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339A -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339A
KR20020006339A KR1020000039953A KR20000039953A KR20020006339A KR 20020006339 A KR20020006339 A KR 20020006339A KR 1020000039953 A KR1020000039953 A KR 1020000039953A KR 20000039953 A KR20000039953 A KR 20000039953A KR 20020006339 A KR20020006339 A KR 20020006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demark
image
search
feature vector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능우
차상국
Original Assignee
한능우
(주)에어스파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능우, (주)에어스파이더 filed Critical 한능우
Priority to KR102000003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339A/ko
Publication of KR2002000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패턴 검색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도형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출원상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상표검색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를 이미 출원되어 이진 정보로서 저장된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검색하여 내는 상표검색방법에 있어서,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와,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로부터 각각을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요소 이미지 각각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요소 이미지 각각에 대한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선출원 상표를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의 특징벡터들로부터 검색대상 상표 요소 이미지의 특징벡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벡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한 상표검색시스템이 제공된다.
그 결과, 빠른 검색성능을 가지면서도 한 번의 검색명령으로 전체 대 전체의 비교는 물론,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끼리의 비교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검색대상 상표이미지 전체 이미지 및 요소 이미지의 검색에서, 검색대상 상표이미지를 다양한 형태로 대칭변환 또는 반전 변환시킨 이미지에 대해서도 검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Trademark Searching Method and Trademark Searching System}
본 발명은 출원상표 검색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미지 패턴 검색을 기반으로 하여, 도형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출원상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상표검색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품 또는 서비스업의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상표 또는 서비스표(이하, 상표)는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의 결합 및 색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표법에 따르면, 이러한 상표들 중 자체의 식별력을 가지고 또한 다른 자가 취급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표들과 식별되는 출원상표에 대해서 독점배타권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출원된 상표에 대한 심사과정에서는 타인의 선출원상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선결 과제이며, 또한 출원전의 출원인의 경우에도 자신이 출원하기 전에 먼저 출원된 타인의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를 검색하여야 한다.
최근에 전자출원제도가 정착되는 등에 따라 출원 상표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이 완료되었으며, 또한 네트웍을 통한 온라인 검색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완성된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하는 출원과정 및 심사과정에서 출원예정 상표, 또는 심사대상 상표들에 대해서 그와 동일 유사한 선출원상표의 온라인 검색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출원상표 검색에 대한 현재의 기술수준은 주로 문자상표에 대한 텍스트 검색에 머무르고 있을 뿐이며, 도형을 포함한 상표에 대해서는 심사관 등의 경험 및 직관에 주로 의존하는 수동검색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도형 등을 포함하는 상표들 사이의 비교검색 과정에서의 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상표의 비교검색과정은 종래에 알려진 이미지 패턴에 대한 비교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패턴 비교기술은 전체 이미지를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각부분에 대한 이미지 정보(위치, 색상, 명도, 채도, 모양, 크기)와, 이 이미지 정보의 배치관계를 정규화한 후 이들을 상호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이미지 정보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검색대상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순위를 부여하여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미지 패턴 비교기술을 도형을 포함하는 상표검색에 적용하기에는 몇가지 해결해야할 어려움이 있다. 