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515A -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515A
KR20210066515A KR1020190155849A KR20190155849A KR20210066515A KR 20210066515 A KR20210066515 A KR 20210066515A KR 1020190155849 A KR1020190155849 A KR 1020190155849A KR 20190155849 A KR20190155849 A KR 20190155849A KR 20210066515 A KR20210066515 A KR 2021006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shape
clothes
garment
siz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이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이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이모션
Priority to US17/050,05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00725B2/en
Priority to PCT/KR2019/016644 priority patent/WO2021107203A1/ko
Priority to CN201980028733.7A priority patent/CN113196342A/zh
Priority to KR1020190155849A priority patent/KR20210066515A/ko
Publication of KR2021006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15A/ko
Priority to KR1020210097080A priority patent/KR10229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41H3/007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patterns using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7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e use of two or more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2Cl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6Cl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21Shape mo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24Style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이 입혀지는 바디 사이즈를 조절하며 상기 의상이 상기 바디에 입혀졌을 때의 외관을 모델링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상기 의상의 모델링을 위한 바디 사이즈인 제1 바디 사이즈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바디 사이즈로부터 사이즈가 감소된 제2 바디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바디 사이즈인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 바디의 바디 사이즈를 상기 제1 바디 사이즈까지 증가시키면서 상기 축소 바디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METHOD FOR 3D MODELING OF CLOTHING}
본 발명은 의상이 입혀지는 바디 사이즈를 조절하며 의상이 바디에 입혀졌을 때의 외관과 의상이 바디에 입혀지는 과정을 모델링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 이외에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의상 선택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또는 자신이 선호하는 색상과 디자인의 의상을 입거나 소유함으로써, 자기 만족과 더불어 대외적인 이미지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의상을 디자인하여 제작하고 이를 판매하는 의상관련업은 종래의 오프라인 이외에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활성화되고 있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도 널리 확장되고 있다. 특히 의상에 관심이 많은 ??은이들의 사회진출이 두드러짐에 따라 이러한 의상관련업은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사업분야이다.
현재 오프라인 상에서 진행되고 있는 의상 제작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디자이너들이 향후 출시하고자 하는 의상에 대한 디자인 작업을 실시하여 패턴을 제작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패턴들을 봉제하여 샘플을 제작한다. 샘플이 제작되면 자체 회의(품평회)를 통해 디자인을 평가한 후, 소비자들의 반응, 즉 상업성이 높을 것이라 예상되는 디자인의 샘플에 대해서 의상제작 업체 측에 생산을 의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향후 생산될 의상의 디자인 작업과 디자인에 따른 패턴 제작, 그리고 제작된 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봉제 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디자인 작업, 패턴 제작, 봉제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될 경우, 다수의 인력이 많은 시간을 들여 작업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제작 단가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완성도 높은 의상 디자인을 일부 수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패턴을 수정하여 전술한 과정을 무수히 많이 반복해야 하므로, 제품개발을 위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을 일부 전산화하여 컴퓨터상에서 패턴을 제작하는 방법이 일부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완성된 의상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여전히 수작업으로 시제품을 완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의상의 제작단계에서, 제작중인 의상이 다양한 사이즈의 신체에 부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상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의 상황을 보다 자연스럽게 모델링 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의 의상의 보다 자연스러운 모델링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이 입혀지는 바디 사이즈를 조절하며 상기 의상이 상기 바디에 입혀졌을 때의 외관을 모델링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상기 의상의 모델링을 위한 바디 사이즈인 제1 바디 사이즈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바디 사이즈로부터 사이즈가 감소된 제2 바디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바디 사이즈인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 바디의 바디 사이즈를 상기 제1 바디 사이즈까지 증가시키면서 상기 축소 바디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이즈가 증가되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상기 소정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상기 의상의 변화된 3차원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관계는 상기 외면 상의 임의의 지점인 제1 지점과 상기 내면 상의 임의의 지점인 제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최소 거리 이상인 관계일 수 있다.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은 상기 의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은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신축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결합 방식, 결합 신축성 및 결합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상기 바디 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결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결함이 발생된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함 표시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및 결함이 발생한 바디 사이즈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상기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는 상기 제1 바디 사이즈의 바디에 대응되는 부피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상기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가 상기 축소 바디에 대응되는 부피 보다 크도록 상기 바디 사이즈를 축소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크기가 증가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맵(Stress Map)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레스 맵은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스트레스 맵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관절 중 어느 하나의 관절의 구동에 따라 변경되는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변경된 스트레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상의 제작단계에서 제작중인 의상이 다양한 사이즈의 신체에 부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상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의 상황을 보다 자연스럽게 모델링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의 의상의 보다 자연스러운 모델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가 사용자가 입력한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부피 보다 작은 경우에도 의상의 효과적인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상 모델링의 각 단계에서 의상의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패턴 데이터 생성 화면(410)의 예시이다.
