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676A - 건물 단위 정밀도 위치 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단위 정밀도 위치 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676A
KR20210066676A KR1020190177521A KR20190177521A KR20210066676A KR 20210066676 A KR20210066676 A KR 20210066676A KR 1020190177521 A KR1020190177521 A KR 1020190177521A KR 20190177521 A KR20190177521 A KR 20190177521A KR 20210066676 A KR20210066676 A KR 20210066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gnss signal
indoors
inform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813B1 (ko
KR102294813B9 (ko
Inventor
노영태
조현우
김진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6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13B1/ko
Publication of KR10229481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1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1S5/012Identifying whether indoors or outdo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2205/09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cking peop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은GNSS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단위 정밀도 위치 정보 시스템{BUILDING RESOLUTION LOCALIZATION SYSTEM}
아래의 설명은 위치 측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위급 상황에 정학한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노인배회감지기, 미아방지 위치추적기 등이 상품화되어 시장에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위치 정보를 추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로서, GNSS의 경우, 인도어(Indoor)에서 오차가 심해지며 최대 800m까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아웃도어(Outdoor)와 신뢰성이 낮은 인도어(Indoor)를 구분하여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GNSS가 부정확한 인도어의 경우를 해결하고자 Wi-Fi fingerprinting(막대한 양의 DB 수집 및 관리비용 증가), Bluetooth beacon(추가장치 설치 및 관리) 등 여러 방법들이 연구된 바 있다. 이때, Indoor Positioning(정확히 어느 위치에 있는지)을 위해 사전작업 및 비용들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대표적인 GNSS인 GPS의 경우 다른 센서들에 비해서 현저히 높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런 에너지 소모 문제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기기에 큰 문제로 다가온다. 이에,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다른 주변 센서들을 이용하여 GPS의 사용 빈도 수를 줄임으로써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실내에 들어갈 경우 GNSS 위성의 신호 세기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실내(Indoor)/실외(Outdoor)를 구분하고, GNSS 신호를 이용하여 구분된 위치 정보가 실내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드롭하여 잘못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GNSS 신호를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에 입력하여 수신된 GNSS 신호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GNSS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머신 러닝에 기반한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모델에 상기 수신된 GNSS 신호의 CNR 세기를 입력하여 학습시킴에 따라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하여 위치 정보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가 실내로 판단된 경우, 기압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전자 기기의 움직임 또는 변화를 감지하여, GNSS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GNSS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구성된 모델에 상기 수신된 GNSS 신호의 CNR 세기를 입력하여 학습시킴에 따라 판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판단된 위치 정보가 실내일 경우, 상기 실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드롭(drop)하여 디스플레이에 미표시할 수 있으며, 기존에 표시했던 건물 단위의 위치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GNSS 신호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함에 따라 전자 기기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GNS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급박한 상황에 잘못된 GNSS 위치 정보로 인한 수사 및 인명 구조에 난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에너지 소모가 심한 GNSS의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GNSS 위치 정보의 주기가 짧을 경우, 빌딩 단위의 위치 추측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Building-level Positioning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실내외 GNSS CNR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수집한 위치 데이터를 드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실외 또는 실내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GPS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실내의 위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는, Building-level(어느 건물에 있는지)의 Positioning으로 접근하여 위치 정보를 판단함에 따라 노인배회 및 미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에 들어갈 경우 GNSS 위성의 신호 세기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GNSS를 통해 위치 정보를 불러올 때, 실내(Indoor)/실외(Outdoor)를 구분해서 실내이면, 해당 위치 정보를 드롭(drop)하여 다른 건물에 있는 것으로 잘못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GNSS 위치 정보를 불러올 때 처리하는 작업으로, 추가적인 장비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가속도 센서와 기압 센서를 활용하여 (건물을 벗어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그리고 베터리소모가 심한 GNSS 사용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위치 정보 시스템(10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신호 수신부(210) 및 판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310 내지 320)을 수행하도록 위치 정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위치 정보 시스템(1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시스템(100)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위치 정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신호 수신부(210)는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판단부(220)는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에 입력하여 수신된 GNSS 신호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머신 러닝에 기반한 모델을 구성하고, 구성된 모델에 수신된 GNSS 신호의 CNR 세기를 입력하여 학습시킴에 따라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하여 위치 정보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가 실내로 판단된 경우, 기압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전자 기기의 움직임 또는 변화를 감지하여, GNSS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GNSS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판단부(22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자 기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구성된 모델에 수신된 GNSS 신호의 CNR 세기를 입력하여 학습시킴에 따라 판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220)는 판단된 위치 정보가 실외일 경우, 실외에 대응하는 위치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20)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계속적으로 위치 정보가 실외라고 판단될 경우, 실외에 대응하는 위치값을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판단된 위치 정보가 실내일 경우, 실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드롭(drop)하여 디스플레이에 미표시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수신된 GNSS 신호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함에 따라 전자 기기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실내외 GNSS CNR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표적인 GNSS인 GPS의 경우 다른 센서들에 비해서 현저히 높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런 에너지 소모 문제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큰 문제로 다가온다. 이에, 실시예에서는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다른 주변 센서들을 이용하여 GPS의 사용 빈도 수를 줄임으로써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표 1: 센서 에너지 소비
Figure pat00001