즉, 상표들 사이의 동일유사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동일성 여부만을 판단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단순히 도형 전체와 전체를 비교하는 과정만이 아니라, 검색대상 상표의 일부와 선원 상표의 일부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형과 문자로 이루어진 상표의 경우라면, 해당 문자와 동일 유사한 발음, 동일 유사한 관념을 가진 문자를 포함한 상표를 검색해 낼 수 있어야 하며, 칭호와 관념이 유사한 상표만이 아니라, 문자의 전체적인 도안과 동일 유사한 도안을 포함하므로 외관에서 유사한 느낌을 주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표까지 검색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도형에 대해서도, 그 도형의 전체 또는 일부와 동일 유사한 도형을 일부 또는 전부로 포함하고 있는 다른 상표가 있다면, 그 상표 역시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표들 사이의 비교검색을 위한 상표검색시스템은 이미지 패턴에 대한 비교 분석을 기초로 보다 다양한 각종의 변수가 부가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표검색과정에서의 종래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패턴 검색을 기초로 주어진 이미지에 대한 전체 및 일부에 대한 특징벡터 추출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한 번의 검색명령으로 전체 이미지 대 전체 이미지의 비교는물론, 전체이미지의 일부로서 요소 이미지들끼리의 신속한 비교가 가능하며, 검색대상 상표이미지를 다양한 형태로 대칭변환 또는 반전 변환시킨 이미지에 대해서도 검색이 가능한 상표검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표검색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표등록처리용 단말기 및 상표검색의뢰용 단말기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표검색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표검색시스템의 인덱싱 처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표검색시스템의 인덱스 서버가 인덱싱 처리의 진행하는 순차를 도시한 제어순차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표검색시스템의 검색 처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표검색시스템의 검색 서버가 검색처리를 진행하는 순차를 도시한 제어순차도,
도 7은, 검색의뢰용 단말기에서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상표 검색을 의뢰하고, 검색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검색용 도구의 주화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검색용 도구의 주화면에서 검색대상상표의 특정부분을 선택하여 검색대상 이미지로 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검색용 도구의 주화면에서 검색대상상표에 대한 이미지 역전처리를 수행한 상태의 창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c는 검색용 도구의 주화면에서 검색대상상표에 대한 이미지 미러링 처리를 수행한 상태의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표등록출원 처리용 단말기 2, 2': 검색의뢰용 단말기
3: 상표검색 시스템 4: 네트웍
5: 인덱싱 서버 6: 검색 서버
7: 기록장치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를 이미 출원되어 이진 정보로서 저장된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검색하여 내는 상표검색방법에 있어서,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와,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로부터 각각을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요소 이미지 각각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요소 이미지 각각에 대한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선출원 상표를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의 특징벡터들로부터 검색대상 상표 요소 이미지의 특징벡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벡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표검색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검색대상 상표에 대해서 그 상표를 구성하는 다수의 요소이미지를 각각 분리추출하고, 이들을 다수의 선출원상표에 대한 특징벡터를 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추출한 특징벡터들과 비교하여 동일 유사한 특징벡터를 가지는 선출원상표를 선별할 수 있으므로, 검색대상 상표와 부분적으로만 유사한 선출원상표도 신속하게 자동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다수의 선출원상표 이미지에 대한 특징벡터 추출은 해당 상표에 대한 등록 출원 즉시 이루어지며, 추출된특징벡터는 선출원상표에 대한 출원정보의 일부로서 인덱싱 처리되어 저장되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명령이 있을 때마다 선출원상표 이미지를 분석하여 비교를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는 대신, 상표등록출원이 있을 때마다 해당 상표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요소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들 각각의 특징벡터를 인덱싱 처리하여 해당 상표출원에 대한 출원정보의 일부로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인덱스를 검색하는 것만으로 상표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와,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요소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서 반전변환, 대칭변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하여 얻은 요소 이미지들로부터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색대상 상표의 요소 이미지 또는 선출원 상표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가 유사하지만 흑/백의 반전 이미지 관계, 또는 좌우대칭, 상하대칭, 회전대칭 등의 대칭관계, 또는 회전관계 중 어느 하나의 관계에 놓인 경우에도 빠뜨리지 않고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에 대해 추출될 요소 이미지는 검색의뢰인의 선택에 의해 지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색의뢰인이 검색대상상표의 특정부분을 요소 이미지로 지정하여, 그 요소 이미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요소이미지를 추출하도록 명령할 수 있으므로, 자동 검색에 따른 부정확한 검색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를 이미 출원되어 이진 정보로서 