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660A -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660A
KR20210066660A KR1020190156180A KR20190156180A KR20210066660A KR 20210066660 A KR20210066660 A KR 20210066660A KR 1020190156180 A KR1020190156180 A KR 1020190156180A KR 20190156180 A KR20190156180 A KR 20190156180A KR 20210066660 A KR20210066660 A KR 20210066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giant
heukchal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정
백성환
편해옥
박가은
Original Assignee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660A/ko
Publication of KR2021006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세포 내 NO 생성 및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상처 유발된 내피 세포로 각질 세포 등의 이동성을 증진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상처를 회복 시키므로, 염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Compostion for anti-inflammation, skin moisturizing, skin wound healing, 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extracts of black waxy rice with giant embryo}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외부환경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일차 방어막이다. 또한 생체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체내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주는 방어막이기도 하다. 인체는 대부분의 시간을 불가피하게 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피부, 특히 각질층에는 수분을 저장하고 증발을 막는 다양한 물질들이 있어 체내 수분유지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각질층의 보습기능에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인자로는 먼저 각질세포 내 지질층(intercellular lamellar lipids)이 있어 수분의 증발을 막는 필름으로써 작용하며, 다른 하나의 인자로서 각질세포 내 필라그린(filaggrin)의 분해산물들로 주로 구성된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가 있어 수분을 각질층 내에 붙잡아두는 기능을 하고 있다.
다양한 피부질환이나, 노화된 피부에서는 이 두 가지 주요 인자의 기능이 떨어지고 피부의 보습상태가 악화되어 건조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건조증으로 인한 소양증이나 기타 피부 이상증을 완화하는데 보습제는 매우 중요한 치료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각질층 내 수분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지니는 효소들의 활성 유지에 도움이 되어 피부장벽을 건강한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보습제는 건조증이 있는 피부뿐만 아니라 정상인의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천연보습인자로 알려진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 요소 등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료의 유화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 능력은 있으나 한계가 있어 역부족이다. 이렇듯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은 피지성분과 아미노산, 젖산, 요소 및 무기염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보습인자(NMF)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피부 외용제에서 천연보습인자와 같이 안전하면서도 사용성이 우수하고, 보습효과가 높으면서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피부 보습과 관련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488호는 세라마이드, 판테놀, 콜레스테롤, 파이토스핑고신 및 포스포리피드의 복합체; 코튼씨 및 아마씨 오일; 및 신선초와 몰로키아잎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9704호는 천궁에서 분리된 생큐노라이드 A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본 발명에서와 같은 흑찰거대배아미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력을 개선 및 유지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가 없다.
또한, 피부의 손상은 심각한 정도에 따라 화상, 창상, 찰과상, 궤양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피부 손상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피부장벽 기능을 손실하여 미생물감염에 피부조직이 노출되어 피부를 더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 최근 상처치유에 관한 연구는 세포생물학적, 분자생물학적 분야로 더욱 세분화되고 있고, 상처치유 촉진에 관한 임상적 적용 또한 더욱 광범위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상처 치유에 대한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적 기전에는 의문점들이 많다. 상처치유는 손상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며 조직 회복의 과정으로 몇몇 세포유형들의 합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에는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내피세포, 대식세포, 혈소판을 포함한다. 이 과정은 세포의 증식률과 이동률, 콜라겐 침적과 리모델링, 상처수축, 혈관형성을 포함한다.