위치 정보 시스템은 전자 기기에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시스템은 전자 기기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 시스템은 전자 기기에 위치 정보 서비스 기반의 플랫폼을 통하여 동작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시스템은 실내에 들어갈 경우, GNSS (위성) 신호의 세기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전자 기기에 따른 실내외 GNSS CN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GNSS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불러올 때, 실내 또는 실외를 구분하여, 실내일 경우, 위치 정보를 드롭하여 잘못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GNSS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불러올 때, 처리하는 작업으로 추가적인 장비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위치 정보 시스템은 가속도 센서와 기압 센서를 활용하여 GNSS 사용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때, 가속도 센서 및 기압 센서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에 기반한 센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수집한 위치 데이터를 드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머신 러닝을 통해 GNSS 신호의 CNR 세기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GNSS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가져올 때, GNSS의 신호가 실내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위치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위치 정보 시스템은 GNSS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실내로 탐지됨에 따라, 실내로 탐지된 신호값을 드롭 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실내에서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드롭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건물 내에 존재 또는 머무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 GNSS 신호를 수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실외 또는 실내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마다 GNSS 신호의 수신 감도가 다르고, 지형 및 건물마다 수신 감도가 다르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전자 기기별로 임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GNS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시스템은 머신 러닝으로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GNSS 신호를 구성된 모델에 입력하여 학습시킴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를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GPS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가 실내로 판단된 경우, 기압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전자 기기의 움직임 또는 변화를 감지하여, GNSS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GNSS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은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자 기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GNSS 신호가 실내로 판단됨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심한 GPS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압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불필요한 GPS 신호의 수신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단 밀 엘리베이터를 통한 고층으로 이동할 경우, 기압 센서를 통하여 기압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2층 이상에 머무를 경우 GNSS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가속도 센서를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일정 기준 이상 움직인 경우에만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실내의 위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른 기업에서 GPS, Wi-Fi, cell-tower 등을 활용하여 GPS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지만, 실내의 경우 다른 건물을 표시할 정도로 오차가 크게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서비스의 동작과 다른 서비스를 비교하기로 한다. 일례로, Wi-Fi war driving(Google, Apple)는 Wi-Fi DB를 수집하여 Cosine similarity로 위치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DB수집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심지어 Wi-Fi SSID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어, 주기적인 DB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은 사전 DB수집이 필요하지 않아, DB수집, 최신화 및 유지, 관리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위급한 상황에 GPS기반의 서비스를 통하여 미아를 찾으려고 할 경우, 아동이 실내에 있다면 잘못된 위치를 가리켜서 위치 추적에 방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다른 위치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위치 데이터 수집 당시의 실내 또는 실외를 구분한다면 가장 최근의 실외 위치 혹은 건물 단위 정확도로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시스템은 급박한 상황에 잘못된 GNSS 위치정보로 인한 수사 및 인명 구조에 난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소모가 심한 GNSS의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GNSS 위치정보 주기가 짧을 경우, 빌딩(건물) 단위의 위치 추측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위치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GNSS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머신 러닝에 기반한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모델에 상기 수신된 GNSS 신호의 CNR 세기를 입력하여 학습시킴에 따라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하여 위치 정보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가 실내로 판단된 경우, 기압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전자 기기의 움직임 또는 변화를 감지하여, GNSS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기압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GNSS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GNSS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구성된 모델에 상기 수신된 GNSS 신호의 CNR 세기를 입력하여 학습시킴에 따라 판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판단된 위치 정보가 실내일 경우, 상기 실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드롭(drop)하여 디스플레이에 미표시하고 기존 기존에 표시했던 건물 단위의 위치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GNSS 신호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단함에 따라 전자 기기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9. 위치 정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GNS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분류하기 위한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77521A 2019-11-28 2019-12-30 건물 단위 정밀도 위치 정보 시스템 KR102294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4993 2019-11-28
KR1020190154993 2019-11-28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76A true KR20210066676A (ko) 2021-06-07
KR102294813B1 KR102294813B1 (ko) 2021-08-30
KR102294813B9 KR102294813B9 (ko) 2022-03-15

Family

ID=7637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21A KR102294813B1 (ko) 2019-11-28 2019-12-30 건물 단위 정밀도 위치 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8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137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35072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137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35072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813B1 (ko) 2021-08-30
KR102294813B9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9708B2 (ja) 常時オン気圧計で位置決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194891B1 (en) Accounting for indoor-outdoor transitions during position determination
TWI500003B (zh) 基於虛擬地標之定位及地圖繪製技術
US9113291B2 (en) Location detection within identifiable pre-defined geographic areas
US102990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mobile device power using intelligent attribute selection
CN107702717A (zh) 针对设备位置的位所指示控制
US99713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triggering of data collection
WO2015167265A1 (en) Indoor global positioning system
US113370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10045155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534111B1 (en) Method and system of pedestrian localization
US11228876B2 (en) Determining which floors that devices are located on in a structure
KR102294813B1 (ko) 건물 단위 정밀도 위치 정보 시스템
US20210337353A1 (en) Indoor localization based on acceleration events
KR20140133069A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KR101573198B1 (ko) 관심 지점 자동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A3043913C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processing timeout based localization
US10896533B2 (en) Automated identification of geographic site boundaries
US202401773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00065601A (ko) 마커를 이용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48527A (ko) 작업자 단말 및 이의 작업자 위치 추정 방법
CN115696195A (zh) 一种位置语义指纹库构建方法以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