저장된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검색하여 내는 상표검색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로부터 각각을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요소이미지 추출수단과, 추출된 선출원상표 요소 이미지 각각에 대해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특징벡터 추출수단과, 추출된 특징벡터들에 대해서 특징벡터의 키를 구조화하는 인덱싱 수단과, 상기 구조화된 특징벡터들의 키를 출원상표에 대한 출원정보의 일부로서 저장하는 기억장치와,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로부터 각각을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요소이미지 추출수단과, 추출된 검색대상 상표 요소 이미지 각각에 대한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특징벡터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된 검색대상 상표에 대한 특징벡터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선출원상표에 대한 특징벡터들과 비교하여 각각에 대한 유사정도를 산출하는 비교수단과, 비교 결과 산출된 특징벡터들 사이의 유사 정도를 평가하여 유사정도가 가장 높은 것부터 해당 특징벡터를 가지는 상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표검색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는 수동으로 행하던 상표와 상표에 대한 이미지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해당 상표를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에 대해서도 동일 유사한 요소 이미지를 가지는 선출원 상표를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상표검색시스템은 검색의뢰인이 상기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에 대해 추출될 요소 이미지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미지 지정수단을 또한 포함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검색의뢰인이 검색대상 상표를 구성하는 요소이미지를 직접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자동으로 수행하는 경우에서의 검색 누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상표검색시스템에서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에 대한 요소이미지 추출수단은, 추출된 요소이미지에 대해서, 반전변환, 대칭변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하여 변환된 요소이미지를 생성하는 요소이미지 변환수단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색대상 상표 및 선출원상표를 구성하는 요소이미지가 유사하지만, 서로 대칭관계에 있거나, 회전관계에 있는 경우 등에도 유사이미지 상표를 누락 없이 찾아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표검색시스템과 상표검색시스템에 네트웍을 통해 단말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예와 같이 상표검색시스템(3)은 인덱싱 서버(5), 검색 서버(6), 데이터 베이스 등의 기록장치(7)를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네트웍(4)을 통해 상표등록출원 처리용 단말기(1) 및 검색의뢰용 단말기(2, 2')에 접속된다.
도 1에서, 상표등록출원 처리용 단말기(1)는 원격 접속되는 상표등록출원인의 단말기(온라인 출원용 단말기) 또는 출원데이터 전산처리용 단말기(특허청 데이터 처리직원용)이며, 이 단말기(1)에서 이진 데이터 형태로 작성된 상표등록 출원정보는 네트웍을 거쳐 상표등록 출원정보 기록용 저장장치(도시 생략)로 전송된다.
그리고, 출원된 상표등록 출원정보는 상기 저장장치에 기록됨과 동시에, 즉시, 본 발명의 상표검색시스템 일부인 인덱싱 서버(5)로 전송되고, 인덱싱 서버(5)는 전송된 출원상표의 이미지에 대해 요소 이미지 분석 등의 여러 가지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인덱싱 서버(5)에 의한 분석결과는 2진 데이터의 형식으로 변환되어 등록출원상표 정보로서 기록장치(7)의 인덱싱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각각의 출원상표마다에 대해 수행하게 되면, 기록장치(7)에는 모든 출원상표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가 2진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이후의 검색을 위한 검색용 데이터 베이스로 활용된다.
도 1의 검색 서버(6)는 검색의뢰용 단말기(2, 2')에 네트웍을 통해 접속된 검색처리용 단말기(2, 2')로부터 검색의뢰 명령이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기록장치(7) 내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단말기(2, 2')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검색의뢰인이 검색대상 상표이미지를 제공하여 검색을 요청하면, 제공된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미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기록장치(7)에 기록된 다른 출원상표의 이미지들에 대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각각의 상표 이미지와의 유사 정도(유사 순위)를 산출하고, 유사 순위와 해당 상표 이미지 데이터의 저장위치에 대한 정보(또는 해당 상표이미지)를 검색처리용 단말기(2, 2')로 전송한다. 그러면, 검색의뢰용 단말기(2, 2')는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유사 순위가 높은 것부터 차례로 검색된 상표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표검색시스템(3)의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상표검색시스템의 인덱싱 서버(5)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에 상세 도시된 인덱싱 서버에서의 인덱스의 생성 및 등록출원상표 정보의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인덱싱 서버(5)는 상표등록 출원정보 수신수단(51), 임시기억수단(52, 53), 요소 이미지 추출수단(54), 특징벡터 추출수단(55), 인덱싱 수단(56), 문자인식수단(57), 상표등록 출원정보 생성수단(58) 및 상표정보 기입수단(59)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표등록출원이 있으면(단계 S1) 상표등록 출원정보 수신수단(51)은 상표등록출원 처리용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상표등록 출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표등록 출원정보를 해석하여 이미지 정보와 문자정보로 분리하고(단계 S6), 그 결과를 임시기억수단(52, 53)으로 전달한다.