피부상처 치유는 피부 또는 다른 기관 또는 조직이 상처 후 자신을 수복하는 복잡한 공정이다. 정상 피부에서 표피(최외각 층) 및 진피(내부 또는 심부 층)는 외부 환경에 대하여 보호 장벽을 형성한다. 일단 보호 장벽이 깨지면 피부상처 치유의 정상적인 생리적 공정이 즉시 가동된다. 다만, 부상자의 건강, 연령 당뇨와 같은 질환, 이물체 또는 괴사 조직의 존재가 피부상처 치유의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부상처 치유의 속도가 느릴 경우, 상처 부위를 통해 2차 감염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일부 상처들에서 상처 소산의 불완전한 조절은 과도한 흉터 생성을 초래하여 기능적 및 미용적으로 열등한 흉터 조직을 남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처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부작용 없이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피부상처 치유를 위해 사용되는 상용화된 제품에는 대표적으로 주식회사 동화약품의 후시딘과 주식회사 동국제약의 마데카솔 등이 있다. 다만 후시딘의 주성분인 푸시딘산(fucidic acid)에 대해 내성을 갖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늘고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Arch Dis Child 2004;89:74-44). 또한, 후시딘과 마데카솔의 사용시 알레르기 반응, 발진 등의 부작용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어 새로운 약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처치유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9818호는 트라켈로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156호는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754호는 피부 질환 치료용 및 상처 치유 향상용 식물 추출물로서 병풀 추출물을 개시한 바 있다.
한편,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의료기술의 발달 및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자 비율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면역계 이상으로 염증반응의 만성화가 진행되어 아토피, 천식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Chang et al., 1994, Korean J. Gastroentrol., 26:907-918.; Heinzemann and Daser, 2002, Int. Arch. Allergy Immunol. 127:170-180.; Song et al., 1998, Korean J. Intern. Med., 55:158-168.; Sunget al., 2012, J. Ethnopharmacol. 144:94-100.).
염증 반응 (inflammatory response)은 생체나 조직 내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박테리아 감염 등으로 인한 손상을 회복하기 위해 일어나는 반응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염증의 정도가 심하거나 지속되게 되면 관절염, 알레르기, 질환, 고혈압 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Moncada et al., 1991; Lee et al., 2014).
체내에서 일어나는 염증과정에서 염증매개 인자들인 NO(nitric oxide)와 PGE2(prostaglandin E2) 등이 과량 생성된다 (Posadas et al., 2000; Tsatsanis et al., 2006). 체내에서 NO는 염증반응 이외에도 방어기능, 혈관확장, 신호전달기능 등 다양한 생기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NOSs(nitric oxide synthases)에 의해 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된다 (Nathan 1997; Palmer 1987, Knowles and Moncada, 1994).
거의 모든 조직에 존재 하는 면역계 세포인 대식세포는 선천성 또는 후천성 면역반응에 관여하여 생체방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RAW264.7 cell은 생쥐유래 대식세포로서 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시키면 interlukin-6 (IL-6), tumor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ukin-12 (IL-12)와 같은 cytokine의 생성이 촉진된다 (Lee et al., 2004; Mukaidaet al., 1996; Murphyet al., 2008). LPS로 인한 전염증성 cytokine 및 염증 매개 물질의 발현은 nuclear factor kappa B (NF- B)와 mitogen activated protein (MAP) kinase의 경로를 통해 일어나게 된다 (Liu and Malik, 2006; Aga et al., 2004). 이와 같이 LPS에 의해 확립된 염증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RAW264.7 대식세포가 항염증 소재 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염증 치료제로서 corticosteroid와 같은 스테로이드성 약물은 강력한 항염증제로 이용되었지만 면역기능과 세포 활성을 억제하여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고 체중 증가나 당뇨, 체액 저류 등의 독성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Richard and Geoffrey, 2009). 이에 부작용이 적은 비스테로이성 소염 진통제 aspron, paracetamol, indomethacin, ibuprofen 등이 있지만 이들은 일시적으로 완화는 시켜주지만 근본적인 원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염증과 관련된 COX효소에 대해 비선택성으로 인한 부작용과 연관이 있고 선택성을 가지는 치료제들은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천연 원료로부터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염증 치료제를 찾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Fava and Danese, 2011).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7111호는 발효 대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60356호는 약콩, 약쑥, 산약, 약모밀 및 약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3078호는 파그라에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본 발명에서와 같은 흑찰거대배아미를 이용하여 염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품종인 흑찰거대배아미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흑찰거대배아미가 피부 보습 및 항염, 그리고 피부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에 있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흑찰거대배아미’는 흑미이면서 찰성인 거대배아미를 말한다. 하나의 예로서, 기존의 흑미이면서 찰성인 조생흑찰벼와 거대배 찰벼(YR23517Acp79)를 인공교배하여 육종 개발된 흑찰거대배아미(밀양263호)일 수 있다.