도 4는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한 화면(420)의 예시이다.
도 5는 바디의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화면(430)의 예시이다.
도 6은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 상에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이 표시된 화면(440)의 예시이다.
도 7은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이 오버랩 되어 표시된 화면(450)의 예시이다.
도 8은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62)이 표시된 화면(460)의 예시이다.
도 9는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스트레스 맵(471)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0은 결함 정보가 표시된 화면(480)의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 서버(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 상호간에 및/또는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3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 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을 사용자 단말(100)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패턴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200)는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 생성된 패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100)과 서버(200)는 메모리(111, 211), 프로세서(112, 212), 통신 모듈(113, 21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1, 21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1, 21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11, 21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13, 213)을 통해 메모리(111, 21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2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111, 2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2, 21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11, 211) 또는 통신 모듈(113, 213)에 의해 프로세서(112, 21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2, 212)는 메모리(111, 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3, 213)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서버(2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 또는 다른 서버(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서(112)가 메모리(1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1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버(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200) 프로세서(21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13)과 네트워크(300)를 거쳐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 모듈(113)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14)는 입출력 장치(1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3차원으로 모델링 된 의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1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이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서(112)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상의 '패턴 데이터'는 의상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셋(Data set)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패턴 데이터는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의 모양, 치수 정보, 스티치 정보, 소재 정보, 랜드마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속성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Part)는 해당 의상의 제작에 사용되는 의상의 적어도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파트는 해당 의상의 제작을 위해 재단한 천 조각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해당 의상의 제작에 사용되는 단추, 지퍼, 기타 결합을 위한 부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스티치(Stitch) 정보'는 전술한 파트들의 결합을 위한 정보로, 가령 재단된 천 조각들의 봉제선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스티치 정보는 파트간의 결합 시에 사용되는 소재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소재의 결합 시 사용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스티치 정보가 재단된 천 조각 들의 봉제선에 관한 정보인 경우, 스티치 정보는 봉제 땀 수에 관한 정보, 봉제에 사용되는 실의 색상, 굵기 및 소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티치 정보는 파트들 간의 결합 방식, 결합 신축성 및 결합 강도와 같은 결합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소재 정보'는 해당 소재에 관한 시각적 정보 및 해당 소재에 관한 물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소재에 관한 시각적 정보는 해당 소재의 색상, 해당 소재의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소재에 관한 물성 정보는 해당 소재의 두께, 밀도, 탄성, 신축성, 통기성, 마모성 및 투광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소재 정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소재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이라면, 본 발명의 소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이와 같은 소재 정보를 해당 소재의 제조사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111)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전술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비로부터 상술한 패턴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비는 가령 복수의 영상 센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거리 센서를 포함하여, 의상의 3차원 정보를 스캔(Scan)하는 방식으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비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패턴 데이터 생성 장비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은 패턴 데이터 생성 화면(410)의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410)은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기 위한 영역(411),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형상을 표시하는 영역(412) 및 의상을 표시할 때의 다양한 속성값을 설정하거나 파트의 