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객체 이미지와 함께 더 등록할 수 있다.
S305 단계 이후 S306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S303 단계에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S306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추가로 인식되는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302 단계에서 제1 객체가 인식되었는데, S306 단계에서 제2 객체가 추가로 인식된 경우, 상표 관리 서버(200)는 제2 객체가 추가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S303 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302 단계에서 제2 객체가 인식되었는데, S306 단계에서 추가로 객체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가 추가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객체 이미지 등록 과정을 종료하고, S301 단계로 돌아가 원본 이미지의 업로드에 대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S4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원본 이미지 업로드의 요청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의 업로드를 요청하면서 유사 상표의 검색도 함께 요청될 수 있다.
이후, S402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S401 단계에서 업로드 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S403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S402 단계에서 인식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S404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있어,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고,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고,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조절하여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404 단계 이후 S405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S403 단계에서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S40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추가로 인식되는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402 단계에서 제1 객체가 인식되었는데, S405 단계에서 제2 객체가 추가로 인식된 경우, 상표 관리 서버(200)는 제2 객체가 추가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S403 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402 단계에서 제2 객체가 인식되었는데, S405 단계에서 추가로 객체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가 추가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S40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S404 단계에서 획득된 검색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유사 상표를 검색하는데 있어, 유사한 객체 이미지로 그룹화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집단 별로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 내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표 관리 서버(200)는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하고, 1차 검색 수행 결과,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을 선별하고, 선별된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하여, 2차 수행 결과,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높은 객체 이미지 중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하고,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1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원본 이미지에서 제2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2 검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표 관리 서버(200)는 제1 검색 이미지와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제1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고, 제2 검색 이미지와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제2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표 관리 서버(200)는 제1 검색 이미지와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와 제2 검색 이미지와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합산하여, 합산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할 수 있다.
유사 상표 검색이 완료되면, S407 단계에서, 상표 관리 서버(200)는 유사 상표의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표 관리 서버(200)는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 별로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유사 상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에서 인식된 복수의 객체를 조합하여, 조합된 객체에 대응하는 유사 상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한 모집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한 제1 모집단과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및 제6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한 제2 모집단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제3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크면,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제1 모집단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제6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크면,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제6 객체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제2 모집단으로 등록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제1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인 제1 대표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으며, 제4 객체 이미지, 제5 객체 이미지 및 제6 객체 이미지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제2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인 제2 대표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이미지가 그룹화되어 모집단으로 등록되어 있고, 모집단 별로 대표 이미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표 관리 서버(200)는 2차 검색을 통해 유사 상표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표 관리 서버(200)는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제1 대표 이미지 및 제2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1차 검색 결과, 대표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을 선별할 수 있다.
1차 검색 결과 제1 대표 이미지의 유사도가 가장 높아 제1 모집단이 2차 검색 대상으로 선별된 경우, 상표 관리 서버(200)는 제1 모집단에 포함된 제1 객체 이미지, 제2 객체 이미지 및 제3 객체 이미지와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표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체 객체 이미지에 대해 유사도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모집단의 대표 이미지와 유사도를 비교하여 모집단을 선별한 후, 선별된 모집단에 등록되어 있는 객체 이미지에 대해서만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검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데이터를 정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가 추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에서는 여백의 색을 추출하기 위해 이미지 픽셀 값 중 (0, 0)의 픽셀 값이 후보 이미지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는 제1 단계에서 추출된 색으로 구성되며 후보 이미지와 똑같은 크기의 배경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제3 단계에서는 후보 이미지에서 배경 이미지가 차분된 후 절대 값이 적용되어 차분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제4 단계에서는 차분된 이미지에서 픽셀 값이 0이 아닌 지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계 상자, 즉, 좌측, 상단, 우측, 하단의 좌표 값을 의미하는 경계 상자가 생성될 수 있다.
제5 단계에서는 후보 이미지에서 경계 상자를 활용하여 여백이 제거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에서 추출될 때는 여백 제거 전의 상태였지만, 여백 제거 과정을 거쳐, 여백 제거 후의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백이 제거된 후보 이미지는 해상도와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이 각각 상이할 수 있으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백이 제거된 후보 이미지를 대상으로 동일한 픽셀 크기의 해상도로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해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여백 제거 및 해상도가 조절된 후보 이미지를 객체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으며,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여백 제거 및 해상도가 조절된 후보 이미지를 검색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데이터를 증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표 관리 서버(200)는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해 객체 이미지를 등록하는데 있어, 이미지의 데이터를 증폭하여 다양한 형태의 객체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표 관리 서버(200)는 객체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시킨 이미지, 객체 이미지의 일부만 포함시킨 이미지, 객체 이미지를 특정 각도로 회전시킨 이미지를 복제하여 더 등록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이미지에 임의의 선을 추가한 이미지를 복제하여 더 등록할 수 있다.