상기 흑찰거대배아미는 흑찰거대배아일반미, 흑찰거대배아현미 및 흑찰거대배아발아현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거대배아미는 돌연변이 육종교배를 통해 지금까지의 벼 품종에 비해 쌀눈이 3~5배 이상 커진 품종으로, 쌀 영양소의 80% 이상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쌀눈이 일반 현미에 비해 3~5배 이상 크기 때문에 쌀의 영양소가 매우 풍부한 품종을 말한다.
상기 찰성은 아밀로스가 2~10%, 아밀로펙틴이 90~98%로 구성된 쌀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르면,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흑찰거대배아미의 껍질을 제거하고 껍질이 제거된 흑찰거대배아미를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0% 물, 60~80% 에탄올, 60~80% 메탄올 또는 60~80% 에틸아세테이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물, 70% 에탄올, 70% 메탄올 또는 70% 에틸아세테이트이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분쇄된 흑찰거대배아미 중량의 2 내지 4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로 할 수 있는데, 이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70% 에탄올, 70% 메탄올, 또는 70%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여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 또는 ‘항염증’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염증의 억제, 염증의 발병지연, 염증 상태의 호전 또는 염증 상태를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세포 내 NO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개체의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항염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 또는 ‘치료’는 개체에서 피부염 질환의 (a) 발전의 억제 (b) 경감 및 (c)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드,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항염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및 이의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보습"은 피부의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고 외부 물질의 과잉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피부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를 함유하는 외용제를 피험자에 도포하여 48시간 관찰한 결과 피험자의 피부 각질층 수분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흑찰거대배아미는 피부 수분 유지력 (보습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피부 보습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및 이의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처"는 조직이 절단되거나, 찢어지거나, 부서지거나, 타거나, 또는 외상을 입거나, 또는 이러한 손상을 유발하는 장애 또는 질환으로부터 발생된 인간에 대한 손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상처 치유"란 조직 완전성의 복원을 의미한다. 이는 조직 완전성의 부분적 또는 완전 복원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처 치료란 피부상처 치유 과정에 관여하기는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과정의 촉진, 개선, 진행, 가속 또는 진전을 의미한다. 또한, 상처는, 예컨대 타박상 또는 내부 궤양화와 같이 피부의 외부 구조적 완전성이 유지되는 임의의 내부 상처이거나 외부 상처, 특히 피부상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조직은 내부 또는 외부의 신체 조직일 수 있다. 일례로, 조직은 피부(예컨대, 인간 피부)이며, 상처는 진피 또는 표피 상처와 같은 피부상처일 수 있다.
이러한 피부상처 치유과정은 대개 지혈, 염증, 증식과 리모델링 4가지 순차적 단계로 특징지어지며, 염증단계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은 이로운 작용으로서 지혈과 선천적 면역체계에 필수적인 것으로, 병원균의 침입과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고 죽은 조직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염증반응이 길어지거나 심하면 흉터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끝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처 초기에 염증반응이 억제되면 지혈 및 병원균의 침입을 억제하지 못하고, 피부회복 후기에 염증반응이 계속 이어진다면 흉터와 같은 안좋은 반응을 수반할 수 있어 상처치유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Ning Xu Lande´n, et al., Cell Mol Life Sci. 2016. 73:3861-3885).