속성이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화면(410)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의상에 대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기 위한 영역(411)에서, 파트(411a 내지 411g)의 2차원 공간상에서의 모양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파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의상에 대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12)는 파트의 모양 외에도,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입력들에 기초하여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 및/또는 편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는 특정 의상의 패턴 데이터 생성을 위한 사용자의 일련의 입력 및/또는 조작을 메모리(111)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12)는 이러한 패턴 데이터를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서버(20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로드 할 수 있다. 이때 패턴 데이터를 '로드(Load)'하는 것은, 해당 패턴 데이터를 표시, 편집 및/또는 수정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메모리(111) 및/또는 서버(200)로부터 해당 패턴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패턴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패턴 데이터의 로드는 메모리(111)에 저장된 복수의 패턴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패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패턴 데이터의 로드는 사용자가 서버(200)로부터 특정 패턴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패턴 데이터의 로드와 유사하게, 해당 패턴 데이터에 대응되는 의상이 입혀질 바디에 대한 바디 데이터를 로드 할 수 있다. 이때 '바디 데이터'에는 해당 바디의 사이즈, 각 부분의 비율, 인종, 성별 및 피부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바디 데이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바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술한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성별을 남성에서 여성으로 수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바디 데이터에 포함되는 성별에 관한 정보를 남성에서 여성으로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로드 한 의상의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입체 형상은 패턴 데이터에 기초한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패턴 데이터와 별도로 로드 된 바디 데이터를 고려하여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바디 데이터 및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한 화면(420)의 예시이다.
도 3과 마찬가지로, 화면(420)은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형상을 표시하는 영역(421),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표시하거나 편집하기 위한 영역(422) 및 의상을 표시할 때의 다양한 속성값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4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형상을 표시하는 영역(421)에, 바디 데이터에 기초한 바디의 3차원 형상(421a) 및 이러한 바디의 3차원 형상(421a)을 고려한 의상의 3차원 형상(421b)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상의 입체 형상(421b)을 표시함에 있어서, 바디의 3차원 형상(421a)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모델링을 위한 바디 사이즈인 제1 바디 사이즈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5는 바디의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화면(430)의 예시이다.
이때 화면(430)은 바디의 3차원 형상(431-1)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431), 특정 각도에서의 바디의 2차원 형상(432-1)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432) 및 바디의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4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433)에는 바디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33-1) 및 바디의 사이즈를 입력 받기 위한 슬라이더 형태의 인터페이스(433-2)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인터페이스(433-2) 상의 슬라이더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바디 사이즈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hip'항목에 대한 슬라이더 상의 노브를'big hip'쪽으로 이동시킨 경우, 프로세서(112)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증가된 hip 사이즈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표시된 항목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바디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항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바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항목의 값의 변경된 경우, 이를 반영하여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가령 사용자가 'hip'항목에 대한 슬라이더 상의 노브를'big hip'쪽으로 이동시킨 경우, 프로세서(112)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증가된 hip을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을 영역(43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제1 바디 사이즈로부터 사이즈가 감소된 제2 바디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은 가령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상(즉 3차원 형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가 제2 바디 사이즈를 갖는 축소 바디에 대응되는 부피 보다 크도록 바디 사이즈를 축소하는 조건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은 의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의상의 기본 부피 보다 작은 부피를 갖도록 바디 사이즈를 축소하는 조건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바디 축소 조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2 바디 사이즈인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 상에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이 표시된 화면(440)의 예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디의 3차원 형상(431-1)과 대비하여 살펴보면,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은 도 5에 도시된 바디의 3차원 형상(431-1)보다 바디의 각 부분이 축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 상에 모델링 하고자 하는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이 오버랩 되어 표시된 화면(450)의 예시이다.