즉, 유사 상표를 검색하는데 있어 상표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에 대한 형태를 그대로 보존함과 동시에 객체 이미지에 임의의 선을 다양한 위치에 추가하는 데이터 증폭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유사 상표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광운대학교 경영학부 이석준교수와의 공동연구로 개발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상표 관리 서버
210 : 객체 인식부
220 : 객체 판단부
230 : 이미지 획득부
240 : 이미지 등록부
250 : 유사 상표 검색부
300 : 데이터 관리 서버
200 : 상표 관리 서버
210 : 객체 인식부
220 : 객체 판단부
230 : 이미지 획득부
240 : 이미지 등록부
250 : 유사 상표 검색부
300 : 데이터 관리 서버
Claims (10)
- 상표 관리 서버에서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상표의 검색 단계는,
유사한 객체 이미지로 그룹화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집단 별로 상기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 내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상표의 검색 단계는,
상기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인식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이미지의 획득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1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1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2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2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 상표의 검색 단계는,
상기 제1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와 상기 제2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합산하여, 합산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이미지의 획득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상기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상기 객체 이미지의 크기로 조절하여 상기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에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
상기 객체가 상표 유사를 판단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유사 상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상기 검색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유사 상표 검색부를 포함하는, 상표 관리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상표 검색부는,
유사한 객체 이미지로 그룹화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집단 별로 상기 검색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 내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상표 관리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상표 검색부는,
상기 모집단 별로 등록된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대표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집단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와 상기 검색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하는, 상표 관리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인식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1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1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2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제2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유사 상표 검색부는,
상기 제1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와 상기 제2 검색 이미지와 상기 객체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합산하여, 합산된 유사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를 상기 원본 이미지의 유사 상표로 검색하는, 상표 관리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가 정가운데 위치하는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후보 이미지의 픽셀값을 기준으로 상기 객체가 위치하지 않는 여백을 제거하고, 상기 후보 이미지의 해상도를 상기 객체 이미지의 크기로 조절하여 상기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표 관리 서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7671A KR102271470B1 (ko) | 2019-11-29 | 2019-11-29 |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7671A KR102271470B1 (ko) | 2019-11-29 | 2019-11-29 |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7750A true KR20210067750A (ko) | 2021-06-08 |
KR102271470B1 KR102271470B1 (ko) | 2021-07-01 |
Family
ID=7639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7671A KR102271470B1 (ko) | 2019-11-29 | 2019-11-29 |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147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5153A (ko) | 2022-11-22 | 2024-05-29 | 이성범 | 상표 유사 판단 관리 서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6339A (ko) * | 2000-07-12 | 2002-01-19 | 한능우 |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
KR20180131621A (ko) * | 2016-04-14 | 2018-12-10 | 아데르 빌기사야르 히즈메트레리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 상표 이미지의 콘텐츠 기반 서치 및 검색 |
-
2019
- 2019-11-29 KR KR1020190157671A patent/KR1022714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6339A (ko) * | 2000-07-12 | 2002-01-19 | 한능우 |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
KR20180131621A (ko) * | 2016-04-14 | 2018-12-10 | 아데르 빌기사야르 히즈메트레리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 상표 이미지의 콘텐츠 기반 서치 및 검색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정준형 외 2인, "축약 합성곱 신경망 특징 벡터를 이용한 유사 상표 검색 방법",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8.12.31. 공개)*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5153A (ko) | 2022-11-22 | 2024-05-29 | 이성범 | 상표 유사 판단 관리 서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1470B1 (ko) | 2021-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5445B2 (en) | Document sorting system, document sorting method, and document sorting program | |
Palvia et al. |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a meta analysis of key issues | |
US10325177B1 (en) |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image anomaly detection | |
Park et al. | Spatiotemporal changes of informal settlements: Ger districts in Ulaanbaatar, Mongolia | |
US20150149372A1 (en) |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 and document classification program | |
KR20170025454A (ko) |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시공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
US20160170981A1 (en) | Document analysis system, document analysis method, and document analysis program | |
CN103366247B (zh) | 标准有效性判断系统及方法 | |
KR20130019629A (ko) | 부동산 물건의 유형별 입지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2271470B1 (ko) |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 |
KR102316292B1 (ko) |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한 객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 |
Pafi et al. | Measuring the accessibility of urban green areas | |
US20170075986A1 (en) | Document analysis system, document analysis method, and document analysis program | |
Twaroch et al. | Acquisition of a vernacular gazetteer from web sources | |
Wang et al. | [Retracted] Processing Methods for Digital Image Data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
KR102469474B1 (ko) |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 |
CN115510074B (zh) | 基于一张表的分布式数据管理及应用系统 | |
US11288306B1 (en) | Methods for producing sitemap for use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
Binatti et al. | Latin American bike sharing ecosystem overview: from data collection to implementation model portraits | |
CN114202149A (zh) | 一种数字化楼宇信息管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 |
Khanom et al. | The News Crawler: A Big Data Approach to Local Information Ecosystems | |
KR20080028589A (ko) | 온라인 망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Peng et al. |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People's Livelihood Issues Based on Urban Online Governance Platforms: A Case of Chengdu, China | |
De Castro et al. | Modeling and development of a WebGI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of coastal areas that are influenced by the oil industry | |
Huang et al. | Exploring gentrification through social media data and text clustering techniqu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