본 발명에서 “피부재생”은 손상에 대한 조직의 회복 과정으로, 주화성 (chemotaxis), 세포의 분화 및 복제 (differentiation and replication), 기질 단백질 (matrix protein)의 합성, 혈관의 신생 및 상처의 재구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 피부재생 과정의 초기에 생성되어 이후의 과정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로 성장인자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피부재생 과정 전반에 걸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면서도 세포의 성장, 분화 및 대사 등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상처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베인 상처 및 열상, 외과적 절개 또는 상처, 천자, 찰과상(graze), 긁힌 상처, 압박 상처, 찰과상(abrasion), 마찰 상처(예: 기저귀 발진, 마찰 수포), 욕창 궤양(예: 욕창 또는 와창), 열 작용에 의한 상처(직접, 또는 전도, 대류 또는 복사선을 통한 냉원 및 열원 및 전기 공급원으로부터의 화상), 화학적 상처(예: 산 또는 알칼리 화상) 또는 개방 또는 무손상 종기, 피부 발진, 흠집 및 여드름을 비롯한 병원성 감염(예: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진균 감염), 궤양, 만성적인 상처(당뇨병-관련 상처, 예컨대 하퇴 및 족부 궤양, 정맥성 다리 궤양 및 욕창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상처유발된 내피세포에 처리한 경우 각질세포의 이동성이 우수하였으며 12시간 안에 50% 이상의 상처 회복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피부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보습용,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용,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제 또는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염 효과가 있으며, 투여방법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식용 가능한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의약품,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세포 내 NO 생성 및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며, 상처 유발된 내피 세포로 각질 세포 등의 이동성을 증진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상처를 회복 시키므로, 염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에 의한 LPS 자극 대식세포 내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에 의한 LPS 자극 대식세포 내 IL-6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에 의한 피부 보습 및 보습 지속력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에 의한 상처유발된 내피세포로의 세포 이동성 및 상처 회복력을 농도별로 관찰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제조
광주시 광산구에 위치한 산들농산에서 구입한 흑찰거대배아미(밀양263호)의 왕겨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하였다. 그 분쇄물을 70% 에탄올, 70% 메탄올 및 70% 에틸아세테이트를 각각 사용하여 분쇄물 중량의 10배 양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3번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들은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이하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 효과
대식세포(RAW264.7)의 NO 생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에 1㎍/mL의 LPS 처리 후 상기 실시예 1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생성되는 NO 양을 측정하였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특히,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200 ug/mL의 농도에서 NO 생성을 11 내지 19% 억제하였다. 흑찰거대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은 12% 억제하였고, 흑찰거대배아미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19% 억제하여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실시예 3: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사이토카닌 생성 억제 효과
대식세포는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에 관여하여 체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세포로, 체내에 항원이 침입하게 되면 식세포 작용으로 항원을 제거하거나 항원을 다른 면역세포에 제시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나도록 유도해 항원의 증식을 막는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는 인터페론(IFN), 당지질(LPS) 등의 면역증강물질에 의해 활성이 증가되며,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nterleukin(IL)-1β, interleukin(IL)-6,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등을 분비하게 된다. 이에 LPS(1 ug/mL)를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에 상기 실시예 1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처리한 후 배양한 다음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cytokine(IL-6)의 분비량을 측정하여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200ug/ml을 처리한 경우 30내지 36%의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다른 용매에 비하여 약간 더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피부 보습력 효과 실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피부 보습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화장품을 제조하고 그 화장품의 일회 도포 후 시험실 및 대기실의 환경을 조절한 상태에서 48시간 동안 진행하면서 도포한 시험 부위와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대조 부위를 설정하여 보습개선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수상 믹서(Mixer)에 A상을 투입하고 용해하고(T: 75℃, PM: 20rpm), 유상 믹서에 B상을 투입하고 용해하고(T: 78℃, PM: 20rpm), 메인믹서(Main Mixer)에 A상 및 B상을 투입하고 유화하였다(T: 75℃, HM:2000rpm, PM:20rpm, t: 3min). 이후 메인믹서를 55℃까지 냉각한 후 미리 용해된 C상과 D상을 차례로 투입하고 혼합하였다(T: 55℃, HM: 2500rpm, PM: 20rpm, t: 3min). 이를 - 30℃까지 냉각하고 메쉬(mesh)로 여과한 후 배출하였다.