본 발명에서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것은,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하되, 중력의 방향을 고려하여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관계'는 바디의 외면 상의 임의의 지점인 제1 지점과 의상의 내면 상의 임의의 지점인 제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최소 거리 이상인 관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상의 3차원 형상은 바디의 3차원 형상과 중력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의 외면과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의 내면이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이 오버랩 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를 표시하는 영역(452)에 표시된 파트에 대한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획득하고, 편집 입력에 따라 수정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축소 바디의 바디 사이즈를 사용자가 입력한 제1 바디 사이즈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축소 바디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62)이 표시된 화면(460)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함에 있어서, 사이즈가 증가되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전술한 소정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조건 하에 의상의 변화된 3차원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프로세서(112)는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의상의 3차원 형상이 증가된 바디의 3차원 형상을 반영하도록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451)으로부터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462)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프로세서(112)는 제1 시점(바디 사이즈가 제1 바디 사이즈가 되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서의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고, 그 이후의 제2 시점(바디 사이즈가 제1 바디 사이즈가 되기 전의 임의의 시점으로 제1 시점 이후의 시점)에서의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의상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의 상황을 보다 자연스럽게 모델링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의 의상의 보다 자연스러운 모델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가 사용자가 입력한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부피 보다 작은 경우에 의상의 효과적인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62)이 오버랩 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를 표시하는 영역(463)에 표시된 파트에 대한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획득하고, 편집 입력에 따라 수정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상 모델링의 각 단계에서 의상의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크기가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스 맵(Stress Map)'은 의상의 각 부위가 당겨지는 정도를 표시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스트레스 맵(471)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맵 요청 입력에 따라 도 9와 같이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스트레스 맵(471)을 표시하여, 제1 바디 사이즈에서 모델링 대상 의상의 이상 여부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도 9에 스트레스 맵(471)에서 밝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스트레스가 높은 부분에 해당하고, 어두운 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스트레스가 낮은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바디가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 및 하나 이상의 파트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에 의해 정의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바디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 중 어느 하나의 관절의 구동에 따라 변경되는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변경된 스트레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포즈 선택 영역(select model로 표시됨)상에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포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포즈를 취하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고, 그에 따라 의상의 변경된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맵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바디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표시함에 있어서,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의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 간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를 고려하여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결함이 확인된 경우 결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결함 정보가 표시된 화면(480)의 예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디 사이즈의 과도한 증가로 의상의 3차원 형상의 어깨 부분 및 소매 부분에 파트가 연결되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였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상의 3차원 형상(462) 상의 결함이 발생된 부위(48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함 표시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제2 바디 사이즈에서 제1 바디 사이즈로 바디 사이즈를 증가하여 표시하던 과정 중 제3 바디 사이즈(제1 바디 사이즈 보다 크고, 제2 바디 사이즈 보다 작은)에서 결함이 발생된 경우, 제3 바디 사이즈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결함이 발생한 의상의 3차원 형상(462)이 표시된 상태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여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의 해소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를 표시하는 영역(482)에 표시된 파트에서 어깨 부분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획득하고, 편집 입력에 따라 결함이 수정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상 모델링의 각 단계에서 의상의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되,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의 모델링을 위한 바디 사이즈인 제1 바디 사이즈를 입력 받을 수 있다.(S1110)
도 5는 바디의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화면(430)의 예시이다.
이때 화면(430)은 바디의 3차원 형상(431-1)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431), 특정 각도에서의 바디의 2차원 형상(432-1)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432) 및 바디의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4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433)에는 바디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33-1) 및 바디의 사이즈를 입력 받기 위한 슬라이더 형태의 인터페이스(433-2)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페이스(433-2) 상의 슬라이더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바디 사이즈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hip'항목에 대한 슬라이더 상의 노브를'big hip'쪽으로 이동시킨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이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증가된 hip 사이즈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표시된 항목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바디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항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바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항목의 값의 변경된 경우, 이를 반영하여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가령 사용자가 'hip'항목에 대한 슬라이더 상의 노브를'big hip'쪽으로 이동시킨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이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증가된 hip을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을 영역(43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제1 바디 사이즈로부터 사이즈가 감소된 제2 바디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S1120) 이때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은 가령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상(즉 3차원 형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가 제2 바디 사이즈를 갖는 축소 바디에 대응되는 부피 보다 크도록 바디 사이즈를 축소하는 조건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은 의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의상의 기본 부피 보다 작은 부피를 갖도록 바디 사이즈를 축소하는 조건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바디 축소 조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2 바디 사이즈인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S1130)
도 6은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 상에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이 표시된 화면(440)의 예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디의 3차원 형상(431-1)과 대비하여 살펴보면,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은 도 5에 도시된 바디의 3차원 형상(431-1)보다 바디의 각 부분이 축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 상에 모델링 하고자 하는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수 있다.(S1140)
도 7은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이 오버랩 되어 표시된 화면(450)의 예시이다.