요소 이미지 추출수단(54)은 임시기억수단(53)에 임시 기억된 2진 데이터 형태의 이미지 정보를 가져와서 전체의 상표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 이미지를 추출해낸다. 이때 사용되는 추출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패턴인식기법이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윤곽선(엣지)검출, 잡음제거, 객체영역추출 등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원본 이미지 내에 포함된 요소 이미지를 추출해 낸다(단계 S2).
한편, 요소 이미지의 추출과정에서 정밀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기술자에 의한 보조 확인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이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
특징벡터 추출수단(55)은 각각의 요소 이미지에 대한 특징을 수치화 하는 수단으로서, 추출된 요소이미지의 크기 등을 정규화 한 후(단계 S3), 각각의 요소 이미지에 대해서, 객체에 대한 윤곽선 검출과, 다수의 부영역으로의 영역분할 기술을 기초로 하여, 길이, 방향, 인접 요소와의 각도 등을 포함하는 2진 데이터 형태의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인덱싱을 위한 키를 생성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
인덱싱 수단(56)은, 검색의 유용한 도구인 요소 이미지에 대한 특징벡터의 키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특징벡터 추출수단(55)에 의해 추출된 특징벡터의 키를 구조화하는 수단이다(단계 S5).
인덱싱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키 값의 일부를 이용하여 탐색 경로를 결정하는 트라이(trie) 인덱싱 방법이 영역 대 에지비율을 특징값을 인덱스하는 데 편리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라이는 한 노드에서 하위 레벨로 두 개 이상 분기할 수 있으며 키의 일부값에 의해 분기된다. 트라이의 차수는 키 값을 표현하는 기수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다시 트라이 노드의 크기 즉, 링크 필드 수에 대응된다.
문자인식수단(57)은 추출된 특징벡터를 기초로 주어진 표본과 비교함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수단이다(단계 S7, S8).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등록출원된 상표의 이미지 정보에 대한 분석과, 인덱싱 과정이 종료하며, 그 결과는 각 요소 이미지에 대한 특징벡터의 추출과 추출된 특징벡터에 대한 인덱싱 및 문자인식 결과를 2진 데이터로 저장하게 된다.
상표등록 출원정보 생성수단(58)은, 인덱싱 서버(5)에서 이미지에 대한 요소이미지 추출, 요소 이미지에 대한 특징벡터 추출 및 인덱싱처리 과정을 마쳐서 저장될 인덱스용 2진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 결과를 문자인식결과인 문자인식정보, 그리고 임시저장수단(53)에 의해서 제공되는(단계 S6) 등록출원된 상표의 문자정보와 함께 묶어(관계를 부여하여) 등록출원상표에 대한 상표등록 출원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9). 이때, 문자정보는 출원인 사항, 지정상품 선택사항, 지정상품류별구분 사항 등 출원인 등에 의해 출원서에 기재되는 문자정보, 문자인식결과로서의 문자인식정보 그리고 상표이미지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는 문자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된 상표등록 출원정보는 상표정보 기입수단(59)의 제어하에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기록장치(7)에 저장된다(단계 S10).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인 도 2에 도시한 요소이미지 추출수단(54), 특징벡터 추출수단(55), 인덱싱 수단(56)에서의 이미지 처리에 의해, 원본 이미지에 대한 특징 벡터 추출 및 인덱싱이 수행되는 주요과정을 도해한 것이다.
이하, 검색 서버(6)의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작용을 도 2, 도 5 및 도 6를 참고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상표검색시스템의 검색 서버(6)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2에 상세 도시된 검색 서버에서의 검색과정을 처리흐름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상표검색시스템의 검색 서버(6)는, 검색대상 상표정보 수신수단(61), 임시기억수단(62, 63), 요소 이미지 추출수단(64), 요소이미지 변환수단(65)특징벡터 추출수단(66), 문자인식수단(67), 비교수단(68), 상표정보 판독수단(69), 검색순위 부여수단(71), 검색결과 전송수단(7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검색대상 상표정보 수신수단(61)은 검색의뢰인의 단말기(2, 2')로부터 검색의뢰인이 검색대상을 지정하여 전송하면(단계 S11), 이를 수신하여 이미지 정보와, 문자정보로 분리하고 각각의 2진 데이터를 임시 기억수단(62, 63)으로 전달한다.