A Oryza Sativa (Rice) Bran Water 51.07
A Betaine 2.00
A Erythritol 2.00
A Glycerin 10.00
A EDTA-2Na 0.03
A 1,2-Hexandiol 2.00
B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4.00
B Cetearyl Alcohol 3.00
B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2.00
B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20.00
B Squalane 3.00
B 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0.50
C Carbomer 0.20
D Arginine 0.20
총 21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피험자의 전완부에 6cm X 4cm 크기의 직사각형 시험 부위를 구획하고 2mg/cm²의 시험물질을 시험자가 도포한 후 48시간 보습 지속력 효능 평가를 Corneometer CM 82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한 후 보습력 개선 정도를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값으로 도출하였다.
수학식
보습력 개선율 (%) = [ (시료 도포 후 측정치 - 시료 도포 전 측정치) / 시료 도포 전 측정치 ] X 100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료를 1회 도포한 시험 부위의 피부 각질층 수분함량 개선율은 도포 1시간 후, 3시간 후, 6시간 후에 각각 62.98%, 66.36%, 74.32%로 확인되었고, 도포 24시간 후, 48시간 후에는 각각 78.04%, 62.04%로 확인되었다. 이는 시험 시료 도포 후 피부 각질층 수분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결과이며, 무도포 대조 부위에 비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5)의 보습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로부터 피부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을 1회 도포한 시험 부위가 대조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높은 각질층 수분함량을 나타내고, 이러한 차이가 48시간 동안 지속되어, 시험 시료가 피부 수분 유지력 (보습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세포 이동성 측정 실험
세포의 이동성 평가를 위해서 실시간으로 세포의 성장과 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Incucyte ZOOM(Essenbioscience)을 이용하였다. 세포 이동성 평가에 이용된 Incucyte ZOOM은 세포를 현미경 위에서 배양할 수 있는 소형 CO2 배양기와 실시간으로 세포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영상을 전달할 수 있는 color charge-coupled device (CCD) camera가 부착되어 있고,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video-tape recorder (VTR) system과 CCD camera를 통해 받은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computer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의 이동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내피세포는 37℃, 5% CO2 환경에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배양 중인 세포를 WoundMaker를 이용하여 상처유발 후 기존 배양액을 제거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시간 간격으로 60시간 배양을 하면서 실시간으로 세포의 이동을 관찰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세포손상에 있어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이 세포이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하여 60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50ul/ml 농도에서 관찰 12시간에 50% 이상의 상처회복력을 나타내었으며 28시간에 상처회복을 90% 하였으며, 저농도에서도 상처회복력이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는 흑찰거대배아일반미, 흑찰거대배아현미 및 흑찰거대배아발아현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의 추출물은 에탄올, 메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
  5.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156180A 2019-11-28 2019-11-28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210066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180A KR20210066660A (ko) 2019-11-28 2019-11-28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180A KR20210066660A (ko) 2019-11-28 2019-11-28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60A true KR20210066660A (ko) 2021-06-07

Family

ID=7637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180A KR20210066660A (ko) 2019-11-28 2019-11-28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6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5609A (zh) * 2021-09-30 2021-12-31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糯米发酵提取物及其抗湿疹应用
KR20240044760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지원바이오 흑찰거대배아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5609A (zh) * 2021-09-30 2021-12-31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糯米发酵提取物及其抗湿疹应用
KR20240044760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지원바이오 흑찰거대배아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069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058613A1 (en) Methods for stimulating synthesis of pro-collagen or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US2015030602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KR100881884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MX2012005609A (es) Concentrado o extracto de brote de aloe vera que tienen efectos superiores de promocion de celula de la piel, antioxidantes y anti-alergia.
KR100961217B1 (ko)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천년초선인장 발효물
KR20210066660A (ko)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피부 보습용, 피부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US7511078B2 (en) Antiallergic agents, drugs, foods, drinks or cosmetic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90068361A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885120B1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169244B2 (ja) 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73251A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432749B1 (ko) 고사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174B1 (ko)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16234A (ko) 용안육 포함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억제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외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