본 발명에서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것은,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하되, 중력의 방향을 고려하여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관계'는 바디의 외면 상의 임의의 지점인 제1 지점과 의상의 내면 상의 임의의 지점인 제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최소 거리 이상인 관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상의 3차원 형상은 바디의 3차원 형상과 중력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의 외면과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의 내면이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51)이 오버랩 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를 표시하는 영역(452)에 표시된 파트에 대한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획득하고, 편집 입력에 따라 수정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축소 바디의 바디 사이즈를 사용자가 입력한 제1 바디 사이즈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축소 바디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S1150)
도 8은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62)이 표시된 화면(460)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함에 있어서, 사이즈가 증가되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전술한 소정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조건 하에 의상의 변화된 3차원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의상의 3차원 형상이 증가된 바디의 3차원 형상을 반영하도록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441)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451)으로부터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462)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시점(바디 사이즈가 제1 바디 사이즈가 되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서의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고, 그 이후의 제2 시점(바디 사이즈가 제1 바디 사이즈가 되기 전의 임의의 시점으로 제1 시점 이후의 시점)에서의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의상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의 상황을 보다 자연스럽게 모델링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의 의상의 보다 자연스러운 모델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가 사용자가 입력한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부피 보다 작은 경우에 의상의 효과적인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의상의 3차원 형상(462)이 오버랩 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를 표시하는 영역(463)에 표시된 파트에 대한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획득하고, 편집 입력에 따라 수정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상 모델링의 각 단계에서 의상의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크기가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스 맵(Stress Map)'은 의상의 각 부위가 당겨지는 정도를 표시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제1 바디 사이즈를 갖는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스트레스 맵(471)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맵 요청 입력에 따라 도 9와 같이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스트레스 맵(471)을 표시하여, 제1 바디 사이즈에서 모델링 대상 의상의 이상 여부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도 9에 스트레스 맵(471)에서 밝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스트레스가 높은 부분에 해당하고, 어두운 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스트레스가 낮은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바디가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 및 하나 이상의 파트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에 의해 정의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바디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 중 어느 하나의 관절의 구동에 따라 변경되는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변경된 스트레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포즈 선택 영역(select model로 표시됨)상에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포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포즈를 취하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고, 그에 따라 의상의 변경된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맵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바디 상에 오버랩 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표시함에 있어서,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 간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를 고려하여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결함이 확인된 경우 결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결함 정보가 표시된 화면(480)의 예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디 사이즈의 과도한 증가로 의상의 3차원 형상의 어깨 부분 및 소매 부분에 파트가 연결되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였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상의 3차원 형상(462) 상의 결함이 발생된 부위(48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함 표시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제2 바디 사이즈에서 제1 바디 사이즈로 바디 사이즈를 증가하여 표시하던 과정 중 제3 바디 사이즈(제1 바디 사이즈 보다 크고, 제2 바디 사이즈 보다 작은)에서 결함이 발생된 경우, 제3 바디 사이즈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결함이 발생한 의상의 3차원 형상(462)이 표시된 상태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여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의 해소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를 표시하는 영역(482)에 표시된 파트에서 어깨 부분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획득하고, 편집 입력에 따라 결함이 수정된 의상의 3차원 형상을 바디의 3차원 형상(46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상 모델링의 각 단계에서 의상의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사용자 단말
101, 102, 103, 104: 사용자 단말
111: 메모리
112: 프로세서
113: 통신 모듈
114: 입출력 인터페이스
115: 입출력 장치
200: 서버
211: 메모리
212: 프로세서
213: 통신 모듈
214: 입출력 인터페이스
300: 네트워크

Claims (5)