요소 이미지 추출수단(64)은 전송된 검색대상 상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전체 상표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요소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의 추출과정은 인덱싱 서버의 요소이미지 추출수단(54)과 동일한 원리에 기초한 것이므로 상세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요소 이미지 추출수단(64)에 의해 추출된 요소 이미지에 대해서는 그것만으로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것 이외에, 추출된 요소 이미지에 대한 간단한 변형을 수행하여 얻은 변환된 요소 이미지에 대해서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소 이미지 변환수단(65)은, 요소 이미지 추출수단(64)에 의해 추출된 요소 이미지에 대해서 선대칭, 회전대칭 등의 대칭변환과, 반전대칭 등을 수행하여 부가의 검색대상 요소 이미지를 생성한다.
특징벡터 추출수단(66)은, 전술한 방법으로 생성된 검색대상 상표정보 수신수단 각각의 요소 이미지에 대한 특징을 수치화하는 수단이다. 그 자세한 설명은 인덱싱 서버(5)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하였으므로 반복설명을 생략한다(단계 S13, S14).
상표정보 판독수단(69)은 기록장치(7)로부터 상표등록 출원정보에 포함된 인덱스 키를 참조하여 상표등록 출원정보를 판독하여 오는(단계 S15) 수단이며, 이판독된 특징벡터들은 비교수단(68)에 의해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벡터들과 비교되고, 비교결과는 검색순위 부여수단(71)으로 출력된다(단계 S16).
한편, 문자인식 수단(67)은 검색대상상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문자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단계 S17, S18). 이 문자인식수단(67)에 의해 인식된 문자 데이터는 상표정보 판독수단(69)으로부터 기록장치(7)로부터 가져온 상표등록 출원정보에 포함된 선출원 상표의 문자정보와 비교수단(68)에 의해 비교된다(S20).
검색순위 부여수단(71)은 비교수단(68)으로부터 출력된 비교결과(유사 정도)를 기초로 검색의뢰인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순서에 대한 정보인 표시순위정보를 생성하고, 이 결과를 검색결과 전송수단(72)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검색결과 전송수단(72)은 검색의뢰인이 의뢰한 검색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로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표등록 출원정보의 위치를 지시하는 위치지시정보와 유사정도의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순위정보를 검색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S21).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검색 의뢰인이 도면의 왼쪽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의 상표이미지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여 검색을 의뢰하면, 검색 서버에서는 이 상표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이미지의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벡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사전에 저장된 선출원상표의 요소이미지에 대한 특징벡터와 비교 검색하여, 그 결과를 도면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과로서 제시한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예에서, 인덱싱 서버(5) 및 검색 서버(6) 각각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전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적어도 일부는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검색 의뢰인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표검색도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 "A"는 검색대상 상표의 예이며, 이 이미지는 검색의뢰인이 사전에 준비하여 둔 것을 읽어온 것이다. 검색의뢰인이 이 상표 이미지를 불러온 후에 하단의 검색시작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상표 이미지가 검색 서버(6)로 전송되고, 검색 서버(6)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7)로부터 유사한 상표의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검색된 결과는 도 7의 "B"영역 및 "C"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처럼 표시된다.
"B" 영역의 검색결과는 검색의뢰 상표이미지 전체와 동일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상표를 검색한 것으로서, 7개의 상표가 검색된 것으로 표시되며, 가장 유사한 것부터 순서대로 표시된다.
또한 "C" 영역의 검색결과는 검색의뢰 상표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이미지에 대해서 패턴 검색을 한 후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비록 전체적으로 상표이미지는 같지 않더라도, 검색대상 상표의 일부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상표이미지까지 함께 검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검색결과로서 선출원상표에 대한 출원인, 출원일, 지정상품, 등록일, 현재 상태 등의 출원상세정보는, 검색의뢰인이 도 7에 도시된 검색 결과의 상표 이미지를 클릭하여 얻도록 한다.
한편, 도 7의 구성에서는 검색결과 창을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제시하였으나, 이를 2개의 창으로 반드시 분리할 필요는 없다. 다만, 본 발명의 검색 서버(6)는 상표 이미지 검색을 전체 이미지와 요소 이미지에 대해서 병렬적으로 검색을 수행하므로, 이를 섞어 놓으면 순위를 산정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7의 창 "C"에 표시된 3번째 상표 이미지와 같은 것은 순위가 뒤로 밀리게 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검색결과를 별개의 창에 각각의 순위에 따라 표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검색도구 예에서, 화면 하단에 표시된 "부분검색" 아이콘은 검색의뢰인이 원하는 부분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한 도구이다. 검색의뢰인이 이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표이미지 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분할 선택하여 검색을 의뢰할 있다. 이와 같이, 검색의뢰인에 의해 검색영역을 변경 설정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자동검색에 따른 인식오류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이콘과 "회전각" 아이콘은 검색의뢰 상표 이미지를 회전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제어 도구이며, "이미지 역전" 아이콘은 검색대상 이미지를 창 "D" 또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상을 역전시키도록 하는 표시제어도구이고, "이미지 미러링" 아이콘은 검색대상 이미지를 도 8c 도시한 바와 같이 거울 반사된 형태로 변환시킨 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제어 도구이다. 이러한 표시제어 도구는, 검색의뢰인으로 하여금 검색의뢰 상표이미지를 다양한 형태로 움직여보면서 검색된 결과인 선출원 상표 이미지와 비교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창 "E"는 검색의뢰인이 선택한 지점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에대해서 패턴을 인식한 결과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창 "F" 는 검색과 관련한 여러 옵션 등을 설정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예의 검색도구를 이용하여, 검색의뢰인은 원격에서 인터넷, 인트라넷 등의 네트웍을 통해 검색 서버에 접속하고,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를 전송하여 그 상표이미지에 대해서 관련된 선출원상표의 검색을 의뢰하며, 그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상표검색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패턴 검색 기술을 기초로 주어진 이미지에 대한 전체 및 일부에 대한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이 특징벡터를 기초하여 인덱싱 처리를 함으로써, 빠른 검색성능을 가지면서도 한 번의 검색명령으로 전체 대 전체의 비교는 물론,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끼리의 비교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대상 상표이미지 전체 이미지 및 요소 이미지의 검색에서, 검색대상 상표이미지를 다양한 형태로 대칭변환 또는 반전 변환시킨 이미지에 대해서도 검색이 가능하다.

Claims (7)

  1.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를 이미 출원되어 이진 정보로서 저장된 다수의 선출원상표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검색하여 내는 상표검색방법에 있어서,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와,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로부터 각각을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요소 이미지 각각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요소 이미지 각각에 대한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선출원 상표를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의 특징벡터들로부터 검색대상 상표 요소 이미지의 특징벡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벡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선출원상표 이미지에 대한 특징벡터 추출은 해당 상표에 대한 등록 출원 즉시 이루어지며, 추출된 특징벡터는 선출원상표에 대한 출원정보의 일부로서 저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와,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요소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서 반전변환, 대칭변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하여 얻은 요소 이미지들로부터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에 대해 추출될 요소 이미지는 검색의뢰인의 선택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방법.
  5.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를 이미 출원되어 이진 정보로서 저장된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검색하여 내는 상표검색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선출원 상표 이미지로부터 각각을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요소이미지 추출수단과,
    추출된 선출원상표 요소 이미지 각각에 대해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특징벡터 추출수단과,
    추출된 특징벡터들에 대해서 특징벡터의 키를 구조화하는 인덱싱 수단과,
    상기 구조화된 특징벡터들의 키를 출원상표에 대한 출원정보의 일부로서 저장하는 기억장치와,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로부터 각각을 구성하는 요소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요소이미지 추출수단과,
    추출된 검색대상 상표 요소 이미지 각각에 대한 특징벡터를 추출하는 특징벡터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된 검색대상 상표에 대한 특징벡터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선출원상표에 대한 특징벡터들과 비교하여 각각에 대한 유사정도를 산출하는 비교수단과,
    비교 결과 산출된 특징벡터들 사이의 유사 정도를 평가하여 유사정도가 가장 높은 것부터 해당 특징벡터를 가지는 상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검색의뢰인이 상기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에 대해 추출될 요소 이미지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 이미지 지정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검색대상 상표 이미지에 대한 요소이미지 추출수단은, 추출된 요소이미지에 대해서, 반전변환, 대칭변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하여 변환된 요소이미지를 생성하는 요소이미지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검색시스템.