  1. 의상이 입혀지는 바디 사이즈를 조절하며 상기 의상이 상기 바디에 입혀졌을 때의 외관을 모델링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상의 모델링을 위한 바디 사이즈인 제1 바디 사이즈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바디 사이즈로부터 사이즈가 감소된 제2 바디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바디 사이즈인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 바디의 바디 사이즈를 상기 제1 바디 사이즈까지 증가시키면서 상기 축소 바디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축소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을 결정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이즈가 증가되는 바디의 3차원 형상의 외면과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내면이 상기 소정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상기 의상의 변화된 3차원 형상을 결정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은
    상기 의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은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신축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결합 방식, 결합 신축성 및 결합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변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상기 바디 상에 오버랩 된 상기 의상의 3차원 형상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의 속성,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에 대한 소재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증가된 의상의 3차원 형상 상의 결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바디 축소 조건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상기 의상에 대응되는 부피가 상기 축소 바디에 대응되는 부피 보다 크도록 상기 바디 사이즈를 축소하는 조건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190155849A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20210066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50,057 US11100725B2 (en) 2019-11-28 2019-11-28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method of clothing
PCT/KR2019/016644 WO2021107203A1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CN201980028733.7A CN113196342A (zh) 2019-11-28 2019-11-28 衣服的三维建模方法
KR1020190155849A KR20210066515A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210097080A KR102294988B1 (ko) 2019-11-28 2021-07-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849A KR20210066515A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080A Division KR102294988B1 (ko) 2019-11-28 2021-07-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15A true KR20210066515A (ko) 2021-06-07

Family

ID=761306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849A KR20210066515A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210097080A KR102294988B1 (ko) 2019-11-28 2021-07-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080A KR102294988B1 (ko) 2019-11-28 2021-07-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0725B2 (ko)
KR (2) KR20210066515A (ko)
CN (1) CN113196342A (ko)
WO (1) WO20211072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8372A1 (en) * 2001-05-10 2002-12-12 Lane Kenneth M.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aided garment selection
US8599196B2 (en) * 2010-06-18 2013-12-03 Michael Mass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uter rendered cloth
GB201102794D0 (en) 2011-02-17 2011-03-30 Metail Ltd Online retail system
KR101767144B1 (ko) * 2015-08-13 2017-08-11 (주)에프엑스기어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98491B1 (ko) 2015-11-05 2017-01-20 (주)에프엑스기어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0008039B1 (en) * 2015-12-02 2018-06-26 A9.Com, Inc. Augmented reality fitting approach
KR101808726B1 (ko) * 2016-09-28 2017-12-14 (주)클로버추얼패션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WO2019090150A1 (en) 2017-11-02 2019-05-09 Measur3D, Inc. Clothing model generation and display system
US10685153B2 (en) * 2018-06-15 2020-06-16 Syscend, Inc. Bicycle sizer
KR101974573B1 (ko) * 2018-07-26 2019-05-02 심원희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KR102622883B1 (ko) * 2019-09-02 202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824A (ko) 2021-08-03
KR102294988B1 (ko) 2021-08-30
US11100725B2 (en) 2021-08-24
WO2021107203A1 (ko) 2021-06-03
CN113196342A (zh) 2021-07-30
US20210166493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439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US10628666B2 (en) Cloud server body scan data system
US99969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uthoring method, and program
US119860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garment design and integrated application program for the same
US20190347547A1 (en) Immersive feedback loop for improving ai
US20220019640A1 (en) Automatic website data migration
US201502697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294989B1 (ko) 의상 모델링을 위한 바디 형상 표시 방법
US20220261533A1 (en) Decoupling website service from presentation layer
US11347371B2 (en) Automatic transl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from wireframe tools to production augmented reality framework
US115625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computer program
KR102458303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322810B1 (ko) 3d 패턴 생성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샘플 제작 방법
KR102294988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83504B1 (ko) 환경 요소를 고려한 의류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168735B (zh) 用于在混合现实环境中针对视觉数字创作处理和划分真实世界的部分的方法和系统
KR20240000335A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CN114758062A (zh) 全景漫游场景构建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