KR1020000039953A 2000-07-12 2000-07-12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KR20020006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953A KR20020006339A (ko) 2000-07-12 2000-07-12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953A KR20020006339A (ko) 2000-07-12 2000-07-12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39A true KR20020006339A (ko) 2002-01-19

Family

ID=1967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953A KR20020006339A (ko) 2000-07-12 2000-07-12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33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2870A1 (en) * 2001-11-12 2003-05-22 Ineed Co., Ltd For network-based search service using resemblant words and method thereof
KR100406671B1 (ko) * 2000-07-24 2003-11-21 주식회사 유니마이다스 문장 표절 및 도용 검색 방법
KR100895909B1 (ko) * 2007-08-14 2009-05-04 주식회사 마크프로 사용자 변환 지정상품 프레임을 구비한 클라이언트상표검색시스템
KR20210067750A (ko) * 2019-11-29 2021-06-08 정상일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KR20210067767A (ko) * 2019-11-29 2021-06-08 정상일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한 객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KR20210123898A (ko) * 2020-04-06 2021-10-14 (주)비타소프트 멀티 레이블 분류 기반 상표 이미지 검색 방법과 이 방법을 적용한 상표 이미지 검색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71B1 (ko) * 2000-07-24 2003-11-21 주식회사 유니마이다스 문장 표절 및 도용 검색 방법
WO2003042870A1 (en) * 2001-11-12 2003-05-22 Ineed Co., Ltd For network-based search service using resemblant words and method thereof
KR100895909B1 (ko) * 2007-08-14 2009-05-04 주식회사 마크프로 사용자 변환 지정상품 프레임을 구비한 클라이언트상표검색시스템
KR20210067750A (ko) * 2019-11-29 2021-06-08 정상일 유사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KR20210067767A (ko) * 2019-11-29 2021-06-08 정상일 유사 상표 검색을 위한 객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상표 관리 서버
KR20210123898A (ko) * 2020-04-06 2021-10-14 (주)비타소프트 멀티 레이블 분류 기반 상표 이미지 검색 방법과 이 방법을 적용한 상표 이미지 검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108B1 (ko) 문서 분류 시스템, 문서 분류 방법 및 문서 분류 프로그램
US20080270386A1 (en) Document retrieval system and document retrieval method
US20060155688A1 (en) Database search system
KR20070009338A (ko) 이미지 상호간의 유사도를 고려한 이미지 검색 방법 및장치
JP2005501321A (ja) ドキュメントを自動的にインデックスする方法
WO201919402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TW201415402A (zh) 取證系統、取證方法及取證程式
JPH11167581A (ja) 情報分類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6377917B2 (ja) 画像検索装置及び画像検索プログラム
Appel et al. Computer analysis of 2-D images
Budig et al. Active learning for classifying template matches in historical maps
JP2018181148A (ja) 情報出力プログラム、情報出力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560276B1 (ko) 이미지 검색 기반 감성 색채 배색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020006339A (ko) 상표검색방법 및 상표검색시스템
JPH11250106A (ja) 内容基盤の映像情報を利用した登録商標の自動検索方法
EP3408797B1 (en) Image-based quality control
US20210390251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form application
Younes et al. ViTA: A flexible CAD-tool-independent automatic grading platform for two-dimensional CAD drawings
CN116910650A (zh) 数据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WO2020175662A1 (ja) 辞書作成装置、辞書作成方法及び辞書作成プログラム
CN116469505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78427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929418B2 (ja) 情報探索プログラム及び情報探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CN111681776B (zh) 基于医药大数据的医药对象关系分析的方法及系统
CN114647682A (zh) 一种习题整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